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899U - 감시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899U
KR19980034899U KR2019960047854U KR19960047854U KR19980034899U KR 19980034899 U KR19980034899 U KR 19980034899U KR 2019960047854 U KR2019960047854 U KR 2019960047854U KR 19960047854 U KR19960047854 U KR 19960047854U KR 19980034899 U KR19980034899 U KR 199800348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ront panel
rotating member
surveillance camera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7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899U/ko
Publication of KR19980034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89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장된 회로기판이 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감시용 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감시용 카메라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며 렌즈마운트가 결합되는 전면 패널과, 전면에 촬상소자가 장착되고 전면 패널 뒤쪽에 위치하여 전면 패널에 대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도록 된 회로기판과, 전면 패널 앞쪽에 위치하며 전면 패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너트부를 가지는 회전부재와,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회전부재의 너트부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로기판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나사부재와, 회로기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회로기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나사부의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그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회로기판의 후퇴시에 전면 패널의 전면에 접촉되어 그 회로기판의 후퇴거리를 한정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시용 카메라
본 고안은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장된 회로기판에 응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감시용 카메라에 사용되는 렌즈는 외주면의 일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된 렌즈 마운트에 구비된다. 이 렌즈 마운트는 감시용 카메라의 전면 패널에 결합되는데, 이 전면 패널에 결합된 렌즈 마운트의 위치 결정면에서 촬상소자의 촬상면까지의 거리를 플랜지 백 초점거리(Flange Back Focal Distance)라 한다.
감시용 카메라는 경우에 따라, 각각의 플랜지 백 초점거리가 17.526mm인 시마운트(C Mount) 렌즈와 12.5mm인 시에스마운트(CS Mount) 렌즈 등 초점거리가 다른 렌즈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는 초점거리가 각각 다른 렌즈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패널(20)은 프레임(80)에 고정되고, 이 전면 패널(20)에는 경우에 따라 플랜지 백 초점거리가 다른 두 종류의 렌즈마운트가 설치된다. 내부에 너트부(13)를 가지는 회전부재(10)는 전면 패널(20) 앞쪽에 위치하며, 전면 패널(20)에 고정되는 원형 브라켓(12)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면에 촬상소자(51)가 장착된 회로기판(60)은 상기 전면 패널(20)의 뒤쪽에 위치하며, 그 중앙부에 나사부재(40)가 고정된다. 상기 나사부재(40)의 나사부(41)가 전면 패널(20)을 관통하여 회전부재(10)의 너트부(13)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면, 회로기판(60)은 전면 패널(20)에 대해 전진 및 후퇴된다.
상기 회로기판(60)의 전진 및 후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30)의 전단부는 상기 회로기판(60)의 가장자리부를 관통하여 전면 패널(20)에 고정되고, 그 후단부의 걸림턱(32)은 회로기판(60)의 후퇴시에 상기 회로기판(60)의 배면에 접촉되므로써 회로기판(60)의 후퇴거리를 한정한다. 상기 회전부재(10)의 회전시에 전면 패널(20)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회전부재(10)와 전면 패널(20) 사이에 마찰방지부재(15)를 설치하고,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조정한 후 잠금나사(14)로 상기 회전부재(1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시용 카메라는 상기 전면 패널(2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부재(10)의 너트부(13)와 나사부재(40)의 나사부(41)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0)를 돌려주면 플랜지 백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초점거리가 다른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감시용 카메라에 시에스마운트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60)이 가이드 부재(3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전면 패널(20)쪽으로 전진되도록 회전부재(10)를 일방향으로 돌려주어, 상기 회로기판(60)에 장착된 촬상소자(51)를 전진시켜서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12.5mm로 맞춘다음, 잠금나사(14)로 회전부재(10)를 고정한다.
시마운트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60)이 전면 패널(20)에 대해 후퇴되도록 회전부재(10)를 다른 방향으로 돌려주어, 회로기판(60)에 장착된 촬상소자(51)를 후퇴시켜서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17.526mm로 맞춘다음, 마찬가지로 잠금나사(14)로 회전부재(10)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시마운트 렌즈를 장착하고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조정하면서, 가이드 부재(30)의 걸림턱(32)이 회로기판(60)의 배면에 접촉되게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10)를 더 돌리게 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 상기 회로기판(60)의 가장자리부가 걸림턱(32)에 걸린 상태에서 그 중심부만이 상기 전면 패널(20)에 대해 먼쪽으로 이동되게 되므로 회로기판(60)이 휘게 된다. 그러므로 이 회로기판(60)상에 설치된 회로 부품에 응력(stress)이 가해지게 되므로써,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어 제품의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응력이 회로기판상의 회로부품에 가해지지 않도록 된 감시용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용 카메라에 있어서의 나사부가 전면 패널에 관통되는 단계를 차례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회전부재120...전면 패널
130...가이드부재132...걸림턱
140...나사부재141...나사부
144...걸림 돌기151...촬상소자
160...회로기판180...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감시용 카메라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렌즈마운트가 결합되는 전면 패널과; 전면에 촬상소자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 패널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도록 된 회로기판과; 상기 전면 패널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너트부를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너트부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나사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회로기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상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그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후퇴시에 전면 패널의 전면에 접촉되어 그 회로기판의 후퇴거리를 한정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용 카메라는 프레임(180)과, 상기 프레임(180)에 고정되는 전면 패널(120)과, 이 전면 패널(120) 앞쪽에 위치된 회전부재(110)와, 전면 패널(120) 뒤쪽에 위치되는 회로기판(160)과, 상기 회로기판(160)의 중앙부에 고정된 나사부재(140)와, 상기 회로기판(16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120)에는 시마운트 렌즈와 시에스마운트 렌즈를 포함하여 플랜지 백 초점거리가 다른 여러 종류의 렌즈의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110)는 내부에 너트부(113)를 가지며, 전면 패널(120)에 고정되는 원형 브라켓(112)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1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10)의 회전시에 상기 전면 패널(120)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상기 회전부재(110)와 상기 전면 패널(120) 사이에 마찰방지부재(115)를 설치하고, 잠금나사(114)들을 써서 회전부재(110)를 고정한다. 잠금나사(114)들이 풀려진 상태에서 회전부재(110)를 회전시켜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맞춘다음, 상기 잠금나사(114)들을 조여주어 원형 브라켓(112)에 접촉시키므로써 상기 회전부재(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60)은 전면에 촬상소자(151)가 장착되고, 그 중앙부에 상기 나사부재(140)가 고정된다. 상기 나사부재(140)에는 나사부(141)가 형성되는데, 이 나사부(141)는 상기 전면 패널(120)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재(110)의 너트부(113)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로기판(160)은 전면 패널(120)에 대해 전진 및 후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141)의 상기 전면 패널(120)을 관통하여 그 전면 패널(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걸림 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144)는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과 대면되게 위치되며, 상기 회전부재(110)의 상기 회로기판(160)의 후퇴시키는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전면 패널(120)의 전면에 접촉되므로써, 이 회로기판(160)의 후퇴거리를 한정한다. 이와같이 접촉된 경우, 상기 회전부재(110)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시용 카메라에 있어서의 상기 나사부(141)가 전면 패널(120)에 관통되는 단계를 차례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60)을 전면 패널(120)에 대해 비스듬하게 위치시켜, 상기 나사부(141)가 상기 전면 패널(120)에 관통되게 한다. 그런 다음 화살표 방향(145)으로 회로기판(160)을 회전시켜 상기 회로기판(160)과 전면 패널(120)을 나란하게 위치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141)에 형성된 걸림 돌기(144)가 전면 패널(120)의 전면과 대면되게 된다. 따라서 이 걸림 돌기(144)의 단부(145)가 상기 회로기판(160)의 후퇴시에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면에 접촉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130)는 상기 회로기판(160)의 가장자리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전면 패널(120)에 고정되며, 상기 회로기판(16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130)에 끼워져 상기 회로기판(160)에 상기 전면 패널(120)의 전진 및 후진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시용 카메라는 상기 전면 패널(12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회전부재(110)의 너트부(113)와 나사부재(140)의 나사부(141)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10)를 돌려주면 상기 전면 패널(120)에 대해 회로기판(160)이 전진 및 후퇴되므로 플랜지 백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감시용 카메라에 시에스마운트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110)를 일방향으로 돌려주어 상기 회로기판(160)을 전면 패널(120) 쪽으로 이동시켜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맞춘다음, 상기 잠금나사(114)들을 돌려 상기 원형 브라켓(112)에 접촉시켜서 상기 회전부재(110)를 고정시킨다.
시마운트 렌즈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부재(110)를 다른 방향으로 돌려주어 상기 회로기판(160)을 상기 전면 패널(120)에 대해 먼쪽으로 이동시켜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맞춘다음,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나사(114)들을 돌려 상기 원형 브라켓(112)에 접촉시켜서 상기 회전부재(110)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마운트 렌즈의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조정하면서, 이 초점거리를 지나 회전부재(110)를 더 회전시키는 경우, 나사부재(140)의 걸림돌기(144)가 전면 패널(120)의 전면에 접촉되므로 상기 회전부재(110)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상기 회로기판(160)의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따라서 회로기판(160)이 휘지 않게 되므로, 이 회로기판(160)상의 회로부품은 응력을 받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응력을 받음으로해서 생길 수 있는 제품의 불량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감시용 카메라는 시마운트 렌즈의 플랜지 백 초점거리를 조정하면서 회전부재를 지나치게 돌려줌으로 해서 내장된 회로기판상의 회로 부품에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나사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거하므로 제품의 성능이 크게 개선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렌즈마운트가 결합되는 전면 패널과;
    전면에 촬상소자가 장착되고, 상기 전면 패널 뒤쪽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해 전진 및 후퇴 가능하도록 된 회로기판과;
    상기 전면 패널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너트부를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너트부에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을 전진 및 후진시키는 나사부재와;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회로기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의 상기 전면 패널을 관통하여 그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후퇴시에 전면 패널의 전면에 접촉되어 그 회로기판의 후퇴거리를 한정하는 걸림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KR2019960047854U 1996-12-11 1996-12-11 감시용 카메라 KR199800348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854U KR19980034899U (ko) 1996-12-11 1996-12-11 감시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854U KR19980034899U (ko) 1996-12-11 1996-12-11 감시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899U true KR19980034899U (ko) 1998-09-15

Family

ID=5398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854U KR19980034899U (ko) 1996-12-11 1996-12-11 감시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8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117A (ko) * 2001-07-11 2003-01-23 에무.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304B1 (ko) * 2008-04-03 2009-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117A (ko) * 2001-07-11 2003-01-23 에무.디.아이 가부시키가이샤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4304B1 (ko) * 2008-04-03 2009-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차용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049A (en) Optical apparatus having lens system change-over mechanism
US7546028B2 (en) Inclination angle adjusting mechanism for image pickup device
EP0671643B1 (en) Camera and viewfinder assembly
US862825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mechanism to suppress mirror bounce
KR19980034899U (ko) 감시용 카메라
US7352963B2 (en) Camera
KR200151057Y1 (ko) 감시용 카메라
KR19980057128U (ko) 감시용 카메라
US10708513B2 (en) Shutter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US5327292A (en) Lens barrel attachment
CA3099169C (en) Camera with lockable axes of rotation
JPH095849A (ja) レンズ位置検出装置
JP2000180693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JP3214300B2 (ja) 補助レンズ系切り換え機構を有したレンズ鏡筒
US6416240B1 (en) Aperture and lens mechanism
JP2006178095A (ja) カメラ用レンズバリア装置
US4459017A (en) Magnification changing device in a copying machine
JPH10161000A (ja) 固定焦点レンズ式カメラ
JPH06174991A (ja) レンズ偏心調整方法及びレンズ装置
KR200194828Y1 (ko) 감시용카메라의초점조절장치
JP2830272B2 (ja) 撮影レンズ鏡胴
CN218805614U (zh) 车载摄像装置
US4299460A (en) Automatic focusing unit for camera
KR0117620Y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JP3424217B2 (ja) 撮影レンズのマウン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