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304B1 -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304B1
KR100894304B1 KR1020080031138A KR20080031138A KR100894304B1 KR 100894304 B1 KR100894304 B1 KR 100894304B1 KR 1020080031138 A KR1020080031138 A KR 1020080031138A KR 20080031138 A KR20080031138 A KR 20080031138A KR 100894304 B1 KR100894304 B1 KR 10089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ase
substrate
case
lens barrel
camer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복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 및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단에 기판장착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기판장착부에 설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가 장착된 렌즈배럴;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카메라 장치, 상부케이스, 기판장착부, 기판, 렌즈배럴, 하부케이스

Description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Camera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 및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 시장의 추세는 안전성과 편의성이다. 안전과 편의성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어 운전자에게 안전과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전, 후방에 카메라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후진할 때, 또는 전방에 설치하여, 골목길 진입에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준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렌즈(L)가 장착된 렌즈배럴(1)과, 상기 렌즈배럴(1)이 고정되는 마운트(2)와, 상기 마운트(2)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렌즈(L)를 투과한 광이 입사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된 기판(3)과, 종래 카메라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1)과 기판(3)의 방수 및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배럴(1)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상부하우징(4)과, 상기 상부하우징(4)과 대응되는 하부하우징(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배럴(1)의 외주면에는 상기 렌즈배럴(1)이 상기 마운트(2)에 고정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상기 마운트(2)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압입링(6)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4)과 상기 하부하우징(5) 사이에는 실링러버(7)가 개재되어 상기 상부하우징(4)과 상기 하부하우징(5)의 나사(S)를 통한 조립 후 상기 상부하우징(4)과 하부하우징(5)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렌즈배럴(1)과 기판(3)이 설치되는 마운트(2)를 사용함으로써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는, 상기 마운트(2)의 사용으로 인해 부품수가 증가하고, 부품수 증가에 따른 작업 공정이 많아져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조비용이 상 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 및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하단에 기판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 상기 기판장착부에 설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가 장착된 렌즈배럴; 및 상기 상부케이스와 조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기판장착부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상부케이스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렌즈배럴의 하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에 상기 숫나사부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기 렌즈배럴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에 상기 렌즈배럴 설치 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렌즈배럴 사이의 노출된 틈새에는 본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딩제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렌즈배럴 사이의 노출된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상기 렌즈배럴에 장착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상부 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자 소자가 실장된 하부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스크류를 매개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의 틈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압착 러버(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에 의하면, 소형화가 가능 하고, 제조 공정 및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부케이스와 기판의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는, 하단에 기판장착부(1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기판장착부(111)에 설치되고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된 기판(120)과,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L)가 장착된 렌즈배럴(130)과,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조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20)은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기판장착부(111)에 제1 스크류(S1)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기판장착부(111)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사출 성형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에 기판을 장착하기 위한 마운트를 삭제 가능하여 카메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제조 공정 및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장착부(111)의 하단면에는 대향된 한 쌍의 제1 체결홈(111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크류(S1)가 상기 제1 체결홈(111a)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기판(120)은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20)에는 상기 기판(120)의 지지 및 상기 제1 스크류(S1)의 원활한 체결 작업을 위하여 상부관통홈(121a)과 하부관통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기판(120)은 상기 상부관통홈(121a)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130)에 장착된 렌즈(L)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된 상부 기판(121)과, 상기 하부관통홈(122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기판(122)과 커넥터(125) 연결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자 소자(124)가 실장된 하부 기판(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배럴(130)은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설 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배럴(1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3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130a)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10a)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110a)에 상기 숫나사부(130a)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상기 렌즈배럴(13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상기 렌즈배럴(130)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설치될 시,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렌즈배럴(130) 사이의 노출된 틈새에는 본딩제(B)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딩제(B)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렌즈배럴(130) 사이의 노출된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딩제(B)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40)는 제2 스크류(S2)를 매개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기판장착부(111) 외측에는 대향된 한 쌍의 제2 체결홈(111b)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크류(S2)가 상기 하부케이스(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체결홈(111b)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는 상호 조립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40)의 사이는 실링부 재(150)가 개재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40)의 조립시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40)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의 방수 및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50)는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40) 사이의 틈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압착 러버(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부케이스와 기판의 조립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상부케이스 110a: 암나사부
111: 기판장착부 111a: 제1 체결홈
111b: 제2 체결홈 120: 기판
121: 상부기판 121a: 상부관통홈
122: 하부기판 122a: 하부관통홈
125: 커넥터 130: 렌즈배럴
130a: 숫나사부 140: 하부케이스
150: 실링부재 B: 본딩제
L: 렌즈 S1: 제1 스크류
S2: 제2 스크류

Claims (9)

  1. 하단에 기판장착부(1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0);
    상기 기판장착부(111)에 설치되고,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기판;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상부에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설치되고, 렌즈(L)가 장착된 렌즈배럴(130); 및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조립되어,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함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140);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기판장착부에 스크류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1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3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숫나사부(130a)와 대응되는 암나사부(11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에 상기 렌즈배럴(130) 설치 시,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렌즈배럴(130) 사이의 노출된 틈새에는 본딩제(B)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렌즈배럴에 장착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된 상부기판; 및
    상기 상부 기판과 커넥터 연결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전자 소자가 실장된 하부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는 스크류를 매개로 상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의 틈새를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사이의 틈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압착 러버(rubb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KR1020080031138A 2008-04-03 2008-04-03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KR10089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38A KR100894304B1 (ko) 2008-04-03 2008-04-03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1138A KR100894304B1 (ko) 2008-04-03 2008-04-03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304B1 true KR100894304B1 (ko) 2009-04-24

Family

ID=4075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138A KR100894304B1 (ko) 2008-04-03 2008-04-03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3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64B1 (ko) 2012-06-11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메라 모듈
KR20220115218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세코닉스 자동차용 주행 영상기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899U (ko) * 1996-12-11 1998-09-15 김광호 감시용 카메라
JP2006171248A (ja) 2004-12-15 2006-06-29 Renesas Technology Corp 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7013549A (ja) * 2005-06-30 2007-01-18 Fujitsu General Ltd 車両用監視カメラ装置
KR100803245B1 (ko) * 2006-10-10 2008-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899U (ko) * 1996-12-11 1998-09-15 김광호 감시용 카메라
JP2006171248A (ja) 2004-12-15 2006-06-29 Renesas Technology Corp 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7013549A (ja) * 2005-06-30 2007-01-18 Fujitsu General Ltd 車両用監視カメラ装置
KR100803245B1 (ko) * 2006-10-10 2008-02-14 삼성전기주식회사 분리형 카메라 모듈 패키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864B1 (ko) 2012-06-11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카메라 모듈
KR20220115218A (ko) * 2021-02-10 2022-08-17 주식회사 세코닉스 자동차용 주행 영상기록장치
KR102492990B1 (ko) * 2021-02-10 2023-01-31 주식회사 세코닉스 자동차용 주행 영상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37B1 (ko) 환경 영향으로부터 밀봉되는 영상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장치
US20150205186A1 (en) Camera module
JP5691188B2 (ja) カメラ装置
WO2018105245A1 (ja) カメラ取り付け構造、カメラ装置、並びにジャケット
US10205865B2 (en) Camer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70067B2 (en) Camera apparatus including supporting block with filling groove for adhesive agent
US7660057B2 (en) Lens assembly and imaging apparatus
KR20130013640A (ko) 카메라 모듈
JP2008233512A (ja) レンズユニット
KR20120016430A (ko) 차량용 카메라
KR100982271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102489665B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KR100894304B1 (ko)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US11675154B2 (en) Camera module
JP2009244384A (ja) レンズ組立体および撮像装置
JP6411151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CN106896463B (zh) 用于车载光学成像系统的光学镜头
KR100866618B1 (ko) 자동차용 카메라 모듈
KR200472866Y1 (ko) 방수브라켓이 구비된 차량용 후방카메라
CN109552201A (zh) 倒车后视摄像头及其组装工艺
JP5707652B2 (ja) ランプ取付構造
KR101371864B1 (ko) 자동차의 카메라 모듈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13118A (ko) 카메라 모듈
KR101519781B1 (ko) 백플레이트 일체형의 bsd 모듈을 가지는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