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055B1 -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055B1
KR100994055B1 KR1020080004707A KR20080004707A KR100994055B1 KR 100994055 B1 KR100994055 B1 KR 100994055B1 KR 1020080004707 A KR1020080004707 A KR 1020080004707A KR 20080004707 A KR20080004707 A KR 20080004707A KR 100994055 B1 KR100994055 B1 KR 10099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polyester
polyester resin
weight
impact modifier
rubber la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876A (ko
Inventor
김윤호
김건수
남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0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055B1/ko
Priority to JP2010543048A priority patent/JP5510869B2/ja
Priority to CN2008801235863A priority patent/CN101910300B/zh
Priority to PCT/KR2008/007646 priority patent/WO2009091124A2/en
Priority to US12/812,088 priority patent/US8252867B2/en
Publication of KR20090078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reformed graft polym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Edge illuminated signs, boards or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6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내층의 입경(Pa)과 외층의 입경(Pb)의 비(Pb/Pa)가 1.05 내지 1.5이고,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이하인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 20 내지 80 중량%; 및 b) 비닐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라텍스의 함량, 유리전이온도, 입경 및 굴절률이 조절된 다층구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를 포함하여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충격 강도, 투명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고무라텍스, 그라프트 공중합체, 입경, 굴절률

Description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Impact Strength Modifiers For Thermoplastic Polyester An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무라텍스의 함량, 유리전이온도, 입경 및 굴절률이 조절된 다층구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를 포함하여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충격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충격보강제인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었으나, 충격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 그 이외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117,034호, 제4,180,494호 등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부타디엔 기재 의(butadiene-based) 코어를 가진 코어-쉘 타입의 폴리머를 충격보강제로 첨가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투명성을 고려한 연구의 일환으로 미국특허 제5,321,056호, 제5,409,967호 등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쉘이 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충격보강제를 첨가하여,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경우 충분한 수준으로 충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없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0011호, 제2003-0018671호, 제2007-0021894호 등은 폴리염화 수지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를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사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나, 이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적용 시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고무라텍스의 함량, 유리전이온도, 입경 및 굴절률이 조절된 다층구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를 포함하여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내층의 입경(Pa)과 외층의 입경(Pb)의 비(Pb/Pa)가 1.05 내지 1.5이고,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이하인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 20 내지 80 중량%; 및 b) 비닐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여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라텍스의 함량, 유리전이온도, 입경 및 굴절률이 조절 된 다층구조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를 포함하여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인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에,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기질로 사용되는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의 내층과 외층의 유리전이온도 및 입경비 등을 조절하면, 제조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충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또한 이렇게 제조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 차이를 0.005 보다 작게 조절하면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만들어짐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는, a) 내층의 입경(Pa)과 외층의 입경(Pb)의 비(Pb/Pa)가 1.05 내지 1.5이고,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이하인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 20 내지 80 중량%; 및 b) 비닐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 체로 그 굴절률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시 사용하는 고무라텍스의 굴절률과 함량, 그라프팅되는 단량체의 성분 및 함량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굴절률은 A 물질과 B 물질로 이루어진 C 물질의 굴절률로 설명할 수 있는데,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1]
RIC = RIA * WtA + RIB * WtB
여기서, RIC는 C의 굴절률, RIA는 A의 굴절률, WtA는 A의 중량비(A의 중량/(A의 중량 + B의 중량)), RIB는 B의 굴절률 및 WtB는 B의 중량비이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 20 내지 80 중량%에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으로 제조된다.
상기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는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며, 내층의 입경(Pa)에 대한 외층의 입경(Pb)의 비(Pb/Pa)는 1.05 ~ 1.5이고, 바람직하게는 1.1 ~ 1.3이며,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는 -30 ℃ 이하인 것이 충격강도 향상에 좋다. 상기 입경비(Pb/Pa)가 1.05 보다 작거나 1.5 보다 클 경우 충격 강도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또 내층과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모두 -30 ℃ 보다 높을 경우에도 충격 강도 개선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고무라텍스는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 및 가교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 및 가교제 등의 종류와 함량 등을 조절하여 고무 라텍스의 유리전이온도와 굴절률을 조절할 수 있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종류와 원하는 물성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공액디엔계 단량체,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 및 이들의 가교에 사용되는 가교제의 함량 등은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고무라텍스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액디엔계 단량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라텍스의 제조에 사용되는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은 고무라텍스의 굴절률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굴절률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산란을 억제, 투명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페닐나프탈렌, 비닐나프탈렌, C1 내지 C3의 알킬기가 치환된 알킬스티렌, 및 할로겐이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라텍스 제조 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가교제는 고무 라텍스의 가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교제의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고무라텍스 제조시 사용되는 총 단량체(가교제포함) 100 중량% 대비 5 중량% 이하로 사용될 수 있으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충격 강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2 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고무 라텍스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라텍스의 입경, 겔 함량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 라텍스 20 내지 80 중량%; 및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를 1 단계 또는 2 단계 이상의 다단계로 그라프트 유화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2 단계 이상의 다단계 중합에서는 고무 라텍스에 그라프팅되는 단량체 성분을 각 단계별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단, 1 단계 및 2 단계의 단량체 함량은 그라프트 되는 단량체의 종류와 목표로 하는 굴절률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시 고무라텍스의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충격강도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무라텍스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 부족으로 분산성과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비닐 단량체는 고무라텍스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을 높여주는 역할과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빛의 산란을 억제, 투명도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페닐나프탈렌, 비닐나프탈렌, C1 내지 C3의 알킬기가 치환된 치환된 스티렌, 및 할로겐이 치환된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과 같은 시안화 비닐 화합물; (메트)아크릴산; 및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 라텍스 제조 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응매체, 개시제, 유화제, 촉매, 안정제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통상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화제로는 유화중합 기술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칼륨염, 올레인산 칼륨염 등의 지방산 염과 약산의 알칼리 금속염들이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나트륨 퍼설페이트, 칼륨 퍼설페이트, 퍼옥시 화합물 등의 수용성 중합 개시제, 또는 큐멘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벤젠하이 드로 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니트릴, 3급 부틸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파라메탄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또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의 지용성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에 관해서는 실시예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고무라텍스 및 그라프트 중합 단계의 중합 조건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0 내지 95 중량%와 제 1항 내지 제 6항 기재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의 굴절률 차이가 0.0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그라프트 중합체의 굴절률을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과 동등하게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 관계는 하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식을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수학식 2]
|RIA - RIB| ≤ 0.005(바람직하게는 0.003)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분자 구조 내에 에스테르기(-COO-)를 가 지는 고분자 물질로, 투명성, 기계적 특성, 가스배리어성, 내열성 등의 물리적 성질, 내용제성, 내산성, 내알칼리성 등의 화학적 성질, 경제성 및 재이용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압출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을 통하여 가공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5 내지 50 중량% 및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0 내지 9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의 사용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및 안료 등의 첨가제를 통상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고무라텍스의 제조>
하기 화합물들의 중량%는 고무라텍스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고, 중량부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교반기가 장착된 120 리터 고압 중합 용기에 이온 교환수 150 중량부, 첨가제로 완충용액 0.5 중량부,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047 중량부, 황산 제1철 0.003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02 중량부 및 디이소프로필벤젠 하이드로퍼옥시드 0.1 중량부를 초기 충진시켰다.
여기에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15 중량%, 스티렌 34.5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여 40 ℃에서 6 시간 동안 중합을 실시하고, 투입된 단량체의 중합 전환율이 90 % 이상에서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45 중량%, 스티렌 4.5 중량%, 디비닐벤젠 0.5 중량% 및 올레인산 칼륨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60 ℃ 에서 6 시간 동안 중합하여 입경이 100 nm인 고무라텍스를 얻었고, 이의 최종 중합 전환율은 98 %였다.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하기 화합물들의 중량%는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된 상기 고무라텍스 및 새로 첨가된 단량체의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고, 중량부는 상기 고무라텍스와 새로 첨가된 단량체의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수득한 고무라텍스 45 중량%(고형분 기준)를 밀폐된 반응기에 투입한 후, 질소를 충진하고 여기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나트륨초산염 0.04 중량부, 황산 제1철 0.024 중량부, 나트륨포름알데히드 술폭시산 0.16 중량부를 투입한 후,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 및 스티렌 50 중량%와 올레인산 칼륨 1.0 중량부, 이온 교환수 55 중량부, 및 t-부틸 하이드로퍼옥시드 0.2 중량부를 60 ℃에서 2 시간 동안 투입한 후 1시간 동안 추가로 중합을 실시하였다.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의 제조>
상기 제조된 라텍스상의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염산으로 응고시켜 중합체와 물을 분리시킨 후 탈수 건조하여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수득하였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시트의 제조>
굴절률이 1.565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80 중량%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중량%를 혼합하여 압출기를 이용 250 ℃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펠렛을 다이 온도 220 ℃에서 T-다이 압출을 통하여 0.5 mm 두께의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0 중량%, 스티렌 39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0 중량% 만을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한 것만 다르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40 중량%, 스티렌 9.5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20 중량%, 스티렌 29.5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한 것만 다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7.5 중량%, 스티렌 12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7.5 중량%, 스티렌 12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과,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상기의 고무라텍스 30 중량%,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7 중량%, 스티렌 63 중량% 및 올레인산 칼륨 1.5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25 중량%, 스티렌 44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25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과,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상기의 고무라텍스 60 중량%,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4 중량% 및 스티렌 36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시트의 제조를 위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97 중량%와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3 중량%를 혼합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시트의 제조를 위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45 중량%와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55 중량%를 혼합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50 중량% 만을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50 중량%만을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과,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상기의 고무라텍스 18 중량%,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9 중량%, 스티렌 73 중량% 및 올레인산 칼륨 2.0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25 중량%, 스티렌 54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15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과,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상기의 고무라텍스 85 중량%,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5 중량%, 스티렌 13.5 중량% 및 올레인산 칼륨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50 중량%, 스티렌 39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10 중량%만을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15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45 중량%, 스티렌 34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0 중량%, 스티렌 19.5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0 중량%, 스티렌 19.5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8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7.5 중량%, 스티렌 12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 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37.5 중량%, 스티렌 12 중량% 및 디비닐벤젠 0.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비교예 9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고무라텍스의 제조 시 내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25 중량%, 스티렌 54 중량% 및 디비닐벤젠 1.0 중량%를 투입하는 것과 외층의 반응을 위해 부타디엔 15 중량% 및 스티렌 5 중량%를 투입하여 중합을 실시하는 것만 다르다.
[시험예]
* 굴절률 평가
굴절율은 Abbe 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25 ℃에서 측정하였다.
* 충격 강도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시트를 잘라 두께가 0.5 mm인 10cm × 14cm의 시편을 제작하여 25 ℃에서 2 시간 숙성 후 원형 톱날을 회전시키며 15 mm/초의 속도로 톱날에 가했을 때 시편이 50 % 깨지는 rpm을 측정하였다.
* 투명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한 시트를 130 ℃에서 가열 프레스를 이용하여 ASTM D1003 규격의 투명성 측정을 위한 3 mm 두께의 시편으로 제조하고 Haze Meter를 이용하여 Haze 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9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및 충격 강도와 여기에 사용된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 및 굴절률, 고무라텍스의 함량, 내층과 외층의 입경비, 내층과 외층의 유리전이온도 등을 각각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은 Haze 값이 5.0 이하인 것이, 충격 강도는 500 r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 고무라텍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 투명성
(Haze)
충격 강도
(rpm)
함량 Pb / Pa Tga Tgb
실시예 1 45 1.25 30 -50 20 1.564 3.7 680
실시예 2 45 1.13 10 -60 20 1.564 3.9 700
실시예 3 45 1.24 -40 15 20 1.564 3.9 620
실시예 4 30 1.23 -35 -35 20 1.565 3.2 540
실시예 5 60 1.14 20 -45 20 1.563 4.8 780
비교예 1 45 1.25 30 -50 3 1.564 1.8 280
비교예 2 45 1.25 30 -50 55 1.564 12.2 250
비교예 3 18 1.26 -60 -60 20 1.565 3.5 360
비교예 4 85 1.10 30 -35 20 1.564 10.5 230
비교예 5 45 1.04 -10 -60 20 1.564 2.9 340
비교예 6 45 1.65 -35 -10 20 1.564 2.7 280
비교예 7 45 1.27 -15 -15 20 1.564 2.7 340
비교예 8 45 1.23 -35 -35 20 1.559 7.9 810
비교예 9 45 1.10 30 -35 20 1.571 8.4 450
*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 1.56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인 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과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경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과 충격 강도가 변화함을 알 수 있는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5 ~ 50 중량%이고, 굴절률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동등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경우 투명성과 충격 강도가 우수하였으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은 경우에는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없거나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비교예 8 내지 9에서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굴절률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과 차이가 클 경우에는 불투명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4에서와 같이 고무 라텍스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보다 너무 작거나 너무 많으면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없고,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6에서와 같이 고무라텍스의 내층의 입경에 대한 외층의 입경의 비가 본 발명에 따른 범위보다 너무 작거나 너무 클 경우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없었으며, 비교예 7과 같이 내층과 외층의 유리전이 온도가 모두 -30 ℃ 보다 높은 경우 충격 강도의 개선 효과가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질인 고무라텍스의 내층의 입경에 대한 외층의 입경의 비가 1.05 ~ 1.5이고, 이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이하이며, 또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굴절률이 동등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열가소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투명성과 충격 강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a) 내층의 입경(Pa)과 외층의 입경(Pb)의 비(Pb/Pa)가 1.05 내지 1.5이고, 내층 또는 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30 ℃ 이하인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 20 내지 80 중량%; 및 b) 비닐 단량체 20 내지 80 중량%;가 그라프트 중합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경(Pb)의 비(Pb/Pa)는, 1.1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고무라텍스는, 공액 디엔계 단량체,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가교제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비닐단량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시안화 비닐 화합물, (메트)아크릴산 및 말레이미드계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 디엔계 단량체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및 클로로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불포화성 방향족 화합물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이소프로필페닐나프탈렌, 비닐나프탈렌, 벤젠고리의 각 수소 중 적어도 하나가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스티렌, 및 벤젠고리의 각 수소 중 적어도 하나가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 및 1,3-부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고무라텍스 제조시 사용되는 총 단량체를 기준으로 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9.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50 내지 95 중량%와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굴절률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의 굴절률 차이가 0.0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차이는, 0.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및 안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0080004707A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099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07A KR100994055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2010543048A JP5510869B2 (ja) 2008-01-16 2008-12-24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用耐衝撃性改良剤及びこれを含む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2008801235863A CN101910300B (zh) 2008-01-16 2008-12-24 用于热塑性聚酯的冲击强度改性剂和包含该冲击强度改性剂的热塑性聚酯树脂组合物
PCT/KR2008/007646 WO2009091124A2 (en) 2008-01-16 2008-12-24 Impact strength modifiers for thermoplastic polyester an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12/812,088 US8252867B2 (en) 2008-01-16 2008-12-24 Impact strength modifiers for thermoplastic polyester and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707A KR100994055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876A KR20090078876A (ko) 2009-07-21
KR100994055B1 true KR100994055B1 (ko) 2010-11-11

Family

ID=4088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707A KR100994055B1 (ko) 2008-01-16 2008-01-1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52867B2 (ko)
JP (1) JP5510869B2 (ko)
KR (1) KR100994055B1 (ko)
CN (1) CN101910300B (ko)
WO (1) WO20090911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7946B (zh) * 2011-05-10 2015-10-21 三菱丽阳株式会社 丙烯酸系树脂组合物、丙烯酸系树脂片、丙烯酸系树脂层叠体及它们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2390A (en) * 1975-08-11 1979-09-11 William Steffancin Amorphous polyester graft polymer alloys
US4180494A (en) * 1977-08-15 1979-12-25 Rohm And Haas Company Thermoplastic polyesters
CA2027381A1 (en) * 1989-10-14 1991-04-15 Junji Oshima Core-shell polym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CA2077845A1 (en) * 1991-10-01 1993-04-02 I-Chung W. Wang High impact, gasoline staining resistant, polyester/polycarbonate mold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uniformity in color appearance
US5231056A (en) * 1992-01-15 1993-07-27 Micron Technology, Inc. Tungsten silicide (WSix) deposition proces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e
US5321056A (en) * 1992-06-19 1994-06-14 Rohm And Haas Company Amorphous, aromatic polyester containing impact modifier
EP0745622A1 (en) * 1995-05-24 1996-12-0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Impact modified (meth)acrylic polymers
JP3563166B2 (ja) 1995-08-04 2004-09-08 株式会社クラレ 透明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2047396A (ja) * 2000-07-31 2002-02-12 Kuraray Co Ltd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用途
KR100417065B1 (ko) 2001-01-09 2004-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수지용 고무라텍스의제조방법
KR100431452B1 (ko) 2001-08-30 2004-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수지의제조방법
KR100497169B1 (ko) * 2002-07-31 2005-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무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abs계 수지
DE60312722T2 (de) * 2002-10-24 2007-12-06 Kaneka Corp. Amorph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WO2007021089A1 (en) * 2005-08-19 2007-02-22 Lg Chem, Ltd. Impact strength modifiers for polyvinyl chloride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them
KR100733927B1 (ko) 2005-08-19 2007-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Pvc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2867B2 (en) 2012-08-28
CN101910300B (zh) 2013-08-07
CN101910300A (zh) 2010-12-08
WO2009091124A3 (en) 2009-10-22
JP5510869B2 (ja) 2014-06-04
JP2011510130A (ja) 2011-03-31
KR20090078876A (ko) 2009-07-21
WO2009091124A2 (en) 2009-07-23
US20100292390A1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048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vc 조성물
JP5221148B2 (ja) Pvc樹脂用の衝撃補強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610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KR101566073B1 (ko) Pvc용 충격보강제,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404942B1 (ko) 투명도와 내충격 강도가 우수한 그라프트 공중합체
KR100733927B1 (ko) Pvc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88793B1 (ko) 저온 충격 강도와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
KR20180033653A (ko) Mbs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20080060751A (ko) 염화비닐수지의 충격보강제용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98750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mbs계 충격보강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스 수지 조성물
JP5429481B2 (ja) 透明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用グラフト共重合体、これ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KR20100113841A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94055B1 (ko)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한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190452B1 (ko) 코어-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20190084549A (ko) 코어-쉘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CN102020749B (zh) 具有优异的耐白化性的多层橡胶共聚物及其制备方法
KR101775749B1 (ko) 고무 조성물용 개질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개질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1200644B1 (ko) 내백화성이 향상된 다층 구조를 가지는 고무 공중합체 및이의 제조 방법
KR101561328B1 (ko) 열가소성 투명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54023B1 (ko) 내백화성이 우수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1268660B1 (ko) 분무 건조 방식을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 보강제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75703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이를 이용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2009313B1 (ko)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19116B1 (ko) 내백화성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463301B1 (ko) 투명성과 내충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