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480B1 -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480B1
KR100985480B1 KR1020080072923A KR20080072923A KR100985480B1 KR 100985480 B1 KR100985480 B1 KR 100985480B1 KR 1020080072923 A KR1020080072923 A KR 1020080072923A KR 20080072923 A KR20080072923 A KR 20080072923A KR 100985480 B1 KR100985480 B1 KR 10098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discharge
feeder
document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630A (ko
Inventor
박준규
Original Assignee
박준규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규,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filed Critical 박준규
Priority to KR102008007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4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25Special roller holding or lifting means, e.g. for temporarily raising one roller of a pair of nipping rollers for inserting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Landscapes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로부터 인쇄되어 한 장씩 배출되는 문서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문서 이송대; 상기 문서 이송대를 통해 문서를 한 장씩 이송하는 낱장 이송부; 상기 낱장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문서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문서 적재대; 상기 문서 적재대의 배출측에 구성되고, 배출 대기상태에서 적층된 문서의 선단부가 걸림되고, 문서의 배출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스토핑수단;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의 걸림상태 해제시에 어 적층된 문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 및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가 적재되도록 상기 낱장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의 적재가 완료되면 한 번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토핑수단과 상기 배출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발급되는 문서가 여러 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낱장 문서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발급창을 통해 배출되는 낱장 문서를 매번 수취할 필요가 없고, 허리를 구부린 자세에서 장시간 동안 대기할 필요도 없게 되어 이용상에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장 의 문서가 정렬되어 한번에 배출되므로, 문서의 발급이 신속, 정확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문서발급기, 문서 이송장치, 배출장치

Description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PRINTED DOCUMENT FEEDING APPARATUS FOR SELF-SERVICE VERIFICATION ISSUE MACHINE}
본 발명은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서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나 학교 등에서 발급하는 각종 문서는 민원인의 요청에 의해 수작업으로 발급하여 왔으나, 발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민원인이 긴 시간동안 대기하여야 하고, 발급기관에서도 발급 행정을 위한 인건비 등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각종 문서를 자동으로 발급하는 문서발급기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문서발급기는 대개 터치 스크린상에 원하는 종류의 문서를 입력하고, 발급에 필요한 비용을 결재하면 프린터가 해당 문서를 인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로부터 인쇄된 문서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어 문서발급기 에 마련된 발급창을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민원인이 발급창으로부터 배출되는 문서를 수취하면 발급동작이 종료되도록 작동된다.
문서 이송장치는 대개, 문서가 이동되는 이송판, 이 이송판에 복수로 배치되고 문서의 표면에 마찰력을 작용시켜 이송시키는 피딩 롤러와, 이 피딩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 문서 이송장치는 프린터로부터 문서의 배출시에 매번 한 장씩 문서를 발급창측으로 이송하여 배출한다.
하지만, 종래 문서 이송장치는 발급되는 문서가 여러 장인 경우, 민원인이 발급창으로 배출되는 문서를 매번 수취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허리를 구부린 자세에서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아울러, 문서가 한번에 배출되지 않으므로 문서의 발급속도가 느리고, 수취 및 정리과정에서 문서의 순서가 서로 뒤바뀌는 등 문서의 발급 및 이용에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쇄되는 여러 장의 문서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문서 발급시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문서의 발급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서의 이송동작과 문서의 배출동작을 단일의 모터에 의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로부터 인쇄되어 한 장씩 배출되는 문서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문서 이송대; 상기 문서 이송대를 통해 문서를 한 장씩 이송하는 낱장 이송부; 상기 낱장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문서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문서 적재대; 상기 문서 적재대의 배출측에 구성되고, 배출 대기상태에서 적층된 문서의 선단부가 걸림되고, 문서의 배출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스토핑수단;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의 걸림상태 해제시에 어 적층된 문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 및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가 적재되도록 상기 낱장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의 적재가 완료되면 한 번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토핑수단과 상기 배출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서 적재대는 상기 낱장 이송부에 의한 이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 보다 낮은 레벨로 형성되는 판형구조의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배출측에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서 적재대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롤러축과, 상기 아이들롤러축에 결합되고 외주면 일부가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면상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구비한 아이들롤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측으로 출몰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모터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를 출몰시키는 스토퍼 구동모터; 및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스토퍼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서 적재대측으로 이송되는 문서의 매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이송매수 감지센서와; 상기 문서 적재대상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상기 문서 적재대측에 설치되는 배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이송부는, 상기 문서 적재대에 횡설되는 배출롤러축상에 복수의 배출롤러가 결합된 배출롤러부재; 상기 낱장 이송부에 의한 문서의 이송동작시에 상기 문서 적재대에 적재된 문서로부터 상기 배출롤러를 상방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문서 적재대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동작시에 상기 배출롤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문서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출롤러축를 승강시키는 배출롤러 승강수 단; 및 상기 배출롤러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생성, 인가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롤러 승강수단은, 상기 배출롤러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토오크 리미터, 상기 토오크 리미터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캠, 상기 캠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하측에 구성되는 캠롤러, 및 상기 캠에 상승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구동부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모터, 상기 배출롤러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출롤러 구동기어, 상기 배출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걸림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은 원판 형상을 갖되, 상기 토오크 리미터와 연동되어 회동된 후 상기 캠롤러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요입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가 상기 캠롤러에 안착되면 상기 캠의 회동동작을 차단시키도록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낱장 이송부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저부에 횡설되고 이송롤러축상에 복수의 이송롤러가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롤러부재들와 대향되는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축에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결합된 가이드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부재들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걸림되도록 상기 이송롤러축의 일단에 이송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롤러부재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 저부에 횡설되는 제1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제1 이송롤러부재와 평행한 문서의 굴곡측에 횡설되는 제2 이송롤러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부재의 하방에 해당되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수직부에 횡설되는 제3 이송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재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송롤러부재의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가이드롤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는, 발급되는 문서가 여러 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낱장 문서를 모아서 한 번에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발급창을 통해 배출되는 낱장 문서를 매번 수취할 필요가 없고, 허리를 구부린 자세에서 장시간 동안 대기할 필요도 없게 되어 이용상에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장의 문서가 정렬되어 한번에 배출되므로, 문서의 발급이 신속, 정확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일의 모터에 의해 문서의 이송동작과 문서의 배출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간결, 단순하게 문서 이송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100)는, 본체(10)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프린터(20)의 상측에 설치되어, 프린터(20)로부터 인쇄되어 상방으로 배출되는 문서(미도시)를 이송하여 보관한 후, 한 번에 외부(발급창)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리고, 문서 이송장치(100)의 상부에는 도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발급 문서의 종류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부와, 문서의 발급에 필요한 비용의 결재를 위한 시스템 등이 구비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는 프린터로부터 인쇄되어 한 장씩 배출되는 문서의 이송을 안내하는 문서 이송대(110), 이 문서 이송대(110)를 통해 문서를 한 장씩 이송하는 낱장 이송부(120), 낱장 이송부(120)로부터 이송되는 문서들의 보관을 위한 문서 적재대(130), 문서 적재대(130)에 보관된 문서를 한 번에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토핑수단(140), 배출 이송부(150), 및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한 각 장치(110,120,130,140,150)들이 내장되거나 설치되도록 마련된 케이스(160)상에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문서 이송대(110)는 문서의 이송 경로에 대응하도록 판형부재를 절곡 또는 굴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문서의 이송 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20)측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출되어지는 문서의 이송을 안내하는 수직부(111)와, 이 수직부(111)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12)로 이루어진다.
문서 적재대(130)는 낱장 이송부(120)의 이송동작에 따라 문서 이송대(110)를 경유하여 이송되는 문서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부재로서, 낱장 이송부(120)에 의한 이송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문서 이송대(130)와 격리되는 적층공간이 마련되도록 문서 이송대(110)의 배출측 보다 낮은 레벨로 형성된다. 이때, 문서 적재대(130)는 독립부재로 구성되거나 문서 이송대(110)에 일체로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문서 적재대(130)는 문서를 대기 상태로 보관하는 판형구조의 적재부(131)와, 문서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적재부(131)의 배출측에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132)를 구비한다. 적재부(131)와 가이드부(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32)를 별도의 독립부재로 구성되어 적재부(131)에 결합되게 구성된다.
스토핑수단(14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1)에 적층되는 문서의 선단부가 걸림되도록 하여 이송되어지는 문서가 정렬되도록 하고, 문서의 배출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배출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문서 적재대(130)의 배출측에 구성된다.
예컨대, 스토핑수단(140)은, 문서 적재대(130)의 적재부(131)와 가이드 부(132)의 경계 지점 저부에 구성되고, 문서 적재대(130)의 상측으로 출몰되면서 문서의 선단부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스토퍼(141), 스토퍼(141)를 회동시키는 스토퍼 구동모터(142), 및 스토퍼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스토퍼 감지부(143)를 구비한다.
스토퍼 구동모터(142)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전되는 소형 모터로 구성되고, 그 모터축의 단부에 스토퍼(141)가 결합되어 모터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문서 적재대(130)의 상측으로 출몰되게 된다.
배출 이송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문서가 모두 배출되어 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되고 스토핑수단(140)의 스토퍼(141)가 하방으로 회전되어 문서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적층된 문서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문서 적재대(130)의 상부에 구성된다.
한편, 배출 이송부(15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적재대(130)에 횡설되는 배출롤러축(151a)상에 복수의 배출롤러(151b)가 결합된 배출롤러부재(151), 이 배출롤러부재(151)를 승강시키는 배출롤러 승강수단(152), 및 배출롤러축(151a)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생성, 인가시키는 이송구동부(153)를 구비한다.
그리고, 배출롤러부재(151)와 대응되는 하측에는 문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아이들롤러부재(154)를 구비한다. 아이들롤러부재(154)는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31)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롤러축(154a)과, 아이들롤러축(154a)에 결합되고 외주면 일부가 적재부(131)의 상면상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154b)를 구비한다.
또한, 배출 이송부(1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적재대(130)의 상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문서 적재대(130)로 진입되는 문서와 문서 적재대로부터 배출되는 문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155)를 구비한다. 이 가이드 플레이트(155)는 그 좌우측에 접속되는 고정브라켓(155a)에 의해 케이스(160)상에 결합된다.
배출롤러 승강수단(152)은 낱장 이송부(120)에 의한 문서의 이송동작시에 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된 문서로부터 배출롤러(151b)를 상방으로 이격시키고, 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동작시에 배출롤러(151b)가 하방으로 이동, 밀착되도록 배출롤러축(151a)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배출롤러 승강수단(152)은, 배출롤러축(151a)의 양단에 결합되는 토오크 리미터(152a), 토오크 리미터(152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캠(152b), 캠(152b)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하측에 구성되는 캠롤러(152c), 및 캠(152b)에 상승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152d)를 구비한다.
토오크 리미터(152a,torgue limiter)는 회전 토오크를 배출롤러축(151a)으로부터 캠(152b)에 전달하고 배출롤러축의 부하가 소정의 레벨을 초과할 때 회전 토오크가 차단되면서 배출롤러축(151a)과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토오크 리미터(152a)는 일정 레벨 이하의 회전 부하에 대하여는 양방향으로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고 그 이상의 회전 부하에 대하여는 양방향으로 슬립되어 회전되면서 회전 토오크의 전달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된 기계요소로서, 통상의 코일스프링형 또는 마찰판형의 토오크 리미터 중에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캠(152b)은 원판 형상을 갖되, 내주면상에 토오크 리미터(152a)의 결합을 위한 리미터 결합홀이 형성되고, 외주면상에 토오크 리미터와 연동되어 회동된 후, 캠롤러(152c)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요입되는 안착홈부(152e)와, 안착홈부(152e)가 캠롤러(152c)에 안착되면 캠(152b)의 회동동작을 차단시키도록 돌출되는 걸림턱(152f)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걸림턱(152f)의 중앙에는 탄성부재(152d)의 삽입을 위한 탄성부재삽입홈(152g)이 요입되어 있다.
캠롤러(152c)는 캠(152b)의 하측에 해당되는 아이들롤러축(154a)상에 결합되어 캠(152b)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링 형상으로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52d)의 삽입을 위한 탄성부재삽입홈이 요입되어 있다.
탄성부재(152d)는 선형부재가 수회 권취된 중앙 코일부에 한 쌍의 자유단이 상하로 돌출된 통상의 토션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 자유단(152h)이 캠의 외주면에 상승력을 작용시키도록 밀착되고, 타측 자유단(152i)이 인접한 케이스(160)에 고정된다.
이송구동부(153)는 구동기어(153d)를 구비한 구동모터(153a), 배출롤러축(151a)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출롤러 구동기어(153b), 배출롤러 구동기어(153b)와 구동기어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153c)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기어(153d), 및 배출롤러 구동기어(153b)는 타이밍 벨트(153c)에 접속되는 구성이므로 타이밍 벨트의 내면에 요입된 타이밍 기어홈과 대응하는 치산이 형성된 타이밍 기어로 구성된다.
한편, 낱장 이송부(120)는 문서 이송대(110)의 저부에 횡설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부재(121)와, 이 이송롤러부재(121)와 대향되는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부재(122)를 구비한다. 이송롤러부재(121)는 이송롤러축(121a)의 양측에 한 쌍의 이송롤러(121b)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고, 가이드롤러부재(122)는 가이드롤러축(122a)의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롤러(122b)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송롤러부재(121)는 타이밍 벨트(153c)에 걸림되도록 이송롤러축(121a)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송기어(121c)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지 않고 배출롤러부재(151)의 구동을 위해 마련된 이송구동부(153)의 구동모터(153a)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이송롤러부재(121)는 문서의 이송거리, 문서 이송대의 형상이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수량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 이송대(110)의 배출측 저부에 횡설되는 제1 이송롤러부재(124), 제1 이송롤러부재(124)와 평행한 문서의 굴곡측에 횡설되는 제2 이송롤러부재(125), 및 제2 이송롤러부재(125)의 하방에 해당되는 문서 이송대(110)의 수직부(111)에 횡설되는 제3 이송롤러부재(126)를 구비한다. 또한, 문서의 이송작용은 이송롤러부재(121)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부재(122)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므로 가이드롤러부재(122) 또한 제1, 제2, 및 제3 이송롤러부재(124,125,126)와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제3 가이드롤러부재(127,128,129)를 구비한다.
한편, 제3 이송롤러부재(126)의 구동을 위해 이송롤러축(121a)에 결합되는 이송기어(121c)는 도3에서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타이밍 벨트(153c)에 접속되어 구동되도록 구성하거나, 제2 이송롤러부재(125)의 이송롤러축(121a)을 연장 하여 별도의 종동기어(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종동기어(미도시)와 제3 이송롤러부재(126)의 이송기어(121c) 사이에 별도의 보조 타이밍 벨트(미도시)를 연결하여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문서가 문서 적재대(130)로 이송되도록 낱장 이송부(120)의 구동을 제어하고, 문서 적재대상으로 발급요청된 문서의 발급매수가 모두 적재, 완료되면, 한 묶음의 문서를 한 번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스토핑수단(140)과 배출 이송부(15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는 문서 적재대(130)측으로 이송, 진입되는 문서의 매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이송매수 감지센서(170)와, 문서 적재대(130)상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인가하는 배출 감지센서(180)를 구비한다.
이송매수 감지센서(170)와, 배출 감지센서(180)는 문서 적재대(130)로 진입되는 문서의 매수와, 문서 적재대(130)로부터 문서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문서 이송대(110)의 배출측에 이송매수 감지센서(170)가 설치되고, 문서 적재대(130)의 배출롤러부재(151)측에 배출 감지센서(180)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이송매수 감지센서(170)는 민원인에 의해 선택된 문서 중 마지막 페이지의 진입 및 이송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한 구동모터(153a)의 정방향(이송방향) 구동을 차단하고, 스토퍼 구동모터(142)를 작동시켜 스토퍼(141)가 문서 적재대(130)의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문서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한편, 이송구동부(153)의 구동모터(153a)를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문서 적재대에 적재된 문서를 외부(발급창)로 배출되게 하는 작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출 감지센서(180)는 문서 적재대(130)로부터 문서의 배출이 완료되면 해당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구동모터(153a)의 역회전을 차단하고, 스토퍼(141)가 문서 적재대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스토퍼 구동모터(142)를 구동하는 작동이 제어부의 제어하에 수행되도록 한다.
도3의 미설부호 153e는 타이밍 벨트(153c)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텐션 풀리이고, 도면부호 171 및 181은 이송매수 감지센서(170) 및 배출 감지센서(180)의 고정을 위한 센서고정브라켓이며, 122c는 가이드롤러부재(122)를 문서 이송대(110)에 고정하기 위한 롤러고정브라켓으로서, 이 롤러고정브라켓(122c)은 하단이 절곡된 몸체의 중심부에 가이드롤러축(122a)의 삽입을 위한 롤러삽입공(122d)이 형성되어 있고, 이 롤러삽입공(122a)에는 가이드롤러축(122a)에 하방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민원인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이송장치(100)가 구비된 문서 발급기의 터치스크린(미도시)상에 발급을 원하는 종류의 문서를 입력하고, 발급에 필요한 비용을 결재하면 본체(10)에 내장된 프린터(20)에 의해 해당 문서가 인쇄되어 배출구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프린터로부터 배출되는 문서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이송대(110)의 수직부(111)에 구비된 제3 이송롤러부재(126)와 제3 가이드롤러부재(129) 사이로 진입됨과 동시에 제어부에 제어하에 이송구동부(153)의 구동모터(153a)가 정회전 되므로 타이밍 벨트(153c)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타이밍 벨트(153c)에 접속된 제1 내지 제3 이송롤러부재(124,125,12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문서 이송대(110)의 수직부(111)로 진입된 문서는 수평부(122)를 경유하여 문서 적재대(130)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문서 적재대(130)로 진입되는 문서는 제1 이송롤러부재(124)의 이송력에 의해 배출롤러부재(151)와 아이들롤러부재(154) 사이를 통과하여 진입된 후 스토퍼(141)측에 걸림되게 된다. 그리고, 민원인에 의해 발급이 요청된 문서의 매수가 다수 매인 경우에는 전술한 이송동작이 제어부의 제어하에 반복 시행되면서 문서 적재대(130)에는 해당 매수의 문서가 적층된 상태로 적재된다.
이때, 이송매수 감지센서(170)는 문서 적재대(130)로 진입되는 문서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인가하게 되고, 제어부는 이송매수 감지센서(170)로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와 발급 요청된 문서의 매수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되는 경우, 발급된 문서(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된 문서)가 외부(발급창)로 배출되어 민원인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스토핑수단(140)의 스토퍼(141)를 문서 적재대(130)의 하측으로 회동시켜 문서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이송구동부(153)의 구동모터(153a)를 역회전시켜 배출롤러부재(151)에 의한 문서의 배출동작이 시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문서의 배출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53a)의 역회전으로 타이밍 벨트(153c)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타이밍 벨트(153c)에 접속된 배출롤러 구동기어(153b)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배출롤러축(151a)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배출롤러축(151a)이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토오크 리미터(152a)가 회전되므로 그 외주면에 결합된 캠(152b)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캠(152b)의 회동에 따라 걸림턱(152f)이 캠롤러(152c)에 걸림되고 안착홈부(152e)가 캠롤러(152c)의 외주면에 안착되므로 캠(152b)의 반경 차이(캠 작용)로 인해 이 캠이 결합된 배출롤러축(151a)이 하방 이동되고, 배출롤러축(151a)에 결합된 배출롤러(151b)가 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된 문서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걸림턱(152f)이 캠롤러(152c)에 걸림됨에 따라 캠(152b)은 더 이상 회동이 불가능하지만, 배출롤러축(151a)으로부터 토오크 리미터(152a,torgue limiter)에 계속적인 회전력이 전달되는 상태에 있으므로 토오크 리미터(152a)에는 큰 회전 토오크가 작용되면서 고유의 기능에 따라 캠(152b)으로의 회전 토오크 전달은 차단되고, 배출롤러축과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배출롤러축(151a)이 회전되면, 이 축에 결합된 배출롤러(151b)가 문서의 상면을 압박하여 마찰력을 인가하게 되므로 적재부(131)에 적재된 문서는 가이드부(132)를 경유한 후, 문서발급기에 마련된 발급창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문서 적재대(130)에 적재된 문서가 배출되면, 배출 감지센서(180)에 의해 배출상태가 감지되고 이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모터(153a)의 역회전 구동을 차단하고, 스토퍼(141)가 문서 적재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 구동모터(14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후, 다른 문서의 발급이 요청되어 이송구동부(153)의 구동모터(153a)가 정회전되면 타이밍 벨트(153c)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접속된 배출롤러 구동기어(153b)를 매개로 배출롤러축(151a)이 회전되므로 캠(152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캠(152b)은 탄성부재(152d)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되므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캠(152b)이 상승되면 이 캠이 결합된 배출롤러축(151a) 또한 상승되므로 배출롤러(151b)가 문서 적재대(130)로부터 상승 이격되어 문서 이송대(110)로부터 이송 되어지는 문서의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프린터
100:문서 이송장치 110:문서 이송대
120:낱장 이송부 121:이송롤러부재
122:가이드롤러부재 130:문서 적재대
140:스토핑수단 141:스토퍼
142:스토퍼 구동모터 143:스토퍼 감지부
150:배출 이송부 151:배출롤러부재
152:배출롤러 승강수단 152a:토오크 리미터
152b:캠 152c:캠롤러
152d:탄성부재 153:이송구동부
153a구동모터 153b:배출롤러 구동기어
153c:타이밍 벨트 160:케이스
170:이송매수 감지센서 180:배출 감지센서

Claims (10)

  1.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에 있어서,
    프린터로부터 인쇄되어 한 장씩 배출되는 문서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문서 이송대;
    상기 문서 이송대를 통해 문서를 한 장씩 이송하는 낱장 이송부;
    상기 낱장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문서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문서 적재대;
    상기 문서 적재대의 배출측에 구성되고, 배출 대기상태에서 적층된 문서의 선단부가 걸림되고, 문서의 배출시에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작동되는 스토핑수단;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스토핑수단의 걸림상태 해제시에 어 적층된 문서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이송부; 및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가 적재되도록 상기 낱장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문서 적재대에 문서의 적재가 완료되면 한 번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토핑수단과 상기 배출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적재대는 상기 낱장 이송부에 의한 이송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 보다 낮은 레벨로 형성되는 판형구조의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배출측에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적재대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들롤러축과, 상기 아이들롤러축에 결합되고 외주면 일부가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면상으로 노출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를 구비한 아이들롤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수단은,
    상기 문서 적재대의 상측으로 출몰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가 모터축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를 출몰시키는 스토퍼 구동모터; 및
    상기 스토퍼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는 스토퍼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적재대측으로 이송되는 문서의 매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이송매수 감지센서와;
    상기 문서 적재대상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상기 문서 적재대측에 설치되는 배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이송부는,
    상기 문서 적재대에 횡설되는 배출롤러축상에 복수의 배출롤러가 결합된 배출롤러부재;
    상기 낱장 이송부에 의한 문서의 이송동작시에 상기 문서 적재대에 적재된 문서로부터 상기 배출롤러를 상방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문서 적재대에 적재된 문서의 배출동작시에 상기 배출롤러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문서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출롤러축를 승강시키는 배출롤러 승강수단; 및
    상기 배출롤러축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생성, 인가시키는 이송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승강수단은, 상기 배출롤러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토오크 리미터, 상기 토오크 리미터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캠, 상기 캠의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하측에 구성되는 캠롤러, 및 상기 캠에 상승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구동부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모터, 상기 배출롤러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배출롤러 구동기어, 상기 배출롤러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걸림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원판 형상을 갖되, 상기 토오크 리미터와 연동되어 회동된 후 상기 캠롤러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요입되는 안착홈부와, 상기 안착홈부가 상기 캠롤러에 안착되면 상기 캠의 회동동작을 차단시키도록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낱장 이송부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저부에 횡설되고 이송롤러축상에 복 수의 이송롤러가 결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이송롤러부재들와 대향되는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롤러축에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결합된 가이드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부재들은 상기 타이밍 벨트에 걸림되도록 상기 이송롤러축의 일단에 이송기어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부재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배출측 저부에 횡설되는 제1 이송롤러부재와, 상기 제1 이송롤러부재와 평행한 문서의 굴곡측에 횡설되는 제2 이송롤러부재; 및 상기 제2 이송롤러부재의 하방에 해당되는 상기 문서 이송대의 수직부에 횡설되는 제3 이송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부재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이송롤러부재의 대향되게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및 제3 가이드롤러부재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KR1020080072923A 2008-07-25 2008-07-25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KR10098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923A KR100985480B1 (ko) 2008-07-25 2008-07-25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923A KR100985480B1 (ko) 2008-07-25 2008-07-25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30A KR20100011630A (ko) 2010-02-03
KR100985480B1 true KR100985480B1 (ko) 2010-10-05

Family

ID=4208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923A KR100985480B1 (ko) 2008-07-25 2008-07-25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672A (ja) * 1993-12-21 1995-07-11 Canon Inc シート整合装置
JPH10194528A (ja) 1996-12-28 1998-07-28 Canon Inc シート整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76369B1 (ko) 2000-11-24 2003-03-1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문서자동발급기
JP2007204270A (ja) 2006-02-06 2007-08-16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672A (ja) * 1993-12-21 1995-07-11 Canon Inc シート整合装置
JPH10194528A (ja) 1996-12-28 1998-07-28 Canon Inc シート整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376369B1 (ko) 2000-11-24 2003-03-17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문서자동발급기
JP2007204270A (ja) 2006-02-06 2007-08-16 Toshiba Tec Corp 用紙後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630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1198A1 (ja) 媒体処理装置
JP2011088719A (ja) カード送出装置およびカード送出装置の制御方法
JPH10241003A (ja) 硬貨入出金装置
KR20110100410A (ko) 인쇄매체 후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834854B2 (en) Sheet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69065B2 (en) Sheet transfer apparatus and sheet supply apparatus
US5532809A (en) Copying machine having automatic document feeding device
JPH0192144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KR100985480B1 (ko) 문서발급기의 문서 이송장치
JP5617692B2 (ja) 収納繰出機構
JPS6056580A (ja) 印字装置用自動給紙装置
JP4890417B2 (ja) シート部材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JP5766514B2 (ja) 紙幣還流装置
JP2002302327A (ja) 記録材積載装置及び記録材処理装置
JP4707442B2 (ja) 給紙装置
JPH10329962A (ja) シート送り装置
JP4793866B2 (ja) 用紙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16773B2 (ja) 用紙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761105B1 (ko) 용지버퍼장치
JP2015221715A (ja) 給紙装置
US20130028698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3762381B2 (ja) 仕切り紙挿入型カード計数収納装置
JP4831669B2 (ja) 記録材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6166461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2257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