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04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049B1
KR100993049B1 KR1020080017642A KR20080017642A KR100993049B1 KR 100993049 B1 KR100993049 B1 KR 100993049B1 KR 1020080017642 A KR1020080017642 A KR 1020080017642A KR 20080017642 A KR20080017642 A KR 20080017642A KR 100993049 B1 KR100993049 B1 KR 10099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hell
contact
mat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435A (ko
Inventor
히로아키 오비카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2개의 기판을 접속하는 2개의 커넥터의 차폐(shield)를 충분히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커넥터이다. 프린트 기판(21) 위에 배치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측 하우징(3)에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와 끼워 맞추는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에 복수의 리셉터클 측 콘택트(5)를 배치하고, 리셉터클 측 하우징(3)에 장착되는 셸(shell)(7)에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의 주위에 배치되는 셸 본체(71)를 설치한다. 셸(7)에,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ground contact)(16G)에 접촉하는 셸 접촉부(72)와, 프린트 기판(21)의 접지용 패드(21b)에 고정되는 셸 단자부(7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ER}
본 발명은 2개의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폐(遮蔽) 수단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서로 끼워 맞추는 1쌍의 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평 11-233201호 공보(단락 0018, 0022, 0028, 도 8 참조) 참조].
한쪽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접촉자와 차폐판과 보강 단판(端板)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은 틀 모양의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프레임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볼록부를 갖는다. 프레임부와 볼록부 사이에는 상대 측 커넥터의 끼워 맞춤부를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볼록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촉자는 각각 유지 홈에 수용되어서, 유지되어 있다. 접촉자의 일단부(一端部)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접촉부의 타단부(他端部)에는 결선부(結線部)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는 수용 공간에 돌출되어 있다. 결선부는 기판의 도체 패턴에 납땜이 된다.
차폐판은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양쪽 측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보강 단판은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쪽 단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강 단판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다. 보강 단판 양쪽 단부는 각각 차폐판의 단부에 겹쳐지며, 차폐판을 하우징에 눌러서 붙인다. 하우징의 외주면(外周面)은 차폐판과 보강 단판으로 포위된다.
다른 쪽의 커넥터는 하우징과 접촉자와 차폐판을 구비한다.
커넥터의 하우징은 거의 틀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의 끼워 맞춤 방향 선단부(先端部)는 한쪽 커넥터의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다.
접촉부는 하우징의 내주면(內周面)에 배치되어, 한쪽 커넥터의 유지 홈으로부터 돌출한 접촉자의 접촉부에 맞닿는다.
차폐판은 하우징의 외주면을 덮고 있다.
한쪽 커넥터의 하우징의 수용 공간에 다른 쪽 커넥터의 하우징의 끼워 맞춤 방향 선단부를 삽입하면, 다른 쪽 커넥터의 차폐판이 하우징과 함께 한쪽 커넥터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한쪽 커넥터의 차폐판과 다른 쪽 커넥터의 차폐판이 접촉한다. 그 결과, 양쪽 차폐판에 의해 양쪽 커넥터가 차폐된다.
위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는, 양쪽 커넥터에 각각 차폐판이 부착되어, 양쪽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었을 때, 한쪽 커넥터의 차폐판이 다른 쪽 커넥터의 차폐판을 포위한다.
이것 때문에, 한쪽 전기 커넥터가 대형화한다. 한쪽 커넥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한쪽 커넥터로부터 차폐판을 제거하면 좋지만, 양쪽 커넥터의 차폐가 충분 히 실행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2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커넥터의 차폐를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있어서는,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갖추고, 기판 위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끼워 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 및 상기 끼워 맞춤부 주위에 배치되는 셸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셸에 있어서, 상기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접지 콘택트에 접촉하는 셸 접촉부와, 상기 기판의 제1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셸 단자부를 갖는 셸을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관련한 커넥터의 구성에 의하면,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갖추고, 기판 위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끼워 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와, 끼워 맞춤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셸 본체를 가지며, 하우징에 장착되는 셸을 구비하고, 셸은, 상대 측 커넥터의 접지 콘택트에 접촉하는 셸 접촉부와, 기판의 제1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셸 단자부를 갖는다. 따라서, 커넥터와 상대 측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었을 때, 커넥터의 셸과 상대 측 커넥터의 접지 콘택트가 접촉하며, 커넥터가 실장(實裝)되는 기판과 상대 측 커넥터가 실장되는 상대 측 기판과의 접지 패턴이 이어진다. 또한, 양쪽 커넥터 를 끼워 맞출 때,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끼워 맞춤부는 커넥터의 셸의 셸 본체에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콘택트가 있고, 상기 셸은, 상기 셸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셸 본체를 상기 하우징에 거는 걸림부와, 상기 하나의 접지 콘택트에 인접하여, 상기 셸 본체에 연결되고, 제2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부(副) 셸 단자부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있어서는, 커넥터의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상대 측 끼워 맞춤부를 갖추고, 상대 측 기판 위에 배치되는 상대 측 하우징, 및 상기 상대 측 끼워 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 중에 상대 측 접지 콘택트가 있고, 상기 상대 측 접지 콘택트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된 셸에 접촉하는 상대 측 셸 접촉부와, 상기 상대 측 기판의 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상대 측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를 구비하는 상대 측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관련한 상대 측 커넥터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 중에 상대 측 접지 콘택트가 있고, 상대 측 접지 콘택트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된 셸에 접촉하는 상대 측 셸 접촉부와, 상대 측 기판의 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상대 측 단자부를 갖는다. 따라서, 커넥터와 상대 측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추었을 때,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접지 콘택트와 커넥터의 셸이 접촉하여,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과 상대 측 커넥터가 실장되는 상대 측 기판과의 접지 패턴이 이어진다. 또한, 양쪽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끼워 맞춤부는 커넥터의 셸의 셸 본체에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기판을 접속하는 2개 커넥터의 차폐를 충분히 실시할 수 있고, 게다가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에서의 서술 및 기타 목적, 특징 또는 장점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00)는 리셉터클 커넥터(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상대 측 커넥터)(12)로 구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제1프린트 기판(기판)(21)(도 9 참조) 위에 실장되고, 플러그 커넥터(12)는 도시하지 않는 제2프린트 기판(상대 측 기판) 위에 실장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리셉터클 측 하우징(하우징)(3)과 리셉터클 측 콘택트(콘택트)(5)와 셸(7)을 구비한다.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측 하우징(3)은 판 형상부(31)와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끼워 맞춤부)(32)를 갖는다.
판 형상부(31)는 제1프린트 기판(21) 위에 배치되어 있다. 판 형상부(31)는 제1프린트 기판(21)으로부터 약간 떠 있다.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는 판 형상부(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는 프레임 형상부(32a)와 중앙 볼록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형상부(32a)는 1쌍의 측벽부(32c, 32c)와 1쌍의 단부(32d, 32d)를 갖는다. 1쌍의 측벽부(32c, 32c)는 서로 평행이고, 각각의 측벽부(32c)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홈(32e)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단부(32d, 32d)는 서로 평행이고, 1쌍의 측벽부(32c, 32c)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중앙 볼록부(32b)는 측벽부(32c)와 평행이다. 중앙 볼록부(32b)에는, 복수의 홈(32e)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홈(32f)이 형성되어 있다. 홈(32f)은 각각 홈(32e)에 대향한다. 중앙 볼록부(32b)는 프레임 형상부(32a)에 포위되어 있다. 프레임 형상부(32a)와 중앙 볼록부(32b)의 사이에는 수용 공간(32g)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는 후술하는 플러그 측 하우징의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를 받아 들인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측 콘택트(5)는 제1접촉부(5a)와 제2접촉부(5b)와 피(被)유지부(5c)와 단자부(5d)를 갖는다. 제1접촉부(5a)는 리셉터클 측 콘택트(5)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접촉부(5b)는 거의 e자 형상이고, 제1접촉부(5a)의 일단(一端)에 연결되어 있다. 제2접촉부(5b)는 홈(32f)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유지부(5c)는 거의 역 L자 형상이고, 제1접촉부(5a)의 타단(他端)에 연결되어 있다. 피유지부(5c)는 홈(32e)에 수용되어서, 유지되어 있다. 단자부(5d)는 거의 I자 형상이고, 피유지부(5c)에 연결되어 있다. 단자부(5d)의 하면(下面)은 판 형상부(31)의 하면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접촉부(5a)는 플러그 측 제1접촉부(16a)와 접촉하고, 제2접촉부(5b)는 플러그 측 제2접촉부(16b)와 접촉해서 제2접촉부(16b)에 접속된다. 또한, 제1접촉부(5a)는 플 러그 측 제1접촉부(16a)의 단차(段差)(16e)(도 14 참조)에 의해 커넥터의 이탈 방향 힘이 향상되어, 이탈력(離脫力)이 높아진다.
리셉터클 측 콘택트(5)에는 리셉터클 측 신호 콘택트(5S)와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접지 콘택트)(5G)의 2종류가 있지만, 양자(兩者) 콘택트(5S, 5G)의 형상, 크기, 재질은 동일하다. 단자부(5d)가 프린트 기판(21)의 신호용 패드(21a)에 납땜이 된 것이 리셉터클 측 신호 콘택트(5S)이고, 단자부(5d)가 프린트 기판(21)의 접지용 패드(제2접지 패턴)(21b)에 납땜이 된 것이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5G)이다. 당연히, 리셉터클 측 하우징(3) 위에서의 리셉터클 측 신호 콘택트(5S)와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5G)의 배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고, 그 배치에 대응해서 프린트 기판(21)의 신호용 패드(21a) 및 접지용 패드(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리셉터클 측 콘택트(5)는 중앙 볼록부(32b) 및 후술하는 셸(7)의 2개의 제2셸 단자부(74)를 경계로 해서 4개의 콘택트 군(群)(A, B, C, D)으로 나누어져 있다(도 5 참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셸(7)은, 셸 본체(71)와 셸 접촉부(72)와 제1셸 단자부(셸 단자부)(73)와 제2셸 단자부(부(副) 셸 단자부)(74)와 걸림부(75)와 홀드다운(hold down) 겸용 셸 단자부(76)를 갖는다.
셸 본체(71)는 거의 프레임 형상이고, 1쌍의 측면 판(71a, 71a)과 1쌍의 단면(端面) 판(71b, 71b)을 갖는다. 1쌍의 측면 판(71a, 71a)은 서로 평행이다. 측면 판(71a)은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의 측벽부(32c)의 측면을 덮는다. 1쌍의 단 면 판(71b, 71b)은 서로 평행이고, 1쌍의 측면 판(71a, 71a)의 양단(兩端)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단면 판(71b)은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의 단부(32d)의 외면(外面)을 덮는다.
셸 접촉부(72)는 측면 판(71a)의 양쪽 단부의 위쪽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셸 접촉부(72)는 측면 판(7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셸 접촉부(72)는 거의 U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러져 있다. 셸 접촉부(72)의 전개(展開) 평면 형상은 거의 T자 형상이다. 셸 접촉부(72)의 선단부에는 2개의 접점(72a)이 형성되어 있다. 2개 접점(72a)의 간격은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의 간격과 동일하다(도 6, 도 13 참조). 2개의 접점(72a)은 각각 후술하는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의 2개에 접촉한다.
제1셸 단자부(73)는 측면 판(71a) 양쪽 단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셸 단자부(73)는 측면 판(7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셸 단자부(73)는 제1프린트 기판(21)의 도시하지 않는 접지용 패드(제1접지 패턴)에 납땜이 된다. 제1셸 단자부(73)는 폭이 넓으므로, 납땜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셸 단자부(74)는 측면 판(71a)의 중앙부 아래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제2셸 단자부(74)는 측면 판(71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셸 단자부(74)는 2개의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5G)의 사이에 배치되며, 프린트 기판(21)의 접지용 패드(21b)에 납땜이 된다. 제2셸 단자부(74)는 측면 판(71a)의 중간부에 위치하므로, 접지용 패드에 납땜이 됨으로써 셸(7)의 강성(剛性)도 높아진다.
걸림부(75)는 측면 판(71a)의 중앙부 위쪽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걸림부(75)는 측면 판(7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75)는 거의 U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러져 있다. 걸림부(75)는 2개의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5G)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걸림부(75)는 리셉터클 측 하우징(3)의 측벽부(32c)에 형성된 걸어 맞춤부(32h)(도 9 참조)에 걸어 맞추어져, 측면 판(71a)이 측벽부(32c)에 접하고 있다.
1쌍의 단면 판(71b)의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2개의 홀드다운 겸용 셸 단자부(76)가 연결되어 있다. 홀드다운 겸용 셸 단자부(76)는 단면 판(71b)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홀드다운 겸용 셸 단자부(76)는 제1프린트 기판(21)의 접지용 패드에 납땜이 된다. 이로써, 셸(7)에 의한 차폐가 더욱 확실하게 실행되는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가 제1프린트 기판(21) 위에 강고(强固)하게 고정된다.
1쌍의 단면 판(71b)의 위쪽 가장자리에는 2개의 유지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77)는 거의 U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러져 있다. 유지부(77)는 리셉터클 측 하우징(3)의 단부(32d)에 압입(壓入)에 의해 유지된다(도 6 참조). 또한, 유지부(77)는 리셉터클 측 하우징(3)의 인서트(insert) 성형 시에 일체 성형함으로써 유지되어도 좋다.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2)는 플러그 측 하우징(상대 측 하우징)(14)과 복수의 플러그 측 콘택트(상대 측 콘택트)(16)로 구성되어 있다.
플러그 측 하우징(14)은 판 형상부(141)와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상대 측 끼워 맞춤부)(142)를 갖는다.
판 형상부(141)는 제2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배치되어 있다. 판 형상부(141)는 제2프린트 기판으로부터 약간 떠 있다.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는 판 형상부(141)의 하면(下面)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는 프레임 형상이다.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는 1쌍의 측벽부(142a)와 1쌍의 단부(142b)를 갖는다. 1쌍의 측벽부(142a, 142a)는 서로 평행이고, 각각의 측벽부(142a)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홈(142c)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단부(142b, 142b)는 서로 평행이고, 1쌍의 측벽부(142a, 142a)의 양쪽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측 콘택트(16)는 제1접촉부(상대 측 셸 접촉부)(16a)와 제2접촉부(16b)와 단자부(상대 측 단자부)(16c)와 매설부(埋設部)(16d)를 갖는다. 제1접촉부(16a)는 플러그 측 콘택트(16)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제1접촉부(16a)는 리셉터클 측 콘택트(5)의 제1접촉부(5a)와 접촉한다. 제2접촉부(16b)는 제1접촉부(16a)의 일단(一端)에 연결되어 있다. 제2접촉부(16b)는 리셉터클 측 콘택트(5)의 제2접촉부(5b)와 접촉된다. 제1접촉부(16a)와 제2접촉부(16b)로 측벽부(142a)를 둘러싸고 있다(도 9 참조). 단자부(16c)는 거의 크랭크 형상이고, 제2접촉부(16b)에 연결되어 있다. 단자부(16c)의 상면(上面)은 판 형상부(141)의 상면보다도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매설부(16d)는 제1접촉부(16a)의 타단부(他端部)에 연결되어 있다. 매설부(16d)는 플러그 측 하우징(14)의 인서트 성형 시에 매설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플러그 측 하우징(14)과 플러그 측 콘택트(16)를 일체로 성형하였지만, 매설부(16d)를 제거함으로써, 제1접촉부(16a)의 선단부를 플러그 측 하우징(14)에 압입해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플러그 측 콘택트(16)에는 플러그 측 신호 콘택트(16S)와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상대 측 접지 콘택트)(16G)의 2종류가 있지만, 양자의 콘택트(16S, 16G)의 형상, 크기, 재질은 동일하다. 단자부(16c)가 제2프린트 기판의 신호용 패드에 납땜이 된 것이 플러그 측 신호 콘택트(16S)이고, 단자부(16c)가 제2프린트 기판의 접지용 패드(접지 패턴)에 납땜이 된 것이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이다. 당연히, 플러그 측 하우징(14) 위에서의 플러그 측 신호 콘택트(16S)와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의 배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그 배치에 대응시켜서 제2프린트 기판의 신호용 패드 및 접지용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측 신호 콘택트(16S)에서는 제1접촉부(16a) 및 제2접촉부(16b)가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양쪽 단부의 4개의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만은, 제1접촉부(16a)만이 노출되어 있고, 제2접촉부(16b)는 매설부(16d)와 함께 플러그 측 하우징(14)의 단부(142d)에 매설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의 위쪽에 플러그 커넥터(12)를 배치하고(도 1, 도 2 참조), 이 상태로부터,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2)를 내려서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에 밀어 넣으면,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12)가 서로 끼워 맞추어진다(도 3, 도 4 참조). 그 결과, 양쪽 커넥터(1, 12)를 통해서 기판끼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32) 내에 수용되어,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16G)가 리셉터클 커넥터(1)의 셸(7)의 셸 접촉부(72)에 접촉하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가 실장되는 제1프린트 기판(21)과 플러그 커넥터(12)가 실장되는 제2프린트 기판과의 접지용 패드끼리가 이어지며, 또한, 양쪽 커넥터(1, 12)가 끼워 맞추어질 때, 플러그 커넥터(12)의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14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셸(7)의 셸 본체(71)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더욱 안정된 접지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2)로부터 셸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것만큼, 플러그 커넥터(12)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홀드다운 겸용 셸 단자부(76)를 갖추고 있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1)를 더욱 확실하게 제1프린트 기판(21) 위에 실장할 수 있는 동시에, 더욱 확실하게 양쪽 커넥터(1, 12)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제2셸 단자부(74)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2개의 콘택트 군(群)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더욱더 접지 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셸 단자부(74)와 걸림부(75)는 1쌍의 측면 판(71a)의 한쪽 및 다른 쪽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각각 여러 개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셸(7)은, 제2셸 단자부(74), 걸림부(75), 홀드다운 겸용 단자부(76), 유지부(77)를 갖추고 있지만, 이것들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셸 접촉부(72) 및 셸 단자부(73)가 셸(7)에 4개씩 설치되어 있지만, 셸 접촉부(72) 및 셸 단자부(73)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커넥터 장치의 끼워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끼워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끼워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단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중앙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일단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중앙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중앙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셸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 장치의 플러그 커넥터를 뒤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단부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측 콘택트의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플러그 측 콘택트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셉터클 커넥터 3: 리셉터클 측 하우징
5: 리셉터클 측 콘택트 5a: 제1접촉부
5b: 제2접촉부 5c: 피(被)유지부
5d: 단자부 5G: 리셉터클 측 접지 콘택트
5S: 리셉터클 측 신호 콘택트 7: 셸(shell)
12: 플러그 커넥터 14: 플러그 측 하우징
16: 플러그 측 콘택트 16a: 제1접촉부
16b: 제2접촉부 16c: 단자부
16d: 매설부(埋設部) 16G: 플러그 측 접지 콘택트
16S: 플러그 측 신호 콘택트 21: 제1프린트 기판
21a: 신호용 패드 21b: 접지용 패드
31: 판 형상부 32: 리셉터클 측 끼워 맞춤부
32a: 프레임 형상부 32b: 중앙 볼록부
32c: 측벽부 32d: 단부
32e: 홈 32f: 홈
32g: 수용 공간 71: 셸 본체
72: 셸 접촉부 73: 제1셸 단자부
74: 제2셸 단자부 75: 걸림부
76: 홀드다운 겸용 셸 단자부 77: 유지부
141: 판 형상부 142: 플러그 측 끼워 맞춤부
142a: 측벽부

Claims (3)

  1.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를 갖고, 기판 위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끼워 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contact), 및
    상기 끼워 맞춤부의 주위에 배치되는 셸(shell) 본체를 갖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셸로서, 상기 상대 측 커넥터의 상대 측 접지 콘택트에 접촉하는 셸 접촉부와, 상기 기판의 제1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셸 단자부를 갖는 셸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에 적어도 하나의 접지 콘택트가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제2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단자부를 갖고,
    상기 셸은, 상기 셸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셸 본체를 상기 하우징에 거는 걸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콘택트에 인접하여 상기 셸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부(副) 셸 단자부를 갖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의 커넥터의 상대 측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끼워 맞춤부와 끼워 맞추는 상대 측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대 측 기판 위에 배치되는 상대 측 하우징, 및
    상기 상대 측 끼워 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로서, 상기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 중에 상대 측 접지 콘택트가 있고, 상기 상대 측 접지 콘택트는,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에 장착된 셸에 접촉하는 상대 측 셸 접촉부와, 상기 상대 측 기판의 접지 패턴에 고정되는 상대 측 단자부를 갖는 복수의 상대 측 콘택트를 구비하는
    상대 측 커넥터.
KR1020080017642A 2007-03-01 2008-02-27 커넥터 KR100993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51561A JP4333884B2 (ja) 2007-03-01 2007-03-01 コネクタ
JPJP-P-2007-00051561 2007-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435A KR20080080435A (ko) 2008-09-04
KR100993049B1 true KR100993049B1 (ko) 2010-11-08

Family

ID=3947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642A KR100993049B1 (ko) 2007-03-01 2008-02-27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5185B2 (ko)
EP (1) EP1965466B1 (ko)
JP (1) JP4333884B2 (ko)
KR (1) KR100993049B1 (ko)
CN (1) CN101257169B (ko)
TW (1) TWI3815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5B1 (ko) 2012-01-31 2014-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113525B1 (ko) * 2009-09-02 2012-0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5586395B2 (ja) * 2010-09-21 2014-09-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089336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KR101078971B1 (ko) 2011-05-18 2011-11-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5748334B2 (ja) * 2011-05-31 2015-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ユニット
CN102810778B (zh) * 2011-06-03 2014-09-17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
US8292630B1 (en) 2011-06-24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Board mounted connector with protective shell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787081B2 (ja) * 2011-10-14 2015-09-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18016B2 (ja) * 2012-05-17 2015-11-18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2014170726A (ja) * 2013-02-05 2014-09-1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用いる電気コネクタ
CN106848654B (zh) * 2013-02-27 2019-06-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JP5809198B2 (ja) * 2013-06-10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JP6249643B2 (ja) * 2013-06-14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JP5747953B2 (ja) * 2013-06-27 2015-07-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88892B1 (ko) *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5881666B2 (ja) * 2013-11-19 2016-03-09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9065228B2 (en) * 2013-11-21 2015-06-2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887326B2 (ja)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91257B2 (ja) * 2014-01-06 2018-03-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9300064B2 (en) * 2014-01-17 2016-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325262B2 (ja) * 2014-01-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327973B2 (ja) * 2014-06-30 2018-05-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51242B2 (ja)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5305165B (zh) * 2014-07-16 2018-10-02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板用电连接器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2086780B (zh) 2014-10-23 2022-11-01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夹层式电连接器
US9401570B2 (en) * 2014-10-29 2016-07-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 bus bar
JP6052268B2 (ja) * 2014-11-28 2016-1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US9692183B2 (en) * 2015-01-20 2017-06-27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with ground bus
JP6436350B2 (ja) 2015-03-18 2018-12-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378642B2 (ja)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102325309B1 (ko) * 2015-05-22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179564B2 (ja) 2015-07-29 2017-08-1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10084265B2 (en) 2015-07-29 2018-09-25 Dai-Ichi Seiko Co., Ltd. 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JP6256426B2 (ja)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9893480B2 (en) * 2015-09-04 2018-02-13 Tyco Electronics Japan G.K. Connector
KR20170036529A (ko) * 2015-09-24 2017-04-03 몰렉스 엘엘씨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TWM517433U (zh) * 2015-11-24 2016-02-11 正崴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及其端子
WO2017188054A1 (ja) 2016-04-28 2017-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システム
US9831579B1 (en) * 2016-08-01 2017-11-28 Motorola Solutions, Inc. Adapter frame with a set of electrical pads on its top and bottom surfaces for a board-to-board connection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806028B2 (ja) * 2017-01-19 2020-12-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US10404014B2 (en) * 2017-02-17 2019-09-03 Fci Usa Llc Sta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CN113193402B (zh) 2017-04-28 2023-06-02 富加宜(美国)有限责任公司 高频bga连接器
JP6573135B2 (ja) * 2017-11-06 2019-09-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
CN110021836A (zh) * 2018-01-09 2019-07-16 岱炜科技股份有限公司 排线连接器的结构
CN110021835A (zh) * 2018-01-09 2019-07-16 岱炜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的组合结构
JP6563046B2 (ja) * 2018-02-08 2019-08-2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7093273B2 (ja) * 2018-09-07 2022-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594074B1 (en) * 2018-10-30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ielded magnetic electronic connector
JP6643641B2 (ja) * 2018-11-13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およびソケットと回路基板との接続構造
JP7202937B2 (ja) * 2018-12-19 2023-01-1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209329318U (zh) * 2018-12-28 2019-08-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WO2020175345A1 (ja) *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コネクタセット
JP7411882B2 (ja) *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3412559B (zh) * 2019-09-24 2023-12-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
KR20210100391A (ko) * 2020-02-06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인쇄 회로 기판과 제2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JP7454995B2 (ja) 2020-05-11 2024-03-2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US11489291B2 (en) * 2020-05-13 2022-11-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JP7467234B2 (ja) * 2020-05-28 2024-04-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4498200B (zh) * 2020-10-23 2024-0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11757223B2 (en) * 2021-04-14 2023-09-12 Dell Products L.P. Receptacle connector socket with embedded bus bar
CN115377759A (zh) * 2021-05-17 2022-11-22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08520B1 (en) * 1995-02-09 1999-04-1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019616A (en) * 1996-03-01 2000-02-0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enhanced grounding characteristics
JPH09237655A (ja) * 1996-03-01 1997-09-09 Molex Inc グランド強化型電気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JP3882958B2 (ja) * 1997-06-30 2007-02-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3264647B2 (ja) 1998-02-16 2002-03-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3277154B2 (ja) * 1998-05-06 2002-04-22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503101B1 (en) * 2001-12-04 2003-01-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path
CN2667690Y (zh) * 2003-09-06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522144B2 (ja) * 2004-05-21 2010-08-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758104B2 (ja) * 2005-01-21 2011-08-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75B1 (ko) 2012-01-31 2014-01-2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65466B1 (en) 2015-07-08
TW200843247A (en) 2008-11-01
EP1965466A2 (en) 2008-09-03
US7585185B2 (en) 2009-09-08
CN101257169A (zh) 2008-09-03
CN101257169B (zh) 2010-09-29
JP4333884B2 (ja) 2009-09-16
KR20080080435A (ko) 2008-09-04
TWI381595B (zh) 2013-01-01
JP2008218095A (ja) 2008-09-18
US20080214051A1 (en) 2008-09-04
EP1965466A3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049B1 (ko) 커넥터
CN101133522B (zh) 板安装电连接器
US8062041B2 (en) Connector
US890578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housing
CN109155491B (zh) 高速电连接器
JP2008108559A (ja) コネクタ
US885193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oldering sections of contacts exposed on a single side
CN113013680B (zh) 连接器组件
US7052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US10326243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2394405A (zh) 连接器
US7413476B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mating terminals
JP2024052802A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の製造方法
US8721366B2 (en) Connector
US8986041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JP5787081B2 (ja) コネクタ装置
TWI396336B (zh) 連接器
CN112186418B (zh) 连接器组件
EP1416591B1 (en) Connector with short interval arrangements of contacts
US6203341B1 (en) Cable connector
KR1008521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플러그 커넥터
JP4599373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CN112713456A (zh) 连接器
JPH0727068U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