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567B1 -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 - Google Patents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567B1
KR100996567B1 KR1020030015151A KR20030015151A KR100996567B1 KR 100996567 B1 KR100996567 B1 KR 100996567B1 KR 1020030015151 A KR1020030015151 A KR 1020030015151A KR 20030015151 A KR20030015151 A KR 20030015151A KR 100996567 B1 KR100996567 B1 KR 10099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closed
storage
piec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4365A (ko
Inventor
르뵈즈이브
르꽁뜨세바스띠앙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3007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60N2/235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샤프트의 작용에 의해 동시 제어되는 두 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좌석 위에서 일정 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 등받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에 관한 것이다. 각 링크 안에는 제 1 및 제 2 베어링(14, 15)이 들어 있으며, 제 1 베어링과는 기울기 조정 구조(18)를 통해, 제 2 베어링과는 기억 구조(19)를 통해 연결된 하나의 매개 장치(17)가 들어 있다. 기억 구조에는 매개 장치와 연동하고 제 2 베어링의 폐쇄 구역(45)에서 펼쳐지는 기억 편(41)이란 부분이 있다. 이 기억 편은 각 조정으로 연결 샤프트에 이어지는 캠으로 제어한다. 오작동 방지 장치(57)는 제 1 및 제 2 링크(8, 9)의 기억 구조들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게끔 보장해 준다.
베어링, 연결 샤프트, 기울기 조정 구조, 기억구조, 기억 편, 매개 장치

Description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Seat of vehicle equipped mechanical link}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자동차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의자의 후면 부분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의 의자 링크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화살표 IV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제 1 구현 예에서 의자의 두 링크들의 기억 구조를 나타내며, 자동차 뒷자리에 탑승하기 위해 의자 등받이를 전면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c와 도 5d는 도 5a, 도 5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기억 편들의 돌출 부분들, 움직이는 베어링, 두 링크의 기억 편들이 동시에 제어되도록 보장해 주는 오작동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에서 도 6d는 도 5a에서 5d까지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등받이를 일반적인 사용 위치로 돌렸을 때 등받이의 두 기둥 사이에 어떤 각의 편차가 나타난 상태의 도면.
도 7a에서 7d는 도 5a에서 도 5d와 유사한 도면으로, 의자의 두 링크가 동시에 폐쇄 위치로 돌아간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과 도 9는 제 2 구현 예에서 의자의 두 링크를 나타낸 분해 조립도로서, 도 9는 도 8을 IX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구현 예에서 의자의 다른 링크를 나타낸 분해 조립도로서, 도 11은 도 10을 XI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12a에서 도 12d는 도 5a에서 5d까지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구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a에서 13d는 도 6a에서 6d까지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구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a에서 14d는 도 7a에서 7d까지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구현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연동 링크 장치들이 장착된 자동차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자동차 의자는 좌석(3)의 양측의 제 1 및 제 2 링크(8, 9)를 이용하여 의자의 횡단방향 수평 회전축 상에서 축 회전하도록 장착된 좌석 및 등받이(2)를 가지며, 회전축에 따라 회전하면서 탄력적으로 정치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어떤 동일한 횡단 연결 샤프트(10)에 의해 상기 링크(8, 9)들을 동시에 제어하며,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는 제 1 정지 위치와 제 1 조작 위치 사이에서 제 1의 각 방향(12)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정지 위치와 제 2의 조작 위치 사이에서 제 2의 각 방향(13)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링크(8, 9)는 다음을 포함한다:
- 하나는 좌석(3)과, 다른 하나는 등받이(2)와 연동하는 제 1 및 제 2의 베어링(14, 15),
- 회전 축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하나의 매개 장치(17),
- 제 1 베어링(14)을 상기 매개 장치(17)에 연결하는 어떤 기울기 조정 구조(18)로서, 제 1 베어링(14)을 매개 장치(17)로부터 차단함으로써 폐쇄 상황을 형성하기도 하고, 회전 축 상에서 제 1 베어링(14)과 매개 장치(17)의 상대적인 축 회전을 허용함으로써 폐쇄를 해제하기도 하며, 이 기울기 조정 기구(18)는 횡단 연결 샤프트(1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는 폐쇄 상황이 되고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1 조작 위치에 있을 때는 폐쇄 해제 상황이 되도록 하는 기울기 조정 구조(18), 및
- 제 2 베어링(15)을 상기 매개 장치(17)에 연결시키는 어떤 기억 구조(19). 이때 이 기억 구조(19)는 회전 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기억 캠(40)을 포함한다.
이 기억 캠(40)을 폐쇄 상태로 두면 기억 편(41)을 폐쇄 상태로 바꾸어 주고, 폐쇄 해제 상태로 두면 상기 기억 편(41)을 폐쇄 해제 상태로 옮겨준다. 이때 그 기억 캠(40)은 탄성적으로 폐쇄 상태로 움직이며, 각 조작을 통해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연동한다. 기억 캠(40)은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2 각 위치에 있을 때 폐쇄 해제 상태가 되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정지 위치와 제 1 조작 위치 사이의 각 위치에 있을 때는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허 출원 FR-A-2 763 290은 그러한 자동차 의자를 상술하고 있는데 이 의자는 만족스럽게 정상적인 기능을 한다.
링크의 조정 구조는 등받이 각의 기울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안락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 구조는 의자 등받이를 앞뒤로, 예를 들면 전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옆문에 두 개 밖에 없는 3도어 자동차의 뒤 좌석 이용에 특히 유용하며, 또한, 등받이가 미리 정해 놓은 각 위치에서 자동으로 폐쇄될 때까지 등받이를 일으켜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등받이를 너무 강하게 움직여서 가볍게 비트는 경우에는 등받이 측면의 두 기둥이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즉, 두 베어링의 기억 구조들의 폐쇄가 해제되어 있을 때 매개 장치와 제 2 베어링의 상관적인 위치들 사이에 약간의 각의 편차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 경우, 등받이를 일으켜 미리 정해 놓은 각 위치를 다시 회복시킬 때 두 기억 구조들 중의 하나만 폐쇄되고 다른 기억 구조의 기억 편은 자신의 폐쇄 구역을 약간 벗어날 위험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의자의 등받이를 세운 후 링크들 중 어느 한 링크의 매개 장치와 제 2 베어링이 서로 조여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등받이가 적당하게 고정되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 등받이는 일반적인 형태에 비해 부드럽게 정지된다.
게다가, 이런 상황에서 재 폐쇄되지 않은 링크의 기억 캠은 폐쇄 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따라서 이 기억 캠은 연결 샤프트가 제 1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막으면서 연결 샤프트와 충돌할 위험이 있는데 이 때문에 등받이의 각 조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는다. 결과적으로, 만약 사용자가 두 링크의 조정 구조들에 힘을 가해 이 구조들의 폐쇄를 억지로 해제할 경우, 두 베어링에 대해 차단되지 않은 매개 장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며, 따라서 의자의 기능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불편함을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의자는, 동시 작동 수단을 가지고 있어 제 1 및 제 2 링크의 기억 구조들이 동시에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두 기억 구조들 중 하나만 폐쇄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이 생기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 모드에서는 그밖에 다음과 같은 하나 그리고/또는 다른 장치를 도입한다.
- 제 1 및 제 2 링크(8, 9)에는 각각 하나의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있어서 해당 기억 편(41)과 협조함으로써 해당 기억 편(41)이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횡단 연결 샤프트(10)를 제 2 각 위치에 고정시킨다.
- 오작동 방지 장치(57)에는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만나며 오목한 홈(59)이 있는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어떤 부분이 있는데, 이 홈(59)에는 해당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위치에 있고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2 조작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기억 편(41)의 돌출 부분(53)이 맞물린다.
- 제 1 및 제 2 링크(8, 9) 각각은, 제 2 베어링(15)이 매개 장치(17)에 대해 폐쇄 각 상태에서부터 사영 각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만을 허용하도록 채택된다.
- 제 1 링크(8)에는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있는데, 이 장치는 제 1 링크(8)의 기억 편(41)이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링크(8)의 기억 편(41)과 협조하여 횡단 연결 샤프트(10)를 제 2 각 위치에 정지시킨다. 그리고 제 2 링크(9)에는 폐쇄 구역이 있어서,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이 폐쇄 구역에 대해 상대적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에서 제 2 링크(9)의 폐쇄 구역에 끼워질 수 있게 해준다.
- 오작동 방지 장치(57)에는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만나며 오목한 홈(59)이 있는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어떤 부분이 있는데, 이 홈(59)에는 해당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위치에 있고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2 조작 위치에 있을 때 해당 기억 편(41)의 돌출 부분(53)이 맞물린다.
- 상기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는 적어도 3도 상에서 펼쳐진다.
-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에는 톱니가 있어서 폐쇄 구역에 있는 어떤 톱니와 맞물린다. 상기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는 적어도 상기 톱니 두 개의 범위 상에서 펼쳐진다.
- 제 2 링크(9)의 폐쇄 구역은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들이 폐쇄 상태일 때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들이 차지하고 있는 일반적으로 중앙의 위치 어디쯤에서 펼쳐진다.
- 제 1 링크(8)에는 제 2 베어링(15)이 매개 장치(17)에 대해 폐쇄 각 상태에서부터 사영 각 방향으로 상대 회전만 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어떤 받침대(56; 축받이)가 있으나, 제 2 링크(9)에는 그런 받침대가 없다.
- 각 기억 편(41)은 해당 매개 장치(17)에 맞물리는데, 상기 받침대(56)는 제 2 베어링(15)에 속하며, 기억 편(41)의 어떤 돌출 부분(53)과 작용한다.
- 상기 돌출 부분(53)은 해당하는 제 2 베어링(15)이 해당 매개 장치(17)에 대해 상대적인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돌출 부분(53)이 포함된 기억 편(41)을 폐쇄 해제 위치에 유지시키는 제 2 베어링(15)에 속하는 원형 안내 사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 등받이(2)는 바닥에 대해 앞쪽으로 탄성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한정적이지 않은 용례로서 제시하는 하나의 구현 형태로서 첨부 도면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하고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의자(1)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횡단 수평 회전축 Y 둘레를 회전하도록 장착된 등받이(2)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 앞 좌석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좌석(3)은 자동차의 바닥(4)에 고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바닥과 맞물려 연동하는 고정된 하나의 형강(6)과, 좌석과 맞물려 연동하는 하나의 이동형 형강(7)으로 이루어져 미끄러질 수 있는 방식이다.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묘사된다. 즉, 등받이(2)의 휘어지지 않는 단단한 프레임은 두 개의 측면 기둥(2a, 2b)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기둥들은 각각 차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할 제 1 및 제 2 링크(8, 9)를 매개로 하여, 단단한 좌석(3) 프레임의 일부인 두 개의 측면 베어링(3a, 3b)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8, 9)는 직선형 등의 연결 샤프트(1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연결 샤프트(10)와 연동하는 손잡이(11)를 통해서 동시에 제어된다. 이 손잡이는 정지 위치에서부터 제 1 및 제 2 조작 위치까지, 상반되는 두 개의 각 방향(12, 13)으로 움직인다(도 1).
상기 손잡이(11)를 제 1 각 방향(12)으로 조작하면 링크(8, 9)의 두 구조들이 자유롭게 풀어져서 사용자가 자신의 등을 이용하여 직접 이 등받이를 움직임으로써 등받이(2)의 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 등받이(2)는, 도면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대체적으로 용수철이나 토션 바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방으로 움직인다. 사용자가 손잡이(11)를 풀면 링크(8, 9)의 두 구조들은 즉시 다시 잠궈지며, 따라서 등받이(2)는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각 방향(13)으로 손잡이(11)를 움직이면, 두 링크(8, 9)의 잠금이 해제되어, 등받이(2)가 도 1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전면을 향해 최대한 접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그 등받이(2)를 전에 설정했던 위치까지 다시 펴지 않으면 그 링크(8, 9)들은 계속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남는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접힌 상태는 그 의자(1)가 앞좌석일 경우, 특히, 측면 도어가 두 개밖에 없는 자동차의 뒷좌석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일반적으로 등받이(2)가 접힐 때는 미끄럼대의 빗장을 풀면서 미끄럼대와 연동하는데, 이 경우 좌석(3)이 전방으로 미끄러지면서 뒷좌석으로의 접근을 한결 용이하게 만든다.
샤프트(10)를 두 가지 방향(12, 13)으로 작동시킴에 있어서 제 1 각 방향을 위한 손잡이(11) 외에도 의자의 상부에 제 2 각 방향을 위한 어떤 통합된 손잡이를 마련하여 각 방향을 두 개의 상이한 손잡이로 따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상부 손잡이는 케이블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 샤프트(10)와 연동하는 지렛대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두 링크(8, 9)는 대체적으로 FR-A-2 763 290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타입인데, 본 발명은 등받이를 전방으로 접는 방향(13)으로 손잡이(11)를 조작한 후, 보통 사용 시의 상태로 되돌릴 때 두 링크가 동시에 작동하도록 보장함으로써 기술의 완성을 이루었다.
도 3에서 도 7d에 해당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구현 예에서, 두 링크(8, 9)는 서로 좌우 대칭이므로 여기서는 한 쪽 링크(8)만을 제시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제시한 제 1 링크(8)에서와 같이, 각 링크는 제 1, 제 2 금속제 원형 베어링(14, 15)을 포함한다. 이 베어링들은 각각 좌석 베어링(3a)과 등받이 베어링(2a)에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작용하며 회전 축 Y 둘레를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 베어링(14, 15)은 그 가장자리에 끼워서 접합하는 금속제 링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폐쇄된 케이스를 형성한다.
이 케이스 내부에는 구멍이 뚫리고 금형 작업이 수행된 금속판 형태의 매개 장치(17)가 위치하는데, 상기 베어링(14, 15)과 평행하고 회전축 Y와는 수직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매개 장치(17)는 조정 구조(18)를 통해 제 1 베어링(14)과 연결되고, 기억 구조(19)를 통해 제 2 베어링(15)과 연결된다.
도면으로 제시된 실례에서 매개 장치(17)는 링 형상이며 중앙에는 홀(21)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 매개 장치(17)는 제 1 베어링(14)의 내부 벽면과 접촉하면서 서로 정반대에 위치하는 두 부분(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또 다른 부분(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23)들은 Y축 둘레의 다른 부분(22)과 비교해 90도로 꺾여지며, 높이가 달라져 그 부분(22)과는 다른 평면에 존재하고, 제 2 베어링(15)의 내부 벽면과 접촉한다.
매개 장치(17)의 두 부분(22)의 내벽(22a)은 원호 모양으로서 제 1 축받이를 형성하고, 다른 두 부분(23)의 내벽(23a)도 원호 모양으로서 제 2 축받이를 형성한다.
본 도면에서 고려하는 실례에 있어서, 그 조정 구조(18)에는 하나의 중앙 조정 캠(24)과 톱니가 새겨진 두 개의 조정 편(25)이 있다. 조정 편(25)들은 회전축 Y에 대해 서로 정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조정 캠(24) 둘레에 배치된다. 이때, 조정 편(25)의 수는 두 개가 아닐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하나로 줄어들 수도 있다.
중앙 조정 캠(24)과 두 개의 조정 편(25)은 오려내고 금형 작업한 금속 조각일 수 있으며, 매개 장치의 일부 면(22) 상에 자리한다. 그 매개 장치의 내부 가장자리(22a)는 중앙 캠(24)이 Y축 둘레를 회전하면서 장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 개의 조정 편(25)은 매개 장치의 다른 일부 면(23)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부분(23) 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레버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각 조정 편(25)들은 예를 들면 돌기 부분(26)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돌기 부분은 상기 매개 장치의 해당 부분(23)에 포함된 구멍(27)안에 끼워진다.
게다가 각 조정 편(25)의 외곽 가장자리에는 톱니(28)가 있는데, 그 톱니(28)는 방사형으로 외곽을 향하고 있으며, 제 1 베어링(14)의 원호 상에 마련된 방사형 내부 톱니(29)와 맞물린다.
한편, 중앙 캠(24)에는 바깥쪽에 두 개의 가장자리 부분(30)이 있다. 조정 캠(2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 가장자리 부분(30)들은 조정 편(25)의 가장자리 부분(31)과 작용하는데, 이때 조정 편의 톱니(28)가 제 1 베어링(14)의 톱니와 맞물리면서 조정 편이 잠금 상태로 유지된다.
조정 캠(24)에는 또한 조정 편(25)에 있는 갈고리 모양의 역 캠(33)과 작용하는 두 개의 갈고리 모양 조직(32)이 있어서 조정 편들을 안쪽으로 방사형 이동시켜 잠금을 해제하는데, 이때 조정 캠(24)이 잠금 해제 상태에 있으면 조정 편의 톱니(28)도 더 이상 제 1 베어링의 톱니(29)와 맞물리지 않는다.
조정 캠(24)은 여러 개의 조각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정 캠(24)이 조정 편(25)을 오직 잠금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수도 있다. 한편, 조정 편(25)은 회전하지 않고 방사형으로 미끄러질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베어링(14) 과 맞물릴 수 있는데, 이때 톱니(29)는 매개 장치(17)와 맞물릴 것이다.
도면에 제시된 조정 캠(24)은 링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어 샤프트(34)가 중앙을 관통한다. 이 샤프트(34)는 어떤 각(angle) 작용으로 조정 캠(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 샤프트(10) 및 손잡이(11)와 연동한다. 제시된 예에서 제어 샤프트(34)에는 각 작용과 더불어 조정 캠의 오목한 구멍(36)속에 침투하는 방사형 외부 톱니(35)가 있다.
게다가, 조정 캠(24)에는 내부 갈고리(37)가 있는데 매개 장치의 중앙 구멍에 있는 C형 의 중첩 스프링(38)의 끝 부분 가장자리 중 하나가 거기에 걸린다. 그 스프링(38)의 맞은 편 가장자리는 기억 구조(19)에 포함되는 기억 캠(40)의 갈고리(39)에 걸린다.
기억 구조(19)에도 두 개의 기억 편(41)이 있는데, 기억 캠(40)과 기억 편(41)은 오려내고 금형 작업한 금속 조각일 수 있으며 매개 장치(17)의 일부 면(23)과 만난다.
기억 편(41)의 수는 경우에 따라 두 개가 아닐 수도 있으며, 한 개로 줄어들 수도 있다.
기억 캠(40)은 매개 장치의 원형 내부 가장자리(23a)의 안내를 받아 Y축 둘레를 회전하며 기억 편(41)들은 매개 장치의 두 부분(22)에 배치된다.
기억 편(41)은 그 한 말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매개 장치의 일부(22)에 장착된 레버 형태를 띨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식 장착은 기억 편의 돌출 부분(42)을 매개 장치의 일부(22) 상의 구멍에 끼워 넣음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기억 편(41)에는 외곽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외부를 향하는 톱니(44)가 있는데, 이 톱니는 제 2 베어링(15)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톱니(45)와 맞물리게끔 구성되어 있다. 각 톱니(45)들은 유리하게는 톱니(44)와 동일한 각 폭으로 폐쇄 구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억 편(41)은 오직 매개 장치(17)와 제 2 베어링(15) 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폐쇄 상태 범위 내에서만 제 2 베어링과 맞물릴 수 있다.
조정 캠(24)처럼 기억 캠(40)에도 기억 편의 내부 가장자리(47)와 작용하는 두 개의 외곽 가장자리 부분(46)이 있어서, 기억 캠(40)이 잠금 각의 위치에 있을 때 그 톱니(44)가 다른 톱니(45)와 맞물려서 기억 편을 바깥으로 밀어 잠금 상태를 만들어 준다.
기억 캠에는 또한 예를 들면 갈고리 모양인 두 개의 조직(48)이 있는데, 이 조직은 기억 편(41)의 두 역 캠(49)과 작용하여 기억 편들을 안쪽으로 방사형으로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기억 캠(40)이 잠금 해제의 각 범위에 있을 때, 상기 기억 편의 톱니(44)는 제 2 베어링의 톱니(45)와 작용하지 않는다.
기억 캠(40)은 여러 개의 조각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억 캠이 기억 편(41)을 오직 잠금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수도 있다. 탄성적 수단 등 기타 수단을 사용하여 기억 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기억 편(41)은 회전하는 대신 방사형으로 미끄러질 수도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베어링(15)에 의해 지탱되는 수도 있다. 그 경우 톱니(45)는 매개 장치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게다가 기억 캠(40)도 제어 샤프트(34)가 관통하며 어떤 각 조정을 통해 샤프트와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제어 샤프트의 톱니(35)를 기억 캠(40)에 마련된 내부의 오목한 구멍(50)에 결합시킴으로써 각 조정이 가능하다.
손잡이(11)를 정지 위치에 두면 제어 샤프트(34)는 그에 따라 정지 각 상태를 향해 탄성적으로 연동된다. 지금 제시하는 예에서, 이러한 탄성적 연동작용은, 제어 샤프트(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만들어 놓은 편평한 면에 대해 작용하며, 제 2 베어링(15)에 고정된 두 개의 U자 형 중첩 스프링(51)을 사용해 이루어진다.
이미 앞에서 설명한 바 있는 링크(8)의 요소들은 기 언급한 특허출원 FR-A-2 763 290에서 공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도 3 및 도 4에서 제시한 링크(8)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상기 특허출원에서 이미 공개된 내용과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각 기억 편(41)들에는 축 방향으로 제 2 베어링(15)을 향하는 돌출 부분(53)이 있다. 이 돌출 부분(53)은, 기억 편(41)이 잠금 상태에 있을 때 제 2 베어링 상의 내부로 열린 홈(54)에 맞물린다. 게다가 손잡이(11)를 한쪽 각 방향(13)으로 작동시킨 후 좌석의 등받이(2)가 전방으로 움직일 때 양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은, 방사형으로 내부를 향하는 제 2 베어링(15)의 어떤 원형 사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각 홈(54)은 제 2 베어링(15)의 원형 사면 중 하나와 역시 제 2 베어링(15)에 장착되어 내부를 향해 방사형으로 돌출한 어떤 받침대(56) 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
두 번째로, 기억 구조(19)에는 제 2 조작 위치에서 연결 샤프트(10)와 손잡이(11)는 물론, 제어 샤프트(34)를 차단하여 기억 편(41)의 돌출 부분(53)이 제 2 베어링(15)의 홈(54)에 맞물려 잠금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해주는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있다. 도면으로 제시된 특수한 예에 있어서, 이 오작동 방지장치(57)는 Y축에 수직 교차하는 금속 재질의 디스크 형태로, 가운데 장방형 구멍(58)이 있다. 이 오동작 방지장치(57)는 각 조정 없이 제어 샤프트(34)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어 샤프트(34), 연결 샤프트(10) 그리고 손잡이(11)와 연동된다.
상기 디스크에는 주변 가장자리에 외부로 열려있는 두 개의 오목한 부분(59)이 있는데, 오직 제어 샤프트(34)가 제 2 조작 위치에 있을 때만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과 관련하여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 5a에서 도 5d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각 방향(13)으로 손잡이를 움직이고, 그리하여 두 링크의 제어 샤프트(34)와 연결 샤프트(10)를 제 2 조작 위치까지 움직이게 되면 각 링크의 톱니(35)는 해당 기억 캠(40)에 있는 오목한 부분의 측면 중 하나에 걸린다. 그러면 각 기억 캠의 조직(48)들은 기억 편(41)의 역 캠(49) 상에서 움직이면서 이 기억 편들을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오작동 방지 장치(57)의 홈(59)들이 기억 편들의 돌출 부분(53)과 만남에 따라 상기 기억 편들이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 2 베어링(15)이 등받이와 함께 한쪽 각 방향(12)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 운동 중에,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은 제 2 베어링(15)의 안내 사면을 따라 미끄러진다.
손잡이(11)가 한쪽 각 방향(13)으로 작동할 때, 각 링크의 용수철(38)은 가볍게 늘어나고 각 링크의 조정 캠(24)은, 조정 캠(24)과 톱니(35) 간에 존재하는 각 조정을 고려하여 해당 톱니(35)와 충돌하지 않고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기억 구조(19)를 움직여 등받이(2)를 전방으로 접었다가 다시 세웠을 때, 등받이의 측면 기둥(2a, 2b)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미리 정함으로써 등받이의 상대적인 유연성을 고려하여 서로 각이 어긋나게 할 수도 있다.
도 6a에서 6d에 제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2)를 다시 일으킬 때, 한 쪽 링크(9)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은 제 2 베어링(15)의 해당 받침대 부분(56)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링크(8) 기억 편의 톱니(44)는 안내 사면과 부분적으로 만나면서 기억 편이 잠금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이 경우,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에 간섭하여 제어 샤프트(34)와 연결 샤프트(10), 그리고 손잡이(11)를 제 2 조작 위치에 붙잡아두며 두 링크의 기억 편(41)은 잠금 해제 위치에서 머물게 된다.
사용자는 등받이를 다시 세운 상태에서 등받이가 고정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등받이를 풀어주면 자동으로 전방을 향해 회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등받이(2)를 비교적 강하게 뒤쪽으로 미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도 7에서 도 7d에 묘사한 것처럼 전체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들을 두 링크의 받침대(56)에 끼워 넣으면서 등받이의 두 기둥(2a, 2b)을 원위치로 돌려놓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두 링크의 기억 편(41)들은 해당 대(45) 안의 잠금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풀리고 제어 샤프트(34), 손잡이(11), 연결 샤프트(10)로 형성된 전체가 정지 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언급한 특허출원 FR-A-2 763 290에서 설명된 것처럼 손잡이(11)를 한쪽 각 방향(12)으로 움직이면서 조정 구조(18)의 잠금이 해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의자(1)에는 동시동작 수단이 있는데 이것은 두 링크(8, 9)의 기억 구조가 동시에 잠궈질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설명하는 동시동작 수단은 오작동 방지 장치(57)와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 안내 사면(55), 그리고 제 2 베어링(15)의 받침대(56)를 포함하고 있다.
매개 장치(17)에 대한 제 2 베어링(15)의 전체적 잠금 각의 범위는 5도이며, 현재 설명하는 예에서는 4도이다. 보다 일반적인 방식에서는 전체 잠금 각의 범위가 최소 2.5도 될 수 있는데, 현재 설명하는 구현 예에서는 톱니 2 칸이다.
한편, 기억 편들의 돌출 부분(53)들은 동일한 각 조정으로 한쪽 링크(8)의 제 2 베어링(15)의 홈(54)에 끼워진다.
도 8에서 도 14d에 나타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구현 예에서, 도 8 및 도 9에 제시한 한쪽 링크(9)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있다. 이 장치(57)는 금속 재질의 판 형태를 띠며 필요한 경우에 첫 번째 구현 모드와는 상이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두 번째 구현 모드의 한쪽 링크(9)는 한편 앞서 설명한 링크(9)와 동일하다. 반대로, 본 발명의 두 번째 구현 모드에 따른 다른 쪽 링크(8)는 도 10 및 도 11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점에서 상기 링크(9)와 차이를 보인다.
- 이 링크(8)는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있어야 할 자리에 그 대신 금속 재질의 어떤 판(57a)을 장착할 수 있다. 이 금속판은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과 충돌하지 않는 크기여야 한다. (필요한 경우, 이 금속판(57a)을 제거할 수 있다.)
- 이 링크(8)의 제 2 베어링(15)에는 받침대(56)가 없다.
- 기억 편들의 톱니(44)와 맞물리기 위한 톱니들(45)은 상기 톱니(44)보다 각 방향으로 길이가 더 길다. 그래서 등받이의 기둥(2a, 2b)들 사이에 각의 편차가 없고, 또한 기억 편의 톱니(44)들이 상기 톱니(45) 안에 맞물려 있을 때, 이 톱니(45)는 톱니(44) 상에 있는 어떤 범위의 각 내에서 펼쳐진다. 예를 들면, 양쪽 톱니(45)에 대한 각 폭이 2.5도가 되는데, 도면으로 제시한 특수한 예에서는 양쪽 톱니(44)에 대해서 톱니(45)의 이빨 두 개인 셈이다.
이처럼 기억 편(41)은 총 5도의 각 범위에서 톱니(45) 속에 끼워지는데 여기서는 톱니(45)의 이빨 4개에 해당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억 편(41)들은 적어도 3도, 또한 적어도 2.5도인 어떤 각 범위에서 톱니(45)에 맞물리는데, 여기서는 톱니(45)의 이빨 두 개의 각 범위와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구현 예에서 베어링 8과 9의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구현 모드는 상기 설명한 첫 번째 구현모드와 유사하다.
도 12a에서 12d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의자 손잡이(11)가 한쪽 각 방향(12)으로 작동되면서 제어 샤프트(34)와 연결 샤프트(10)를 제 2의 작동 위치로 이동시키면, 오작동 방지 장치(57)의 홈(59)이 링크(9)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과 만난다. 이때 이 링크 기억 편은 다른 쪽 링크(8)의 기억 편과 마찬가지로 기억 캠(40)의 작동에 따라 잠금 해제된 상태로 바뀔 수 있다.
그러면 등받이(2)는 각 방향(12)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모든 기억 편의 돌출 부분(53)들이 제 2 베어링(15)의 안내 사면 상에서 미끄러진다.
도 13a에서 13d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가령 등받이의 기둥(2a, 2b) 사이에 각의 편차가 존재한다고 해도, 링크(9)의 돌출 부분(53)들은 어떤 경우에도 링크의 받침대(56)에 의지하게 된다. 이때 이 링크의 기억 편의 톱니(44)는 정확하게 해당 톱니(45)와 만난다(도 13b와 도 13d).
반대로, 기억 편(41)들은 이때 평소의 위치에 비해서 각이 약간 어긋난다. 하지만 도 14a에서 14d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제 1 링크(8)의 톱니(45)가 기억 편의 톱니(44)의 각 범위보다 더 크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기억 편들은 링크(9)의 기억 편과 동시에 잠금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의자에 의하면 동시 작동 수단을 가지고 있어 제 1 및 제 2 링크의 기억 구조들이 동시에 폐쇄 상태가 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두 기억 구조들 중 하나만 폐쇄되는 상황이 방지된다.

Claims (13)

  1. 하나의 좌석(3), 그리고 상기 좌석(3)의 양쪽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링크(8, 9)를 통해 횡단 수평 회전 축(Y)을 중심으로 좌석(3) 상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하나의 등받이(2)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8, 9)들이, 상기 수평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며, 또한 탄성적으로 정지 위치로 이동하는 어떤 동일한 횡단 연결 샤프트(10)에 의해 동시적으로 제어되며,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는 상기 정지 위치와 제 1 조작 위치 사이의 제 1 각 방향(12), 그리고 상기 정지 위치와 제 2 조작 위치 사이의 제 2 각 방향(13)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8, 9) 각각은,
    - 하나는 좌석(3)과, 다른 하나는 등받이(2)와 연동하는 제 1 및 제 2 베어링(14, 15),
    - 회전 축 (Y)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매개 장치(17),
    - 상기 제 1 베어링(14)을 상기 매개 장치(17)에 연결하는 기울기 조정 구조(18),
    - 상기 제 2 베어링(15)을 상기 매개 장치(17)에 연결시키는 기억 구조(19)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조정 구조(18)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베어링(14)을 상기 매개 장치(17)에 대해서 차단하며, 폐쇄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매개 장치(17)와 상기 제 1 베어링(14)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이때 상기 기울기 조정 구조(18)는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는 폐쇄 위치에 있고,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상기 제 1 조작 위치에 있을 때는 개방 위치에 있게 되며,
    상기 기억 구조(19)는 적어도 하나의 기억 편(41)을 가지며, 상기 제 2 베어링(15)과 상기 매개 장치(17)에 있는 폐쇄 구역(45)과 맞물려 연동하며, 또한, 상기 제 2 베어링(15)과 상기 매개 장치(17) 상에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기억 편(41)이 상기 폐쇄 구역(45)과 맞물려 상기 매개 장치(17)에 대해 상기 제 2 베어링(15)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가 있고, 상기 기억 편(41)이 폐쇄 구역(45)과 맞물려 연동하지 않는 폐쇄 해제 위치가 있으며, 상기 기억 구조(19)의 상기 기억 편(41)은, 오직 상기 제 2 베어링(15)과 상기 매개 장치(17)가 상기 기억 편(41)이 폐쇄 구역(45) 안에서 펼쳐지는 상대적 폐쇄 각 위치에 있을 때만 제 2 베어링(15)을 매개 장치(17)에 대해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억 구조(19)는 또한 회전축 (Y)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기억 캠(40)을 가지며, 상기 기억 캠(40)은 상기 기억 편(41)을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와 상기 기억 편(41)의 폐쇄를 해제하는 폐쇄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며, 상기 기억 캠(40)은 탄성에 의해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또한 각 조작으로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상기 제 2 각 위치에 있을 때 폐쇄 해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오직 정지 위치와 제 1 조작 위치 사이의 각 위치에 있을 때는 폐쇄 상태가 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베어링(15)은 동시 작동 수단인 돌출 부분(53), 안내 사면(55), 받침대(56) 및 오작동 방지 장치(57)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8, 9)의 기억 구조들이 오직 동시적으로만 작동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8, 9)는, 상기 해당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해당 기억 편(41)과 연동하여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를 제 2 각 위치에 있도록 해주는 오작동 방지 장치(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방지 장치(57)는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홈(59)이 새겨진 외부 가장자리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해당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위치에 있고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2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해당 기억 편(41)에 있는 돌출 부분(53)이 상기 홈(59)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링크(8, 9) 각각은, 상기 제 2 베어링(15)이 상기 매개 장치(17)에 대해 폐쇄 각 상태에서부터 사영 각(12) 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것만을 허용하는 받침대(56; 축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8)의 기억 편(41)과 연동하여, 상기 제 1 링크(8)의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를 상기 제 2 각 위치에 고정시키는 오작동 방지 장치(57)를 가지며,
    상기 제 2 링크(9)는 폐쇄 구역(45)을 가지며, 폐쇄 구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이 폐쇄 구역에 대해 상대적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에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방지 장치(57)가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홈(59)이 새겨진 외부 가장자리 일부를 포함하며, 해당 기억 편(41)이 폐쇄 해제 위치에 있고 상기 횡단 연결 샤프트(10)가 제 2 조작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베어링(14)의 해당 연결 편(41)에 있는 돌출 부분(53)이 상기 홈(59)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가 적어도 3도 상에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에 폐쇄 구역에 있는 톱니(45)와 맞물리는 톱니(44)가 있으며, 각 위치를 가지는 부분 외의 범위가 적어도 상기 톱니의 이빨 2개 상에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이 폐쇄 상태일 때, 상기 제 2 링크(9)의 기억 편(41)이 차지하고 있는 중앙 위치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 2 링크(9)의 폐쇄 구역(45)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8)는 상기 제 2 베어링(15)이 상기 매개 장치(17)에 대해 폐쇄 각 상태에서부터 사영 각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는 것만을 허용하기 위한 받침대(56; 축받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링크(9)는 상기 받침대(56)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억 편(41)들이 해당 매개 장치(17)와 맞물리며, 상기 받침대(56)가 상기 제 2 베어링(15)에 속하며, 또한 상기 기억 편(41)에 있는 상기 돌출 부분(53)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분(53)이 대응하는 상기 제 2 베어링(15)에 있는 원형 안내 사면(55)을 따라 미끄러지며, 대응하는 상기 제 2 베어링(15)이 해당 매개 장치(17)에 대해 상대적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돌출 부분(53)을 포함하고 있는 기억 편(41)을 폐쇄 해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가 탄성에 의해 좌석(3)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의자.
KR1020030015151A 2002-03-11 2003-03-11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 KR100996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3011A FR2836874B1 (fr) 2002-03-11 2002-03-11 Siege de vehicule equipe de mecanismes d'articulation
FRFR0203011 2002-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65A KR20030074365A (ko) 2003-09-19
KR100996567B1 true KR100996567B1 (ko) 2010-11-25

Family

ID=2776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151A KR100996567B1 (ko) 2002-03-11 2003-03-11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6567B1 (ko)
BR (1) BR0300466A (ko)
FR (1) FR2836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3634B1 (fr) * 2004-07-29 2007-12-28 Faurecia Sieges Automobile Gamme de mecanisme d'articulation et siege comprenant un mecanisme de cette gamme
JP4894192B2 (ja) * 2005-08-05 2012-03-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R2909048B1 (fr) * 2006-11-28 2009-02-06 Faurecia Sieges Automobile Dispositif de commande a double sens pour mecanisme d'articula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siege comprenant un tel ensemble d'articulation.
JP4361100B2 (ja) * 2007-04-10 2009-11-11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メモリー機構を有する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110156462A1 (en) * 2008-07-30 2011-06-30 Magna Seating Inc. Reclin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BR112015020256A2 (pt) * 2013-03-18 2017-07-18 Magna Seating Inc dispositivo de inclinação de disco
FR3056944B1 (fr) * 2016-09-30 2018-11-0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mecanisme d'articulation
FR3081006A1 (fr) * 2018-05-14 2019-11-15 Karim Ayoub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le reglage d'inclinaison du dossier par rapport a l'assis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59A (ja) 1997-05-15 1999-02-09 Cesa Co Europ De Sieges Pour Automob 自動車用シートのヒンジ
JPH11155671A (ja) 1997-12-02 1999-06-15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11318619A (ja) 1998-04-09 1999-11-24 Bertrand Faure Equip Sa 車両のシ―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5167B1 (fr) * 1994-10-03 1996-12-1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erfectionnements aux articulations des dossiers de sieges de vehicules
FR2766137B1 (fr) * 1997-07-15 1999-10-0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mecanisme d'articulation
FR2766138B1 (fr) * 1997-07-17 1999-10-01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tel mecanisme
FR2777837B1 (fr) * 1998-04-27 2000-07-0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Mecanisme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equipe d'un tel mecanis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859A (ja) 1997-05-15 1999-02-09 Cesa Co Europ De Sieges Pour Automob 自動車用シートのヒンジ
JPH11155671A (ja) 1997-12-02 1999-06-15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11318619A (ja) 1998-04-09 1999-11-24 Bertrand Faure Equip Sa 車両のシ―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36874B1 (fr) 2004-06-18
FR2836874A1 (fr) 2003-09-12
KR20030074365A (ko) 2003-09-19
BR0300466A (pt) 200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413A (en) Hinge mechanism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fitted with such a mechanism
JP4198137B2 (ja) 車両シート用ヒンジ機構およびこの機構を含むシート
JP4305675B2 (ja) 車両用シート
JP4894192B2 (ja) 車両用シート
JP4234713B2 (ja) 床に収納可能なシート
US6328383B2 (en) Pivot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and seat fitted with said mechanism
JP3343039B2 (ja) 車両シート用関節装置
US7152923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backrest that can be folded down forwards
JPH11351236A (ja) 車両座席の可動継手機構とこの機構が装着された車両座席
US6663180B2 (en) Vehicle seat provided with a fold-down back
RU2555071C2 (ru) Складное кресло для автомобиля
KR100910272B1 (ko) 2 방향으로 잠금되는 회전식 구동 클러치 조립체
KR100904369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KR20090100311A (ko)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
US20140015297A1 (en) Recliner hold-open mechanism for a vehicle seat
JP5496892B2 (ja) 車両の傾斜可能な座席のヒンジをロック解除位置に保持する装置
EP3176029A1 (en) Four-way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0996567B1 (ko) 링크 장착형 자동차 의자
JP550531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262072B2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留め装置
KR10205055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JP5857505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4163237A (ja) 車両用シート等の位置調節装置
JP3792942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