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909B1 - 신체 착용 버클 - Google Patents

신체 착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09B1
KR101929909B1 KR1020170073817A KR20170073817A KR101929909B1 KR 101929909 B1 KR101929909 B1 KR 101929909B1 KR 1020170073817 A KR1020170073817 A KR 1020170073817A KR 20170073817 A KR20170073817 A KR 20170073817A KR 101929909 B1 KR101929909 B1 KR 10192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cover
coupled
femal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정란
천성민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콜럼비아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09B1/ko
Priority to PCT/KR2017/012807 priority patent/WO201823078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신체 착용 버클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체 착용 버클은, 신체착용기기에 고정커버가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양측에 톱니들이 반복 형성되고 톱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삽입편을 포함하는 수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고 표면에 상기 수형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착탈이 가이드되며 이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홈 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 착탈편이 각각 연결되고 누름 또는 해제에 의해 상기 착탈편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레버를 포함하는 암형부재; 및 상기 암형부재의 외부를 커버하고, 중앙 영역에 커버 캡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분리장착홀을 마련하고 커버 캡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신체착용기기에 베이스부재, 암형부재 및 커버부재를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그 결합을 해제하거나 재장착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 더욱 용이하게 재분리 작업, 재장착 작업, 부품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체 착용 버클{BUCKLE FOR WEARING IN BODY}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착용기기에 결합된 암형부재에, 신체착용기기와 스트랩으로 연결된 수형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신체 착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1개의 끈 형상의 부재의 양단부 또는 2개의 끈 형상의 부재끼리 연결하여 신체나 물건에 끈을 죄어서 고정시키거나 이로부터 분리하는 수단으로 버클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클은 서로 연결되는 부재의 한쪽에 장착되는 수형부재와, 다른 쪽에 장착되는 암형부재를 구비하고, 수형부재를 암형부재에 삽입하면 수형부재의 탄성 변형 가능한 가요성의 삽입부재가 암형부재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이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암형부재로부터 노출된 삽입부재에 힘을 가하여 탄성 변형시키면 체결이 해제되어 수형부재를 암형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물림쇠의 일측변에 협지용 클립을 형성하되, 클립덮판에는 걸림구멍을 천공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안내편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끼움쇠의 일측변에 고정편을 연설하되 그 고정편 상에 걸림턱을 돌출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등산용 요대의 버클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통상적인 허리띠로 사용할 수는 있으나 무릎, 팔꿈치와 같은 관절이나 팔, 다리, 체간 등에 착용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신체에 타이트하게 착용하기 위해서는 큰 힘을 주어 스트랩을 강하게 당겨야 하며, 버클 체결 후 스트랩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무릎, 팔꿈치와 같은 관절이나 팔, 다리, 체간 등에 의료보조기구와 같은 신체착용기기를 착용한 채 활동하는 경우, 버클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신체로부터 쉽게 흘러내려 이탈될 수 있고, 톱니형 버클인 경우 피부와 반복 접촉되면서 자극이나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덧붙여, 종래의 버클은 작업자가 신체착용기기에 버클을 결합한 후 그 결합 위치나 결합 강도에 오류가 발생함을 인지하여 새롭게 재장착하거나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재장착 작업이나 부품 교체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암형부재에 수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를 강제 인출하는 동작을 할 경우, 구체적으로 암형부재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로 수형부재를 인출할 경우 수형부재와 결합되는 암형부재의 관련 부분이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87-0002482호(1987.07.29.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신체착용기기에 설치되어 체결이 용이하고, 정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착용후 버클이 과도한 회전을 단속하여 신체착용기기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신체 착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나 사용자가 신체착용기기에 버클을 결합한 상태에서 그 결합 상태를 수정하고자 기 결합상태를 해제한 후 새롭게 재장착하거나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고자 할 때 한층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신체 착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형부재와 수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를 강제 인출할 경우, 관련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체 착용 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체착용기기에 결합된 암형부재에 수형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신체 착용 버클에 있어서, 신체착용기기에 고정커버가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원호 형상의 라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양측에 톱니들이 반복 형성되고 톱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연결되어 만곡지게 형성되고 신체착용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고리홀이 형성된 고리편을 포함하는 수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고 표면에 상기 수형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착탈이 가이드되며 이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홈 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 착탈편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탈편의 일단부에 톱니들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의 톱니들과 체결되며 상기 착탈편의 타단부가 커버홈의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또는 해제에 의해 상기 착탈편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레버를 포함하는 암형부재; 및 상기 암형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체결되고, 측부에 복수 개의 커버홈이 형성되며 중앙 영역에 커버 캡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신체 착용 버클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신체 착용 버클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분리장착홀을 마련하고 커버 캡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신체착용기기에 베이스부재, 암형부재 및 커버부재를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그 결합을 해제하거나 재장착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 더욱 용이하게 재분리 작업, 재장착 작업, 부품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체착용기기에 설치되어 체결이 용이하고, 정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착용후 버클이 과도한 회전을 단속하여 신체착용기기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형부재에 한 쌍의 텐션 보강편을 마련하되 제1 텐션 바를 가이드판의 후방 단부쪽으로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암형부재와 수형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를 강제 인출하는 동작을 할 경우, 제1 텐션 바와 착탈편의 연결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그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거나 심하게는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버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형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체결과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이 적용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에서 암형부재와 커버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형부재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형부재와 암형부재의 체결과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이 적용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1, 이하 '버클'이라 함)은, 무릎, 팔꿈치와 같은 관절이나 팔, 다리, 체간 등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의료보조기구, 벨트와 같은 신체착용기기(M)에 결합된 암형부재(300)에, 신체착용기기(M)와 스트랩(S)으로 연결된 수형부재(20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100), 수형부재(2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클(1)은, 사용자 또는 생산자가 의료보조기구, 벨트와 같은 신체착용기기(M)에 베이스부재(1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적절하게 수형부재(200)를 탈착함으로써 사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신체착용기기(M)에 베이스부재(1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후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400)를 서로간에 레이저 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즉, 신체착용기기(M)에 베이스부재(1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는 서로 간의 분리가 힘들기 때문에 장착 위치 변경이나 새로운 부품으로의 교체 장착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자가 더욱 용이하게 재분리 작업, 재장착 작업, 부품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형부재(300)에 수형부재(20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200)를 강제 인출하는 동작을 할 경우, 수형부재(200)와 결합되는 암형부재(300)의 관련 부분이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적인 버클(1)의 내구성 또한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2가지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1)은, 무릎, 팔꿈치와 같은 관절이나 팔, 다리, 체간 등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의료보조기구, 벨트와 같은 신체착용기기(M)에 결합된 암형부재(300)에, 신체착용기기(M)와 스트랩(S)으로 연결된 수형부재(200)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재(100), 수형부재(2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련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신체착용기기(M)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에 고정홀(120)이 관통 형성된 고정커버(110)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커버(110)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130)를 통해 상기 신체착용기기(M)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110)의 내면에는 원호 형상의 라운드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수형부재(200)는 상기 암형부재(300)의 내측 영역으로 삽입되는 삽입편(210)과 상기 삽입편(210)에 연결되어 스트랩(S)이 끼워지는 고리편(2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암형부재(300)에는 수형부재(200)의 삽입편(210)의 삽입 거리, 삽입 정도를 제한하도록 일종의 벽(wall)으로 기능하는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설계 수치상 수형부재(200)의 최대 삽입 거리를 사용자가 초과하여 강제로 더욱 삽입하더라도 암형부재(300)의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가 파손되거나 벤딩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의 격벽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 격벽 구조로 인해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질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에 의해 사용자가 수형부재(200)를 적정 깊이 이상으로 더욱 강제 삽입한다 할지라도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의 파손이나 크랙 발생을 일정 이상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부재(100), 수형부재(200), 암형부재(300) 및 커버부재(400)는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 선택으로 인해 전술한 탄성 부여 조건이 성립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입편(210)은 양측에 톱니(211)들이 반복 형성되고, 이러한 톱니(211)들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버클 착용시 피부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톱니(211)의 상측에 상기 톱니(211)가 보이지 않게 단차부(212)가 형성되며, 이로써 버클을 반복 사용함에 따라 착용 부위의 피부와 톱니(211)의 접촉에 따른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삽입편(210)은 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13)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수형부재(200)를 상기 암형부재(300)에 체결시 상기 가이드홈(213)이 후술할 가이드돌기(313)와 결합되어 정확한 위치에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고리편(220)은 상기 삽입편(210)에 연결되어 만곡지게 형성되므로 신체의 굴곡에 맞게 착용될 수 있고, 신체착용기기(M)와 연결된 스트랩(S)이 삽입되는 고리홀(221)이 1개 이상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암형부재(300)는 판상의 가이드판(31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판(310)은 일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삽입편(21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중앙 영역에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30)가 상기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체결된 후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고정홀(120)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310)은 표면에 직선형 가이드돌기(313)가 형성되어 상기 수형부재(200)의 착탈시 삽입편(210)의 가이드홈(213)에 삽입되어 체결에 대한 안내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판(310)은 이면에 회전돌기(31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110)의 라운드홈(140)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상기 라운드홈(140)은 상기 회전돌기(312)를 통해 상기 가이드판(213)이 20 내지 40도의 각도(α)만큼 회전될 수 있는 원호형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판(21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이유는 상기 라운드홈(140)의 원호형 길이가, 가이드판(213)이 20도 미만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경우 신체의 활동이 부자연스럽고 불편하게 되며, 신체착용기기(M)가 파손될 수 있고, 가이드판(213)이 40도 초과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경우 착용후 버클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신체로부터 쉽게 흘러내려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기 가이드판(310)은 일단부에 돌출된 연장부(314)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14)는 후술할 커버부재(400)의 커버홈(4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장부(314)를 통해 상기 삽입편(210)을 보다 용이하게 암형부재(300)의 내부로 삽입하여 버클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암형부재(300)는 착탈레버(320)를 구비하여 이를 누름하거나 누름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수형부재(200)가 상기 암형부재(300)와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착탈레버(320)는 상기 가이드판(310)의 양측에 후술하는 텐션 보강편(370)을 통하여 착탈편(322)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탈편(322)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편(322)의 일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복수 개의 톱니(323)들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210)의 톱니(211)들과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착탈편(322)의 타단부에 파지돌부(32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파지돌부(324)는 상기 커버부재(400)에 개방 형성된 커버홈(4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파지돌부(324)를 내측으로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함에 의하여 상기 착탈편(322)의 착탈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1)을 사용함에 있어서 한 손으로 상기 착탈레버(320)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수형부재(200)를 잡고 양측으로 움직이면서 착용자에 잘 맞도록 미세한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310)의 타단부에는 수형부재(200)의 삽입편(210)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의 격벽구조로 이루어진다.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설계 수치상 수형부재(200)의 최대 삽입 거리를 사용자가 초과하여 강제로 더욱 삽입하더라도 암형부재(300)의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가 파손되거나 벤딩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도록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의 격벽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이중 격벽 구조로 인해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는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질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에 의해 사용자가 수형부재(200)를 적정 깊이 이상으로 더욱 강제 삽입한다 할지라도 수형부재 삽입제한부(360)의 파손이나 크랙 발생을 일정 이상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형부재(300)는 상기 가이드판(310)의 일단부 양측에 단속편(34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단속편(340)은 상기 착탈편(322)의 외측에 이격 형성되어 상기 착탈레버(320)의 누름 작용시 상기 착탈편(322)의 과도한 이동을 단속하여 착탈레버(320)가 부러지거나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암형부재(300)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레이저 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체결(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암형부재(3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와 커버부재(400)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400)는 측부에 복수 개의 커버홈(410)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314)와 파지돌부(32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1)은 도 7과 같이 신체착용기기(M)에 설치되어 체결이 용이하고, 정밀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착용후 버클이 과도한 회전을 단속하여 신체착용기기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고 상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0)는 중앙 영역에 별도의 커버 캡(430)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 부재(100)의 중앙 영역에는 스크루 등과 같은 고정부재(130)가 삽입되도록 고정홀(120)이 마련되고, 암형부재(300)의 중앙 영역에는 고정홀(120)과 연통하도록 관통홀(311)이 마련된다. 또한 커버 부재(400)의 중앙 영역에는 고정홀(120), 관통홀(311)과 각각 연통 가능하도록 분리장착홀(431)이 마련되며, 커버 캡(430)은 분리장착홀(431)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고정홀(120)의 중심축, 관통홀(311)의 중심축, 분리장착홀(431)의 중심축은 일직선 상에 놓여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생산자는 신체착용기기(M)에 베이스 부재(100)와 암형부재(300)를 스크루 등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 후 상측을 커버 부재(400)를 사용하여 커버한 후 레이저 융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100)와 커버 부재(400)를 견고하게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베이스부재(100)와 커버 부재(400)가 융착을 통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만약 생산 작업자가 베이스 부재(100)와 암형부재(300)를 신체착용기기(M)의 정해진 적정 위치에 스크루 결합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쉽게 분리하여 재장착, 새로운 부품으로의 교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융착때문에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0)의 중앙 영역에 분리장착홀(431)이 마련되어 있고, 분리장착홀(431)에 커버 캡(430)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위치의 오류, 설치 고정 강도의 오류 등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커버 부재(400)로부터 커버 캡(430)을 쉽게 분리한 후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기장착되어 있는 고정부재(130)의 결합을 해제하여 신체착용기기(M)로부터 베이스 부재(100), 암형부재(300), 커버 부재(4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조 공정중 결합 작업의 이상이나 새로운 부품으로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 재분리 작업, 재장착 작업, 부품 교체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 캡(430)은 분리장착홀(431)에 후크 결합 또는 회전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관련 도면에는 커버 캡(430)의 하단부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걸림후크(432)가 마련되고 분리장착홀(431)을 형성하는 내벽에 걸림후크(432)가 걸림 가능하도록 동일한 개수의 걸림 절개구가 마련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작업자(사용자)는 커버 캡(430)을 커버 부재(40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원터치 푸시하여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되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가장자리를 내측 방향으로 일정 힘 이상으로 가압하여 걸림후크(432)와 걸림 절개구 간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 캡(430)의 결합 구조는 전술한 걸림 후크 결합 구조 이외에 회전 결합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 캡(430)의 가장자리 둘레 방향을 따라 걸림돌기(미도시)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거나 서로 이격되게 걸림부(미도시)를 형성한 후 이와 대응하도록 분리장착홀(431)을 형성하는 내측벽에 걸림돌기(미도시) 또는 걸림부(미도시)와 회전 결합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커버 캡(430)을 회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암형부재(300)는, 양측의 착탈편(322)에 각각 연결되어 착탈편(322)에 작용하는 텐션을 일정 이상 보강해주는 한 쌍의 텐션 보강편(370)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텐션 보강편(370)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 톱니(323)가 형성된 착탈편(322)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텐션 바(371)와, 제1 텐션 바(371)에 절곡되게 연결되되 착탈편(322)에 일정 이상의 탄성을 부여하도록 가이드판(310)의 후방 단부쪽으로 연장되는 제2 텐션 바(372)를 포함한다.
가이드판(310)에서 제1 텐션 바(371)와 제2 텐션 바(372)의 주변에는 관통 절개된 절개홀이 마련되며, 제2 텐션 바(372)의 단부는 가이드판(310)의 후방 단부 영역에 연결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착탈편(322)은 각각 제1 텐션 바(371)와 제2 텐션 바(372)를 통해 가이드판(310)에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1 텐션 바(371)와 제2 텐션 바(372)를 통해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암형부재(300)에 수형부재(20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착탈편(322)의 톱니(323)와 삽입편(210)의 톱니(211)가 서로 치형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200)를 강제 인출하는 동작을 할 경우, 착탈편(322)과 삽입편(210)에 강한 전단 응력이 작용하여 톱니에 무리가 가해질 뿐 아니라 특히 가이드판(310)과 착탈편(322)의 연결 부위에 강한 응력이 작용하여 연결 부위가 파손되거나 심하게는 끊어지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텐션 바(371)는 가이드판(310)의 후방 단부쪽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된다.
착탈편(322)의 톱니(323)와 삽입편(210)의 톱니(211)가 서로 치형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수형부재(200)를 강제 인출하는 동작을 할 경우, 순간적으로 한 쌍의 착탈편(322)은 그 후방 단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면상 상측의 착탈편은 CCW 방향, 도면상 하측의 착탈편은 CW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1 텐션 바(371)와 착탈편(322)의 연결 부위에는 순간 일정 강도 이상의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 텐션 바(371)를 가이드판(310)의 후방 단부쪽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급작스런 상황의 발생시 제1 텐션 바(371)와 착탈편(310)의 연결 부위에 작용하는 응력을 적절하게 분산시켜 그 연결부위가 파손되거나 크랙이 발생하거나 심하게는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방지하여 버클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 착용 버클에서 암형부재와 커버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400)에는 복수의 제1 결합돌기(435)가 마련되며, 암형부재(300)의 가이드판(310)에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제2 결합돌기(375)가 마련된다. 복수의 제2 결합돌기(375)의 상부에는 제1 결합돌기(435)가 삽입 가능하도록 결합홈(377)이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복수의 제1 결합돌기(435)와 복수의 결합홈(377)은 커버부재(400)와 암형부재(30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는 제조 공정시 커버부재(400)와 암형부재(300)를 정위치로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신속 결합은 작업라인 상의 조립공수를 단축하여 최종적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신체 착용 버클 100: 베이스부재
110: 고정커버 120: 고정홀
130: 고정부재 140: 라운드홈
200: 수형부재 210: 삽입편
211: 톱니 212: 단차부
213: 가이드홈 220: 고리편
221: 고리홀 300: 암형부재
310: 가이드판 311: 관통홀
313: 가이드돌기 312: 회전돌기
314: 연장부 320: 착탈레버
321: 연결편 322: 착탈편
323: 톱니 324: 파지돌부
330: 수용부 331: 단부판
360: 수형부재 삽입제한부 370: 텐션 보강편
371: 제1 텐션 바 372: 제2 텐션 바
375: 제2 결합돌기 377: 결합홈
400: 커버부재 410: 커버홈
430: 커버 캡 431: 분리장착홀
432: 걸림후크 435: 제1 결합돌기
M: 신체착용기기 S: 스트랩

Claims (6)

  1. 신체착용기기에 결합된 암형부재에 수형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신체 착용 버클에 있어서,
    신체착용기기에 고정커버가 고정부재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에 원호 형상의 라운드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양측에 톱니들이 반복 형성되고 톱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차부가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에 연결되어 만곡지게 형성되고 신체착용기기에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는 고리홀이 형성된 고리편을 포함하는 수형부재;
    상기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고 표면에 상기 수형부재가 슬라이드되어 착탈이 가이드되며 이면에 회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홈 내에서 회전이 가능한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에 착탈편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착탈편의 일단부에 톱니들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의 톱니들과 체결되며 상기 착탈편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누름 또는 해제에 의해 상기 착탈편의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착탈레버를 포함하는 암형부재; 및
    상기 암형부재의 외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와 체결되고, 측부에 복수 개의 커버홈이 형성되며 중앙 영역에 커버 캡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신체 착용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고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암형부재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고정홀과 연통하도록 관통홀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 부재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고정홀, 상기 관통홀과 각각 연통 가능하도록 분리장착홀이 마련되며,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분리장착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커버 캡은 상기 분리장착홀에 후크 결합 또는 회전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는, 상기 양측의 착탈편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착탈편에 작용하는 텐션을 일정 이상 보강해주는 한 쌍의 텐션 보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텐션 보강편은 각각,
    톱니가 형성된 상기 착탈편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텐션 바; 및
    상기 제1 텐션 바에 절곡되게 연결되되 상기 착탈편에 일정 이상의 탄성을 부여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후방 단부쪽으로 연장되는 제2 텐션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텐션 바는 상기 가이드판의 후방 단부쪽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 버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부재에는 상기 수형부재의 상기 삽입편의 삽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수형부재 삽입제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형부재 삽입제한부는 내측에 공간이 마련되는 이중의 격벽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착용 버클.


KR1020170073817A 2017-06-13 2017-06-13 신체 착용 버클 KR10192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17A KR101929909B1 (ko) 2017-06-13 2017-06-13 신체 착용 버클
PCT/KR2017/012807 WO2018230780A1 (ko) 2017-06-13 2017-11-13 신체 착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817A KR101929909B1 (ko) 2017-06-13 2017-06-13 신체 착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09B1 true KR101929909B1 (ko) 2018-12-18

Family

ID=6465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817A KR101929909B1 (ko) 2017-06-13 2017-06-13 신체 착용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9909B1 (ko)
WO (1) WO201823078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469A1 (en) 2004-04-23 2005-10-27 Joseph Anscher Buckle
KR101573906B1 (ko) 2014-07-15 2015-12-02 이수진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009A (ja) * 1993-04-20 1994-11-01 Y K K Kk バックル
JP5020004B2 (ja) * 2007-09-05 2012-09-05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KR100917165B1 (ko) * 2007-09-06 2009-09-15 황종오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469A1 (en) 2004-04-23 2005-10-27 Joseph Anscher Buckle
KR101573906B1 (ko) 2014-07-15 2015-12-02 이수진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30780A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1675B2 (ja) 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EP1466537B1 (en) Buckle
BRPI0710391A2 (pt) dispositivo de amarrar cadarços para um calçado utilizado por um usuário
JP2019217349A (ja) 閉鎖システム
JP2012139360A (ja) 顔面装着具
CA3018780A1 (en) Medical component securement device
KR101929909B1 (ko) 신체 착용 버클
US20070271739A1 (en) Quick disconnect fastener
US2833454A (en) Safety belt and connector therefor
US4543858A (en) Handle for strap wrenches and other tools
US20230011974A1 (en) Support for adhesive tape
KR101848821B1 (ko) 잠금 장치
JP7253073B2 (ja) 締結部品
KR200306985Y1 (ko) 신발 조임구
JP4787491B2 (ja) 紐の緊締具
EP1106917A2 (en) A reversible fixing device for a lighting apparatus to be encased in a support panel such as a false ceiling
JP2016127881A (ja)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EP1009250A1 (en) Jewelry retention system
CN108473241B (zh) 拆开型束线带
EP3763239B1 (en) Ornament clamp
KR101947766B1 (ko) 스냅 버튼
KR200482896Y1 (ko) 시계줄 분리도구가 결합된 손목시계
KR20040049723A (ko) 신발 조임구
EP4018867B1 (en) Boot comprising a device for adjusting the closure of the leg portion
KR200387187Y1 (ko) 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