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642B1 -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642B1
KR100985642B1 KR1020097013120A KR20097013120A KR100985642B1 KR 100985642 B1 KR100985642 B1 KR 100985642B1 KR 1020097013120 A KR1020097013120 A KR 1020097013120A KR 20097013120 A KR20097013120 A KR 20097013120A KR 100985642 B1 KR100985642 B1 KR 10098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ction
overspeed
speed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086A (ko
Inventor
다쿠오 구기야
겐이치 오카모토
사토루 가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6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01B1/16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구간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되는 복수의 구간 중,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구간을 검출함과 아울러, 각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칸의 통과 유무를 검출한다. 이동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처리 장치는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구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후에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구한다. 처리 장치에는 각 구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는 단계 과속도 기준과, 각 구간의 전부에 있어서 단계 과속도 기준 이상의 값으로 된 연속 과속도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구간을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단계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 밖에 있을 때에 연속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SAFETY SYSTEM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검출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을 제동(制動)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의 절대 위치를 단속적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보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연속적으로 검출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절대 위치가 검출되는 것에 의해, 실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와의 편차가 보정된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보정 후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과속도 검출 레벨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가 검출된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104648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어 정전 중에 엘리베이터칸이 이동했을 경우에는 이 후에 각 엘리베이터칸 위치 검출 수단에의 급전이 재개되어도도, 엘리베이터칸의 절대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는 연속적으로 검출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보정할 수 없다. 따라서, 실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와 검출된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와의 사이에 편차가 발생하여 과속도 검출 레벨이 잘못 결정되고 만다. 이에 의해, 실제 엘리베이터칸의 속도가 과속도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과속도의 검출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해서 설정된 복수의 구간 중,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구간을 검출함과 아울러, 각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칸 통과의 유무를 검출하는 구간 검출 장치;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검출 장치; 및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구함과 아울러, 전환 위치에서 엘리베이터칸의 통과가 구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후에,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량을 구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구하는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처리 장치에는 각 구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는 단계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기준 변화부를 포함하여 각 구간의 전부에 있어서 구간 기준 레벨 이상의 값으로 된 연속 과속도 기준이 설정되고, 처리 장치는 구간 검출 장치 및 이동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구간을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정지 구간의 구간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있어서, 연속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단계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칸이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연속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므로, 예를 들어 정전 중에 엘리베이터칸의 위치가 어긋나서, 엘리베이터칸의 상세한 위치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구간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상세한 위치에 관계없이 단계 과속도 기준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이 통과한 후에는 엘리베이터칸이 통과한 전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상세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속 과속도 기준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안전 장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나 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처리 장치에 설정된 단계 과속도 기준 및 연속 과속도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이 구간 B 내로부터 최하층으로 이동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이 구간 B 내로부터 최상층으로 이동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이 종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엘리베이터칸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안전 장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장치인 권상기(hoisting machine; 4)와 디플렉션 쉬브(deflection sheave; 5)가 마련되어 있다. 권상기(4)는 권상기 본체(6)와 권상기 본체(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drive sheave; 7)를 가지고 있다. 권상기 본체(6)는 구동 쉬브(7)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구동 쉬브(7)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7) 및 디플렉션 쉬브(5)에는 복수 개의 메인 로프(8)가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각 메인 로프(8)에 의해 매달아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 및 균형추(3)는 구동 쉬브(7)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운전은 승강로(1) 내에 마련된 제어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상부 풀리(upper pulley; 9)가 마련되고, 승강로(1)의 하부에는 하부 풀리(10)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풀리(9) 및 하부 풀리(10)에는 조속용(調速用) 로프(11)가 연속적으로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칸(2)에는 조속용 로프(11)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각각이 접속된 공통의 로프 접속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조속용 로프(11)는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된다. 상부 풀리(9) 및 하부 풀리(10)는 조속용 로프(11)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다.
상부 풀리(9)의 회전축에는 상부 풀리(9)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코더(이동 검출 장치; 1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인코더(13)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되는 복수(이 예에서는 7개)의 구간(후술하는 도 2)과, 각 구간의 경계에 각각 위치하는 전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의 검출 및 각 전환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2) 통과의 유무 검출은 구간 검출 장치(14)에 의해 행해진다.
구간 검출 장치(14)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캠 (15)과, 엘리베이터칸(2)의 상부에 마련되어, 캠(15)에 대향하는 스위치(16)를 가 지고 있다. 스위치(16)는 엘리베이터칸(2)에 고정된 스위치 본체(17)와, 스위치 본체(17)에 대해 변위 가능(즉, 엘리베이터칸(2)에 대해 변위 가능)한 조작부(18)를 가지고 있다.
캠(15)에는 조작부(18)가 접촉하는 접촉면(19)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8)는 접촉면(19)에 접촉하면서 엘리베이터칸(2)과 함께 이동된다. 접촉면(19)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따른 평행부와, 평행부에 연속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18)는 접촉면(19)의 경사부에 접촉하면서 이동될 때에, 스위치 본체(17) 및 엘리베이터칸(2)의 각각에 대해 변위된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이 상승할 때에 조작부(18)가 아랫쪽으로 회동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하강할 때에 조작부(18)가 윗쪽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조작부(18)의 스위치 본체(17)에 대한 변위량(회동량)은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스위치 본체(17)는 조작부(18)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조작부(18)는 스위치 본체(1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변위되어 있어도 된다.
인코더(13) 및 스위치(1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처리 장치(20)에 전송된다. 처리 장치(20)에는 스위치(16)로부터의 신호와 각 구간과의 관계가 구간 설정 기준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처리 장치(20)는 스위치(16)로부터의 신호와 구간 설정 기준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을 구하고, 각 전환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2) 통과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처리 장치(20)는 스위치(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의 정보와, 엘 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시점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에 대해서는 스위치(16)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취득 가능하나, 엘리베이터칸(2)의 상세한 위치에 대해서는 스위치(16)로부터의 정보에 의해서는 취득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량을 구하고, 구해진 이동량에 기초하여 전환 위치에 대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출된다. 처리 장치(20)에는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과속도 기준인 단계 과속도 기준 및 연속 과속도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처리 장치(20)에 설정된 단계 과속도 기준 및 연속 과속도 기준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에 설정된 각 구간은 승강로(1)의 저부(底部)로부터 꼭대기부로 구간 A ~ G의 순으로 연속되어 있다. 또, 각 전환 위치는 각 구간 A ~ G의 각각의 경계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최하층은 구간 A 내에 위치하고, 최상층은 구간 G 내에 위치하고 있다.
단계 과속도 기준(21)은 각 구간 A ~ G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이 예에서는 7개)의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고 있다. 즉, 단계 과속도 기준(21)에서는 구간 A ~ G마다 일정한 구간 기준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 구간 기준 레벨의 값 은 구간 A ~ G마다 다른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과속도 기준(21)은 구간 A ~ G마다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과속도 기준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간 기준 레벨의 값은 승강로(1)의 중간부에 가까운 구간일수록 큰 값으로 되고, 승강로(1)의 꼭대기부 및 저부(즉, 각 종단부)에 가까운 구간일수록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또, 각 구간 기준 레벨의 값은 구간 내에 정지된 엘리베이터칸(2)에 대해 통상의 가속이 되었을 때에, 구간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구간 기준 레벨보다 항상 작도록(즉,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으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구간 기준 레벨에 도달하는 일이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속 과속도 기준(22)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원활하게 연속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의 함수로서 표시되는 과속도 기준이다. 또, 연속 과속도 기준(22)은 각 구간 A ~ G의 전부에 있어서 단계 과속도 기준(21)의 구간 기준 레벨 이상의 값으로 되어 있다. 연속 과속도 기준(22)은 승강로(1)의 저부 및 꼭대기부의 각각에 인접하는 한 쌍의 연속 가변 영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기준 변화부(23)와, 각 연속 가변 영역 사이에 있는 연속 불변 영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일정값 그대로 연속되는 연속 기준 불변부(24)를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저부에 인접하는 연속 가변 영역(일방의 연속 가변 영역)은 구간 A ~ C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으로 되고, 꼭대기부에 인접하는 연속 가변 영역(타방의 연속 가변 영역)은 구간 E ~ G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 연속 불변 영역은 구간 D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으로 되어 있다. 연속 기준 변화부(23)의 값은 승강로(1)의 종단 부에 근접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또한, 처리 장치(20)에는 통상 운전시에 승강로(1)의 저부 및 꼭대기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엘리베이터칸(2)이 이동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가 통상 주행 패턴(26)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는 엘리베이터칸(2)이 통상대로 이동하고 있는 한, 통상 주행 패턴(26)을 상회하는 일은 없다.
처리 장치(20)는 예를 들어 제어반으로부터의 정지 지령이나 정전 등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했을 때에,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을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한다. 또,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단계 과속도 기준(21)에 있어서 정지 구간의 구간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산출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에 있어서, 연속 과속도 기준(22)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 및 스위치(1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과속도 기준(21) 및 연속 과속도 기준(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과속도 기준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즉,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 및 스위치(16)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 처리 장치(20)는 과속도 유무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권상기(4)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해 있다는 판정을 했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에 대해 제동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동 지령을 권상기(4)에 출력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과속도보다 낮다는 판정을 했을 때에,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을 해제시키는 해제 지령을 권상기(4)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로부터 최하층으로 이동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단계 과속도 기준(21) 및 연속 과속도 기준(22) 중, 단계 과속도 기준(21)이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고 있다. 이 때,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되어 있는 구간 B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이 개시되면, 엘리베이터칸(2)은 주행 패턴(31)에 따라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최하층을 향하여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단계 과속도 기준(21)이 항상 선택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의 궤적(32)이 단계 과속도 기준(21) 위를 따라가게 된다. 이 때는 선택된 단계과속도 기준(21)의 정지 구간에 있어서 구간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최하층에 향하여 다시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하면(즉,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정지 구간(구간 B)으로부터 벗어나면),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이 단계 과속도 기준(21)으로부터 연속 과속도 기준(22)으로 전환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밖의 구간 A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의 궤적(32)이 연속 과속도 기준(22) 위를 따라가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후, 정지 구간 밖의 구간 A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전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처리 장치(20)에 있어서 산출된다. 이 때는 산출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에 있어서, 연속 과속도 기준(22)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해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의 제어에 의해, 권상기(4)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동작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과속도에 도달해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의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최하층에 도착하면,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정지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검출된다. 이 때,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이 연속 과속도 기준(22)으로부터 단계 과속도 기준(21)으로 재차 전환된다. 또,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하는 최하층을 포함하는 구 간 A가 정지 구간으로서 처리 장치(20)에 의해 새로이 특정된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로부터 최상층으로 이동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로부터 최상층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단계 과속도 기준(21)이 선택됨과 아울러, 구간 B가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이 개시되면, 엘리베이터칸(2)은 주행 패턴(33)을 따라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최상층을 향하여 이동된다.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단계 과속도 기준(21)이 항상 선택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를 이동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의 궤적(34)이 단계 과속도 기준(21) 위를 따라가게 된다. 이 때는 선택된 단계 과속도 기준(21)의 정지 구간에 있어서 구간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 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최하층을 향하여 더욱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하는 즉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정지 구간(구간 B)으로부터 벗어나면,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이 단계 과속도 기준(21)으로부터 연속 과속도 기준(22)으로 전환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밖을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의 궤적(34)이 연속 과속도 기준(22) 위를 따라가게 된다.
또,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한 후에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전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처리 장치(20)에 있어서 상시 산출된다. 또, 엘리베이터칸(2)이 최상층에 도착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칸(2)이 복수의 전환 위치를 통과하므로, 엘리베이터칸(2)이 전환 위치를 통과할 때마다,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의 산출 기준이 되는 전환 위치는 엘리베이터칸(2)이 통과한 최신의 전환 위치로 갱신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산출되면, 산출된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에 있어서, 연속 과속도 기준(22)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후의 동작은 엘리베이터칸(2)이 최하층에 이동되는 경우와 동양(同樣)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각 구간 A ~ G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는 단계 과속도 기준(21)과, 각 구간 A ~ G의 전부에 있어서 구간 기준 레벨 이상의 값으로 된 연속 과속도 기준(22)이 처리 장치(20)에 미리 설정되고,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단계 과속도 기준(21)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연속 과속도 기준(22)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므로, 예를 들어 정전 중에 엘리베이터칸(2)의 위치가 어긋나서, 급전 개시 후에 엘리베이터칸(2)의 상세한 위치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을 검 출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상세한 위치에 관계없이 단계 과속도 기준(21)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각 구간 A ~ G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를 엘리베이터칸이 통과한 후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통과한 전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상세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속 과속도 기준(22)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의 과속도를 더욱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구간 검출 장치(14)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캠(15)과, 캠(15)에 접촉하면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에 대해 변위되는 조작부(18)를 포함하여 엘리베이터칸(2)에 마련된 스위치(16)를 가지고, 스위치(16)가 조작부(18)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간 검출 장치(14)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을 보다 확실하게 구할 수 있어, 전환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칸(2)의 통과 유무도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된 것을 처리 장치(20)가 검출했을 때에, 처리 장치(20)가 선택하는 과속도 기준을 연속 과속도 기준(22)으로부터 단계 과속도 기준(21)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이 개시된 것을 처리 장치(20)가 검출했을 때에, 처리 장치(20)가 선택하는 과속도 기준을 연속 과속도 기준(22)으로부터 단계 과속도 기준(21)으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구해지도록 되어 있으나, 인코더(13)와는 별개의 속도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처리 장치(20)가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속도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속도 검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해도, 엘리베이터칸(2)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스위치(16)로부터의 신호와 각 전환 위치와의 관계가 처리 장치(20)에 있어서 변경되는 일은 없으나, 승강로(1)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엘리베이터칸(2)을 이동시키는 측정 운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각 전환 위치가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처리 장치(20)는 측정 운전을 행하는 지령을 제어반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반은 처리 장치(20)로부터의 지령을 받는 것으로 측정 운전을 행한다. 각 전환 위치의 갱신은 측정 운전시의 구간 검출 장치(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전환 위치를 구하고, 구한 전환 위치를 본래의 전환 위치로 바꿔 놓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측정 운전시에는 인코더(13)의 이상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인코더(13)의 이상 유무의 판정은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거리와 미리 설정된 설정 이동 거리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가 정상이라는 판정을 행한 때에만, 구간 검출 장치(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전환 위치 갱신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한다. 각 전환 위치 갱신의 필요와 불필요의 판정은 구간 검출 장치(1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한 새로운 전환 위치와 본래의 전환 위치와의 차와,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즉, 새로운 전환 위치와 본래의 전환 위치와의 차가 문턱값 이하일 때에 갱신이 불필요하다고 판정되고, 문턱값보다 클 때에 갱신이 필요하다고 판정된다.
이와 같이, 처리 장치(20)에서의 각 전환 위치가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 장치(20)에 의해 인식되는 각 전환 위치와, 실제의 각 전환 위치와의 편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칸(2)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과는 관계없이,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단계 과속도 기준(21)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이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연속 과속도 기준(22)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승강로(1)의 종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때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에 관계없이, 별개의 과속도 기준에 의해 과속도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가 마련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2)이 종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는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 내로부터 최상층으로 이동될 때의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 변화가 나타나 있다.
승강로(1)에는 저부 및 꼭대기부(각 종단부)의 각각에 인접하는 한 쌍의 종단 영역과, 각 종단 영역 사이에 끼워진 중간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 일방의 종단 영역은 구간 A ~ C에 의해 구성되고, 타방의 종단 영역은 구간 E ~ 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중간 영역은 구간 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처리 장치(20)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을 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처리 장치(20)는 각 종단 영역에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할 때로서,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중간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 연속 과속도 기준의 최고값을 최고값 기준 레벨로서 선택하고, 최고값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를 비교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처리 장치(20)는 엘리베이터칸(2)이 중간 영역에 존재할 때 및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중간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엘리베이터칸(2)이 각 종단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는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양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칸(2)이 구간 B에 정지되어 있을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구간 B가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이 개시되면, 처리 장치(20)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와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산출된다.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중간 영역(구간 D)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연속 과속도 기준(22)의 최고값가 최고값 기준 레벨로서 선택된다. 즉, 엘리베이터칸(2)이 종단 영역 내를 이동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중간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는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의 궤적(41)이 최고값 기준 레벨 위를 따라가게 된다. 이 때, 최고값 기준 레벨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칸(2)이 종단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중간 영역 내에 들어가면,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는 과속도 기준이 최고값 기준 레벨로부터 연속 과속도 기준으로 전환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에서는 인코더(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처리 장치(20)에 의해 구해지고, 엘리베이터칸(2)이 종단 영역 내에 존재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칸(2)의 이동 방향이 중간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 엘리베이터칸(2)이 존재하는 구간에 관계없이, 연속 과속도 기준(22)의 최고값과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가 비교되고, 엘리베이터칸(2)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가 처리 장치(20)에 의해 판정되므로, 엘리베이터칸(2)이 저부나 꼭대기부(각 종단부)에 충돌할 우려가 없을 때에는 과속도 기준을 높은 레벨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칸(2) 내의 승객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이 흔들린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칸(2)의 흔들림에 의해 엘리베이터칸(2)의 과속도가 잘못 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의 과속도를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하여 설정된 복수의 구간 중,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상기 구간을 검출함과 아울러, 각 상기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통과 유무를 검출하는 구간 검출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검출 장치, 및
    상기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구함과 아울러, 상기 전환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통과가 상기 구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량을 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구하는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 장치에는, 각 상기 구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는 단계 과속도 기준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기준 변화부를 포함하여 각 상기 구간의 전부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 레벨 이상의 값으로 된 연속 과속도 기준이 설정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구간 검출 장치 및 상기 이동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상기 구간을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 구간의 상기 구간 기준 레벨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과속도 기준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2.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하여 설정된 복수의 구간 중,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상기 구간을 검출함과 아울러, 각 상기 구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전환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통과 유무를 검출하는 구간 검출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장치,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 검출 장치, 및
    상기 속도 검출 장치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취득함과 아울러, 상기 전환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통과가 상기 구간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후에, 상기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량을 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를 구하는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 장치에는, 각 상기 구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해진 복수의 구간 기준 레벨을 포함하는 단계 과속도 기준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에 대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기준 변화부를 포함하여 각 상기 구간의 전부에 있어서 상기 구간 기준 레벨 이상의 값으로 된 연속 과속도 기준이 설정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구간 검출 장치 및 상기 속도 검출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정지시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 는 상기 구간을 정지 구간으로서 특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정지 구간 내에 있을 때에, 상기 정지 구간의 상기 구간 기준 레벨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상기 정지 구간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과속도 기준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간 검출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캠과, 상기 캠에 접촉하면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대해 변위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부의 변위량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하는 상기 구간을 구하고, 상기 전환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통과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승강로 내의 최상층 및 최하층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이동시키는 측정 운전을 행하는 지령을 엘리베이터의 제 어반에 출력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측정 운전시에서의 상기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검출 장치의 이상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이동 검출 장치가 정상이라는 판정을 행한 때에만, 상기 구간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위치 갱신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는 상기 승강로의 각 종단부의 각각에 인접하는 소정의 종단 영역과 각 상기 종단 영역 사이에 끼워진 중간 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이동 검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을 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종단 영역 내에 상기 엘리베이터칸이 존재할 때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이동 방향이 상기 중간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일 때에, 상기 연속 과속도 기준의 최고값과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속도에 대해 과속도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20097013120A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KR100985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6/324358 WO2008068863A1 (ja) 2006-12-06 2006-12-06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086A KR20090087086A (ko) 2009-08-14
KR100985642B1 true KR100985642B1 (ko) 2010-10-05

Family

ID=3949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120A KR100985642B1 (ko) 2006-12-06 2006-12-06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90541B1 (ko)
JP (1) JP5053291B2 (ko)
KR (1) KR100985642B1 (ko)
CN (1) CN101500924B (ko)
WO (1) WO2008068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0841A1 (en) * 2009-01-21 2011-10-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JP5345210B2 (ja) * 2009-05-19 2013-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WO2012000170A1 (en) * 2010-06-29 2012-01-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afety of elevator
JP6120977B2 (ja) 2013-09-20 2017-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5078859A1 (en) * 2013-11-29 2015-06-04 Inventio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vators
EP2918536B1 (en) * 2014-03-12 2022-06-22 ABB Schweiz AG Condition monitoring of vertical transport equipment
CN114206759B (zh) * 2019-07-24 2023-10-24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确定电梯轿厢在电梯井道中的当前精确位置的方法和装置
CN111689316B (zh) * 2020-05-28 2022-08-12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轿厢位置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7078145B1 (ja) * 2021-02-09 2022-05-3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CN113003350B (zh) * 2021-03-29 2022-11-25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安全控制方法以及电梯安全控制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555A (ja) 2001-09-25 2003-04-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05115900A1 (ja) 2004-05-31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6266A (ko) * 1974-05-13 1975-11-22
JPS50146266U (ko) * 1974-05-20 1975-12-04
JPS5612281A (en) * 1979-07-10 1981-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End floor stoppage device for elevator
JPS5878976A (ja) * 1981-11-02 1983-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62218382A (ja) * 1986-03-19 1987-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端階安全装置
US6253879B1 (en) * 1998-12-22 2001-07-03 Otis Eleva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overspeed of an elevator car
DE10392710T5 (de) * 2002-09-24 2005-09-15 Mitsubishi Denki K.K. Aufzugsicherheitssystem
JPWO2004031064A1 (ja) * 2002-10-04 2006-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950287B (zh) * 2005-03-30 2011-05-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555A (ja) 2001-09-25 2003-04-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05115900A1 (ja) 2004-05-31 2005-1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0541A1 (en) 2009-08-19
WO2008068863A1 (ja) 2008-06-12
EP2090541A4 (en) 2013-08-21
KR20090087086A (ko) 2009-08-14
CN101500924A (zh) 2009-08-05
CN101500924B (zh) 2011-04-20
EP2090541B1 (en) 2014-08-20
JP5053291B2 (ja) 2012-10-17
JPWO2008068863A1 (ja)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642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US7448472B2 (en) Elevator apparatus that detects an accurate running speed of an elevator car that operates over speed
KR10212693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2347986B1 (en) Elevator installation
EP2380841A1 (en) Elevator device
WO20100674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098822A (zh) 电梯装置
JP20030955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09685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195897B (zh) 电梯
WO201507885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vators
KR20180130181A (ko) 엘리베이터의 슬립 검출 및 제어 방법
CN109476450B (zh) 电梯的控制装置
KR102265012B1 (ko) 가변속도 엘리베이터의 강제 감속 제어장치 및 방법
CN101844718B (zh) 电梯装置
JP2024063583A (ja) エレベーター、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2010208752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7532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27557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14555506A (zh) 电梯系统
JPH05254742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20050077538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방법
JP2017178479A (ja) エレベーター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