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940B1 - 방전등 점등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등 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940B1
KR830000940B1 KR7702270A KR770002270A KR830000940B1 KR 830000940 B1 KR830000940 B1 KR 830000940B1 KR 7702270 A KR7702270 A KR 7702270A KR 770002270 A KR770002270 A KR 770002270A KR 830000940 B1 KR830000940 B1 KR 830000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voltage
current
circuit
osci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0492A (ko
Inventor
이사오 가네다
Original Assignee
히고 이찌로오
신닛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고 이찌로오, 신닛뽄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히고 이찌로오
Priority to KR770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940B1/ko
Publication of KR83000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전등 점등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방전등점등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각 부의 전압. 전류, 전압전류적(積) 및 축적 에너지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의 형광등 점등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장치의 각 부의 전압 및 전류 파형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장치의 요부(要部)의 전압, 전류, 전압전류적및 축적 에너지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제7(a)도-제7(d)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연회로 소자의 양호한 실시예.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본 발명은 방전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들면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의한 개량된 방전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에너지 위기가 발단하여 생자원, 생에너지가 절규되어 있으며, 하나의 기술적 명제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은, 조명분야에 있어서 이 명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자가 별도로 제안한 바에 의하면,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이후 상술함)에 있어서는 방전등 점등장치의 전력손실이 종래의 점등방식의 예를들면 1/4이하로 저감되며, 또 형상도 중량비 1/6이하로 소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있어서 한류 쵸크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우선 종래의 점등방식의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즉, 형광등용 방전등 점등장치로 종래는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회로구성의 것이 사용되어왔다. 이 구성은, 교류전원 AC에 한류장치로서 한류 쵸크 CH를 개재해서 방전등 FL을 접속시키고, 한편 방전등 FL에 진동회로 R'를 병렬 접속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원 AC를 접속함과 동시에 진동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하여서, 그 발진전류에 의해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 f'를 가열함과 동시에 그 단자간에 시동 소요전압 Est보다도 높은 발진출력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 f'가 충분히 가열되고, 방전등 FL의 시동 소요전압이 Est로 저하되었을때, 전기한 발진출력에 의하여 시동되며 지상(遲相)점등된다. 일단 점등되면 방전등 FL의 단자전압이 전원전압의 약 1/2이 관전압 vT로 저하되기 때문에, 진동회로 R'는 발진을 유지할 수 없게되어 동작을 정지하고, 방전등 FL은 전원 AC에서 한류쵸크 CH를 개재해서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서 점등이 유지된다.
점등중에 있어서의 전원전압 e, 관전압 vT및 관전류 iT의 파형을 관측하면, 제2(a)도, 제2(b)도, 제2(c)도와 같은 파형이다. 이들의 전원전압e, 관전압 vT및 관전류 iT의 파형에서 각 순간에 있어서의 저항분을 함유하지 않은 한류쵸크 CH의 단자전압 vCH와 관전류 iT의 적 및 축적 에너지 S를 구하면 제2(d)도 및 제2(e)도에 도시한 파형으로 된다. 이들의 파형에서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높은 기간(t1-t2)에서는
Figure kpo00001
인 에너지가 일방적으로 증가되어 한류 쵸크CH에 축적된다.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저하되면, 축적 에너지는 방출상태로 변한다. 에너지를 방출하는 기간은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낮은 기간(t2-t3)이고, 이 기간(t2-t3)에
Figure kpo00002
인 에너지가 방출된다. 한류 쵸크 CH의 크기는 제2(e)도에 도시된 축적 에너지 S의 최대치에 의해 정해진다. 즉 한류 쵸크 CH는 축적 에너지 S의 최대진폭 Sm에 견디도록 그 용량을 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방전등 FL의 재점호 전압 ERst는 재점호시에 있어서 전원전압 e보다 낮아야 한다. 이것은 전원전압 e와 비교하여서 관전압 vT의 피이크치 vTP를 높게 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재래의 방전등의 경우 관전압 vT의 실효치 vT는 전원전압 e의 실효치 E의 1/2정도로 설정되고, 따라서 한류쵸크 CH의 단자전압 vCH의 실효치 vCH는 전원전압 e의 실효치 E의 1/2이상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에 선행하여, 전기한 결점을 해소할 때마다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이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을 이용한 방전등 점등장치에 최적한 개량된 발명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이하에 본 발명의 배경이되는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의 동작 및 특징을 설명한다. 제3도는 이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기준해서 구성된 형광등용 방전등 점등장치의 1회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AC는 교류전원이고 한류장치의 일예로서의 한류쵸크 CH와 방전등 FL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한류쵸크 CH에는 후술한 고압발생 수단의 일예로서 도시한 승압회로의 발진출력을 전원전압에 중첩하기 위한 수단인 2차 권선 W20이 감겨있고, 이 2차권선 W20의 일단이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의 일단(가)에 연결되며, 타단이 승압회로 R에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승압회로 R은 사이리스터 S 및 스프링 승압인덕터 L의 직렬회로와 콘덴서 C를 병렬 접속하여서 구성된 진동회로 R'에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을 직렬 접속한 회로이고, 이 승압회로 R의 일단은 전술한 2차권선 W20의 일단에 접속되며, 타단은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의 일단(나)에 접속되어 있다.
PRH는 전기한 승압회로 R의 발진출력에 의하여 도통 구동되어 방전등 FL의 필라멘트 f, f'를 예열하는 전자식 필라멘트 예열회로이고, 사이리스터 SP와 전기한 발진출력을 블록하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과의 직렬회로로 되어 있으며, 방전등 FL의 양 필라멘트 f, f'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전기한 승압회로 R은 고주파 발진동작을 하는 한에 있어서는, 트라이악 등의 게이트가 부착된 사이리스터를 사용하는것, 또는 인버어터 혹은 펄스발생기를 사용한 고압 발생회로로 치환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전기한 구성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AC를 접속시키면, 한류 쵸크 CH를 개재해서 방전등 FL에 전원전압 e가 인가됨과 동시에, 한류 쵸크CH의 2차권선 W20을 개재해서 승압회로 R에도 전원전압 e가 인가된다. 승압회로 R에 있어서는, 전원전압 e가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을 개재하여 사이리스터 S에 인가되며, 이 사이리스터 S를 브레이크 오우버 시키기 위하여 진동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한다. 이 발진동작은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이 없으면 계속되지만,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이 있으므로 전원전압 e의 입상(立上)부분에 있어서 각 반사이클마다 간헐적으로 발진된다. 지금, 전원전압, e의 반사이클에 대하여 생각하면, 상술한 바와같이 발진회로 R'가 발진동작을 개시하면,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이 전원전압 e를 상쇄하는 방향의 극성에 충전된다. 따라서 그 단자전압 vCl이 상승되어 가고, 전원전압 e와의 차의 전압이 사이리스터 S의 브레이크 오우버 전압 vBO에 채워지지 않으면, 사이리스터 S가 오프 상태인 채로 되어서, 진동회로 R'는 발진을 정지한다. 그런고로 이 반사이클에 있어서 이후의 기간은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의 단자전압 vCl이 일정치로 보유된채로, 진동회로 R'는 발진정지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원전압 e가 다음의 반사이클로 전환하면, 전원전압 e가 전의 반사이클의 전압과는 역극성의 전압으로 되기 때문에, 이 전압과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에 전의 반사이클로 충전된 단자전압 vCl과의 합의 전압이 진동회로 R'에 인가되고, 이 합전압에 의해서 사이리스터 S 가 브레이크 오우버 되어서 발진을 개시한다. 그러나 발진과 동시에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의 단자전압 vCl이 극성을 급속히 반전시켜서 또 다시 전원전압 e를 상쇄하는 방향으로 충전되며, 마침내 진동회로 R'의 발진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의 급속 반전기간만 진동회로 R'가 발진을 하고, 그 기간만 전원 AC에서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을 통해서 발진회로 R'에 전류가 흐른다. 이 동작은 이후의 각 반사이클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행해진다. 제4(a)도는 이 상태를 도시한 각부의 전압전류 파형도이며, e는 전원전압, vCl은 간헐발진용콘덴서 Cl은 단자전압을 도시한 것이고, 이 전압의 급속 반전시만 간헐발진용 콘덴서 Cl에 도시한 것처럼 전류 iCl이 흐르며, 또 이 기간만 승압회로 R의 양단에 고주파 고전압의 발진출력 vR이 생긴다.
전기한 발진출력 vR은 한류쵸크CH의 2차권선 W20에서 1차권선 W10에 전자유도되며, 전원전압 e에 역극성으로 증첩되어 방전등 FL과 필라멘트 예열회로 PRH로 인가된다. 그러면 필라멘트 예열회로 PRH에 있어서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을 개재해서 사이리스터 SP에 전기한 전압이 인가되고 사이리스터 SP는 전압의 급변 효과(즉 dv/dt 효과)에 의하여 도통 구동된다. 따라서 간헐발진위상의 후단에 있어서 전원 AC에서의 전류가 필라멘트 f, 사이리스터 SP, 인덕터 NL, 필라멘트 f'를 통해서 흐르고, 필라멘트 f, f'가 예열되기 시작한다. 전기한 사이리스터 SP는 승압회로 R의 발진출력 vR이 예열회로 PRH에 인가될때마다 도통 구동되며, 사이리스터 SP가 도통되어 있는 기간 필라멘트 f, f'에 전원 AC에서 전류가 흘러 예열이 행해진다.
이렇게하여 필라멘트 f, f'가 충분히 예열되며, 방전등 FL의 시동 소요 전압이 Est로 저하되면, 승압회로 R에서의 발진출력 vR에 트리거되어서 방전등 FL이 시동된다. 방전등 FL이 점등되면, 간헐 발진세력은 대부분 도통화된 방전등 FL증에 흐르고, 또 잔여의 세력은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로 흡수되며, 또 사이리스터 SP의 브레이크 오우버 전압 vBO를 관전압의 피이크치 vTP보다 충분히 높게 설정함에 따라, 사이리스터 SP는 도통하지 않게된다. 또 SP사이리스터 SP의 브레이크 오우버 전압이 대단히 높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고주파 블록용 인덕터 NL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와같은 사이리스터는, 현시점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없으며 또 고가이다. 따라서 점등후는 필라멘트 f, f'의 예열이 정지된 상태로 방전등 FL이 전원 AC의 각 반사이클 마다 발진출력 vR에 의하여 시동되면서 전원전체 e에 의하여 점등 유지된다. (제3(b)도참조).
또, 제3도에 있어서 예열회로 PRH는 필라멘트트 랜스에 의한 전극 예열회로와 치환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5도는 제3도의 회로를 사용해서 실험 결과 관측된 각 부의 파형에 있어서 그 고주파 성분을 무시한 파형을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서 관전압 vT는 제5(b)도에 도시한 것처럼 간헐발진기간에 의한 휴지기간을 갖는 구형파로 된다. 그 때문에 관전압 vT의 실효치 vT는, 재래 점등방식의 90-95%정도의 값을 갖는다. 방전등 FL은 각 반사이클의 입상 부분에 있어서 발진출력 vR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재점호된다. 즉 각 재점호시에 있어서 방전등 FL에는 고압 발진출력 vR이 인가됨에 따라 이온의 소멸이 방지됨과 동시에 승압회로 R에 흐르는 간헐적인 전류 iCl이 2차권선 W20을 흐름에 따라, 이것에 대응하는 2차권선 W20의 단자전압은 1차권선 W10과의 결합을 개재해서 급격히 높아지는 저주파 고압을 방전등 FL에 인가하며, 관전류 iT의 입상 위상은 전원전압 e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위상을 유지한다. 전기한 전류 iCl은 만일 관전류가 증대하면 관전류 파형의 후단이 다음의 반사이클에 삽입함에 따라, 감소되는 특성이 있으며, 그 때문에 전기한 급격히 높아지는 저주파 전압은 관전류의 초기치를 약간 낮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있어서의 관전류의 변동율은 안정 임피던스의 감소에 상관없이 양호하다.
다음에 전원 AC에서 방전등 FL로 유입하는 관전류 iT는 제5(c)도에 도시된 것처럼 주로 발진기간 이외의 기간(t2-t4)에 흐르고 있다. 발진기간(t1-t2), (t4-t5)는 전원 AC에서 승압회로 R으로 전류 iCl가 흐르고 있다. 동 도면 제5(d)도는 이 전류 iCl의 전류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류는 한류 쵸크 CH의 증자성에 결합된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의 쌍방에 흐르고, 또 일반적으로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의 권수비에 따라서 여자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한 관전압 vT, 관전류 iT, 승압회로 R에의 전류 iCl및 전원전압 e의 파형에서, 한류 쵸크 CH의 전압전류적(vCH. i) 및 축적 에너지 S를 산출하면 동 도면 제5(e)도 및 제5(f)도에 도시한 파형으로 된다. 전류 iCl에 의한 에너지의 총계 S 1은
Figure kpo00003
로 주어진다. 단 k는 1차권선 W10과 2차권선 W20의 권수비에 의한 정수이다.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보다 높은기간(t2-t3)에 축적되는 에너지 S 2는
Figure kpo00004
로 주어진다.
반대로 관전압 vT가 전원전압 e보다 높은 기간(t3-t4)는 전기한 축적 에너지를 방출하며, 그 총 방출 에너지 S 3는
Figure kpo00005
로 주어진다. 이 결과 한류 쵸크 CH의 내부에 축적된 에너지 레벨은 제2(f)도와 같이 증감된다. 제5도에 도시된 파형에서는 S 1+ S 2=S 3인 관계가 성립된다.
다음에 제2도 및 제5도에 도시된 파형에 따라 종래 방식 및 본 매사이클 점등방식에 있어서 안정기에 축적된 에너지 및 인덕턴스를 각각 계산하면,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의 결과가 얻어지고, 그만큼 한류 쵸크 CH의 임피던스가 감소되며, 그만큼 소형화될 수 있다.
이와같이,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은, 많은 이점을 가지는 것이지만, 또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직면한다. 즉, 그 전원전압 e는 최대 ±10%변동되며, 또 관전압 vT는 주위온도에 의해서 변동된다. 그때문에 예를들면 저온 또는 고온 환경에서 관전압이 저하되고, 또 그때 전원전압 e가 상승된 경우, 심하게는 e>2vT로 된다.
이때, 방전등 FL은, 매사이클 스타트 방식은 아니고, 이 매사이클 스타트 방식의 배경이 된 예를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 점등방식에 따라서 점등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같은 경우, 방전등 FL은 다른 두개의 점등조건의 사이를 이행하기 때문에 흔들림이 생기고, 또 그것 때문에 한류장치로서 한류 쵸크 CH의 스트레스가 변하고, 드디어는 파괴된다.
그런고로, 본 발명은 주요한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며, 전압변동이 있더라도 안정한 매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의 방전등 점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요약하면,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에 의한 방전등 점동장치이며, 한류 바라스트와 방전등 사이에 지연소자를 개재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각 반 사이클 마다의 고압 발생수단의 점호위상을 방전등의 점호 위상에 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확실히 선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일층 더 명확히 될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기본원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성에 있어서, 저주파 교류 전원 AC에는,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한 한류 쵸크 CH와 같은 한류장치 BST를 개재하며, 고압발생 수단으로서의 승압회로 R(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함)과 방전등 FL(냉음극 또는 열음극)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승압회로 R과 방전등 FL사이에는, 지연회로 DC가 직렬로 삽입된다.
동작에 있어서, 전원 AC를 투입하면, 예를들어 제5(a)도에 도시한 것같은 전원전압 e가, 한류장치 BST를 통하여, 전기한 승압회로 R에 인가된다. 그리고 전원전압 e는, 동일하게 한류장치 BST 및 전기한 지연회로 DC를 통하여 방전등 FL에 인가된다.
따라서, 한류장치 BST를 개재한 전원전압 e는, 우선, 제3도와 같은 승압회로 R을 기동한다. 이어서, 지연회로 DC로 지연된 한류장치 BST를 개재한 전원전압 e와, 전기한 승압회로 R에서의 고압출력 vR과의 중첩 전압에 의해서, 방전등 FL이 시동된다. 즉, 방전등 FL은, 전압 e의 각 반사이클 마다, 반드시, 승압회로 R이 기동된 후에 시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전압 e가 관전압 vT의 두배에 달한 경우도 우선 승압회로 R이 방전등 FL에 선행되어 능동화되므로, 지극히 안정된 매 사이클 스타트 방식에 의한 전등이 유지된다.
제7(a)도-제7(d)도는 각기 지연회로 DC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가치 예를 나타낸다. 제7(a)도는 불포화 인덕터의 예이고, 단자P1', P2'가 각기 제6도의 단자 P1, P2에 접속된다. 제7(b)도는 기포화 인덕터의 예이고, 단자 P1', P2'가 단자 P1, P2에 접속된다. 제7(c)도는 제7(a)도와 같은 불포화 인덕터와 잡음방지용 콘덴서 CN과의 조합의 예이다.
즉, 이 제7(c)도에 있어서, 콘덴서 CN과 불포화 인덕터의 병렬회로의 병렬공진 주파수는, 예를들면 150KHz로 정해져있다. 그리하여, 방전등 FL의 아아크 방전 이행시(제5도에 있어서의 t2)관 전류 iT(제5(c)도)에 포함된 발진출력 vR의 고주파(150KHz)가, 이 병렬회로에 의하여 이 회로망을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그 때문에, 이와같은 방전등 점등장치에서의 방송파 대역에 있어서의 복사성 잡음이 저감된다. 제7(d)도는, 두개의 코일을, 발생 전압을 상쇄하는 극성에 직렬 접속한 4단자 회로의 예이고, 단자 P1', P2', P3', P4'가 각각 제6도의 단자 P1, P2, P3, P4에 접속된다.
또 이 지연회로 DC는, 예를들면 반도체를 포함한 지연회로를 사용하여도 된다. 예를들면 지연소자로서 다만 SSS를 사용하면, 브레이크 오우버 전압에 의하여 방전등의 시동시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기회로도이다. 구성에 있어서, 교류전원 AC는, 한류장치로서의 제3도의 한류쵸크 CH에 대응하는 단일 쵸크 SCH를 개재하여, 승압회로 R에 인가된다. 이 단일 쵸크 SCH의 권수 내지 인덕턴스는, 제3도의 한류 쵸크 CH의 1차권선 W10및 그것에 증자적으로 접속된 2차권선 W20과 합한 것이다. 대략 동등하게 정해져있다. 따라서, 이 단일 쵸크 SCH는, 전기한 한류 쵸크 CH와 같은 작용을 한.
다승압회로 R에는, 또 블록 인덕터 BL(예를들면 제7(b)도에 도시한 것과같음)을 개재해서, 냉음극 방전등 FL이 병렬 접속된다. 그리고, 블록인덕터 BL에는, 진동회로 R'의 전류에 따라서 부세되는 바이어스 코일 BC가 자기 결합된다. 바이어스 코일 BC는 프러스 바이어스이고, 부세되면 블록인덕터 BL의 인덕턴스를 증가하도록 작용된다. 이 바이어스 코일 BC는 간헐발진용 콘덴서 C 1에 직렬 접속된다.
동작에 있어서, 전원 AC를 투입하면, 단일 쵸크 SCH를 개재하여서 전압 e가 승압회로 R에 주어지고, 사이리스터 S 가 브레이크 오우버된다. 따라서, 진동회로 R'가 발진을 개시한다. 한편, 방전등 FL에의 전원전압 e는 블록 인덕터 BL에 의하여 저지되어 있다.
이때, 진동회로 R'의 입력전류에 따라 바이어스 코일 BC에 전류가 흐른다. 그 때문에, 전기한 블록인덕터 BL의 인덕턴스가 증가된다. 지연소자 BL에 의한 발진출력 vR의 블록작용은 보다 강력하게 되며, 방전등 FL은 보다 지연되어 시동된다. 즉 지연소자로서의 블록 인덕터 BL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기회로도를 도시한다. 구성에 있어서 제8도와 동일한 부분 또는 대응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8도와의 상이점은, 방전등 FL이 필라멘트 f, f'를 갖는 열음극 방전등이다. 또 블록인덕터 BL이 방전등 FL의 한편의 필라멘트 f의 전원측에 접속되어 있고, 전기한 필라멘트 f의 비전원측에는, 전기한 블록 인덕터 BL에 전자결합되고, 또 블록 인덕터 BL의 블록작용을 상쇄하기 위한 상쇄권선 BL'가 접속되어 있다. 전기한 블록인덕터 BL의 타단자와 다른편의 필라멘트 f'의 전원단자와의 사이에는, 콘덴서 C 2가 접속되어 있고, 한편 비전원측의 상쇄권선 BL'의 타단자와 다른편의 필라멘트 f'의 비전원측 단자와의 사이에는, 승압회로 R이 접속되어 있다.
동작에 있어서, 전원 AC가 접속되면, 전원 전압 e는 블록 인덕터 BL을 개재하여 방전등 FL에 인가됨과 동시에, 블록인덕터 BL 및 권선 BL'를 개재해서 승압회로 R에 인가된다. 따라서, 방전등 FL에 대해서는, 블록인덕터 BL의 블록작용이 있으나, 승압회로 R에 대해서는, 블록인덕터 BL과 그 블록작용을 상쇄하기 위한 상쇄권선 BL'가 역극성으로 직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인덕터 BL의 블록작용은 없어지고, 영(0)임피던스로 된다. 이 때문에, 승압회로 R은 방전등 FL보다도 항상 선행해서 능동화된다.
따라서, 승압회로 R이 능동화되면, 고압발진출력 vR이 발생되어 방전등 FL에 인가된다. 동시에 사이리스터 S의 비도통시에 콘덴서 C 2가 충전되며, 사이리스터 S의 도통시에는 그 전하가, 콘덴서 C 2-블록인덕터 BL-필라멘트 f'-권선BL-승압회로R-필라멘트 f'-콘덴서 C 2의 경로에서 방전하므로, 필라멘트 f, f'는 승압회로 R의 저주파 입력 전류에, 콘덴서 C 2의 방전에 의한 고주파 전류가 중첩되어 흐름에 따라, 급속히 가열된다. 이 콘덴서 C 2의 방전전류에 관해서도, 블록인덕터 BL의 블록작용은 상쇄권선 BL'에 의하여 상쇄되어서 0임피던스로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쇄권선 BL'의 권수는 블록인덕터의 권수와 동일하게 할 경우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블록인덕터 BL의 권수보다도 적게하여도 된다. 이 경우, 블록인덕터 BL의 권수차분(券數差分)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 남게되지만, 실용상 지장없는 범위내에서라, 면상쇄권선 BL'의 권수를 적게한 것만큼, 블록인덕터 BL과 상쇄권선 BL'로 구성되는 전자부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의 지연회로는, 전부 예시를하여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와같은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전압 변동이나 주위온도 등에 의존되는 관전압의 변동에 대해서도 지극히 안정하게 매 사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으로 점등이 유지된다.

Claims (1)

  1. 저주파 교류전원과, 한류장치와, 전기한 한류장치를 개재하여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의 전압이 주어지는 방전등과, 전기한 한류 장치를 개재하여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의 전압에 의하여 부세되는 또 적어도 전기한 저주파 교류전원의 각 반 싸이클마다의 재점호시에 고전압을 발생하여 전기한 방전등에 주어서 방전등을 재점호하는 고압발생수단과를 포함하는 매싸이클 스타트 점등방식의 방전등 점등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한류장치와 방전등과의 사이에 방전등의 재점호위상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소자를 삽입하고, 그에 의하여 전기한 저주파 교류의 각 반 싸이클 마다의 전기한 고압발생수단의 가동위상을 상기 방전등의 재점호에 선행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전등 점등장치.
KR7702270A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KR83000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270A KR830000940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2270A KR830000940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2A KR830000492A (ko) 1983-03-30
KR830000940B1 true KR830000940B1 (ko) 1983-05-11

Family

ID=1920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2270A KR830000940B1 (ko) 1977-09-24 1977-09-24 방전등 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9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92A (ko) 198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5248A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starting and operating apparatus
US4959593A (en) Two-lead igniter for HID lamps
US4853598A (en) Fluorescent lamp controlling
US6373199B1 (en) Reducing stress on ignitor circuitry for gaseous discharge lamps
US5309065A (en) Voltage doubler ballast system employing resonant combination tuned to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harmonic of the AC source
US4950961A (en) Starting circui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KR830000940B1 (ko) 방전등 점등장치
US4048543A (en)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JPS6120117B2 (ko)
KR830000938B1 (ko) 방전등 점등장치
KR830001147B1 (ko) 방전등 점등장치
JPS6288295A (ja) 放電灯点灯装置
GB1575832A (en) Operating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lamp
KR830000939B1 (ko) 방전등 점등방식
KR830002174B1 (ko) 방전등 점등 장치
JPS6059717B2 (ja) 放電灯点灯方式
KR820000017B1 (ko) 방전등의 아아크방전 유지장치
JPS5820471B2 (ja) 放電灯点方法
CA1060945A (en) Starting and operating circuit for gaseous discharge lamps
JPS5915039Y2 (ja) 放電灯点灯装置
KR810001101Y1 (ko) 방전등 점등장치
JPS5915038Y2 (ja) 放電灯点灯装置
JPS5821114Y2 (ja) 放電灯点灯装置
JPS6121394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