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058B1 - 묘 이식기 - Google Patents

묘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058B1
KR100988058B1 KR1020080059851A KR20080059851A KR100988058B1 KR 100988058 B1 KR100988058 B1 KR 100988058B1 KR 1020080059851 A KR1020080059851 A KR 1020080059851A KR 20080059851 A KR20080059851 A KR 20080059851A KR 100988058 B1 KR100988058 B1 KR 10098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op
drive shaft
later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568A (ko
Inventor
이치로 와타나베
타케시 오우치
히카루 오사노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로터(rotor) 등의 대지 작업 장치의 좌우 방향의 폭을 조정하고, 창고의 격납 또는 로터 전방에 쌓인 진흙의 양 사이드에 흐름을 조절 가능하게 한 대지 작업 장치부의 묘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승강 자재로 설치한 모심기부(4)에 대해서 승강 자재에, 또한 주행 차체의 가로 폭 방향을 향하여 회전축을 배치한 복수의 정지(整地) 로터(rotor)를 갖추고, 중앙정지 로터(27b)의 양측에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그 외측에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각각의 정지 로터에 대응한 구동축과 함께 착탈 자재에 배치한 묘 이식기이며, 묘 이식기를 창고로 격납할 때나 트럭에 짐을 실을 때는, 구동축 마다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떼어낼 수 있고, 기체 가로 폭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다. 또, 측방에 진흙, 물 등의 흐름을 조정하고 싶을 때는,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마다 정지 로터를 떼어내어 진흙, 물 등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묘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대지 작업 장치부의 묘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부의 모심기 장치를 갖춘 묘 이식기(이앙기라고 하는 것이 있음)에 있어서, 모심기 장치에 의한 모심기부의 직전에 밭을 균일하게 평탄화하기 위한 로터를 갖춘 구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묘 이식기의 전진 방향을 전측, 후퇴 방향을 후측 이라고 하고, 전진 방향을 향하여 좌우 방향을 각각 좌측, 우측이라고 한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2-101704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묘 이식기에 장착된 로터는, 기체 좌우 방향의 폭이 크기 때문에, 묘 이식기를 창고로 격납할 때 또는 트럭에 짐을 실을 때에 장해가 되는 일이 있다.
또, 묘 이식기를 전진시키면 로터 전방에 쌓인 밭의 진흙이나 물 등이 양단의 외측으로부터 인접 이식묘를 쓰러뜨리도록 흐르는 경우가 있지만, 이러한 진흙 이나 물 등이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의 대응책은 없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로터 등의 대지 작업 장치의 좌우 방향의 폭을 조정하여, 창고로 격납 또는 로터 전방에 쌓인 진흙의 양 사이드로 흐름을 조절 가능하게 한 대지 작업 장치부의 묘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의 해결 수단으로 해결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승강 자재의 모심기부(4)가 설치되며,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을 향하여 배치한 구동축에 의해 구동하는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정지(整地) 로터(rotor)(27b)와 이 중앙정지 로터(27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와 이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정지 로터를 가지는 대지 작업 장치(27)가 모심기부(4)에 승강 자재로 설치되며, 구동축은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구동축(70b)과 이 중앙 구동축(70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과 이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의 외측에 각각 이음축(96)을 통하여 배치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가 설치되며,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에는 각각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가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중 외측의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는 제 1 발지(拔止)구(95a, …)에 의해 각각 제 2 측방 구동축(70a1) 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중 내측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는 제 1 축 연결구(97a)에 의해 제 2 측방 구동축(70a1)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측방 구동축(70a1)은 이음축(96)에 착탈 자재인 상기 제 1 축 연결구(97a) 및 제 2 축 연결구(97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에 연결되며,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중 외측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는 제 2 발지구(95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중 내측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는 제 2 축 연결구(97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 이식기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묘 이식기를 창고로 격납할 때나 트럭에 짐을 실을 때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마다 양단부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떼어낼 수 있고, 기체 가로 폭을 용이하게 축소할 수 있다. 또, 측방의 진흙, 물 등의 흐름을 조정하고 싶을 때는,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마다 떼어내어 진흙, 물 등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외측으로부터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와 제 1 측방정지 로터(27a)를 차례차례 착탈할 수도 있고, 외측 부분의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정리하여 떼어낼 수도 있는 구성이므로,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와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의 각 설치 개수의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외측 부분의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외측의 제 2 측방 구동축(70a1) 마다 정리하여 떼어낼 수 있으므로, 수송 때 등의 기체의 좌우 폭 축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축 연결구(97a) 및 제 2 축 연결구(97b)는 이음축(96)의 연결 기능과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및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의 발지 기능을 겸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량화 및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한 하나의 실시 예인 분립체 조출 장치로서 가이드 시비 장치를 장착한 가이드 시비 장치부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 가이드 시비 장치부 승용형 이앙기(1)는, 주행 차체(2)의 후측에 승강 링크 장치(3)를 통하여 모심기부(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 차체(2)의 후부 위쪽에 작업자를 기체에서 떨어뜨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차체(2)는, 구동 바퀴인 좌우 한 쌍의 앞바퀴(10, 10) 및 좌우 한 쌍의 뒷바퀴(11, 11)를 갖춘 4륜 구동 차량이며, 기체의 앞 부분에 미션 케이스(12)가 배치되고, 그 미션 케이스(12)의 좌우 측방에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가 설치되며, 이 좌우의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의 조향 방향을 변경 가능한 각각의 앞바퀴 지지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좌우 앞바퀴 차축에 좌우의 앞바퀴(10, 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미션 케이스(12)의 배면부에 메인프레임(15)의 전단부가 고착되어 있고, 그 메인프레임(15)의 후단 좌우 중앙부에 전후 수평으로 설치한 뒷바퀴 롤링 축을 지점으로 하여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가 롤링 자재에 지지되며, 그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뒷바퀴 차축에 뒷바퀴(11, 11)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20)은 메인프레임(15) 위에 탑재되어 있고, 이 엔진(20)의 회전 이동력이, 벨트 전동장치(21) 및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23)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2)에 전달된 회전 이동력은, 이 미션 케이스(12) 내의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된 후, 주행 동력과 외부 추출 이동력으로 분리하여 꺼내진다. 그리고, 주행 동력은, 일부가 앞바퀴 파이널 케이스(13, 13)에 전달되어 앞바퀴(10, 10)를 구동함과 동시에, 나머지가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18)에 전달되어 뒷바퀴(11, 11)를 구동한다. 또, 외부 추출 이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설치한 이식 클러치 케이스(25)에 전달되며, 그리고 나서 이식 전동축(26)에 의해서 모심기부(4)로 전동된다.
엔진(20)의 상부는 엔진 커버(30)로 덮여 있고, 그 위에 좌석(31)이 설치되어 있다. 좌석(31)의 전방에는 각종 조작 기구를 내장하는 프런트 커버(32)가 있고, 그 위쪽에 앞바퀴(10, 10)를 조향 조작하는 핸들(34)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커버(30) 및 프런트 커버(32)의 하단 좌우 양측은 수평모양의 플로어 스텝(35)으로 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35)은 일부 격자모양으로 되어 있고(도 2 참조), 이 플로어 스텝(35)을 걷는 작업자의 구두에 묻은 진흙이 밭에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플로어 스텝(35) 상의 후부는, 뒷바퀴 펜더(fender)를 겸하는 리어(rear) 스텝(36)으로 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2)의 앞 부분 좌우 양측에는, 보급용의 묘를 실어 두는 예비 묘재대(38, 38)가 기체보다 측방에 게시하는 위치와 안쪽에 수납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 링크 장치(3)는 평행 링크 구성이며, 1개의 상 링크(40)와 좌우 한 쌍의 하 링크(41, 41)를 갖추고 있다. 이들 상 링크(40) 및 하 링크(41, 41)는, 그 기초부측이 메인프레임(15)의 후단부에 세워 설치한 배면시문형(背面視門形)의 링크 베이스 프레임(42)에 회동 자재로 설치되며, 그 선단측에 세로 링크(4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 링크(43)의 하단부에 모심기부(4)로 회전 자재에 지승(支承) 된 연결축(44)이 삽입 연결되며, 연결축(44)을 중심으로서 모심기부(4)가 롤링 자재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5)에 고착한 지지 부재와 상 링크(40)에 일체 형성한 스윙 암(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의 사이에 승강 유압 실린더(4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유압으로 신축시킴으로써, 상 링크(40)가 상하로 회동하여, 모심기부(4)가 거의 일정 자세인 채 승강한다.
모심기부(4)는 8조 식의 구성으로, 프레임을 겸하는 전동 케이스(50), 매트 묘를 실어 좌우 왕복 움직인 묘를 1주분 씩 각 조의 묘 추출구(51a, …)에 공급함과 동시에 가로 일렬 분의 묘를 묘 추출구(51a, …)에 공급하면 묘 보내기 벨트(51b, …)에 의해 묘를 아래쪽으로 이송하는 묘재대(51), 묘 추출구(51a, …)에 공급된 묘를 밭에 심어 주는 모심기부 장치(52, …), 다음 행정에 있어서의 기체 진로를 표토면에 선을 긋는 좌우 한 쌍의 선긋기 마커(53) 등을 갖추고 있다.
모심기부(4)의 하부에는 중앙에 센터 플로트(center float)(55), 그 좌우 양 측에 미들 플로트(middle float)(57)와 사이드 플로트(side float)(5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센터 플로트(55) 및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를 밭의 진흙 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기체를 진행시키면, 센터 플로트(55) 및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가 진흙 면을 정지하면서 활주하고, 그 정지자국에 모심기부 장치(52, …)에 의해 묘가 심어진다. 각각의 센터 플로트(55) 및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는 밭 표토면의 요철에 따라서 전단 측이 상하 움직이도록 회동 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이식 작업시에는 센터 플로트(55)의 앞 부분의 상하 움직임이 영각(迎角) 제어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승강 유압 실린더(46)를 제어하는 유압 밸브를 변환하여 모심기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묘의 이식 깊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좌석(31)의 후방에는 가이드(5)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가 리어 스텝(36)을 타고 작업을 할 때에도 기체 상에서 낙하하지 않게 하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에 연료 탱크(60)가 배치되어 있다.
모심기부(4)에는 대지 작업 장치(정지 장치)(27)의 일례인 로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 묘재대(51)는 모심기부(4)의 전체를 지지하는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에 폭이 긴 구형의 지지 틀(65)의 지지 롤러(65a)를 레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이다.
도 3의 측면도와 도 4의 배면도에 모심기부(4)(선긋기 마커(53)는 도시하지 않음)와 로터 지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도 5에 로터와 센터 플로트(55) 및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와 모심기부장치(52) 부분의 주요부 평면도 를 나타낸다.
로터 지지 구조에는, 묘재대(51)의 상기 지지 틀(65)의 양측 주변 부재(65b)에 상단을 회동 자재로 지지된 대들보 부재(66)와 이 대들보 부재(66)의 양단에 고착한 지지 암(67)과 이 지지 암(67)에 회동 자재로 설치된 로터 지지 프레임(6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 지지 프레임(68)의 하단에는 로터의 구동축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로터 지지 프레임(68)의 하단부 근처에는 전동 케이스(50)에 회동 자재로 설치된 연결 부재(71)가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플로트(55) 및 미들 플로트(57) 및 사이드 플로트(56)의 배치 위치의 관계에서 센터 플로트(55)의 전방에 있는 중앙부의 중앙정지 로터(27b)는 미들 플로트(57)와 사이드 플로트(56)의 전방에 있는 측방부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및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의 제 1 측방 구동축(70a)에 동력은 뒷바퀴(11)의 뒷바퀴 기어 케이스(18) 내의 기어에서 자재 이음매(72) 등을 통하여 전달되며, 중앙정지 로터(27b)의 중앙 구동축(70b)은 체인 케이스(73) 내의 체인(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동력 전달된다.
좌우 각각 3개의 타이어(11a∼11c)로 이루어지는 뒷바퀴(11)(도 5에는 타이어(11a∼11c)는 도시하지 않음.)의 후방에 지지 암(67)이 배치되어 있지만, 지지 암(67)과 로터 구동축인 제 1 측방 구동축(70a)을 뒷바퀴(11)의 후방에서 지탱하여 로터를 상하 조절하는 로터 지지 프레임(68)은 좌우 방향으로 좌우 각각 3개의 타이어(11a∼11c)의 사이에 접합시키는 것으로, 이 로터 지지 프레임(68)과 대들보 부재(66)의 접합부가 뒷바퀴(11)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기체 중앙부의 중앙정지 로터(27b)의 중앙 구동축(70b)은 좌우 한 쌍의 체인 케이스(73, 73)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체인 케이스(73, 73)의 보강을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체인 케이스(73, 73)를 중개하는 보강 부재(7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정지 로터(27b)는 대들보 부재(66)에 상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링크 부재에 의해 스프링(78)을 통하여 매달려 있다.
이 한 쌍의 링크 부재는 대들보 부재(66)에 일단부가 고착 지지된 제 1 링크 부재(76)와 이 제 1 링크 부재(76)의 타단부에 일단이 회동 자재로 연결한 제 2 링크 부재(77)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링크 부재(77)의 타단부와 보강 부재(74)에 회동 자재로 지지된 설치편(74a)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78)이 접속하고 있다.
로터를 로터 지지 프레임(68)과 지지 암(67)과 대들보 부재(66)를 통하여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에서 상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대들보 부재(66)와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계지(係止)부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a)에는 도 4의 A-A선단면 시시(矢視)도를 나타내고, 도 7(b)에 도 7(a)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하단부는 단면 「コ」자 모양의 링크 부재(83)와 이 링크 부재(8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로드(8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83)는 레버 보스(82)와 일체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또 레버 보스(82)는 측면 시에 L자 모양의 L자 모양 플레이트(plate)(82a)와 이 L자 모양 플레이 트(82a)와 일체의 평면 플레이트(82b)로 이루어지고, L자 모양 플레이트(82a)의 중앙부에는 지지 틀(65)에 지지된 축부(85)가 설치되며, L자 모양 플레이트(82a)는 축부(85)에 회동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 레버 보스(82)의 평면 플레이트(82b)는 대들보 부재(66)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6a)를 회전축으로 하는 롤러(86)의 원통부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를 도 4의 화살표 S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레버 보스(82)의 평면 플레이트(82b)가 롤러(86)를 밀어 올리므로 대들보 부재(66)는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롤러(86)는, 회전하면서 레버 보스(82)의 평면 플레이트(82b)와 접하므로,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조작 하중의 저감이 짐작됨과 동시에 회전체이기 때문에 마모가 없고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 보스(82)가 상하로 회동하고, 이 레버 보스(82)는 돌출부(66a)를 회전축으로 하는 롤러(86)의 원통부에 접하도록 계지(係止)하고 있으므로, 이 돌출부(66a)가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기체 우측 방향(도 4의 화살표 S방향)의 회동으로, 오른쪽 방향에 대들보 부재(66)를 움직인다. 이 돌출부(66a)의 상기 상동(上動)에 의해 제 1 링크 부재(76)의 대들보 부재(66)와의 연결부와 반대 측의 단부도 대들보 부재(66)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제 1 링크 부재(76)의 위쪽의 회동에 의해 제 2 링크 부재(77)와 스프링(78)을 통하여 중앙정지 로터(27b)를 위쪽으로 올릴 수 있다. 중앙정지 로터(27b)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중앙 구동축(70b)과 제 1 측방 구동축(70a)을 통하여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및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도 동시에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는 주행 차체(2)의 거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로터의 상하 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 좌우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
또, 지지 암(67)의 화살표 T방향(도 3)에 회동으로 로터 지지 프레임(68)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로터를 수납 위치, 즉, 묘재대(51)의 뒷면 측에 수납 상태가 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의 표준 위치에서 밭 표면보다 40mm의 높이에 있는 로터를 상하 위치 조절 레버(81)를 도 4의 화살표 S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표준 위치보다 최대 15mm 높게 할 수 있고, 도 4의 화살표 S방향의 반대 방향에 회동에서 표준 위치보다 최대 15mm 낮게 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있다.
8조 식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모심기부(4)는, 프레임을 겸하는 전동 케이스(50), 묘를 실어 좌우 왕복으로 움직여 묘를 1주씩 각 조의 묘 추출구(51a, …)에 공급하는 묘재대(51), 묘 추출구(51a, …)에 공급된 묘를 밭에 심어주는 모심기부 장치(52, …), 다음 행정에 있어서의 기체 진로를 표토면에 선을 긋는 좌우 한 쌍의 선긋기 마커(53) 등을 갖추고 있다.
도 8에 선긋기 마커(53)와 이 마커 구동용의 마커 와이어(88), 전동 케이스(50) 및 마커 구동장치(89)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를 나타낸다.
좌우의 선긋기 마커(53)의 기초부가 이식 전동 케이스(50L, 50R)의 선단에 각각 회동 자재로 설치되며, 좌우의 마커 와이어(88)를 통하여 선긋기 마커(53)가, 모심기부(4)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는 마커 구동장치(89)에 의해 구동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커 와이어(88)가 끌리면 선긋기 마커(53)가 기립하고, 마커 와이어(88)가 되돌려지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땅기는 힘으로 선긋기 마커(53)가 전도한다. 좌우의 선긋기 마커(53)는, 기립(수납) 자세에서는 밭의 표토부에 선을 긋지 않은 상태가 되며, 전도 자세에서는 밭의 표토부에 선을 긋는 상태가 된다.
도 9에 선긋기 마커(53)의 구동 기구의 주요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긋기 마커(53)의 기초부의 회동 지점(53a)에는, 이 회동 지점(53a)을 축 심으로 하는 로드(90)가 배치되며, 이 로드(90)의 회동축 심(90a)(상기 회동 지점(53a)의 축 심과 동일)의 반대 측의 단부는 마커 와이어(88)의 선단부에 연결부(88a)를 통하여 접속한 만곡편(91)의 내주 측의 만곡부에 당접하고 있다. 또 상기 선긋기 마커(53)의 기초부의 회동 지점(53a)을 축 심으로 하고, 상시, 기체에 지지된 스프링(93)으로 선긋기 마커(53)의 작용 측에 가세 된 5각형 플레이트(92)가 상기 로드(90)와 병렬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이 5각형 플레이트(92)의 회동축 심(92a)(상기 회동 지점(53a)의 축 심과 동일)과는 반대 측의 단부 부근에 만곡편(91)의 단부 부근에 설치된 회동 지점(91a)을 중심으로 회동 자재에 만곡편(91)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마커 와이어(88)가 선긋기 마커(53)를 수납 위치에 세우는 방향으로 끌리면, 로드(90), 5각형 플레이트(92) 및 만곡편(91)이 도 9(a)의 점선 위치(화살표 A방향)로 이동한다.
이때 5각형 플레이트(92)의 회동축 심(92a)(상기 회동 지점(53a)의 축 심과 동일)과 만곡편(91)의 마커 와이어(88)의 연결부(88a)의 간격(L1)(마커 와이어(88)에 의한 견인력(P)에 의한 모멘트(moment)가 작용할 방향의 길이)이, 도 9(b)에 나타내는 로드(90)와 만곡편(91)이 없고, 5각형 플레이트(92)를 이용한 종래의 선긋기 마커(53)와 마커 와이어(88)의 연결부(88a)와 5각형 플레이트(92)의 회동축 심(92a)(상기 회동 지점(53a)의 축 심과 동일)의 간격(L2)에 비해 길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 선긋기 마커(53)를 끌어올릴 수 있다.
PL2<PL1
마커 와이어(88)에 같은 견인력(P)의 힘이 움직인 경우, 본 실시 예의 구성은 종래의 구성보다 무거운 것을 끌어올릴 수 있다. 같은 무게의 선긋기 마커(53)이면 가볍게 끌어 올려진다.
이와 같이, 작용시는 지면에 당접하고, 수납시는 지렛대의 원리를 응용하여, 거의 수직으로 되는 선긋기 마커(53)를 회동 지점(53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끌어올리는 구성이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다조(多條) 이식 이앙기(특히 8조 이상)는, 선긋기 마커(53)의 길이도 길어져 중량도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지점 근처에서 마커 와이어(88)에 의해 마커(53)를 끌어올리려면 막대한 힘을 필요로 하지만, 이 부분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선긋기 마커(53)를 끌어올릴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단의 복수의 외측의 정지용 로터인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27a1)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로터 연장 구동축이 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으로 지지되어 있지만, 이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은, 보다 중앙부 측의 로터 구동축이 되는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로터 연장 구동축이 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에 장착되는 정지용 로터인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27a1)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6에는 우측의 로터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내지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는 로터 연장 구동축이 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측방 구동축(70a1)은, 제 1 측방 구동축(70a)과 제 2 측방 구동축(70a1) 내에 삽입되는 이음축(96)과, 이 이음축(96)과 제 2 측방 구동축(70a1)의 사이 및 이음축(96)과 제 1 측방 구동축(70a)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삽입 구멍에 끼워넣는 제 1 축 연결구 및 제 2 축 연결구로 이루어지는 볼트(97a, 97b)의 설치와 떼어내는 것을 자재로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외부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의 떼어내는 것은, 기체의 좌우 양단 측의 로터 연장 구동축이 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의 최외부에 설치한 제 1의 분할 핀 구멍의 제 1 발지(拔止)구가 되는 핀(95a)을 뽑으면 빗나가고, 또한 최외부에서 두번째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에 설치한 제 2의 분할 핀 구멍의 핀(95a)을 뽑으면 빗나가고, 또한 볼트구멍의 볼트(97a)를 뽑으면 밖으로부터 3번째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및 제 2 측방 구동축(70a1)이 빗나가고(이때 이음축(96)도 떼어내도 좋다), 또한 기체에 의해 중앙 측의 로터 구동축이 되는 제 1 측방 구동축(70a)에 설치한 분할 핀 구멍 의 제 2 발지구가 되는 핀(95b)을 뽑으면 밖으로부터 네번째의 정지용 로터인 제 1 측방정지 로터(27a)가 빗나가고, 또한 볼트구멍의 볼트(97b)를 뽑으면 밖으로부터 다섯번째의 정지용 로터인 제 1 측방정지 로터(27a)가 빗나간다.
이렇게 하여, 외측으로부터 정지용 로터를 차례차례 착탈할 수도 있고, 외측 부분의 복수(3개)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를 정리하여 떼어낼 수도 있는 구성이며, 상기 볼트(97a, 97b)는 이음축(96)의 연결 기능과 로터 편의 발지 기능을 겸용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묘 이식기를 창고로 격납하는 경우 또는 트럭에 짐을 실을 때는, 좌우 양단 최외부의 로터 구동축이 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과 이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에 장착되는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27a1)를 정리하여 떼어내고, 기체 좌우 폭을 축소할 수 있다.(이때 사이드 플로트(56, 56)는 모심기부(4)에 고정한 채로 한다.)
또, 묘 이식기를 전진시키면 로터의 전방에 쌓인 밭의 진흙이나 물 등이 양단의 외측으로부터 인접 이식 묘를 쓰러뜨리도록 흐르는 경우에는, 좌우 양단의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과 이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에 장착되는 양단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27a1)를 떼어내고, 기체 좌우 폭을 축소하여, 좌우 안쪽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27a)와 인접 이식묘의 거리를 떼어 놓음으로써, 로터에 의한 진흙 류를 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뒷바퀴(11)의 후방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로터 지지 프레임(68, 68)의 사이에는 고무 등에서 얻어지는 얇은 커버(99)(도 4)를 설치하는 것으로, 로터 및 전방의 뒷바퀴(11)로부터의 진흙이 튀는 것을 받아들여, 모심기부(4)의 진흙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좌우 양단의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과 이식 깊이 파이프(28)(도 3 참조)를 지지 지점으로 하여 전후에 긴 방파판(100)(도 10 참조)을 모심기부(4)의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로터와 사이드 플로트(56)로 흘러가게 한 흙탕물이 옆 도랑으로 유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0의 로터 부분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의 최외부에 설치하는 방파판(100)에는 배수 구멍(100a)을 설치하고, 또 방파판(100)의 구성에 있어서, 판 형상을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전방보다 낮은 수위에서 서서히 흙탕물을 오버 플로우 시킨다.
또한, 방파판(100)은 제 2 측방 구동축(70a1)에 지지시키고 있으므로, 로터를 상승시켜 창고에 수납할 때에는 방파판(100)도 상승하여 수납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11의 로터 부분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파판(100)으로서 기체의 좌우 방향 안쪽의 면에 설치한 비교적 짧은 측면판(100c)과 전후방향에 따라서 비교적 긴 좌우 방향 외측의 측면판(100b) 및 천판(100d)을 설치한 정면시에서 「コ」자 모양의 판재로부터 구성하여, 기체 중심 측(안쪽)의 측면판(100c)에 물기 제거용의 구멍(100e)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양쪽 모두의 측면판(100b, 100c)의 사이에서 흙탕물을 후방을 향하여 흘릴 수 있으므로, 물기 제거가 좋아진다. 또, 기체 중심에서 보고 외측의 측면판(100b)에도 안쪽의 측면판(100c)보다 작은 구멍(100e')을 여는 것으로, 양 쪽 모두의 측면판(100b, 100c)의 사이에 있어서의 물을 모으는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파판(100)의 위쪽의 판재(101)는 모심기부(4)의 전동 케이스(50)에 지지된 판재(104)에 연결되어 있고, 방파판(100)의 전방에는 방파 보조 기능을 가지는 회전판(102)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방파판(100)과 회전판(102)은 판재(101)와 방파판(100)의 천판(天板)(100d)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03)에 의해서 아래쪽에 압압되어 있다.
본 발명은 폭이 넓은 다조(多條)의 모심기 작업기로서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
도 1은, 승용형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승용형 이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심기부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묘재대의 지지 구조의 주요부 배면도이다.
도 5는, 모심기부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묘재대의 우측의 로터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하 위치 조절 레버와 대들보 부재의 계지 관계를 설명하는 도(도 7(a)는 도 4의 A-A 선 단면 시시도, 도 7(b)는 도 7(a)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선긋기 마커와 그 주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는, 선긋기 마커의 구동 기구의 주요부 측면도(도 9(a))와 종래의 선긋기 마커의 구동 기구의 주요부 측면도(도 9(b))이다.
도 10은, 로터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의 로터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승용형 이앙기 2. 주행 차체
4. 모심기부 27. 대지 작업 장치
27a. 제 1 측방정지 로터 27a1. 제 2 측방정지 로터
27b. 중앙정지 로터 70a1, 70a1. 제 2 측방 구동축
70a, 70a. 제 1 측방 구동축 95a, 95b. 핀
96. 이음축 97a, 97b. 볼트

Claims (1)

  1. 주행 차체(2)의 후부에 승강 자재의 모심기부(4)가 설치되며,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을 향하여 배치한 구동축에 의해 구동하는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정지(整地) 로터(rotor)(27b)와 이 중앙정지 로터(27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와 이 제 1 측방정지 로터(27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정지 로터를 가지는 대지 작업 장치(27)가 모심기부(4)에 승강 자재로 설치되며,
    구동축은 주행 차체(2)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 구동축(70b)과 이 중앙 구동축(70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좌우의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과 이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의 외측에 각각 이음축(96)을 통하여 배치되는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측방 구동축(70a, 70a)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가 설치되며, 제 2 측방 구동축(70a1, 70a1)에는 각각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가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중 외측의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는 제 1 발지구(拔止具)(95a)에 의해 각각 제 2 측방 구동축(70a1)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 중 내측의 제 2 측방정지 로터(27a1)는 제 1 축 연결구(97a)에 의해 제 2 측방 구동축(70a1)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 측방 구동축(70a1)은 이음축(96)에 착탈 자재인 상기 제 1 축 연결구(97a) 및 제 2 축 연결구(97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에 연결되며,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중 외측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는 제 2 발지구(95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 중 내측의 제 1 측방정지 로터(27a)는 제 2 축 연결구(97b)에 의해 제 1 측방 구동축(70a)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 이식기.
KR1020080059851A 2007-06-25 2008-06-24 묘 이식기 KR100988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6548A JP4867816B2 (ja) 2007-06-25 2007-06-25 苗移植機
JPJP-P-2007-00166548 2007-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568A KR20080114568A (ko) 2008-12-31
KR100988058B1 true KR100988058B1 (ko) 2010-10-18

Family

ID=40317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851A KR100988058B1 (ko) 2007-06-25 2008-06-24 묘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867816B2 (ko)
KR (1) KR100988058B1 (ko)
TW (1) TW2009111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0892B2 (ja) * 2009-06-18 2014-10-0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機
JP5381398B2 (ja) * 2009-06-26 2014-01-08 井関農機株式会社 多条苗移植機
JP2011072232A (ja) * 2009-09-30 2011-04-14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7253150B2 (ja) * 2020-11-19 2023-04-06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08A (ja) 1996-09-19 1998-04-07 Iseki & Co Ltd 田植機
JP2000308403A (ja) 1999-04-28 2000-11-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1299023A (ja) 2000-04-26 2001-10-3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1346413A (ja) 2000-06-05 2001-12-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611A (ja) * 1992-08-25 1994-03-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マルチ田植機
JPH08214603A (ja) * 1995-02-17 1996-08-2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代掻植付機における代掻き用ロータ
JP3279924B2 (ja) * 1996-05-28 2002-04-30 三菱農機株式会社 代掻同時移植機
JP4419306B2 (ja) * 2000-09-29 2010-02-24 井関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
JP2006158230A (ja) * 2004-12-03 2006-06-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整地用ロ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08A (ja) 1996-09-19 1998-04-07 Iseki & Co Ltd 田植機
JP2000308403A (ja) 1999-04-28 2000-11-0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1299023A (ja) 2000-04-26 2001-10-30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2001346413A (ja) 2000-06-05 2001-12-1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3781B (ko) 2011-06-21
KR20080114568A (ko) 2008-12-31
JP2009000083A (ja) 2009-01-08
JP4867816B2 (ja) 2012-02-01
TW200911108A (en)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895B (zh) 苗移植機
JP5023967B2 (ja) 苗植機
KR100988058B1 (ko) 묘 이식기
TWI411391B (zh) Work machine
JP5703593B2 (ja) 苗移植機
JP2018139570A (ja) 苗移植機
JP2009000083A5 (ko)
CN110313284B (zh) 苗移植机
KR101028518B1 (ko) 보행형의 모 이식기
JP2019024415A (ja) 移植機
TW201446127A (zh) 秧苗移植機
JP2015195742A (ja) 苗移植機
JP5660021B2 (ja) 苗移植機
JP2011030451A (ja) 移植機
JP2019106936A (ja) 作業車両
JP6193064B2 (ja) 乗用型田植機
JP4644917B2 (ja) 乗用型苗植機
CN114938732A (zh) 苗移植机
JP2003102219A (ja) 移植機
CN108496489B (zh) 步行式插秧机
JP2024042433A (ja) 乗用型苗移植機
JP2023019518A (ja) 田植機
JP2005143430A (ja) 水田作業機のマーカ装置
JP2013027351A (ja) 苗移植機の畦際植付装置
JP2015097535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