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759B1 -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759B1
KR100984759B1 KR1020070013722A KR20070013722A KR100984759B1 KR 100984759 B1 KR100984759 B1 KR 100984759B1 KR 1020070013722 A KR1020070013722 A KR 1020070013722A KR 20070013722 A KR20070013722 A KR 20070013722A KR 100984759 B1 KR100984759 B1 KR 10098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attachment members
grid
unit frame
shiel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6794A (ko
Inventor
나리토시 타카마츠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9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corona discharge devices, e.g. wires, pointed electrodes, means for cleaning the corona discharg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6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2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 G03G2215/026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 G03G2215/028Arrangements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by coronas using pointed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감광체 드럼 유닛은 프레임과, 감광체 드럼과, 스코로트론형 대전기를 포함한다. 대전기는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부착부재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방전전극 조체(條體)와, 부착부재 사이에 결합상태로 지지되어 방전전극 조체를 덮는 실드 케이스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실드 케이스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그리드와, 한쌍의 부착부재와 그 사이의 실드 케이스를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PHOTOCONDUCTOR DRUM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감광체 드럼 유닛이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감광체 드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감광체 드럼 유닛에 조립되는 대전기에 있어서,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절개해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팩시밀리 장치, 복사기 혹은 프린터(이들의 복합기도 포함) 등에 채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코로트론형 대전기를 구비한 감광체 드럼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유닛 프레임에 감광체 드럼이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코로트론형 대전기가,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대치한 상태에서 감광체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유닛화된 감광체 드럼 유닛은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코로트론형 대전방식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의 표면과 그리드의 거리가 감광체 드럼의 길이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나 등거리로 유지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감광체 드럼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전 편차가 생긴다. 이것이 화상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종래, 실드 케이스, 방전 와이어(조체(條體)) 및 그리드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서 유닛화된 대전기가 있다. 이 대전기는 감광체 드럼을 지지하는 유닛 프레임에, 길이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있었다. 유닛 프레임은 수지 성형품이므로 길이방향으로 비틀어짐 등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한편, 대전기는 전체적으로 강체형상의 일체물로서 구성되므로, 대전기가 유닛 프레임에 나사 체결될 때 유닛 프레임의 변형에 따르기 어렵다. 그 때문에, 그리드와 감광체 드럼 표면의 거리가 길이방향에 있어서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로서, 감광체의 축에 그리드판을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설치한 스코로트론형 대전기가 있다. 이 대전기에서는 축의 편심량에 의해 감광체 표면과 그리드판의 거리가 변동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선행기술에서 제안된 스코로트론형 대전기에는 감광체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감광체 표면과 그리드판의 거리를 소정의 거리로 유지하는 위치결정부재가 설치되고, 이 위치결정부재가 그리드판에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에서는 대전장치의 본체로부터 그리드 전극이 분리되어 있다. 이 그리드 전극이, 감광체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감광체 지지체(유닛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결정부재 및 위치조정장 치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앞의 선행기술로서 제안된 스코로트론형 대전기에 있어서는, 대전기는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된 홀더 사이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그리드판의 유지부재가 감광체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되므로, 그리드판과 감광체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테플론(등록상표) 등의 저마찰물질이 도포된 위치결정부재가 필요하게 되므로, 고비용으로 되는 것은 불가피했다. 또, 유닛 프레임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홀더와 대전기는 일체로 되므로, 유닛 프레임과 대전기의 전체가 강체형상의 일체물로 된다. 이 때문에, 유닛 프레임에 변형 등이 있으면, 대전기는 이 변형에 따르기 어렵다. 따라서, 부착 고정의 확실성이 손상되는 것도 예상되었다.
또한, 제2의 선행기술로서 제안된 대전장치에 있어서는, 그리드 전극이 대전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감광체 드럼의 유닛 프레임에 부착된다. 이 구성에서는, 위치결정부재 및 위치조정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점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고비용으로 된다. 또, 유닛 프레임에 그리드 전극이 부착되므로, 감광체 드럼과 대전장치가 드럼 유닛으로서 구성될 경우에는 대전장치의 본체와 그리드 전극의 위치조정도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이면서, 대전기가 유닛 프레임의 변형 등에 추종하여 감광체 드럼과의 소정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감광체 드럼 유닛은, 유닛 프레임과 감광체 드럼과 유닛 프레임을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은 유닛 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코로트론 대전기는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대치하고, 그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있어서 부착되어 고정된다. 대전기는 한쌍의 부착부재, 방전전극 조체, 실드 케이스, 그리드 및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한쌍의 부착부재는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방전전극 조체는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다. 실드 케이스는 부착부재 사이에 결합상태로 지지되어 방전전극 조체를 덮는다. 그리드는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고, 실드 케이스의 감광체 드럼측의 개구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쌍의 부착부재와 그 사이의 실드 케이스는, 상호의 과소한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결합수단은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에 형성된, 서로 헐겁게 끼워지는 관계에 있는 결합핀과 결합구멍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그리드는 부착부재에 대하여 스프링부재를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전기를 구성하는 양단의 부착부재와 그 사이의 실드 케이스는 상호의 과소한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착부재가 유닛 프레임에 부착될 때에, 유닛 프레임에 길이방향의 비틀어짐 등에 의한 변형이 있어도 각 부착부재가 이것에 따르므로, 각 부착부재의 설치와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또한, 그리드는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실드 케이스의 감광체 드럼측 개구부에 배치되므로, 그리드와 감광체 드럼 표면의 거리가 그 길이방향에 걸쳐 소정의 거리로 유지되어, 대전 편차가 생길 염려가 없다. 또, 방전전극 조체도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있으므로, 방전전극 조체 및 그리드가 소정의 상대 위치관계로 유지된다. 이러한 대전기의 유닛 프레임에 대한 부착의 확실성과, 그리드의 유닛 프레임에 대한 추종성이,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가 상호의 과소한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됨으로써 달성된다. 이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끝나므로, 부품점수나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결합수단이,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에 형성된, 서로 헐겁게 끼워지는 관계의 결합핀 및 결합구멍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매우 간이하게 부착의 확실성이나 그리드의 유닛 프레임에 대한 추종성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그리드가 부착부재에 대하여 스프링부재를 통해 그 길이방향으로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쳐진다. 그 때문에 그리드가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아울러, 부착부재의 유닛 프레임을 따른 부착의 확실성이 있으므로, 그리드와 감광체 드럼 표면의 소정거리의 유지가 적확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요소, 공정, 단계, 특색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A)는 전자사진방식의 기록부를 구비한 프린터 를 예로 나타내고 있다. 화상형성장치(A)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판독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혹은 이들의 기능을 겸비한 소위 복합기 등이어도 된다. 도면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A)의 장치 본체(1)는 기록지(용지)의 급지부(2)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기록부(3)와 인자 후의 기록지의 배출부(4)를 포함하고, 이들이 이 순서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기록지의 급지부(2)는 급지 카세트(2a)와, 분리 급지 롤러(2b)와, 분리 패드(2c)를 포함한다. 급지 카세트(2a)는 다수장의 기록지를 퇴적된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고, 장치 본체(1)에 대하여 빼고 끼움이 가능하다. 분리 급지 롤러(픽업 롤러)(2b)는 급지 카세트(2a)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분리 패드(2c)는 분리 급지 롤러(2b)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급지부(2)는 도면의 예와 같은 1단 카세트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단 카세트방식, 혹은 옵션 카세트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화상기록부(3)는 프로세스부와, 그 하류측의 정착기(11)를 포함한다. 프로세스부에서는 감광체 드럼(5)의 주위에, 대전기(6),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광기(7), 현상기(8), 전사 롤러(9) 및 잔류 토너 제거장치(10)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프로세스부는 노광기(7) 및 전사 롤러(9)를 제외하고, 감광체 드럼(5), 대전기(6) 및 잔류 토너 제거장치(10)가 일괄된 감광체 드럼 유닛(50)과, 토너 용기, 교반기 및 현상 롤러 등을 일괄한 현상기 유닛(80)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 유닛으로 된다. 감광체 드럼 유닛(50) 및 현상기 유닛(80)은 장치 본체(1)에 대하여 그 전면측으로부터 각각 또는 양자를 어떠한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노광기(7) 및 전사 롤러(9)를 제외하는 모든 프로세스 부를 일괄해서 프로세스 유닛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장치 본체(1)의 전면측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 앞측을 말하고, 내측을 배면측이라고 한다.
정착기(11)의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4a), 배출 롤러 쌍(4b) 및 배출 트레이(4c)가 설치된다. 이들에 의해 배출부(4)가 구성된다. 프로세스부의 상류측의 근방에는 레지스트 롤러 쌍(12)이 배치된다. 급지 카세트(2a)로부터, 분리 급지 롤러(2b) 및 분리 패드(2c)의 작용에 의해 1장씩 분리되어서 배출된 기록지(용지)는 레지스트 롤러 쌍(12)에 의해 레지스트된다. 그리고, 기록지는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된다. 감광체 드럼(5)은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대전기(6)에 의해 그 표면이 균등하게 대전된다. 화상정보에 기초하는 광학화상이 노광기(7)에 의해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조사된다. 이렇게 해서,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은, 감광체 드럼(5)의 표면의 광도전체의 특성에 의해 광의 조사부분의 전위가 변화되고, 그 외의 부위의 전위가 유지되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정전 잠상은 바이어스 인가된 현상기(8)에 의해 순차적으로 현상되고, 토너 화상으로서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이른다. 이 현상시, 광의 조사에 의해 전위가 변화된 부위에, 현상기(8)와 감광체 드럼(5)의 표면의 전위 차에 의해 토너가 감광체 드럼(5)에 흡인되어서 흑(黑)부분으로 되고, 그 외의 부분에는 토너는 흡인되지 않아 백(白)부분으로 된다. 그 때문에, 전체적으로 화상정보에 기초하는 흑백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레지스트 롤러 쌍(12)은, 감광체 드럼(5)의 표면의 토너 화상에 동기해서 기록지가 이 대합부에 도입되도록 레지스트 제어되고, 또한 회전 구동된다.
전사 롤러(9)에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전사 롤러(9)는 감광체 드럼(5)과 대합되고, 또한 화살표방향(감광체 드럼(5)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기록지를 닙(nip)해서 반송한다. 이 때에, 감광체 드럼(5) 표면의 토너 상이 기록지에 전사된다.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남은 토너는 잔류 토너 제거장치(10)에 의해 제거되어 회수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지는 정착기(11)에 도입된다. 토너 화상이 영구화상으로서 정착된 후, 기록지는 전환 게이트(4a)를 밀어 올리고, 배출 롤러 쌍(4b)을 거쳐 배출 트레이(4c) 상에 배출된다. 이 일련의 기록지의 급송은 주급송 패스(P)를 따라 이뤄진다. 이 주급송 패스(P)는 급지 카세트(2a)로부터의 풀림 직후에 대략 수직(연직)으로 기립되고, 배출 롤러 쌍(4b)에서는 급지 카세트(2a)로부터의 풀림방향과는 대략 180도의 방향으로 U턴한다. 이러한 레이아웃 구성에 의해 장치 전체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도면의 예의 화상형성장치(A)는 양면기록 기능을 갖추고 있다. 반전 급송 패스(P1)는, 주급송 패스(P)의 전환 게이트(4a)의 부착위치로부터 레지스트 롤러 쌍(12)의 상류측까지 바이어스해서 접속된다. 배출 롤러 쌍(4b)은 정역회전 가능하다. 또, 반전 급송 패스(P1)에는 반송 롤러 쌍(13, 14)이 배치되어 있다. 양면기록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편면기록이 된 기록지가 주급송 패스(P)를 따라 반송되어 기록지의 후단이 배출 롤러 쌍(4b)에 도달하면, 배출 롤러 쌍(4b)은 일단 정지해서 기록지의 후단을 일시적으로 닙한다. 이어서, 배출 롤러 쌍(4b)이 역회전하므로, 기록지는 그 후단부터 반송 롤러 쌍(13, 14)에 의해 반전 급송 패스(P1)를 따 라 반송된다. 이윽고, 기록지는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하고, 레지스트 롤러 쌍(12)에 도달한다. 레지스트 롤러 쌍(12)에 의해 기록지는 레지스트되고, 다시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된다. 그 때에, 기록지의 이면으로의 기록이 이루어진다. 양면기록된 기록지는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주급송 패스(P)를 따라 배출 트레이(4c) 상에 배출된다.
도면의 예의 화상형성장치(A)는, 기록지의 수동기능을 더 갖추고 있다. 장치 본체(1)의 측부에, 상하로 개폐 가능한 수동 트레이(15)가 설치되어 있다. 수동 트레이(15)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의 2점쇄선과 같이 폐지된다. 손잡이(15a)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다. 수동 트레이(15)의 전단부에는, 분리 급지 롤러(15b)와 분리 패드(15c)가 서로 압접한 상태에서 배치된다. 압접부의 더욱 하류측에는,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하는 수동 급송 패스(P2)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다.
수동 트레이(15)를 이용하여 화상기록을 할 경우, 손잡이(15a)가 조작되어서 수동 트레이(15)가 열린다. 수동 트레이(15) 상에 기록지가 셋트되어 적절하게 스타트 조작됨으로써 수동 급지 롤러(15b)가 작동한다. 수동 트레이(15) 상의 기록지는 분리 급지 롤러(15b)와 분리 패드(15c)의 작용에 의해 1장씩 분리되어서 배출된다. 그리고, 기록지는 수동 급송 패스(P2)를 따라 반송되어,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한다. 그 후, 기록지는 레지스트 롤러 쌍(12)에 의해 레지스트되어서,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되고, 그곳에서 기록이 이루어진다. 수동 기록지에 양면기록할 경우, 기록지는 배출 롤러 쌍(4b)의 역전에 의해 반전 급송 패스(P1)를 따라 반송되어 상기와 같이 그 이면기록이 이루어진다. 기록이 완료된 기 록지는 배출 롤러 쌍(4b)에 의해 배출 트레이(4c) 상에 배출된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감광체 드럼 유닛(50)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감광체 드럼(5)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성 원통체를 갖는다. 이 통체의 표면에 광도전체가 코팅되어 있다. 통체의 양단의 개구부에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재(5a, 5b)가 고착되어 있다. 이 양단의 플랜지부재(5a, 5b)는 베어링(51a, 51b)을 통해서 수지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유닛 프레임(51)에 지지된다. 감광체 드럼(5)은 플랜지부재(5a, 5b)를 통해서, 베어링(51a, 51b)에 의해 유닛 프레임(51)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랜지부재(5a, 5b)는 또한, 장치 본체(1)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드럼 축(1a, 1b)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드럼 축(1a, 1b)은 위치결정 핀으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플랜지부재(5a, 5b)의 둘레면에는 동심적으로 기어(5c, 5d)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5c)는 장치 본체(1) 내의 도시생략된 구동 전달계에 맞물려서 연결된다. 이 구동 전달계의 구동력에 의해, 감광체 드럼(5)이 드럼 축(1a, 1b) 주위로 축 회전한다. 반대측의 기어(5d)에는, 전사 롤러(9) 등의 기구부의 피구동 전달 기어(모두 도시생략)가 맞물린다. 이것에 의해, 이들의 기구부로의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대전기(6)는 스코로트론형 대전기이다. 대전기(6)는 한쌍의 부착부재(61, 62), 방전전극 조체(63), 실드 케이스(64), 및 그리드(65)를 포함하고, 이들이 유닛화되어 있다. 한쌍의 부착부재(61, 62)는 유닛 프레임(51)의 양단부에 부착되어서 고정된다. 방전전극 조체(63)는 부착부재(61, 62)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진다. 실드 케이스(64)는 단면 U형이며, 부착부재(61, 62) 사이에 결합상태로 지지되고, 방전전극 조체(63)를 덮는다. 그리드(65)는 부착부재(61, 62)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고, 실드 케이스(64)의 감광체 드럼측 개구부(64a)에 배치된다. 부착부재(61, 62)는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61a, 62a)을 통하여, 나사(61b, 62b)에 의해 유닛 프레임(51)에 체결되어서 고정된다.
방전전극 조체(63)는 코로나 방전전극이며, 도면의 예와 같은 다수의 침형상전극(63a, …)을 구비한 가는 띠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방전전극 조체(63)는 금속 와이어여도 된다. 이 방전전극 조체(63)의 일단(63b)은 한쪽의 부착부재(61) 내에 걸린다. 타단(63c)은 인장 스프링(63d)을 통해서 다른 쪽의 부착부재(62) 내에 걸린다. 이렇게 해서, 방전전극 조체(63)는 양 부착부재(61, 62) 사이에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쳐져 있다. 또, 그리드(65)는 다수의 슬릿을 형성한 금속제의 얇은 판이다. 그리드(65)의 일단(65a)은 한쪽의 부착부재(61)에 걸린다. 타단(65b)은 요동부편(65c) 및 인장 스프링(스프링부재)(65d)을 통해서 다른 쪽의 부착부재(62)에 걸려 있다.
요동부편(65c)은, 부착부재(62)에 감광체 드럼(5)측에서 그 반대측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동시에, 요동부편(65c)은 지점 핀(65ca)을 지점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부편(65c)의 감광체 드럼(5)측의 돌출단에 그리드(65)의 타단(65b)이 걸린다. 요동부편(65c)의 반대측의 돌출단에 인장 스프링(65d)이 걸린다. 단면 U자형의 실드 케이스(64)는 그 개구부(64a)가 감광체 드럼(5)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드(65)는 실드 케이스(64)의 개구부(64a)에 위치한다. 또, 그리드(65)는 요동부편(65c)을 통한 인장 스프링(65d)의 인장력에 의 해 텐션이 부여되고, 양 부착부재(61, 62)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있다. 그리고,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는, 감광체 드럼 유닛(50)이 화상형성장치(A)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장치 본체(1) 내의 전원전극(도시생략)과 접합한다. 이렇게 해서,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의 각각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양 부착부재(61, 62)와 실드 케이스(64)는 결합수단(60)을 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이것을 도 3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양 부착부재(61, 62)와 실드 케이스(64)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즉, 양 부착부재(61, 62)의 측면부 및 반감광체 드럼 측면에 복수의 결합핀(60a, …)이 돌출되어 설치된다. 한편, 실드 케이스(64)의 각 결합핀(60a, …)에 대응하는 부위에, 이들 결합핀(60a)보다 약간 지름이 크거나 혹은 타원형의 결합구멍(60b,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 있는 결합핀(60a, …)과 결합구멍(60b, …)의 상호 결합에 의해 결합수단(60)이 구성된다.
양 부착부재(61, 62)와 실드 케이스(64)는, 결합구멍(60b, …)에 결합핀(60a, …)을 삽입하여 양자를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된다. 결합구멍(60b)은 결합핀(60a)보다 약간 지름이 크거나 혹은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결합구멍(60b, …)에 대한 핀(60a, …)의 결합은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이루어진다. 그 결과, 결합수단(60)에 의한 부착부재(61, 62)와 실드 케이스(64)의 결합은 상호의 약간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부착부재(61, 62)와 실드 케이스(64) 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부착부재(61, 62) 사이에 상기와 같이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가, 각각 인장 스프링(63d, 65d)에 의해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쳐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착부재(61, 62)가 나사(61b, 62b)에 의해 유닛 프레임(51)에 체결되어서 고정되므로, 대전기(6)가 감광체 드럼 유닛(50)에 조립될 때에 유닛 프레임(51)에 변형 등이 있어도 실드 케이스(64)에 의한 규제가 적고, 부착부재(61, 62)가 유닛 프레임(51)에 추종한다. 이 때문에, 부착부재(61, 62)의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는 부착부재(61, 62)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있으므로, 방전전극 조체(63)와 그리드(65)의 소기의 상대 위치관계가 변화되지 않는다. 또한, 그리드(65)와 감광체 드럼(5)의 표면의 상대거리도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상태로 된다. 또, 방전전극 조체(63) 및 그리드(65)가 각각 인장 스프링(63d, 65d)에 의해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쳐지므로, 부착부재(61, 62)가 유닛 프레임(51)의 변형에 추종한다. 이 때문에, 그리드(65)가 실드 케이스(6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켜도, 그리드(65)는 텐션작용에 의해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 그리드(65)와 감광체 드럼(5) 표면의 상대거리가 확실히 일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구멍(60b, …) 및 핀(60a, …)으로 구성되는 결합수단(60)과, 그리드(65)의 텐션이 부여된 상태의 팽팽한 걸쳐짐이라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유닛 프레임(51)의 변형 등에 대한 추종성이 얻어진다. 그리고, 그리드(65)와 감광체 드럼(5)의 표면의 거리의 일정성도 유지된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대전 편차나, 화상품질의 저하를 발생시킬 염려가 없어진다.
또한, 대전기(6)에 있어서의 실드 케이스(64)의 형상, 부착부재(61, 62)의 전체 형상 등은 도면의 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실드 케이스(64)의 측부에 수지 필름을 스커트형상으로 접착할 수도 있다. 또, 결합수단(60)을 구성하는 결합핀(60a), 결합구멍(60b)의 형상도, 도면의 예와 같은 원기둥형상 핀, 원형상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각진 기둥형상 핀, 각형상구멍,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형성대상도 부착부재(61, 62) 및 실드 케이스(64)에서 반대여도 된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은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지정한 것 및 상술한 것 외에, 많은 실시예를 가정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가 청구항에 의해,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을 커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이면서, 대전기가 유닛 프레임의 변형 등에 추종하여 감광체 드럼과의 소정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유닛 프레임과, 유닛 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대치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된 스코로트론형 대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기는,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부착부재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방전전극 조체와, 부착부재 사이에 결합상태로 지지되어 방전전극 조체를 덮는 실드 케이스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실드 케이스의 감광체 드럼측 개구부에 배치되는 그리드가 유닛화되고, 이 유닛화된 상태로, 상기 한쌍의 부착부재에 의해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되고,
    한쌍의 부착부재와 그 사이의 실드 케이스는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대전기가 부착부재에 의해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방전전극 조체 및 그리드의 상대위치관계가 변화하지 않고, 또, 그리드와 감광체 드럼의 표면과의 상대거리가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에 형성된, 서로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 가능한 결합핀과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그리드를 부착부재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방전전극 조체가, 다수의 침형상전극을 구비한 가는 띠형상 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 드럼 유닛.
  9. 감광체 드럼 및 대전기가 일괄된 감광체 드럼 유닛과, 토너 용기 및 현상 롤러가 일괄된 현상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감광체 드럼 유닛이 유닛 프레임과, 유닛 프레임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의 표면에 대치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된 스코로트론형 대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대전기가,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부착부재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지는 방전전극 조체와, 부착부재 사이에 결합상태로 지지되어 방전전극 조체를 덮는 실드 케이스와, 부착부재 사이에 팽팽하게 걸쳐져 실드 케이스의 감광체 드럼측 개구부에 배치되는 그리드가 유닛화되고, 이 유닛화된 상태로, 상기 한쌍의 부착부재에 의해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되고,
    한쌍의 부착부재와 그 사이의 실드 케이스는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대전기가 부착부재에 의해 유닛 프레임의 양단부에 부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방전전극 조체 및 그리드의 상대위치관계가 변화하지 않고, 또, 그리드와 감광체 드럼의 표면과의 상대거리가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대략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부착부재와 실드 케이스에 형성된, 서로 헐겁게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 가능한 결합핀과 결합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그리드를 부착부재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텐션이 부여된 상태에서 팽팽하게 걸치기 위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방전전극 조체가, 다수의 침형상전극을 구비한 가는 띠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13722A 2006-03-23 2007-02-09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KR100984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0854 2006-03-23
JP2006080854A JP4682891B2 (ja) 2006-03-23 2006-03-23 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794A KR20070096794A (ko) 2007-10-02
KR100984759B1 true KR100984759B1 (ko) 2010-10-01

Family

ID=3819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722A KR100984759B1 (ko) 2006-03-23 2007-02-09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70902B2 (ko)
EP (1) EP1837711A1 (ko)
JP (1) JP4682891B2 (ko)
KR (1) KR100984759B1 (ko)
CN (1) CN1010425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367B2 (en) * 2008-09-30 2012-02-28 Xerox Corporation Scorotron apparatus for charging a photoconductor
JP2011123419A (ja) * 2009-12-14 2011-06-2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帯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802290B1 (ja) * 2010-06-02 2011-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15321B2 (ja) * 2010-11-11 2013-10-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帯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849404B2 (ja) * 2011-02-16 2016-0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99625B2 (ja) * 2017-05-31 2020-05-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ジョイント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252B2 (ja) * 1990-05-11 1999-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スコロトロン帯電器のグリッド板位置出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4410A (en) * 1973-12-21 1976-11-03 Xerox Corp Corona generating devices
JPS58159545U (ja) * 1982-04-20 1983-10-2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コロナ帯電器
JPS62143961U (ko) * 1986-03-04 1987-09-10
JPH01113249U (ko) * 1988-01-25 1989-07-31
JP2732657B2 (ja) * 1989-04-10 1998-03-30 株式会社リコー コロナ帯電装置
JPH03223773A (ja) * 1990-01-30 1991-10-02 Ricoh Co Ltd コロナ放電器
US5216465A (en) * 1990-03-19 1993-06-01 Fuji Xerox Co., Ltd. Print cartridge insertable in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29481Y2 (ko) 1990-10-11 1993-07-28
JPH04133258U (ja) 1991-05-29 1992-12-11 ミノルタカメラ株式会社 スコロトロン型帯電器
JPH0635296A (ja) 1992-07-17 1994-02-1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帯電装置
JP3304209B2 (ja) * 1994-09-14 2002-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帯電装置
JPH0980998A (ja) * 1995-09-13 1997-03-28 Tec Corp 画像形成装置
US5909608A (en) * 1998-01-07 1999-06-01 Xerox Corporation Tension support mounting for a corona gen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1252B2 (ja) * 1990-05-11 1999-0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スコロトロン帯電器のグリッド板位置出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42551B (zh) 2011-03-23
JP4682891B2 (ja) 2011-05-11
US20070223961A1 (en) 2007-09-27
EP1837711A1 (en) 2007-09-26
KR20070096794A (ko) 2007-10-02
CN101042551A (zh) 2007-09-26
US7570902B2 (en) 2009-08-04
JP2007256629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86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support to adjust a rotator and a guide
US11796958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84759B1 (ko) 감광체 드럼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US6208826B1 (en) Transfer device having notches,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ransfer device or method
JP5309541B2 (ja) 定着装置
US527648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roller with guide means which adjusts to movements of the roller
EP1840663B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KR20190089783A (ko)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74008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guide supporting brackets including paper transportation guides
US11520275B2 (en) Clean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that a sealing member constitutes a resistance to a rotational operation of a supporting member for a cleaning blade
JP4386069B2 (ja) 画像形成装置
JP311447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053755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4734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US7178664B2 (en) Belt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ndless belt
JP5288030B2 (ja) 画像形成装置
CN110967950B (zh) 鼓盒和图像形成设备
JP2011209673A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303240A (ja) 電子写真装置
JP4516383B2 (ja) 転写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静電記録装置
JP499241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67232A (ja) 張力付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5323824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ローラ駆動機構
KR19990029310U (ko) 현상기의 구동 메카니즘
JP2001012553A (ja) フライホイ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