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518B1 - 보행형의 모 이식기 - Google Patents

보행형의 모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518B1
KR101028518B1 KR1020080115074A KR20080115074A KR101028518B1 KR 101028518 B1 KR101028518 B1 KR 101028518B1 KR 1020080115074 A KR1020080115074 A KR 1020080115074A KR 20080115074 A KR20080115074 A KR 20080115074A KR 101028518 B1 KR101028518 B1 KR 10102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se
shaft
transmission
cas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711A (ko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마사카츠 아라키
토시오 다마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1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기어 변속 장치의 변속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코스트 업이 되지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모 이식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이식 전동 케이스 내에서 세로이식 전동축으로부터 한 쌍의 제 1 베벨 기어를 통하여 전동되는 좌우 방향의 가로이식 전동축과, 상기 가로이식 전동축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여 묘취구로부터 모를 집어 논에 심는 모 이식 장치와, 상기 묘취구에 1주분씩 모를 공급하는 묘재대를 설치하고, 상기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이식 구동축(98)의 단부에 연장이식 구동축(99)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며, 이 연장이식 구동축(99)으로부터 상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 전동하는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설치하여, 연장이식 구동축(99)과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꺼내기 가능한 개구부(102)를 주 전동 케이스(3)에 형성한 보행형의 모 이식기로 했다.

Description

보행형의 모 이식기{Seedling transplanter of walking type}
본 발명은, 보행형의 모 이식기로 엔진의 동력을 모 이식장치에 전동하는 이식 전동 케이스의 동력 전동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보행형의 모 이식기는, 예를 들면, 특개 2001-25831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보행형의 모 이식기에서는, 기체의 전부에 배치하는 엔진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와 전후방향으로 설치하는 전동축에서 기체 후부의 기어박스에 전동 되어, 기체의 후부에 설치는 묘재대 상의 모를 1주분씩 꺼내 논에 심는 모 이식장치의 구동이 실시되고 있다.
또, 기체 상에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좌석을 설치한 승용형 모 이식기는, 예를 들면, 특개 2003-32095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 이식장치의 동력 전동부에 변속 클러치를 내장하는 이식클러치 케이스를 설치하여, 모 이식장치의 구동 속도를 바꾸는 것으로 이식 주(株)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1-258311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3-320954호 공보
종래의 보행형의 모 이식기에서는 모 이식 간격의 변경을 모 이식장치로의 전동부에 설치하는 기어 변속 장치의 변속 클러치를 사용하여 실시하도록 했지만, 이것을 기어 변속 장치의 변속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코스트 업이 되지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모 이식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1에 관계되는 발명은, 기체의 전부에 배치한 주 전동 케이스(3)와, 상기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우에 배치한 주행 전동 케이스(4)와, 상기 주행 전동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좌우 각각의 차바퀴(5)와,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전후 방향의 세로이식 전동축(15)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이식 전동 케이스(7)와, 상기 이식 전동 케이스(7) 내에서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부터 한 쌍의 제 1 베벨 기어(95, 96)를 통하여 전동되는 좌우 방향의 가로이식 전동축(97)과, 상기 가로이식 전동축(97)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여 묘취구(28)로부터 모를 집어 논에 심는 모 이식장치(10)와, 상기 묘취구(28)에 1주분씩 모를 공급하는 묘재대(11)를 설치하고, 상기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이식 구동축(98)의 단부에 연장이식 구동축(99)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연장이식 구동축(99)으로부터 상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 전동하는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설치하여, 연장이식 구동축(99)과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꺼내기 가능한 개구부(102)를 주 전동 케이스(3)에 형성한 보행형의 모 이식기로 했다.
이 구성으로, 엔진의 동력이 주 전동 케이스(3)의 이식 구동축(98)으로부터 연장이식 구동축(99)과 제 2 베벨 기어(100, 101)로 세로이식 전동축(15)에 전동되며, 또한 세로이식 전동축(15)의 회전이 이식 전동 케이스(7) 내에서 제 1 베벨 기어(95, 96)로부터 가로이식 전동축(97)에 전동되며, 가로이식 전동축(97)에서 모 이식장치(10)가 구동된다.
또, 청구항 2에 관계되는 발명은,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의 치수를 다르게 함과 동시에,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입력측과 출력측으로 교체하여 부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보행형의 모 이식기로 했다.
이 구성으로,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번갈아 교체하면, 이식 구동축(98)의 회전 변속비를 변경하여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 전동하여 이식 주간을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주(株)의 이식간격을 변경하려면, 묘재대(11)로부터 모를 긁어내는 모 이식장치(10)를 구동하는 가로이식 전동축(97)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지만, 이식 구동축(98)으로부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 전동하는 연장이식 구동축(99)과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꺼내 기어 비(比)가 다른 베벨 기어와 교환하면 좋고, 주 전동 케이 스(3) 내에서 기어를 조합한 변속 장치를 구성하는 것보다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변속비 변경용의 다른 베벨 기어를 준비하지 않아도,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번갈아 교체하여 조립하면 가로이식 전동축(97)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어 이식 주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보행형의 모 이식기인 보행형 모내기기(1)의 전체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보행형 모내기기(1)는, 기체의 전단부에 설치한 엔진(2)과, 상기 엔진(2)의 후측에 설치한 주 전동 케이스(3)와, 상기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우에 각각 설치한 주행 지지 부재가 되는 주행 전동 케이스(4)와, 상기 주행 전동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좌우의 차바퀴(5)와, 주 전동 케이스(3)의 후측면에서 뒤쪽으로 늘어나는 전부 프레임(6)과, 전부 프레임(6)의 후단에 고착되며 만곡하여 기울어진 후 위쪽으로 늘어나는 후부 프레임(8)과, 후부 프레임(8)의 전단부의 표면에 재치되는 이식 전동 케이스(7)와, 상기 후부 프레임(8)의 후단에 설치된 조종 핸들(9)을 갖추고 있다. 상기 이식 전동 케이스(7)의 하부에는 4개의 모 이식장치(10)를 설치하고, 후부 프레임(8)의 전측에는 상기 후부 프레임(8)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묘재대(1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2), 주 전동 케이스(3), 전부 프레임(6)과 후부 프레임(8), 주행 전동 케이스(4) 및 차바퀴(5) 등에 의해 주행 차체부가 구성되며, 이 식 전동 케이스(7),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 등에 의해 이식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모 이식장치(10)가 묘재대(11)로부터 묘취구(28)에 공급되는 모를 각각 1주분씩 긁어내고, 주행하면서 논에 동시에 4조분의 모를 심는 4조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전부 프레임(6)과 후부 프레임(8)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로, 전부 프레임(6)의 후단에 설치한 전부 프레임측 플랜지(60)와 후부 프레임(8)의 전단에 설치한 후부 프레임측 플랜지(61)가 접촉하고, 전부 프레임측 플랜지(60)와 후부 프레임측 플랜지(61)의 양 플랜지가 고정용의 볼트(62) 및 너트(63)로 서로 고착되어 전부 프레임(6)과 후부 프레임(8)이 결합하여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측 플랜지(60)와 전부 프레임(6)의 기초부와의 사이에는 좌우 2개소에 전부 프레임측 리브(rib)(64)가 고착되어 있고, 전부 프레임측 플랜지(60)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 후부 프레임측 플랜지(61)와 후부 프레임(8)의 기초부의 표면 사이에는 좌우 2개소에 후부 프레임측의 제 1의 리브(65a)가 고착되어 있고, 후부 프레임측 플랜지(61)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 후부 프레임(8) 상에는, 상기 제 1의 리브(65a) 보다 후측에 위치하는 제 2의 리브(66)를 좌우 2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전부 프레임측 플랜지(60)의 상단보다 후부 프레임측 플랜지(61)의 상단이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돌출한 부분과 이식 전동 케이스(7)가 후술하는 중앙 케이스부(7a)의 전면 사이에 고정 볼트(67)를 좌우에 2개 설치하여, 이식 전동 케이스(7)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이식 전동 케이스(7)는, 좌우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케이스부(7a)와,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케이스부(7b)를 갖추고 있다. 중앙 케이스부(7a)에는 후술하는 좌우 이동축(29)이나 중앙 2조의 모 이식장치(10)로 전동하는 전동 기구를 갖추고, 외측 케이스부(7b)에는 좌우 각각의 외측 1조의 모 이식장치(10)로 전동하는 전동 기구를 갖추고 있고,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부터의 동력은 중앙 케이스부(7a)로 한 쌍의 제 1 베벨 기어가 되는 제 1 구동 베벨 기어(95) 및 제 1 종동 베벨 기어(96)로 가로이식 전동축(97)에 입력되며, 상기 가로이식 전동축(97)이 중앙 케이스부(7a)로부터 통 모양 케이스를 통하여 외측 케이스부(7b) 내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앙 케이스부(7a)의 저면에는 후부 프레임(8)의 표면에 대치(戴置)하는 오목부(68)를 갖추고, 상기 오목부(68)를 후부 프레임(8) 위에 실어 이식 전동 케이스(7)를 재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후부 프레임(8)의 상기 제 1의 리브(65a)의 후면이 중앙 케이스부(7a)의 저부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의 리브(66)의 전면이 중앙 케이스부(7a)의 저부의 후면에 접촉하여, 이식 전동 케이스(7)를 제대로 보관 유지하고 있다.
또, 기체의 하부에는 논에 접촉하는 복수 3개의 접지체로 되는 플로트(12)가 설치되어 있고, 기체의 주행에 의해 상기 플로트(12)가 논을 활주하여 정지한다. 플로트(12) 가운데, 기체의 좌우 중앙의 센터 플로트(12a)는 좌우 내측의 2조의 모 이식장치(10)의 이식 위치를 정지하고, 기체의 좌우 양 외측의 사이드 플로트(12b)는 좌우 외측의 각각 1조의 모 이식장치(10)의 이식 위치를 정지한다. 센터 플로트(12a)는, 전단이 사이드 플로트(12b)의 전단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사이드 플로트(12b) 보다 전후 길이가 길고, 사이드 플로트(12b) 보다 좌우 폭이 넓으며, 사이드 플로트(12b) 보다 접지 면적이 넓다. 또한, 센터 플로트(12a) 및 사이드 플로트(12b)는, 측면시에서 후부 프레임(8)과 같은 위치에 배치된 각각의 좌우 방향의 회동 지점축(13) 주위에 상하로 회동 자재에 지지되며, 전부가 논의 요철(凹凸)에 추종하여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2)의 출력 축은 주 전동 케이스(3) 내에 돌입하고 있고, 엔진(2)으로부터의 동력이 주 전동 케이스(3) 내에 전달된다. 주 전동 케이스(3) 내에는, 차바퀴(5),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모든 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주 클러치와, 상기 주 클러치로부터의 동력을 차바퀴(5)로의 전동 경로와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전동 경로에 분기(分岐)하는 동력 분기부와, 상기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전동 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전동을 차단할 수 있는 이식클러치와, 상기 차바퀴(5)로의 전동 경로 상에 있어서 서로 맞물리는 기어의 전환에 의해 노상 주행용의 전진 고속 상태, 이식 작업용의 전진 저속 상태, 기어가 서로 맞물리지 않고 비전동이 되는 중립 상태 및 후진 상태의 4상태로 전환하여 변속할 수 있는 변속부와, 상기 변속부의 전동 아래쪽 측에서 좌우의 차바퀴(5)로의 전동을 비전동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좌우 각각의 사이드 클러치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변속부 및 사이드 클러치 를 통하여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좌우에 돌출하는 좌우 각각의 주행용 전동축으로 전동된다.
상기 주행용 전동축이 주행 전동 케이스(4) 내에 돌입하고 있고, 주행 전동 케이스(4) 내에서 스프로킷(sprocket) 및 체인에 의해 상기 주행 전동 케이스(4)로부터 좌우 외측으로 돌출하는 차축(14)에 전동하여, 차바퀴(5)가 구동 회전한다. 주행 전동 케이스(4)는, 전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주행용 전동축 주위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후단부에 위치하는 차축(14)을 상하로 이동시켜 차바퀴(5)를 상하 이동시킨다. 또, 이식클러치의 전동에 의해,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후측으로 늘어나는 세로이식 전동축(15)을 통하여 이식 전동 케이스(7) 내로 전동 된다.
도 12는,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이식구동축(98)으로부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의 전동부의 단면도로, 주 전동 케이스(3) 내에서 제 1의 베어링(103) 및 제 2의 베어링(104)으로 축지된 이식구동축(98)은 주간 변경 클러치(105)에서 3단계로 변속되어 회전하고, 케이스 내의 제 2의 베어링(104)의 부분에서 연장이식 구동축(99)을 제 1의 스프라인부(106)에서 스프라인에 의해 연결하고, 이 연장이식 구동축(99)에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의 한쪽의 기어가 되는 소경 베벨 기어(101)를 제 2의 스프라인부(107)에서 스프라인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연장이식 구동축(99)의 케이스벽 측은 케이스에 설치하는 개구부(102)에 장치한 덮개(108)에 부착한 제3 베어링(109)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한, 연장이식 구동축(99)에 직교하여 후방을 향하여 세로이식 전동축(15) 을 제 4 베어링(110)과 제 1 오일 실(11)로 케이스에 지지하고, 그 축단에 상기 소경 베벨 기어(101)와 서로 맞물리게 하여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의 다른 한쪽의 기어가 되는 대경 베벨 기어(100)를 제 3의 스프라인부(112)에서 스프라인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개구부(102)는 대경 베벨 기어(100)의 외경보다 크고, 맹개(108)를 제외하면, 연장이식 구동축(99)과 소경 베벨 기어(101)를 함께 뽑아내고, 대경 베벨 기어(100)도 세로이식 전동축(15)의 축단으로부터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제 2 베벨 기어의 조합은 다른 감속비의 베벨 기어로 변경 가능하고, 이 부분에서 2단계로 변속하면, 상기 주간 변경 클러치(105)에서의 3단계 변속과 합하여 6단층에 이식 주간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경 베벨 기어(101)의 제 2의 스프라인부(107)와 대경 베벨 기어(100)의 제 3 스프라인부(112)를 동일하게 하는 것으로, 소경 베벨 기어(101)와 대경 베벨 기어(100)를 대체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변속비를 바꿀 수도 있다. 이 경우는, 변속용 베벨 기어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는, 이식 전동 케이스(7)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한다. 묘재대(11)는, 이식 전동 케이스(7)의 좌우로 돌출하여 좌우 이동하는 좌우 이동축(29)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좌우 각각의 연결 부재(30)를 통하여 지지되며, 묘수판(27)에 따라서 좌우 왕복 이동하고, 묘수판(27)에 설치한 각 조의 묘취구(28)에 1주분씩 모를 공급한다. 또한, 묘재대(11)의 상부에는 좌우 이동용 레 일(34)을 고착하여 설치하고 있고, 상기 좌우 이동용 레일(34)이 후부 프레임(8)의 상부로부터 지지되는 지지 롤러(33)에 안내되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따라서, 묘재대(11)는, 하부에서 묘수판(27)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부에서 지지 롤러(33)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이식전동 케이스(7)로부터의 동력으로 좌우 이동축(29)을 통하여 좌우에 왕복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묘재대(11)에는, 좌우 이동단으로 묘취구(28) 측 하측에 모를 이송하는 각 조의 모 보내기 벨트(35)를 갖추고 있다. 이 모 보내기 벨트(35)는, 이식전동 케이스(7)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하여, 묘재대(11)의 좌우 이동단으로 매트모를 1주분 이송하여 모를 묘취구(28)에 공급한다.
모 이식장치(10)의 구동 구성을 도 10에서 도 16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식전동 케이스(7)의 중앙 케이스부(7a)는, 상기의 바와 같이, 도 3에서 나타내는 오목부(68)를 후부 프레임(8)에 실어 고정하고 있지만, 중앙 케이스부(7a)에 설치한 중앙이식 구동축(117)에 고착하는 제 5 스프로킷(123)을 오목부(68)로부터 제외한 위치에 배치하여, 중앙이식 구동축(117)을 후부 프레임(8)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세로이식 전동축(15)의 중앙 케이스부(7a) 측은 커플링(131)과 안전 클러치(132)를 통하여 제 1 구동 베벨 기어(95)에 동력을 전동하고, 이 제 1 구동 베벨 기어(95)를 중앙 케이스부(7a)의 좌우 중앙에 클러치(113)를 통하여 설치한 제 1 종동베벨 기어(96)와 서로 맞물리게 하여 회전을 가로이식전동축(97)으로 전동하고 있다.
가로이식 전동축(97)에는 좌우 중앙의 한 쌍의 모 이식장치(10, 10)에 전동 하는 제 1 스프로킷(114)과 좌우 단부로 각각 외측의 모 이식장치(10)에 전동하는 제 2 스프로킷(115) 및 제 3 스프로킷(116)을 고착하고 있다. 중앙의 제 1 스프로킷(114)은 중앙 케이스부(7a)에 추지(樞支)한 중앙이식 구동축(117)에 고착한 제 5 스프로킷(123)에 제 3 체인(122)으로 전동하고, 좌우 단부에 고착한 제 2 스프로킷(115) 및 제 3 스프로킷(116)은, 외측 케이스부(7b, 7b)에 추지한 제 1 외 이식 구동축(118) 및 제 2 외 이식 구동축(119)에 고착한 제 4 스프로킷(121) 및 제 6 스프로킷(125)에 제 1 체인(120) 및 제 2 체인(124)으로 전동하고 있다.
또한, 외측 케이스부(7b) 내의 제 1 체인(120) 및 제 2 체인(124)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 가이드(172)로 텐션을 부여하고 있지만, 이 체인 가이드(172)는 하측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것으로, 외측 케이스부(7b)의 상부와 묘재대(11)의 간격을 넓히고 있다. 또, 외측 케이스부(7b)를 전후 대칭형으로서 동일 형상의 케이스를 좌우 양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측 케이스부(7b)의 하측 전후에 설치하는 설치부의 후측을 후부 프레임(8)에 설치하는 지지 부재에 설치하여, 전측의 부착부를 전부 프레임(6)과 연결하여 사이드 플로트(12b)와 연결하고 있다.
도 18은, 이식 암인 제 1 이식 암(126), 제 2 이식 암(127), 제 3 이식 암(128) 및 제 4 이식 암(129)에 설치하는 요동 크랭크(173)로, 제 2의 축(174) 및 제 3의 축(175)을 제 7의 베어링(176) 및 제 8의 베어링(177)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의 축(174) 및 제 3의 축(175)의 돌출각 축부를 제 1 이식 암(126), 제 2 이식 암(127), 제 3 이식 암(128) 및 제 4 이식 암(129) 등에 설치 하고 있다.
중앙이식 구동축(117)과 제 1 외 이식 구동축(118) 및 제 2 외 이식 구동축(119)이 회전함으로써, 각각 제 1 이식 암(126), 제 2 이식 암(127), 제 3 이식 암(128) 및 제 4 이식 암(129)이 크랭크 모양으로 움직이고, 모 이식 보습(31)이 묘취구(28) 상의 모를 긁어내고, 긁어낸 모를 압출도구(32)가 논으로 향하여 밀어 내어 논에 모를 심는다.
도 13과 도 14는, 세로이식 전동축(15)의 중앙 케이스부(7a)로의 부착부를 나타내고, 중앙 케이스부(7a)의 저부에 제 1 구동 베벨 기어(95)를 반할(半割) 메탈(130)로 고정한 제 5의 베어링(133)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이 제 1 구동 베벨 기어(95)에 안전 클러치(132)의 제 1의 축(138)을 감합하여 고정하고 있다. 안전 클러치(132)는, 커플링(131)으로 세로이식 전동축(15)에 연결하여, 중앙 케이스부(7a)를 제 2 오일실(134)로 기밀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 안전 클러치(132)와 평행하고, 제 1 종동베벨 기어(96)의 회전을 가로이식 전동축(97)에 전동하는 이식클러치를 작동시키는 이식클러치 핀(135)을 상기 반할 메탈(130)로 중앙 케이스부(7a)에 설치하고 있다. 이식 클러치 핀(135)을 작동하는 와이어(136)를 와이어 수용부(137)와 누름판(140)으로 중앙 케이스부(7a)에 부착하고 있다.
도 11은, 중앙 케이스부(7a)의 위 뚜껑(147)을 연 상태를 나타내고, 전측부터 모 보내기 축(141), 리드 캠 축(142), 좌우 이동축(29)을 횡으로 나타내고 있다. 리드 캠 축(142)에 고착한 제 1 기어(145)에 상기 가로이식 전동축(97)의 제 2 기어(146)가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동하고, 리드 캠 축(142)의 캠에 계합하는 리 드 캠(143)을 좌우 이동축(29)에 고착하여 좌우 이동축(29)을 좌우 왕복 이동하고, 좌우 이동축(29)에 고착하는 제 2의 암(144)이 우단으로 이동한 타이밍에 모 보내기 축(141)이 회전한다. 리드 캠 축(142)은, 좌우 양단을 중앙 케이스부(7a)에 설치하는 제 5의 베어링(162) 및 제 6의 베어링(163)으로 지지하고 있지만, 한쪽의 제 5의 베어링(162)을 가공한 U홈에 끼워 맞추고, 다른 한쪽의 제 6의 베어링(163)을 주물(鑄物, casting)의 U홈에 끼워 맞추고 있다.
도 15는, 모 보내기 축(141)의 중앙 케이스부(7a)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모 보내기 축(141)에 제 1 악부(鍔付) 부시(bush with guard)(148) 및 제 2 악부 부시(149)를 외감(外嵌)하고, 이 제 1 악부 부시(148) 및 제 2 악부 부시(149)를 중앙 케이스부(7a)와 위 뚜껑(147)에 끼워 넣고 있지만, 한쪽의 제 1 악부 부시(148)는 제 1 악부(153)를 중앙 케이스부(7a)와, 위 뚜껑(147)에 형성한 제 1 홈부(154) 및 제 2 홈부(155)에 끼워 넣어 옆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다른 한쪽의 제 2 악부 부시(149)는 제 2 악부(156)에 모 보내기 종동 캠(151)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용수철(152)을 당접하고 있다.
도 16은, 좌우 이동축(29)의 중앙 케이스부(7a)로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좌우 이동축(29)에 제 3 악부 부시(157)를 외감하고, 이 제 3 악부 부시(157)를 중앙 케이스부(7a)와 위 뚜껑(147)에 끼워 넣고, 제 3 악부 부시(157)의 제 3 악부(158)를 중앙 케이스부(7a)와 위 뚜껑(147)에 형성한 제 3 홈부(159) 및 제 4 홈부(160)로 끼워 넣어 옆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161은 제 3 오일실이다.
또한, 우선 좌우 이동축(29)과 리드 캠 축(142)을 중앙 케이스부(7a)가 가공한 U홈에 끼워 넣고 그 후 모 보내기 축(141)을 주물의 U홈에 끼워넣어 조립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측의 측부에는 유압 펌프를 고착하고, 주 전동 케이스(3)의 후부에는 유압 밸브 유닛(69)을 고착하여, 상기 유압 밸브 유닛(69)의 후측에 단동식의 유압 승강 실린더(16)를 고착하고 있다. 이 유압 승강 실린더(16)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되는 실린더 로드(17)를 후부에 갖추고, 전부 프레임(6)의 위쪽에 배치된다. 유압 밸브 유닛(69)의 전환 조작에 의해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유압 승강 실린더(16)로 공급하면, 실린더 로드(17)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의 유압을 유압 탱크가 되는 주 전동 케이스(3) 내로 되돌리는 상태로 전환하면, 기체의 자중에 의해 실린더 로드(17)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도 5, 도 6에 있어서, 실린더 로드(17)의 후단부에는 후측에서 절결(切缺)한 좌우 방향으로 연통하는 절결홈(17a)을 갖추고, 상기 절결홈(17a)에 좌우로 늘어나는 중계 부재가 되는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가 꼭 끼이도록 삽입되어 있다. 중계 링크 부재(18)는, 플레이트 모양의 기초부(18a)와 좌우 양단으로 상기 기초부(18a)로부터 위쪽으로 일어서는 연결부(18b)를 갖추고,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17)의 후측의 단부에는 절결홈(17a)을 상하로 관통하는 연결축(19)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축(19)이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에 설치 한 제 1의 구멍(18c)을 관통하여 실린더 로드(17)와 중계 링크 부재(18)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의 전면(18d)과 절결홈(17a)의 저면(17b)과는, 서로 접촉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 제 1의 구멍(18c)은, 연결축(19)의 축 지름보다 큰 구멍 지름으로 설정되며, 전후로 긴 구멍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계 링크 부재(18)의 연결부(18b)는, 전측(前側) 부분(18b-1)과 후측(後側) 부분(18b-2)을 갖추고, 또한 전측 부분(18b-1)과 후측 부분(18b-2)을 기체의 좌우 방향 외측의 단부로 연결하는 접속 부분(18b-3)을 갖춘다. 전측 부분(18b-1) 및 후측 부분(18b-2)은 전후로 관통하는 제 2의 구멍(18b-4)을 갖추고, 상기 제 2의 구멍(18b-4)에 연결 로드(20)의 후부가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의 연결부(18b)에 좌우 각각의 연결 로드(20)가 관통하고 있다.
연결 로드(20)의 전단은 주행 전동 케이스(4)의 상측에 고착된 좌우 각각의 제 1의 암(2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로드(20)의 후단의 외주에는 압축 용수철(22)을 설치하고, 상기 압축 용수철(22)의 전측에 설치한 전측 용수철 수취판(23)이 연결부(18b)의 후측 부분(18b-2)의 후면에 접촉하고, 압축 용수철(22)의 후측에 설치한 후측 용수철 수취판(24)이 연결 로드(20)로 이동하지 않도록 단단히 조여진 고정 도구로 되도록 이중으로 너트를 단단히 조인 더블 너트(25)의 전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차바퀴(5)의 접지 하중을, 주행 전동 케이스(4), 제 1의 암(21), 연결 로드(20) 및 압축 용수철(22) 등을 통하여 중계 링크 부재(18)가 받고 있다. 연결 로드(20)의 중도부에는 판 모양의 제 1 규제도구(26)를 고착하고 있고, 상기 제 1 규제도구(26)가 연결부(18b)의 전측 부분(18b-1)의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차바퀴(5)의 접지 하중이 지극히 작을 때, 압축 용수철(22)의 용수철 힘에 의해 제 1 규제도구(26)가 연결부(18b)의 전측 부분(18b-1)의 전면에 접촉하여, 차바퀴(5)가 소정 이하로 강하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전측 용수철 수취판(23)과 연결부(18b)의 후측 부분(18b-2)과의 서로의 접촉면 및 제 1 규제도구(26)와 연결부(18b)의 전측 부분(18b-1)과의 서로의 접촉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또, 제 2의 구멍(18b-4)은, 연결 로드(20)의 축 지름보다 큰 구멍 지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유압 밸브 유닛(69)을 바꾸면, 실린더 로드(17)가 뒤쪽으로 이동하여, 절결홈(17a)의 저면(17b)에서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의 전면(18d)가 후측으로 밀려 중계 링크 부재(18)가 후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의 연결부(18b)의 뒤측 부분(18b-2)이 압축 용수철(22)을 통하여 좌우의 연결 로드(20)를 후측으로 끌어당기고, 좌우의 제 1의 암(21)을 후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4)가 하측으로 회동하여, 좌우의 차바퀴(5)가 하동(下動)하여 논에 대하여 기체가 상승한다.
반대로,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의 유압을 주 전동 케이스(3) 내로 되돌릴수 있도록 유압 밸브 유닛(69)을 전환하면, 좌우의 차바퀴(5)의 접지 하중에 의해 좌우의 제 1의 암(21), 좌우의 연결 로드(20) 및 중계 링크 부재(18) 등을 통하여 실린더 로드(17)가 전방으로 되돌려지며, 좌우의 차바퀴(5)가 상동(上動)하여 논에 대해서 기체가 하강한다.
또, 기체의 좌우 경사에 의해 접지 하중이 좌우의 차바퀴(5)로 소정 이상 상위하면, 절결홈(17a)의 저면(17b)의 좌우 한쪽의 단을 지점으로 중계 링크 부재(18)가 전후로 회동하여 좌우의 연결부(18b)가 서로 전후 반대 측으로 이동하고, 접지 하중이 큰 쪽의 차바퀴(5)가 하동하여 반대 측의 차바퀴(5)가 상동하고, 좌우 수평 자세가 되도록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가 수정된다. 이때, 연결축(19)에 의해, 중계 링크 부재(18)가 실린더 로드(17)의 절결홈(17a)으로부터 탈락하는 바와 같은 일을 방지하고 있다.
좌우의 연결 로드(20) 나아가서는 좌우의 연결부(18b)의 사이의 좌우 중앙 위치에 대해서 절결홈(17a)의 저면(17b)의 좌우 단은 좌우에 편의(偏倚)하고 있으므로, 좌우의 차바퀴(5)의 접지 하중의 상위가 작을 때에는, 중계 링크 부재(18)가 전후로 회동하지 않고 중계 링크 부재(18)의 접촉면이 되는 전면(18d)과 절결홈(17a)의 저면(17b)이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며, 좌우의 차바퀴(5)가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하지 않고, 좌우의 차바퀴(5)가 개별적으로 함부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오히려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있다.
또, 절결홈(17a)의 저면(17b)의 좌우단이 좌우에 편의하고 있으므로, 중계 링크 부재(18)가 전후로 회동해도, 압축 용수철(22)이나 차바퀴(5)로부터의 하중에 의해 중계 링크 부재(18)가 중계 링크 부재(18)의 전면(18d)과 절결홈(17a)의 저면(17b)이 접촉하는 기준의 회동 위치로 돌아오기 쉽고, 기체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면이 되는 절결홈(17a)의 저면(17b),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의 전면(18d), 전측 용수철 수취판(23)의 전면, 연결부(18b)의 후측 부분(18b-2)의 후면, 제 1 규제도구(26)의 후면 및 연결부(18b)의 전측 부분(18b-1)의 전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계 링크 부재(18)가 회동하여 중계 링크 부재(18)의 좌우 중앙부의 전면(18d), 연결부(18b)의 뒤측 부분(18b-2)의 후면 및 연결부(18b)의 전측 부분(18b-1)의 전면의 각도가 변화하려고 하는 것을 압축 용수철(22)의 가세력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기체의 좌우 경사가 논의 좌우 경사에 가까워지도록 재촉하여,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일을 방지하고 있다.
또, 연결 로드(20)의 제 1 규제도구(26)에 의해, 전진측에 회전하는 차바퀴(5)의 구동반력(driving reaction power)으로 상기 차바퀴(5)가 하동하여 기체의 대지 높이나 좌우 경사 자세가 부적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더블 너트(25)를 느슨하게 하여 연결 로드(20)에 있어서의 더블 너트(2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기체의 좌우 경사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이 조절은, 좌우 한쪽의 더블 너트(25)의 위치를 조절해도, 좌우 양쪽 모두의 더블 너트(25)의 위치를 조절해도 좋다. 이 더블 너트(25)로 이루어지는 조절 부분은 기체 평면시에서 보닛 커버(43)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닛 커버(43)가 방해가 되지 않고 상측으로부터 더블 너트(25)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주행 전동 케이스(4)의 회동 기초부를 나타내고,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늘린 제 1 부착 간(杆)(168)에 가로로 걸친 막대 모양의 제 2 규제도구(165)를 좌우의 제 1의 암(21, 21)에 걸쳐서 그 회동 범위에 설치하고, 좌우의 제 1의 암(21)에 당접하여 차바퀴(5)가 너무 내려가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차바퀴(5)가 너무 내려가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으로서는,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로드(20, 20)의 하측에 당접 부재(166)를 돌설하고, 이 당접 부재(166)에 적합하게 제 1의 암(21, 21)의 뒤쪽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막대 모양의 제 3 규제도구를 주 전동 케이스(3)로 늘린 제 2 부착간(169)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제 2 규제도구(165)나 제 3 규제도구는, 한쪽 편의 차바퀴(5)가 너무 내려가서 기체가 좌우로 극단적으로 기우는 것을 막고, 선회 시에 좌우의 차바퀴(5)를 균등하게 눌러 내려 플로트(12)를 지면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한다.
조종 핸들(9)의 전측에서 또한 묘재대(11)의 뒤측에는, 차바퀴(5),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전동을 끊을 수 있는 주 클러치 레버(36)와,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로의 전동을 끊거나 유압 승강 실린더(1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 밸브 유닛의 유로를 변환하거나 하는 이식 승강 레버(37)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주 클러치 레버(36)는, 입(入)위치와 절(切)위치와의 2개의 조작 위치에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주 클러치를 조작하여 전동 상태와 비전동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이식승강 레버(37)는, 이식위치, 하강 위치, 중립 위치 및 상승 위치의 4개의 조작 위치에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이식 클러치를 조작하여 세로이식 전동축(15)을 구동 상태와 비구동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유압 승강 실린더(16)를 작동시켜 좌우의 차바퀴(5)를 상하 이동시킨다.
즉, 이식승강 레버(37)를 이식위치에 조작하면, 이식 클러치를 전동 상태로 하여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기체의 자중으로 좌우의 차바퀴(5)가 접지 하중을 받음으로써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의 유압을 주 전동 케이스(3) 내로 되돌려 좌우의 차바퀴(5)를 상동시키고, 기체를 하강시켜 플로트(12)가 접지 상태가 된다. 상기 하강 위치로 조작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체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이식클러치를 비전동 상태로 하여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중립 위치로 조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유압 승강 실린더(16)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유압 승강 실린더(16)의 작동을 고정하고, 좌우의 차바퀴(5)를 임의의 상하 위치에서 고정하여 기체의 승강을 정지시킨다. 상기 상승 위치로 조작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모 이식장치(10) 및 묘재대(11)의 작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로 유압을 공급하여 좌우의 차바퀴(5)를 하동시키며, 기체를 상승시켜 플로트(12)가 비접지 상태가 된다.
또, 센터 플로트(12a)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센터 플로트(12a)의 전부에 연결되는 로드를 통하여 유압 밸브 유닛의 유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센터 플로트(12a)의 전부가 상동하면 유압 승강 실린더(16) 내에 유압을 공급하여 좌 우의 차바퀴(5)를 하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식승강 레버(37)가 상기 이식 위치 및 하강 위치 때, 센터 플로트(12a)가 논에 접지하여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센터 플로트(12a)가 소망한 전후 자세가 되도록 좌우의 차바퀴(5)가 상하 이동하고, 기체가 소정의 대지 높이로 되도록 승강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에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유압 밸브 유닛(69) 내의 유압 밸브는, 로터리식의 밸브이며, 좌우 방향의 스풀축(spool shaft)(72)을 회동시킴으로써, 유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풀축(72)과 일체로 회동하는 유압 조작 암(73)을 유압 밸브 유닛(69)의 우측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유압 조작 암(73)을 우회전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 상승 상태, 중립 상태 및 하강 상태로 유로가 전환한다. 이 유압 조작 암(73)에 이식승강 레버(37)로부터의 승강 조작 와이어(74)를 연결하고 있고, 이식승강 레버(37)를 조작하면 승강 조작 와이어(74)를 통하여 유압 조작 암(73)이 회동 조작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유압 조작 암(73)의 우측에는 스풀축 주위에 회동 자재인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의 후단부와 센터 플로트(12a)의 전부를 플로트 상하 이동 로드(76)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유압 조작 암(73)의 전단부는, 우측으로 굴곡하여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의 전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 조작 암(73)의 회동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센터 플로트(12a)의 전부가 상동하면, 플로트 상하 이동 로드(76)를 통하여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이 좌회전으로 회동하고, 상기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의 전단부가 유압 조작 암(73)의 전단부를 눌러 내리며, 상기 유압 조작 암(73)을 좌회전으로 회동시켜 상승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이식 승강 레버(37)가 이식 위치 또는 하강 위치 때, 센터 플로트(12a)의 전부가 하동하면, 플로트 상하 이동 로드(76)를 통하여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이가 우회전으로 회동하여 상기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의 전단부가 상동하므로, 상기 플로트 상하 이동 암(75)의 전단부에 접촉하여 눌러 내려지고 있었던 유압 조작 암(73)의 전단부도 상동하고, 상기 유압 조작 암(73)을 우회전으로 회동시켜 하강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유압 조작 암(73)은, 용수철(77)에 의해, 우회전 하강 상태 측에 회동할 방향으로 인장(引張)되어 있다. 또, 유압 조작 암(73)은, 이식승강 레버(37)를 상승 위치로 조작하고 있을 때, 승강 조작 와이어(74)에 규제되어 있으므로, 중립 상태 및 하강 상태로 회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유압 조작 암(73)은, 이식승강 레버(37)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고 있을 때, 승강 조작 와이어(74)에 규제되어 있으므로, 하강 상태로 회동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유압 조작 암(73)의 상단부에는, 자동 복귀용 로드(78)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용수철(77)의 단부는, 상기 자동 복귀용 로드(78)에 걸려 있다. 자동 복귀용 로드(78)의 타단은, 실린더 로드(17)와 함께 전후로 이동하는 컬러(79)에 고착한 이동체(8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까지 늘어나, 이중의 너트(81)에 의한 거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 조작 암(73)이 상승 상태로 회동하여 실린더 로드(17)가 후측으로 이동하고, 이동체(80)에 상기 이중의 너트(81)가 걸려 자동 복귀용 로드(78)가 뒤쪽으로 끌리면, 유압 조작 암(73)이 강제적으로 중립 상태에 회동하여 실린더 로드(17)의 이동이 정지하여 기체의 상승 작동이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실린더 로드(17)가 이동 스트로크(stroke)에 있어서의 후측의 이동단까지 이동하면, 자동적으로 유로를 중립 상태로 전환하여, 유압 펌프의 구동 음전하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자동 복귀용 로드(78)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중계 링크 부재(18)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 복귀용 로드(78)에 의해, 실린더 로드(17)의 위치에 대한 유압 조작 암(73)의 작동 타이밍이 안정되고, 유압 조작 암(73)의 중립 상태로의 자동 복귀 타이밍의 작동 정도가 향상한다.
조종 핸들(9) 및 묘재대(11)의 전측에는,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변속부를 조작하기 위한 변속 레버(38)와, 엔진(2)을 시동하기 위한 리코일 노브(recoil knob)(39)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기체의 전단부에 있는 엔진(2)과 리코일 노브(39)란, 리코일 로프(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변속 레버(38)는, 중앙 케이스부(7a)의 위뚜껑(147)에 형성한 돌기부(90)의 유동가능한 삽입구멍(游嵌孔)을 관통하여 주 전동 케이스(3)의 변속 암에 핀으로 연결하고 있다.
조종 핸들(9)의 좌우의 핸들 그립(9a)의 아래쪽에는 좌우 각각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41)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사이드 클러치 레버(41)에 의해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좌우 각각의 사이드 클러치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종 핸들(9)의 기울기 전 하측에서 후부 프레임(8)의 좌측에는 이식 깊이 조절 레버(42)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이식 깊이 조절 레버(4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이식 깊이 조절 레버(42)와 일체 회동하는 좌우 방향의 이식 깊이 조절축(53)을 회동하고, 이식 깊이 조절축(53)과 일체 회동하는 각각의 이식 깊이 조절 암(54)을 통하여 플로트(12)의 회동 지점축(13)의 기체에 대한 상하 위치를 변경하고, 모 이식장치(10)에 의한 모의 이식 깊이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종 핸들(9)의 기울기 전 하측으로 후부 프레임(8)의 우측에는 묘취량(苗取量) 조절 레버(65b)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묘취량 조절 레버(65b)의 조작에 의해 묘수판(27)의 모 이식장치(10)에 대한 상하 위치를 변경하고, 모 이식장치(10)에 의한 일주당의 묘취량을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2) 및 주 전동 케이스(3)의 위쪽에는, 보닛 커버(43)를 설치하고 있다. 또, 엔진(2)의 위쪽에는, 연료 탱크(44)를 설치하고 있다. 이 연료 탱크(44)의 급유 마개(171)와 배유(排油) 마개(도시 생략)는, 전후 중간 위치에 설치하고, 기체 운반시에 거꾸로 세워도 연료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를 생략 하지만, 주 전동 케이스(3)의 급유구와 배유구도 사용시와 거꾸로 세울 시에 오일이 세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보닛 커버(43)의 후부의 위쪽으로부터 이식 전동 케이스(7)의 전부의 위쪽에 미치는 위치에는, 예비의 모를 싣는 예비 묘재대(4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예비 묘재대(45)는, 봉재를 조합한 틀로 구성되며, 전부 프레임(6)으로부터 위쪽으로 늘어나는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46)에 지지되어 있다. 예비 묘재대(45)의 전후 좌우의 사방에는 제 1 시작부(47) 및 제 2 시작부(48)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제 1 시작부(47) 및 제 2 시작부(48)에 의해 탑재한 모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비 묘재대(45)는, 긴 방향 약 60cm, 짧은 방향 약 30cm의 매트 모를 4장 재치 할 수 있도록, 전후 폭이 약 60cm로 좌우 폭이 약 120cm의 넓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비 묘재대(45)는, 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향한 매트 모를 좌우에 4장 배열하여 재치할 수 있다. 또, 모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매트 모를 감은 권묘(卷苗) 상태로 모를 취급하는 일이 있지만, 이 권묘를 예비 묘재대(45)에 재치 할 수도 있다. 이때, 전방의 제 1 시작부(47)가 다른 세 방면인 오른쪽, 왼쪽, 뒤쪽의 제 2 시작부(48)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어, 예비 묘재대(45)에 재치한 권묘가 쓰러지면서 앞쪽으로 튀어나와 탈락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상기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46)은, 보닛 커버(43)와 이식 전동 케이스(7) 이식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6)으로 예비 묘재대 지지 프레임(46)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는, 보닛 커버(43)의 후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울기 전 위쪽으로 늘어나는 보닛 커버 지지 부재(50)을 고착하고 있다.
기체의 전부에는, 기체의 앞쪽의 장해물로부터 엔진(2), 주 전동 케이스(3) 및 보닛 커버(43) 등을 방호하는 방호 프레임(51)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방호 프레임(51)은,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우 측면에서 좌우 외측으로 늘어나는 좌우 각각의 부착부(51a)와, 이 좌우의 부착부(51a)를 연결하는 기체 바깥 테두리가 되는 방호부(51b)를 갖추고 있다. 상기 방호부(51b)는, 좌우 중앙 부분이 좌우로 곧게 늘어나는 수평 모양으로 가장 전측에 위치하고, 좌우 외측 부분이 좌우 외측으로 가는 것에 따라 후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 방호부(51b)는, 좌우 중앙 부분이 가장 상측에 위치하고, 좌우 외측 부분이 좌우 외측으로 가는 것에 따라 하측에 편의 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방호부(51b)의 좌우 단부에는 긴 구멍을 통하여 사이드 플로트(12b)의 전단을 연결하여, 사이드 플로트(12b)의 상하 회동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플로트(12b)의 지지 부재를 방호 프레임(51)으로 겸용할 수 있고, 기체의 경량화 및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센터 플로트(12a)는, 그 전단이 긴 구멍을 통하여 주 전동 케이스(3)에 연결되며, 상하 회동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기체를 트럭의 짐받이에 실어 고정할 경우에는, 상기 방호부(51b)의 좌우 중앙 부분의 좌우 양단에 각각 로프를 검과 동시에, 후부 프레임(8)의 상부에 고착한 훅(hook)(52)에 로프를 걸고, 기체의 3개소를 고정하여 짐받이에 제대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이 보행형 모내기기(1)에 있어서, 작업자가 조종 핸들(9)의 좌우의 핸들 그립(9a)을 파지하고, 이식 승강 레버(37)를 이식위치에 조작하여 기체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이식부를 작동 가능한 상태로 하여, 주 클러치 레버(36)를 입위치에 조작하여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이식부를 작동시킴으로써, 논에 동시에 4조 분의 모를 심어 간다. 논의 논두렁에 도달하면, 이식 승강 레버(37)를 상승 위치에 조작하여 이식부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기체를 상승시키며, 주행 전동 케이스(4)를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플로트(12)를 논으로부터 띄운 상태로 하여 선회 내측의 사이드 클러치 레버(41)를 조작하여 선회 내측의 차바퀴(5)의 사이드 클러치를 끊어, 기체를 선회시킨다.
이 기체 선회시, 이식 승강 레버(37)의 상승 위치로의 조작으로 기체가 상승 작동하지만, 소망한 높이에 기체가 상승했을 때에 이식 승강 레버(37)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면, 그 높이로 기체를 고정할 수 있고, 작업자가 기체의 선회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이식 승강 레버(37)를 이식위치에 조작하여 다음 행정의 이식작업을 실시하여, 논에 모의 이식를 실시해 간다. 또한, 노상 주행 때 등은, 기체를 상승시켜, 변속 레버(38)를 적당 조작하여 주행시킨다.
또, 이 보행형 모내기기(1)는, 기체의 전부에 배치한 주 전동 케이스(3)와, 상기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우에 배치한 주행 전동 케이스(4)와, 상기 주행 전동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좌우 각각의 차바퀴(5)와,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이식 전동 케이스(7)와, 상기 이식 전동 케이스(7)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여 묘취구(28) 상의 모를 집어 논에 심는 모 이식장치(10)와, 상기 묘취구(28)에 1주분씩 모를 공급하는 묘재대(1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보행형의 모 이식기는,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의 동력이 주행 전동 케이스(4)를 통하여 좌우의 차바퀴(5)에 전달되며, 상기 좌우의 차바퀴(5)로 주행한다. 또,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의 동력이 이식 전동 케이스(7)를 통하여 모 이식장치(10)에 전달되며, 상기 모 이식장치(10)로 논에 모를 심어 간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의 보행형 모내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의 보행형 모내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이식 전동 케이스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4는, 유압 승강 실린더의 부착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5는, 일부를 단면으로 한 중계 링크 부재의 확대 평면도.
도 6은, 중계 링크 부재의 일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주행 전동 케이스의 회동 기초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주행 전동 케이스의 회동 기초부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주행 전동 케이스의 회동 기초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0은, 이식 전동 케이스의 평단면도.
도 11은, 이식 전동 케이스의 중앙 케이스부의 위 뚜껑을 제외한 평면도.
도 12는, 주 전동 케이스의 일부 확대 평단면도.
도 13은, 중앙 케이스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4는, 중앙 케이스부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15는, 중앙 케이스부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16은, 중앙 케이스부의 일부 확대 정단면도.
도 17은, 이식 전동 케이스의 확대 측면도.
도 18은, 요동 크랭크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주 전동 케이스 4. 주행 전동 케이스
5. 차바퀴 7. 이식 전동 케이스
10. 모 이식장치 11. 묘재대
15. 세로이식 전동축 28. 묘취구
95. 제 1 구동 베벨 기어 96. 제 1 종동베벨 기어
97. 가로이식 전동축 98. 이식 구동축
99. 연장이식 구동축 100. 대경 베벨 기어
101. 소경 베벨 기어 102. 개구부

Claims (2)

  1. 기체의 전부에 배치한 주 전동 케이스(3)와, 상기 주 전동 케이스(3)의 좌우에 배치한 주행 전동 케이스(4)와, 상기 주행 전동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좌우 각각의 차바퀴(5)와, 상기 주 전동 케이스(3)로부터 전후방향의 세로이식 전동축(15)을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이식 전동 케이스(7)와, 상기 이식 전동 케이스(7) 내에서 상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부터 한 쌍의 제 1 베벨 기어(bevel gear)(95, 96)를 통하여 전동되는 좌우 방향의 가로이식 전동축(97)과, 상기 가로이식 전동축(97)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여 묘취구(苗取口)(28)로부터 모를 집어 논에 심는 모 이식장치(10)와, 상기 묘취구(28)에 1주분씩 모를 공급하는 묘재대(11)를 설치하고, 상기 주 전동 케이스(3) 내의 이식 구동축(98)의 단부에 연장이식 구동축(99)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상기 연장이식 구동축(99)으로부터 상기 세로이식 전동축(15)으로 전동하는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설치하여, 상기 연장이식 구동축(99)과 상기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꺼내기 가능한 개구부(102)를 상기 주 전동 케이스(3)에 형성한 보행형의 모 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의 치수(齒數)를 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제 2 베벨 기어(100, 101)를 입력 측과 출력 측으로 교체하여 부 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의 모 이식기.
KR1020080115074A 2007-11-19 2008-11-19 보행형의 모 이식기 KR101028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99495 2007-11-19
JP2007299495A JP2009118830A (ja) 2007-11-19 2007-11-19 歩行型の苗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711A KR20090051711A (ko) 2009-05-22
KR101028518B1 true KR101028518B1 (ko) 2011-04-11

Family

ID=4072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074A KR101028518B1 (ko) 2007-11-19 2008-11-19 보행형의 모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118830A (ko)
KR (1) KR101028518B1 (ko)
CN (1) CN101438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4930B (zh) * 2012-10-08 2017-08-15 刘绍春 玉米育苗移栽方法及其配套机械化移栽机
CN103089954B (zh) * 2013-02-20 2015-07-08 浙江大学 蔬菜钵苗高速移栽移植器
JP6395454B2 (ja) * 2014-06-09 2018-09-26 株式会社クボタ 苗植付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1471B1 (ko) * 1979-03-24 1980-12-17 함종춘 인력용 모 이앙기
KR830000938B1 (ko) * 1977-09-24 1983-05-11 히고 이찌로오 방전등 점등장치
KR850006245A (ko) * 1984-02-01 1985-10-02 미따 기쯔시게 전자관 음극 구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938B1 (ko) * 1977-09-24 1983-05-11 히고 이찌로오 방전등 점등장치
KR800001471B1 (ko) * 1979-03-24 1980-12-17 함종춘 인력용 모 이앙기
KR850006245A (ko) * 1984-02-01 1985-10-02 미따 기쯔시게 전자관 음극 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8649B (zh) 2011-06-01
JP2009118830A (ja) 2009-06-04
KR20090051711A (ko) 2009-05-22
CN101438649A (zh)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463B1 (ko) 작업기
KR101028518B1 (ko) 보행형의 모 이식기
KR100923239B1 (ko) 복수조 이식 묘식기
JP2013021995A (ja) 移植機
JP6222442B2 (ja) 移植機
KR100805347B1 (ko) 복수조식 묘식기
JP4764102B2 (ja) 苗移植機
JP2007143521A (ja) 複数条植えの苗植機
JP4872271B2 (ja) 苗移植機
JP2011004650A (ja) 苗移植機
JP6750693B2 (ja) 作業車両
KR100325531B1 (ko) 묘이식장치
CN109843040B (zh) 插秧机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3678001B2 (ja) 苗移植機
CN213152889U (zh) 移植机
CN213152888U (zh) 移植机
JPH0965725A (ja) 不耕起移植機
JP2008283942A (ja) 苗植付装置
KR100432086B1 (ko) 모종 이식기
JP2009118831A (ja) 歩行型の苗移植機
JP6229353B2 (ja) 苗移植機
JP5679379B1 (ja) 移植機
CN111937547A (zh) 移植机
JP2008306947A (ja) 歩行型の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