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368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368B1
KR100982368B1 KR1020087023159A KR20087023159A KR100982368B1 KR 100982368 B1 KR100982368 B1 KR 100982368B1 KR 1020087023159 A KR1020087023159 A KR 1020087023159A KR 20087023159 A KR20087023159 A KR 20087023159A KR 100982368 B1 KR100982368 B1 KR 10098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mpressor
sealed container
contain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865A (ko
Inventor
히로유끼 다니와
마사히데 히구찌
히데끼 모리
야스까즈 나베따니
아즈사 우지하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4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having a hinged member
    • F04C18/4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having a hinged member with vanes hinged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0Fluid working
    • F04C2210/1027CO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0Fluid working
    • F04C2210/1072Oxygen (O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모터(3)의 스테이터(5)는 밀폐 용기(1) 내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에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각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3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 용기(1)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5)의 상기 중심축(1a)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모터, 스테이터, 밀폐 용기, 용접점, 중심축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나 냉장고 등에 이용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압축기로서는 밀폐 용기와, 이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와, 상기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를 샤프트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있었다.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스테이터의 상하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용접되어 있었다(일본 특허 공개2003-26219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스테이터의 중앙부가 상기 밀폐 용기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의 상하 방향의 이동량은 크게 되어 있었다.
즉, 상기 스테이터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 용기에 용접되어 있는 상기 스테이터의 중앙부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하단부 사이에 있는 강판의 양이 많아 그 사이에 있는 복수의 강판이 따로따로 떨어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은 크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강판이 크게 진동되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시켜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와,
이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와,
상기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를 샤프트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서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 의해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심축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테이터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 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테이터의 설치부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심축 방향의 단부 사이에 있는 강판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이 사이에 있는 복수의 강판이 따로따로 떨어져 상기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절연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의 니스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가 인접하는 강판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강판은 따로따로 떨어지지 않아 상기 스테이터의 강성은 향상되어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한층 저감시켜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와,
이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와,
상기 밀폐 용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를 샤프트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이 1개의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서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이 1개의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의 인접하는 강판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중심축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강판은 따로따로 떨어지지 않아 상기 스테이터의 강성은 향상되어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형태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는 이산화탄소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는 이산화탄소이므로 이 이산화탄소의 냉매는 상기 밀폐 용기 내에서 고압이 되나, 이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은 저감되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은 작아진다.
본 발명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 의해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에 상기 밀폐 용기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이 1개의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밀폐 용기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인접하는 강판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2는 압축기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3은 압축기의 모터 부근의 횡단면도이다.
도4a는 스테이터의 상하 방향의 진동의 시험에 이용되는 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4b는 스테이터의 상하 방향의 진동의 시험에 이용되는 압축기의 평면도이다.
도5a는 제1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b는 제2 가속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와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에 관해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의 접합 치수와, 압축기의 음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8은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와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에 관해 진동수와 게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 형태에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1 실시 형태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압축기는 밀폐 용기(1)와, 이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2)와,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2)를 샤프트(12)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기는 소위 고압 돔형의 로터리 압축기이며,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상기 압축 요소(2)를 아래에, 상기 모터(3)를 위에 배치하고 있다. 이 모터(3)의 로터(6)에 의해 상기 샤프트(12)를 개재하여 상기 압축 요소(2)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압축 요소(2)는 어큐뮬레이터(10)로부터 흡입관(11)을 통해서 냉매 가스를 흡입한다. 이 냉매 가스는, 이 압축기와 함께 냉동 시스템의 일례로서의 공기 조화기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 팽창 기구, 증발기를 제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냉매 가스는 이산화탄소이며, 상기 밀폐 용기(1) 내에서 약 12MPa의 고압이 된다. 또한, 냉매로서 R410A나 R22 등의 냉매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압축기는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압축 요소(2)로부터 토출해서 밀폐 용기(1)의 내부에 채우는 동시에, 상기 모터(3)의 스테이터(5)와 상기 로터(6)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모터(3)를 냉각한 후, 토출관(13)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영역의 하부에 윤활유(9)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압축 요소(2)는 상기 밀폐 용기(1)의 내면에 설치되는 실린더(21)와, 이 실린더(21)의 상하의 개방단부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의 단부판 부재(50) 및 하측의 단부판 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1),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하측의 단부판 부재(60)에 의해 실린더실(22)을 형성한다.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는 원판 형상의 본체부(51)와, 이 본체부(51)의 중앙에 상측으로 설치된 보스부(52)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51) 및 상기 보스부(52)는 상기 샤프트(12)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실린더실(22)에 연통되는 토출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51)에 관해서 상기 실린더(21)와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51)에 토출 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토출 밸브(31)는, 예를 들어 리드 밸브이며 상기 토출구(51a)를 개폐한다.
상기 본체부(51)에는 상기 실린더(21)와 반대측에 상기 토출 밸브(31)를 덮도록 컵형의 머플러 커버(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머플러 커버(40)는, (볼트 등 의) 고정 부재(35)에 의해 상기 본체부(5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 커버(40)는 상기 보스부(52)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 커버(40) 및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에 의해 머플러실(42)을 형성한다. 상기 머플러실(42)과 상기 실린더실(22)은 상기 토출구(51a)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 커버(40)는 구멍부(43)를 갖는다. 이 구멍부(43)는 상기 머플러실(42)과 상기 머플러 커버(40)의 외측을 연통한다.
상기 하측의 단부판 부재(60)는 원판 형상의 본체부(61)와, 이 본체부(61)의 중앙에 하측으로 설치된 보스부(62)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61) 및 상기 보스부(62)는 상기 샤프트(12)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결국, 상기 샤프트(12)의 일단부는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하측의 단부판 부재(60)에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샤프트(12)는 외팔보이다. 상기 샤프트(12)의 일단부(지지단부측)는 상기 실린더실(22)의 내부에 진입하고 있다.
상기 샤프트(12)의 지지단부측에는 상기 압축 요소(2)측의 상기 실린더실(22) 내에 위치하도록 편심 핀(26)을 설치하고 있다. 이 편심 핀(26)은 롤러(2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롤러(27)는 상기 실린더실(22) 내에서 공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이 롤러(27)의 공전 운동으로 압축 작용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샤프트(12)의 일단부는 상기 편심 핀(26)의 양측에 있어서, 상기 압축 요소(2)의 하우징(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하우징(7)은 상기 상측의 단부판 부재(50) 및 상기 하측의 단부판 부재(60)를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 실린더실(22)의 압축 작용을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7)에 일체로 설치한 블레이드(28)로 상기 실린더실(22) 내를 구획하고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28)의 우측의 실은 상기 흡입관(11)이 상기 실린더실(22)의 내면에 개방되어 흡입실(저압실)(22a)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8)의 좌측의 실은(도1에 도시한다) 상기 토출구(51a)가 상기 실린더실(22)의 내면에 개구되어 토출실(고압실)(22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8)의 양면에는 반원 기둥 형상의 부시(25, 25)가 밀착되어 시일을 행하고 있다. 상기 블레이드(28)와 상기 부시(25, 25) 사이에는 상기 윤활유(9)로 윤활을 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 핀(26)이, 상기 샤프트(12)와 함께 편심 회전하여 상기 편심 핀(26)에 끼워 맞추어진 상기 롤러(27)가 이 롤러(27)의 외주면을 상기 실린더실(22)의 내주면에 접하여, 공전한다.
상기 롤러(27)가 상기 실린더실(22) 내에서 공전하는데 수반하여, 상기 블레이드(28)는 이 블레이드(28)의 양 측면을 상기 부시(25, 25)에 의해 유지되며 진퇴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흡입관(11)으로부터 저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흡입실(22a)로 흡입하여 상기 토출실(22b)에서 압축해서 고압으로 한 후, (도1에 도시한다) 상기 토출구(51a)로부터 고압의 냉매 가스를 토출한다.
그 후,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51a)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는 상기 머플러실(42)을 경유하여 상기 머플러 커버(4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도1과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는 상기 로터(6)와, 이 로터(6)의 직경 방향 외측에 에어 갭을 개재하여 배치된 상기 스테이터(5)를 갖는다.
상기 로터(6)는 로터 본체(610)와, 이 로터 본체(610)에 매설된 자석(620)을 갖는다. 상기 로터 본체(610)는 원통 형상이며, 예를 들어 적층된 전자 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 본체(610)의 중앙의 구멍부에는 상기 샤프트(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석(620)은 평판 형상의 영구 자석이다. 6개의 상기 자석(620)이 상기 로터 본체(610)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의 중심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5)는 스테이터 코어(510)와, 이 스테이터 코어(510)에 감긴 코일(520)을 갖는다. 또한, 도3에서는 상기 코일(520)을 일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는 고리 형상부(511)와, 이 고리 형상부(511)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9개의 티스(512)를 갖는다. 상기 코일(520)은, 상기 각 티스(512)에 각각 감기고 복수의 상기 티스(512)에 걸쳐 감겨 있지 않은, 소위 집중 감기이다.
상기 모터(3)는 소위 6극 9슬롯이다. 상기 코일(520)에 전류를 흘려 상기 스테이터(5)에 발생하는 전자력에 의해 상기 로터(6)를 상기 샤프트(12)와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에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어 있다. 상 기 각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의 외주면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 용기(1)에 3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폐 용기(1)의 상기 중심축(1a)은 상기 샤프트(12)의 회전축에 일치하고 있다.
상기 모든 용접점(8)은 동일한 간격의 피치 또는 동일하지 않은 간격의 피치이다. 즉, 인접하는 상기 용접점(8, 8) 사이의 중심 각도 모두는 동일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상기 용접점(8, 8) 사이의 중심 각도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중심 각도와 상이하다.
상기 2개의 평면 상의 상기 용접점(8)은 상기 중심축(1a)의 방향에서 보아 겹쳐도 되고, 또는 겹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15)으로 이루어진다. 이 모든 강판(15)은, 예를 들어 코킹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상기 중심축(1a)에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3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1)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5)의 상기 중심축(1a) 방향(상하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 용기(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스테이터(5)의 설치부와 상기 스테이터(5)의 상기 중심축(1a) 방향의 단부 사이에 있는 상기 강판(15)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이 사이에 있는 복수의 강판(15)이 따로따로 떨어져 상기 중심축(1a)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5)가 인 접하는 설치부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강판(15)은 상기 설치부에 의해 위치 결정되므로 상기 중심축(1a)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5)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심야 전력을 이용하는 에너지 절약형 급탕에 이 압축기를 이용할 경우, 심야에 정음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압축기는 심야 사용에 적합하게 된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냉매는 상기 밀폐 용기(1) 내에서 고압이 되나, 이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5)의 진동은 저감되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은 작아진다.
다음에, 가진기를 이용한 시험에 의해 스테이터의 상하 방향의 진동에 관해서 본 발명의 압축기와 종래의 압축기를 비교한다.
도4a의 종단면도 및 도4b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스테이터(5)를 밀폐 용기(1)에,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에 직교하는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5)를 상기 밀폐 용기(1)에 4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한다. 한편,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도4a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5)를, 밀폐 용기(1)에 상기 스테이터(5)의 상하 높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4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와 종래의 압축기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4점의 용접점(8)은 동일한 간격의 피치이다. 상기 스테이터(5)의 스테 이터 코어(510) 상에서 상기 중심축(1a)과 하나의 상기 용접점(8)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제1 가속도 센서(101)를 설치한다. 상기 스테이터(5)의 스테이터 코어(510) 상에서 인접하는 상기 용접점(8, 8) 사이의 중심 각도의 2등분선 상에 제2 가속도 센서(102)를 설치한다. 상기 밀폐 용기(1)의 하면에 가진기(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진기(100)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5)에 상기 밀폐 용기(1)와 함께 상하 방향의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제1 가속도 센서(101) 및 상기 제2 가속도 센서(102)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의 상면[즉, 상단부의 강판(15)]의 상하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가진기(100)의 진동수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510)의 상면의 상하 방향의 진동 가속도의 관계를 구한다.
상기 제1 가속도 센서(101)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도5a에 도시하고, 상기 제2 가속도 센서(102)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도5b에 도시한다. 도5a와 도5b에서는 본 발명의 압축기의 결과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종래의 압축기의 결과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5a와 도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상기 가진기(100)의 진동수가 400㎐일 때에 다른 진동수에 비교하여 진동 가속도가 눈에 띄게 커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진동수가 480㎐일 때에 다른 진동수에 비하여 진동 가속도가 커져 있으나, 이 진동 가속도는 종래의 압축기의 최대 진동 가속도에 비교하여 매우 작다.
즉, 본 발명의 압축기는 종래의 압축기에 비하여 스테이터의 상하 방향의 진 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음에서 문제가 되는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의 진동수는 일반적으로 1㎑ 이하이며, 특히 400㎐ 근방이기 때문에, 종래의 압축기에서는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해 스테이터의 진동이 커지나,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스테이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6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면, 스테이터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105)에서는 스테이터 코어(1510)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15)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15, 15)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절연성 접착제(16)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의 니스이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강판(15)은 따로따로 떨어지지 않아 상기 스테이터(105)의 강성은 향상되어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105)의 진동을 한층 저감시켜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강판(15)의 전체면이 상기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덮인 경우, 상기 스테이터(105)의 강성은 한층 향상되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압축기의 운전음에 관해서, 복수의 강판을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와, 복수의 강판을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를 비교한다.
도7에 진동수가 400㎐인 경우의,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의 접합 치수(fit size)와, 압축기의 음압의 관계를 나타낸다. 횡축은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의 공차를 나타내고, 플러스의 값이 간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clearance fit)이며, 마이너스의 값이 단단히 끼워진 상태(tight fit)이다. 종축은 압축기의 음압을 나타낸다.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7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의 접합 치수가 플러스의 값일 경우, 즉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가 간극을 갖고 끼워진 상태일 경우에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에서는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에 비하여 압축기의 음압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8에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와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에 관해 스테이터와 밀폐 용기의 접합 치수가 85㎛일 경우의, 진동수와 게인(진동음)의 관계를 도시한다. 횡축은 진동수를 나타내고, 종축은 게인을 나타낸다.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8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는 진동수가 400㎐ 부근에서 게인이 큰 것에 비하여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는 진동수가 400㎐ 부근에서 게인이 작다. 따라서, 운전음에서 문제되는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의 진동수는 일반적으로 1㎑ 이하이며 특히 400㎐ 근방이기 때문에 니스로 접착한 압축기에서는 니스로 접착하지 않은 압축기에 비하여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압축기의 운전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9는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비교하면 스테이터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 제3 실시 형태의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상기 중심축(1a)에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어 있다. 이 1개의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테이터 코어(2510)의 상기 중심축(1a) 방향(상하 방향)의 중앙부가 상기 밀폐 용기(1)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2510)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15)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15, 15)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각 강판(15)의 전체면은 상기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절연성 접착제(16)는, 예를 들어 에폭시계의 니스이다.
이 구성의 압축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상기 중심축(1a)에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이 1개의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205)의 상기 인접하는 강판(15, 15)은 서로 상기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밀폐 용기(1)에 대한 상기 스테이터(205)의 상기 중심축(1a) 방향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강판(15)은 따로따로 떨어지지 않아 상기 스테이터(205)의 강성은 향상되어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205)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을 작게 한 정음 압축기 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경우, 이 냉매는 상기 밀폐 용기(1) 내에서 고압이 되나, 이 냉매의 압력 맥동에 의한 상기 스테이터(205)의 진동은 저감되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은 작아진다.
또한, 상기 각 강판(15)의 전체면을 상기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덮음으로써 상기 스테이터(205)의 강성은 한층 향상되어 상기 모터(3)의 운전음을 한층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압축 요소(2)로서 롤러와 블레이드가 별체인 로터리 타입이어도 좋다. 상기 압축 요소(2)로서 로터리 타입 이외에 스크롤 타입이나 레시프로 타입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압축 요소(2)로서 2개의 실린더실을 갖는 2실린더 타입이어도 좋다. 상기 코일(520)을 상기 복수의 티스(512)에 걸쳐 감은, 소위 분포 감기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5, 1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에 직교하는 3개 이상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평면 상에서는 상기 스테이터(5, 1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4점 이상의 용접점(8)에 의해 용접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접착제(16) 이외에 상기 모든 강판(15)을 볼트나 리벳 등의 고정구에 의해 일체로 고정해도 되고, 또는 상기 모든 강판(15)의 단부면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해도 되며 상기 스테이터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밀폐 용기(1)와,
    이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2)와,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2)를 샤프트(12)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3)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3)의 스테이터(1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과 직교하는 적어도 2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상기 각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1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8)에서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105)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15)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15, 15)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밀폐 용기(1)와,
    이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된 압축 요소(2)와,
    상기 밀폐 용기(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 요소(2)를 샤프트(12)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모터(3)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3)의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간극을 갖고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밀폐 용기(1)에 상기 밀폐 용기(1)의 중심축(1a)과 직교하는 1개의 평면 상에서 설치되고,
    이 1개의 평면 상에서 상기 스테이터(205)는 상기 밀폐 용기(1)에 적어도 3점의 용접점(8)에서 용접되고,
    상기 스테이터(205)는 적층된 복수의 강판(15)을 갖고,
    이 인접하는 강판(15, 15)은 서로 절연성 접착제(16)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는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삭제
KR1020087023159A 2006-03-24 2007-03-15 압축기 KR1009823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2005A JP2007255332A (ja) 2006-03-24 2006-03-24 圧縮機
JPJP-P-2006-00082005 2006-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865A KR20080091865A (ko) 2008-10-14
KR100982368B1 true KR100982368B1 (ko) 2010-09-14

Family

ID=3854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159A KR100982368B1 (ko) 2006-03-24 2007-03-15 압축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1096B2 (ko)
EP (1) EP2000671A4 (ko)
JP (1) JP2007255332A (ko)
KR (1) KR100982368B1 (ko)
CN (1) CN101395374A (ko)
AU (1) AU2007230458B2 (ko)
WO (1) WO2007111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8484B2 (ja) 2008-01-24 2011-08-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4858565B2 (ja) * 2009-03-31 2012-0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WO2010113665A1 (ja) * 2009-03-31 2010-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4670984B2 (ja) * 2009-03-31 2011-04-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4858564B2 (ja) * 2009-03-31 2012-0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5560007B2 (ja) * 2009-08-26 2014-07-23 アイチエレック株式会社 電動機および圧縮機
US20140021809A1 (en) * 2012-07-18 2014-01-23 Ut-Battelle, Llc Reluctance motor
US20140239764A1 (en) * 2013-02-27 2014-08-28 Regal Beloit America, Inc. Laminated rotor with improved magnet adhes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WM472176U (zh) * 2013-11-07 2014-02-11 Jia Huei Microsystem Refrigeration Co Ltd 迴轉式壓縮機改良
JP6477137B2 (ja) * 2015-03-27 2019-03-0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ロータリ圧縮機
JP6686615B2 (ja) * 2016-03-28 2020-04-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ロータリ圧縮機
JP7317525B2 (ja) * 2019-03-08 2023-07-31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圧縮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292A (ja) 1982-11-30 1984-06-11 Toshiba Corp 密閉形圧縮機の形成方法
JP2003262192A (ja) * 2002-03-07 2003-09-19 Daikin Ind Ltd 密閉型圧縮機
JP2003324869A (ja) 2002-05-08 2003-11-14 Daikin Ind Ltd 電動機及び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0248A (ko) * 1967-11-02 1970-04-13
JPS56169513U (ko) * 1980-05-16 1981-12-15
JPS62199974A (ja) * 1986-02-28 1987-09-03 Hitachi Ltd 密閉形圧縮機
JPH01198253A (ja) * 1988-02-01 1989-08-09 Sanyo Electric Co Ltd 電動圧縮機の製造方法
JPH03124247A (ja) * 1989-10-05 1991-05-27 Aichi Emerson Electric Co Ltd 回転電機の固定子
JPH11336685A (ja) 1998-05-21 1999-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回転式圧縮機
US6631617B1 (en) * 2002-06-27 2003-10-14 Tecumseh Products Company Two stage hermetic carbon dioxide compressor
JP2004092738A (ja) 2002-08-30 2004-03-25 Nsk Ltd 転がり軸受及びモータ
US7617605B2 (en) * 2005-06-16 2009-11-1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omponent geometry and method for blowout resistant wel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1292A (ja) 1982-11-30 1984-06-11 Toshiba Corp 密閉形圧縮機の形成方法
JP2003262192A (ja) * 2002-03-07 2003-09-19 Daikin Ind Ltd 密閉型圧縮機
JP2003324869A (ja) 2002-05-08 2003-11-14 Daikin Ind Ltd 電動機及び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21096B2 (en) 2012-07-17
US20090123308A1 (en) 2009-05-14
AU2007230458B2 (en) 2010-09-09
EP2000671A4 (en) 2015-12-30
AU2007230458A1 (en) 2007-10-04
EP2000671A1 (en) 2008-12-10
KR20080091865A (ko) 2008-10-14
JP2007255332A (ja) 2007-10-04
WO2007111141A1 (ja) 2007-10-04
CN101395374A (zh)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368B1 (ko) 압축기
KR100990564B1 (ko) 모터 및 압축기
JP4007383B2 (ja) ロータリ圧縮機
EP1967738B1 (en) Compressor
JP3960347B2 (ja) 圧縮機
KR101073270B1 (ko) 압축기
JP2007205227A (ja) 圧縮機
JP2008022666A (ja) モータおよび圧縮機
JP6314610B2 (ja) 圧縮機の溶接方法
JP5135779B2 (ja) 圧縮機
KR20070085605A (ko) 압축기의 머플러 설치 구조
JP2003343439A (ja) 圧縮機
JP2008141805A (ja) 圧縮機
JP2009002352A (ja) 圧縮機
JP2008138591A5 (ko)
JP2008208839A (ja) 圧縮機
JP7042455B2 (ja) 圧縮機
KR20040044027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용 전동기의 자석고정구조
JPH09151850A (ja) 密閉型回転圧縮機
JP2015197045A (ja) 圧縮機の溶接方法および圧縮機
JP4655048B2 (ja) モータ用インシュレータ、モータおよび圧縮機
JP4548411B2 (ja) 圧縮機
JP2012202353A (ja) 圧縮要素および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