KR100997017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017B1
KR100997017B1 KR1020087011249A KR20087011249A KR100997017B1 KR 100997017 B1 KR100997017 B1 KR 100997017B1 KR 1020087011249 A KR1020087011249 A KR 1020087011249A KR 20087011249 A KR20087011249 A KR 20087011249A KR 100997017 B1 KR100997017 B1 KR 10099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passenger
information
elev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432A (ko
Inventor
타카시 유무라
타카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52212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70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출입구로부터 승강장의 승객까지 거리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거리 센서와, 거리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하는 처리 장치와, 처리 장치로부터의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객의 움직임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DOOR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을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출입구에 접근하고 있는 승객을 검출하기 위해서, 3방(方) 틀의 한 쪽 세로 틀에 발광기를 마련하고, 다른 쪽 세로 틀에 수광기를 마련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발광기로부터의 광은 수광기로 받도록 되어 있다. 발광기로부터의 광이 승객에 의해 차단되고, 수광기에서의 수광이 정지되는 것에 의해, 승객의 존재가 검출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1 : 일본 특개 2003-341962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출입구를 통과하는 승객의 유무만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출입구에 가까운 범위로만 검출 범위를 설정하면, 승객이 출입구에 향하여 이동하고 있어도, 승객이 출입구에 도착하기까지 승객을 검출할 수가 없고, 출입구가 닫혀 버리고 마는 경우가 있다. 또, 출입구로부터 떨어진 범위까지 검출 범위를 확대하면, 출입구를 열고 있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이 저하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승강장의 피검출체의 출입구에 대한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장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하는 처리 장치; 및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출입구로부터 승객까지의 거리와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4)가 탑재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의 정면 폭(frontage)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왕복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된 도어 구동 장치(5)(도 2)에 의해 이동된다.
승강장(6)에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7)에 의해 개폐되는 승강장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7)는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장 층으로의 착상시(着床時)에, 도시하지 않은 계합(係合) 장치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대해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승강장 도어(7)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의 계합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와 함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승강장 도어(7)는 승강장 출입구의 정면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승강장 출입구는 각 승강장 도어(7)의 왕복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2)내와 승강장(6)을 연통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구(8)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 및 승강장 출입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의 출입구(8)를 개폐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9)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4) 및 승강장 도어(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도어 닫힘측 단부에는 출입구(8)로부터 승강장(6)의 승객(피검출체; 20)까지의 거리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거리 센서(검출 장치; 10)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거리 센서(10)는 거리 센서(10)로부터 승강장(6)의 승객(20)까지의 거리에 따른 신호(거리 정보)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6)에 존재하는 승객(20)의 출입구(8)에 대한 움직임이 거리 센서(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것으로 된다.
출입구(8)에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위치 센서(11)가 마련되어 있다(도 2). 도어 위치 센서(11)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출입구(8)에 대하는 위치에 따른 신호(도어 위치 정보)를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각 거리 센서(10) 및 도어 위치 센서(1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엘리베이터 칸(2)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칸 제어반(12)에 전송된다. 엘리베이터 칸 제어반(12)에는 각 거리 센서(10) 및 도어 위치 센서(1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처리 장치(13)와, 처리 장치(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도어 제어 장치(14)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 제어는 도어 구동 장치(5)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한다. 도어 제어 지령에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 가부(可否)를 나타내는 도어 닫힘 가부 지령과,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도어 닫힘 속도 지령이 포함되어 있다. 도어 제어 장 치(14)는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6)의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하는 확률을 승차 예측도로서 구하고, 구한 승차 예측도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 가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도어 닫힘 가부 지령으로서 구한다. 즉, 처리 장치(13)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 이상일 때,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판정(도어 닫힘 불가 판정)을 행하고,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아졌을 때에,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이 가능하다는 판정(도어 닫힘 가능 판정)을 행한다. 또, 도어 닫힘 불가판정이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 처리 장치(13)는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완료했을 때에 도어 닫힘 가능 판정을 행한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 가부의 판정은 식 (1)에 의해 행해진다.
((W1ㆍV)/(W2ㆍL))<Aㆍㆍㆍ(1)
또한, V는 승객(20)의 이동 속도, L은 출입구(8)로부터 승객(20)까지의 거리, A는 문턱값이다. 또, W1은 속도 V에 대한 중량 계수, W2는 거리 L에 대한 중량 계수이다. 속도 V는 거리 L의 시간적 변화를 구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승차 예측도는 식 (1)의 좌변에 의해 나타나고 있다. 즉, 승차 예측도는 거리 L이 커지고, 속도 V가 작아질수록 낮아진다. 예를 들어, 승객(20)의 위치가 출입구(8)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출입구(8)를 향하여 이동하는 승객(20)의 속도 V가 빠른 경우에는 승차 예측도가 높아진다. 이것에 대해, 승객(20)의 위치가 출입구(8)에 가까워도, 승객(20)이 출입구(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승차 예측도가 낮아진다.
또, 처리 장치(13)는 도어 닫힘 가능 판정을 행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도어 닫힘 속도 지령으로서 구한다. 도어 닫힘 속도 지령은 승차 예측도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의 산출은 식 (2)에 의해 행해진다.
WOㆍ(A-(W3ㆍV)/(W4ㆍL)) =Dvㆍㆍㆍ(2)
또한, Dv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이다. 또, W3은 속도 V에 대한 중량 계수, W4는 거리 L에 대한 중량 계수이다. 또한, W0는 (A-(W3ㆍV)/(W4ㆍL))와 Dv를 관련짓기 위한 계수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 Dv는 식 (2)로부터, 승차 예측도가 높을수록 늦어진다.
또,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 및 도어 위치 센서(11)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에 의해 저지되는 확률을 승차 저지도로서 구한다. 예를 들어, 승객(20)이 출입구(8)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출입구(8)의 도어 열림 치수가 큰 경우에는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저지될 가능성은 작기 때문에, 승차 저지도가 낮아진다. 이것에 대해, 승객(20)의 위치가 출입구(8)에 가까워도,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하기 직전인 경우에는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저지될 가능성이 커지므로, 승차 저지도가 높아진다.
처리 장치(13)에 의해서 구해진 승차 저지도의 정보는 알림 장치(17)에 의해 승객(20)에게 연속적으로 알려진다. 알림 장치(17)는 승차 저지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변화하는 표시기(15)와, 승차 저지도에 따른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16)를 갖고 있다. 표시기(15)는 승차 저지도에 따른 수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수치 표시기(18)와, 승차 저지도에 따른 색을 표시하는 한 쌍의 색 표시기(19)를 갖고 있다.
수치 표시기(18)는 각 거리 센서(10)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색 표시기(19)는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4)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각각 배치된 막대 형상의 조명 소자(예를 들어, LED 등)이다. 색 표시기(19)는 색의 종류(예를 들어 청색, 황색 및 적색 등) 및 색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승차 저지도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스피커(16)는 음색, 소리의 크기, 소리의 발생 타이밍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승차 저지도의 정보를 승객(20)에게 전한다. 또, 스피커(16)는 도어 제어 지령의 정보(예를 들어 「도어를 닫습니다」 등)의 음성에 의한 아나운스를 행한다.
도 3은 도 1의 출입구(8)로부터 승객(20)까지의 거리 L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에는 승객(20)이 출입구(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실선(21)), 승객(20)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실선(22)), 출입구(8)를 향하여 이동하는 승객(20)의 속도가 극단적으로 늦어지는 경우(실선(23)), 출입구(8) 를 향하여 이동하는 승객(20)이 일단 되돌아온 후, 출입구(8)를 향하여 재차 이동하는 경우(실선(24)), 및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완료할 때까지 승객(20)이 출입구(8)에 연속적으로 접근하는 2개의 경우(실선(25) 및 실선(26))인 6개의 경우에 대한 거리 L과 시간의 관계가 나타나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21)의 경우에는 승객(20)이 출입구(8)로부터 연속적으로 멀어지므로,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을 조기에 밑돈다. 따라서, 처리 장치(13)에 의한 도어 닫힘 가능 판정이 조기에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점(27a)에서 개시된다.
실선(23)의 경우에는 승객(20)이 출입구(8)를 향하여 이동하는 시간이 어느 정도 계속되므로,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을 밑도는 시점이 실선(21)의 경우보다도 지연된다. 따라서, 처리 장치(13)에 의한 도어 닫힘 가능 판정이 실선(21)의 경우보다도 지연되는 것으로 되며,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점(27a)보다도 지연된 점(27c)에서 개시된다.
실선(22)의 경우에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을 밑도는 시점이 실선(21) 및 실선(23) 각각의 경우 사이로 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점(27a)보다도 지연되며, 또한 점(27c)보다도 빠른 점(27b)에서 개시된다.
실선(21 ~ 23)의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 Dv는 승차 예측도가 높아지는 순서, 즉 실선(21)의 경우, 실선(22)의 경우 및 실선(23)의 경우 순서로 지연된다.
또, 실선(24)의 경우에는 승객(20)이 일단 되돌아 간 후, 출입구(8)에 재차 근접하므로,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을 일단 밑돈 후, 문턱값을 재차 초과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점(27d)에서 일단 개시된 후,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을 초과한 시점에서,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후,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완료한 점(27e)에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재개된다.
실선(25) 및 실선(26) 각각의 경우에는 승객(20)이 출입구(8)에 연속적으로 근접하므로,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완료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개시는 각각 행해지지 않는다. 이들의 경우에는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완료한 점(27e)에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된다.
다음에, 처리 장치(13)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처리 장치(1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열림 동작이 완료하면,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을 행하기 위한 도어 닫힘 모드가 개시된다(S1). 도어 닫힘 모드가 개시되면,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가 승객(20)을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2).
거리 센서(10)가 승객(20)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 처리 장치(1)는 각 거리 센서(1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출입구(8)로부터 승객(20)까지의 거리 L과, 승객(20)의 속도 V를 구한다(S3). 그 후, 거리 L 및 속도 V를 식 (1)에 대입하여,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4).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 이상으로 될 때까지, 승차 예측도가 문 턱값보다 낮은지의 여부 판정을 반복하여 행한다.
한편, 거리 센서(10)가 승객(20)을 검출하고 있지 않는 경우, 또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아진 경우에는 처리 장치(13)가 도어 닫힘 가능 판정을 행하고,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을 개시시킨다(S5). 그 후에도, 처리 장치(13)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지의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정한다(S6).
예를 들어, 도 3의 실선(24)의 경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이 계속되고 있을 때, 승차 예측도가 다시 문턱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처리 장치(13)는 도어 닫힘 불가 판정을 행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을 정지시킨다(S7). 그 후,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검출되는 승객(20)의 인원수에 따른 출입구(8)의 도어 열림 치수로 되도록, 엘리베이터 도어(9)의 위치를 도어 제어 장치(14)로 조정시킨다(S8). 그 후, 처리 장치(13)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4), 상기와 동양(同樣)인 처리를 재차 행한다.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 채로,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이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 장치(13)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9).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거리 L 및 속도 V를 식 (2)에 대입하고,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 속도 Dv를 산출하고(S10), 산출한 속도 Dv로 엘리베이터 도어(9)를 이동시킨다. 그 후, 처리 장치(13)는 승차 예측도가 문턱값보다도 낮은지의 여부 판정을 행하고(S6), 상기와 동양인 처리를 재차 행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 속도 Dv는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 승차 예측도에 기초하여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하면, 도어 닫힘 모드는 종료한다(S11).
다음에, 도어 닫힘 모드에서의 알림 장치(1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 닫힘 모드가 개시되면, 도어 닫힘 모드로 되어 있는 취지의 아나운스가 스피커에 의해 행해진다. 그 후, 승객(20)이 거리 센서(10)에 의해 검출되면, 처리 장치(13)에 의해 구해진 승차 저지도의 정보가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완료할 때까지, 알림 장치(17)에 의해 승객(20)에게 연속적으로 알려진다.
예를 들어, 색 표시기(19)는 승객(20)이 거리 센서(10)에 의해 검출되면, 청색으로 발광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개시 시기가 가까워지고, 승차 저지도가 높아져 오면, 청색의 농도가 연속적으로 얇게 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개시되면, 색 표시기(19)의 색은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화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에 의해 승차 저지도가 더욱 높아져 오면, 색 표시기(19)의 색이 황색에서 적색으로 변화하기 시작하고, 출입구(8)의 도어 열림 치수가 소정값 이하로 되면, 색 표시기(19)의 색이 완전한 적색으로 된다.
또한, 승차 저지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수치 표시기(18)에 표시되는 수치도 변화한다. 또, 승차 저지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스피커(16)로부터 발생하는 음색이나 음의 크기, 음의 발생 타이밍도 변화한다. 또, 스피커(16)는 처리 장치(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개시 타이밍이나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 승차 예측도 등의 정보에 대한 음성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출입구(8)로부터 승객(20)까지의 거리가 거리 센서(10)에 의해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거리 센서(10)로부터의 정보가 연속적으로 처리되어서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이 제어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동작에 승객(20)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반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반전(反轉)이나 정지라고 하는 단순한 동작뿐만 아니라, 승객(20)에 따른 동작을 엘리베이터 도어(9)에 대하여 행할 수 있고,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보다 원활하고 보다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승객(20)의 상태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개시를 승객(20)의 승차 완료전에 행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하는 확률이 승차 예측도로서 구해지고, 승차 예측도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실행 가부가 판정되므로, 승객(20)이 거리 센서(10)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상태라도,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하는지의 여부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하는지의 여부 판정을 조기에 행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하는 확률이 승차 예측도로서 구해지고, 승차 예측도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가 조정되므로,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할 가능성이 높을 때에,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고,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승객(20)이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할 가능성이 낮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가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에 의해 저지되는 확률이 승차 저지도로서 처리 장치(13)에 의해 구해지고, 승차 저지도의 정보가 알림 장치(17)에 의해서 승객(20)에게 알려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의 가부의 판단을 승객(20)이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에 억지로 승차하려고 하는 승객(20)의 발생 빈도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9)의 반전 동작의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 승차 저지도에 따른 수치가 수치 표시기(18)에 의해, 승차 저지도에 따른 색이 색 표시기(19)에 의해 각각 연속적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2)에 승차할 수 있는 확률의 변화를 알기 쉬워진다. 따라서, 승객(20)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도어(9)의 각각에 복수의 거리 센서(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각 거리 센서(10)의 각각이 개별적으로 검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20)이 이동하는 방향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승객(20)이 출 입구(8)의 정면 폭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할 때는 승차 예측도를 문턱값보다도 낮게 하는 등의 처리를 처리 장치(13)에 행하게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9)의 오동작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도어(9)가 동기하여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나, 도어 제어 장치(14)의 제어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도어(9)를 개별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객(20)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를 엘리베이터 도어(9)에 대해 보다 세밀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20)이 출입구(8)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근접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엘리베이터 도어(9)만의 이동 속도를 지연하게 하는 등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각 수치 표시기(18) 및 각 색 표시기(19)가 공통의 정보에 따라서 시각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으나, 각 수치 표시기(18) 및 각 색 표시기(19)의 시각적인 변화가 서로 다른 정보에 따라 개별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각각에 따른 정보를 각 수치 표시기(18) 및 각 색 표시기(19)에 개별적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객(20)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승객(20)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객(20)이 출입구(8)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근접하는 경우에는 우측의 엘리베이터 도어(9)에 마련된 수치 표시기(18) 및 색 표시기(19)만을 시각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표시기(15)는 엘리베이터 가 승객(20)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있다는 것을 승객(20)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승객(20)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어,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객(20)의 출입구(8)에 대한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장치로서 거리 센서(10)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승객(20)의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화상 카메라, 승객(20)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명도(밝기의 정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명도 센서 또는 승객(2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예를 들어 승객(20)의 발소리 등)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집음(集音) 마이크 등을 검출 장치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가 승객(20)의 출입구(8)에 대한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므로, 승객(20)의 움직임에 따른 동작을 엘리베이터 도어(9)에 대해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출입구(8)의 정면 폭 방향 양단부에는 도어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 각 엘리베이터 도어(9)가 수납되는 도어 포켓(door pocket)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도어 포켓의 윗쪽에는 승객(2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범위가 도어 포켓내에 설정된 드래그-인(drag-in) 검출 센서(31)가 마련되어 있다. 각 드래그-인 검출 센서(31)는 승객(20)의 예를 들어 손이나 의복 등의 도어 포켓내로의 드래그-인의 유무를 검출한다. 즉, 승객(20)의 손이나 의복 등이 도어 포켓내에 드래그-인되면, 드래그-인 검출 센서(31)의 검출 범위내에 승객(20)의 손이나 의복 등이 들어가 승객(20)의 도어 포켓내로의 드래그-인이 검출된다.
각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측 단부에는 승객(2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범위가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의 공간에 설정된 스틱(stick) 검출 센서(32)가 마련되어 있다. 스틱 검출 센서(32)는 승객(20)이나 화물 등의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로의 진입 유무를 검출한다. 즉, 승객(20)이나 화물 등이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를 통과하면, 스틱 검출 센서(32)의 검출 범위내에 승객(20)이나 화물 등이 들어가 승객(20)이나 화물 등의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로의 진입이 검출된다.
스틱 검출 센서(32)는 한 쪽의 엘리베이터 도어(9)에 마련된 복수의 투광기와, 다른 쪽의 엘리베이터 도어(9)에 마련되고, 투광기로부터의 광을 받는 복수의 수광기를 갖고 있다. 피검출체의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로의 진입 유무는 투광기로부터의 광을 수광기가 받는지의 여부에 의해 검출된다.
엘리베이터 칸(2)에는 승객(2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범위가 엘리베이터 칸(2)내 및 출입구(8)에 설정된 화상 카메라(화상 센서; 33)가 마련되어 있다. 화상 카메라(33)는 엘리베이터 칸(2)내 및 출입구(8)에서의 승객(20) 상태를 검출한다. 승객(20) 상태는 화상 카메라(33)로부터의 정보를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다. 승객(20)의 도어 포켓내로의 드래그-인이나 승객(20)의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로의 진입은 화상 카메라(33)에 의해서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화상 카메라(33)의 검출 범위의 일부와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및 스틱 검출 센서(32) 각각의 검출 범위의 일부와는 서로 겹치고 있다.
각 거리 센서(10)의 검출 범위는 승강장(6)에 설정되어 있다.
즉, 각 거리 센서(10),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의 각 검출 범위는 엘리베이터 칸(2)내 및 승강장(6) 사이에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승객(20)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36)는 각 거리 센서(10),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를 갖고 있다.
각 거리 센서(10), 도어 위치 센서(11),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처리 장치(13)에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 도어 위치 센서(11),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처리한다.
처리 장치(13)는 검출 장치(3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객(20)의 상태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한다. 도어 제어 장치(14)는 처리 장치(13)로부터의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승객(20)의 도어 포켓내로의 드래그-인이 검출 장치(36)에 의해 검출되고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이 행해진다. 또, 승객(20)의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로의 진입이 검출 장치(36)에 의해 검출되고 있을 때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열림 동작이 행해진다.
또, 처리 장치(13)는 각 거리 센서(10),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의 각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각 센서의 오(誤)검출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한다. 예를 들어, 각 엘리베이터 도어(9) 사이에 승객(20)이 끼워진 것이 스틱 검출 센서(32)에 의해 검출되고 있어도, 화상 카메라(33)로부터의 화상에 승객(20)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 장치(13)는 스틱 검출 센서(32)의 오검출이 있었던 것으로 판정하고, 스틱 검출 센서(32)의 검출이 없었던 것으로 하여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한다.
각 거리 센서(10),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의 각각에는 센서의 검출 동작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센서 정보 표시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각 거리 센서(10),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스틱 검출 센서(32) 및 화상 카메라(33)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승객(20)을 검출했을 때에는 승객(20)을 검출한 센서에 마련된 센서 정보 표시기만이 예를 들어 발광 등을 하여 시각적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의해, 승객(20)을 검출한 센서를 특정하는 검출 센서 정보가 승객(20)에게 알려진다.
엘리베이터 칸(2)내에는 처리 장치(13)로부터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2)내의 승객(20)에 알리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내 디스플레이(34)가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7)에는 처리 장치(13)로부터의 정보를 승강장(6)의 승객(20)에게 알리기 위한 승강장 도어 디스플레이(35)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내 디스플레이(34), 및 승강장 도어 디스플레이(35)는 처리 장치(13)로부터의 정보를 화상으로 서 표시한다.
처리 장치(13)로부터 엘리베이터 칸내 디스플레이(34) 및 승강장 도어 디스플레이(35)에 전송되는 정보에는 화상 카메라(33)로부터의 화상 정보, 도어 제어 지령의 정보, 승차 저지도의 정보 및 검출 센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검출 센서 정보를 승객(20)에게 알리는 센서 정보 알림 장치는 각 센서 정보 표시기, 엘리베이터 칸내 디스플레이(34), 및 승강장 도어 디스플레이(35)를 갖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승객(2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범위가 엘리베이터 칸(2)내 및 승강장(6) 사이에 개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센서(10, 31 ~ 3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도어(9)의 이동이 제어되므로, 승객(20)의 상태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9)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동작에 승객(20)의 상태를 보다 세밀하게 반영할 수 있고, 승객(20)의 엘리베이터 칸(2)으로의 승차를 보다 원활하고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승객(20)의 상태에 따라서는 엘리베이터 도어(9)의 도어 닫힘 동작의 개시를 승객(20)의 승차 완료전에 행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또, 승객(20)을 검출하고 있는 센서를 특정하기 위한 검출 센서 정보가 센서 정보 알림 장치에 의해 승객(20)에게 알려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느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지를 승객(20)이 인식할 수 있다.
또, 각 센서(10, 31 ~ 33)에는 센서 정보 표시기가 마련되고, 승객(20)을 검 출하고 있는 센서에 마련된 센서 정보 표시기만이 시각적으로 변화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검출 센서 정보의 승객(20)으로의 알림을 간단한 구성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화상 카메라(33)의 검출 범위의 일부와,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및 스틱 검출 센서(32) 각각의 검출 범위의 일부가 서로 겹치고 있고, 화상 카메라(33)로부터의 정보와 드래그-인 검출 센서(31) 및 스틱 검출 센서(32)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검출 장치(36)의 오검출 유무의 판정이 행해지므로, 검출 장치(36)의 검출 동작의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9)의 오동작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승객(20)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센서 정보 표시기, 엘리베이터 칸내 디스플레이(34) 및 승강장 도어 디스플레이(35)에 의해 검출 센서 정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나, 검출 센서 정보에 관한 음성을 스피커(16)로부터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검출 센서 정보를 승객(20)에게 알려도 된다. 또, 도어 제어 지령에 관한 음성도 스피커(16)로부터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스틱 검출 센서(32)가 승객(20)을 검출했을 때에는 스틱 검출 센서(32)가 승객(20)을 검출한 취지, 및 엘리베이터 도어(9)를 도어 닫힘 동작으로부터 도어 열림 동작으로 반전시키는 취지의 음성을 스피커(16)로부터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거리 센서(10)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마련되어 있으나, 출입구(8)로부터 승강장(6)의 승객(20)까지의 거리를 거리 센서(10)가 검출 가능하다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3)나 승강장 도어(7), 승강장 출입구 등에 거리 센서(10)를 마련해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기(15)가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마련되어 있으나, 승객(20)이 승강장(6)으로부터 인식 가능한 위치라면, 엘리베이터 칸 도어(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승강장(6)의 벽면이나 승강장 도어(7) 등에 표시기(15)를 마련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엘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승강장의 피검출체의 상기 출입구에 대한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장치;
    상기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하는 처리 장치; 및
    상기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 제어 지령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닫힘 동작시에서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도어 닫힘 속도 지령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승차하는 확률을 승차 예측도로서 구하고, 구한 상기 승차 예측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닫힘 속도 지령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승강장의 피검출체의 상기 출입구에 대한 움직임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검출 장치,
    상기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 및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위치 정보의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도어 닫힘 동작에 의해 저지되는 확률을 승차 저지도로서 구하는 처리 장치, 및
    상기 승차 저지도의 정보를 상기 피검출체에 알리는 알림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상기 승차 저지도에 따른 수치 및 색의 적어도 어느 하나 를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6. 엘리베이터 칸내와 승강장 사이를 연통하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피검출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범위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 및 상기 승강장 사이에 개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센서를 갖고, 상기 피검출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
    각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출체의 상태에 따른 도어 제어 지령을 구하는 처리 장치;
    상기 도어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 및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고 있는 상기 센서를 특정하는 검출 센서 정보를 상기 피검출체에 알리기 위한 센서 정보 알림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정보 알림 장치는 각 상기 센서에 각각 마련된 센서 정보 표시기를 갖고 있고,
    상기 피검출체를 검출하고 있는 상기 센서에 마련된 상기 센서 정보 표시기만이 시각적으로 변화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검출 센서 정보를 상기 피검출체에 알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검출 범위의 일부는 서로 겹쳐져 있고,
    상기 처리 장치는 각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검출 장치의 오(誤)검출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20087011249A 2006-03-20 2006-03-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0997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05551 WO2007108089A1 (ja) 2006-03-20 2006-03-20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432A KR20080086432A (ko) 2008-09-25
KR100997017B1 true KR100997017B1 (ko) 2010-11-25

Family

ID=3852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249A KR100997017B1 (ko) 2006-03-20 2006-03-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92687B2 (ko)
EP (1) EP1997769B1 (ko)
JP (1) JP5133053B2 (ko)
KR (1) KR100997017B1 (ko)
CN (1) CN101304939A (ko)
WO (1) WO2007108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844B2 (ja) * 2005-03-18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WO2009140793A1 (en) * 2008-05-22 2009-11-26 Otis Elevator Company Video-based system and method of elevator door detection
SG193839A1 (en) * 2008-09-02 2013-10-30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with lightweight glass plate
ES2822293T3 (es) 2009-01-07 2021-04-30 Magnetic Autocontrol Gmbh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l paso de personas
KR101257460B1 (ko) * 2011-04-13 2013-04-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JP5572175B2 (ja) * 2012-02-28 2014-08-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US9212028B2 (en) * 2012-07-31 2015-12-15 Precision Elevator Corp. Obstructio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elevator entry and exit
JP5788843B2 (ja) * 2012-08-30 2015-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を備えるエレベータ
FI124337B (fi) * 2013-03-18 2014-07-15 Kone Oyj Hissi, valoverho kerrostason liikkuvan oven ja/tai hissikorin liikkuvan oven aukon valvomiseksi ja menetelmä ovi auki -komennon tai ovi kiinni -komennon antamiseksi hississä
DE102014201399A1 (de) * 2014-01-27 2015-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rmittlung der bewegten Masse eines Türsystems
US9463955B2 (en) 2014-02-14 2016-10-11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with virtual activation
US9751727B1 (en) 2014-08-14 2017-09-05 Precision Elevator Corp. Elevator entry and exit system and method with exterior sensors
JP6068694B1 (ja) * 2016-01-13 2017-01-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JP5969147B1 (ja) * 2016-01-13 2016-08-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JP6321708B2 (ja) * 2016-03-17 2018-05-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工作機械システムおよび開停止位置算出装置
JP6627638B2 (ja) * 2016-04-28 2020-01-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299323B1 (en) * 2016-09-23 2020-04-01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car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s
CN106494982A (zh) * 2016-12-08 2017-03-15 宁波永良电梯技术发展有限公司 智能感应电梯门
CA3052896A1 (en) * 2017-03-27 2018-10-04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lift car door
JP6723444B2 (ja) * 2017-04-25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防犯運転装置
JP6704519B2 (ja) * 2017-06-01 2020-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10891889B (zh) * 2017-08-03 2021-12-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US11274020B2 (en) * 2018-01-12 2022-03-15 Otis Elevator Company Door operation controller
JP6480046B1 (ja) * 2018-02-13 2019-03-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ドアに設置された光軸センサの故障診断システムおよび故障診断方法
US11242225B2 (en) 2018-03-15 2022-02-08 Otis Elevator Company Adaptive elevator door dwell time
US11066276B2 (en) * 2018-04-30 2021-07-20 Otis Elevator Company Enhanced door detection
EP3569553A1 (en) * 2018-05-18 2019-11-2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oor in an elevator system
US10837215B2 (en) 2018-05-21 2020-11-17 Otis Elevator Company Zone object detection system for elevator system
US10884507B2 (en) 2018-07-13 2021-01-05 Otis Elevator Company Gesture controlled door opening for elevators considering angular movement and orientation
US11332345B2 (en) * 2018-08-09 2022-05-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ptimized door response
JP6968943B1 (ja) * 2020-07-15 2021-11-2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システム
CN112299211B (zh) * 2020-10-29 2023-01-06 联想(北京)有限公司 电梯控制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86A (ja) * 1985-06-17 198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運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450A (en) * 1967-03-03 1968-0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Traffic supervisory apparatus
US3450232A (en) * 1967-08-18 1969-06-17 Montgomery Elevator Co Elevator door control
JPS5793887A (en) * 1980-11-29 1982-06-11 Tokyo Shibaura Electric Co Controller for elevator
ES2041850T3 (es) 1988-06-03 1993-12-01 Inventio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 la posicion de una puerta automatica.
EP0452130A3 (en) * 1990-04-12 1992-01-22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ling door dwell time
KR940009414B1 (ko) * 1990-06-15 1994-10-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장치
GB9120267D0 (en) * 1991-09-23 1991-11-06 Memco Med Ltd Lift door apparatus
ATE134593T1 (de) * 1991-12-24 1996-03-15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dynamischen masse un der mittleren reibkraft einer aufzugstüre
FI93634C (fi) * 1992-06-01 1995-05-10 Kone Oy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ovien ohjaamiseksi
US5387768A (en) * 1993-09-27 1995-02-0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assenger detector and door control system which masks portions of a hall image to determine motion and court passengers
US5410149A (en) * 1993-07-14 1995-04-25 Otis Elevator Company Optical obstruction detector with light barriers having planes of light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s
US5925858A (en) * 1997-06-23 1999-07-20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JPH11278776A (ja) * 1998-03-30 1999-10-1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0264561A (ja) * 1999-03-18 2000-09-2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US7042492B2 (en) * 1999-12-10 2006-05-09 The Stanley Works Automatic door assembly with video imaging device
JP2002308552A (ja) * 2001-04-16 2002-10-23 Hitachi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JP2003252555A (ja) * 2002-02-28 2003-09-1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戸動作表示装置
ES2260403T3 (es) * 2002-03-11 2006-11-01 Inventio Ag Sistema de vigilancia por video mediante sensor semiconductor de imagen en 3d y fuente de luz infrarroja.
JP3995522B2 (ja) * 2002-05-08 2007-10-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03097506A1 (en) * 2002-05-14 2003-11-27 Otis Elevator Company Neural network detection of obstructions within and motion toward elevator doors
JP2003341962A (ja) 2002-05-24 2003-12-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WO2004084556A1 (de) 2003-03-20 2004-09-30 Inventio Ag Raumüberwachung im bereich eines aufzugs mittels 3-d sensor
JP4322526B2 (ja) * 2003-03-24 2009-09-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204896B2 (ja) 2003-05-14 2009-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91386A (ja) * 1985-06-17 1986-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運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97769A1 (en) 2008-12-03
KR20080086432A (ko) 2008-09-25
JPWO2007108089A1 (ja) 2009-07-30
US7992687B2 (en) 2011-08-09
EP1997769B1 (en) 2017-11-01
JP5133053B2 (ja) 2013-01-30
EP1997769A4 (en) 2012-07-18
WO2007108089A1 (ja) 2007-09-27
CN101304939A (zh) 2008-11-12
US20090236185A1 (en)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017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US8256581B2 (en) Landing door proximity warning system
EP2266911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JP4907666B2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CN110526058B (zh) 电梯门监控系统、电梯系统和电梯门监控方法
JP2009249157A (ja) 人数検知装置
CN113165833A (zh) 传感器单元和电梯
EP2371754B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CN111056393B (zh) 电梯轿厢监控系统
JP4869785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KR10172460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9155069A (ja) エレベータドア制御装置
JP7344477B1 (ja) エレベータ
KR20210129332A (ko) 엘리베이터 음성정보 안내 시스템
JP2005349973A (ja) 鉄道車両用仕切戸の開閉制御装置
JP7307136B2 (ja) エレベータ
JP201911635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2109150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7217167A (ja) エレベータ
JP202313970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システム
JP2015034093A (ja) 紐状物体検知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0048036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CN113939469A (zh) 电梯的控制装置
KR20180136181A (ko) 엘리베이터 인원 표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