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297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297B1
KR100992297B1 KR1020080066765A KR20080066765A KR100992297B1 KR 100992297 B1 KR100992297 B1 KR 100992297B1 KR 1020080066765 A KR1020080066765 A KR 1020080066765A KR 20080066765 A KR20080066765 A KR 20080066765A KR 100992297 B1 KR100992297 B1 KR 10099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female member
guide groove
guide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138A (ko
Inventor
겐이찌 요시에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10T24/45534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having connected leading edge and separated trailing arm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수형 부재(A)는 끈 형상 부재를 설치 가능한 기초부(10)와, 이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25)를 갖는다. 암형 부재(B)는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42) 및 이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43)을 갖는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와, 이 암형 부재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되어 수형 부재의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46)와, 삽입구로부터 피결합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결합부를 피결합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47)을 갖는다. 암형 부재(B)의 삽입구에는 수형 부재의 결합부와 접촉하고, 이 결합부를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버클, 암형 부재, 수형 부재, 삽입구, 가이드 홈

Description

버클 {BUCKLE}
본 발명은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1개의 끈 형상 부재의 양단부, 혹은 2개의 끈 형상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버클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문헌 1(일본 특허 제3790094호 공보)에서는 수형 부재와, 통 형상의 암형 부재를 구비한 접속구가 제안되어 있다. 수형 부재에는 한 쌍의 굴신부가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 굴신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에는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개구부로부터 내부 공동을 향해, 안내 홈이 상벽 및 하벽의 내면을 따라서 테이퍼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안내 홈의 내측부에 수형 부재의 돌기가 결합하는 절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 부재의 돌기를 암형 부재의 상하의 안내 홈에 맞추고,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하면, 돌기가 안내 홈의 테이퍼 홈을 따라서 진행되므로, 굴신부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윽고,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돌기가 절입부에 떨어 져 결합되므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결합된다.
이 접속구에서는 암형 부재의 안내 홈 방향에 대해 수형 부재를 비스듬히 삽입하면, 수형 부재의 돌기가 암형 부재의 상하의 안내 홈에 맞지 않으므로, 수형 부재가 도중에 막히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로 인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정확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수형 부재의 돌기를 암형 부재의 상하의 안내 홈에 정확하게 맞추어야만 하므로, 수형 부재의 삽입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버클로서,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04911호 공보)에 기재된 버클이 알려져 있다.
이는,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을 구비한다. 수형 부분은 기초부와, 이 기초부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단부에 로크용 탭을 갖는 2개의 로크 아암과, 이 로크 아암 사이에서 이들 로크 아암과 동일 방향으로 대략 삼각 형상으로 돌출 성형된 V자 형상 중앙 부분을 갖는다. 암형 부분은 통 형상의 중공 형상 본체부를 갖고, 이 중공 형상 본체부에는 수형 부분의 로크용 탭이 결합하는 로크용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수형 부분의 V자 형상 중앙 부분이 끼워 넣어지는 V자 형상 홈이 삽입구로부터 내측부를 향해 절결되어 있다.
수형 부분을 암형 부분에 삽입하면, 2개의 로크 아암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수형 부분의 V자 형상 중앙 부분이 암형 부분의 V자 형상 홈으로 삽입된다. 이때, 암형 부분의 통 방향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비스듬히 삽입되면, 수형 부분의 V자 형상 중앙 부분이 암형 부분의 V자 형상 홈의 홈벽에 접촉하고, 이 V자 형상 홈의 홈벽을 따라서 삽입되므로, 수형 부분의 자세가 교정된다. 즉, 암형 부분의 통 방향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수형 부재의 자세가 교정된다. 그로 인해, 암형 부분의 통 방향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비스듬히 삽입된 경우라도, 수형 부분을 암형 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문헌 2에 기재된 버클에서는 수형 부분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한 V자 형상 중앙 부분과, 암형 부분의 폭 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한 V자 형상 홈에서 수형 부분의 삽입 자세를 교정하는 구조이므로, 수형 부분이 어느 정도 암형 부분에 삽입될 때까지는 수형 부분의 V자 형상 중앙 부분이 암형 부분의 V자 형상 홈의 홈벽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자세 교정 기능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암형 부분의 통 방향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극단적으로 비스듬히 삽입된 경우, 자세 교정 기능이 작용하지 않고 도중에 막혀 버리는 경우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경우, 수형 부분을 암형 부분으로부터 인발하여 다시 삽입 조작을 해야만 하므로, 삽입 조작 시에 주의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여,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도중에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버클은 수형 부재와, 이 수형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는 끈 형상 부재를 설치 가능한 기초부와, 이 기초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와, 이 각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는 상기 수형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 및 이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와, 이 암형 부재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 부재의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피결합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갖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의 상기 삽입구에는 상기 수형 부재의 결합부와 접촉하고, 이 결합부를 상기 가이드 홈으로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를 암형 부재의 삽입구로부터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한다. 이때, 암형 부재의 축선(가이드 홈이 연장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으면, 예를 들어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 축선이 일치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기울어져 있으면, 수형 부재의 한 쌍의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가 암형 부재의 삽입구에 형성된 유도부에 접촉된다. 그러면, 이 유도부에 의해 결합부가 암형 부재에 형성된 가이드 홈으로 유도된다. 즉,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수형 부재의 자세가 교정된다.
그대로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삽입해 가면, 결합부는 가이드 홈에 의해 피결합부까지 안내되어, 그 피결합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 해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어도,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도중에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삽입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끼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유도부가 가이드 홈을 끼운 삽입구의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거나, 혹은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삽입되어도, 수형 부재의 결합부가 암형 부재의 삽입구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유도부에 접촉하므로, 이들 유도부에 의해 수형 부재의 결합부를 가이드 홈으로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 본체는 표벽, 이벽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상기 표벽 및 이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표벽 및 이벽의 각각의 내면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피결합부를 향함에 따라서 홈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표벽 및 이벽의 상기 삽입구측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을 끼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고, 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의 간격이 상기 삽입구측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암형 부재 본체를 구성하는 표벽 및 이벽의 각각의 내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홈이 개방되는 표벽 및 이벽의 삽입구 양측 단부면에 유도부가 형성되고, 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유도부의 간격이 삽입구측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이드 홈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삽입되어도, 그대로 압입하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삽입되면, 수형 부재의 결합부가 암형 부재의 삽입구 양측 단부면에 설치된 유도부에 접촉된다. 그러면, 이들 양측 유도부의 간격이 삽입구측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이드 홈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압입하면 결합부가 유도부를 따라서 가이드 홈 방향으로 유도되므로, 삽입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표벽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홈 바닥과 상기 이벽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홈 바닥과의 사이의 치수를 H1, 상기 표벽의 상기 삽입구측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로부터 상기 이벽의 상기 삽입구측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까지의 치수를 H2, 상기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와 이면측 결합부와의 선단부간의 치수를 H3으로 했을 때,
H2 < H3 < H1
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우선 표벽의 삽입구측에 형성된 유도부로부터 이벽의 삽입구측에 형성된 유도부까지의 치수(H2)가,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 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와 이면측 결합부와의 선단부간의 치수(H3)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의 축선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삽입되면, 결합부가 유도부에 확실하게 접촉된다.
이대로 압입하면, 결합부는 유도부에 늘어서서 가이드 홈으로 유도된다. 이때, 다리부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와 이면측 결합부와의 선단부간의 치수(H3)가, 표벽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홈 바닥과 이벽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의 홈 바닥과의 사이의 치수(H1)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를 가이드 홈으로 확실하게 안내,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와 상기 수형 부재는 맞댐면에 의해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수형 부재의 맞댐면은 상기 삽입구로부터 수형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한 확대 개방부를 갖고, 이 확대 개방부의 중앙에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또한 양측에 상기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의 맞댐면은 상기 확대 개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암형 부재의 맞댐면에 확대 개방부가 형성되고, 이 확대 개방부의 중앙에 가이드 홈이, 양측에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확대 개방부를 목표로 하여 이 확대 개방부에 수형 부재의 다리부를 삽입하면, 다리부의 결합부를 확대 개방부에 의해 가이드 홈까지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수형 부재의 맞댐면도 확대 개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맞댐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부재를 암형 부재에 대해 도중에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 도4는 상기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5는 암형 부재에 대해 수형 부재가 비스듬히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전체 구성)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버클(1)은 끈 형상 부재의 단부(2, 3)를 연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형 부재(A)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의 재료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로 한정되지 않고, 금속 등의 다른 재료라도 좋다.
[수형 부재(A)]
수형 부재(A)는 기초부(10)와, 이 기초부(10)의 폭 방향[수형 부재(A)의 삽 입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양측으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다리부(20)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돌출 설치된 1개의 횡어긋남 규제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기초부(10)는 내부 중앙부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2)가 삽입되어 걸리는 끈 설치부로서의 끈 설치 구멍(11)을 갖는 프레임(12)과, 이 프레임(12)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측으로부터 다리부(20)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돌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끈 설치 구멍(11)의 중간이며, 프레임(12)의 폭 방향으로 연결 레버(13)가 가교되고, 이 연결 레버(13)에 의해 끈 설치 구멍(11)이, 다리부(20)가 설치된 삽입 방향 전단부측과 그것과는 반대측의 삽입 방향 후단부측의 2개의 끈 설치 구멍(11A, 11B)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끈 형상 부재를 끈 설치 구멍(11, 11B)에 삽입 통과시켜 연결 레버(13)의 주위로 선회시킴으로써 끈 형상 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돌출부(14)는 한 쌍의 다리부(20) 사이에 있고, 기초부(10)의 다리부(20)가 돌출 형성된 측, 즉 암형 부재(B)와의 맞댐면으로부터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방향 전단부 모서리가, 손가락의 선단부 윤곽 형상에 대략 합치하도록 기초부(10)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함에 따라서 돌출량이 점차 커지는 원호 형상(보다 상세하게는,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표면에는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전단부(15A)와 삽입 방향 후단부(15B)를 갖고, 전단부(15A)와 후단부(15B)를 접속하는 면[오목부(15)의 표면]이, 후단부(15B)의 폭 방향 중앙 위치가 가장 낮고, 이 가장 낮은 위치로부터 전단부(15A)를 향해 점차 높아지는 곡면 형상(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손가락의 볼록한 형상과 합치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의 이면에도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7)도 오목부(15)의 형상과 동일하다.
다리부(20)는 기초부(1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다리부(21)와, 이 탄성 다리부(21)의 선단부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이드 다리부(22)를 갖는다.
탄성 다리부(21)는 탄성 변형 방향의 치수(폭 치수)가 표리 방향 치수보다 작은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다리부(22)는 두 갈래로 분기된 후 선단부에서 결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외측면이 선단부를 향해 내측, 즉 각 다리부(20)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25)는 가이드 다리부(22)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2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횡어긋남 규제 부재(30)는 돌출부(14)의 선단부로부터 한 쌍의 다리부(20)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표리면 중앙에 결합 홈(32)이 횡어긋남 규제 부재(30)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B)]
암형 부재(B)는 표리면을 구성하는 표벽(40A), 이벽(4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벽(40C)을 갖는 편평한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구비한다.
암형 부재 본체(40)는, 일단부에 수형 부재(A)가 삽입되는 삽입구(42)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3)가 삽입되어 걸리는 끈 설치부(4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내부에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43)을 갖는다. 삽입구(42)를 형성하는 표벽(40A) 및 이벽(40B)에는 중앙 부분이 내부를 향해 오목한 원호 형상(포물선 형상)이고, 수형 부재(A)의 돌출부(14)가 들어가는 확대 개방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형 부재(A)의 돌출부(14)와 암형 부재(B)의 확대 개방부(42A)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맞대어진다. 끈 설치부(41)는 끈 설치 구멍(41A) 및 연결 레버(4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본체(40)의 표리면에는 끈 설치 구멍(41A)에 인접하여 오목부(51, 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51, 52)도 수형 부재(A)의 오목부(15, 17)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43)의 내측부 양측벽에는, 도2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외측 표면으로 노출시키는 다리부용 개구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용 개구부(45)는 암형 부재 본체(40)의 주위벽 중, 측벽(40C)으로부터 표벽(40A) 및 이벽(40B)의 내부를 향해 오목 곡면 형상으로 절결되어 있 다.
다리부용 개구부(45)보다 수용 공간(43)의 내측부이며, 표벽(40A) 및 이벽(40B)의 내면에는 오목 형상의 피결합부(46)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다리부(20)에 설치된 결합부(25)를 피결합부(46)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47)이, 확대 개방부(42A)의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으로부터 피결합부(46)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47)은 확대 개방부(42A)[삽입구(42)]로부터 피결합부(46)를 향해 홈 폭 치수가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리부(20)는 암형 부재(B)에 삽입됨에 따라서, 삽입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된 후,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 또한, 표벽(40A) 및 이벽(40B)의 내면에는 횡어긋남 규제 부재(30)의 결합 홈(32)에 끼워 맞추는 돌조(48)가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확대 개방부(42A)의 양측에는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와 접촉하여 그 결합부(25)를 가이드 홈(47)으로 유도하는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삽입구(42)에 있어서, 가이드 홈(47)을 끼운 양측 단부면에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61)는 표벽(40A) 및 이벽(40B)의 삽입구(42)측의 단부면, 즉 삽입구(42)의 입구 모서리에 있어서, 가이드 홈(47)을 끼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47)을 끼운 양측의 유도부(61)는 경사면 형상, 즉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을 향해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유도부(61)의 간격이 삽입구(42)측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이드 홈(47)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 즉 확대 개방부(42A)의 원호 혹은 포물선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벽(40A)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 이벽(40B)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의 사이의 치수를 H1, 표벽(40A)의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유도부(61)로부터 이벽(40B)의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유도부(61)까지의 치수를 H2,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25)와 이면측 결합부(25)와의 선단부간의 치수를 H3으로 했을 때,
H2 < H3 < H1
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수형 부재(A)의 표리면을 집고, 다른 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을 집는다.
이때, 수형 부재(A)의 표리면에는 기초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14)의 표리면에 오목부(15, 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오목부(15, 17)에 엄지 손가락 및 집게 손가락을 대면, 수형 부재(A)의 표리면을 집어서 조작하는 경우라도 집기 쉽다. 또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에도 오목부(51, 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댈 수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암형 부재(B)의 표리면을 집기 쉽다.
이와 같이 하여, 수형 부재(A)와 암형 부재(B)를 집은 후,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한다. 그러면, 다리부(20)의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5)가 가이드 홈(47)의 내측으로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가이드 홈(47)은 암형 부재(B)의 내측을 향해 폭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간다.
이윽고, 다리부(20)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46)를 넘는 위치까지 수형 부재(A)가 삽입되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있던 다리부(20)가 본래의 상태로 탄성 복귀되므로(외측으로 복귀되므로), 다리부(20)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암형 부재(B)의 확대 개방부(42A)에 수형 부재(A)의 돌출부(14)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거의 간극없이 끼워 맞춘 상태로 되므로, 덜걱거림도 적은 동시에, 의장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이 상태에서는 암형 부재(B)의 돌조(48)가 수형 부재(A)의 횡어긋남 규제 부재(30)에 형성된 결합 홈(32)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예를 들어, 수형 부재(A)의 한쪽 다리부(20)에 결합을 인위적으로 해제하는 것 이외의 외력(내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횡어긋남 규제 부재(30)가 없는 경우, 수형 부재(A)가 폭 방향 타방측으로 변위된다. 그러면, 다른 쪽 다리부(20)의 근본 부분이 암형 부재(B)의 측벽(40C)에 접촉하고, 다른 쪽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그 결과, 양 다리부(20)의 선단부에 설치된 결합부(25)가 피결합부(46)로부터 어긋나고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사태도 상정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암형 부재(B)의 돌조(48)가 수형 부재(A)의 횡어긋남 규제 부재(30)에 형성된 결합 홈(32)에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에 대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수형 부재(A)가 암형 부재(B)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로부터 수용 공간(43) 내로 삽입할 때, 암형 부재(B)의 축선[가이드 홈(47)이 연장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으면, 예를 들어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 축선이 일치하고 있지 않거나, 혹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기울어져 있으면,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가이드 홈(47)에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에 형성된 유도부(61)에 접촉된다. 즉, 표벽(40A)의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유도부(61)로부터 이벽(40B)의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유도부(61)까지의 치수(H2)가,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25)와 이면측 결합부(25)와의 선단부간의 치수(H3)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어긋난 상태로 삽입되면, 결합부(25)가 유도 부(61)에 접촉된다.
또한,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유도부(61)의 간격이 삽입구(42)측의 단부면으로부터 가이드 홈(47)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도부(61)에 의해 결합부(25)가 가이드 홈(47)으로 유도된다. 즉,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수형 부재(A)의 자세가 교정된다. 이때,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25)와 이면측 결합부(25)와의 선단부간의 치수(H3)가, 표벽(40A)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 이벽(40B)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의 사이의 치수(H1)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25)가 가이드 홈(47) 내로 안내, 삽입된다.
따라서,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어도,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대해 도중에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유도부(61)가 가이드 홈(47)을 끼운 삽입구(42)의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폭 방향으로 어긋나 있어도, 혹은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폭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삽입되어도,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유도부(61)에 접촉하므로, 이들 유도부(61)에 의해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를 가이드 홈(47)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암형 부재(B)의 맞댐면에 확대 개방부(42A)가 형성되고, 이 확대 개방 부(42A)의 중앙에 가이드 홈(47)이, 양측에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확대 개방부(42A)를 목표로 하여 이 확대 개방부(42A)에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삽입하면, 다리부(20)의 결합부(25)를 확대 개방부(42A)의 양측에 형성된 유도부(61)에 의해 확대 개방부(42A)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홈(47)까지 유도시킬 수 있다.
게다가, 삽입구(42)에 있어서 유도부(61)가 형성된 부분, 즉 삽입구(42)의 좌우 양측 부분은 삽입구(42)의 중앙 부분보다도 암형 부재(B)의 표리 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이 두꺼워진 부분은 가이드 홈(47)의 양측을 따라서 암형 부재(B)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으므로, 암형 부재(B)의 좌우 양측에 형성한 개구부(45)의 주변 부분의 두께도 두꺼워져, 개구부(45)의 주변 부분이 보강되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암형 부재(B)의 다리부용 개구부(45)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다리부(20)를 내측으로 압박하면,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가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러면, 결합부(25)가 피결합부(46)로부터 어긋나기 때문에, 이 상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인발하면,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8은 상기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9는 도8의 IX-IX선 단면 도, 도10은 상기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11은 암형 부재에 대해 수형 부재가 비스듬히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도11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 혹은 간략화한다.
(구성)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은 수형 부재(A)에 있어서, 돌출부(14), 다리부(20) 및 결합부(25)의 형상이, 또한 암형 부재(B)에 있어서, 확대 개방부(42A) 및 피결합부(46)의 형상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는 각각 상이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14)는 프레임(12) 중 다리부(20)가 설치된 프레임재(12A)가,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재(12A)의 양단부보다도 중앙부가 다리부(20)의 돌출 방향을 향해 돌출된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리부(20)는 중앙의 가이드 다리부(22)가 생략되고, 한 쌍의 가이드 다리부(22)의 내측면 사이는 탄성을 갖는 연결 띠(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띠(23)는 프레임재(12A)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역U자 형상을 이루고, 한 쌍의 가이드 다리부(22)가 소정 이상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여, 다리부(20)에 과도한 인장력(외측으로의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다리부(20)의 파손을 방지하는 책임을 다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25)는 한 쌍의 다리부(20)의 가이드 다리 부(22)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대략 오각형 형상의 돌기(25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확대 개방부(42A)는 삽입구(42)를 형성하는 표벽(40A) 및 이벽(40B)의 중앙 부분이 내부를 향해 대략 V자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도 확대 개방부(42A)의 중앙 위치에 가이드 홈(47)이 개방되고, 가이드 홈(47)을 사이에 둔 양측 위치에 유도부(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도부(61)는 삽입구(42)로부터 가이드 홈(47)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결합부(46)는 각 결합부(25)에 대응하여 대략 오각 형상의 오목부(46A)로서 형성되어 있다. 표벽(40A)에 형성된 오목부(46A)와 이벽(40B)에 형성된 오목부(46A)는 각각 표벽(40A), 이벽(40B)의 외측 표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작용ㆍ효과)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로부터 수용 공간(43) 내로 삽입할 때, 암형 부재(B)의 축선[가이드 홈(47)이 연장되는 방향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으면,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기울어져 있으면,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가이드 홈(47)에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수형 부재(A)의 한 쌍의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에 형성된 유도부(61)에 접촉된다. 그러면, 이 유도부(61)에 의해 결합부(25)가 암형 부재(B)의 가이드 홈(47)으로 유도된다. 즉,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일치하도록 수형 부재(A)의 자세가 교정되므로, 이대로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삽입해 가면, 결합부(25)는 가이드 홈(47)에 의해 피결합부(46)까지 안내되어 그 피결합부(46)에 결합된다. 따라서, 암형 부재(B)의 축선에 대해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이 어긋나 있어도, 수형 부재(A)를 암형 부재(B)에 대해 도중에 막히지 않고 확실하게 삽입 조작할 수 있다.
<변형예의 설명>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조의 버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변형예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암형 부재(B)의 표벽(40A) 및 이벽(40B)의 삽입구(42)측에 원호 형상 또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한 확대 개방부(42A)를 형성하고, 이 확대 개방부(42A)의 중앙 위치에 가이드 홈(47)을 개방하고, 또한 양측에 유도부(61)를 형성하였으나, 확대 개방부(42A)에 대해서는 반드시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즉, 암형 부재(B)의 삽입구(42)에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즉 암형 부재(B)에 확대 개방부(42A)를 형성하지 않으면, 암형 부재(B)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도부(61)의 형상에 대해서도,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확대 개방부(42A)의 원호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상, 혹은 V자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요컨대, 수형 부재(A)와 결합부(25)가 접촉하고, 수형 부재(A)의 압박력에 의해 접촉한 결합부(25)를 가이드 홈(47)으로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형 부재(A) 및 암형 부재(B)에 각각 끈 설치부, 즉 끈 설치 구멍(11)을 갖는 프레임(12)이나 끈 설치부(41)를 형성하였으나, 암형 부재(B)에 대해서는 끈 설치부(41)가 없어도 좋다. 즉, 암형 부재(B)의 암형 부재 본체(40)를 직접 다른 부재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암형 부재(B)의 사출 성형 시에 끈 형상 부재의 단부를 암형 부재 본체(40)의 끈 설치부(41)에 일체로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끈 형상 부재의 단부를 암형 부재(B)의 사출 성형 시에 인서트 성형하여 일체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끈 형상 부재로서는, 띠 형상의 벨트로 한정되지 않고, 폭이 없는 가는 끈, 예를 들어 둥근 끈 등이라도 좋다. 이때, 수형 부재(A) 또는 암형 부재(B)에 가는 끈(둥근 끈) 등이 통과할 정도의 끈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하여, 이 끈 삽입 통과 구멍에 가는 끈(둥근 끈)을 삽입 통과하여 끈 삽입 통과 구멍으로부터 돌출된 가는 끈(둥근 끈)의 선단부에 매듭을 만들어 빠짐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적합한 실시 형태 및 각종 변형예를 들었으나,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
도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5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될 때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버클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8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9는 도8의 IX-IX선 단면도.
도10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버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11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가 암형 부재에 삽입될 때의 사시도.
도12는 도11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파단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
2, 3 : 끈 형상 부재의 단부
10 : 기초부
11 : 끈 설치 구멍
12 : 프레임
13 : 연결 레버
14 : 돌출부
15, 17 : 오목부
20 : 다리부
25 : 결합부
30 : 규제 부재
32 : 결합 홈
41 : 끈 설치 부재
42 : 삽입구
45 : 다리부용 개구부

Claims (5)

  1. 수형 부재(A)와, 이 수형 부재(A)가 삽입 결합되는 암형 부재(B)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부재(A)는 끈 형상 부재를 설치 가능한 기초부(10)와, 이 기초부(10)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20)와, 이 각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결합부(25)를 갖고,
    상기 암형 부재(B)는 상기 수형 부재(A)가 삽입되는 삽입구(42) 및 이 삽입구(42)로부터 삽입된 수형 부재(A)의 다리부(2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43)을 갖는 통 형상의 암형 부재 본체(40)와, 이 암형 부재 본체(40)의 수용 공간(43) 내에 형성되어 상기 수형 부재(A)의 상기 결합부(25)가 결합하는 피결합부(46)와, 상기 수용 공간(43) 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5)를 상기 피결합부(46)로 안내하는 가이드 홈(47)을 갖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B)의 상기 삽입구(42)에는 상기 수형 부재(A)의 결합부(25)와 접촉하여, 이 결합부(25)를 상기 가이드 홈(47)으로 유도하는 유도부(6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61)는 상기 삽입구(4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47)을 사이에 둔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 본체(40)는 표벽(40A), 이벽(4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측벽(40C)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결합부(46)는 상기 표벽(40A) 및 이벽(40B)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47)은 상기 표벽(40A) 및 이벽(40B)의 각각의 내면에 상기 삽입구(42)로부터 상기 피결합부(46)를 향함에 따라서 홈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도부(61)는 상기 표벽(40A) 및 이벽(40B)의 상기 삽입구(42)측 단부면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47)을 사이에 둔 양측 단부면에 형성되고, 이 양측 단부면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61)의 간격이 상기 삽입구(42)측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47)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벽(40A)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 상기 이벽(40B)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47)의 홈 바닥과의 사이의 치수를 H1, 상기 표벽(40A)의 상기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61)로부터 상기 이벽(40B)의 상기 삽입구(42)측에 형성된 상기 유도부(61)까지의 치수를 H2, 상기 다리부(20)의 선단부 표리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설치된 표면측 결합부(25)와 이면측 결합부(25)와의 선단부간의 치수를 H3으로 했을 때,
    H2 < H3 < H1
    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부재(B)와 상기 수형 부재(A)는 맞댐면에 의해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암형 부재(B)의 맞댐면은 상기 삽입구(42)로부터 수형 부재(A)의 삽입 방향으로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오목한 확대 개방부(42A)를 갖고, 이 확대 개방부(42A)의 중앙에 상기 가이드 홈(47)이 형성되고, 또한 양측에 상기 유도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수형 부재(A)의 맞댐면은 상기 확대 개방부(42A)에 끼워 맞추어지는 돌출부(14)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80066765A 2007-09-05 2008-07-10 버클 KR100992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30675 2007-09-05
JP2007230675A JP5020004B2 (ja) 2007-09-05 2007-09-05 バッ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38A KR20090025138A (ko) 2009-03-10
KR100992297B1 true KR100992297B1 (ko) 2010-11-05

Family

ID=4034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765A KR100992297B1 (ko) 2007-09-05 2008-07-10 버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79966B2 (ko)
JP (1) JP5020004B2 (ko)
KR (1) KR100992297B1 (ko)
CN (1) CN101380158B (ko)
DE (1) DE102008037776B4 (ko)
FR (1) FR2920281B1 (ko)
HK (1) HK1126631A1 (ko)
TW (1) TWI3573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21B1 (ko) * 2016-11-29 2018-04-16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잠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5586B1 (fr) * 2005-05-13 2007-08-10 Faurecia Interieur Ind Snc Corps creux en matiere plastique, notamment pour l'habillage de colonnes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JP5651282B2 (ja) * 2007-07-03 2015-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EP2238853B1 (en) * 2008-01-23 2017-11-29 YKK Corporation Buckle
CN104068566B (zh) * 2009-03-31 2016-09-14 Ykk株式会社 旁开扣
US20120017407A1 (en) * 2009-03-31 2012-01-26 Ykk Corporation Side Release Buckle
JP5328895B2 (ja) * 2009-03-31 2013-10-30 Ykk株式会社 サイドリリースバックル
KR101140438B1 (ko) * 2009-05-23 2012-04-30 백지숙 버클
CN103238991B (zh) * 2009-09-30 2015-12-09 Ykk株式会社 旁开扣
DE112009005297B4 (de) 2009-09-30 2013-12-05 Ykk Corporation Durch lateralen Druck lösbare Schnalle
US8407866B2 (en) * 2009-10-30 2013-04-02 Illinois Tool Works Inc. Foldable attachment clip
JP5469542B2 (ja) * 2010-06-07 2014-04-16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616690B2 (ja) * 2010-06-07 2014-10-29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5538074B2 (ja) 2010-06-07 2014-07-02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2011254928A (ja) * 2010-06-07 2011-12-22 Nifco Inc バックル
CN104125786B (zh) * 2012-02-16 2016-08-24 Ykk株式会社 带扣
DE112012006425B4 (de) * 2012-05-25 2018-03-01 Ykk Corporation Schließe
DE112012006623T5 (de) * 2012-06-28 2015-04-02 Ykk Corporation Schließe
JP2014150812A (ja) * 2013-02-05 2014-08-25 Kamikawa Seisakusho:Kk 連結具
US9833720B2 (en) * 2015-06-22 2017-12-05 Kma Concepts Limited Clip launcher system with interconnecting projectile
JP6764883B2 (ja) * 2016-02-05 2020-10-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D862283S1 (en) * 2017-01-10 2019-10-08 Woojin Plastic Co., Ltd Buckle
KR101929909B1 (ko) * 2017-06-13 2018-12-18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신체 착용 버클
CN109793317B (zh) * 2017-11-17 2022-04-05 振锋企业股份有限公司 安全带的扣锁装置
US11160331B2 (en) 2020-01-17 2021-11-02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D1003192S1 (en) 2020-01-17 2023-10-31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US11089843B2 (en) * 2020-01-17 2021-08-17 Duraflex Hong Kong Limited Buckle
CN113142752A (zh) * 2021-05-06 2021-07-23 福建省石狮市华联服装配件企业有限公司 一种母扣及安全扣具
USD1002432S1 (en) * 2021-05-26 2023-10-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11786015B2 (en) 2021-09-28 2023-10-17 Illinois Tool Works Inc. Safety release buck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942B1 (ko) 2000-09-27 2004-01-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20080134479A1 (en) 2006-12-12 2008-06-12 Kolasa Scott D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856Y2 (ja) 1991-12-20 1996-11-2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TW301145U (en) * 1993-10-16 1997-03-21 Yoshida Kogyo Kk Buckle
JPH09187309A (ja) * 1995-11-06 1997-07-22 Yoshio Tokuda プラスチック製バック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18538B2 (ja) * 1997-12-24 2003-06-2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バックルのベルト取付構造
US6290687B1 (en) * 1998-03-26 2001-09-18 Sca Hygiene Products Ab Fastener means for joining together opposing front and rear side-parts of an absorbent article
JP3978298B2 (ja) 1999-08-26 2007-09-19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JP3790094B2 (ja) * 2000-06-09 2006-06-28 モリト株式会社 帯状体の長さ調節機能付き接続具
JP2003033209A (ja) * 2001-07-23 2003-02-04 Ykk Corp バックル
TWM245802U (en) * 2003-10-09 2004-10-11 Button Int Co Ltd Thin and strong buckle with high load capacity
JP4376113B2 (ja) * 2004-04-27 2009-12-02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JP4203461B2 (ja) * 2004-11-02 2009-01-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7140082B2 (en) * 2005-01-12 2006-11-28 Button International Co., Ltd. Side release buckle allowing locking from an angular position
US7100252B2 (en) 2005-01-31 2006-09-05 Joseph Anscher Dual locking buckle
US7302742B2 (en) * 2005-07-20 2007-12-04 Illinois Tool Works Inc Side-release buckle assembly
TWM294226U (en) * 2006-02-10 2006-07-21 Taiwan Ind Fastener Corp Side-releasing buckle
JP4769597B2 (ja) * 2006-03-02 2011-09-07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20080178738A1 (en) * 2007-01-29 2008-07-31 Foamex L.P. Absorbent and/or filter materials comprising open cell foams coated with photocatalytic titanium dioxid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942B1 (ko) 2000-09-27 2004-01-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US20080134479A1 (en) 2006-12-12 2008-06-12 Kolasa Scott D Buck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21B1 (ko) * 2016-11-29 2018-04-16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38A (ko) 2009-03-10
CN101380158A (zh) 2009-03-11
CN101380158B (zh) 2011-12-14
FR2920281A1 (fr) 2009-03-06
TWI357310B (en) 2012-02-01
HK1126631A1 (en) 2009-09-11
DE102008037776A1 (de) 2009-03-12
JP2009061050A (ja) 2009-03-26
US7979966B2 (en) 2011-07-19
US20090056089A1 (en) 2009-03-05
JP5020004B2 (ja) 2012-09-05
FR2920281B1 (fr) 2012-07-20
DE102008037776B4 (de) 2020-10-22
TW200916011A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297B1 (ko) 버클
US8112850B2 (en) Buckle
US7650676B2 (en) Buckle
KR101421912B1 (ko) 버클
KR20080070544A (ko) 버클
WO2010038308A1 (ja) バックル
KR101213328B1 (ko) 버클
US7650675B2 (en) Buckle
US10588383B2 (en) Buckle
US6995319B2 (en) Cord end cover
US11559113B2 (en) Plug for buckle, and buckle
KR101154670B1 (ko) 열쇠를 가진 버클
KR100290646B1 (ko) 수고정구
CN112401413B (zh) 具有线调整部的带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