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416B1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416B1
KR100992416B1 KR1020080028419A KR20080028419A KR100992416B1 KR 100992416 B1 KR100992416 B1 KR 100992416B1 KR 1020080028419 A KR1020080028419 A KR 1020080028419A KR 20080028419 A KR20080028419 A KR 20080028419A KR 100992416 B1 KR100992416 B1 KR 10099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shade
frame member
contact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753A (ko
Inventor
에이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7Discharge light sources
    • F21S41/172High-intensity discharg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20Illuminance distribution within the emitted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는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하는 것.
본 발명은 프레임 부재(8)에 솔레노이드(7)를 일방향(D)으로 부착하여 고정 유지하는 스크루(12)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7)에는 부착부(24)와,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 제1 맞닿음면(20) 및 제2 맞닿음면(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8)에는 부착 받침부(24)와, 제1 맞닿음면(20)이 맞닿아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E)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 제2 맞닿음면(25)이 맞닿아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맞닿음면(20) 및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E)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F)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2 맞닿음 받침면(3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7)를 프레임 부재(8)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차량용 전조, 광원, 리플렉터, 투영 렌즈, 반사광, 배광 패, 쉐이드, 스프링 부재, 구동 유닛, 프레임 부재, 부착 부재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HEADLIGHT FOR VEHICLES}
본 발명은 프로젝터 타입의 헤드 램프 등으로서, 복수의 배광 패턴, 예컨대 교차용 배광 패턴과 주행용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프로젝터 타입의 차량용 전조등은 종래부터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이하,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과, 그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그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량의 전방에 투영하는 투영 렌즈와, 리플렉터로부터 투영 렌즈를 향하는 반사광을 복수의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복수의 빔으로 전환하는 쉐이드와, 그 쉐이드의 자세(위치)를 복수의 빔이 얻어지는 복수의 자세로 전환하는 스프링 부재 및 구동 유닛과,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은, 광원을 점등하면,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리플렉터의 반사면에서 쉐이드 및 투영 렌즈 측으로 반사하고, 그 반사광이 투영 렌즈에서 차량의 전방으로 투영된다. 여기서,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작용과 구동 유닛의 구동 작용에 의해 쉐이드의 자세가 복수의 자세로 전환되어 리플렉터로부터 투영 렌즈를 향하는 반사광이 복수의 빔으로 전환되어 복수의 배광 패턴이 얻어진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종류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는 쉐이드의 자세를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로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5-9318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프레임 부재에 구동 유닛을 일방향으로 부착하여 고정 유지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구동 유닛에는, 부착 부재에 의해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 제1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면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에는, 부착 부재에 의해 구동 유닛의 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 받침부와, 구동 유닛의 제1 맞닿음면이 맞닿아 구동 유닛의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1 맞닿음 받침면과, 구동 유닛의 제2 맞닿음면이 맞닿아 구동 유닛의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제1 맞닿음면 및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2 맞닿음 받침면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스프링 부재 및 구동 유닛에 의해 전환되는 쉐이드의 자세가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이며, 제1 맞닿음면 및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이 쉐이드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과 일치하고, 제2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이 쉐이드의 비스듬 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부착 부재에 의해 구동 유닛이 프레임 부재에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는, 제1 맞닿음면이 제1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고 제2 맞닿음면이 제2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으며, 부착부와 부착 받침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스프링 부재는, 제1 맞닿음면 및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으로서 구동 유닛과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에 끼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구동 유닛에 맞닿아 제2 맞닿음면 및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부착 부재에 의해 프레임 부재의 부착 받침부에 구동 유닛의 부착부를 부착하면, 구동 유닛의 제1 맞닿음면, 제2 맞닿음면이 프레임 부재의 제1 맞닿음 받침면, 제2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아 구동 유닛이 프레임 부재에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대략 직교하는 것도 포함)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된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구동 유닛에 제1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면을 설치하고, 한편 프레임 부재에 제1 맞닿음 받침면 및 제2 맞닿음 받침면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종전의 구성 부품으로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종전인 채로 하여도 충분하다.
나아가, 본 발명(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구동 유닛과 프레임 부재와의 접속 부분이, 부착부와 부착 받침부와의 부착 부분 이외에, 제1 맞닿음면과 제1 맞닿음 받침면과의 맞닿음 부분 및 제2 맞닿음면과 제2 맞닿음 받침면과의 맞닿음 부분을 늘릴 수 있으므로, 그 만큼 구동 유닛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구동 유닛에서 프레임 부재로 효율적으로 전달시켜 그 프레임 부재에서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에, 쉐이드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 및 쉐이드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여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구동 유닛의 부착부와 프레임 부재의 부착 받침부의 가공 정밀도가 낮고, 구동 유닛의 부착부와 프레임 부재의 부착 받침부의 부착 위치가 설계상의 위치에서 어긋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맞닿음면과 제1 맞닿음 받침면과의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면과 제2 맞닿음 받침면과의 맞닿음면(2개의 맞닿음면인 2개의 가이드면)에 의해 구동 유닛이 프레임 부재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구동 유닛의 부착부와 프레임 부재의 부착 받침부의 부착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 어려운 구동 유닛을 쉐이드의 전환 방향 즉 비스듬한 방향으로 고정 유지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부착 부재에 의해 구동 유닛이 프레임 부재에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제1 맞닿음면이 제1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고 제2 맞닿음면이 제2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아 있는데, 부착부와 부착 받침부와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제1 맞닿음면을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제2 맞닿음면을 제2 맞닿음 받침면에 각각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 유닛을 프레임 부재에 더욱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스프링 부재를 구동 유닛 및 프레임 부재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은, 스프링 부재와 쉐이드가 일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 있어서는, 쉐이드도 스프링 부재와 함께 구동 유닛 및 프레임 부재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VU-VD"는 스크린의 상하의 수직선을 나타낸다. 부호 "HL-HR"은 스크린의 좌우의 수평선을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왼쪽", "오른쪽"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이 차량(자동차)에 장비되었을 때의 차량의 "상", "하", "전", "후", "왼쪽", "오른쪽"이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이다. 상기 차량용 전조등(1)은 자동차(차량)의 앞 부분의 좌우에 각각 장비되는 예컨대 프로젝터 타입의 헤드 램프이다. 또한 상기 차량용 전조등(1)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과, 리플렉터(3)와, 투영 렌즈(집광 렌즈, 볼록 렌즈)(4)와, 쉐이드(5)와, 스프링 부재(6)와, 구동 유닛(7)과, 프레임 부재(8)와, 스토퍼(9)와, 부착 부재로서의 스크루(12)와, 램프 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도시하지 않은 램프 렌즈(예컨대, 투명한 아우터 렌즈 등)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광원(2) 및 상기 리플렉터(3) 및 상기 투영 렌즈(4) 및 상기 쉐이드(5) 및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구동 유닛(7) 및 상기 프레임 부재(8) 및 상기 스토퍼(9) 및 상기 스크루(12)는 램프 유닛을 구성한다. 상기 램프 유닛은 상기 램프 하우징 및 상기 램프 렌즈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등실(도시하지 않음) 내에 예컨대 광축 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원(2)은 본 예에서는 방전등을 사용한다. 상기 방전등은 소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고압 금속 증기 방전등, 고휘도 방전등(HID) 등이다. 상기 광원(2)은 상기 리플렉터(3)에 소켓 기구(10)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광원(2)은 발광부(11)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광원(2)으로는 상기 방전등 이외에 할로겐 전구, 백열 전구일 수도 있다.
상기 리플렉터(3)는 상기 광원(2)으로부터의 빛(도시하지 않음)을 상기 투영 렌즈(4)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리플렉터(3)는 본 예에서는 열전도율 및 열방사율이 높은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플렉터(3)는 부착 부재 또는 고정 부재 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8)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3)는 전측(상기 차량용 전조등(1)의 빛의 조사 방향 측)이 개구되고, 후측이 막힌 중공의 오목형상을 이룬다. 상기 리플렉터(3)의 후측의 막힘부의 중앙에는 상기 광원(2)이 삽입되기 위한 원형의 투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3)의 안쪽 오목면에는 알루미늄 증착 또는 은 도장 등이 실시되어 있어 반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3)의 반사면(14)은 타원 또는 타원을 기조로 한 반사면, 예컨대 회전 타원면이나 타원을 기본으로 한 자유 곡면(NURBS 곡면) 등의 반사면(도 1, 도 2의 수직 단면이 타원면을 이루며, 도시하지 않은 수평 단면이 포물면 내지 변형 포물면을 이루는 반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은 제1 초점(F1)과, 제2 초점(수평 단면 상의 초점선)(F2)과, 광축(Z-Z)을 각각 갖는다.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광축(Z-Z)과 상기 광원(2)의 광축(도시하지 않음)은 일치한다(대략 일치하는 것도 포함함).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의 자유 곡면(NURBS 곡면)은 "Mathematical Elements for Computer Graphics"(Devid F. Rogers, J Alan Adams)에 기재되어 있는 NURBS의 자유 곡면(Non-Uniform Rational B-Spline Surface)이다.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의 상기 제1 초점(F1)은 상기 광원(2)의 상기 발광부(11)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의 상기 제2 초점(F2)은 상기 쉐이드(5) 또는 그 근방(제1 쉐이드부(16)와 제2 쉐이드부(17)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투영 렌즈(4)는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으로부터의 반사광(도시하지 않음)을 차량의 전방에 투영하는 것이다. 상기 투영 렌즈(4)는 비구면 렌즈의 볼록 렌즈이다. 상기 투영 렌즈(4)의 전방측은 볼록 비구면을 이루고, 한편 상기 투영 렌즈(4)의 후방측은 평평 비구면을 이룬다. 상기 투영 렌즈(4)는 고정 환형 부재로서의 림(15)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전측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상기 투영 렌즈(4)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 초점(물공간측의 초점면인 메리디오날(meridional) 상면)과 광축(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상기 투영 렌즈(4)의 초점과 상기 반사면(14)의 제2 초점(F2)은 일치한다(대략 일치하는 것도 포함함). 상기 투영 렌즈(4)의 광축과 상기 반사면(14)의 광축(Z-Z)은 일치한다(대략 일치하는 것도 포함함). 또한, 상기 투영 렌즈(4)의 광축과 상기 반사면(14)의 광축(Z-Z)은 좌우로 어긋나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쉐이드(5)는 상기 리플렉터(3)의 상기 반사면(14)으로부터 상기 투영 렌즈(4)를 향하는 반사광을 복수의 배광 패턴,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교차용 배광 패턴(LP)과 도 7에 도시한 주행용 배광 패턴(HP)이 얻어지는 복수의 빔, 즉 로우 빔(도시하지 않음)과 하이 빔(도시하지 않음)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쉐이드(5)는 제조 비용이 저렴한 판 구조(본 예에서는 평판의 박강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쉐이드(5)는, 도 1∼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길게 후측(상기 광원(2) 측)에 위치하는 제1 쉐이드부(16)와,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짧게 전측(상기 투영 렌즈(4) 측)에 위치하는 제2 쉐이드부(17)와, 비스듬한 부착부(18)와, 수평한 스토퍼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쉐이드부(16) 및 상기 제2 쉐이드부(17)가 상기 반사광을 상기 로우 빔과 상기 하이 빔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구동 유닛(7)은 상기 쉐이드(5)의 자세를 비스듬히 상후방과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로우 빔과 상기 하이 빔이 얻어지는 복수의 자세, 즉 로우 빔 자세와 하이 빔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로우 빔 자세는 도 1에 도시한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위치)이고, 상기 하이 빔 자세는 도 2에 도시한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위치)이다.
상기 스프링 부재(6)는 SUS(스프링 강판) 등의 탄성을 갖는 박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쉐이드(5)와 상기 스프링 부재(6)는 일체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쉐이드(5)의 상기 부착부(18)와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부 수평부의 대략 중앙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는, 상기 쉐이드(5)의 상기 부착부(18)와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부 수평부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일체로 구성(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쉐이드(5)와 상기 스프링 부재(6)는 각각 별개로 제조하고 나서 일체로 고정한 것, 또는 하나의 부재로 각각 제조하여 일체로 한 것이다.
상기 구동 유닛(7)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는 도 1∼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22)와, 상기 본체(22)에 대하여 진퇴하는 진퇴 로드(플런저)(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2) 내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 예컨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요크(도시하지 않음)와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8)는 본 예에서는 열전도율 및 열방사율이 높은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또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부재(8)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가 상기 스크루(12)에 의해 일방향(광축(Z-Z)과 평행한 방향, 수평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8)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 이외에 상기 리플렉터(3) 및 상기 쉐이드(5)와 일체 구조인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스토퍼(9)가 고정 유지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9)는 본 예에서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 예컨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9)는 상기 쉐이드(5)의 자세를 상기 로우 빔 자세로 규제 제동한다. 즉, 상기 스토퍼(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7)가 비구동시(비통전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쉐이드(5)의 상기 제2 쉐이드부(17) 및 상기 스토퍼부(19)가 탄성 맞닿아 상기 쉐이드(5)를 로우 빔 자세로 규제 제동하는 것이다.
상기 솔레노이드(7)에는 부착부(24) 및 제1 맞닿음면(20) 및 제2 맞닿음면(25) 및 맞닿음부(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24)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요크의 좌우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24)에는 삽입 통과공(28)이 상기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맞닿음면(20)은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본체(2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맞닿음면(25)은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본체(22)의 4측면 중 앞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볼록부의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맞닿음면(20)과 상기 제2 맞닿음면(25)은 상기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대략 직교하는 것도 포함함) 방향(E 및 F)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맞닿음부(26)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본체(22)의 4측면 중 앞면의 하측에 볼록부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8)에는 부착 받침부(27) 및 제1 맞닿음 받침면(30) 및 제2 맞닿음 받침면(3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받침부(27)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부착부(2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착 받침부(27)에는 나사 구멍(32)이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삽입 통과공(28)과 대응하여 상기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은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1 맞닿음면(20)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은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2 맞닿음면(25)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은 상기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대략 직교하는 것도 포함함) 방향(E 및 F)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부착부(24) 및 상기 제1 맞닿음면(20) 및 상기 제2 맞닿음면(25)과,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부착 받침부(27) 및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 및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은,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루(12)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7)가 상기 프레임 부재(8)에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상기 제1 맞닿음면(20)이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맞닿고 상기 제2 맞닿음면(25)이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맞닿아 있는데, 상기 부착부(24)와 상기 부착 받침부(27)와의 사이에 간극(S)이 생겨 있는 치수 관계에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6)에는 고정부(33) 및 위치 결정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스프링 부재(6)의 하부 수평부(상기 쉐이드(5)의 상기 부착부(18)와 일체의 상부 수평부와 반대측의 부위)에 상기 부착부(18)와 평행하게(대략 평행하게도 포함함) 비스듬히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33)에는 삼각형의 볼록조(21)가 상기 부착부(18)와 평행하게 비스듬히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록조(21)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본체(22)의 바닥면 측에, 또는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본체(22)의 쌍방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34)는 상기 고정부(33)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고정부(33)에 대하여 직교하는(대략 직교하는도 포함함) 방향으로 비스듬히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는 상기 스프링 부재(6)의 돔의 공간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쉐이드(5)와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부착부(18)는 임시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진퇴 로드(23)의 선단에 임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쉐이드(5)와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고정부(33) 및 상기 볼록조(21)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1 맞닿음면(20)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더욱이, 상기 쉐이드(5)와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위치 결정부(34)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맞닿음부(26)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솔레노이드(7) 및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쉐이드(5)는 상기 프레임 부재(8)에 도 3 중의 실선 화살표 방향, 즉 상기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으로 세팅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1 맞닿음면(20)은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고정부(33) 및 상기 볼록조(21)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대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2 맞닿음면(25)은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대향한다.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부착부(24)는 상기 스크루(12)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부착 받침부(27)에 일방향(D)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결과, 상기 솔레노이드(7) 및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 및 상기 쉐이드(5)는 상기 프레임 부재(8)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솔레노이드(7)는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2)가 상기 진퇴 로드(23) 및 상기 쉐이드(5)에 대하여 상기 광원(2)과 반대측에 비스듬히 하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7)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1 맞닿음면(20)은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고정부(33) 및 상기 볼록조(21)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상기 쉐이드(5)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B-B)과 일치하는(대략 일치하는도 포함함) 방향(E)으로 맞닿는다.
더욱이,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2 맞닿음면(25)은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상기 쉐이드(5)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B-B)과 직교하는(대략 직교하는도 포함함) 방향(F)으로 직접 맞닿는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고정부(33)는 상기 제1 맞닿음면(20) 및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E)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제1 맞닿음면(20)과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의 사이에 끼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상기 위치 결정부(34)는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맞닿음부(26)에 맞닿아 상기 제2 맞닿음면(25) 및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F)으로 위치 결정된다.
상기 쉐이드(5)와 일체 구조의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방향(스프링력의 작용 방향)(A-A)과, 상기 쉐이드(5)의 자세가 비스듬히 상후방(로우 빔 자세)과 비스듬히 하전방(하이 빔 자세)과의 사이에 있어서 전환되는 방향(쉐이드의 자세의 전환 방향)(B-B)과,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진퇴 로드(23)가 진퇴하는 방향(진퇴 로드의 진퇴 방향)(C-C)은 일치한다(대략 일치하는도 포함함). 상기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의 작용 방향(A-A) 및 상기 쉐이드(5)의 자세의 전환 방향(B-B) 및 상기 솔레노이드(7)의 상기 진퇴 로드(23)의 진퇴 방향(C-C)은 수직축에 대하여 본 예에서는 약 30°, 또는 상기 광축(Z-Z) 즉 수평축에 대하여 약 60° 경사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광원(2)을 점등한다. 그러면, 이 광원(2)의 발광부(11)로부터 빛이 방사된다. 이 빛은 리플렉터(3)의 반사면(14)에서 쉐이드(5) 및 투영 렌즈(4) 측으로 반사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7)가 비구동시, 즉 비통전 상태일 때에는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에 의해 솔레노이드(7)의 진퇴 로드(23)가 전진하여 쉐이드(5)가 도 1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으며, 쉐이드(5)가 스토퍼(9)에 탄성 맞닿아 있다. 이 결과, 쉐이드(5)는 로우 빔 자세로 규제 제동되어 있다. 이에 따라 쉐이드(5)는 도 1에 도시한 로우 빔 자세에 있다.
쉐이드(5)가 도 1에 도시한 로우 빔 자세에 있을 때에는 리플렉터(3)의 반사면(14)으로부터의 반사광 중 일부는 쉐이드(5)의 제1 쉐이드부(16) 및 제2 쉐이드 부(17)에 의해 차폐된다. 한편, 나머지 반사광은 투영 렌즈(4) 측으로 진행하고, 투영 렌즈(4)를 거쳐 도 6에 도시한 교차용 배광 패턴(LP)으로서 자동차의 전방에 투영(방사, 조사)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7)에 통전하면, 솔레노이드(7)가 구동하여 솔레노이드(7)의 진퇴 로드(23)가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후퇴한다. 이에 따라, 쉐이드(5)는 도 2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쉐이드(5)는 도 1에 도시한 비스듬히 상후방의 위치 즉 로우 빔 자세에서 도 2에 도시한 비스듬히 하전방의 위치 즉 하이 빔 자세로 전환된다.
그러면, 지금까지 쉐이드(5)의 제1 쉐이드부(16) 및 제2 쉐이드부(17)에 의해 차폐되어 있던 리플렉터(3)의 반사면(14)으로부터의 반사광은 차폐되지 않은 반사광과 함께 투영 렌즈(4) 측으로 진행하고 투영 렌즈(4)를 거쳐 도 7에 도시한 주행용 배광 패턴(HP)으로서 자동차의 전방에 투영(방사, 조사)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7)에의 통전을 차단하면, 솔레노이드(7)가 비구동 상태가 되므로, 탄성 변형되어 있던 스프링 부재(6)가 스프링력으로 탄성 복귀한다. 이 결과, 쉐이드(5)는 도 2에 도시한 하이 빔 자세에서 도 1에 도시한 로우 빔 자세로 이동하여 전환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주행용 배광 패턴(HP)에서 도 6에 도시한 교차용 배광 패턴(LP)으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이상과 같은 구성 및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스크루(12)에 의해 프레임 부재(8)의 부착 받침부(27)에 솔레노이드(7)의 부착부(24)를 부착하면, 솔레노이드(7)의 제1 맞닿음면(20), 제2 맞닿음면(25)이 프레임 부재(8)의 제1 맞닿음 받침면(30),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맞닿아, 솔레노이드(7)가 프레임 부재(8)에, 스크루(12)의 부착 방향(D)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E, F)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솔레노이드(7)에 제1 맞닿음면(20) 및 제2 맞닿음면(25)을 설치하고, 한편 프레임 부재(8)에 제1 맞닿음 받침면(30) 및 제2 맞닿음 받침면(31)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종전의 구성 부품으로 솔레노이드(7)를 프레임 부재(8)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종전인 채로 하여도 충분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솔레노이드(7)와 프레임 부재(8)와의 접속 부분이 부착부(24)와 부착 받침부(27)와의 부착 부분 이외에 제1 맞닿음면(20)과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의 맞닿음 부분 및 제2 맞닿음면(25)과 제2 맞닿음 받침면(31)과의 맞닿음 부분을 늘릴 수 있으므로, 그 만큼 솔레노이드(7)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솔레노이드(7)에서 프레임 부재(8)로 효율적으로 전달시켜 그 프레임 부재(8)에서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솔레노이드(7)를 프레임 부재(8)에, 쉐이드(5)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B-B)과 일치하는 방향(E) 및 쉐이드(5)의 비스듬히 상후방의 자세와 쉐이드의 비스듬히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B-B)에 대하여 직교 하는 방향(F)에 있어서 위치 결정하여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솔레노이드(7)의 부착부(24)와 프레임 부재(8)의 부착 받침부(27)의 가공 정밀도가 낮고, 솔레노이드(7)의 부착부(24)와 프레임 부재(8)의 부착 받침부(27)의 부착 위치가 설계상의 위치에서 벗어나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맞닿음면(20)과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의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면(25)과 제2 맞닿음 받침면(31)과의 맞닿음면(2개의 맞닿음면인 2개의 가이드면)에 의해 솔레노이드(7)가 프레임 부재(8)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방향(E, F)에 있어서 위치 결정되어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솔레노이드(7)의 부착부(24)와 프레임 부재(8)의 부착 받침부(27)의 부착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비교적 어려운 솔레노이드(7)를 쉐이드(5)의 전환 방향(B-B) 즉 비스듬한 방향으로 고정 유지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스크루(12)에 의해 솔레노이드(7)가 프레임 부재(8)에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일 때, 제1 맞닿음면(20)이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맞닿고 제2 맞닿음면(25)이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맞닿아 있는데, 부착부(24)와 부착 받침부(27)와의 사이에는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극(S)이 생겨 있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제1 맞닿음면(20)을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제2 맞닿음면(25)을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각각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솔레노이드(7)를 프레임 부재(8)에 더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스프링 부재(6)의 고정부(33)가 제1 맞닿음면(20) 및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E)으로서 솔레노이드(7)의 제1 맞닿음면(20)과 프레임 부재(8)의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의 사이에 끼어 고정되어 있고, 한편 스프링 부재(6)의 위치 결정부(34)가 솔레노이드(7)의 맞닿음부(26)에 맞닿아 제2 맞닿음면(25) 및 제2 맞닿음 받침면(31)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F)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결과,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스프링 부재(6)를 솔레노이드(7) 및 프레임 부재(8)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즉, 스크루(12)에 의해 솔레노이드(7)의 부착부(24)를 프레임 부재(8)의 부착 받침부(27)에 부착할 때, 스프링 부재(6)의 고정부(33)가 솔레노이드(7)의 제1 맞닿음면(20)과 프레임 부재(8)의 제1 맞닿음 받침면(30)과의 사이에 끼어 고정되고, 스프링 부재(6)의 위치 결정부(34)가 솔레노이드(7)의 맞닿음부(26)에 맞닿아 솔레노이드(7) 측으로 가이드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1)은 스프링 부재(6)와 쉐이드(5)가 일체 구조를 이루므로, 쉐이드(5)도 스프링 부재(6)와 함께 솔레노이드(7) 및 프레임 부재(8)에 위치 정밀도 양호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 이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교차용 배광 패턴(LP)과 도 7에 도시한 주행용 배광 패턴(HP)이 얻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교차용 배광 패턴과 고속 도로용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것 또는 교차용 배광 패턴과 고속 도로용 배광 패턴과 주행용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것 또는 교차용 배광 패턴과 기타 1종류 또는 여러 종 류의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쉐이드(5)가 복수 개일 수도 있고, 또한 진퇴 로드(23)가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유닛으로서 솔레노이드(7)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 유닛으로서 솔레노이드 이외의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모터 등이다. 이 모터의 경우, 이 모터의 회전력을 진퇴 로드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 기구(기어나 캠 등)가 필요하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력의 작용 방향(A-A) 및 쉐이드(5)의 자세의 전환 방향(B-B) 및 솔레노이드(7)의 진퇴 로드(23)의 진퇴 방향(C-C)이 수직축 또는 수평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의 작용 방향 및 쉐이드의 자세의 전환 방향 및 솔레노이드의 진퇴 로드의 진퇴 방향이 수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프링 부재(6)로서 돔형(돔 구조)의 스프링을 사용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프링 부재로서 돔형의 스프링 이외의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 등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로서 스크루(12)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로서 스크루 이외의 것, 예컨대, 볼트 너트, 핀 조여붙임, 핀 끼워맞춤, 핀 압착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크루(12)에 의해 솔레노이드(7)를 프레임 부재(8)에 부착하여 고정 유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착 부재에 의해 구동 유닛과 리플렉터를 프레임 부재에 일체로 부착하여 고정 유지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7)의 제1 맞닿음면(20)이 스프링 부재(6)의 고정부(3, 3) 및 볼록조(21)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 부재(8)의 제1 맞닿음 받침면(30)에 맞닿아 쉐이드(5)의 자세의 전환 방향(B-B)과 일치하는 방향(E)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 유닛의 제1 맞닿음면이 프레임 부재의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직접 맞닿아 쉐이드의 자세의 전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쉐이드가 로우 빔 자세에 있을 때의 램프 유닛의 종단면도(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쉐이드가 하이 빔 자세에 있을 때의 램프 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 및 스프링 부재 및 쉐이드를 프레임 부재에 세팅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주요 부품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 및 스프링 부재 및 쉐이드를 프레임 부재에 고정 유지한 상태를 보인 주요 부품의 일부 확대 종단면도(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 및 스프링 부재 및 쉐이드 및 프레임 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교차용 배광 패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주행용 배광 패턴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차량용 전조등, 2…광원,
3…리플렉터, 4…투영 렌즈,
5…쉐이드, 6…스프링 부재,
7…솔레노이드(구동 유닛), 8…프레임 부재,
9…스토퍼, 10…소켓 기구,
11…발광부, 12…스크루(부착 부재),
13…투공, 14…반사면,
15…림, 16…제1 쉐이드부,
17…제2 쉐이드부, 18…쉐이드의 부착부,
19…스토퍼부, 20…제1 맞닿음면,
21…볼록조, 22…본체,
23…진퇴 로드, 24…부착부,
25…제2 맞닿음면, 26…맞닿음부,
27…부착 받침부, 28…삽입 통과공,
30…제1 맞닿음 받침면, 31…제2 맞닿음 받침면,
32…나사 구멍, 33…고정부,
34…위치 결정부, LP…교차용 배광 패턴,
HP…주행용 배광 패턴, HL-HR…좌우의 수평선,
VU-VD…상하의 수직선, Z-Z…반사면의 광축,
F1…반사면의 제1 초점, F2…반사면의 제2 초점,
A-A…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작용 방향,
B-B…쉐이드의 자세의 전환 방향,
C-C…솔레노이드의 진퇴 로드의 진퇴 방향,
S…간극

Claims (4)

  1. 복수의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프로젝터 타입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의 반사광을 차량의 전방에 투영하는 투영 렌즈와,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상기 투영 렌즈를 향하는 반사광을 상기 복수의 배광 패턴이 얻어지는 복수의 빔으로 전환하는 쉐이드와,
    상기 쉐이드의 자세를 상기 복수의 빔이 얻어지는 복수의 자세로 전환하는 스프링 부재 및 구동 유닛과,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상기 구동 유닛을 일방향으로 부착하여 고정 유지하는 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유닛에는, 상기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각각 교차하면서 서로 직교하는 제1 맞닿음면 및 제2 맞닿음면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상기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부착부가 부착되는 부착 받침부와,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제1 맞닿음면이 맞닿아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1 맞닿음 받침면과,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제2 맞닿음면이 맞닿아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부착 부재의 부착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제2 맞닿음 받침면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전환되는 상기 쉐이드의 자세는 비스듬한 상후방의 자세와 비스듬한 하전방의 자세이며,
    상기 제1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한 상후방의 자세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한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제2 맞닿음면 및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한 상후방의 자세와 상기 쉐이드의 비스듬한 하전방의 자세와의 사이의 전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 유닛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고정 유지되어 있는 상태는, 상기 제1 맞닿음면이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고 상기 제2 맞닿음면이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에 맞닿으며, 상기 부착부와 상기 부착 받침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 맞닿음면 및 상기 제1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으로서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프레임 부재와의 사이에 끼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구동 유닛에 맞닿아 상기 제2 맞닿음면 및 상기 제2 맞닿음 받침면에 의한 위치 결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KR1020080028419A 2007-04-25 2008-03-27 차량용 전조등 KR100992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15546A JP4492637B2 (ja) 2007-04-25 2007-04-25 車両用前照灯
JPJP-P-2007-00115546 2007-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753A KR20080095753A (ko) 2008-10-29
KR100992416B1 true KR100992416B1 (ko) 2010-11-08

Family

ID=3961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419A KR100992416B1 (ko) 2007-04-25 2008-03-27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36038B2 (ko)
EP (1) EP1985915B1 (ko)
JP (1) JP4492637B2 (ko)
KR (1) KR100992416B1 (ko)
CN (1) CN1012946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5410B2 (ja) * 2008-11-19 2014-01-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414246B2 (ja) * 2008-11-19 2014-02-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5321048B2 (ja) * 2008-12-26 2013-10-2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KR20120050271A (ko) * 2010-11-10 2012-05-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로젝션 헤드램프 어셈블리
FR2988809B1 (fr) * 2012-03-28 2014-04-25 Aml Systems Mecanisme de coupure de module optique et module optiqu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JP6125767B2 (ja) * 2012-06-25 2017-05-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
KR101369474B1 (ko) * 2012-09-1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US9285093B2 (en) 2013-03-15 2016-03-15 Federal-Mogul Corporation Self-locating light source module
CN105473937B (zh) * 2013-08-23 2018-10-16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以及照明装置
US20150167919A1 (en) * 2013-12-17 2015-06-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amp Assembly
DE102017111447A1 (de) * 2017-05-24 2018-11-2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ED-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JP6974996B2 (ja) * 2017-09-25 2021-12-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3192B1 (it) 1996-03-05 1998-04-16 Pagani Spa Proiettore di tipo a proiezione per applicazioni in campo motociclistico e/o automobilistico
DE19642467B4 (de) 1996-10-15 2010-04-0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Scheinwerferanlage für Fahrzeuge zur Aussendung eines veränderlichen Lichtbündels
JP2001118410A (ja) * 1999-10-19 2001-04-27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015340B2 (ja) 2000-02-21 2007-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3995919B2 (ja) 2001-11-08 2007-10-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3967153B2 (ja) * 2002-03-04 2007-08-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061233B2 (ja) 2003-04-23 2008-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5026147A (ja) * 2003-07-04 2005-01-27 Ichikoh Ind Ltd ヘッドランプ
JP2005093182A (ja) 2003-09-16 2005-04-07 Ichikoh Ind Ltd ヘッ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4675A (zh) 2008-10-29
EP1985915B1 (en) 2018-12-26
JP2008276956A (ja) 2008-11-13
US7736038B2 (en) 2010-06-15
EP1985915A1 (en) 2008-10-29
JP4492637B2 (ja) 2010-06-30
KR20080095753A (ko) 2008-10-29
US20080266889A1 (en)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416B1 (ko) 차량용 전조등
US8287167B2 (en) Lamp unit
JP4771723B2 (ja) 車両用灯具
EP2551580B1 (en) Vehicle headlamp
KR101027944B1 (ko) 차량용 전조등
WO2018003888A1 (ja) 車両用灯具
JP4850743B2 (ja) 車両用前照灯
JP4867530B2 (ja) 車両用前照灯
JP4508168B2 (ja) 車両用前照灯
JP4835602B2 (ja) 車両用前照灯
JP4622982B2 (ja) 車両用前照灯
JP4623056B2 (ja) 車両用前照灯
JP4743123B2 (ja) 車両用前照灯
JP4702323B2 (ja) 車両用前照灯
JP4622983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236860B1 (ko) 차량용 전조등
JP2006302532A (ja) 車両用前照灯
JP4622981B2 (ja) 車両用前照灯
JP4525659B2 (ja) 車両用前照灯
JP4743124B2 (ja) 車両用前照灯
JP2006252926A (ja) ヘッドランプ
JP2006040561A (ja) 車両用前照灯
JP2016225211A (ja) 車両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