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646B1 - 수고정구 - Google Patents

수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646B1
KR100290646B1 KR1019990009994A KR19990009994A KR100290646B1 KR 100290646 B1 KR100290646 B1 KR 100290646B1 KR 1019990009994 A KR1019990009994 A KR 1019990009994A KR 19990009994 A KR19990009994 A KR 19990009994A KR 100290646 B1 KR100290646 B1 KR 100290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fixture
hole
plate
attachmen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8192A (ko
Inventor
이케다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1999007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92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socket-and-p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29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44B13/0035Hook or eye fastener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using prongs

Landscapes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부착대상물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대상물이 두께가 얇은 것인 경우에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수고정구의 제공.
(해결수단) 암고정구(B)의 관통구멍(46)에 끼워짐과 아울러 걸어맞춤수단(F)에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돌기부(10)와, 돌기부(10)의 하부측에 턱형상부(11)를 구비하며, 부착대상물(C)의 부착구멍(31)에 돌기부(10)를 삽통시켜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턱형상부(11)를 맞닿게 한 수고정구 본체(A')와;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가 삽통되는 삽통구멍(21)을 가짐과 아울러, 삽통구멍 (21)에 부착대상물(C)에서 돌출되는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를 삽통시키도록 하여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A');를 가진다. 부착대상물(C)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를 걸어맞추는 걸림수단(D)의 일측이 수고정구 본체(A')에, 타측이 부착플레이트(A')에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수고정구 {Male Closure}
본 발명에 관한 수고정구는, 암고정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해제 가능하게 끼워져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부착대상물의 일측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수고정구로서, 이 수고정구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도 부착대상물에 대하여 부착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고정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돌기부를 구비한 수고정구를 부착대상물의 일측에, 또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관통구멍내에 상기 돌기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에 대하여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조작플레이트를 구비한 암고정구를 부착대상물의 타측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수고정구와 암고정구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을 고정하고, 상기 수고정구와 암고정구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의 고정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부착대상물의 걸림/해제 가능한 고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수고정구는, 피생지(皮生地)등의 부착대상물에 덧붙여지는 부착판부와, 이 부착판부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암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대상물의 표면측에 상기 수고정구의 부착판부를 덧붙임과 아울러 부착판부의 하면측에 돌출상태로 형성된 걸어맞춤돌출편을 그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덧붙여지는 이면판부의 걸어맞춤구멍에 끼우고, 상기 걸어맞춤돌출편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를 그 탄성복귀작용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구멍의 구멍가장자리에 걸어맞추도록 하여 상기 수고정구를 부착대상물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부착대상물에 부착된 수고정구는, 이 수고정구의 돌기부에 대하여 이것을 부착대상물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 예를 들면 수고정구와 암고정구를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의 부착대상물을 떼어내려고 한 경우에는, 상기 이면판부의 걸어맞춤구멍에 끼워져서 걸어맞춰져 있는 상기 수고정구의 걸어맞춤돌출편의 걸어맞춤돌기에 변형이 발생하는 일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구멍에 대한 걸어맞춤이 붕괴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걸어맞춤구멍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대한 걸어맞춤돌기의 걸림면을 크게 하고 또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서로의 걸어맞춤력을 높이도록 한 경우, 이면판부에 대한 수고정구의 조립 용이성이 손상되게 된다.
예를 들면, 걸어맞춤돌출편과 이것에 구비되는 걸어맞춤돌기를 비교적 변형하지 않는 형상, 치수, 재질의 것으로 하고 또한 걸어맞춤구멍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대한 걸어맞춤돌기의 걸림면을 비교적 넓게 구성하도록 할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구멍내로 끼워지는 걸어맞춤돌출편을 상기 걸어맞춤구멍내에서 탄성변형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돌출편의 걸어맞춤돌기가 상기 걸어맞춤구멍을 통과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구멍의 구멍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도록 탄성복귀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고정구의 부착대상물이 비교적 얇은 피생지와 같은 것인 경우에는 상기 탄성변형에 필요한 길이를 걸어맞춤돌출편에 갖도록 할 수 없고, 상기 걸어맞춤돌기의 걸어맞춤구멍에 대한 걸어맞춤력의 강화에는 그 자체에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암·수 고정구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착대상물에 대하여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대상물이 두께가 얇은 것, 예를 들면 피생지등의 부착대상물인 경우라 하더라도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수고정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수고정구를 부착대상물에 부착하는 상태를 수고정구 본체와 부착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부착대상물에 부착된 상기 수고정구를 암고정구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수단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단면하여 개방부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부착대상물에 부착된 상기 수고정구를 암고정구에 있어서의 걸어맞춤수단의 삽입방향에서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수고정구를 구성하는 수고정구 본체의 일부 파단 평면도
도 5는 상기 수고정구의 저면도
도 6은 상기 수고정구를 구성하는 부착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7은 상기 수고정구를 구성하는 부착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8은 상기 수고정구의 걸어맞춤에 이용되는 암고정구에 있어서의 조작플레이트를 구비한 암고정구 본체의 저면도
도 9는 상기 수고정구의 걸어맞춤에 이용되는 암고정구의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부착대상물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수고정구와 이것에 걸어맞춰지는 암고정구의 고정상태를, 그 고정전의 상태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상기 수고정구의 돌기부를 암고정구의 관통구멍에 끼우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상기 수고정구를 암고정구에 걸어맞춘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상기 수고정구와 암고정구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돌기부 11 : 턱형상부
12 : 걸어맞춤부 21 : 삽통구멍
46 : 관통구멍 A : 수고정구
A' : 수고정구 본체 A' : 부착플레이트
B : 암고정구 C : 부착대상물
D : 걸림수단 F : 걸어맞춤수단
본 발명에 관한 수고정구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암고정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암고정구에 구비되어 있는 걸어맞춤수단에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에 이 돌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턱형상부를 구비하며, 부착대상물에 대하여 이 부착대상물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에 상기 돌기부를 삽통시키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을 에워싸는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상기 턱형상부를 맞닿게 한 수고정구 본체와; 상기 수고정구 본체의 상기 돌기부가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판두께방향으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부착대상물에서 돌출되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의 돌기부를 삽통시키도록 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의 표면측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착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수고정구 본체와 부착플레이트를 걸어맞추는 걸림돌출편 및 이 걸림돌출편이 걸어맞춰지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의 일측이 상기 수고정구 본체에, 타측이 상기 부착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고정구는,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맞닿는 수고정구 본체의 턱형상부와 부착대상물의 표면측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부착대상물을 끼워 유지하도록 조립되는 것이므로, 상기 수고정구에 대하여 이것을 부착대상물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부가되는 외력은 수고정구의 턱형상부에 맞닿아 있는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외력을 면(面)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수고정구(A)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고정구(A)를 구성하는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를 부착대상물(C)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부착대상물(C)에 부착된 수고정구(A)를 개방부(14c)측을 향한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수고정구(A)를 암고정구(B)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방향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수고정구 본체(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에서는 이것을 돌기부(10)의 측에서 보고 일부를 파단한 것이고, 도 5는 이것을 맞닿음면(11a)의 반대측에서 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부착플레이트(A')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에서는 이것을 맞닿음면(20a)의 반대측에서 본 것이고, 도 7에서는 이것을 맞닿음면(20a)측에서 본 것이다.
도 8은 조작플레이트(60)를 구비한 암고정구 본체(40)를 그 상자형상돌출부 (42)측에서 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는 상기 암고정구(B)를 구성하는 암고정구 본체(40), 조작플레이트(60) 및 부착플레이트(50)와, 이 암고정구(B)를 부착하는 부착대상물(E)를 사시도의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수고정구(A)를 암고정구(B)에 고정하는 각 조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은 수고정구(A)를 암고정구(B)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 11은 수고정구(A)의 돌기부(10)를 암고정구(B)의 관통구멍(46)에 끼우는 상태를, 도 12는 수고정구(A)와 암고정구(B)를 고정한 상태를, 도 13은 상기 고정상태에 있는 수고정구(A)와 암고정구(B)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고정구(A)는, 암고정구(B)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 (46)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암고정구(B)에 구비되어 있는 걸어맞춤수단(F)에 걸림/해제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2)를 구비한 돌기부(10)와, 상기 돌기부(10)의 하부측에 이 돌기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턱형상부(11)를 구비하며, 부착대상물(C)에 대하여 이 부착대상물(C)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31)에 상기 돌기부(10)를 삽통시키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31)을 에워싸는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상기 턱형상부(11)를 맞닿게 한 수고정구 본체(A')와;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상기 돌기부(10)가 삽통되는 삽통구멍(21)을 판두께방향으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삽통구멍(21)에 상기 부착대상물(C)에서 돌출되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를 삽통시키도록 하여 상기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A');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착대상물(C)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를 걸어맞추는 걸림돌출편(22) 및 이 걸림돌출편(22)이 걸어맞춰지는 걸림부(13)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D)의 일측이 상기 수고정구 본체(A')에, 타측이 상기 부착플레이트(A')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수고정구(A)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수고정구(A)는, 전형적으로 사출성형등의 성형에 의하여 제공되는 플라스틱제의 수고정구 본체(A')와, 사출성형등의 성형에 의하여 제공되는 플라스틱제의 부착플레이트(A')로 구성되어 있으며, 암·수고정구(A, B)의 고정대상물이 되는 일측의 부착대상물(C)을 그 표면 및 이면에서 끼워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수고정구(A)를 구성하는 수고정구 본체(A')는, 횡단면이 타원형상을 이루는, 즉 상면(10b)이 평편한 타원형상을 이루는 타원형 기둥형상의 돌기부(10)와, 이 돌기부(10)의 하부측에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는 턱형상부(11)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턱형상부(11)는, 그 상면측을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접촉하는 평편한 맞닿음면(11a)으로 한 쟁반형상체를 이루는 구성, 즉 타원형 기둥형상을 이루는 상기 돌기부(10)의 외측둘레에서 상기 돌기부(10)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단면 타원형상을 이루는 쟁반형상체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턱형상부(11)에는, 이 턱형상부(11)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측에 걸림수단(D)으로서의 일측을 구성하는 걸림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13)는, 상기 부착플레이트(A')에 구비되는 걸림수단(D)으로서의 타측을 구성하는 걸림돌출편(22)의 돌출편부(22a)가 끼워지는 구멍부(13a)를 상기 턱형상부(1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구멍부(13a)내에서 상기 걸림돌출편(22)에 형성된 걸림돌기부(22b)가 걸어맞춰지는 융기부(13b)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13)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횡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을 이루는 구멍부(13a)를 그 각각의 반원형상부(13c)측이 상대향하도록 상기 턱형상부(11)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반원형상부(13c)의 양 선단을 연결하는 평탄면(13d)에 융기부(13b)를 이 평탄면(13d)의 횡방향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멍부(13a)의 평탄면(13d)에 형성되는 융기부(13b)는, 상기 평탄면(13d)에서 산(山)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평탄면(13d)의 상부측에서 상기 구멍부(13a)의 반원형상부(13c)측으로 점차 돌출되는 경사면(13b')과, 이 경사면(13b')의 선단과 상기 평탄면(13d) 사이에 걸쳐서 상기 평탄면(13d)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걸어맞춤면(13b')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돌기부(10)의 폭방향측을 향하는 일측면(10a)에는, 이 일측면(10a)의 길이방향에 걸쳐서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4)의 상면(14a)과 상기 돌기부(10)의 상면(10b) 사이가 상기 돌기부(10)의 머리부(10c)가 되고, 또한 상기 상면(14a)을 가지는 오목부(14) 부분이 걸어맞춤부(12)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10)의 일측면(10a)에 형성되는 오목부(14)는, 상기 턱형상부(11)와 접하는 선분이 하측 가장자리가 되는 트인구멍(14c)에 있어서, 그 상측 가장자리와 양측 가장자리에서 타측면(10d)을 향하여 함몰되어 평편하게 형성되는 상면(14a)과 양 측면(14b, 14b)을 가지며, 또한 턱형상부(11)의 하면에서 상기 돌기부(10)측을 향하여 형성되는 구멍(15)에 연이어 통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수고정구 본체(A')는, 부착대상물(C)에 형성된 부착구멍(31)에 그 이면측(Ca)측에서 돌기부(10)를 끼워서 상기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대하여 턱형상부(11)의 맞닿음면(11a)을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구멍부(13a)가 상기 부착대상물(C)에 형성된 구멍(32)에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부착대상물(C)에 대하여 덧붙여진다.
상기 수고정구 본체(A')를 부착대상물(C)에 부착시키는 부착플레이트(A')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가 삽통되는 타원형상의 삽통구멍(21)을 두께방향으로 형성한 대략 타원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의 환형상판(20)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삽통구멍(21)은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가 용이하게 삽통되는 형상,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상판(20)은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가 상기 삽통구멍(21)에 끼워졌을 때에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턱형상부(11)와 대응하여 이 턱형상부(11)와의 사이에서 부착대상물(C)을 상태좋게 끼워 유지할 수 있는 형상, 치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부착플레이트(A')는 그 하면측이 되는 맞닿음면(20a)에, 상기 부착대상물(C)에 덧붙여진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구멍부(13a)에 대하여 상기 부착대상물(C)에 형성된 구멍(32)을 통하여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림돌출편(22)을 돌출형성하고, 이 걸림돌출편(22)을 상기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걸림수단(D)에 대응하는 걸림수단(D)으로서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환형상판(20)의 맞닿음면(20a)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출편 (22)은, 상기 환형상판(20)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서 반원형상면부(22a')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횡단면이 반원형상을 이루는 돌출편부(22a)와, 상기 돌출편부(22a)의 선단에서 상기 돌출편부(22a)의 수직평탄면(22a')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부(22b)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걸림돌출편(22)에 구비되는 걸림돌기부(22b)는, 돌출편부(22a)의 수직평탄면(22a')에서 이 수직평탄면(22a')의 전방으로 융기되는 융기돌부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부(22b)의 돌출전면에 이 걸림돌기부(22b)의 폭방향에 걸쳐서 걸어맞춤오목홈(22c)을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오목홈(22c)에 대하여 상기 수고정구 본체(A')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13a)내에 있는 융기부(13b)가 걸어맞춰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걸림돌기부(22b)에 구비되는 걸어맞춤오목홈(22c)은, 상기 맞닿음면 (20a)에 상대향하고 또한 상기 맞닿음면(20a)에 평행한 걸림면(22c')과, 상기 걸림면(22c')의 내측단에서 걸림돌기부(22b)의 환형상판(20)측에 있는 측단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2c')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대상물(C)의 구멍(32)을 통하여 수고정구 본체(A')의 구멍부(13a)에 끼워지는 상기 걸림돌출편(22)의 걸어맞춤오목홈(22c)에 상기 구멍부(13a)내에 있는 융기부(13b)가 용이하게 수납됨과 아울러, 상기 융기부(13b)의 걸어맞춤면(13b')에 상기 걸림돌기부(22b)의 걸림면(22c')이 걸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플레이트(A')에 구비되는 걸림돌출편(22)은, 이 걸림돌출편 (22)을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덧붙혀진 수고정구 본체(A')의 구멍부(13a)에 끼웠을 때에, 상기 걸림돌출편(22)의 걸림돌기부(22b)가 상기 구멍부(13a)내에 있는 융기부(13b)의 경사면(13b')에 안내되면서 각 걸림돌출편(22, 22)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휨변형되고, 상기 경사면(13b')을 타고 넘은 후에는 융기부(13b)가 걸어맞춤오목홈(22c)내에 끼워지도록 탄성복귀되는 것이므로, 상기 걸림돌출편 (22)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틈새(13e)를 상기 돌출편부(22a)의 반원형상면부(22a') 측방에 있는 구멍부(13a)에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걸림돌출편(22)을 끼워 걸어맞출 때의 상기 걸림돌출편(22)의 휨동작에 이용되는 틈새(13e)는, 구멍부(13a)에 끼워지는 걸림돌출편(22)을 상기 구멍부 (13a)보다 약간 가늘게 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13)를 구성하는 구멍부(13a)의 연직한 반원형상부(13c)에 대하여 걸림돌출편(22)의 반원형상면부(22a')측을 걸림돌기부(22b)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상태로 경사진 구성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반원형상면부(22a')와 상기 연직한 반원형상부 (13c)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틈새(13e)는 상기 구멍부(13a)에 끼워지는 걸림돌출편(22)의 휨변형 공간으로서 기능하는데 충분한 넓이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가 부착되는 부착대상물(C)은, 예를 들면 핸드백, 가방, 자루형상물 등의 본체부를 구성하는 피혁재등의 생지재(生地材)(30)로서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가 삽통되는 부착구멍(31)과 상기 걸림돌출편(22)이 삽통되는 구멍(32, 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수고정구 본체(A')를,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서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를 상기 부착대상물(C)의 부착구멍(31)에 끼움과 아울러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턱형상부(11)의 맞닿음면(11a)을 상기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맞닿도록 하여 부착대상물(C)에 덧붙이고, 그리고 부착플레이트(A')의 환형상판(20)의 맞닿음면(20a)을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측을 향하여, 상기 부착플레이트(A')의 삽통구멍(21)내로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를 삽통시켜 상기 맞닿음면(20a)을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구멍부(13a)내로 끼워지는 걸림돌출편(22)의 걸림돌기부(22b)에 형성된 걸어맞춤오목홈(22c)에 대하여 융기부(13b)를 걸어맞춤으로써 수고정구(A)를 부착대상물(C)에 부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부착대상물(C)에 부착된 수고정구(A)는, 수고정구(A)의 돌기부(10)를 직접 잡아당기거나, 혹은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에 걸어맞춰진 암고정구(B)를 잡아당기거나, 혹은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에 걸어맞춰진 암고정구(B)의 부착대상물(E)을 잡아당기거나, 혹은 서로 고정된 상태에 있는 수고정구 (A)와 암고정구(B)를 서로 떼어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등과 같은 수고정구 본체(A')를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한 경우, 상기 수고정구 본체(A')에 작용하는 힘을 수고정구 본체(A')에 있어서의 턱형상부(11)의 맞닿음면(11a)이 맞닿는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과 부착플레이트(A')에 있어서의 환형상판(20)의 맞닿음면(20a)에 의하여 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또, 상기 턱형상부(11)의 맞닿음면(11a)이 맞닿는 부착대상물(C)은, 이 부착대상물(C)이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턱형상부(11)와 상기 부착플레이트(A')의 환형상판(20)과의 사이에 끼워져 유지되고, 또한 부착대상물(C)을 사이에 두고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가, 수고정구 본체(A')의 구멍부(13a)에 부착플레이트(A')의 걸림돌출편(22)을 끼워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부착대상물(C)에 대하여 부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턱형상부(11)의 맞닿음면(11a)에 대하여 상태좋게 맞닿음면을 안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착대상물(C)에 부착된 수고정구(A)는, 이 수고정구(A)에 대하여 걸림/해제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암고정구(B)를 구비한 부착대상물(E)을, 이 부착대상물(E)의 암고정구(B)에 상기 수고정구(A)를 걸어맞춤으로써 부착대상물(C)에 고정상태로 하고, 또 상기 수고정구(A)와 암고정구(B)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부착대상물(C)에서 해방되도록 사용된다.
상기 수고정구(A)의 걸어맞춤에 이용되는 암고정구(B)는, 상기 수고정구(A)의 돌기부(10)가 끼워지는 관통구멍(46)과 이 관통구멍(46)에 끼워진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의 걸어맞춤부(12)에 대하여 걸림/해제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수단(F)을 구비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암고정구(B)라 하더라도 되고, 수고정구 (A)와 암고정구(B)에 의하여 고정되는 대상물의 형태등에 적합한 암고정구(B)를 상기 수고정구(A)에 대응하는 암고정구(B)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암고정구(B)는, 예를 들면 핸드백이나 가방 등의 덮개편을 핸드백이나 가방 등의 본체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때에, 상기 본체에 부착된 수고정구(A)에 대하여 상기 덮개편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이 덮개편의 선단부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일례로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암고정구(B)는, 걸어맞춤수단(F)으로서 기능하는 조작플레이트(60)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한 암고정구 본체(40)와, 이 암고정구 본체(40)를 부착대상물(E)의 선단부분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플레이트(5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암고정구(B)를 구성하는 암고정구 본체(40)는, 타원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의 표면판(41)의 이면측에 그 이면의 전방측을 제외한 둘레측부에 맞닿음면(41b)을 남겨놓고 평편한 사각형상의 상자형상돌출부(42)를 상기 표면판(41)과 함께 구성하도록, 전방측을 제외한 3면, 즉 양측판부(42a)와 후측판부(42b)를 상기 표면판 (41)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이 각 판부(42a,42b)의 하단부간에 걸쳐서 하면판(42c)을 상기 표면판(41)과 평행하게 되도록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표면판(41)과, 상자형상돌출부(42)를 구성하는 양측판부(42a) 및 후측판부(42b)와, 하면판(42c)에 의하여 전방측이 개방된 평편한 동작오목부(45)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표면판(41)에는 상기 동작오목부(45)의 개방측에 V형상의 오목부(41a)를 형성하고 있으며, 동작오목부(45)내에 끼워맞춰지는 조작플레이트 (60)의 누름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에는 상기 표면판(41)과 하면판(42c)에, 상기 수고정구(A)의 돌기부(10)가 끼워지는 관통구멍(46)을 상기 하면판(42c)에 형성한 구멍(46')의 대략 직상에 표면판(41)의 구멍(46')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에는, 부착플레이트(50)의 걸림구멍(51)에 형성된 걸림돌기부(52)에 끼워져 걸어맞춰지는 걸림돌출편(47)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양측판부(42a,42a)에 조작플레이트(60)의 판형상부(6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돌기부(62)가 소정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슬릿 (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의 동작오목부(45)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맞춤수단(F)으로서 기능하는 조작플레이트(60)가 조립되어 있다.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에 조립되는 조작플레이트(60)는, 상기 동작오목부 (45)의 개방되어 있는 전방측에서 그 선단을 압입가능하게 되는 판형상부(61)로 되어 있으며, 이 판형상부(61)의 선단측에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의 동작오목부(45)의 후측판부(42b)에 탄성적으로 맞닿는 1쌍의 탄성돌출편(63,63)을, 또 상기 판형상부(61)의 양측단부에 이 판형상부(61)의 단부가장자리에 평행하고 또한 판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슬릿(64)을, 또한 이 슬릿(64)에서 구분된 가늘고 긴 형상의 탄성편부(65)의 외측에 걸어맞춤돌기부(62)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판형상부(61)에는, 이 판형상부(61)의 동작방향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46)보다도 폭을 넓게 한 걸어맞춤구멍(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돌출편(63)이 구비되어 있는 측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구멍(67)의 구멍가장자리에서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의 걸어맞춤부(12)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출편(66)이 돌출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판형상부(61)의 전단부측, 즉 탄성돌출편(63)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는 압입턱부(68)가 하측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작오목부(45)내에 조립된 조작플레이트(60)를 압입할 때에 상기 동작오목부(45)의 하면판(42c)의 전단부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작플레이트(60)는, 이 조작플레이트(60)의 판형상부(61)를 동작오목부(45)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돌기부(62)가 상기 슬릿(48)의 전단부(48a)에 맞닿도록 상기 탄성돌출편(63)을 상기 동작오목부(45)의 내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돌출편(66)이 상기 동작오목부(45)의 내측에 있는 관통구멍(46)의 구멍가장자리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걸어맞춤구멍(67)이 상기 관통구멍(46)에 연통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46)의 구멍가장자리에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돌출편(66)이 상기 관통구멍(46)내로에 끼워지는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의 머리부(10c)에 의하여 동작오목부(45)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조립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조작플레이트(6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돌출편(66)을 상기 머리부(10c)가 누르면서 빠져나갔을 때에 상기 탄성돌출편(63)의 탄성복귀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돌출편(66)이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의 걸어맞춤부(1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에 형성된 오목부(14)내로 끼워져서 상기 오목부(14)의 상면(14a)에 대하여 걸어맞춤상태로 된다.
상기 걸어맞춤수단(F)을 구성하는 조작플레이트(60)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돌출편(66)이 돌출되어 있는 측을 상기 수고정구(A)의 돌기부(10)의 걸어맞춤부(12)를 구성하는 오목부(14)의 개방되어 있는 측을 향하여 상기 암고정구 본체(40)를 부착대상물(E)의 선단측에 부착한다. 상기 암고정구 본체(40)가 부착되는 부착대상물(E)은, 예를 들면 핸드백, 가방 등의 덮개편을 구성하는 피혁재등의 생지재(生地材)(70)의 선단측에 절결부(71)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대상물(E)을 구성하는 생지재(70)의 선단측에 형성된 절결부(71)에 대하여, 상기 표면판(41)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상자형상돌출부(42)를 수납하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표면판(41)의 둘레측부에 형성된 맞닿음면(41b)을 상기 절결부(71)의 둘레측에 있는 부착대상물(E)의 표면측(Eb)에 맞닿도록 덧붙이고, 또한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에 형성된 걸림돌출편(47)을 상기 부착대상물(E)에 형성된 구멍(72)을 통하여 상기 부착대상물(E)의 이면측(Ea)에 덧붙여지도록 한 부착플레이트(50)의 걸림구멍(51)에 끼우고, 이 걸림구멍(51)내에 형성된 걸림돌기부(52)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암고정구(B)를 부착대상물(E)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착대상물(E)에 대한 암고정구 본체(40)의 부착에 이용되는 부착플레이트(50)는,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와 유사한 타원형상체이고, 그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상기 절결부(71)에 대응하고 또 상기 상자형상돌출부(42)를 수납하는 오목부(53)를 형성한 원호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암고정구 본체(40)의 맞닿음면(41b)에 대략 대응한 맞닿음면(54)을 상면측에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걸림돌출편(47)이 끼워지는 걸림구멍(51)을 두께방향으로 가지며, 또한 상기 걸림돌출편(47)의 선단에 형성한 걸림돌출부(47a)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부(52)를 상기 걸림구멍(51)내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면부호 43은 상기 동작오목부(45)를 구성하는 상자형상돌출부(42)의 개방측에 있어서, 각 양측판부(42a)에서 측방으로 더 연장된 전면판을 나타낸다. 또, 도면부호 44는 상기 암고정구 본체(40)를 부착대상물(E)을 통하여 부착플레이트(50)에 조립할 때에, 구멍(73)을 통하여 부착플레이트(50)의 원통형상 보스(55)에 끼워지는 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수고정구는, 암고정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암고정구에 구비되어 있는 걸어맞춤수단에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에 이 돌기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턱형상부를 구비하며, 부착대상물에 대하여 이 부착대상물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에 상기 돌기부를 삽통시키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을 에워싸는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상기 턱형상부를 맞닿게 한 수고정구 본체와; 상기 수고정구 본체의 상기 돌기부가 삽통되는 관통구멍을 판두께방향으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멍에 상기 부착대상물에서 돌출되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의 돌기부를 삽통시키도록 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의 표면측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착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수고정구 본체와 부착플레이트를 걸어맞추는 걸림돌출편 및 이 걸림돌출편이 걸어맞춰지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의 일측이 상기 수고정구 본체에, 타측이 상기 부착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부착대상물을 그 이면측에 맞닿는 수고정구 본체의 턱형상부와 그 표면측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고정구에 대하여 이것을 부착대상물에서 떼어내는 방향으로 부가되는 외력이 수고정구의 턱형상부에 맞닿아 있는 부착대상물의 이면측에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외력을 면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암고정구(B)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46)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암고정구(B)에 구비되어 있는 걸어맞춤수단(F)에 걸림/해제 가능하게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12)를 구비한 돌기부(10)와, 상기 돌기부(10)의 하부측에 이 돌기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턱형상부(11)를 구비하며, 부착대상물(C)에 대하여 이 부착대상물(C)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구멍(31)에 상기 돌기부(10)를 삽통시키고 또한 상기 부착구멍(31)을 에워싸는 부착대상물(C)의 이면측(Ca)에 상기 턱형상부(11)를 맞닿게 한 수고정구 본체(A')와;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상기 돌기부(10)가 삽통되는 삽통구멍(21)을 판두께방향으로 가짐과 아울러, 상기 삽통구멍(21)에 상기 부착대상물(C)에서 돌출되는 상기 수고정구 본체(A')의 돌기부(10)를 삽통시키도록 하여 상기 부착대상물(C)의 표면측(Cb)에 덧붙여지는 부착플레이트(A');를 가지며,
    또한, 상기 부착대상물(C)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수고정구 본체(A')와 부착플레이트(A')를 걸어맞추는 걸림돌출편(22) 및 이 걸림돌출편(22)이 걸어맞춰지는 걸림부(13)로 이루어지는 걸림수단(D)의 일측이 상기 수고정구 본체(A')에, 타측이 상기 부착플레이트(A')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고정구.
KR1019990009994A 1998-03-31 1999-03-24 수고정구 KR100290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752 1998-03-31
JP10375298A JP4021549B2 (ja) 1998-03-31 1998-03-31 雄留め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192A KR19990078192A (ko) 1999-10-25
KR100290646B1 true KR100290646B1 (ko) 2001-05-15

Family

ID=1436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994A KR100290646B1 (ko) 1998-03-31 1999-03-24 수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21549B2 (ko)
KR (1) KR100290646B1 (ko)
TW (1) TW3863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470767B1 (ko) 2021-10-08 2022-11-28 드림산업(주) 세라믹 기반의 축열식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558B2 (ja) * 2012-04-19 2016-06-08 永大化工株式会社 自動車フロアーマット用グロメット
CN104632820B (zh) * 2015-02-06 2016-09-21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家用电器用分离式弹性卡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070B1 (ko) * 2020-01-29 2021-01-08 주식회사 태영트윈클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470767B1 (ko) 2021-10-08 2022-11-28 드림산업(주) 세라믹 기반의 축열식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192A (ko) 1999-10-25
JPH11287225A (ja) 1999-10-19
TW386380U (en) 2000-04-01
JP4021549B2 (ja)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0004B2 (ja) バックル
KR100490092B1 (ko) 버클
KR100364981B1 (ko) 버클
KR20080070544A (ko) 버클
KR960031817A (ko) 판체의 연결구
JPWO2009008185A1 (ja) 留め具
KR20020003506A (ko) 판재의 부착구조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WO2017134811A1 (ja) バックル
KR100290646B1 (ko) 수고정구
JP3892363B2 (ja) バックル
CN110482004B (zh) 绳带紧固器
JP2000106916A (ja) バックル
US6167184A (en) Optical fiber fixing device for optically coupling optical fiber with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JP2594412Y2 (ja) バックル
JP3130203B2 (ja) バックル
KR970008146B1 (ko) 버클의 고정구조
KR100290645B1 (ko) 암고정구
KR0120838B1 (ko) 버클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KR100312006B1 (ko) 버클
JP2002282015A (ja) バックル
JPH09173107A (ja) バックル
KR20100017061A (ko) 클립
US6554658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male contact to a loop formed in a stripped 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