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606B1 -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606B1
KR100993606B1 KR1020080011143A KR20080011143A KR100993606B1 KR 100993606 B1 KR100993606 B1 KR 100993606B1 KR 1020080011143 A KR1020080011143 A KR 1020080011143A KR 20080011143 A KR20080011143 A KR 20080011143A KR 100993606 B1 KR100993606 B1 KR 100993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stat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315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주)지엔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에스티 filed Critical (주)지엔에스티
Priority to KR102008001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606B1/ko
Priority to JP2009013498A priority patent/JP2009189000A/ja
Priority to US12/364,959 priority patent/US8102431B2/en
Publication of KR2009008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3Address allocation methods and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02Monitoring continuous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06Monitoring of the line circuits, e.g. signalling of line faul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고, 전원 상태 천이 또는 구동 상태에 따른 제1 상태 정보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관리서버의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 상태 정보 및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으로부터 파악되는 제2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함으로써, 각각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불량 정보 및 비정상적인 구동으로 인한 불량 정보를 원격에서 수집/관리할 수 있으며,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구동 상태 또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가 폴링을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동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장치의 자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및 소프트웨어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for image process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뿐만 아니라 동작 상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불량 정보 및 비정상적인 구동으로 인한 불량 정보를 원격에서 수집/관리할 수 있으며,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구동 상태 또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가 폴링을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동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장치의 자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및 소프트웨어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정보를 처리하는 다양한 영상 처리 장치, 예를 들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은행, 사무실 또는 우범 지역에 영상 처리 장치를 설치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 예를 들어, 악의적인 목적으로 은행 또는 사무실에 침입하는 침입자 또는 우범 지역에서 범죄 행위를 하는 범죄자를 모니터링하여 악의적인 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침입자 또는 범죄자의 영상을 저장하여, 차후에 침입자 또는 범죄자를 색출하는 방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영상 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방식은, 영상 처리 장치가 설치된 지역마다 관리자가 있고, 각 관리자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정보가 중단되면, 해당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을 체크(확인)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각 지역마다 관리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은, 관리자가 체크할 수 있는 영역이 각 지역 혹은 특정 장소에 한정됨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의 관리범위가 특정 지역 혹은 특정 영상 처리 장치로 제한된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신속하게 고장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없으므로, 고장 수리에 소모되는 시간 동안에 방범 기능이 중지되고, 신속하게 고장 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방법 기능이 중지되는 시간 역시 길어지게 된다.
아울러, 영상 처리 장치가 설치된 각 지역마다 관리자들이 있어야 하므로, 관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관리자들의 고장 체크 및 수리에 전문성이 떨어져서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에 대한 사전 예방 및 복구 조치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별로 산개되어 설치된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중앙에서 전문 관리자가 원격지 상황을 집중 모니터링하는 감시 기능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고장(불량)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 네트워크(인터넷 망)를 통해 연결되는 영상 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방식이 개발은 되었으나, 이는 단순히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ON, OFF)만을 모니터링하는데 그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영상 처리 장치의 관리 방식은 관리자가 각각의 관리 콘솔(console)을 통해 각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므로,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각각의 관리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관리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며, 관리자가 개인적인 용무 또는 생리적인 용무로 인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가 이탈하는 시간동안 모니터링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산개된 지역에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의 관리자가 고장 요인을 미리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동작 상태(ON, OFF), 구동 상태(소프트웨어의 동작 상태) 및 영상 정보의 저장 상태 등과 같은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관리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 지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불량 정보 및 비정상적인 구동으로 인한 불 량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구동 상태 또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가 폴링을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동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장치의 자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및 소프트웨어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력을 통계 처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 혹은 불량 부분을 미리 파악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영상 처리 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영상 처리 장치를 사 용하는 사용자에게 콘솔을 통해 불량 정보 및 동작 상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관리자/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알리거나, e-mail을 통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한 관리자/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고, 전원 상태 천이 또는 구동 상태에 따른 제1 상태 정보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관리서버의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 상태 정보 및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으로부터 파악되는 제2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은, 상태 정보를 팝업 창 형태 또는 경고음 형태로 출력 가능한 다수개의 콘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각 콘솔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파악되는 즉시 상기 각 콘솔로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핸드폰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e-mail로 전송한다.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와 영상 데이터 손실 정보와, 영상 데이터의 저장 상태 불량 정보 또는 저장 실패 정보 또는 구동 프로세서의 프로세서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장치 불량 정보, 소프트웨어에 불량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연결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는, TCP/UDP 기반의 소켓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 자체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를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와,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촬상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영상 촬상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면서 데이터 손실 및 저장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손실 정보 또는 저장 상태 불량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감지하여, 저장 실패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프로세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여, 프로세서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각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 및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감지부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file)의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으면, 저장 실패 상태로 판단하고,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이상 정보가 응답되거나, 폴링 응답이 없으면, 폴링 불량 정보, 즉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서 구동중인 프로세서 목록에서 구동되지 않는 프로세서가 있으면, 특정 프로세서의 불량으로 판단한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 발생시 또는 폴링시에 쓰레드(Thread)를 생성하여 처리한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폴링 응답으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상태 정보 처리부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에 수신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콘솔로 전송하거나,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e-mail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제공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제1 및 제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이력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수신부와, 상기 폴링 응답을 기반으로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 불량 또는 네트워크 연결 불량 중 어느 하나의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폴링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력 관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 생 시각 또는 그룹별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요청 조건에 부합되도록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감지되는 전원 천이 상태 또는 구동상태에 따른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의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상기 영상 처리장치의 폴링 응답을 기반으로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콘솔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콘솔이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저장되는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file)의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으면, 저장 실패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 실태 상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이상 정보가 응답되거나, 폴링 응답이 없 으면,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구동중인 프로세서 목록의 프로세서 중 구동되지 않는 프로세서가 있으면, 특정 프로세서 불량으로 판단하여, 프로세서 불량 상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폴링하고, 그에 대한 폴링 응답이 없으면,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 구동 에러 또는 네트워크 연결 끊김으로 파악하여, 장치 불량 정보, 네트워크 연결 불량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콘솔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콘솔로 전송하거나, 설정된 핸드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단문 메시지 또는 e-mail로 전송한다.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생 시각, 그룹별로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요청 조건에 부합되도록 이력 정보를 검색하거나, 통계 처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등록된 영상 처리 장치의 등록 리스트가 있으면, 등록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관리자로부터 수동 입력되는 접속 정보가 있으면, 해당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 와, 관리자로부터 자동 검색이 요청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 메시지를 브로트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 이후에 수신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구동되어, 접속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등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관리 서버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별로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뿐만 아니라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불량 정보 및 비정상적인 구동으로 인한 불량 정보를 원격에서 수집/관리할 수 있으며,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구동 상태 또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감지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가 폴링을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 구동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장치의 자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및 소프트웨어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에 따른 이력을 통계 처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영상 처리 장치의 취약한 부분을 미리 파악하여, 집중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게 콘솔을 통해 불량 정보 및 동작 상태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관리자/사용자의 핸드폰으로 알리거나, e-mail을 통해 정해진 위치를 이탈한 관리자/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주된 요지를 흐리거나, 주지된 기술 내용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해진 지역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영상 처리 장치(200)가 네트워크(IP 망)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연결되고,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으로 다수의 콘솔(3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영상 처리 장치(200)는 이더넷으로 라우터(410)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되거나, 공유기(420)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를 MAC 주소 또는 별도의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식별하고, IP 주소, MAC 주소 및 장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모델명, 기기 식별 번호) 등과 같은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와 접속한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를 MAC 주소별로 관리할 수 있으며, MAC 주소별로 영상 처리 장치(200)에 대한 이벤트(특정 상황 발생(trap))에 따른 동작 상태 정보 및 불량 정보(이하 '상태 정보'로 통칭)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00)가 MAC 주소로 각 영상 처리 장치(200)를 식별하는 것은, 다수개의 영상 처리 장치(200)가 사설망(private network)을 통해 공중망(public network)인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사설망에 속하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는 동일한 공인 IP 주소를 가지기 때문에 IP 주소는 식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네트워크상에서 항상 유일(unique)한 MAC 주소로 각 영상 처리 장치(200)를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상태 정보가 수집되면, 실시간으로 콘솔(300)로 제공하여,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관리 서버(100)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자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있지 않은 주요 관리자에게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는 설정된 콘솔로 상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거나, 설정된 핸드폰 전화번호로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태 정보가 포함된 e-mail을 설정된 e-mail 주소로 전송할 수 있다.
콘솔(300)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콘솔(300)은 경고 팝 업(pop-up) 창 형태로 상태 정보를 출력하거나, 경고음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0)가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은 크게 각 영상 처리 장치(200)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동 상태를 점검하여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방식과, 관리 서버(100)가 주기적으로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100)가 수집하는 상태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감지하는 상태 정보 또는 관리 서버(1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수집하는 상태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100)가 관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영상 처리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감지하는 전원 켜짐, 전원 꺼짐, 재부팅, 데이터 손실, 저장 상태 불량, 저장 장치 불량, 프로세서 불량 및 저장 실패 등과 같은 상태 정보와, 관리 서버(100)가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을 통해 감지하는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가 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가 수집하는 상태 정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전원 상태는, 크게 전원 꺼짐(Power Off), 정상 전원 켜짐(Power On Normal) 및 비정상 전원 켜짐(Power On Abnormal)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정상 전원 켜짐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재부팅되면, 재부팅 정보(Warm Start)가 발생되고, 전원 꺼짐 상태가 되면, 전원 꺼짐 정보(Shutdown)가 발생되고,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가 되면, 트랩 정보(Trap)가 발생될 수 있다.
트랩 정보는 특정 상황 발생, 즉, 이벤트가 발생되어 감지되는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데이터 손실(video loss), 저장 상태 불량(HDD Fail), 저장 용량 풀(HDD Full)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꺼짐 상태에서 정상 전원 켜짐 또는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가 되면, 전원 켜짐 정보(Cold Start)가 발생된다.
한편,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에서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로 재부팅되면, 재부팅 정보가 발생되고, 정상 전원 켜짐 상태가 되면, 트랩 복구 정보가 발생된다.
트랩 복구 정보는 이벤트가 해소되는 트랩 해소, 확인 응답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정상 전원 켜짐 또는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에서 관리 서버(100)로부터 요구되는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이 실패하면, 폴링 실패(Polling Fail) 상태가 되고, 다시 정상 전원 켜짐 또는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가 되면, 폴링 복구 상태가 된다.
폴링 실패 상태에서 전원 꺼짐 상태가 되면, 비정상 전원 꺼짐 정보가 발생된다.
즉, 관리 서버(100)의 폴링에 대한 정상적인 응답이 되지 않는 상태는 네트워크 연결이 끊기거나, 영상 처리 장치(200)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가 고장난 상태이므로, 영상 처리 장치(200)의 고장이 수리되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복구되면, 그에 대한 복구 정보가 발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200)는 전원 관리부(240), 영상 촬상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상태 감지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관리부(240), 데이터 처리부(220) 및 상태 감지부(250)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프로세서에 응용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240)는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영상 처리 장치(200)의 프로세서에 공급하여 영상 처리 장치(200)가 구동되도록 하고,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면서 전원 상태의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예를 들어, 전원 켜짐, 전원 꺼짐, 재부팅)를 상태 감지부(250)로 제공한다.
영상 촬상부(210)는 영상 처리 장치(200)가 설치된 지역의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영상 촬상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방식의 영상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는 특정 지역의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주지된 기술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220)는 영상 신호의 해석, 압축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손실 및 저장 상태 불량이 발생되면, 데이터 손실 정보 및 저장 상태 불량 정보와 같은 상태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제공한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 : hard disk driv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220)가 디지털 처리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260)는 영상 처리 장치(200)가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 감지부(25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통신부(260)를 통해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태 감지부(250)는 탑재된 응용 소프트웨어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저장 상태, 프로세서 구동에 따른 상태 정보 및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로부터의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 및 요청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상태 감지부(25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제공하는 에이전트(agent) 역할을 수행하며, 영상 처리 장치(200)의 프로세서에서 구동되는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와 소켓 방식으로 통신하여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전원 관리부(240) 및 데이터 처리부(220)는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응용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구동되며, 전원 상태 및 데이터 손실, 저장 실패, 저장 장치 불량과 같은 상태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알리고(notification), 상태 감지부(250)는 저장 상태 불량,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에 불량, 프로세서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
그리고, 프로세서인 전원 관리부(240) 및 데이터 처리부(220)와 상태 감지부(250)는 TCP/IP 기반의 소켓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전원 상태에 따른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전원 관리부(240)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전원 상태 천이에 따라 발생되는 상태 정보, 즉, 재부팅 정보(Warm Start), 전원 꺼짐 정보(Shutdown) 및 전원 켜짐 정보(Cold Start)가 발생되면, 에이전트인 상태 감지부(250)로 알리고(notification), 상태 감지부(2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태 정보(event)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콘솔(300)로 전송한다.
도 4d 및 도 4e는 영상 처리 장치가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태 정보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데이터 처리부(220)는 영상 신호를 해석, 압축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영상 신호의 끊김이 발생하거나, 데이터의 저장 불량이 발생하면, 상태 감지부(250)로 데이터 손실 정보 및 저장 상태 불량 정보와 같은 상태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알리고, 상태 감지부(250)는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콘솔(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20)는 영상 처리 장치(200)가 비정상 전원 켜짐 상태인 경우, 영상 촬상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video)이 끊기는 상태가 발생되므로, 데이터 손실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알리고, 영상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라도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30)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므로, 저장 상태 불량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알린다.
도 4f는 데이터 저장부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저장 실패 정보가 전송되는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상태 감지부(250)는 데이터 저장부(230)에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상태를 감지하고,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저장 실패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콘솔(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태 감지부(250)는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file)의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으면, 저장 실패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 실패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4g는 상태 감지부가 구동되지 않는 장치 불량 상태에서 장치 불량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관리 서버(100)는 주기적으로 에이전트인 상태 감지부(250)를 폴링하고, 상태 감지부(250)가 구동 중지(stop) 상태이면, 관리 서버(100)의 폴링에 대한 응답을 하지 못하므로, 관리 서버(100)는 일정 횟수이상 폴링 응답이 없으면, 장치 불량으로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콘솔(300)로 전송한다.
도 4h는 영상 처리 장치의 소프트웨어 불량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 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관리 서버(100)가 주기적으로 상태 감지부(250)에 폴링하면, 상태 감지부(250)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이상 정보가 응답되거나, 폴링 응답이 없으면,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폴링 응답으로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상태 정보를 콘솔(300)로 전송한다. 즉, 상태 감지부(250)는 관리 서버(100)의 폴링에 의해 각 프로세서로 폴링한 결과에 따라 소프트웨어 불량(폴링 불량)을 감지한다.
도 4i는 영상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불량 상태에서 프로세서 불량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에이전트인 상태 감지부(250)는 주기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200)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20), 전원 관리부(240) 등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고, 특정 프로세서의 구동 중단되면, 프로세서 불량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때, 프로세서 불량 정보는 구동 중단된 프로세서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관리자가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의 프로세서 중 불량 상태인 프로세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태 감지부(250)는 영상 처리 장치(200)에 구동중인 프로세서 목록을 관리하고, 프로세서 목록의 프로세서 중 구동되지 않는 프로세서가 있으면, 특정 프로세서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100)는, 이력 관리부(140), 데이터베이스(130), 인터페이스부(110), 상태 정보 제공부(120) 및 상태 정보 처리 부(150)를 포함하고,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상태 정보 수신부(151) 및 폴링 처리부(15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등록된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200)별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200)와 연결되며,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상태 정보 및 폴링 응답을 수신하고, 관리 서버(100)가 영상 처리 장치(200)에 폴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한다.
상태 정보 제공부(120)는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정보를 콘솔(300)로 제공한다. 또한, 상태 정보 제공부(120)는 설정된 관리자의 핸드폰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단문 메지지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e-mail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e-mail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 제공부(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관리자 콘솔(300)에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상태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 콘솔(300)로 제공되도록 하면서 영상 처리 장치(200)별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상태 정보 처리부(150)의 상태 정보 수신부(151)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면서 상태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 콘솔(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폴링 처리부(152)는 주기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200)로 폴링하고,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폴링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태 정보(예를 들어,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면서 상태 정보 제공부(120)를 통해 콘솔(300)로 제공한다.
이력 관리부(14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200)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생 시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그룹별로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콘솔(300)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요청 조건(예를 들어, 상태 정보 종류)에 부합되도록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관리자의 콘솔(300)로 제공한다.
이력 관리부(140)는 이력 정보를 이력 파일 형태로 관리하면서 관리자로부터 이력 요청이 있으면,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이력 파일을 콘솔(300)로 로딩 시키고,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이력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관리자가 각 영상 처리 장치(200)에 대한 집중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계 처리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조건(예를 들어, 시간, 모델 등)별로 구분하고, 각 조건별 상태 정보를 분류시켜 관리자가 일목요연하게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영상 처리 장치(200)가 설치된 지역에 방문하여 직접 영상 처리 장치(200)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이력 정보 및 통계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가 영상 처리 장치(200)의 불량 상태 원인 및 관리해야 하는 부분 등에 대한 사전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처리 장치(200)를 관리 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100)는 각 영상 처리 장치(200)에 구비되는 상태 감지부(250) 또는 프로세서(전원 관리부(240) 및 데이터 처리부(22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감지부(250) 및 프로세서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확인한 이후에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관리 서버(100)가 초기 구동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영상 처리 장치(200)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등록하거나, 관리자가 입력하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식별 정보(MAC 주소)를 기반으로 수동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되는 영상 처리 장치(200)의 등록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등록 리스트는 등록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IP 주소, MAC 주소 및 장치 식별 정보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영상 처리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관리 서버(100)가 검색되면,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등록 리스트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으면, 등록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 처리 장치(200)에 자동 접속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은 TCP/UDP 기반의 소켓 통신 방식으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태 정보가 발생되는 이벤트가 발생시 및 폴링시에는 쓰레드를 생성하여 처리한다.
영상 처리 장치(200)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240) 및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태 정보가 발생되는 이벤트 발생시에 상태 정보 수신 쓰레드를 통해 상태 정보를 상태 감지부(250)로 전송한다.
상태 감지부(250)는 큐(queue)를 통해 각 쓰레드와 상태 정보 또는 폴링 정보를 송수신하며, 프로세서(예를 들어 전원 관리부(240) 및 데이터 처리부(220))로부터 상태 정보가 수신되거나, 상태 정보가 감지되면, 상태 정보 전송 쓰레드를 통해 관리 서버(100)의 상태 정보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00)의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주기적으로 폴링 처리 쓰레드를 통해 폴링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200)의 폴링 수신 쓰레드로 전송하여 영상 처리 장치(200)의 장치 불량 상태를 확인한다.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각 쓰레드와 큐(Queue)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며,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어 상태 정보가 수신되거나, 폴링을 통해 이벤트가 발생되어 상태 정보가 생성되면, 콘솔(300)로 실시간 전송한다.
콘솔(300)은 이벤트 처리 쓰레드를 통해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정보 처리 쓰레드로 제공하여, 정보 처리 쓰레드가 상태 정보를 처리하도록 한다. 정보 처리 쓰레드는 상태 정보를 실시간 출력하거나, 단문 메시지 또는 e-mail로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상태 정보 처리부(150)는 콘솔(300) 처리 쓰레드를 통해 콘솔(300)의 메인 프로세서로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가 영상 처리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0)가 구동되면, 등록된 영상 처리 장치(200)의 등록 리스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0).
관리 서버(100)는 등록 리스트가 존재하면, 등록 리스트에 등록된 접속 정보, 예를 들어, IP 주소, MAC 주소 및 장치 식별 정보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다(S 110).
관리 서버(100)는 등록 리스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관리자로부터 수동 입력되는 접속 정보로 영상 처리 장치(200)와 접속하는 수동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120). 즉,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로부터 접속 정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200)에 접속한다(S 130). 그리고, 관리 서버(100)는 수동 모드로 입력된 영상 처리 장치(200) 및 접속 정보를 등록 리스트에 등록한다.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 140),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등록 요청 메시지로부터 영상 처리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와 접속한다(S 150).
한편,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로부터 자동 검색이 요청되면(S 160), 네트워 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영상 처리 장치(200)를 검색한 이후에 검색된 영상 처리 장치(200)와 접속한다(S 170). 이때 관리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 메시지를 브로트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고, 접속 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200)는 구동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0)로부터 접속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0).
영상 처리 장치(200)는 접속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 210). 관리 서버(100)는 접속 가능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와 접속한다.
한편, 영상 처리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에 등록되는 등록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20). 등록 모드는 관리자가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 설정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100)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 처리 장치(200)는 등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 230). 관리 서버(100)는 접속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 치(200)와 접속한다.
영상 처리 장치(200)는 관리 서버(100)와 접속되면, 상태 정보를 전송하면서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을 한다(S 240).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00)에 접속 될 경우, 전원 상태의 천이 또는 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S 300). 이때, 영상 처리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는, 전원 켜짐, 전원 꺼짐, 재부팅, 데이터 손실, 저장 상태 불량, 저장 실패 및 프로세서 불량 등이 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주기적으로 영상 처리 장치(200)로 폴링하여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S 310). 이때, 관리 서버는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으로부터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 불량, 네트워크 연결 불량 등과 같은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관리 서버(100)는 영상 처리 장치(200)로부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실시간으로 콘솔(처리 장치(200))로 제공한다(S 320). 이때,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의 핸드폰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e-mail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e-mail로 전송할 수 있다.
콘솔(300)은 관리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정보를 관리자에게 출력하여 영상 처리 장치(200)에서 발생한 불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 330).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200)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생 시각, 영상 처리 장치(200)의 그룹별로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S 340).
관리 서버(100)는 콘솔(300)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이력 요청이 있으면(S 350), 해당 영상 처리 장치(200)의 이력 정보를 제공한다(S 360).
이때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요청 조건(예를 들어, 상태 정보 종류)에 부합되도록 검색하여, 관리자의 콘솔(3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통계 정보를 이력 파일 형태로 관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발생되는 상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상태 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관리 시스템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관리 서버가 영상 처리 장치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관리 서버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상태 정보 제공부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이력 관리부 150 : 상태 정보 처리부
151 : 상태 정보 수신부 152 : 폴링 처리부
200 : 영상 처리 장치 210 : 영상 촬상부
220 : 데이터 처리부 230 : 데이터 저장부
240 : 전원 관리부 250 : 상태 감지부
260 : 통신부 300 : 콘솔
410 : 라우터 420 : 공유기

Claims (23)

  1. 영상 처리장치를 원격에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되고, 전원 상태 천이 또는 구동 상태에 따른 제1 상태 정보를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 제공하고, 관리서버의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 상태 정보 및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으로부터 파악되는 제2 상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와 영상 데이터 손실 정보와, 영상 데이터의 저장 상태 불량 정보 또는 저장 실패 정보 또는 구동 프로세서의 프로세서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장치 불량 정보, 소프트웨어에 불량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연결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태 정보를 팝업 창 형태 또는 경고음 형태로 출력 가능한 다수개의 콘솔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각 콘솔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가 파악되는 즉시 상기 각 콘솔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핸드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e-mai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는,
    TCP/UDP 기반의 소켓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상태를 관리하며, 상기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를 제공하는 전원 관리부와,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영상 촬상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영상 촬상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면서 데이터 손실 및 저장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 손실 정보 또는 저장 상태 불량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감지하여, 저장 실패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프로세서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여, 프로세서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원 관리부 및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각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의 폴링에 대한 폴링 응답 및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file)의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으면, 저장 실패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이상 정보가 응답되거나, 폴링 응답이 없으면,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구동중인 프로세서 목록의 프로세서 중 구동되지 않는 프로세서가 있으면, 특정 프로세서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의 발생시 또는 폴링시에 쓰레드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폴링 응답으로부터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는 상태 정보 처리부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에 수신되는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콘솔로 전송하거나, 단문 메시지로 전송하거나, e-mail로 전송하는 상 태 정보 제공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제1 및 제2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이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처리부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상태 정보 수신부와,
    상기 폴링 응답을 기반으로 장치 불량, 소프트웨어 불량 또는 네트워크 연결 불량 중 어느 하나의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상태 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폴링 처리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관리부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생 시각 또는 그룹별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요청 조건에 부합되도록 이력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가 자체적으로 감지되는 전원 천이 상태 또는 구동상태에 따른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영상 처리장치로의 주기적인 폴링에 대한 상기 영상 처리장치의 폴링 응답을 기반으로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자 콘솔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콘솔이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 정보는,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와 영상 데이터 손실 정보와, 영상 데이터의 저장 상태 불량 정보 또는 저장 실패 정보 또는 구동 프로세서의 프로세서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장치 불량 정보, 소프트웨어에 불량 정보 또는 네트워크 연결 불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각 영상 처리 장치의 전원 상태 천이에 따른 전원 켜짐 정보, 전원 꺼짐 정보 또는 재부팅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저장되는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거나,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file)의 데이터량이 일정 시간동안 증가하지 않으면, 저장 실패 상태로 판단하여, 저장 실태 상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각 프로세서로 폴링하여, 이상 정보가 응답되거나, 폴링 응답이 없으면,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에 구동중인 프로세서 목록의 프로세서 중 구동되지 않는 프로세서가 있으면, 특정 프로세서 불량으로 판단하여, 프로세서 불량 상태 정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 주기적으로 폴링하고, 그에 대한 폴링 응답이 없으면,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고장, 구동 에러 또는 네트워크 연결 끊김으로 파악하여, 장치 불량 정보, 네트워크 연결 불량 정보 또는 소프트웨어 불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 정보 및 제2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 자 콘솔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콘솔로 전송하거나, 설정된 핸드폰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단문 메시지 또는 e-mail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상태 정보를 영상 처리 장치의 식별 정보, 상태 정보 종류, 발생 시각, 그룹별로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자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요청 조건에 부합되도록 이력 정보를 검색하거나, 통계 처리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22.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등록된 영상 처리 장치의 등록 리스트가 있으면, 등록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관리자로부터 수동 입력되는 접속 정보가 있으면, 해당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와,
    관리자로부터 자동 검색이 요청되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 메시지를 브로트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한 이후에 수신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로부터 접속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영상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23.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가 다수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구동되어, 접속 가능 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가 등록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관리 서버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 처리 장치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방법.
KR1020080011143A 2008-02-04 2008-02-04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3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43A KR100993606B1 (ko) 2008-02-04 2008-02-04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013498A JP2009189000A (ja) 2008-02-04 2009-01-23 映像処理装置の遠隔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2/364,959 US8102431B2 (en) 2008-02-04 2009-02-03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143A KR100993606B1 (ko) 2008-02-04 2008-02-04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315A KR20090085315A (ko) 2009-08-07
KR100993606B1 true KR100993606B1 (ko) 2010-11-10

Family

ID=4107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143A KR100993606B1 (ko) 2008-02-04 2008-02-04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2431B2 (ko)
JP (1) JP2009189000A (ko)
KR (1) KR100993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94B1 (ko) * 2012-02-10 2012-11-19 (주)씨앤에스아이 유선 ip 카메라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5075B2 (ja) * 2008-02-12 2012-10-3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52282B2 (ja) * 2009-09-01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79822B2 (ja) * 2011-05-2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27897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의 의심 디바이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5088784A (ja) * 2013-10-28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076527B1 (ko) 2014-08-27 202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60353023A1 (en) * 2015-06-01 2016-12-01 Jung Suk Lee Mini remote multi-control unit
JP7042026B2 (ja) * 2017-01-25 2022-03-25 株式会社東芝 稼働環境評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8132A (ko) * 2017-11-21 2019-05-2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롱폴링 연결 유지를 위한 응답 지연 시간 결정
KR101943870B1 (ko) * 2018-07-19 2019-01-30 주식회사 첫눈 카메라 관리 장치 및 카메라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JP7271904B2 (ja) * 2018-10-26 2023-05-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EP3706411A1 (en) * 2019-03-05 2020-09-09 Carrier Corporation Early video equipment failure detection system
US11757706B2 (en) 2019-07-19 2023-09-12 Razberi Secure Technologies, Llc Switc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5497230B (zh) * 2022-09-21 2023-10-27 杭州携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数据分析的科学仪器租赁管理系统以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8479B2 (ja) * 1990-04-13 1998-09-17 富士通株式会社 Isdnにおける自動取引装置集中監視制御方式
JPH0654073A (ja) * 1992-07-29 1994-02-25 Victor Co Of Japan Ltd 監視装置
US6208379B1 (en) * 1996-02-20 2001-03-27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display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JPH1139539A (ja) * 1997-07-16 1999-02-12 Toshiba Corp 現金処理装置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KR19990040706A (ko) 1997-11-19 1999-06-05 전주범 감시 카메라를 갖는 브이시알의 정전 보상방법
JP2003099121A (ja) * 2001-09-25 2003-04-04 Energy Support Corp 監視端末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4094831A (ja) * 2002-09-03 2004-03-25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情報管理サーバ、計測システム、可搬型計測システムからの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340867A (ja) * 2003-03-18 2005-12-08 Fuji Xerox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4288067A (ja) * 2003-03-24 2004-10-14 Fuji Xerox Co Ltd 連携処理装置、連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60853A (ko) 2003-06-27 2003-07-16 박영성 인터넷을 이용한 dvr종합관제시스템 구현기술
JP2005309643A (ja) * 2004-04-20 2005-11-04 Fujitsu Ltd 稼動状況監視装置,監視対象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4389662B2 (ja) * 2004-05-18 2009-12-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端末制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端末制御システム
KR20050122380A (ko)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vr 시스템과 원격 pc간 보안 감시영상 데이터백업방법
JP2006201879A (ja) * 2005-01-18 2006-08-03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201652A (ja) * 2006-01-25 2007-08-09 Nec Commun Syst Ltd 番組録画システム,テレビ放送受信機能付き携帯端末,番組録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51697A (ja) * 2006-03-16 2007-09-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機器監視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59301A (ja) * 2006-03-24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4236672B2 (ja) * 2006-04-05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20070120649A (ko) 2006-06-20 200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에러 감시방법
JP4626604B2 (ja) * 2006-10-31 2011-0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画像履歴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画像履歴管理システム
US8072623B2 (en) * 2007-02-16 2011-12-06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5339113B2 (ja) * 2007-08-28 2013-1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及び文書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594B1 (ko) * 2012-02-10 2012-11-19 (주)씨앤에스아이 유선 ip 카메라를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3586A1 (en) 2010-02-11
US8102431B2 (en) 2012-01-24
JP2009189000A (ja) 2009-08-20
KR20090085315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606B1 (ko) 영상 처리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6591B1 (ko) 감시카메라 통합관리시스템
CN103536287B (zh) 医学成像设备的远程监测维护系统及方法
JP2001077965A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US200801042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device port
US20040105450A1 (en) Camera system, camera device, and recording device
KR20170102603A (ko) 네트워크 카메라 에러 검출 시스템
CN113542698B (zh) 基于5g通信网络的安防实时监控系统
CN11367672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非同源网络视频监控故障定位方法及装置
CN114173110A (zh) 一种视频监控系统的故障检测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06155124A (ja) 監視プログラム、これ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並びに前記監視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サーバ及び監視装置
JP2019168877A (ja) 電子端末問題予測装置
KR100887874B1 (ko) 인터넷 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75894B2 (ja) 遠隔診断用の仲介装置
KR200434039Y1 (ko) 중앙 집중형 감시 시스템
KR100476176B1 (ko)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TW201351283A (zh) 保全軟體更新系統與其方法
JP2003131905A (ja) 管理サーバシステム
KR102613203B1 (ko) 자가진단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20200057346A (ko) Cctv 전송저장영상 감시를 통해 예외처리를 하는 관리시스템
KR200417494Y1 (ko) 자가진단기능이 구비된 영상전송장치
JP3647814B2 (ja) 記録監視装置
JP2005025533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2301767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카메라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1215841A (ja) 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