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38B1 - 방전등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등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38B1
KR830000938B1 KR7702268A KR770002268A KR830000938B1 KR 830000938 B1 KR830000938 B1 KR 830000938B1 KR 7702268 A KR7702268 A KR 7702268A KR 770002268 A KR770002268 A KR 770002268A KR 830000938 B1 KR830000938 B1 KR 830000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voltage
current
power suppl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490A (ko
Inventor
이사오 가네다
Original Assignee
히고 이찌로오
신닛뽄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고 이찌로오, 신닛뽄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고 이찌로오
Priority to KR770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38B1/ko
Publication of KR83000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등 점등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방전등 점등장치의 일예를 보인 전기 회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보인 장치의 각부전압, 전류, 에너지 변화 및 축적에너지 파형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의 형광등 점등장치의 일예를 보인 전기 회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보인 장치의 각부의 전압 및 전류파형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제3도에 보인 장치에 있어서의 요부의 전압 전류 에너지 변화 및 축적 에너지 파형도이다.
제6도는 관전류가 흐르는 기간과 관전류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이 원리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시한 각 파형 예도이고,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은 방전등 점등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개량된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을 사용한 방전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너지 위기에 당면하여 생자원, 생에너지가 절규되고 있으며 하나의 기술적 명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 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은 조명분야에 있어서 이 명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별도로 제안된 바에 의하면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이후에서 상술함)에 있어서는 방전등 점등장치의 전력손실이 종래의 점등방식의 예를 들면
Figure kpo00001
이하로 절감되고 또 형상도 중량비로
Figure kpo00002
이하로 소형화시킬 수 있다. 단 이것은 재래의 형광등을 유용(流用)하였던 경우의 일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에 있어서 한류(限流) 쵸오크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우선 종래 점등방식의 기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형광등용 방전등 점등장치로서 종래는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난 것 같은 회로구성의 것이 사용되어왔다. 이 구성은 교류전원 AC에 한류장치로서의 한류 쵸오크 CH를 사이에 두고 방전등 FL을 접속시키고 한편 방전등 FL에 진동회로 R'를 병열 접속시킨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원 AC를 접속함과 동시에 진동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하여 그 발진전류에 의하여 방전등 FL의 필러멘트 F, F'를 가열함과 동시에 그 단자간에 시동 소요전압 Est 보다도 높은 발진출력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방전등 FL의 필러멘트 f, f'가 충분히 가열되어 방전등 FL의 시동 소요전압이 Est로 저하될 때에 전기한 발진출력에 의하여서 시동되고 지상(遲相) 점등된다. 일단 점등되면 방전등 FL의 단자 전압이 관전압 vT로 저하하기 때문에, 진동회로 R'는 발진을 유지할 수 없게 되어 동작을 정지하여 방전등 FL은 전원 AC에서 한류쵸오크 CH를 사이에 두고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서 점등 유지된다.
점등중에 있어서의 전원전압 e, 관전압 vT및 관전류 iT의 파형을 관측하면 제2도 (A), (B), (C)와 같은 파형이다. 이들의 전원전압 e, 관전압 vT및 과전류 iT의 파형에서 각 순시간에 있어서의 저항분을 포함하지 않은 한류쵸오크 CH의 단자전압 CH와 관전류 iT의 적(積) 및 축적에너지 S를 찾아보면 동도(D) 및 (F)에 나타난 파형으로 된다. 이들의 파형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높은 기간 (t1-t2)는
Figure kpo00003
인 에너지가 일방적으로 증가되어 한류초오크 CH에 축적된다.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에서 저하되면 축적에너지는 방출상태로 이전된다. 에너지를 방출하는 기간은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낮은 기간 (t2-t3)이고 이 기간(t2-t3)에
Figure kpo00004
인 에너지가 방출된다. 한류 쵸오크 CH의 크기는 제2도(E)에 도시된 축적에너지 S의 최대치에 기준하여서 정해진다. 즉, 한류 쵸오크 CH는 축적에너지 S의 최대 진폭 Sm에 견디어 내도록 그 용량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방전등 FL의 재점호 전압 ERst는 재점호시에 있어서 전원전압 e를 밑돌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은 전원전압 e와 비교하여서 vT의 피이크치 VTP를 높이지 못함을 의미한다. 실제 재래의 방전등의 경우 관전압 vT의 실효치 vT는 전원전압 e의 실효치 E의
Figure kpo00005
정도로 설정되며 따라서 한류쵸오크 CH의 단자전압 CH의 실효치 vCH는 전원전압 e의 실효치의
Figure kpo00006
이상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선행하여 전기한 결점을 해소시키는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을 제공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 매사이클스타트의 점등방식을 이용한 방전등 점등장치에 최적인 방전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의 동작 및 특징을 설명한다.
제3도는 이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에 기준하여서 구성된 형광등용 방전등 점등장치의 일회로 구성예를 표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AC는 교류전원이고 한류장치의 일예로서의 한류쵸오크 CH와 방전등 FL의 직열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한류쵸오크 CH에는 후술한 고압발생수단의 일예로서 나타낸 승압회로의 발진 출력을 전원 전압에 중첩시키기 위한 수단인 2차 권선 W20이 감겨져 있고 2차권선 W20의 일단이 방전등 FL의 필러멘트 f의 일단 (가)에 연결되며 타단이 승압회로 R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승압회로 R은 사이리이터 S 및 스프링 승압인덕터 L의 직열회로와 콘덴서 C를 병열접속하여서 구성된 진동회로 R'에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을 직열 접속시킨 회로이고, 이 승압회로 R의 일단은 전술한 2차 권선 W20의 일단에 접속되며 타단은 방전등 FL의 필러멘트 f'의 일단 (나)에 접속되어 있다.
PRH는 전기한 승압회로 r의 발진출력에 의하여서 도통구동되어서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 f'를 예열하는 전자식 필라멘트 예열회로이고 사이리스터 SP와 전기한 발진출력을 블록하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의 직열회로로 되고 방전등 FL의 양 필러멘트 f, f'의 사이에 직열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한 승압회로 R은 고주파 발진동작을 하는 한에 있어서는 트라이억 등의 게이트부 사이리스터를 사용하는 것 또는 인버터를 사용한 고압발생회로로 치환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AC를 접속하면 한류 쵸오크 CH를 사이에 두고 방전등 FL에 전원전압 e가 인가됨과 동시에 한류쵸오크 CH의 2차권선 W20을 사이에 주고 승압회로 R에도 전원전압 e가 인가된다. 승압회로 R에서는 전원전압 e가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을 사이에 두고 사이리스터 S에 인가되며, 이 사이티스터 S를 브레이크 오버시키기 위하여 진동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한다. 이 발진동작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이 없으면 계속하는 것이지만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이 있기 때문에 전원전압 e의 세원진 부분에 있어서 각반사이클마다 간헐적으로 발진하게 된다. 지금 전원전압 e의 반사이클에 대하여 생각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하면 간헐 발진용 콘덴서 C1이 전원전압 e를 상살(相殺)하는 방향극성에 충전된다. 따라서 그 단자전압 Vcl이 상승되어 가고 전원전압 e와의 차의 전압이 사이리스터 S의 브레이크 오버 전압 BO에 충만되지 않게 되면 사이리스터 S가 오프(off)상태인 채로 되어서 진동회로 R'는 발진이 정지된다. 그런고로 이 반 사이클에 있어서의 이후의 기간은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의 단자전압 Vcl이 일정치로 보유된 체로 진동회로 R'는 발진정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원전압 e가 다음의 반 사이클로 이전하면 전원전압 e가 전의 반사이클의 전압과는 역극성의 전압으로 되기 때문에 이 전압과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에 전의 반사이클로 충전된 단자전압 Vc1과의 합한 전압이 진동회로 R'에 가해지고 이 합한 전압에 의하여 사이리스터 S가 브레이크 오오버되어서 발진을 개시한다. 그러나 발진과 동시에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의 단자전압 Vcl가 극성을 반전시켜서 또다시 전원전압 e를 상살하는 방향으로 충전되어 드디어 진동회로 R'의 발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의 급속반전기간만 진동회로 R'가 발진을 하고 그 기간만 전원 AC에서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을 통해서 진동회로 R'로 전류가 흐른다.
이 동작은 이후의 각반 사이클에 있어서도 똑같이 시행된다. 제4도 (A)는 이 상태를 보인 각부의 전압 전류 파형도이고 e는 전원전압 Vc1은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의 단자전압을 도시한 것이고 이 전압의 급속 반전시만 간헐발진용 콘덴서 C1에 도시와 같이 발진전류 icl이 흐르며 또 이 기간만 승압회로 R의 양단에 고주파 고전압의 발진 출력 VR이 생긴다.
전기한 발진출력 VR은 한류쵸오크 CH의 2차권선 W20에서 1차권선 W10으로 전자유도되며 전원전압 e에 역극성으로 중첩되어서 방전등 FL과 필라멘트 예열회로 PRH로 인가된다. 그러면 필러멘트 예열회로 PRH에 있어서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을 사이에 두고 사이리스터 SP에 전기한 전압이 인가되며 사이리스터 SP는 전압의 급변효과(즉 dv/dt 효과)에 의해서 도통 구동된다. 따라서 간헐발진위상의 후단에 있어서 전원 AC에서의 전류가 필러멘트 f 사이리스터 SP, 인덕터 NL 필라멘트 f를 통해서 흐르고 필러멘트 f, f'가 예열되기 시작한다. 전기한 사이리스터 SP는 승압회로 R의 발진출력 VR이 예열회로 PRH에 인가될 때마다 도통 구동되며, 사이리스터 SP가 도통되고 있는 기간 f, f'에 전원 AC에서 전류가 흘러서 예열이 행해진다.
이리하여 필러멘트 f, f'가 충분히 에열되고 방전등 FL의 시동소요전압이 Est로 저하되면 승압회로 R에서의 발진 출력 VR에 트리거되어서 방전등 FL이 시동된다. 방전등 FL이 점등되면 간헐 발진세력은 거의가 도통화된 방전등 FL 중에 흐르고 또 잔여세력은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로 흡수되며 또 사이리스터 SP의 브레이크오오버 전압 Vbo를 관전압의 피이크치 TP보다 충분히 높게 설치함에 따라 사이리스터 SP는 도통하지 않게 된다. 또 사이리스터 SP의 브레이크 오오버 전압이 대단히 높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사이리스터는 현시점에 있어서는 일반적이 아니고 또 고가한 것이다. 따라서 점등후는 필러멘트 f, f'의 예열이 정지된 상태로 방전등 FL이 전원 AC의 각 반사이클마다 발진출력 VR에 의하여 시동되면서 전원전압 e에 의하여 점등 유지된다(제4도 (B) 참조).
또 제3도에 있어서 예열회로 PRH는 필러멘트 트랜스에 의한 전극예열회로와 치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5도는 제3도의 회로를 사용하여 실험의 결과 관측된 각부 파형에 있어서 그 고주파 성분을 무시한 파형을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서 관전압 vT는 제5도 (B)에 보인 것처럼 간헐 발진기간에 의한 휘시기간을 가진 구형파로 된다. 그 때문에 고나전압 vT의 실효치 vT는 재래점등 방식의 90-95% 정도의 치를 나타낸다. 방전등 FL은 각 반 사이클의 세워진 부분에 있어서 발진출력 vR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재점호시켜진다. 즉 각재점호에 있어서 방전등 FL에는 전압발진출력 vR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의 소멸이 방지된과 동시에 승압회로 R에 흐르는 간헐적인 전류 icl이 2차권선 W20을 흐름에 따라 이것에 대응하는 2차권선 W20의 단자전압은 1차권선 W10과의 결합을 개재하여 급격하게 높아지는 저주파 전압을 방전등 FL에 인가한다. 관전류 iT의 입상위상은 전원전압 e의 병동에 상관없이 일정위상을 보유하고 그 때문에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있어서의 관전류의 변동율은 안정 임피던스 감소에도 불구하고 양호하다. 이 경우 방전등 FL은 그로우방전에 의한 재점호전압 ERst를 따르지 않고 재시동하고, 즉시로 아아크 방전으로 이행한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점등방식에 있어서는 방전등 FL은 전원전압 e에 의하여 재시동하기 때문에 재점호전압 ERst에 따라서 그로우 방전을 생기게 하고 그후 아아크 방전으로 이행된다.
다라서 관전압 vT는 제2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워질때 커다란 스파아크 전압 VTm가 생기고 이후 점차 감소되는 파형을 가져온다. 다음에 전원 AC에서 방전등 FL에 유입되는 관전류 iT는 제5도 (C)에 보인 것처럼 주로 발진기간 이외의 기간(t2-t4)로 흐르고 있다. 발진기간 (t1-t2),(t4-t5)는 전원 AC에서 승압회로 R에 전류 icl이 흐로고 있다. 동도 (D)는 이 전류 icl의 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전류는 한류 쵸오크 CH의 증자성에 결합된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의 쌍방으로 흐르고 또 일반적으로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의 권수비에 의하여 여자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한 관전압 vT, 관전류 iT, 승압회로 R에의 전류 icl 및 전원전압 e의 파형에서 한류쵸오크 CH의 전압 전류적(vCH.i) 및 축적에너지 S를 산출하면 동도 (E) 및 (F)에 보인 파형으로 된다. 도면 (R)는 발진출력 VR과 전원전압 e와 관전압 vT의 차에 의한 한류쵸오크 CH의 전압, 전류적을 도시한다.
전류 icl에 의한 에너지 S1
Figure kpo00007
로 주어진다. 단, K는 1차, 2차 권선 W10, W20의 권수비에 의한 정수이다.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높은 기간(t2-t3)에 축적되는 에너지 S2
Figure kpo00008
로 주어진다. 반대로 관전압 VT편이 전원전압 e보다 높은 기간(t3-t4)은 전기한 축적에너지를 방출하며 그 총 방출 에너지 S3
Figure kpo00009
로 주어진다. 이 결과 한류쵸오크 CH의 내부에 축적되는 에너지 레벨은 제2도 (F)와 같이 증감된다.
제5도에 받인 파형의 경우에는 S1+S2=S3의 관계가 성립된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파형에 따라서 매사이클 점등방식에 있어서의 소형화의 이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간단히 하기 위해 관전류 iT의 시각 T2에 있어서의 초기치를 0으로 가정하고 또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에 의한 에너지의 축적부분을 무시한다. 그와 같은 관전류 iT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Figure kpo00010
단, L은 한류쵸오크 CH의 인덕턴스, 전원전압 e=Emsinθ, θ=ωt, 관전압 VT의 진폭은 VTm으로 하고, 관전류 iT가 출현하는 시간을 φ1=sin-1VTm/Em에서 θ=π+φ2의 기간으로 한다.
상식을
Figure kpo00011
이 0,
Figure kpo00012
,
Figure kpo00013
, 및
Figure kpo00014
일 경우에 대해서 계산하면 제6도와 같이 된다. 제6도에서 VTm과 Em의 비가 작아지면 iT가 격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VTm/Em=
Figure kpo00015
의 경우는 VTm/Em=
Figure kpo00016
의 경우와 비교해서 최대전류의 비가 7배로 된다. 즉 필요한 한류 쵸오크 CH의 인덕턴스 L은
Figure kpo00017
로 된다. 이런 것은 한류쵸오크 CH의 단자전류VCH를 격감시킬 수 있는 것을 뜻하고 그만큼 한류쵸오크 CH의 인피던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그만큼 소형화시킨 수 있다.
이 점등방식의 최대의 이점은 상기와 같은 한류쵸오크 CH의 단자전압VCH 즉 축적에너지를
Figure kpo00018
정도로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에 있다. 이것에 따라 전력손실도
Figure kpo00019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기대되고 회로계의 종합효율은 약 25%의 행상을 기대할 수 있고 램프 자체의 효율도 전원전압 이용율의 배증에 의하여 향상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점등방식에 의하면 전원전압 e와 관전류 iT의 위상차가 종래의 점등방식보다도 작으므로 역율개선 콘덴서는 불필요하게 되고 혹은 극단으로 소용량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매사이틀스타트 전등방식은 다대한 이점을 가진 것이지만 극복해야 될 문제점으로서는 각 반사이클의 전반에 발생되는 고주파 발진출력에 따른 복사잡음과 소음이다. 즉 이 고주파 성분은 통상수 10정도이지만 그 파형은 반드시 정현파(正弦波)는 아니고 지극히 많은 고조파(高調波) 성분을 함유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고조파 성분이 예를 들면 500KHz 이하에 있어서의 복사성 잡음으로 되고 예를 들면 반송통신에 대하여 큰 잡음원으로 될 우려가 있다. 또 라인잡음에 대해서는 종래 방식보다 저레벨이고 전혀 문제 없다. 다음에 소음에 대해서는 발진관련 전류의 저주파 성분에 따르기 때문에 이 폐해에 대하여서는 말할 것도 없을 것이다.
그런고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점등중에 있어서의 복사잡음과 소음을 억압한 신규한 매사이클스타트 방식에 의한 방전등 점등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고압을 발생하는 스타터 예를 들면 고주파발진 승압회로를 가진 매사이클스타트 점등장치이고 이 스타터는 방전등의 기동시에만 작동시키고 점등후는 작동시키지 않고 각 반 사이클마다 재점호 에너지는 펄스상 전압에 의해서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그 스타터에 간헐적으로 흐르는 입력전류에 따라서 생기는 유기(誘起) 고전압에 의해서 재점호 에너지를 주도록 한 점등방식이다.
본 발명의 상술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일층 더 명백해질 것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을 원리적으로 표시한 회로도이다. 구성에 있어서 교류전원 AC의 양단은 트랜스 T의 2차권선 W2(한류쵸오크로서 작용한다)와 고압 방전등 DL과의 직열회로가 접속된다. 이 직열회로에는 전기한 트랜스 T의 1차권선 W1과 스타터 회로 ST를 수성하는 간헐발진용 콘덴서 C1및 진동회로 R'와의 직열회로가 병열 접속된다. 전기한 1차권선 W1과 2차권선 W2와는 제3도의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과는 다르고 병열고나계로 또 증자성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회로 R'는 제3도에 보인 것처럼 사이리스터 S 및 스프링승압 인덕터 L의 직열회로와 콘덴서 C를 병열 접속있여서 된다.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8도에 보인 각 파형도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교류전원 AC를 투입하면 상기한 제3도의 경우와 같이 트랜스 T의 2차권선 W2를 사이에 두고 방전등 DL에 전원전압 (제8도(a))가 주어진다. 동일하게 진동회로 R'가 작동해서 고주파고압을 발생하고 동시에 저주파의 간헐전류가 1차권선 W1을 여자한다. 이들의 전압은 2차권선 W2에 유기된고 전원전압 e에 중첩되어서 방전등 DL의 양단에 고압 고주파와 가파르고 험준하게 세워진 저주파 성분과를 인가한다. 따라서, 이 방전등 DL은 점등 기동되어서 그 방전등 DL에는 제8도 (d)의 파형에서 (e)의 파형을 감해서 얻어진 관전류 iT가 흐른다. 그런데 이 관전류 iT가 흐름에 따라서 1차권선 W1에 전압이 유기되고 이 전압은 간헐발진위상을 진각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래서 그 회로 ST에 흐르는 전류 iST의 위상은 제8도 (b)에 표시한 것처럼 진행된다. 이 상태는 진동회로 R' 사이리스터 S가 ON으로 되어 있을때 권선 W2에 관전류 iT성분이 잔류되어 있고 그 때문에 1차권선 W1의 직선성 인덕턴스가 감소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진동회로 R'에 있어서의 고주파발진은 정지된다. 즉 방전등 DL의 시동후의 스타토회로 ST의 전류 iST의 위상은 진행하고 그 위상이 전기한 반사이클의 제8도 (d)에 도시된 것처럼 관전류 iT의 후단에 삽입되면 스타터 회로 ST에서의 고주파 고전압은 정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진출력이 얻어지지 않게 되더라도 회로계에는 여전히 고압원이 보인다. 즉 승압회로의 점호위상에 있어서 관전류 iT는 급격하게 0레벨에 근접하고 그 직후 스타터 회로 ST이 입력전류는 급격히 흐르기 시작한다. 권선 W1에 저축되어 있는 에너지에 의하여 그 권선 W1에는 e=L1
Figure kpo00020
(단 L1는 권선 W1의 인덕턴스)에의하여 나타나는 펄스상의 전압이 생긴다. 이 권선 W1에 생긴 펄스상의 전압은 권선 W2에 N2/N1(단 N1은 권선 W1의 권수, N2는 권선 W2의 권수)의 배율로 상승되어서 교류전압 e에 중첩되어서 제8도 (C)에 나타난 것처럼 방전등 DL에 주어진다. 따라서, 방전등 DL은 이 권선 W2에 생긴 펄스상 고전압으로 점등 유지된다.
즉 전술한 것처럼 방전등 DL이 시동되면 스타터 회로 ST에서의 고주파 고전압은 얻어지지 않고 방전등 DL의 재점호 에너지는 펄스상 고전압이 주어진다. 또 제8도 (b)는 스타터회로 ST의 입력전류파형을 나타낸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 회로도이다. 이 실시에는 200V 전원에 있어서 40W 형광등 한등 또는 110W형광등 한등을 점등하는 데에 최적인 것이다.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는 제7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이 점등회로는 트랜스 T의 일차권선 W1의 중간 탭 P1에 2차권선 W2를 접속하여 1차권선 W1에 전자결합하는 필러멘트권선 wf1를 설치하고, 또 2차권선 W2에 중간탭 P2를 설치하여서 필러멘트권선 wf가 형성되어 있다.
동작에 대하여서는 제7도와 동일한 원리에 의한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단 이 실시예에서는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 f'가 각기 필러멘트권선 wf. wf'에 의하여 가열되며 또 트랜스 T의 1차권선 W1의 중간탭 P1에 의하여 방전등 FL에 주어지는 저주파 전압이 낮게 되어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기회로도이다. 기계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제7도 혹은 제9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즉 이 점등회로는 2개의 직열 접속된 방전등 FL1, FL2를 점등하기 위한 것이고 트랜스 T의 1차권선 W1에는 세개의 필라멘트권선 wf가 전자결합해서 설치되고 또 한편의 방전등 FL2에 수타로 기동용 콘덴서 C2가 병열접속되어 있다.
동작에 대하여서는 제7도, 제9도와 동일한 원리에 따르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단 이 점등회로에서는 기동시에 2차권선 W2에 승압유기된 고주파 고전압이 전원전압에 중첩되어서 접속된 방전등 FL1, FL2의 양단에 주어질 때 순차로 기동용 콘덴서 C2의 작용에 의하여서 우선 방전등 FL1이 기동 점등하고 이어서 방전등 FL2가 기동 점등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회로도이다. 구성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는 제10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이 점등회로는 두개의 직열 접속된 방전등 FL1, FL2를 전원트랜스 T를 사용하여서 점등하기 위한 것이고 스타터 회로 ST에는 권선 W2(제7도, 제9도 및 제10도의 권선 W1에 상당한다)를 개재하여서 전원전압이 주어진다.
그리고 방전등 FL1, FL2의 직여로히로 양단에는 권선 W3의 중간 탭 P3에서 권선 W3)제7도, 9도 및 제10도의 권선 W2에 상당한다)를 개재하여서 전원전압이 주어진다.
동작에 대하여서는 제7도, 제9도 및 제10도의 실시예와 전혀 같은 원리에 의한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회로 구성상의 실제로서 W3의 스탭다운이 불필요한 경우 권선 W3은 도시 P4점에 접속되어도 동일한 작동상태가 얻어진다. 또 본 점등방식의 역율은 0.9 정도이지만 구태어 1로 할 경우는 제11도의 점선으로 도시한 것 같은 역율개선 권선 W4및 역율개선 콘덴서 C3를 접속하여도 된다. 만일 필요하다면 권선 W4는 권선 W1과 권선 W2사이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부 고압발생수단으로서 진동회로 R'를 사용하였으나 이것은 이 종류의 고압발생회로가 사용되어도 된다.
그와 동시에 방전등 FL의 시동후는 고주파 발진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나 이것은 미약화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매사이클스타트 점등방식의 이점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방전등 시동후는 고주파의 발생을 정지 또는 이약화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스타터 회로에서의 고주파 복사접음 및 발생 소음이 절감되어서 지극히 효과적인 방전등 점등장치가 얻어진다.

Claims (1)

  1. 저주파 교류전원과, 한류장치와, 전기한 한류장치를 개재하고 저주파 교류전원전압이 주어지고 그 관전압이 저주파 교류전원 전압과 거의 같은 방전등과,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에 의해 부세되어서 저주파 교류전원 전압의 각 반 싸이클 마다에 고압출력을 발생하여 전기한 방전등에 인가하는 고압출력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전기한 고압출력 발생수단의 고압출력에 의해서 저주파 교류전원 전압의 각반 싸이클마다 방전등을 재점호하고 방전등의 재점호 후에는 저주파 교류전원으로 점등 유지토록 한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고압출력 발생수단은, 전기한 한류장치의 방전등의 직렬회로에 대하여, 전기한 한류장치에 증자성으로 전자결합되는 권선을 개재하여 병렬관계로 접속되고, 전기한 방전등의 시동시에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 전압과 상기 고압출력 발생수단이 발생하는 고주파 전압과를 충첩적으로 이 방전등에 주어서 시동하고, 다시 상기 방전등의 시동후에는 전기한 고압출력 발생수단의 발생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정지 또는 미약화 하고, 또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의 각 반 사이클마다 재점호 에너지를 이 방전등에 주어서 재점호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 점등장치.
KR7702268A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KR830000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268A KR830000938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268A KR830000938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0A KR830000490A (ko) 1983-03-30
KR830000938B1 true KR830000938B1 (ko) 1983-05-11

Family

ID=1920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268A KR830000938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18B1 (ko) * 2007-11-19 2011-04-1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보행형의 모 이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18B1 (ko) * 2007-11-19 2011-04-11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보행형의 모 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0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4107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and system
US4959593A (en) Two-lead igniter for HID lamps
US4376911A (en) Circuit system for lighting a discharge lamp or lamps
KR830000938B1 (ko) 방전등 점등장치
EP0581912A4 (en) Improved low loss ballast system
US4092564A (en)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US4048543A (en)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JP2948627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830000939B1 (ko) 방전등 점등방식
KR830001147B1 (ko) 방전등 점등장치
KR830002174B1 (ko) 방전등 점등 장치
JPS6120117B2 (ko)
KR830000940B1 (ko) 방전등 점등장치
KR810001101Y1 (ko) 방전등 점등장치
WO2005046294A1 (ja) 高圧放電灯点灯装置
GB1575832A (en) Operating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lamp
JPS5820471B2 (ja) 放電灯点方法
JPS5818236Y2 (ja) 放電灯点灯装置
JPS5854479B2 (ja) 放電灯点灯方式
KR830002175B1 (ko) 방전등 점등 장치
JPS6121394B2 (ko)
JPS6412077B2 (ko)
JPS5821796B2 (ja) 放電灯点灯方式
JPS5818238Y2 (ja) 放電灯点灯装置
KR940007437B1 (ko) 전자식 안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