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308B1 - 약제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약제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308B1
KR100987308B1 KR1020090120997A KR20090120997A KR100987308B1 KR 100987308 B1 KR100987308 B1 KR 100987308B1 KR 1020090120997 A KR1020090120997 A KR 1020090120997A KR 20090120997 A KR20090120997 A KR 20090120997A KR 100987308 B1 KR100987308 B1 KR 10098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wrapping paper
powder
dis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085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나카지 타케다
노리유키 이이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0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잔류하는 산약(散藥;가루약)의 청소작업성이 뛰어난 약제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본체(3)에, 외주부에 단면원호형상의 외주홈(13)을 형성된 원반(5)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산약공급장치(7a,7b)로부터 상기 외주홈(13)에 공급한 산약을, 산약소출장치(8)에 의해 1포분씩 소출(搔出;긁어냄)하고, 포장장치(2)로 순차적으로 1포분씩 포장한다. 상기 원반(5)을, 상기 포장본체(3)에 대하여 인출 가능한 테이블(4)상에 배치 설치한다.

Description

약제포장장치{MEDICINE PACKING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약제포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산약분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테이블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산약분배부의 일부부품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와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산약분배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산약분배부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산약분배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산약포장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반송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반송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8에 도시하는 산약포장부에 설치되는 호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상방측호퍼를 다른 각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하는 산약포장부의 씰수단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씰수단에 설치되는 제1캠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씰수단에 설치되는 제2캠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하는 씰수단의 퇴피(退避)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하는 씰블록의 퇴피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하는 씰블록의 씰준비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2에 도시하는 씰블록의 씰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약분배부 2 : 산약포장부
3 : 포장본체 4 : 테이블
5 : 제1원반 6 : 제2원반
7a,7b : 산약공급장치 8 : 소출장치
9 : 개폐문 10 : 가이드레일
10a : 랙 12 : 도피구멍
13 : 외주홈 14 : 가이드연부(緣部)
15 : 제1구동모터 16 : 중간플레이트
17 : 롤 18 : 포장지
19 : 반송수단 20 : 호퍼부재
21 : 씰(seal)수단 22 : 보지판(保持板)
23 : 반송롤러 24 : 벨트
25 : 가이드부재 26 : 제1모터
27 : 제2모터 31 : 인쇄장치
32 : 상방측호퍼 33 : 하방측호퍼
37 : 제1씰블록 38 : 제2씰블록
40 : 제1캠부재 41 : 제2캠부재
45 : 슬라이드축 52 : 제2히트씰부
본 발명은, 약제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포장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66951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에 단면원호상의 외주홈을 형성한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산약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외주홈에 산약(散藥;가루약)을 공급하고, 산약소출장치에 의해 상기 외주홈에 공급한 산약을 1포분씩 소출(搔出;긁어냄)하고, 호퍼를 통하여 포장장치에서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약제포장장치에서는, 장치본체에 대하여 원반이 회전 자유롭게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원반의 외주홈을 청소하는 경우, 산약공급장치나 산약소출장치가 방해가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산약의 청소상태가 불충분하면, 1포분의 산약량에 편차가 생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종류의 약제가 혼합하여 환자에게 불측(不測)의 사태를 불러일으키는 수가 있기 때문에, 청소작업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구조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잔류하는 산약의 청소작업성이 뛰어난 약제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본체에, 외주홈을 가지는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홈에 공급한 산약을, 산약소출장치에 의해 1포분씩 소출하고, 포장장치에서 순차적으로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약제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반을, 상기 장치본체에 대하여 인출 가능한 테이블 상에 배치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원반 상에 잔류하는 산약을 청소하는 경우, 장치본체에 대하여 테이블을 인출함으로써, 원반의 외주홈을 청소가 용이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외주홈 등에 잔류하는 산약은 바큠(vacuum) 등으로 제거하면 좋다.
상기 원반을, 상기 테이블 상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면, 원반을 보다 더 청소작업이 용이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원반은, 상기 테이블의 인출동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하면, 테이블을 인출하는 것만으로, 원반을 청소작업이 용이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본체에, 외주 홈을 가지는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홈에 공급한 산약을, 산약소출장치에 의해 1포분씩 소출하고, 포장장치에서 순차적으로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약제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반은, 상하방향에 부분적으로 겹친 상태로 2개소에 배치 설치하고, 이동동작에 의해 겹친 부분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포장작업시의 원반의 점유스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본체에, 외주홈을 가지는 원반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외주홈에 공급한 산약을, 산약소출장치에 의해 1포분씩 소출하고, 포장장치에서 순차적으로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약제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반의 외주홈에 산약을 공급하기 위한 산약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이 산약공급장치를, 상기 원반의 외주홈에 산약을 공급 가능한 산약공급위치와, 상기 원반으로부터 이간한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산약공급장치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청소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산약공급위치에서는 상기 원반을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기구를 설치하면, 갑작스러운 원반의 이동을 미연에 방지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원반 중, 상방에 위치하는 것의 외주부에 상기 외주홈에 수용한 산약의 낙하를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면, 상방측에 원반으로부터의 산약의 낙하, 특히 원반의 이동시에 있어서 산약의 낙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약제포장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포장장치는 산약분배부(1)와 산약포장부(2)를 구비한다.
산약분배부(1)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장치본체(3)의 상면에 설치한 테이블(4) 상에, 제1원반(5), 제2원반(6), 산약공급장치(7a, 7b), 및 소출(搔出;긁어냄)장치(8) (도 4, 도 7 참조)을 각각 배치 설치한 구성이다.
장치본체(3)의 상면은, 개폐문(9)에 의해 개방 가능하도록 덮어져 있고, 전방 양측 2개소에는 재치부(3a, 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3a, 3b)에는, 정제를 분말상으로 하는 등에 이용하는 약사발 등을 재치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장치본체(3)의 상면 양측에는 가이드레일(10)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가이드레일(10)에는 장치본체(3)의 전방측에 랙(10a)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4)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수평면내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장치본체(3)의 전방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테이블(4)에는, 2개소의 관통공(11a, 11b)과 원호상의 도피구멍(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원반(5) 및 제2원반(6)은, 단면원호상의 외주홈(13)을 구비하고, 이 외주 홈(13)에 산약을 공급한다. 제1원반(5)은 제2원반(6)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테이블(4) 상에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겹친 상태로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원반(5)은, 외주연 중 적어도 제2원반(6)과 겹친 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 가이드연부(14)가 형성되고, 제1원반(5)의 외주홈(13)에 공급한 산약의 제2원반(6)으로의 낙하가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원반(5)은, 축부(5a)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부채형상의 중간플레이트(16)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기어(5b)를 통하여 제1구동모터(15a)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중간플레이트(16)는, 테이블(4)의 관통공(11a)에 회전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6a)은 테이블(4)을 관통하고, 하단 외주부에는 부분적으로 연장 설치된 기어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부(16b)는, 장치본체(3)에 대하여 테이블(4)을 전방으로 인출하였을 때, 가이드레일(10)에 설치한 랙(10a)과 치합한다. 이것에 의해, 중간플레이트(16)가 회전축(1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고, 이것에 따라 제1원반(5)이 이동한다. 이때, 제1구동모터(15a)는, 도피구멍(12)에 의해 테이블(4)과의 간섭이 회피된다. 그리고, 중간플레이트(16) 및 제1원반(5)은, 회전축(16a)만으로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플레이트(16)의 하면에, 적절히, 도시하지 않은 보조플레이트나 베어링 등을 설치함으로써, 회전축(16a)에의 부담이 경감되어 있다. 또한, 중간플레이트(16)는, 산약공급장치(7a,7b)를 회동하지 않으면, 회동불능이 되도록 솔레노이드 등의 로크기구(미도시)에 의해 로크되어 있다.
제2원반(6)은, 상기 테이블(4)의 관통공(11b)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2원반(6)은, 기어(6a)를 통하여 제2구동모터(15)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산약공급장치(7a, 7b)는, 종래 주지의 구성에서(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669511호 공보 참조), 호퍼 내에 공급된 산약을, 원반(5, 6)을 회전시키면서 그 외주홈(13)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산약공급장치(7a)는, 테이블(4)에 설치되고, 제1원반(5)의 외주홈(13)에 산약을 공급 가능한 위치와, 제1원반(5)으로부터 퇴피(退避)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제1원반(5)뿐만이 아니라, 제2원반(6)도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테이블(4) 상의 청소성(淸掃性)을 보다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소출장치(8)는, 종래 주지의 구성에서(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2000- 85719호 공보 참조), 각 원반의 중심부에 배치 설치되고, 원반의 외주홈(13)내에 수용한 산약을 1포분씩 소출하여 산약포장부(2)로 낙하시킨다.
산약포장부(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17)에 권회(卷回)된 포장지(18)를 자동적으로 산약포장부(2)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수단(搬送手段)(19)과, 반송된 포장지(18)에 산약을 공급하는 호퍼부재(20)와, 산약이 공급된 포장지(18)를 히트 씰(heat seal)하는 씰수단(21)을 구비한다.
반송수단(19)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간격으로 병렬 설치되는 보지판(保持板)(22a, 22b) 사이에 복수의 반송롤러(23a, 23b, 23c, 23d, 23e)를 회전 자유롭게 배치 설치하고, 3개소의 반송롤러(23a, 23b, 23c)에 벨 트(24)를 걸어놓고, 벨트(24)의 일부에 접리(接離; 접근 후퇴)하도록 가이드부재(25)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배치 설치한 것이다. 지지판(22a)의 일단측에는 제1모터(26) 및 제2모터(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모터(26)의 회전축은 상기 반송롤러(23a)에 연결되고, 벨트(24)를 순환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모터(27)의 회전축에는 피니언(28)이 일체화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5)는, 상기 벨트(24)의 일부를 따르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측부는 사각프레임(29)에 의해 보강되고, 저면측에는 상기 제2모터(27)의 피니언(28)이 치합하는 랙(30)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5)는, 제2모터(27)를 구동함으로써 피니언(28) 및 랙(30)을 통하여 벨트(24)에 대하여 접리한다. 제1모터(26) 및 제2모터(27)는, 포장지(18)가 반송수단(19)의 입구에 삽입된 것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구동을 개시하도록 구동 제어되어 있다. 그리고, 제2모터(27)는, 가이드부재(25)의 저면측에 설치한 플레이트(25a)를 검출하는 센서(25b)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제어 및 정ㆍ역회전 제어되고, 가이드부재(25)의 이동범위가 제한된다. 가이드부재(25)의 내면은, 벨트(24)에 가장 접근한 위치에서, 벨트(24)와의 사이에 포장지(18)를 협지하여 벨트(24)·포장지(18)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벨트(24)의 이동에 따라 포장지(18)를 반송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반송롤러(23d, 23e) 사이에는, 보조씰부(100)가 설치되어지고, 수동에 의해 아암(101)의 선단에 설치한 롤러(102)로, 포장지(18)를 보조씰부(100)에 압접함으로써, 포장지(18)의 선단부분을 점착하여 반송수단(19)으로부터 씰수단(21)으로의 이동을 스무스하게 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반송롤러(23a, 23b) 사이의 벨트(24)의 상방부분에는 인쇄장치(31)(도 8, 도 10 참조)가 설치되고, 포장지(18)에, 수용하는 약제명이나 용법, 용량 등을 적절히 인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벨트(24)를 따라 반송된 포장지(18)는, 가이드편(19a)에 의해 방향 변환되고, 롤러(19b)와 가이드벽(19c)으로 형성되는 대략 U자형의 경로를 통과하여 호퍼부재(20) 및 씰수단(21)으로 유도되어진다.
호퍼부재(2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깔때기형상의 상방측호퍼(32)와 하방측호퍼(33)로 이루어진다. 상방측호퍼(32)는 정제통로(32a)와 산약통로(32b)에 분리되고, 산약통로(32b)의 하방개구부는 개폐판(34)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34)은,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벨트 및 타이밍 풀리를 통하여 후술하는 모터(41a)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개폐한다. 이것에 의해, 원반(5, 6)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약이 긴 거리를 낙하하여 직접 포장지(18)에 이르는 일 없이, 낙하시의 비산이 방지된다. 하방측호퍼(33)의 하방개구통부(33a)는,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으로, 장축측의 치수가 씰폭으로 합치하고, 개구연부는 중앙부에서 움푹 패이도록 만곡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포장지(18) 내로부터 산약이 주위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하방측호퍼(33) 내로 날아 올라간 산약은, 배기덕트(33b)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배기덕트(33b)로부터의 공기의 배출을 스무스하게 행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은 (산약낙하방지용의) 칸막이벽을 사이에 두고 공기도입공(33c)이 형성되어 있다.
씰수단(21)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본체(3)의 전면부를 구성하는 취부판(36)에 제1씰블록(37)과 제2씰블록(38)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 한 것으로, 경사방향을 향한 포장지(18)에 대응하여 경사진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취부판(36)은, 배면에 제1 및 제2지지판(39a, 39b)을 병렬 설치하고, 양 지지판(39a, 39b)에는 제3지지판(39c)이 고정되어 있다. 양 씰블록(37, 38)은, 제1모터(40a)에 의해 구동하는 제1캠부재(40), 제2모터(41a)에 의해 구동하는 제2캠부재(41)에 의해 씰면을 접리시키고, 2개로 접힌 포장지(18)의 절곡선에 직교하는 위치와, 반대측의 위치에서 대략 T자형으로 씰이 가능하다. 그리고, 씰수단(21)에 공급되는 포장지(18)는, 한 쌍의 송출롤러(42a, 42b)에 의해 협지하고, 그 일방을 도시하지 않은 스텝핑 모터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반송 가능하다. 포장지(18)의 반송량은, 1포당의 약제량의 차이에 따라 변경하여 있다. 여기에서는, 스텝핑 모터의 펄스에 의거하여 반송량을 결정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커터(미도시)를 취부판(36)에 고정하여 두어도, 포장지(18)를 항상 적절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씰블록(37)은, 대략 T자형상의 제1히트씰부(43)를 가지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판(36)의 베어링부(44)를 관통하는 슬라이드축(45)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히트씰부(43)는 히터를 내장하고, 포장지(18)를 가열하여 씰한다. 슬라이드축(45)의 타단부에는 절곡부(45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제1베어링(46), 제2베어링(47), 및 제3베어링(4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절곡부(45a)와 취부판(36)의 베어링부(44)와의 사이에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씰블록(37)은, 취부판(36)에 접근한 퇴피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슬라이드축(45)의 절곡부(45a)에는 취부판(36)을 관통하여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아암(49)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49)의 선단에는, 2개소에 설치한 베어링에 의해 제1가압(押壓)부(50)와 제2가압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제2씰블록(38)은, 상기 제1씰블록(37)의 제1히트씰부(43)에 대향하는 제2히트씰부(52)를 가지고, 양 씰블록(37, 38)을 덮는 개폐 자유로운 커버(53)에 회동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즉, 커버(53)에는,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하여 보조플레이트(54)가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보조플레이트(54)에 스프링(54b)을 통하여 돌출방향으로 부세(付勢)된 상태에서, 상기 제2씰블록(38)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제2씰블록(38)은, 보조플레이트(54)와 커버(53)의 사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커버(53)측에 부세되어, 커버(53)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보조캠(55)에 당접한다. 보조캠(55)은, 편심하여 설치한 축부(56a)에 보조베어링(56)이 설치되고, 이 보조베어링(56)이 보조블록(57)의 장공(57a)에 섭동 자유롭게 위치하여 있다. 보조블록(57)은, 거기서부터 연장하는 로드(57b)를 상기 아암(49)의 제1가압부(50)로 가압됨으로써, 보조캠(55)을 축부(56a)를 중심으로 하여 약90도의 범위에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보조플레이트(54)를 통하여 제2씰블록(38)은, 커버(53)와 평행으로, 또는, 커버(53)측으로 접근하도록 경사져 각각 위치 결정되어진다. 또한, 커버(53)에는, 포장지(18)를 협지하는 협지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협지부재(58)는,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한 쌍의 협지편(59a, 59b)으로 이루어진다. 협지편(59a, 59b)의 대향면에는 고무 등의 압접부(60)가 형성되고, 서로 치합하는 기어부(61)에 의해 동기하여 회동한다. 한쪽의 협지편(59b)에는, 상기 아암(49)의 제1가압부(5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수부(62)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캠부재(4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연의 거의 반절을 따라서 형성되는 제1가이드벽(63)과, 이 가이드벽(63)의 거의 2/3의 범위에서 평행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벽(64)을 구비하고, 제3지지판(39c)에 회전축(40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취부되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기어를 통하여 제3지지판(39c)에 설치한 제1모터(40a)의 동력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제1캠용모터(65)를 정역회전 구동하면,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를 통하여 제1캠부재(40)가 센서(49a, 49b)에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약 90도의 범위에서 회동한다. 그리고, 양 가이드벽(63, 64)의 사이를 상기 제1베어링(46)이 섭동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축(45)이 슬라이드하고, 제1씰블록(37)이 취부판(36)에 접근한 퇴피위치와, 취부판(36)으로부터 돌출한 씰 준비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한다.
제2캠부재(41)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부(段付)형상으로, 회전중심부(66)가 편심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몸체부(67)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절제됨으로써 도피오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69)에는 상기 슬라이드축(45)에 설치한 제3베어링(48)이 섭동하는 가이드홈(70)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70)은, 상기 회전중심부(66)에 대하여 중앙부에서는 동일반경으로 형성되고, 양단으로 떨어져 나감에 따라 서서히 반경이 작아지게 된다. 제2캠부재(41)는, 제1지지판(39a)과 제2지지판(39b)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지고, 회전축에 설치한 종동기어가, 제1지지판(39a)에 설치한 제2모터(41a)의 회전축에 일체화한 구동기어와 치합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제2모터(41a)가 구동하면,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를 통하여 제2캠부재(41)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약제포장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롤(17)에 권회된 2개로 접어진 포장지(18)를 반송수단(19)에 공급한다. 반송수단(19)에 공급된 포장지(18)가 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제1모터(26)가 구동하고 벨트(24)가 순환 이동한다. 그리고, 제2모터(27)가 구동하여 가이드부재(25)가 벨트(24)의 일부를 따르도록 접근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지(18)는, 벨트(24)와 가이드부재(25)의 사이에서 압접 상태가 되고, 벨트(24)의 이동에 따라서 반송된다. 반송수단(19)으로부터 반송된 포장지(18)는, 가이드편(19a), 롤러(19b)와 가이드벽(19c)으로 형성되는 대략 U자형의 경로로 방향 변환하여 접은 자국이 하방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포장부에 유도된다. 포장지(18)가 포장부에 유도된 후는, 제2모터(27)를 구동하여 가이드부재(25)를 벨트(24)로부터 이간시킨다. 이것에 의해, 포장시에 포장지(18)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고, 찢어짐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산약포장부(2)에서는, 제1캠용모터(40a)를 구동하여 제1캠부재(40)를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베어링(46)을 제1가이드벽(63)을 따라 섭동시키고, 양 가이드벽(63, 64)사이로부터 제2가이드벽(64)이 없는 영역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축(45)을 통하여 제1씰블록(37)이 도 12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 준비위치까지 전진한다. 이 상태에서는, 협지부재(58)의 각 협지편(59a,59b)은 개방하고, 제2씰블록(38)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보조플레이트(54)와 함께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하여 퇴피위치로 회동하여 있다. 결국, 제1씰블록(37) 뿐만 아니라, 제2씰블록(38)도 포장지(18)의 반송경로로부터 이간한다. 따라서, 하방측호퍼(33)를 반송경로의 중심부에 위치시키고, 포장지(18)를 그 양측으로 부풀리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와 같이, 포장지(18)의 일측만을 부풀리게 하는 경우에 비하여 포장지(18)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발생하기 어렵고, 약제량이 많아도 적절히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2캠용모터(41a)를 구동하여 제2캠부재(41)를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캠부재(41)는, 몸체부(67)의 외주면의 곡률 반경이 변화하기 때문에, 중앙부에서 제2베어링(47)을 가압하고, 슬라이드축(45)을 통하여 소정시간(예를 들면, 0.5초), 제1씰블록(37)을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위치까지 전진시킨 상태를 보지(保持)한다. 슬라이드축(45)의 이동에 따라, 그 절곡부(45a)에 설치한 아암(49)이 전진하고, 제1가압부(50)가 협지부재(58)의 가압수부(62)를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협지부재(58)의 각 협지편이 접근하고, 포장지(18)를 협지한다. 그리고, 제2가압부(51)가 로드(57b)를 통하여 보조블록(57)을 가압하고, 보조베어링(56)을 통하여 보조캠(55)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보조캠(55)이 보조플레이트(54)를 가압하고, 보조플레이트(54)는 제2씰블록(38)과 함께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위치까지 회동한다. 이 결과, 2개로 접어진 포장지(18)내에 위치하는 하방측호퍼(33)의 경사 하방측부에서는, 포장지(18)는 씰블록(37, 38)의 히트씰부(43, 52)에 의해 협지되고, 대략 T자형, 즉, 인접하는 2포 사이의 영역 및 양측 연부의 반절을 약간 넘는 영역을 씰한다. 한편, 하방측호퍼(33)의 경사상방에 위치하는 측부에서는, 협지부재(58)에 의해 하방측호퍼(33)를 따라 협지된다. 이것에 의해, 하방측호퍼(33)를 통하여 1포분의 산약을 공급 가능한 산약공급영역이 확보된다.
이 상태에서, 처방데이터에 의거하여 소출장치(8)에 의해 제1원반(5) 또는 제2원반(6)으로부터 1포분씩 산약이 공급된다. 공급되는 산약은, 일단, 개폐판(34)에 의해 폐쇄된 상방측호퍼(32)의 산약통로(32b)내에 수용되고, 산약의 비산이 방지된 후, 개폐판(34)을 개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포장지(18)의 산약공급영역 내에 공급된다. 산약공급영역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방측호퍼(33)의 한쪽의 측부가 씰되고, 다른 쪽의 측부가 협지부재(58)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된 산약이 주위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산약공급영역으로의 산약의 공급이 완료할 때마다, 제2모터(41a)를 구동하고, 제2캠부재(4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송출롤러(42a,42b)를 회전 구동하여 포장지(18)를 1포분만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씰블록(37) 및 제2씰블록(38)이 함께 포장지(18)로부터 이간함과 동시에, 협지부재(58)에 의한 협지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포장지(18)가 반송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처방데이터에 따라서 산약의 포장을 속행한다.
포장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 포장부에서는, 제1캠용모터(40a)의 구동에 의해, 제1캠부재(40)를 도 16에 도시하는 위치로 회동시켜 둔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베어링(46)은 제2가이드벽(64)을 따라 이동하고, 슬라이드축(45)을 통하여 제1씰블록(37)이 퇴피위치로 이동한다. 그래서, 제1씰블록(37)은 포장지(18)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포장처리를 행하지 않는 경우, 고온의 제1히트씰 부(43)에 의해 포장지(18) 및 약제에 주는 악영향을 배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원반 등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 개폐문(9)을 개방하고, 산약공급장치(7a)를 회동시키면, 중간플레이트(16)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제1원반(5) 상에 산약을 공급하는 산약공급장치(7a)의 회동에 의해, 산약이 가장 비산하기 쉬운 영역에서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테이블(4)을 앞으로 인출하면,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원반(5)의 회전축에 설치한 기어부(16b)가 가이드레일(10)에 설치한 랙(10a)과 치합하고, 테이블(4)의 인출동작에 연동하여 중간플레이트(16)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것에 따라, 중간플레이트(16) 상의 제1원반(5)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하고, 제2원반(6)과의 겹친 상태가 해제되고, 제1원반(5)은 청소가 용이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2원반(6)도, 테이블(4)을 인출함으로써 전방에 위치하고, 제1원반(5)과의 겹친 상태도 해제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가 용이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반을, 장치본체에 대하여 인출 가능한 테이블 상에 배치 설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원반의 외주홈에 잔류한 산약의 청소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약제가 공급된 포장지를, 한 쌍의 씰블록으로 양측에서 협지(挾持)하여 가열함으로써 씰(seal)하여 1포분씩 포장하도록 한 약제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씰블록을, 포장지를 협지하여 가열 가능한 씰위치와, 포장지를 반송 가능하게 되도록 이간(離間)시키는 씰 준비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씰블록 중 히터를 가지는 것을, 상기 씰 준비위치로부터 더 이간하고, 포장지의 반송경로로부터 퇴피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씰블록은,
    히터를 가지며 또한 포장지의 반송경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접리함으로써 씰위치, 씰 준비위치 및 퇴피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1씰블록과,
    이 제1씰블록이 씰위치와 씰 준비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연동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포장지의 반송경로에 대하여 접리하여 씰위치와 씰 준비위치로 이동 가능한 제2씰블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씰블록은 취부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드축을 통하여 씰위치, 씰 준비위치 및 퇴피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씰블록은 상기 슬라이드축과 함께 이동하는 아암에 의해서 회전축 측이 가압(押壓)됨으로써 씰위치와 씰 준비위치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를 동기하여 회동함으로써 협지 가능한 한 쌍의 협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축과 함께 이동하는 아암은 제2씰블록 외에 상기 협지편을 가압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제2씰블록과 협지편을 동기하여 동작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7A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KR100987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30692A JP3964730B2 (ja) 2002-05-02 2002-05-02 薬剤包装装置
JPJP-P-2002-130692 2002-05-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43A Division KR100969897B1 (ko) 2002-05-02 2003-05-01 약제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85A KR20100004085A (ko) 2010-01-12
KR100987308B1 true KR100987308B1 (ko) 2010-10-12

Family

ID=2926772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43A KR100969897B1 (ko) 2002-05-02 2003-05-01 약제포장장치
KR1020030087848A KR20040016434A (ko) 2002-05-02 2003-12-05 약제포장장치
KR1020030087849A KR20040016435A (ko) 2002-05-02 2003-12-05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5A KR100996509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4A KR100987307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7A KR100987308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8A KR100987309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43A KR100969897B1 (ko) 2002-05-02 2003-05-01 약제포장장치
KR1020030087848A KR20040016434A (ko) 2002-05-02 2003-12-05 약제포장장치
KR1020030087849A KR20040016435A (ko) 2002-05-02 2003-12-05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5A KR100996509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KR1020090120994A KR100987307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998A KR100987309B1 (ko) 2002-05-02 2009-12-08 약제포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64730B2 (ko)
KR (7) KR100969897B1 (ko)
CN (4) CN100427362C (ko)
TW (3) TWI285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125B2 (ja) * 2004-10-14 2011-06-2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包装装置
JP5133777B2 (ja) * 2008-05-23 2013-01-30 株式会社イシダ 包装機
KR101529702B1 (ko) * 2008-10-09 2015-06-1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유니트 및 이의 포장 제어방법
TWI411430B (zh) * 2009-11-26 2013-10-11 Jung Hua Shao Automatic injection of drugs and packaging methods
KR101104849B1 (ko) * 2011-01-05 2012-01-16 안종범 디스플레이 유닛 운반 장치
KR102223436B1 (ko) * 2012-10-03 2021-03-05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감사 시스템, 권취 장치, 조출 장치 및 홀더
WO2014098493A1 (ko) * 2012-12-20 2014-06-26 Kim Tae You 약 조제 방법 및 약 조제 장치
WO2015076266A1 (ja) * 2013-11-22 2015-05-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し装置
CN105173206B (zh) * 2015-10-15 2018-12-14 刘思佳 包药机
CN107757984B (zh) * 2016-08-17 2020-04-17 诸暨市银生珍珠养殖有限公司 一种珍珠包装流水线定量送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188A (ko) * 1994-06-10 1996-01-25 김준호 포장기의 히팅장치
JP2669511B2 (ja) * 1990-12-21 1997-10-29 園部 尚俊 薬剤分包装置
JP2001199414A (ja) 2000-01-18 2001-07-24 Sanko Kikai Kk 自動包装機用縦シール装置
JP2002019737A (ja) 2000-07-04 2002-01-23 Takazono Sangyo Kk ヒートシ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561B2 (ja) * 1989-08-08 1994-11-09 園部 尚俊 粉粒体の分包機
JP2807931B2 (ja) * 1991-04-18 1998-10-08 株式会社 東京商会 薬剤分包機
CN1078209A (zh) * 1992-04-28 1993-11-10 周显权 微机程控中药丸包装机
KR940009267A (ko) * 1992-10-15 1994-05-20 전성원 자동차용 복층고강성 제진시이트
CN2143593Y (zh) * 1992-10-17 1993-10-13 高景海 热封药片软包装机
JPH0769330A (ja) * 1993-09-01 1995-03-14 Hidetoshi Hirae おしぼり巻上包装装置
CN2203266Y (zh) * 1994-03-29 1995-07-12 锦州东方包装机械制造公司 超小型吸泡热合复合模具辊铝塑泡罩药品包装机
JP3476935B2 (ja) * 1994-12-14 2003-12-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の容量分割方法と分割装置
CN2251528Y (zh) * 1996-03-05 1997-04-09 饶智益 包装机的包装材料进给装置
JP3186970B2 (ja) * 1996-03-19 2001-07-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散薬の分割制御装置
CA2214597C (en) * 1996-09-20 2002-04-02 Kabushiki Kaisha Yuyama Seisakusho Method of adjusting tension applied to sheet, and device for the same
JP3720491B2 (ja) * 1996-11-05 2005-11-30 高園産業株式会社 薬剤分包装置
CN2311437Y (zh) * 1996-11-11 1999-03-24 顾正容 多功能药片板自动包装机
JP3039777B2 (ja) * 1997-04-18 2000-05-08 日本精機株式会社 ストレッチ包装機
JP2000085701A (ja) * 1998-09-11 2000-03-28 Yuyama Seisakusho:Kk 散薬フィーダ
JP4302818B2 (ja) * 1999-05-26 2009-07-2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分包装置
JP2000344203A (ja) * 1999-06-04 2000-12-12 Ueda Avancer Corp 分包機
JP2001031003A (ja) * 1999-07-21 2001-02-06 Takazono Sangyo Kk 薬剤包装装置
KR200169923Y1 (ko) 1999-09-16 2000-02-15 주식회사협신메디칼 정제분포기용 포장용지 장력조절장치
JP2001129059A (ja) * 1999-11-09 2001-05-15 Sanyo Electric Co Ltd 固形製剤充填装置
JP4404454B2 (ja) * 2000-07-05 2010-01-27 高園産業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JP2002019713A (ja) 2000-07-06 2002-01-23 Takazono Sangyo Kk ヒートシール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KR20010069923A (ko) * 2001-05-18 2001-07-25 김성윤 이동전화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물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9511B2 (ja) * 1990-12-21 1997-10-29 園部 尚俊 薬剤分包装置
KR960000188A (ko) * 1994-06-10 1996-01-25 김준호 포장기의 히팅장치
JP2001199414A (ja) 2000-01-18 2001-07-24 Sanko Kikai Kk 自動包装機用縦シール装置
JP2002019737A (ja) 2000-07-04 2002-01-23 Takazono Sangyo Kk ヒートシ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435A (ko) 2004-02-21
KR20100004086A (ko) 2010-01-12
TWI285616B (en) 2007-08-21
JP3964730B2 (ja) 2007-08-22
KR100996509B1 (ko) 2010-11-24
CN1696016A (zh) 2005-11-16
CN100422051C (zh) 2008-10-01
TWI285617B (en) 2007-08-21
KR20030086420A (ko) 2003-11-10
JP2003327202A (ja) 2003-11-19
KR100987309B1 (ko) 2010-10-12
CN1454821A (zh) 2003-11-12
TW200306934A (en) 2003-12-01
CN1330534C (zh) 2007-08-08
TW200530082A (en) 2005-09-16
CN100465069C (zh) 2009-03-04
CN100427362C (zh) 2008-10-22
KR20100004084A (ko) 2010-01-12
TWI285619B (en) 2007-08-21
KR20100004085A (ko) 2010-01-12
KR20100004083A (ko) 2010-01-12
KR100987307B1 (ko) 2010-10-12
KR20040016434A (ko) 2004-02-21
CN1693145A (zh) 2005-11-09
CN1891575A (zh) 2007-01-10
TW200528351A (en) 2005-09-01
KR100969897B1 (ko) 201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308B1 (ko) 약제포장장치
KR100405292B1 (ko) 고형제제포장장치
TWI543910B (zh) 包裝紙連接裝置、包裝紙連接方法、及包裝裝置
US20120159908A1 (en) Medicine packaging machine
KR101020276B1 (ko) 약제포장장치
JP4700631B2 (ja) 薬剤包装装置
JP4301922B2 (ja) 薬剤包装装置
JP5035266B2 (ja) 薬剤包装装置
JPH10118159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JP4436791B2 (ja) 薬剤包装装置
JP4371778B2 (ja) 薬剤包装装置
JP2005162240A (ja) 薬剤包装装置
WO2024090097A1 (ja) 薬剤供給装置
JP3604842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7039073B2 (ja) 包装装置
JP2001072003A (ja) 固形製剤包装装置及び固形製剤包装用包装紙
JPH0956783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JP2000060942A (ja) 固形製剤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