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828B1 -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828B1
KR100984828B1 KR1020087020903A KR20087020903A KR100984828B1 KR 100984828 B1 KR100984828 B1 KR 100984828B1 KR 1020087020903 A KR1020087020903 A KR 1020087020903A KR 20087020903 A KR20087020903 A KR 20087020903A KR 100984828 B1 KR100984828 B1 KR 10098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differential
transmission
timing difference
relay device
sa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661A (ko
Inventor
마사미치 사가
이츠오 슈토
미츠아키 미즈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8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2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2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 H02H3/3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two spaced portions of a single system, e.g. at opposite ends of one line, at input and output of apparatus using pilot wires or other signall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는 2단자 송전선(2)의 각 단자(3)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전송로(5, 6)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고, 전기량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한다.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 2개의 전송 수단(14)은 통상 시에 2개의 전송로(5, 6)에 의해 병행하여 타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와 각각 통신한다.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은 2개의 전송 수단(14)에 각각 접속되어 전송로(5, 6)마다 독립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한다. 신호 생성 수단(20)은 논리합 수단(21)에 의해,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합을 취하며, 이 논리합으로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의해 트립 신호를 생성한다.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송전선 보호 기능을 정지하는 일 없이 계속 가능한, 가동률 및 신뢰성이 높은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 시스템{CURRENT DIFFERENTIAL RELAY DEVICE, AND IT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TRANSMISSION LINE PRO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전력 계통의 송전선을 보호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력 계통의 송전선을 보호하기 위해, 전류 차동 계전 장치를 이용한 각종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도 4는 그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으로서, 특히 전송로를 이중화한 전송로 이중화 방식의 시스템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도 4에 도시하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1a, 1b)는 2단자 송전선(2)의 각 단자(3)[종단(縱端)(3a)과 주단(主端)(3b)]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 단자(3)의 변류기(4)(4a, 4b)로부터 계통의 전기량 데이터를 취득하며, 2개의 전송로(5, 6)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고,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도 4 중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참조 부호의 말미에 붙인 알파벳 문 자 「a」, 「b」는 2단자 송전선(2)의 종단(3a)과 주단(3b) 및 이들 단자(3a, 3b)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의 구성은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며, 또, 부수 알파벳 문자 「a」, 「b」를 제외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 중에서는 간략화의 관점에서, 그와 같은 명확한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만 부수 문자 「a」, 「b」를 기재하며,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생략한다.
차동 전류 계전 장치(1)는, 우선, 변류기(4)로부터 계통적 전기량 데이터를 아날로그 입력으로 취득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A/D 변환 수단)(11)과, 2개의 전송로(5, 6)의 수신을 전환을 행하는 수신 전환 수단(12)과, 이 수신 전환 수단(12)을 통하여 타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와 통신하는 전송 수단(13)을 갖는다. 이 전송 수단(13)에는 전송로(5, 6)의 전송 불량을 검출하는 요란 검출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송로 이중화 방식에 있어서, 전송 수단(13)은 수신 전환 수단(12)에 의한 수신 전환에 따른 수신측의 전송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2개의 전송로(5, 6)에 병행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요란 검출부(131)에 의해, 현재 수신측 전송로의 전송 불량을 검출한 경우에는, 수신 전환 수단(12)에 이 전송 불량을 나타내는 전송 불량 검출 신호를 전달하여 수신 전환을 행하게 한다. 한편, 전송로 이중화 방식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차동 전류 계전 장치(1)는,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1)으로부터 자단(自端)의 전기량 데이터를 수취하며, 전송 수단(13)에 의해 수신된 타단의 전기량 데이터를 수취하고, 이들 전기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과,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로직 시퀀스 처리를 수행하여,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시퀀스 연산 수단(15)과, 생성된 트립 신호를 자단의 차단기(7)를 향해 출력하는 출력 수단(16)을 갖는다.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87 계전기 등이 사용된다.
또한, 종단(3a)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는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과, 측정한 타이밍차에 기초하여, 주단(3b)의 샘플링 펄스 신호와 동기를 취하기 위한 보정량을 산출하는 보정 수단(18a)과, 주단(3b)과 샘플링 동기된 샘플링 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1a)에 전달하는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19a)을 갖는다. 이에 대하여, 주단(3b)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b)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17b)과,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19b)만 갖는다.
이러한 도 4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계통적 전기량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1)에는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19)으로부터 샘플링 펄스 신호가 전달되지만, 종단(3a)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서의 샘플링 펄스 신호는 보정 수단(18a)에 의해, 주단(3b)의 샘플링 펄스 신호와 동기가 취해진다. 수신 전환 수단(12)에 의해 접속되는 전송로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 17b)에 의해,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가 산출된다.
여기서, 종단(3a)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서는, 종단(3a)과 주단(3b)의 타이밍차에 기초하여, 보정 수단(18a)에 의해 주단(3b)의 샘플링 펄스 신호와 동기를 취하기 위한 샘플링 펄스 신호 보정량을 산출하여,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19a)에 의해 주단(3b)과 샘플링 동기된 샘플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구체적인 샘플링 동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샘플링 동기의 원리]
이하에는 도 5을 이용하여, 주단과 종단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서의 샘플링 동기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에 있어서의 「주단」 및 「종단」은 간략화의 관점에서, 「주단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 및 「종단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를 약칭한 것이며, 마찬가지로 「장치」는 「전류 작동 계전 장치」를 약칭한 것이다.
도 5의 (a)는 한쪽의 단자(주단)와 다른 쪽의 단자(종단)에서 함께 일정한 샘플링 주기(T)로 샘플링이 행해지고 있지만, 주단과 종단에서는 ΔT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가 생기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에서 우선, 종단에서는 전기량 데이터와 함께 동기 신호(샘플링 동기 플래그)를 주단에 송신한다(F0). 주단에서는 자장치(自裝置)의 샘플링 타이밍으로부터 샘플링 동기 플래그가 포함되는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까지의 수신 타이밍차(Tm)를 측정하며, 샘플링 동기 플래그와 측정한 수신 타이밍차(Tm)를 전기량 데이터와 함께 종단에 반송한다(F1).
다음에, 종단은 주단과 마찬가지로 자장치의 샘플링 타이밍으로부터 샘플링 동기 플래그가 포함되는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까지의 수신 타이밍차(Ts)를 측정하며, 주단에서 측정된 수신 타이밍차(Tm)를 독출한다.
여기서, 종단의 송신 데이터가 주단에 도착하기까지의 상행의 전송 지연 시간과 주단의 송신 데이터가 종단에 도착하기까지의 하행의 전송 지연 시간이, 모두 Td로 같다고 하면, 이 전송 지연 시간(Td)은 주단 또는 종단에서 측정된 수신 타이밍차(Tm) 또는 수신 타이밍차(Ts)와,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 및 샘플링 주기(T)를 이용하여, 각각 다음 식 (1), (2)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Td=Tm+ΔT+iT … (1)
Td=Ts-ΔT+jT … (2)
i, j는 모두 정수
도 5의 경우는 i=1, j=2
여기서, 식 (1)과 식 (2)의 차를 취하여, ΔT에 대해서 정리하면, 다음의 식 (3)을 얻을 수 있다.
2ΔT=Ts-Tm+(j-i)T … (3)
또한,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는 그 성질상, 항상 샘플링 주기(T)보다 작은 것이기 때문에, 식 (3) 중에서 항 (j-i)T(즉 T의 배수)은 삭제할 수 있으므로, 식 (3)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의 산출식 (4)를 얻을 수 있다.
ΔT=(Ts-Tm)/2 … (4)
따라서, 종단에서는 이 식 (4)를 계산하며,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 가 거의 0이 되도록 종단의 샘플링 타이밍을 옮김으로써, 주단과 종단의 상호 독립된 2장치 사이의 샘플링 타이밍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단에서는 구한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샘플링 동기가 취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정에만 사용하며, 샘플링 펄스를 보정하지 않는다.
도 5의 (b)는 주단과 종단의 샘플링 타이밍이 일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종단은 샘플링 동기 플래그를 송출하고 나서 주단에 의해 반송되어 오기까지의 샘플링 주기수(T0)를 측정하며, 이 샘플링 주기수(T0)와, 먼저 측정한 타이밍차(Ts) 및 샘플링 주기(T)로부터 전송 지연 시간(Td)을 다음 식에서 산출한다.
Td=T0/2-T+Ts … (5)
종단에서는 이 식 (5)에 의해, 주단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데이터가 자단의 샘플링 타이밍에 대하여, 어느 정도 지연된 데이터인지를 판명하기 위해, 종단과 주단에서 동일 시각에 샘플링한 데이터끼리를 사용한 연산이 가능하게 된다.
[전송로 이중화 방식]
이하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송로 이중화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송로를 이용하여 송전선을 보호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있어서, 그 가동률(보호 기능이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 시간 확률)은 전송로의 품질에 크게 의존한다. 즉, 전송로에서 전송 불량이 생기면, 기본적으로 전류 차동 계전 장치는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을 로크(lock)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기 때문에, 보 호 기능이 정지하게 되어 그만큼의 가동률이 저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전송로 이중화 방식은 품질이 이상적이지 않은 전송로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기능 정지 시간을 단축하여,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가동률을 향상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며, 2개의 단자에 마련된 2개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를 이중화한 전송로를 통하여 상호 접속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종래의 전송로 이중화 방식에서는, 전송로를 2개의 전송로(5, 6)에 의해 이중화하며, 한쪽의 전송로를 상용, 다른 쪽을 대기용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전송로(5)를 상용, 전송로(6)를 대기용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송신 신호는 양쪽의 전송로(5, 6)에 병행적으로 출력된다.
이 도 4에 도시하는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에 있어서, 통상은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의 수신 전환 수단(12a, 12b)을 통하여 전송 수단(13a, 13b)을 상용 전송로(5)에 접속함으로써, 상용 전송로(5)를 통하여 타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만, 상용 전송로(5)에 전송 불량이 생기면,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a, 14b)이 로크된다.
상용 전송로(5)에 전송 불량이 생겼을 때에는, 전송로의 과도한 수신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10초 정도의 확인 시간을 마련한다. 이 확인 시간 내에서, 전송 수단(13a, 13b)의 요란 검출부(131a, 131b)에 의해 전송로의 요란을 검출하며, 그것이 전송로의 수신 전환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 전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송 불량 검출 신호를 수신 전환 수단(12a, 12b)에 전달하고, 수신 전환 수단(12a, 12b)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용 전송로(5)로부터 대기용 전송로(6)에 수신 전환을 행한다. 이 수신 전환에 의해,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a, 14b)을 로크 해제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전환 방식을 이용한 경우, 단일 전송로용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이어도, 전송 제어 및 전류 차동 연산의 구조를 하등 변경할 필요 없이, 전송로의 수신 전환 수단을 마련하는 것만으로, 전송로 이중화 방식에 용이하게 대응 가능하며, 이것은 실장상의 큰 이점이다.
또한, 전술한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의 산출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는 전송로의 전송 지연 시간(Td)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한쪽 전송로(5)와 다른 쪽 전송로(6)의 전송 지연 시간이 각각 Td1, Td2로 다르다고 하여도, 각각의 수신 타이밍(Ts1, Tm1 및 Ts2, Tm2)에 의해, 하기의 식 (6)∼(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가 산출된다.
따라서, 전송로의 수신 전환 시에, 2개의 전송로(5, 6)에서의 전송 지연 시간이 달라도, 샘플링 신호를 인입하여 고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0에서 전송로가 수신 전환된 경우, 전송 불량으로 샘플링 동기를 중단하고 있었던 동안의 슬라이딩을 제외하면, 전환 후의 전송으로 새롭게 계산되는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도 또 O이다.]
전송로(5) 선택 시:
Td1=Tm1+ΔT+iT … (6)
Td1=Ts1-ΔT+jT … (7)
ΔT=(Ts1-Tm1)/2 … (8)
Td1=TO/2-T+Ts1 … (9)
전송로(6) 선택 시:
Td2=Tm2+ΔT+iT … (10)
Td2=Ts2-ΔT+jT … (11)
ΔT=(Ts2-Tm2)/2 … (12)
Td2=T0/2-T+Ts2 … (13)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1-890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평성 제1-24014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송로 이중화 방식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로의 과도한 수신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전송로의 수신 전환 확인 시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지만, 상용 전송로에 전송 불량이 생겼을 때, 대기용 전송로에의 수신 전환을 완료하기까지의 확인 시간 동안에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의한 송전선 보호 기능이 정지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용 전송로에 전송 불량이 생겼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확인 시간 내에서, 전송 수단(13a, 13b)의 요란 검출부(131a, 131b)에 의해 전송로의 요란을 검출하며, 그것이 전송로의 수신 전환을 필요로 한다고 판단한 뒤에, 수신 전환 수단(12a, 12b)에 의해 전송로의 수신 전환을 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의 확인 시간은 예컨대 10초 정도를 요한다. 그 때문에, 전송로의 수신 전환 완료까지의 확인 시간 동안에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의한 송전선 보호 기능이 정지하게 되며,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하게 된다.
또, 간헐적인 전송 불량이 생긴 경우에는, 전송로의 수신 전환이 행해지지 않으며,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의한 송전선 보호 기능의 정지·운용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도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며, 그 목적은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복수의 단자 사이에서의 샘플링 동기를 유지하면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정지하는 일 없이 계속할 수 있는, 가동률 및 신뢰성이 높은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중화된 전송로에 대하여, 전송 수단, 타이밍차 측정 수단, 및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을 전송로마다 독립된 2계열로 하여, 전송로마다 독립된 2계열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며, 전송로마다 독립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고,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복수의 단자 사이에서의 샘플링 동기를 유지하면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정지하는 일 없이 계속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는, 송전선의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송전선의 타단에 설치된 다른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상호 접속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로서,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샘플링 펄스 신호 발생 수단, 타이밍차 측정 수단, 보정 수단,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전송 수단, 전류 차동 연산 수단, 신호 생성 수단을 구비한 장치이다. 이들 수단의 기본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샘플링 펄스 신호 발생 수단은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나타내는 샘플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타이밍차 측정 수단은 자단과 상기 타단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한다. 보정 수단은 상기 타이밍차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타이밍을 보정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은 상기 샘플링 타이밍에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다. 전송 수단은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상기 타단과 통신하며,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로 상호 송수신한다.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은 자단과 상기 타단의 전기량 데이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한다.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는 이상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우선, 전송 수단 및 타이밍차 측정 수단으로서,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병행하여 상기 타단과 각각 통신하는 2계열의 상기 전송 수단과,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타이밍차 측정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타이밍차 측정 수단을 갖는다. 이러한 타이밍차 측정의 2계열화에 따른 신규 수단으로서, 상기 2계열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에 의한 타이밍차 측정 결과의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전달하는 전환 수단을 갖는다. 또, 상기 전류 차동 연산 수단으로서, 상기 2계열의 전송 수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을 갖는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에 의한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특징을 방법의 관점에서 파악한 것이며, 송전선 보호 시스템은 상기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특징을 2개의 상기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전체의 관점에서 파악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복수의 단자 사이에서의 샘플링 동기를 유지하면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정지하는 일 없이 계속 할 수 있는, 가동률 및 신뢰성이 높은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송로 이중화 방식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예를 도시하는 구성 도이다.
도 5는 공지된 샘플링 동기 방법을 설명하는 원리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차동 전류 계전 장치 2: 송전선
3a: 종단 3b: 주단
4a, 4b: 변류기 5, 6: 전송로
7a, 7b: 차단기
11a, 11b: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A/D 변환 수단)
12a, 12b: 수신 전환 수단
13a, 13b, 13a1, 13a2, 13b1, 13b2: 전송 수단
131a, 131b, 131a1, 131a2, 131b1, 131b2: 요란 검출부
14a, 14b, 14a1, 14a2, 14b1, 14b2: 전류 차동 연산 수단
15a, 15b: 시퀀스 연산 수단 16a, 16b: 출력 수단
17a, 17b, 17a1, 17a2, 17b1, 17b2: 타이밍차 측정 수단
18a, 18b: 보정 수단 19a, 19b: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
20a, 20b: 신호 생성 수단 21a, 21b: 논리합 수단(OR)
22a, 22b: 선택 수단 23a, 23b: 논리곱 수단(AND)
31a, 31b: 전환 수단
이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종래 기술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 중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참조 부호의 말미에 붙인 알파벳 문자 「a」, 「b」가 2단자 송전선(2)의 종단(3a)과 주단(3b) 및 이들의 단자(3a, 3b)에 각각 설치된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점, 및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 1b)의 구성이 일부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한 점은 도 4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 중에서는, 하나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 내에 복수의 동일 구성 요소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참조 부호의 말미에, 단자 사이의 구별 및 동일 구성 요소 사이의 구별을 나타내는 부수 문자열 「a1」, 「a2」, 「b1」, 「b2」가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하의 설명 중에서는, 간략화의 관점에서, 그와 같은 명확한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만, 부수 문자 「a」, 「b」 또는 부수 문자열 「a1」, 「a2」, 「b1」, 「b2」를 기재한다. 그리고, 구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부수 문자 또는 부수 문자열을 적절하게 생략하거나, 혹은 부수 문자열을 일반적으로 나타내는 대용적인 부수 문자열로서, 「a1」, 「b1」에 대해서는 「*1」을 사용하며, 「a2」, 「b2」에 대해서는 「*2」를 사용한다.
[제1 실시형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도 1에 도시하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종래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즉, 2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1a, 1b)는 2단자 송전선(2)의 각 단자(3)[종단(3a)과 주단(3b)]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2개의 전송로(5, 6)를 통하여 상호 접속되고,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는, 우선, 종래의 전송로 이중화 방식에서는 모두 단일 수단만이 사용되었던 전송 수단, 전류 차동 연산 수단, 및 타이밍차 측정 수단으로서, 2개의 전송 수단(13*1, 13*2)(*=a, b),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a, b), 및 2개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a, b)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전송 수단(14*1, 14*2)은 통상 시에는 2개의 전송로(5, 6)에 의해 병행하여 타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와 각각 통신하는 수단이며, 개개의 전송 수단(14*1, 14*2)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요란 검출부(131*1, 131*2)를 갖고 있다. 여기서, 요란 검출부(131*1, 131*2)는 전송로의 전송 불량을 검출한 경우에 전송 불량 검출 신호를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 및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또,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은 2개의 전송 수단(14*1, 14*2)에 각각 접속되어 전송로(5, 6)마다 독립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는, 또한, 이와 같이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 의해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종래와 동일한 시퀀스 연산 수단(15)의 전단에 논리합 수단(OR)(21)을 부가한 신호 생성 수단(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신호 생성 수단(20)은 논리합 수단(21)에 의해,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합을 취하며, 이 논리합으로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의해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한편, 2개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은 2개의 전송 수단(14*1, 14*2)에 의해 2개의 전송로(5, 6)로부터의 데이터를 병행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전송로(5, 6)마다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으로서 각각 마련된 것이다. 또한, 종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서는, 이들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1, 17a2)에 의해 얻어지는 2개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전환하여, 어느 한쪽만을 보정 수단(18)에 전달하는 전환 수단(31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한 종래의 송전선 보호 시스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작용]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차동 전류 계전 장치(1)는 샘플링 펄스 발생 수단(19)으로부터 출력되는 샘플링 펄스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11)에서 전력 계통의 전기량을 샘플링하여 전기량 데이터를 얻는다.
각 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서 얻어진 전기량 데이터는 전송 수단(13*1, 13*2)에 의해 대향하는 단자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와 상호 전송된다. 이때, 전송로(5)에 대해서는 전송 수단(13*1)(13a1, 13b1) 및 전류 차동 연산 수 단(14*1)(14a1, 14b1)이, 전송로(6)에 대해서는 전송 수단(13*2)(13a2, 13b2) 및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2)(14a2, 14b2)이 각각 독립적으로 대응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전송로(5)와 전송로(6)의 전송 지연 시간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 의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는, 신호 생성 수단(20)의 논리합 수단(OR)(21)에 의해 그 논리합이 취해져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시퀀스 연산 수단(15)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전송 지연 시간이 짧은 전송로 쪽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써 트립 신호가 생성되어, 출력 수단(16)으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양쪽의 전송로(5, 6)가 동시에 전송 불량이 되지 않는 한, 정상적인 전송로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계속할 수 있다.
또, 종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 있어서, 샘플링 펄스 신호는 보정 수단(18a)에 의해 주단의 샘플링 펄스 신호와 동기가 취해진다. 이 경우, 양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서, 전송로(5, 6)마다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에 의해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가 산출되지만, 상기 식 (8) 및 식 (12)에 의해, 2개의 전송로(5, 6)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를 각각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떤 전송로(5, 6)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를 사용한 경우에도, 정확한 샘플링 동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단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a)에서는, 전환 수단(31a)에 의해 전송 불량이 아닌 쪽의 연산 결과를 선택 하고, 보정 수단(18a)에 의해 이 연산 결과를 사용하여 샘플링 펄스를 보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한쪽의 전송로, 예컨대 전송로(5)를 우선으로 해두고, 전송로(5)의 전송 불량 없이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ΔT)를 계속 산출할 수 있는 한,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1)으로부터 얻어지는 ΔT를 샘플링 펄스 보정에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전송로(5)에 전송 불량이 생겨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1)의 ΔT 산출 정지,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2)의 ΔT 산출 계속이 되었을 때에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17a2)의 ΔT를 샘플링 펄스 보정에 이용하면 된다. 또한, 전환 수단(31a)에 의한 전송 불량의 유무의 판정은 요란 검출부(131*1, 131*2)로부터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에 전달되는 전송 불량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전류 차동 연산을 일시적으로도 전혀 정지하는 일 없이, 복수의 단자 사이에서의 샘플링 동기를 유지하면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확실하게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가동률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구성]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도 2에 도시하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다음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제2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으로부터는 전류 차동 연산 결과에 더하여, 현재의 상태가 로크 상태인지 레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레디 플래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신호 생성 수단(20)에 있어서는, 논리합 수단(21) 대신에 레디 플래그에 따라 사용하는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2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작용]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작용은,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서의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과 신호 생성 수단(20)의 처리뿐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은 일반적인 전류 차동 연산 수단과 마찬가지로, 전송 불량이나 동기 불량, 자동 감시 불량 등의 어떠한 불량이 발생하면 로크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 있어서는, 전류 차동 연산 결과에 더하여, 현재의 상태가 로크 상태인지 레디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레디 플래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으로부터 출력되는 레디 플래그를 신호 생성 수단(20)의 선택 수단(22)에 도입하며, 레디 상태인 쪽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선택하여 후단의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도입한다. 그리고, 2개의 독립적인 전류 차동 연산 결과 중, 레디 상태에 있는 쪽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사 용하여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의해 트립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수단(16)으로부터 트립 출력을 행한다.
이 경우의, 구체적인 선택 방식으로서는, 예컨대 초기 상태에서는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설정해두고,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의 레디 플래그가 오프, 즉 로크 상태가 된 경우에, 다른 쪽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2)의 레디 플래그가 온이면, 이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2)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선택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우선측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이 로크 상태며 비우선측이 레디 상태인 경우에는 다른 쪽을 선택하고, 우선측·비우선측 모두 레디 상태 혹은 로크 상태인 경우는 우선측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을 선택하면 된다.
[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등가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이 전송 불량이어도, 전류 차동 연산을 일시적으로도 전혀 정지하는 일 없이, 복수의 단자 사이에서의 샘플링 동기를 유지하면서, 송전선 보호 기능을 확실하게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가동률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구성]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도 3에 도시하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지만, 다음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제3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 신호 생성 수단(20)에서는 논리합 수단(21) 대신에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곱을 취하는 논리곱 수단(AND)(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작용]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작용은 신호 생성 수단(20)의 처리뿐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차동 전류 계전 장치(1)에 있어서,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에 의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는 신호 생성 수단(20)의 논리곱 수단(AND)(23)에 의해 그 논리곱이 취해져 시퀀스 연산 수단(15)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시퀀스 연산 수단(15)에서는, 2계통의 독립적인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곱으로 트립 신호가 생성되어 출력 수단(16)으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와 같이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곱을 취하는 경우, 2개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14*1, 14*2)이 함께 동작 판정에 이르러 처음으로 트립 신호가 생성되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적용하는 2개의 전송로(5, 6)가 충분히 고품질인 것이 전제 조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충분히 고품질인 2개의 전송로(5, 6)를 이용한 뒤에, 2개의 전송로(5, 6)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는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곱을 취함으로써, 전송 불량에 의한 오판정에 기인하는 트립 출력의 오출력 가능성을 극력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데이터에 있어서의 전송 불량의 검출 방식으로서는, CRC 부호 등을 부가하여 전송 불량을 확실하게 찾아내는 방식이 존재하지만, CRC 체크에 의한 전송 불량의 검출 신뢰성은 100%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과전류 릴레이 요소 등의 알고리즘이 다른 릴레이 요소를 병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트립 출력의 오출력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거의 등가인 효과에 더하여, 또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중화된 전송로의 한쪽의 전송 불량에 의해, 한쪽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이 오동작한 경우에도, 다른 쪽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의 정부(正不) 동작에 의해 트립 출력의 오출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 보호 기능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 외에도 다종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 가능하다. 즉, 도면에 도시한 시스템 구성이나 장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송 수단(13*1, 13*2)의 요란 검출부(131*1, 131*2)로부터의 전송 불량 검출 신호를 타이밍차 측정 수단(17*1, 17*2)에 전달하는 대신에, 전환 수단(31)에 전달하여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단자 송전선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3 이상의 단자를 갖는 송전선에 설치하는 차동 전류 계전 장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송전선의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송전선의 타단에 설치된 다른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상호 접속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로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나타내는 샘플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샘플링 펄스 신호 발생 수단과,
    자단(自端)과 상기 타단(他端)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과,
    상기 타이밍차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타이밍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상기 샘플링 타이밍에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과,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상기 타단과 통신하며,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로 상호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과,
    자단과 상기 타단의 전기량 데이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전류 차동 연산 수단과.
    상기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
    을 구비한 전류 차동 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병행하여 상기 타단과 각각 통신하는 2계열의 상기 전송 수단과,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타이밍차 측정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타이밍차 측정 수단과,
    상기 2계열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에 의한 타이밍차 측정 결과의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전달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2계열의 전송 수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전류 차동 연산 수단
    을 갖고,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에 의한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합으로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 중, 레디(ready) 상태에 있는 쪽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의 논리곱으로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
  5. 송전선의 일단에 설치되며, 2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송전선의 타단에 설치된 다른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상호 접속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으로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나타내는 샘플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며,
    자단과 상기 타단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고,
    상기 타이밍차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타이밍을 보정하며,
    상기 샘플링 타이밍에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고,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상기 타단과 통신하며,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로 상호 송수신하며,
    자단과 상기 타단의 전기량 데이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병행하여 상기 타단과 각각 통신하며,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된 2계열의 타이밍차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2계열의 타이밍차 측정 결과의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샘플링 타이밍을 보정하며,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된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신호 생성 방법.
  6. 송전선의 2개의 단자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를, 2개의 전송로를 통하여 상호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으로서,
    상기 2개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각각에서 본 경우에, 상기 2개의 단자 중, 자기 장치가 설치된 측의 단자를 자단(自端), 다른 장치가 설치된 측의 단자를 타단(他端)이라 칭하기로 하면,
    상기 2개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각각이,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나타내는 샘플링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샘플링 펄스 신호 발생 수단과,
    자단과 상기 타단의 샘플링 펄스 신호 타이밍차를 측정하는 타이밍차 측정 수단과,
    상기 타이밍차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샘플링 타이밍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과,
    상기 샘플링 타이밍에서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과,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상기 타단과 통신하며, 각각의 단자의 전기량 데이터를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로 상호 송수신하는 전송 수단과,
    자단과 상기 타단의 전기량 데이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전류 차동 연산 수단과,
    상기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수단
    을 구비한 송전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류 차동 계전 장치의 각각은,
    상기 2개의 전송로에 의해 병행하여 상기 타단과 각각 통신하는 2계열의 상기 전송 수단과,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타이밍차 측정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타이밍차 측정 수단과,
    상기 2계열의 타이밍차 측정 수단에 의한 타이밍차 측정 결과의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보정 수단에 전달하는 전환 수단과,
    상기 2계열의 전송 수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전송로마다 독립적으로 전류 차동 연산을 수행하는 2계열의 상기 전류 차동 연산 수단을 갖고,
    상기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2계열의 전류 차동 연산 수단에 의한 전류 차동 연산 결과로부터 트립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 보호 시스템.
KR1020087020903A 2006-02-28 2007-02-28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KR100984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4152A JP4908018B2 (ja) 2006-02-28 2006-02-28 電流差動継電装置とそ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送電線保護システム
JPJP-P-2006-00054152 200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661A KR20080088661A (ko) 2008-10-02
KR100984828B1 true KR100984828B1 (ko) 2010-10-04

Family

ID=3845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903A KR100984828B1 (ko) 2006-02-28 2007-02-28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8278B2 (ko)
JP (1) JP4908018B2 (ko)
KR (1) KR100984828B1 (ko)
CN (1) CN101390265B (ko)
DE (1) DE112007000473T5 (ko)
WO (1) WO2007099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8018B2 (ja) 2006-02-28 2012-04-04 株式会社東芝 電流差動継電装置とそ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送電線保護システム
JP5279282B2 (ja) * 2008-01-24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Pcm電流差動保護リレー
JP5068200B2 (ja) 2008-02-29 2012-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流差動保護リレー
JP2012055079A (ja) * 2010-08-31 2012-03-15 Toshiba Corp 保護リレー装置
KR101108683B1 (ko) 2010-09-29 2012-01-30 한국전력공사 프로세스 버스 기반의 차동보호계전 lED의 위상각 차 보상장치 및 방법
EP2560259A1 (en) * 2011-08-16 2013-02-20 ABB Technology AG A method of distance protection of parallel transmission line
JP2013115869A (ja) * 2011-11-25 2013-06-10 Toshiba Corp 送電線保護継電装置
JP5901955B2 (ja) * 2011-12-12 2016-04-13 株式会社東芝 リレー装置
EP2693586B1 (en) * 2012-07-31 2016-04-06 ABB Research Ltd. Clock synchronization for line differential protection
JP2014135875A (ja) * 2013-01-11 2014-07-24 Toshiba Corp 送電線保護装置
KR101580734B1 (ko) 2014-04-14 2015-1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Hvdc 시스템의 절체 방법
KR102006186B1 (ko) * 2015-02-06 2019-08-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 계전기
CN105631149B (zh) * 2016-01-05 2019-05-03 西南民族大学 一种基于相关性求时差的方法
CN105677958B (zh) * 2016-01-06 2019-09-27 西南民族大学 一种基于互相关函数求时差的方法
CN109565171B (zh) * 2016-08-29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充电保护方法、终端及充电器
CN107276054A (zh) * 2017-07-24 2017-10-20 江苏易立电气股份有限公司 高压输电线路成套保护装置及其保护方法
JP7131211B2 (ja) * 2018-08-30 2022-09-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給電制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636A (ja) * 1992-02-24 1993-09-10 Fuji Electric Co Ltd 比率差動継電器
JP2001095143A (ja) 1999-09-20 2001-04-06 Hitachi Ltd 電流差動保護継電装置
JP2004088919A (ja) 2002-08-27 2004-03-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流差動保護継電装置
JP2007236097A (ja) 2006-02-28 2007-09-13 Toshiba Corp 電流差動継電装置とそ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送電線保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419A (ja) 1981-10-29 1983-05-07 株式会社東芝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装置
JPS59162711A (ja) * 1983-03-04 1984-09-13 株式会社東芝 保護継電装置
JPS6039310A (ja) 1983-08-12 1985-03-01 株式会社東芝 サンプリング同期方法
JPS6055823A (ja) * 1983-09-06 1985-04-01 株式会社東芝 搬送継電装置
JPS61247214A (ja) * 1985-04-24 1986-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搬送保護継電装置
JPS6424014A (en) 1987-07-21 1989-01-26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zeolite composition from fly ash
JP3381997B2 (ja) 1994-01-24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電流差動継電装置
JPH1070834A (ja) 1996-08-28 1998-03-10 Toshiba Corp ディジタル形電流差動継電器
JP2000214210A (ja) * 1999-01-20 2000-08-04 Toshiba Corp 事故点標定装置
DE10163016A1 (de) * 2001-12-20 2003-07-10 Siemens Ag DI-Schutzeinrichtung
US7126800B2 (en) * 2003-07-11 2006-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s channel delay asymmetry compensation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s
CN1635679B (zh) * 2003-12-30 2010-12-15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Ta饱和时的电流差动保护方法
KR100866949B1 (ko) * 2004-02-02 2008-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최대 좌표 신호에 기초한 루프 타이밍 복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6636A (ja) * 1992-02-24 1993-09-10 Fuji Electric Co Ltd 比率差動継電器
JP2001095143A (ja) 1999-09-20 2001-04-06 Hitachi Ltd 電流差動保護継電装置
JP2004088919A (ja) 2002-08-27 2004-03-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流差動保護継電装置
JP2007236097A (ja) 2006-02-28 2007-09-13 Toshiba Corp 電流差動継電装置とそ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送電線保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4976A1 (en) 2009-07-09
JP4908018B2 (ja) 2012-04-04
WO2007099712A1 (ja) 2007-09-07
DE112007000473T5 (de) 2009-01-15
CN101390265A (zh) 2009-03-18
JP2007236097A (ja) 2007-09-13
KR20080088661A (ko) 2008-10-02
US8218278B2 (en) 2012-07-10
CN101390265B (zh)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828B1 (ko) 전류 차동 계전 장치와 그 신호 처리 방법, 및 송전선 보호시스템
RU2333528C2 (ru) Управляемая компьютером отказоустойчивая система
KR20020027273A (ko)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JP5020421B1 (ja) 保護制御装置
US20080137246A1 (en) Relay system in substation and PCM current differential relay system
CN109347070A (zh) 一种适用于高速铁路牵引网的状态测控保护系统
JP2010041899A (ja) 保護リレーシステム
JP5507025B1 (ja) 電流差動リレー
JP2002186166A (ja) ディジタル保護継電装置
US20130178176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transmitter
WO2010088788A1 (en) Method for detecting network asymmetrical status and asymmetrical communication channels for power system
JP2013115869A (ja) 送電線保護継電装置
JP6161514B2 (ja) プロセスバス適用保護システム
JP5279282B2 (ja) Pcm電流差動保護リレー
JP2692907B2 (ja)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方式
JPH01302939A (ja)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方式
US10534090B2 (en) Process bus-applied protection system
JP6571593B2 (ja) 二重系制御システム
JP4069600B2 (ja) 主後一体形保護継電装置
JPH02155420A (ja) サンプリング時刻同期方式
JP2006246680A (ja) Pcm電流差動保護リレー装置
JPS62260519A (ja) 搬送保護継電装置
JPH11251978A (ja) 遅延位相制御機能試験方式
JPS62250816A (ja) 電流差動継電装置
JP2000332701A (ja) 電気/光信号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