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37B1 -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237B1
KR100995237B1 KR1020077029234A KR20077029234A KR100995237B1 KR 100995237 B1 KR100995237 B1 KR 100995237B1 KR 1020077029234 A KR1020077029234 A KR 1020077029234A KR 20077029234 A KR20077029234 A KR 20077029234A KR 100995237 B1 KR100995237 B1 KR 10099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support
optical
camera device
seal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226A (ko
Inventor
한스-게오르크 드로틀레프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7892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52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1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의 내부 및/또는 외부 영역을 감지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110)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카메라 장치(110)는 외부 하우징(120; 142)뿐 아니라, 전자 지지부(114) 상에 장착되는 영상 센서(112)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20; 142)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imaging optics)를 구비한 광학 구간(122)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는 상기 광학 구간(122)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 구간(122)은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상기 전자 지지부(114)로부터 밀봉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영상 센서(112)를 수납하는 센서 챔버(140)가 제공된다. 또한,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압력을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센서 챔버(140)의 무응력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압축 부재(220)가 제공될 수 있다.
Figure R1020077029234
카메라 장치, 전자 지지부, 영상 센서, 영상 광학 장치, 외부 하우징

Description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CAMERA ARRANGEMENT WITH AN IMAGE SENSOR SEALED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본 발명은 예컨대 먼지, 물 등과 같은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 장치는 수많은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예컨대 자동차 공학에서 예를 들어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감지하기 위한 콤팩트한 소형 감지 카메라로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먼지, 물 등과 같은 환경 영향으로부터 영상 센서들을 보호하기 위해, 영상 센서들은 이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광학 장치와 함께 영상 센서 모듈 내에 내장된다. 그런 다음 통상적으로 영상 센서 모듈은 추가의 제어 및 평가 전자 장치와 함께, 추가의 하우징, 다시 말해 대개 외부 하우징과는 다른 하우징, 즉 전형적으로 카메라 하우징 내에 내장된다.
대개 제한되어 설정되는 일련의 기계적 허용오차와 해당하는 영상 센서 모듈의 표면 품질에 대한 요건을 준수해야 하는 본질적인 전제 조건으로 인해, 해당하는 부품과 카메라 전체의 비용은 매우 높게 결정된다. 영상 센서, 하우징(기본 패키지) 및 광학 모듈(예: 렌즈 배럴)과 같은 개별 부품들과 이와 유사한 개별 부품들을 접착하거나, 또는 초점 조정 후에 그 개별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자주 이용된다. 그러나 제조 시에 접착제를 이용하면, 항시 제품의 광학 영역에서 손상이 발생한다.
DE 103 42 526 A1은 3개의 고정 수단을 통해 하우징과 결합되는 영상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고정 수단으로서는 영상 센서 유닛의 초점을 조정하고 떨림 보상을 실시하는 역할을 하는 3개의 나사 조임식 간격 조정 볼트(spacing bolt)가 이용된다. 영상 센서 유닛은 나사를 통해 간격 조정 볼트의 암나사에 고정된다. 나사들은 동시에 간격 조종 볼트들의 설정 상태를 고정하고, 하우징에 대향하여 간격 조정 볼트들을 밀봉시킨다.
DE 103 42 529 A1은 렌즈계 리셉터클(objective receptacle)과 렌즈계(objective)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렌즈계 리셉터클과 렌즈계는 함께 볼 조인트를 형성한다. 이에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방법에 따라, 렌즈계 리셉터클은, 각각 나사산을 구비하며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동심으로 배치되는 3개의 안내면(guide way)을 포함한다. 안내면들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렌즈계 베어링이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들은 실제 수많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컨대 전술한 두 참증 인용물에는 별도의 밀봉된 영상 생성 모듈(imaging module)이 개시되어 있다. 그 모듈 내부에는 영상 생성 센서가 배치된다. 이어서 그 영상 생성 모듈은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러 설계에 의해 카메라 유닛의 제조 비용은 대폭 상승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개시되는, 영상 센서를 밀봉하기 위한 방법은 대개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점도, 마찬가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 이, 실제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접착제는 예컨대 복잡한 계량 및 도포 장치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제의 사용은 광학 소자의 제조 시에 민감한 광학 부품, 예컨대 영상 생성 센서를 접착제로 오염시키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산량은 감소하고, 가끔은 상당한 품질 문제까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물 등과 같은 환경 영향으로부터 영상 센서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medium-tight)로 충분히 밀봉시키고, 이에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회피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카메라 장치는 외부 하우징과, 전자 지지부 상에 장착된 영상 센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닌) 외부 하우징은, 주변에 대향하여 카메라 장치를 밀폐시키는 하우징을 의미한다. 그러나 또한 외부 하우징의 외부에 추가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 부품, 예를 들면 자동차의 예컨대 실내에 카메라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 하우징이 제공될 수도 있다. 구성은 각각의 적용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영상 센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영상 센서이거나, 또는 영상 센서들의 조합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예컨대 CCD 칩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종류의 영상 센서들도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지지부로서는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특히 습기 및/또는 먼지가 전자 지지부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전자 지지부 상에는 전자 부품들, 예컨대 제어 및 평가 전자 장치의 부품들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부품도 전자 지지부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이 전자 지지부를 반드시 둘러쌀 필요는 없다.
외부 하우징은 광학 구간을 포함하며, 이 광학 구간은 광학 구간 자체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imaging optics)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광학 장치는 다수의 광학 부품의 조합체일 수 있는데, 예컨대 렌즈계(lens)일 수 있다. 그러므로 광학 구간은 동시에 렌즈 홀더(lens holder)로서 작용한다. 이용할 수 있는 영상 광학 장치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컨대 영상 광학 장치는, 예컨대 본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통합되는 광학 부품(예컨대 이른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 사고(思考)는 외부 하우징의 광학 구간이 전자 지지부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된다는 점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되어 영상 센서를 수납하는 센서 챔버가 제공된다. 다시 말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경우 영상 센서는 전자 지지부를 통해,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해 외부 하우징에 대향하여 직접적으로 밀봉된다. 예를 들어, 광학 구간은 반쪽 셸(half-shell)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반쪽 셸부의 개구부는 전자 지지부로 배향된다.
밀봉을 위해, 예컨대 광학 구간과 전자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밀봉 부재는 센서 챔버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 센서 밀봉 부재는 고무 패킹, 예컨대 탄성 중합체 소재의 실링 링일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테르폴리머-고무(EPDM)가 이용된다. 그러나 또한 다수의 밀봉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고무 패킹의 조합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광학 구간과, 이 광학 구간 내에 배치되는 영상 광학 장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 밀봉 부재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그 광학 밀봉 부재는 고무 실링 링이거나, 또는 다수의 밀봉 부재의 조합체일 수 있다. 예컨대 영상 광학 장치는 광학 구간에 나사 결합되거나, 압입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학 밀봉 부재가 함께 압입됨으로써, 밀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 광학 장치와 광학 구간 사이의 연결부에 따라 예컨대 공기 중 습기, 먼지, 또는 물과 같은 매체가 센서 챔버 내에 침투할 수 있는 점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에 따라, 광학 구간과 전자 지지부 사이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하기 위한 센서 밀봉 부재가 제공될 뿐 아니라, 광학 구간과, 이 광학 구간에 배치되는 영상 광학 장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광학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센서 밀봉 부재 및 광학 밀봉 부재는 일체형 밀봉 부재로서 형성된다. 이는 부품 비용 및 생산 단계를 절감한다.
예컨대 밀봉 부재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밀봉체(sealing body), 광학 구간과 전자 지지부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영역, 그리고 광학 구간과 영상 광학 장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자 지지부 및 외부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간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견고한 기계식 결합은 나사 부재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나사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센서 챔버 외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센서 챔버는 그 부피가 가능한 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경우는 센서 챔버가 전체 카메라 부피와 비교하여 가능한 한 작은 공간을 가질 때이다. 이와 관련하여, 센서 챔버의 부피는 통상적인 시스템에서와 유사하게 작은 치수로 유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센서 챔버를 형성하더라도 공간 소요와 관련한 단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 챔버는, 주변에 대향하는 센서 챔버의 밀봉이 접착제 없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특히 전자 지지부에 대향하는 광학 구간의 밀봉이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없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영상 광학 장치에 대향하는 광학 구간의 밀봉 역시 접착제 없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접착제가 추가로 이용될 수 있지만, 그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밀봉 부재들의 외부에서 이용되고, 그에 따라 센서 챔버 내로 침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센서 챔버의 추가의 밀봉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카메라 장치는 자체 구성에서 종래 기술에 따라 공지된 장치들과 비교하여 수많은 장점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안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면,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별도의 영상 센서 모듈을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고, 접착제로 인한 광학 부품의 오염에 의한 품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제품 하우징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2개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영역은 본질적으로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이며, 이 센서 챔버는 광학 관련 부품, 예컨대 영상 광학 장치 및 영상 센서와 같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민감한 부품들, 예컨대 민감한 전자 부품들 역시 그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반드시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는 영역이며, 이 영역 내에는 예컨대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런 플러그 타입 커넥터의 밀봉은 필요하지 않지만, 실현한다고 해도 어렵게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매체에 대한 전체 카메라 제품의 기밀성과 관련한 요건은 광학 관련 센서 챔버로 감소될 수 있다. 그와 반대로 커넥터 영역에서는 기밀성과 관련한 높은 요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되는 더욱 유리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의 부피는 모듈러 설계 방식을 배제하더라도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런 점은 밀봉을 보조하며, 그에 따라 카메라의 제조 비용을 절감시킨다. 특히 이런 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밀봉 부재에 의해 실현된다.
특히 광학 밀봉 부재가 이용되는 카메라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또 다른 장점은, 영상 광학 장치(예: 렌즈 배럴)와 광학 구간 사이에서 구조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마찰력을 바탕으로, 영상 광학 장치의 추가적 고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광학 구간 내에 영상 광학 장치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을 이용할 시에, 영상 광학 장치의 조정 및 초점 조정을 위해 단지 극미하게 더 높은 토크를 영상 광학 장치에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그에 따라 예컨대 광학 밀봉 부재는 동시에 영상 광학 장치를 고정시키는 과제를 수행하며, 그럼으로써 제조 시에 처리 단계와 그에 따른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의 설계 및 통합은 제조 기술 측면에서,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밀봉 부재가 전자 지지부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이동되면서 추가로 최적화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컨대 전자 지지부는 개별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 어쨌든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나사 결합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카메라의 제품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에 전자 지지부를 고정하기 위한 추가의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의 이용은 배제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일체형 밀봉 부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따른 실시예의 전자 지지부를 만곡된 형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만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제1 실 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압축 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8은 환상 브릿지(annular bridge) 형태의 압축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9는 압축 부재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카메라 장치는 영상 센서(112)를 포함하며, 이 영상 센서는 인쇄 회로 기판 형태의 전자 지지부(114) 상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CCD 칩일 수 있는 영상 센서(112)는 전기 접점(116)을 통해 전자 지지부(114) 상의 스트립 도체(미도시)와 연결된다. 영상 센서(112)는 센서 표면(118)을 포함하고, 이 센서 표면은 본 실시예에 따라 상부 방향을 향해, 다시 말해 전자 지지부(114)의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센서 표면(118)은 주변 매체의 영향에 대해, 특히 먼지, 습기 및 흙탕물 또는 기계적 작용에 대해 민감하다.
또한, 카메라 장치(110)는 본 실시예에 따라 외부 하우징(120)을 포함하고, 이 외부 하우징은 상기 간단한 실시예에 따라 광학 구간(122)이 된다. 상기 광학 구간(122)은 본질적으로 전자 지지부(114)를 향해 개방된 반구 모양의 반쪽 셸부로서 형성된다.
나사산(124)을 통해, 광학 구간(122) 내로는, 광학 축(127)을 구비한 영상 광학 장치(126)가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영상 광학 장치(126)는 이른바 "렌즈 배럴"로서 형성되는데, 다시 말해 통합된 렌즈계로서 형성되며, 그 렌즈계 내부에 개별 렌즈 부재들(128)이 수납되어 상호 간에 조정된다. 또한, 예컨대 필터 또는 보정 부재들과 같은 추가의 광학 부재들은 영상 광학 장치(12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산(124)을 이용하여, 영상 광학 장치(126)의 초점 조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영상 광학 장치(126)와 광학 구간(122) 사이에는, 광학 밀봉 부재(130)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광학 밀봉 부재(130)는 O 링으로서 형성되고, 이 O 링은 광학 구간(122)의 공동부(132) 내에 수납된다. 광학 구간(122)의 나사산(124) 내에 영상 광학 장치(126)를 나사 결합할 시에, 상기 광학 밀봉 부재(13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그렇게 함으로써 영상 광학 장치(126)와 광학 구간(122) 사이에 매체에 대한 기밀한 구조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컨대 습기가 영상 광학 장치(126)를 따라 나사산(124)을 통과하여 영상 센서(112)에 도달할 수 있는 점은 억제된다. 또한, 광학 밀봉 부재(130)는 영상 광학 장치(126)를 고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앞 부분 참조).
또한, 광학 구간(122)과 전자 지지부(114) 사이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센서 밀봉 부재(134)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 밀봉 부재(134)는 본 실시예에서 예컨대 마찬가지로 O 링으로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예컨대 먼지, 공기 중 습기 또는 흙탕물과 같은 주변 매체가 전자 지지부(114)와 광학 구간(122) 사이의 연결부를 따라 광학 센서(112)에 도달할 수 있는 점을 억제한다.
전자 지지부(114)와 광학 구간(122)은 나사들(136)에 의해 상호 간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나사들은 센서 밀봉 부재(134)의 외부에 배치된다. 광학 구간(122)과 전자 지지부(114) 간에 나사를 결합할 시에, 센서 밀봉 부재(134)는 압착되며, 이런 점은 센서 밀봉 부재(134)의 밀봉 효과를 추가로 상승시킨다. 예컨대 영상 광학 장치(126)의 광학 축에 대해 직교하여 120°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나사(136)를 이용할 시에, 그 나사들(136)을 서로 다르게 조이거나, 또는 센서 밀봉 부재(134)의 압축 세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떨림 허용오차(wobble tolerance), 특히 광학 구간(122) 내에 영상 광학 장치(126)를 약간 경사지게 조립함으로써 야기되거나, 또는 부품 허용오차에 의해 야기되는 떨림 허용 오차가 보상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1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 장치(110)의 경우, 전체적으로 카메라는 주변 챔버(138)와 센서 챔버(140)로 구분된다. 센서 챔버(140)는 주변 챔버(138)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폐된다. 이와 관련하여, 영상 센서(112)의 센서 표면(118)에 도달할 수도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센서 챔버(140)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1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 장치(110)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 하우징(142)을 포함한다. 제품 하우징은 광학 측의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커넥터 측의 하우징 반쪽 셸부(146)를 포함한다. 두 반쪽 셸부(144, 146)는 하우징 나사들(148)을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10)는 도2에 따른 실시예에서 재차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형성되는 전자 지지부(114)를 포함한다. 전자 지지부(1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 하우징(14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그리고 하우징 나사들(148)의 영역에서 하우징 반쪽 셸부들(144, 146) 사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품 하우징(142)에 상대적으로 전자 지지부(114)가 우선적으로 기계적 방식으로 고정된다. 전자 지지부(114) 상에는 영상 센서(112) 옆에 추가의 전자 부품들(150)이, 예컨대 제어 및 평가 전자 장치의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데이터 메모리 또는 컴퓨터 부품 역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152)가 제공되는데,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6)로부터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152)와 전자 지지부(114)가 접촉될 수 있다.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2에서도 제품 하우징(142)은 광학 구간(122)을 포함한다. 이런 광학 구간은 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재차 영상 광학 장치(126)를 수납하기 위한 나사선(124)을 포함한다. 영상 광학 장치(126)는 렌즈 배럴로서 형성된다. 이 렌즈 배럴은 광학 구간(122)과의 나사 결합부를 변경함으로써 영상 센서(112)에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초점 조정이 달성될 수 있다.
도1의 실시예에 유사하게, 도2의 카메라 장치(110) 역시 광학 밀봉 부재(130) 및 센서 밀봉 부재(134)를 포함한다. 그 밀봉 부재들(130, 134)의 기능 방식과 배치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또한, 전자 지지부(114)는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136)을 통해 광학 구간(122)과 결합되고, 그럼으로써 기계적으로 안정된 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광학 구간(122)에 상대적인 영상 센서(112)의 위치는 단지 무시해도 될 정도로만 수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영상 광학 장치(126)는 영상 센서(112)에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나사산(124) 내에 영상 광학 장치(126)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안정된 초점 조정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제품 하우징(142)의 전자 지지부(114) 및 광학 구간(122) 사이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재차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140)가 형성된다. 이런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140)는 카메라 장치(110)의 주변 챔버(138)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폐된다. 또한,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결합은 제품 하우징(142)의 내부 챔버를 2개의 부분 챔버로, 즉 센서 챔버(140) 및 커넥터 챔버(154)로 구분한다. 커넥터 챔버(154) 내에는, 전자 부품(150) 및 플러그 타입 커넥터(152)와 같이, 센서 챔버(140)의 엄격한 청결성 및 건조성 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아도 되는 구성부품들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제품 하우징(142)의 전체 폭에 걸쳐 전자 지지부(114)가 연장됨에 따라, 커넥터 챔버(154)가 추가로 분리된다.
도3은 카메라 장치(1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2에 따른 실시예와 단지 밀봉 부재들(130, 134)의 구성에서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각을 이루며 형성되고 나사산(124)을 포함하는 광학 구간(122)이 제공된다. 나사산(124) 내에는, 예컨대 렌즈 배럴 형태의 영상 광학 장치(126)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광학 구간(122)은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136)을 통해 전자 지지부(114)와 결합된다. 전자 지지부(114) 상에는 영상 센서(112)가 장착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 챔버(140)를 밀봉시키기 위해 단지 단 하나의 일체형 밀봉 부재(156)만이 제공된다. 이 밀봉 부재는 예컨대 회전 대칭형 고무 밀봉 부재이거나, 또는 여타의 탄성 중합체 소재로, 또는 또 다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밀봉 부재일 수 있다. 일체형 밀봉 부재(156)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밀봉체(158)를 포함할 뿐 아니라, 제1 밀봉 영역(160) 및 제2 밀봉 영역(162)도 포함한다. 두 밀봉 영역(160, 162)은 예컨대 밀봉 부재(156)에서 원형의 융기부(bead) 또는 확대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밀봉 영역(160)은 전자 지지부(114)에 대향하여 광학 구간(122)을 밀봉하는 역할을 하며, 그에 반대 제2 밀봉 영역(162)은 영상 광학 장치(126)에 대향하여 광학 구간(122)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체형 밀봉 부재(156)를 통해 센서 챔버(140)는 카메라 장치(110)의 주변 챔버(138) 및 커넥터 챔버(154)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형성된다. 밀봉 부재(156)의 일체형 설계는, 밀봉 부재(156)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며, 취급 단계를 절감하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4는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1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센서 챔버(140)는 제품 하우징(142)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된다. 또한, 도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품 하우징(142)은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6)로 구분된다. 두 하우징 반쪽 셸부(144, 146)는 하우징 나사들(148)을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된다. 또한, 전자 지지부(114)도 제품 하우징(14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며, 그럼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나사들(148)은 전자 지지부(114)를 관통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전자 지지부(114)는 제품 하우징(142)에 상대적으로 사전 고정된다. 하우징 나사들(148)에 추가로, 추가의 간격 조정 슬리브(149) 또는 간격 조정 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센서 밀봉 부재(134)는 하우징 나사들(148) 근처에 배치되는데, 다시 말해 영상 광학 장치(126)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동시에, 하우징 나사들(148)을 통해, 센서 밀봉 부재(134)는 압축되며, 그럼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라 주변 챔버(138)에 대향하는 센서 챔버(140)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또한, 광학 구간(122)은 본질적으로 제품 하우징(14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도2의 구성과 유사하게, 광학 구간(122)은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영상 광학 장치(126)를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12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렌즈 배럴로서 형성되는 영상 광학 장치(126)는 광학 밀봉 부재(130)를 통해 광학 구간(122)에 대향하여 밀봉된다.
센서 밀봉 부재(134)를 제품 하우징(142)의 가장자리에서 상대적으로 먼 외부에 배치함에 따라, 센서 챔버(140)는 본 실시예의 경우 비교적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136)은 이용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하우징 나사들(148)이 동시에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136)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전자 지지부(114) 및 제품 하우징(142) 사이의 견고한 기계식 결합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추가의 부품(즉, 인쇄 회로 기판 나사(136))이 절감되며, 이런 점은 제조 비용을 추가로 감소시키고, 동시에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의 센서 챔버(140)의 설계를 가능케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카메라 장치(110)의 실시예들은 실제로 주변 영향에 대해 영상 센서를 보호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수많은 경우에, 카메라 장치(110)를 조립할 시에, 특히 외부 하우징(120)과 전자 지지부(114)를 나사 결합할 시에, 기계적 응력이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성은 도5에 기본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5에 예시로서 도시된 카메라 장치(110)는 본질적으로 도3에 따른 카메라 장치(110)에 상응한다. 그러나 상기 문제와 다음에서 기술되는 원리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도 준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하여야 한다.
도3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전자 지지부(114)는 인쇄 회로 기판 나사들(136)을 통해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나사 결합된다. 이와 관련하여, 나사 조임력(2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영상 광학 장치(1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 전자 지지부 측면(212)으로부터, 압력을 나사 결합 영역(214) 내 전자 지지부(114) 상으로 전달한다. 동시에, 밀봉 영역(216) 내 밀봉 부재(156)는 영상 광학 장치(126)를 향해 있는 측면(218)에서 전자 지지부(114) 상에 밀착된다. 밀봉 영역(216) 및 나사 결합 영역(214)은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고, 그에 따라 광학 축(127)으로부터 서로 다른 이격 간격을 가지기 때문에, 굽힘 모멘트가 생성되고, 이런 굽힘 모멘트는 전자 지지부(114) 상에서의 응력에 대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지지부(114)의 만곡된 형상은 도5에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다.
도6, 도7 및 도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10)의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압축 부재(220)를 이용 하여 도5에 기술한 문제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압축 부재(220)는 각각,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영상 광학 장치(1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측면(212)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그 압축 부재(220) 자체가 배면에서 전자 지지부(114) 쪽에 밀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압축 부재(220)는 외부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이런 점은, 최소의 굽힘 모멘트가, 이상적인 경우에는 사라지는 굽힘 모멘트가 전자 지지부(114) 상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한 기본적인 사고(思考)는, 영상 광학 장치(1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212)에서 압력이 전자 지지부(114) 상에 인가되는 그런 접촉 영역(222)을 변위시키는 것에 있다. 이때 접촉 영역의 변위는, 그 접촉 영역이 영상 광학 장치(126)를 향해 있는 측면(218)에서 밀봉 영역들(216)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하우징(120)으로부터 압력은 전자 지지부(114) 상에 전달되며, 그럼으로써 굽힘 모멘트는 전체적으로 상쇄된다. 굽힘 모멘트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에 따라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은, 예컨대 접촉 영역들(222)과 밀봉 영역들(216)이 비록 정확하게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지는 않지만, 인가되는 굽힘 모멘트가 짧은 간격(다시 말해, 예컨대 영상 센서(112)에 대한 밀봉 영역들(216)의 이격 거리에 비해 짧은 간격)을 통해 상쇄된다는 것에 있다.
도6에는, 밀봉 부재(156)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광학 축(127)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을 이룬다. 그에 상응하게, 압축 부재(220)가 본 실시예에 따라 회전 대칭의 구조로 형성되는 점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압 축 부재(220)는 환상 브릿지(224)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환상 브릿지는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라 링 모양의) 압력 전달 부재(226)를 포함한다. 이 압력 전달 부재는 접촉 영역(222)에서 전자 지지부(114) 상에 밀착된다. 그로 인해 밀봉 영역들(216)뿐 아니라, 접촉 영역들(222)은, 광학 축(127)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인 링 모양 영역으로서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자 지지부(114) 상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는 전체적으로 상쇄된다. 그로 인해 응력은 구조적으로 전자 지지부(114)로부터 환상 브릿지(224)로 이동된다. 외부 하우징(120)과,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압축 부재(220)를 결합하기 위해, 환상 브릿지(224)는 도6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자체 가장자리 영역에 보어부들(228)을 포함한다. 이런 보어부들(228)을 통해, 전자 지지부(114)를 관통하고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들(230)이 안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나사 헤드부들(232)을 통해 힘이 압축 부재(220)로 전달되고, 그 힘은 다시금 압력 전달 부재들(226)을 통해 전자 지지부(114) 상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 지지부(114)는 밀봉 부재(156) 쪽에 밀착되고, 센서 챔버(140)는 밀봉된다.
압력 전달 부재들(226)을 구비하여 도6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 부재(22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압축 부재(220)는, 광범위하게 전자 지지부(114) 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 대신에, 전자 지지부(114)를 향해 있는 공동부들(234)을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동부들(234)은, 전자 지지부(114) 상에 통상적으로 스트립 도체뿐 아니라 전자 부품(150)이 장착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에 따라 나사 헤드부들(232)이 압축 부재(220) 상에 안착되기 때문에, 전자 지지부(114) 상에는 원래의 나사 결합 영역들(214)의 공간(도5 비교)이 비워지며, 그로 인해 그 공간은 스트립 도체 및 전자 부품들(150)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220) 위쪽으로 나사 헤드부들(232)을 이동함으로써, 기계적 응력 및 굽힘 모멘트가 압축 부재(220) 상에 전달된다. 그러나 그 압축 부재 상에 전달된 응력 및 굽힘 모멘트는 전자 지지부(114)에서와 반대로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나사들(230) 대신에, 예컨대 외부 하우징(120)과 압축 부재(220)를 결합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키 볼트(key bolt), 볼트, 클램프, 또는 리벳과 같은 또 다른 종류의 결합 부재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도 주지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230) 및/또는 키 볼트, 특히 그러브 나사(grub screw)가 이용된다.
도6에 따라 설명한 원리는 카메라 장치(110)의 또 다른 실시예에도 준용된다. 그에 따라 도7에는, 나사들(230)이 광학 축(127)으로부터 외부 방향을 향해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자 지지부(114) 상에는 추가로 전자 부품들(150) 및 스트립 도체를 배치하기 위한 자유 표면이 얻어진다. 이에, 본 실시예 및 기타 실시예에 따라 스트립 도체는 압력 전달 부재(226)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압축 부재(220)가 도6과 유사하게 환상 브릿지(224)로서 형성된다. 환상 브릿지(224)는 환상 브릿지(224)의 전체 외연부에 걸친 균일한 압착력 분포를 보장하며, 그에 따라 밀봉 부재(156)에 대한 균일한 압착도 보장하게 된다. 특히 그렇게 함으로써, 예컨대 도4에 따른 구성과는 반대로, 나사들(230)과 밀봉 부재들(156) 사이의 먼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센서 챔버(140)의 우수한 밀봉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항시 전자 지지부(114)의 만곡 형상이 개시되지 않으면서도 밀봉 부재(156)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밀봉 부재(156)와 나사들(230) 사이의 먼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항시 밀봉 영역들(216)과 접촉 영역들(222)이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상당한 구조적 장점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단 하나의 밀봉 부재(156)가 다수의 밀봉 부재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립되기 때문이다.
도8은 환상 브릿지(224) 형태의 압축 부재(220)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환상 브릿지(224)는 인쇄 회로 기판 버팀대(236)의 형태로 압력 전달 부재(226)를 포함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버팀대(236)는 환상 브릿지(224)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될 필요가 없으며, 그럼으로써 추가로 전자 부품들(150) 및 스트립 도체들을 위한 공간이 얻어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압축 부재(220)의 내부와, 인쇄 회로 기판 버팀대들(236) 사이에는 공동부들(234)이 생성된다. 그로 인해 도8의 예시에 따라 압축 부재(220)를 상기와 같이 구성할 시에, 접촉 영역들(222)의 표면은 밀봉 영역(216)과 정확하게 부합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이 경우 접촉 영역들(222)은 전자 지지부(114) 상에 비연속적인 링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굽힘 모멘트는 전자 지지부(114) 상에서 평균화된다.
또한, 도8의 실시예에 따른 환상 브릿지(224)는 반경 방향에서 외부 방향을 향해 연장된 고정 섀클(238)을 포함한다. 이 고정 섀클(238) 내에는 나사들(230) 을 위한 보어부들(228)이 형성된다. 압축 부재(220) 전체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압축 부재(220)를 구성할 시에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재료, 예컨대 금속, 예컨대 금속 박판이 천공-굽힘 가공 부품의 형태로 이용된다. 또한, 재료 혼합도 가능하다.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도8에 도시한 압축 부재(220) 이외에, 또 다른 형태, 예컨대 각진 형태, 예컨대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압축 부재(220)도 가능하다.
도9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동시에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압축 부재(220)를 결합하면서 두 하우징 반쪽 셀부(144, 146)를 서로 마주보게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들(240)이 이용된다. 이를 위해, 결합 부재(240)로서 나사들(230)(도7 참조) 대신에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키 볼트들(242)이 이용된다. 이들 키 볼트들은 자체 전방 영역에 나사선(244)을 포함한다. 이런 키 볼트들은 전자 지지부(114)뿐 아니라 압축 부재(220)를 관통하며, 그럼으로써 본 실시예는 이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도7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형성된다. 그러나 키 볼트들(242)은 추가로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셀부(146)도 관통한다. 따라서, 조립시에 우선 전자 지지부(114)가 키 볼트들(242)에 안착되고, 이어서 압축 부재(220)에, 최종적으로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셀부(146)에 안착된다.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6)를 안착하기 전에, 압축 부재(220)는 너트들(246)에 의해 고정되고,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 쪽에 밀착된다.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6)의 안착 후에, 이 하우징 반쪽 셸부(146)는 대응하는 너트들(24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압축 부재(220)의 본 발명에 따른 원리가 실현될 뿐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조립이 보장된다. 다시 말해 전체적으로 우선 밀봉 부재(156)가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영상 광학 장치(126)가 광학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4) 내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전자 지지부(114)가 키 볼트(242) 상에 안착되고 경우에 따라 조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착 또는 클램프 고정을 통해 전자 지지부(114)의 추가의 고정, 특히 측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이어서 압축 부재(220)가 키 볼트(242) 상에 설치되고, 너트들(246)로 고정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커넥터 측 하우징 반쪽 셸부(146)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고정된다.

Claims (25)

  1. 외부 하우징(120; 142)과, 전자 지지부(114) 상에 장착되는 영상 센서(112)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110)이며,
    상기 외부 하우징(120; 142)은 광학 구간(122)을 포함하며, 이 광학 구간은 광학 구간(122)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은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되며, 이때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영상 센서(112)를 수납하는 센서 챔버(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챔버(140)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하기 위해 상기 광학 구간(122)과 상기 전자 지지부(11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밀봉 부재(13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지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결합 부재(136; 148)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하우징(120; 142)과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견고한 결합은 나사 부재들(136; 148)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부재들(136; 148)은 상기 센서 챔버(140)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세 개의 나사 부재들(136; 148)은 120° 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제공되며, 이때 상기 나사 부재들(136; 148)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와 상기 영상 센서(112) 사이의 떨림 허용오차가 보상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은 반쪽 셸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반쪽 셸부의 개구부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를 향해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과, 이 광학 구간(122) 내에 배치되는 영상 광학 장치(126)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 밀봉 부재(13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 밀봉 부재(130)는 영상 센서(112)에 상대적으로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은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산(124)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는 상기 나사산(124)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는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에 토크를 인가하여 나사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초점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과 상기 전자 지지부(114) 사이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하기 위해 상기 광학 구간(122)과 상기 전자 지지부(114) 사이에 센서 밀봉 부재(134)가 배치될 뿐 아니라, 상기 광학 구간(122)과 이 광학 구간(122) 내에 배치되는 영상 광학 장치(126)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광학 밀봉 부재(130)가 제공되며, 이때 센서 밀봉 부재(134) 및 광학 밀봉 부재(130)는 일체형 밀봉 부재(15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156)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밀봉체(158), 상기 광학 구간(122)과 상기 전자 지지부(114)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밀봉 영역(160), 그리고 광학 구간(122)과 영상 광학 장치(126)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밀봉 영역(1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광학 구간(122)의 밀봉은 접착제 없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은 상기 영상 광학 장치(126)에 대향하여 접착제 없이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배면측 측면(212)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이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가 배면측에서 상기 전자 지지부(114) 쪽에 밀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외부 하우징(120; 142)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최소의 굽힘 모멘트가 상기 전자 지지부(114) 상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자 지지부(114) 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전달 부재(226)를 포함하고, 그 적어도 하나의 압력 전달 부재(226)를 이용하여서 는, 압력이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전달되며, 상기 전자 지지부(114)의 영역(222)과 관련하여,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를 향해 있는 그의 맞은편 측면(218)에서는, 배압이 상기 외부 하우징(120; 142)으로부터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간(122)과 상기 전자 지지부(114) 사이에는 상기 센서 챔버(140)를 매체에 대한 기밀 구조로 밀봉하기 위한 센서 밀봉 부재(156)가 제공되고, 이 센서 밀봉 부재(156)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를 향해 있는 그의 측면(218)에 밀봉 영역(216)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에 있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광학 장치(12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측면(212)에 있는 상기 밀봉 영역(216)의 맞은편 측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 브릿지(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를 향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230), 적어도 하나의 키 볼트(242),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230) 및 적어도 하나의 키 볼트(242)를 통해 상기 외부 하우징(120; 142)과 결합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230),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볼트(242), 적어도 하나의 나사(230) 및 적어도 하나의 키 볼트(242)는 상기 전자 지지부(114)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지부(114)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결합 부재(136; 148)를 이용하여 광학 구간(122)과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축 부재(220)는 사라지는 굽힘 모멘트가 상기 전자 지지부(114) 상에 인가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자 지지부(114) 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센서 밀봉 부재(156)는 링 모양의 센서 밀봉 부재(1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230) 또는 키 볼트(242)는 그러브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KR1020077029234A 2005-06-17 2005-11-21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KR100995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8144.3A DE102005028144B4 (de) 2005-06-17 2005-06-17 Kameraanordnung mit Bildsensorabdichtung gegen Umwelteinflüsse
DE102005028144.3 2005-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226A KR20080019226A (ko) 2008-03-03
KR100995237B1 true KR100995237B1 (ko) 2010-11-17

Family

ID=3578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234A KR100995237B1 (ko) 2005-06-17 2005-11-21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897365B2 (ko)
KR (1) KR100995237B1 (ko)
DE (2) DE102005028144B4 (ko)
TW (1) TW200718588A (ko)
WO (1) WO2006136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23467A1 (de) * 2006-05-18 2007-11-22 Siemens Ag Optische Vorrichtung mit einem staubbindenden Element und Fahrerassistenzsystem
DE102007051461A1 (de) * 2007-10-27 2009-04-30 Adc Automotive Distance Control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ntage und Justage einer Bildaufnehmereinheit
DE102008000823A1 (de) 2008-03-26 2009-10-01 Robert Bosch Gmbh Kameraanordnung zum Einsatz in einem 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020375B2 (ja) * 2008-03-26 2012-09-05 京セラ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DE102008040220A1 (de) * 2008-07-07 2010-01-14 Robert Bosch Gmbh Kamera und Kameragehäuse
DE102009052586A1 (de) * 2009-11-10 2011-05-1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Gehäuse für eine Kamera
KR101122313B1 (ko) * 2010-07-02 2012-03-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DE102011010624B4 (de) 2011-02-08 2014-10-16 Mekra Lang Gmbh & Co. Kg Anzeigevorrichtung für Sichtfelder eines Nutzfahrzeugs
DE102011011048B9 (de) 2011-02-11 2021-10-07 Mekra Lang Gmbh & Co. Kg Überwachung des Nahbereichs rund um ein Nutzfahrzeug
KR20130057090A (ko) 2011-11-23 2013-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DE102012015398B3 (de) 2012-08-03 2013-10-24 Mekra Lang Gmbh & Co. Kg Spiegelersatz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13002111B4 (de) 2013-02-08 2021-11-18 Mekra Lang Gmbh & Co. Kg Sichtsystem für Fahrzeuge, insbesondere Nutzfahrzeuge
US10663931B2 (en) 2013-09-24 2020-05-26 Rosemount Inc.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dual compartment housing
EP3052899B1 (en) 2013-09-30 2020-10-28 Rosemount Inc. Process variable transmitter with dual compartment housing
DE102013021622A1 (de) 2013-12-18 2015-07-02 Mekra Lang Gmbh & Co. Kg Kamera für Fahrzeug, insbesondere Nutzfahrzeug
EP2887637B1 (en) 2013-12-19 2015-11-04 Axis AB Image collector device having a sealed sensor space, and method of sealing a sensor space in an image collector device
DE102014208487A1 (de) * 2014-05-07 2015-11-1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Kamera eines Assistenzsystems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Assistenzsystems
WO2016009558A1 (ja) * 2014-07-18 2016-01-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015899B2 (en) 2015-06-29 2018-07-03 Rosemount Inc. Terminal block with sealed interconnect system
DE102017217317A1 (de) 2017-09-28 2019-03-28 Robert Bosch Gmbh Kameramodul mit Kompensationselement
JP6871643B2 (ja) 2019-09-18 2021-05-12 ヤマウチ株式会社 撮像装置用防塵ゴム
CN110611759A (zh) * 2019-10-21 2019-12-24 宁波为森智能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车载摄像模组结构
EP3879807B1 (en) * 2020-03-11 2023-12-20 Ficosa Adas, S.L.U. Camera assembly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assembling it
EP4064678A1 (en) 2021-03-24 2022-09-28 Ficosa Adas, S.L.U. Electronic device for motor vehicles
DE102021113716A1 (de) 2021-05-27 2022-12-01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für ein Kraftfahrzeug mit spezifischer Abdichtung zwischen einem Gehäusevorderteil und einem Schaltungsträger, sowie Kraftfahrzeug
CN114414571B (zh) * 2022-01-21 2024-01-26 北京中电华劳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有毒气体探测机器人
EP4287608A1 (en) 2022-06-01 2023-12-06 Ficosa Adas, S.L.U. Electronic device
DE102022117603A1 (de) 2022-07-14 2024-01-25 Connaught Electronics Ltd. Fahrzeugkamera,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Fahrzeugkamera sowie Fahrzeug mit einer Fahrzeugk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298B1 (en) 2000-11-20 2004-01-27 Agilent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packaging with package cavity sealed by the imaging optic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772A (en) 1984-02-07 1987-01-27 Circon Corporation Focusable video camera for use with endoscopes
JP2003318585A (ja) 2002-04-24 2003-11-07 Toshiba Corp 電子機器
WO2004047421A2 (en) 2002-11-14 2004-06-03 Donnelly Corporation Imaging system for vehicle
DE10342529B4 (de) 2003-09-12 2017-02-02 Robert Bosch Gmbh Kameraanordnung
DE10342526B4 (de) 2003-09-12 2006-04-27 Robert Bosch Gmbh Kameraanordnung
DE10344770A1 (de) 2003-09-26 2005-05-04 Siemens Ag Optisches Modul und optisches System
DE10344760A1 (de) 2003-09-26 2005-05-04 Siemens Ag Optisches Modul und optische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3298B1 (en) 2000-11-20 2004-01-27 Agilent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packaging with package cavity sealed by the imaging o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6781B (ko) 2012-01-21
TW200718588A (en) 2007-05-16
DE102005028144A1 (de) 2006-12-28
EP1897365B2 (de) 2018-12-12
EP1897365A1 (de) 2008-03-12
KR20080019226A (ko) 2008-03-03
WO2006136208A1 (de) 2006-12-28
DE102005028144B4 (de) 2022-01-13
EP1897365B1 (de) 2008-10-29
DE502005005840D1 (de)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37B1 (ko)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EP2788818B1 (en) Two part camera module
JP5771901B2 (ja) 撮像装置
JP5617561B2 (ja) 撮像装置
US6507700B1 (en) Waterproof camera
US7111996B2 (en) Stereo camera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JP5224142B2 (ja) 撮像装置
CA3006035C (en) Camera module
US20230194828A1 (en) Vehicular camera with adhesive disposed between non-axially opposed surfaces of the lens barrel and pcb structure
WO2009101774A1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600443A (zh) 用于制造摄像头模块的方法、摄像头模块
KR20120016430A (ko) 차량용 카메라
JP2005094731A (ja) カメラ装置および該カメラ装置の製造方法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JP5499828B2 (ja) 撮像装置
US20230126772A1 (en) Method for mounting a camera for a vehicle, pre-mounting module for a camera as well as camera
KR10089430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EP3879807B1 (en) Camera assembly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assembling it
JP6803260B2 (ja) 車載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006902A (ko) 카메라 모듈
US11835846B2 (en) Camera module
TW202331397A (zh) 影像擷取裝置及用於製造影像擷取裝置之方法
TW202332977A (zh) 用於機動車輛之攝影機和製造攝影機之方法
US20220407995A1 (en) Front cover of vehicle-mounted camera, vehicle-mounted camera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