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353B1 -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353B1
KR100994353B1 KR1020057010782A KR20057010782A KR100994353B1 KR 100994353 B1 KR100994353 B1 KR 100994353B1 KR 1020057010782 A KR1020057010782 A KR 1020057010782A KR 20057010782 A KR20057010782 A KR 20057010782A KR 100994353 B1 KR100994353 B1 KR 10099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ed silicone
powder
silicone powder
inorganic fine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700A (ko
Inventor
요시츠구 모리타
가즈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4Treatment for improving the free-flowing characteri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을 부착시키고, 당해 무기질 미세 분말(B)에 계면활성제(C)를 부착시킨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및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경화 실리콘 분말, 무기질 미세 분말, 계면활성제.

Description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Composite cured silicone powder,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aqueous composition}
본 발명은 경화 실리콘 분말 및 무기질 미세 분말을 함유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화 실리콘 분말은 화장품, 도료, 잉크, 열경화성 유기수지, 열가소성 유기수지 등의 첨가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열경화성 유기수지의 내부 응력 완화제나 유기수지 필름의 표면 윤활제로서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화 실리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를 그라인더에 의해 분쇄하는 방법;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분무 건조기 등에 의해 분무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59-68333호 참조]; 액상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수중에 분산시킨 상태로 경화시키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2-243621호, 제(소)63-77942호, 제(소)63-202658호 및 제(소)64- 70558호 참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득한 경화 실리콘 분말은 응집성이 강하므로 유동성이 나쁘며, 또한 수성 도료, 화장품 등의 수성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결핍된다. 경화 실리콘 분말이 수성 조성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으며 응집된 상태로 수성 조성물 중에 존재하면 수성 도료의 경우에는 경화 실리콘 분말에 의한 균일한 염소(艶消) 효과(delustering effect)가 수득되지 않는 문제가 일어나며 화장품의 경우에는 촉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경화 실리콘 분말의 표면에 무기질 미세 분말을 부착시켜 유동성을 향상시킨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4-348143호, 제(평)5-l79144호 및 제(평)7-102075호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이 수득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친수성이 결핍되며, 이것을 수성 조성물에 배합하는 경우에는 수성 조성물에 대한 친화성이 결핍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7-196815호에는 실리콘 고무 분말 표면을 폴리오가노실세스퀴옥산 수지로 피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08709호에서는 오일을 함유하는 실리콘 분말을 무기질 미립자로 피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각각, 친수성이나 수성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불충분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및 이러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을 부착시키고, 당해 무기질 미세 분말(B)에 계면활성제(C)를 부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은 금속 산화물 미세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의 비표면적은 10m2/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은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은 실리콘 고무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서는 경화 실리콘 분말(A)과 무기질 미세 분말(B)을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한 후, 이것과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을 부착시키고, 당해 무기질 미세 분말(B)에 계면활성제(C)를 부착시킨 것이다.
경화 실리콘 분말(A)
경화 실리콘 분말(A)이란 오가노실란이나 오가노폴리실록산 등을 가교결합 반응으로 경화시켜 분말화한 것이며 실록산 결합을 구조중에 포함하는 것이다. 경화 실리콘 분말(A)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겔 분말, 실리콘 고무 분말, 실리콘 수지 분말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실리콘 고무 분말이 경도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등의 용도에 맞추어서 각종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로서는 예를 들면, 부가 반응, 축합 반응, 유기 과산화물, 자외선 등에 의해 경화하여 수득한 것이며, 특히 부가 반응이나 축합 반응에 의해 수득한 경화 실리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실리콘 분말(A)의 물리적 특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것이 실리콘 고무 분말인 경우에는 이의 JIS A 경도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평균 입자 직경은 0.1 내지 500㎛의 범위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의 범위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10O㎛의 범위내이다. 이것은 평균 입자 직경이 이 범위 하한치보다 작은 경화 실리콘 분말의 표면에 무기질 미세 분말을 부착시키는 것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이 범위 상한치보다 큰 경화 실리콘 분말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수성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결핍되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경화 실리콘 분말(A)은 비가교결합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비가교결합 오일은 경화 실리콘 분말(A)중에 단순히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말로부터 자연스럽게 삼출(渗出)되거나 또한, 유기용매에 의해 추출할 수 있는 오일이다. 비가교결합 오일로서는 예를 들면,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 비가교결합 유기 오일이 예시된다.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실리콘 오일이며, 이의 분자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직쇄상, 일부 측쇄를 갖는 직쇄상, 환상, 측쇄상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로서는 분자쇄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당해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기 일부를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로 치환시킨 폴리실록산 등의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이 일반적이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는 반응이 부가 반응인 경우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중에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을 미리 포함시킨 경우,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로서는 상기한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 이외에 분자쇄 양 말단 실란올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이러한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를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로 치환시킨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 또한 이러한 부가 반응에 관여할 수 있지만, 미반응 상태로 잔류하는 분자쇄 양 말단 디메틸비닐실록시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차단 디메틸실록산과 메틸비닐실록산과의 공중합체, 분자쇄 양 말단 디메틸하이드로겐실록시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분자쇄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차단 디메틸실록산·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공중합체, 이러한 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를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 등으로 치환시킨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이 예시된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는 반응이 축합 반응인 경우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기 위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중에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을 미리 함유시키는 경우,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로서는 상기한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 이외에 이러한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의 메틸기의 일부를 알케닐기로 치환시킨 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 및 이러한 축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지만, 미반응 상태로서 잔류하는 분자쇄 양 말단 실란올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이러한 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일부를 메틸기 이외의 알킬기, 알케닐기, 페닐기,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기로 치환시킨 실리콘 오일이 예시된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비가교결합 실리콘 오일을 나중에 함침하는 경우, 당해 실리콘 오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비가교결합 유기 오일로서는 유동 파라핀, 헥실 라우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2-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2-옥틸도데실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라놀린 아세테이트, 스테아릴 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올레일 알콜,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호호바유, 참기름, 해바라기씨유, 대두유, 동백유, 스쿠알란, 퍼시크유, 피마자유, 밍크유, 면실유, 야자유, 난황유, 우지, 돈지, 글리콜 에스테르 오일(예: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올레이트 및 네오펜틸 글리콜-2-에틸헥사노에이트), 다가 알콜 에스테르 오일(예: 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야자유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 오일(예: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세틸 에테르)이 예시된다. 이들 유기 오일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중에 미리 함유시킬 수 있으며 경화 실리콘 분말(A)에 함침시킬 수 있다.
이들 비가교결합 오일은 액상이며, 이의 25℃에서의 점도는 예를 들면, 1 내지 100,000cP,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000cP, 특히 5 내지 10,000cP의 범위내이다. 이것은 25℃에서의 점도가 이 범위 하한치보다 작은 오일은 휘발성이 있고 수득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에 계속적인 발수성을 부여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는 한편, 이 범위 상한치보다 큰 오일을 사용하면, 평균 입자 직경이 10O㎛ 이하인 경화 실리콘 분말을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거나 경화 실리콘 분말에 함침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가교결합 오일로서는 경화 실리콘 분말과의 친화성이 우수하고 계속적인 발수성을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에 부여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상기한 실리콘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 실리콘 분말(A)에 함유되어 있는 비가교결합 오일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비가교결합 오일을 함유하는 경화 실리콘 분말(A)중의 8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질량%의 범위내이다. 이것은 경화 실리콘 분말(A)중의 비가교 오일의 함유량이 이 범위 상한치보다 많아지면 경화 실리콘 분말(A)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거나 수득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로부터 비가교결합 오일이 통상적인 상태에서도 삼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경화 실리콘 분말(A) 중의 비가교 오일의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면 수득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에 충분한 친수성을 부여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경화 실리콘 분말(A)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i) 내지 (iii) 등의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득한 실리콘 경화물을 그라인더 등의 분쇄기에 의해 분쇄하는 방법, 하기(i) 내지 (iii) 등의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분무 건조기 등의 분무기에 의해 분무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및 하기(i) 내지 (iii) 등의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물 또는 계면활성제 수용액 중에 분산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규소원자 결합수소 원자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비가교결합성 오일 및 백금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부가 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i),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규소원자에 결합되는 하이드록실기 또는 알콕시기, 옥심기, 아세톡시기, 아민옥시기 등의 가수분해성 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산,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규소원자에 결합하는 알콕시기, 옥심기, 아세톡시기, 아민옥시기 등의 가수분해성기를 갖는 실란계 가교결합제, 비가교결합성 오일 및 유기 주석 화합물, 유기 티탄 화합물 등의 축합 반응 촉매로 이루어진 축합 반응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ii),
1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갖는 디오가노폴리실록산, 비가교결합성 오일 및 유기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유기 과산화물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iii).
이들 경화 실리콘 분말(A)을 제조하는 방법 중에서도, 수성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한 구상의 경화 실리콘 분말(A)을 수득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물 또는 계면활성제 수용액 중에 분산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균질기, 콜로이드 밀 등의 교반 장치나 초음파 진동기 등의 혼합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제조하기 전에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미리 냉각하여 이의 경화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계 분산액 속에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입자상으로서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질량부이다. 여기서 첨가되는 계면활성제는 후술하는 계면활성제(C)와는 상이한 것이며, 또한 임의 성분이다. 또한, 물의 첨가량은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2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40 내지 1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물의 첨가량이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40질량부 미만이면 균일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이것이 2000질량부를 초과하면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악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하는 물은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이 안정되기 쉬운 점으로부터 금속 이온이나 할로겐 이온이 적고 전기전도도가 1μS/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전기전도도가 0.5μS/cm 이하인 이온교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가열 또는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이러한 수분산액 중의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경화시켜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수계 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이의 가열 온도는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가열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당해 수계 분산액을 직접 가열하는 방법, 당해 수계 분산액을 열수중에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수계 분산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함으로써 경화 실리콘 분말(A)을 제조할 수 있다.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수계 분산액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진공 건조기, 열풍 순환식 오븐, 분무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무기질 미세 분말(B)
무기질 미세 분말(B)은 적어도 이의 일부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중에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부착이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전체를 피복하도록,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 또는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의 일부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편재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일부의 무기질 미세 분말(B)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서 탈락한 상태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무기질 미세 분말(B)은 적어도 이의 일부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응집을 억제하고,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유동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무기질 미세 분말(B)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규소,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안티몬 등의 금속 산화물 미세 분말;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질화물 미세 분말;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산화물 미세 분말; 탄산칼슘 등의 금속 탄산염; 니켈, 코발트, 철, 구리, 금, 은 등의 금 속 미립자; 운모, 활석, 고령석, 스멕타이트, 할로이사이트, 납석, 질석,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점토 광물; 기타, 황화물 미세 분말, 염화물 미세 분말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한 점에서 비용적으로 유리하므로 금속 산화물 미세 분말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리카 미세 분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은 오가노알콕시실란, 오가노클로로실란, 오가노실라잔 등의 유기규소 화합물에 의해 미리 소수화처리될 수 있다.
무기질 미세 분말(B)의 입자 직경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입자 직경이면 양호하며 구체적으로는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하여 1/10이하의 입자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은 2차 응집입자라도 양호하지만, 이의 분산성 부여효과의 점에서, 이의 비표면적이 10m2/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표면적은 BET 비표면적에 따른 값이다.
계면활성제(C)
계면활성제(C)는 적어도 이의 일부가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중에 존재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부착이란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을 피복하도록,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에 계면활성제(C)가 피복 또는 흡착되어 있는 상태, 또는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의 일부에 계면활성제(C)가 편재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또한, 일부의 계 면활성제(C)는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 흡수된 상태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중에 존재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계면활성제(C)는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로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중에 존재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친수성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계면활성제(C)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수득한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의 분산성의 점에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친유성 또는 친수성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등의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 모노면실유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 글리세린, 말산 글리세린 등의 글리세린지방산류;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알킬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이하, POE) 소 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 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등의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소르비톨 모노라우레이트, POE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톨 펜타올레에이트, POE 소르비톨 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 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모노올레에이트, POE 모노스테아레이트, POE 디스테아레이트, POE 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 에틸렌 글리콜 등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류; POE 라우릴 에테르, POE 올레일 에테르, POE 스테아릴 에테르, POE 베헤닐 에테르, POE-2-옥틸 도데실 에테르, POE 콜레스탄올 에테르 등의 POE 알킬 에테르류; POE 옥틸 페닐 에테르, POE 노닐 페닐 에테르, POE 디노닐 페닐 에테르 등의 POE 알킬 페닐 에테르류; 풀로닉(Pulronic)(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형 계면활성제; POE-폴리옥시프로필렌(이하, POP) 세틸에테르, POE-POP-2-데실 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 모노부틸 에테르, POE-POP 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 글리세린 에테르 등의 POE-POP 알킬에테르류; 테트로닉 등의 테트라POE-테트라POP 에틸렌 디아민 축합물류; POE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 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탐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의 POE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소르비톨 밀납 등의 POE 밀납-라놀린 유도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 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 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 아미드 등의 알칸올 아미드, POE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 테르, POE 알킬 아민, POE 지방산 아미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POE 노닐 페닐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 에톡시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에틸렌 글리콜류,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에틸렌류, 디메틸폴리실록산-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중합체류, 디메틸폴리실록산-메틸(폴리옥시에틸렌)실록산 공중합체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배합할 때에 액체로서 취급하기 쉬운 점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기 함유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며 특히,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알킬에테르로서, 이러한 알킬에테르 중의 알킬기의 10질량% 이상이 탄소수 13의 알킬기인 것,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릴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 비이온성 활성제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대한 무기 미립자(B)나 계면활성제(C)의 부착량은 조정된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가 충분한 유동성 및 친수성을 갖는 정도이면 양호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입자 직경에 따라 무기 미립자(B)나 계면활성제(C)의 부착량은 변동되지만, 무기 미립자(B) 및 계면활성제(C)의 부착량은 바람직하게는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미립자(B)가 0.1 내지 30질량부, 계면활성제(C)가 0.1 내지 30질량부이다. 특히 바람직 하게는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에 대해 무기 미립자(B) 0.2 내지 10질량부, 계면활성제(C)가 0.2 내지 10질량부이다. 이것은 무기 미립자(B)나 계면활성제(C)의 양이 이 범위 외에서는 유동성이 악화되거나 친수성이 향상되기 어려운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첨가하여, 이들을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기계적 전단하에 이들 성분(A) 내지 (C)를 혼합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헨셀 믹서, 수퍼 믹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A) 내지 (C)를 혼합할 때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실온하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혼합 시간은 유동성이 결핍된 경화 실리콘 분말(A)이 이의 표면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부착됨으로써 유동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이 상태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서는 경화 실리콘 분말(A)과 무기 미세 분말(B)을 미리 혼합한 다음, 여기에 계면활성제(C)를 가하여 이들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된 무기 미립자(B)에 계면활성제(C)가 편재화하여,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서 무기질 미세 분말(B)의 첨가량은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을 피복하는데 충분한 양이면 양호하며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에 함유되어 있는 비가교결합 오일의 함유량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1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서 계면활성제(C)의 첨가량은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에 충분한 친수성을 부여하는 양이면 양호하며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에 첨가되는 무기질 미세 분말(B)의 배합량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5 내지 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조성물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하는 수성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배합한 수성 조성물로서는 수성 매체에 분산된 경화성 수지 조성물, 비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는 수성 분산체로 한 화장품 등의 액상 조성물을 예시할 수 있다. 수성 조성물 중의 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이 수상에 분산되기 쉬운 점으로부터 매트릭스상으로 하여 수성 매체가 존재하는 양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부착되며, 무기질 미세 분말(B)에 계면활성제(C)가 부착되는 것이므로 무기질 미세 분말(B)에 의한 유동성 및 분산성의 향상이 손상되지 않고 계면활성제(C)에 의해 친수성이 향상되어 있다. 즉,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계면활성제(C)만을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시키면 계면활성제(C)에 의해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응집을 조장하여 분산성을 나쁘게 하지만, 무기질 미세 분말(B)을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계면활성제(C)가 무기질 미세 분말(B)에 편재하여, 계면활성제(C)에 의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응집을 억제하는 동시에 계면활성제(C)에 의한 친수성이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에 부여된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기 때문에 수성 조성물에 대한 친화성이나 분산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수성 도료나 수성 화장품 등의 수성 조성물의 염소, 감촉 향상, 균열 방지, 저탄성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첨가제나 개질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 중의 점도는 25℃에서 측정한 값이다.
경화 실리콘 분말(A) 및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 하였다.
경화 실리콘 분말의 JIS A 경도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원료인 경화성 실리콘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경화시켜 이의 경도를 JIS K6301에 규정되어 있는 JIS A 경도계에 의해 측정하였다.
경화 실리콘 분말 중의 비가교결합 오일의 함유량
경화 실리콘 분말(A) 100g에 톨루엔 1000g을 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분산액을 교반기, 예를 들면, 호모디스퍼서를 사용하여 10OOrpm에서 10분 동안, 또한 500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이것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다음에 이러한 분산액을 다시 호모디스퍼서를 사용하여 500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분산액을 여과지에 의해 여과하여 여액을 채취하였다. 그리고, 여과지 위에 잔류하는 경화 실리콘 분말에 톨루엔 750g을 가하여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러한 분산액을 호모디스퍼서를 사용하여 10OO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러한 분산액을 여과지에 의해 여과하여 여액을 채취하였다. 이러한 여액을 먼저 채취한 여액과 합쳐서, 증발기를 사용하여 80℃에서 70mmHg의 조건하에 톨루엔을 증류 제거하였다. 수득한 오일의 점도 및 질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오일을 양성자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분석,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및 적외선 분광 분석하여, 당해 오일의 성분을 특정하였다.
평균 입자 직경
경화 실리콘 분말(A) 또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수분산액 또는 에탄올 분산액을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기(호리바 세이사쿠쇼의 LA-500)에 의해 측 정하고 중앙값 직경(누적 분포의 50%에 상당하는 입자 직경, 50% 입자 직경)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하였다.
유동성
경화 실리콘 분말(A) 또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알파인(Alpine)사제 에어 제트 시브 체를 사용하여, 100메쉬(눈 구멍 = 150㎛)로써 메쉬 온하는 이들 분말의 질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친수성
100㎖의 물에 경화 실리콘 분말(A) 또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1g을 가하고, 이것을 교반기로 혼합한다. 경화 실리콘 분말(A) 또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이 물에 배어들지 않으며 수면에 뜬 채로 있는 것을 발수성으로서 (××)로 나타내며 또한, 물에 배어들지만 수중에 분산하지 않은 것을 (×), 수중에 분산되는 것을 (○)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각 성분은 하기와 같다.
경화 실리콘 분말(A)
(A-1) 부가 경화형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실리콘 고무 분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2질량% 함유, 20 내지 30량체의 폴리디메틸실록산 환상체를 2.8질량% 함유, 평균 입자 직경 4㎛, JIS-A 경도: 30.
(A-2) 부가경화형 폴리디메틸실록산의 실리콘 고무 분말: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1.5질량% 함유, 20 내지 30량체의 폴리디메틸실록산 환상체를 2.8질량% 함유, 평균 입자 직경 4㎛, JIS-A 경도: 30.
무기 미립자(B)
에어로실-200: 니혼 에어로실사제, 평균 1차 입자 직경 5 내지 15nm, BET 비표면적 200m2/g, 건식법 실리카, 표면 실란올 밀도 4.2개/nm2.
계면활성제(C)
에틸렌옥사이드(12몰 부가)의 2급 도데실에테르와 2급 트리데실에테르의 혼합물: 도데실기 43질량%, 트리데실기 57질량%, HLB= 14.5
실시예 1
수퍼 믹서(헨셀형 믹서, 가와타사제 V-20, 내용적 20ℓ)에 실리콘 고무 분말(A-1)을 투입하고 실온에서 회전수 2000회전으로 약 2분 동안 교반하여, 블록상의 괴를 분쇄하였다. 여기에 무기 미립자(B)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회전수 2000회전으로 3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계면활성제(C)를 투입하고, 실온에서 회전수 2000회전으로 2분 동안 혼합한다. 여기서, 실리콘 고무 분말(A-1), 무기 미립자(B) 및 계면활성제(C)는 합계량이 1kg으로 되도록 질량비(A-1/B/C)= 20/2.9/1.1로 배합하였다.
수득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친수성 및 유동성을 평가하고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경화 실리콘 분말(A)의 종류 및 배합량, 무기 미립자(B) 및 계면활성제(C)의 배합량을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또는 경화 실리콘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및 경화 실리콘 분말의 친수성 및 유동성을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조성
(질량비)

실리콘 고무 분말(A-1) 20 20 20 20
실리콘 고무 분말(A-2) 20 20
무기질 미세 분말(B) 2.9 3.4 2.9
계면활성제(C) 1.1 1.6 1.1 1.6
특성
친수성
Figure 112008063799208-pct00001
Figure 112008063799208-pct00002
×× ×× × ××
유동성(mass%) 99 99 52 99 31 98
실시예 3
실시예 1의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 40질량부, 실리콘 처리 산화티탄 1질량부, p-메톡시신남산 옥틸 5질량부, 점도 20mPa·s의 분자쇄 양 말단 트리메틸실록시기 차단 디메틸폴리실록산 10질량부, 폴리옥시에틸렌(40몰 부가물)경화피마자유 3질량부, 스쿠알란 30질량부, 글리세린 5질량부, 밀납 3질량부,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및 정제수 적량을 밀(소형 분쇄기 SM-1, 이나이모리에이사제, 내용적 58.5cc)로 5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예 3의 크림상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화장품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여기서, 화장품 중의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의 입자 직경을 유리판에 확대한 화장품 중의 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개수로 계산하였다. 배합성은 크림상 화장품의 점도 상승의 정도로 판단하였다. 즉, 분산 불량은 큰 점도 상승을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7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를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4의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7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화장품의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배합성 분산 용이 분산 용이 분산 불량 분산 불량 분산 불량
피부의 감촉 양호 양호 거칠음 매우 거칠음 거칠음
화장품 중의 경화 실리콘 입자의 분산 상태(%)
50㎛ 미만 100 100 30 80 40
50㎛ 이상 0 0 70 20 60
실시예 5
실시예 1의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 20질량부와 수성 도료(캄페 파피오사제 수성 광택을 1회 도포, 하늘색, 아크릴 수지계 도료) 100질량부를 덴탈 믹서로 20초 동안 혼합 교반하여, 실시예 5의 수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수성 도료 조성물을 알루미늄판에, 알루미늄판에 붙여진 셀로판 테이프(40㎛ 두께)로 도포막의 두께를 제어하면서 도포한 다음, 실온에서 드래프트에서 1주간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건조 도포막의 두께는 약 20 내지 50㎛이었다. 이러한 수성 도료 조성물의 평가 결과를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표 3에 기재하였다.
여기서, 도포막 중의 경화 실리콘 입자의 분산상태는 도포막 중의 입자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개수로 계산하였다. 배합성은 도료 조성물의 점도 상승의 정도로 판단하였다. 즉, 분산 불량은 큰 점도 상승을 확인한 것이었다.
실시예 6, 비교예 8 및 비교예 9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를 실시예 2, 비교예 2 또는 비교예 3의 복합 경화 실리콘 입자로 변경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 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수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수성 도료 조성물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8 비교예 9
배합성 분산 용이 분산 용이 분산 불량 분산 불량
염소 효과 부드러운 염소 부드러운 염소 거칠음 매우 거칠음
도막 표면의 경화 실리콘 입자의 분산 상태(%)
50㎛ 미만 100 100 10 80
50㎛ 이상 0 0 90 2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에 무기질 미세 분말(B)이 부착되고, 무기질 미세 분말(B)에 계면활성제(C)가 부착되는 것이므로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는다. 이러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첨가한 수성 도료는 균일한 염소 효과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첨가한 수성 화장품은 감촉이 양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은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는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이 금속 산화물 미세 분말, 특히 실리카인 경우, 이의 입수의 용이함으로 원가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무기질 미세 분말(B)의 비표면적이 10m2/g 이상이면, 보다 우수한 유동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경화 실리콘 분말(A)이 실리콘 고무 분말이면, 용도에 맞춘 다양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은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는 방법이므로 우수한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을 갖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에서 경화실리콘 분말(A)과 무기질 미세 분말(B)을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한 후, 이것과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도록 하면 유동성, 친수성 및 분산성이 보다 향상된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하는 것이므로 균일한 염소 효과를 갖는 수성 도료, 감촉이 양호한 수성 화장품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12)

  1.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
    경화 실리콘 분말(A)의 표면에 피복된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무기질 미세 분말(B)의 표면에 피복된 계면활성제(C)를 포함하고,
    이때, 무기질 미세 분말(B)의 양은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중의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당 0.1 내지 30질량부이고,
    계면활성제(C)의 양은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중의 경화 실리콘 분말(A) 100질량부당 0.1 내지 30질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질 미세 분말(B)이 금속 산화물 미세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질 미세 분말(B)의 비표면적이 10m2/g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무기질 미세 분말(B)이 실리카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이 실리콘 고무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7. 평균 입자 직경이 0.1 내지 500㎛인 경화 실리콘 분말(A), 무기질 미세 분말(B) 및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경화 실리콘 분말(A)과 무기질 미세 분말(B)을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한 다음, 이것과 계면활성제(C)를 기계적 전단하에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의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르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10. 제4항에 따르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11. 제5항에 따르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12. 제6항에 따르는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조성물.
KR1020057010782A 2002-12-13 2003-12-08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 KR100994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2557 2002-12-13
JP2002362557 2002-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700A KR20050092700A (ko) 2005-09-22
KR100994353B1 true KR100994353B1 (ko) 2010-11-16

Family

ID=325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782A KR100994353B1 (ko) 2002-12-13 2003-12-08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99803B2 (ko)
EP (1) EP1584642B1 (ko)
JP (1) JP4646632B2 (ko)
KR (1) KR100994353B1 (ko)
AU (1) AU2003289247A1 (ko)
WO (1) WO2004055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350B2 (ja) * 2005-01-05 2012-05-16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複合シリコーンゴム粉末、その製造方法、塗料、および化粧料
DE102006014875A1 (de) 2006-03-30 2007-10-04 Wacker Chemie Ag Partikel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JP5024205B2 (ja) * 2007-07-12 2012-09-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2009057500A (ja) * 2007-08-31 2009-03-19 Dow Corning Toray Co Ltd 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5864828B2 (ja) * 2007-08-31 2016-02-17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パウダ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98444B2 (ja) * 2009-07-27 2015-04-08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複合硬化シリコーン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29187B2 (ja) 2009-11-11 2013-07-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複合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EP2609140B1 (en) 2010-08-23 2014-06-11 Dow Corning Corporation Emulsions containing saccharide siloxane copolymer emulsifi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CN103154093B (zh) 2010-08-23 2015-08-26 道康宁公司 糖硅氧烷共聚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US9492369B2 (en) 2010-08-23 2016-11-15 Dow Corning Corporation Emulsions containing saccharide siloxane copolymer emulsifier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JP5607001B2 (ja) * 2011-08-11 2014-10-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24015A1 (en) * 2012-02-07 2015-01-22 Xinyan Bao Aqueous Suspension Of Composite Silicone Powder, W/O Emulsion and Cosmetics
JP5996085B2 (ja) * 2013-02-27 2016-09-21 株式会社朝日ラバー 白色反射膜用インク、白色反射膜用粉体塗料及び白色反射膜の製造方法
JP6304803B2 (ja) * 2014-01-20 2018-04-04 日本化薬株式会社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6707516B2 (ja) * 2015-02-25 2020-06-10 ダウ・東レ株式会社 硬化性粒状シリコー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793685B2 (en) 2015-10-28 2020-10-06 Dow Toray Co., Ltd. Cosmetic composition, cosmetic,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US20200123409A1 (en) * 2017-01-19 2020-04-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ating composition, optical member, and illuminator
EP4047038A4 (en) * 2019-10-15 2023-10-18 Sekisui Chemical Co., Ltd. OPTICAL BONDING PARTICLES, ADHESIV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572A (en) * 1978-08-29 1980-07-01 Nl Industries, Inc. Coupling agents for thermosetting composites
US4210571A (en) * 1978-09-28 1980-07-01 Nl Industries, Inc. Surfactants and their use as coupling agents in thermosetting polymers
US4356098A (en) * 1979-11-08 1982-10-26 Ferrofluidics Corporation Stable ferrofluid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968333A (ja) * 1982-10-12 1984-04-18 Toray Silicone Co Ltd 線状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ブロツクを含有するポリマもしくはポリマ組成物の球状硬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687596A (en) * 1985-03-20 1987-08-18 Ferrofluidics Corporation Low viscosity, electrically conductive ferrofluid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S62243621A (ja) * 1986-04-17 1987-10-24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コ−ンゴム粒状物の製造方法
JPS6377942A (ja) 1986-09-22 1988-04-08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コ−ンゴム粒状物の製造方法
US4743670A (en) * 1986-09-22 1988-05-10 Toray Silicone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ilicone rubber powder
JPS63202658A (ja) 1987-02-18 1988-08-22 Toray Silicone Co Ltd シリコ−ンゴム粒状物の製造方法
JPH0768389B2 (ja) * 1987-07-07 1995-07-2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非粘着性シリコ−ンゲル成形体
JPS63125580A (ja) * 1987-10-23 1988-05-28 Nippon Kokuen Kogyo Kk 導電性粉体塗料の製造方法
FR2641789B1 (fr) * 1989-01-19 1991-03-22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particules non collantes a base d'une composition organopolysiloxane reticulee par des reactions de polyaddition
JP3059776B2 (ja) * 1991-05-27 2000-07-04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ゴム粉状物の製造方法
JP3337232B2 (ja) 1991-12-26 2002-10-21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シリコーン硬化物微粒子と無機質微粒子からなる粉体混合物の製造方法
JP3135079B2 (ja) 1991-12-27 2001-02-13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JP3264392B2 (ja) * 1993-06-14 2002-03-11 花王株式会社 複合樹脂粉末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318408B2 (ja) 1993-10-06 2002-08-26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粉状シリコーン硬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32143B2 (ja) * 1993-12-28 1998-12-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シリコーン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26316A (ja) * 1994-02-14 1995-08-22 Toyohisa Fujita 磁性エレクトロレオロジー流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384864B2 (ja) * 1994-03-17 2003-03-10 豊田合成株式会社 表面改質された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US5945471A (en) * 1995-11-30 1999-08-31 Dow Corning Toray Silicone Co., Ltd. Composite cured silicone powd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561106B2 (ja) * 1995-11-30 2004-09-02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複合硬化シリコーン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62840A (en) * 1996-04-18 1998-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microporous fibers with improved properties
US5766760A (en) * 1996-09-04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fibers with improved properties
US6068785A (en) * 1998-02-10 2000-05-30 Ferrofluidics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oil-based ferrofluid
JP3669196B2 (ja) * 1998-07-27 2005-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粘着シート
JP4019254B2 (ja) * 2002-04-24 2007-12-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導電性樹脂組成物
US7063802B2 (en) * 2003-03-28 2006-06-20 Ferrotec Corpo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an element-modified ferro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5099A1 (ja) 2004-07-01
EP1584642A1 (en) 2005-10-12
KR20050092700A (ko) 2005-09-22
JP4646632B2 (ja) 2011-03-09
EP1584642B1 (en) 2012-08-08
US7399803B2 (en) 2008-07-15
US20060058440A1 (en) 2006-03-16
JPWO2004055099A1 (ja) 2006-04-20
EP1584642A4 (en) 2008-06-11
AU2003289247A1 (en) 200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353B1 (ko) 복합 경화 실리콘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 수성 조성물
EP0779322B1 (en) Composite cured silicone powd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5945471A (en) Composite cured silicone powder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W555567B (en) External-use composition
EP0964023B1 (en) Silicone oil emulsion,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182022B1 (en) Silicone microparticles comprising silicone elastomer spherical microparticles coated with polyorganosilesquioxan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2182023B1 (en) Silicone microparticles comprising silicone elastomer spherical microparticles coated with polyorganosilsesquioxan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EP1074576B1 (en) Method for preparing crosslinked organic particles and suspensions
EP1576055B1 (en) Composite silicone rubber particles and method of their manufacture
JP3105912B2 (ja) 高強度シリコーンゴム粒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44048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系エラストマー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77175B1 (ko) 에멀젼 및 에멀젼과 오일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EP2459640B1 (en) Composite cured silicon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561106B2 (ja) 複合硬化シリコーン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417253B1 (en) Aqueous suspension of cross-linked silicone particles and aqueous emulsion of oil containing cross-linked silicone particles
JP7426283B2 (ja) ポリエーテル/ポリシロキサン架橋ゴム球状粒子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ポリエーテル/ポリシロキサン架橋複合粒子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JP2000281903A (ja) エマルジョ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オイ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4751516B2 (ja) 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9367B2 (ja) 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80244A5 (ko)
JPH08269401A (ja) 艶出し剤
JPH11293110A (ja)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408A (ja) 艶出し剤
JP2021105150A (ja) シリコーン弾性体粒子及び空隙を有する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粒子、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00026724A (ja) シリコーンゲルサスペンジョ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