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00B1 -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00B1
KR101724600B1 KR1020150119291A KR20150119291A KR101724600B1 KR 101724600 B1 KR101724600 B1 KR 101724600B1 KR 1020150119291 A KR1020150119291 A KR 1020150119291A KR 20150119291 A KR20150119291 A KR 20150119291A KR 101724600 B1 KR101724600 B1 KR 10172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passenger
train
scree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4260A (ko
Inventor
유다훈
이근향
황희지
Original Assignee
유다훈
이근향
황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다훈, 이근향, 황희지 filed Critical 유다훈
Priority to KR102015011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승하차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는 보호벽 간에 설치되며 개폐를 통해 출입문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도어;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폐쇄 시,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도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 및 상기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객의 승하차 순서를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복잡한 승하차로 인한 지하철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승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혼잡한 승하차 문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SCREEN DOO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승하차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전동차를 대기하거나 승하차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승강장에 스크린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 장치가 설치 사용되고 있다.
스크린도어 장치는 전동차가 역사 내에 진입하여 승강장에 완전히 정차하면 스크린도어가 열린 후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려 승객의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스크린도어 및 전동차의 출입문을 닫은 후 전동차가 출발하도록 동작한다.
스크린도어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2980호(2008.07.30.)(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989호(2012.11.07.)(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은 화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동력이 차단될 때 스크린도어의 개방이 수작업에 의하여 열려지도록 하여 승객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선행기술 2는 의도하지 않게 전동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승객이 위치하게 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사고 발생을 예방하는 기술에 해당한다. 스크린도어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이와 같이 위험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큰 사고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동차 사고는 사람들이 붐비는 출퇴근 시간대에 많이 발생하며, 특히, 다수의 사람들이 전동차에 타고 내릴 때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승하차 순서는 전동차 내에 있는 사람들이 먼저 하차하고,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탑승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전동차 내에 있는 사람들이 내리기도 전에 승강장에서 대기하고 있는 사람이 먼저 탑승하고자 할 때, 혼잡도가 증가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승객의 승하차 순서를 제대로 안내할 수만 있어도 승강장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이와 같이 승객들의 승하차 순서를 안내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전동차 승하차 시 승하차 순서를 안내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는 보호벽 간에 설치되며 개폐를 통해 출입문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도어;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폐쇄 시,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도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 및 상기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2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스크린도어는 폐쇄 시 도어 간 이격 공간을 통해 일 방향 출입구를 형성하고, 개방 시 도어 전체가 상기 보호벽에 의해 가려져 양 방향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는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방향을 감지하고,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보다 제2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상기 제2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고,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스크린도어 장치가보호벽 간에 설치되며 개폐를 통해 출입문을 형성하는 제1 스크린도어,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폐쇄 시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스크린도어 및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스크린도어 장치에 설치된 움직임 감지부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승객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도어와 제2 스크린도어를 통해 승하차의 순서를 안내하여 복잡한 승하차로 인한 지하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승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혼잡한 승하차 문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의 구성요소들을 기능 별로 간략화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에서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승하차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스크린도어 장치(10)는 보호벽(101), 제1 스크린도어(102), 제2 스크린도어(103),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 및 움직임 감지부(105)를 포함한다.
보호벽(101)은 승강장 연단부를 따라 설치되어 승강장과 선로를 구획하여 승객의 선로 추락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보호벽(101)은 일정 간격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보호벽(101) 간에는 제1 스크린도어(102) 및 제2 스크린도어(103)가 설치된다. 보호벽(101)에는 비상시에 제1 스크린도어(102) 또는 제2 스크린도어(103)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크린도어(102)는 보호벽(101) 간에 설치되며,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스크린도어(102)는 개폐 동작을 통해 승객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제1 스크린도어(102)는 개방 시에는 각 도어가 보호벽(101)에 가려지도록 양측으로 이동하고, 폐쇄 시에는 도어가 서로 접촉하도록 중앙으로 이동하여 이격 공간이 없이 밀폐된다. 전동차가 도착하기 전, 제1 스크린도어(102)는 밀폐되어 사용자가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장 내의 냉난방 효율 향상과 공기 정화 등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스크린도어(102)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제1 스크린도어(10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크린도어(103)은 전동차 승하차 순서를 가이드하기 위한 보조 도어로서, 제1 스크린도어(102)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 스크린도어(103)도 제1 스크린도어(102)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스크린도어(102)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크린도어(103)는 개방 시에는 각 도어가 보호벽(101)에 가려지도록 양측으로 이동하고, 폐쇄 시에는 도어 간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앙으로 이동한다. 제2 스크린도어(103)도 제1 스크린도어(102)와 마찬가지로 상단 또는 하단에 제2 스크린도어(10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크린도어(103)가 폐쇄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폭(a)은 제2 스크린도어(103)의 도어 간이 폭(b)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스크린도어(102)가 개방되고 제2 스크린도어(103)가 폐쇄될 때, 전동차 내의 승객들은 제2 스크린도어(103)의 도어 간의 공간으로 하차하게 되며, 승강장에서 제1 스크린도어(102)의 양 측에서 대기하고 있는 승객들은 제2 스크린도어(103)에 의해 가로막혀 승차하지 못하게 된다. 즉, 제2 스크린도어(103)는 개폐 동작을 통해 선 하차, 후 승차의 순서를 자연스럽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은 비상시에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전면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승강장에서 스크린도어(102, 103)를 수동으로 개방해야할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승객은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을 눌러 스크린도어(102, 103)를 개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크린도어(102)만 개방되고, 제2 스크린도어(103)가 폐쇄된 상태에서 승강장에 있는 승객들이 탑승하려고 할 때, 제2 스크린도어(103)가 개방되지 않으면, 승객은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을 눌러 제2 스크린도어(103)를 개방시킬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05)는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은 움직임 감지부(105)가 제1 스크린도어(102)의 상부에 형성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움직임 감지부(105)는 제1 스크린도어(102)의 하부 또는 보호벽(101) 등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05)는 카메라 모듈, 초음파 센서 등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05)가 카메라 모듈로 형성되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05)는 현재 촬영한 프레임을 기 촬영된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휘도 또는 RGB값의 차가 발생한 픽셀을 검출한 후, 상기 검출된 픽셀의 수가 소정 규모 이상일 경우에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움직임 감지부(105)는 촬영되는 피사체의 동작(제스쳐)을 인식하여 승객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움직임 감지부(105)는 전동차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수와 승강장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수를 판단하여 현재 대다수의 승객들이 승차중인지 하차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05)가 초음파 센서로 형성되는 경우, 움직임 감지부(105)는 송파기와 수파기를 포함하게 되는데, 송파기는 파장을 내보내는 동작을 수행하고, 수파기는 파장이 사물에 부딪혀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파장을 수신하여 상황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차 도착 감지부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미지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차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동차 도착 감지부는 관제 서버로부터 전동차의 도착을 알리는 유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유무선통신부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의 구성요소들을 기능 별로 간략화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스크린도어(102), 제2 스크린도어(103), 움직임 감지부(105),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 및 제어부(107)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 스크린도어(102) 내지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는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제어부(107)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07)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07)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한다. 전동 도착 감지부(106)가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07)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로부터 직접 감지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전동 도착 감지부(106)가 무선통신부 또는 유무선통신부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07)는 전동 도착 감지부(106)를 제어하여 전동차 또는 관제서버로부터 전동차 도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7)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를 통해 전동차가 도착한 것으로 감지하면, 제1 스크린도어(102)를 개방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승객의 이동 방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07)가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며,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를 개방한다. 이후, 계속적으로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며 승객의 움직임이 다시 발생하여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2 스크린도어(103)의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모두 폐쇄하게 된다.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동작을 인식하여 승객의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다수의 승객들이 이동하게 되므로 움직임 감지부(105)는 각각의 피사체의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제어부(107)는 제1방향(전동차에서 승강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와 제2방향(승강장에서 전동차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를 비교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제1 스크린도어(102)만을 개방하고 제2 스크린도어(103)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어부(107)는 계속적으로 승객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보다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를 개방한다.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보다 많은 시점은 승객들이 하차를 마치고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이 승차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게 되고,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모두 폐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S310 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한다. 제어부(107)는 전동차로부터 직접 감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관제서버로부터 전동차의 도착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게 된다.
S320 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전동차 도착 감지부(106)를 통해 전동차가 도착한 것으로 감지하면, S330 단계에서 제1 스크린도어(102)를 개방한다. 이후, S340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구동시켜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S350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고 계속적으로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S360단계로 진행하여 제2 스크린도어(103)를 개방한다. 이후, 제어부(107)는 계속적으로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며 승객의 움직임이 다시 발생하여 유지되는 동안에는 제2 스크린도어(103)의 개방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S370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S380단계로 진행하여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모두 폐쇄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 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의 S410단계 내지 S430단계는 도 3의 S310단계 내지 S330단계와 동일한 단계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440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구동시켜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이때,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동작을 인식하여 승객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게 된다. 전동차 승하강 시 다수의 승객들이 이동하게 되므로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각각의 피사체의 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S450단계에서 제어부(107)는 제1방향(전동차에서 승강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와 제2방향(승강장에서 전동차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를 비교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고 계속적으로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제1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보다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107)는 S460단계에서 제2 스크린도어(103)를 개방한다. 이후, S470단계에서 제어부(107)가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S480단계로 진행하여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모두 폐쇄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에서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보호벽(101), 제1 스크린도어(102), 제2 스크린도어(103),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 및 움직임 감지부(105)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움직임 감지부(105)는 제1 스크린도어(102) 및 제2 스크린도어(103)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5a는 전동차가 도착하기 전의 상황이며, 제1 스크린도어(102) 및 제2 스크린도어(103)는 모두 폐쇄되어 있다.
도 5b는 전동차가 도착한 후에 제1 스크린도어(102) 만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동차 내의 승객들은 제2 스크린도어(103)의 도어 간의 공간을 통해 하차하게 되며, 움직임 감지부(105)는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계속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전동차 내에는 별도의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도어(102, 103)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또는 휠체어를 탄 승객이 있어 제2 스크린도어(103)의 도어 간의 공간만으로는 부족할 경우, 승객들은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을 눌러 하차할 수 있다.
도 5c는 승객들이 모두 하차한 후에 제2 스크린도어(103)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2 스크린도어(103)까지 개방한다. 제어부(107)는 움직임 감지부(105)를 통해 계속적으로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며, 승객의 움직임이 발생한 후, 승객의 움직임이 다시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를 모두 폐쇄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은 본 발명의 스크린도어 장치(10)가 설치된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승하차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제1 스크린도어(102)가 개방되고, 제2 스크린도어(103)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동차 내의 승객들이 제2 스크린도어(103)의 도어 간의 공간을 통해 하차하고, 승강장에 있는 승객들은 제1 스크린도어(102)의 양 측에서 대기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스크린도어(102)가 개방되어 승객들이 승하차가 가능하게 되지만, 제2 스크린도어(103)가 폐쇄되어 전동차 내에 있는 승객들만 하차하고 승강장의 승객들은 탑승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차 내의 승객들이 먼저 내릴 수 있도록 승하차 순서를 안내 및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제1 스크린도어(102)와 제2 스크린도어(103)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장에 있는 승객들이 전동차에 탑승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전동차 내의 승객들이 모두 하차하고 나면, 제2 스크린도어(103)가 개방되어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승객들이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스크린도어(103)의 개폐 동작으로 선 하차, 후 승차의 순서가 자연스럽게 지켜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 또는 장애인들의 휠체어 등으로 제2 스크린도어(103)가 불편함을 초래할 시에는 수동 도어 개폐버튼(104)을 눌러서 움직임 감지부(105)에 의하지 않고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크린도어와 제2 스크린도어를 통해 승하차의 순서를 안내하여 복잡한 승하차로 인한 지하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승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혼잡한 승하차 문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 스크린도어 장치
101 : 보호벽
102 : 제1 스크린도어
103 : 제2 스크린도어
104 : 수동 도어 개폐버튼
105 : 움직임 감지부
106 : 전동차 도착 감지부
107 : 제어부

Claims (9)

  1. 보호벽 간에 설치되며 개폐를 통해 출입문을 형성하는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의 제1 스크린도어;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의 제2 스크린도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및
    상기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제1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여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보다 제2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 개방 이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승객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여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를 폐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도어는 폐쇄 시, 한 쌍의 제1 스크린도어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이 밀폐되며,
    상기 제2 스크린도어는 폐쇄 시, 한 쌍의 제2 스크린도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일 방향 출입구를 형성하고, 개방 시 제2 스크린도어 전체가 상기 보호벽에 의해 가려져 양 방향 출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보호벽 간에 설치되며 개폐를 통해 출입문을 형성하는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의 제1 스크린도어, 상기 제1 스크린도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미닫이 문 형태의 제2 스크린도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전동차 도착 감지부 및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 도착 감지부를 통해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는 단계;
    전동차의 도착을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스크린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구동하여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제1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보다 제2방향으로 움직이는 승객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2 스크린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
    제2 스크린도어 개방 후, 상기 움직임 감지부를 구동하여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승객의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및
    승객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1 스크린도어 및 제2 스크린도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도어는 폐쇄 시, 한 쌍의 제1 스크린도어 사이에 이격 공간이 없이 밀폐되며,
    상기 제2 스크린도어는 폐쇄 시, 한 쌍의 제2 스크린도어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여 일 방향 출입구를 형성되고, 개방 시 제2 스크린도어 전체가 상기 보호벽에 의해 가려져 양 방향 출입구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 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50119291A 2015-08-25 2015-08-25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2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91A KR101724600B1 (ko) 2015-08-25 2015-08-25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291A KR101724600B1 (ko) 2015-08-25 2015-08-25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60A KR20170024260A (ko) 2017-03-07
KR101724600B1 true KR101724600B1 (ko) 2017-04-10

Family

ID=5841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291A KR101724600B1 (ko) 2015-08-25 2015-08-25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26B1 (ko) 2020-04-13 2020-11-23 (주)동우자동도어 다종 열차용 스크린도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1143B (zh) * 2020-08-09 2021-08-13 王靖宗 一种轨道交通屏蔽门
CN115195792B (zh) * 2022-08-01 2023-12-01 深圳益实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智慧地铁站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72A (ja) * 2008-08-28 2010-03-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拡幅型改札機及び拡幅型改札機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932B1 (ko) * 2007-02-16 2008-08-25 김동섭 열차 출입문 개폐 검지 스크린도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5372A (ja) * 2008-08-28 2010-03-11 Railway Technical Res Inst 拡幅型改札機及び拡幅型改札機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26B1 (ko) 2020-04-13 2020-11-23 (주)동우자동도어 다종 열차용 스크린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4260A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8843B2 (ja) 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ドアシステム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513305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78405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42661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KR20170069215A (ko) 통신 소자 및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JP53174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48468B2 (ja) ホーム状況検知装置
JP5709331B2 (ja) エレベータ用案内システム
KR20170069212A (ko) 객실의 비접촉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장치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10172460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96657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12618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CN111164036A (zh) 电梯的防范系统
JP2007031105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異常検出装置
JP2013043711A (ja) エレベータの乗降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の乗降検出方法
JP5951684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H10278788A (ja) ドア開閉制御装置
JP625737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5112613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先端スカート部構造
JP2013052738A (ja) 駆け込み乗車検知装置
KR20200074776A (ko) 어린이 등원 차량용 탑승자 차내 방치 방지장치
KR20160025224A (ko) 승강기 비정상 운행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JP5653093B2 (ja) 鉄道車両用ドアの安全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