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496B1 -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검사용 용기 - Google Patents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검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496B1
KR100981496B1 KR1020047019187A KR20047019187A KR100981496B1 KR 100981496 B1 KR100981496 B1 KR 100981496B1 KR 1020047019187 A KR1020047019187 A KR 1020047019187A KR 20047019187 A KR20047019187 A KR 20047019187A KR 100981496 B1 KR100981496 B1 KR 100981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test
stopper
tube
tes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719A (ko
Inventor
마사아키 미나모토
히로노부 이소가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01N33/4905Determining clotting tim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3/068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6Surface properties and coatings
    • B01L2300/161Control and use of surface tension forces, e.g. hydrophobic, hydrophilic
    • B01L2300/165Specific details about hydrophobic, oleophobic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있고,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고,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끈적임이나 라벨 박리도 일으키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 검사용 용기이다.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혈액 검사용 용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

Description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 검사용 용기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Stopper of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and Blood Examin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고,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용이하게 타전할 수 있고,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고,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끈적임이나 라벨 박리도 일으키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검사 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혈청 생화학 검사, 혈청 면역학 검사, 혈구 검사 등의 혈액 검사가 널리 보급되어, 병의 예방이나 조기 진단에 크게 공헌하게 되었다. 혈액 검사에 사용되는 채혈관, 혈액의 보존 용기, 검사시의 검체 용기 등으로서는,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되는 유저관상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종래부터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는, 유리(glass)제의 것, 폴리에틸렌 테 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제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플라스틱제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은, 혈액 검사시에 내벽면에 혈병이나 혈구가 부착됨으로써, 혈액 검사의 검사값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원심 분리에 의해서도 부착된 혈병이나 혈구를 박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용혈을 일으키거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잔존한 혈병이나 혈구가 검사 전에 박리되어 검사용 혈청이나 혈전 중에 혼입되거나 하여 정확한 검사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혈청이나 혈장의 채취를 목적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서는, 부착된 혈액을 원심 분리에 의해 깨끗하게 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통상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벽면에 표면 처리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사용되는 표면 처리제로서는, 일반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소수성의 실리콘 오일이나, 친수성의 변성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수성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경우에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의 혈병이나 피브린의 부착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생성된 혈액의 거품(foam)이 장시간에 걸쳐 소포(消泡)되거나 함으로써, 혈액 검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친수성의 변성 실리콘 오일은, 혈액 중에 용출되거나 혈액과 상호 작용을 야기하여 검사 항목에 따라서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었다.
또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 개에 대해서도, 통상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경우와 동일하게 표면 처리제가 도포되어 있다. 이것은, 마개에 부착된 혈액을 원심 분리에 의해 깨끗하게 박리하는 것 이외에, 마개를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플러깅(打栓; plugging)할 때에 윤활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개의 표면 처리제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소수성의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5-73174호 공보에는 마개의 표면 처리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오일이 개시되어 있고, 이러한 친수화된 변성 실리콘 오일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수성의 실리콘 오일에서는 마개에의 혈병이나 피브린의 부착이 일어나기 쉬워지거나, 생성된 혈액의 거품이 장시간에 걸쳐 소포되거나 함으로써, 혈액 검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친수성의 변성 실리콘 오일은, 혈액 중에 용출되거나 혈액과 상호 작용을 야기하여 검사 항목에 따라서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었다. 또한, 이들 실리콘 오일로서는 제조시나 포장 수송시, 사용시에,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마개가 접촉하거나 함으로써 마개의 실리콘이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 이행하여, 혈액 검사용 유저관이 끈적거리거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라벨류를 접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 현실을 감안하여,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음과 동시에 혈액의 거품도 없고, 혈액의 거품이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있고,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음과 동시에 혈액의 거품도 없고, 혈액의 거품이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혈액 검사용 유저관 끈적거림나 라벨 박리도 일으키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본 발명은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管狀)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이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및(또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 발명은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이다.
제3 본 발명은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이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및(또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본 발명은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이다.
상기 마개상 부재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무는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또는 브롬화 부틸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3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제1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4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제2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3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제2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4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제조한 진공 채혈관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 중, 11은 유저관을 나타내고, 12는 마개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개시>
이하에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은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관상 부재는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의 것으로,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동일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 양쪽 말단이 개구된 관의 한쪽 말단을 마개 등으로 폐색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범용성이 있으며 취급 성이 우수하면서, 생산성도 우수함으로 인해, 동일한 재료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 말단이 개구된 관의 한쪽 말단을 마개 등으로 폐색한 것에 사용되는 마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상 부재의 재질, 또는 상기 관상 부재가 양쪽 말단이 개구된 관의 한쪽 말단을 마개 등으로 폐색한 것인 경우, 그 관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유리 이외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에틸키틴 등의 변성 천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고, 성형성도 양호함으로 인해 PET나 PEN 등의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은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부착된 혈액을 원심 분리 등의 조작에 의해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코팅층은, 제1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고, 제2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으로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코팅층의 역할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문제였던 혈액 검사에의 영향이나, 혈액의 거품이 장시간에 걸쳐 소포되지 않는 등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1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이란 알킬렌옥시드의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나 블럭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옥시드의 중합체,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의 알킬에테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탄올이나 프로판올 등의 1가의 알코올을 에테르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내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1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2
화학식 1 및 2 중, m, n은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의 글리콜에테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에테르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글리콜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내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하기 화학식 4에 나타내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3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4
화학식 3 및 4 중, p, q, r, s, t, u는 정수를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의 점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25 ℃에서 30 mPs, 상한은 50000 mPs이다. 30 mPs 미만이면 코팅층으로서의 안정성이나 혈액 박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50000 mPs를 초과하면 마개를 플러깅할 때의 윤활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로서는 40 내지 1000 mPs 정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로서는 30 내지 2000 mPs 정도,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200 내지 700 mPs 정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300 내지 40000 mPs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0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400, 바람직한 상한은 6000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축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소수기로서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블럭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은, 에틸렌옥시드를 70 중량% 미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시드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이면, 고체상이 되어 코팅층이 취약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70 중량% 미만의 함유량이면 코팅층의 강도, 안정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0, 상한은 20000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0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으로서, 물에 용해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한 경우,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재료가 혈액에 용출되어, 혈액 검사의 검사값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코팅층의 재료로서는 물에 난용성, 불용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혈액에 용출되기 어려워지므로, 폭넓은 검사 영역에의 적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코팅층이 물에 완전히 불용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품 이 생긴 혈액을 소포하는 작용이 적고, 혈액의 거품이 장시간에 걸쳐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혈액에 불용성인 가교형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혈액의 거품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난용성이면서 약간 혈액 중에 용해되어 소포 작용을 발휘하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성능의 균형을 한층 높이기 위해서는, 난용성의 재료와 불용성의 재료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유효하다.
상기 코팅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한 하한은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표면적 1 cm2당 0.1 ㎍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000 ㎍이다. 0.1 ㎍ 미만이면 코팅층으로서의 안정성이나 혈액 박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1000 ㎍을 초과하면 코팅층이 두꺼워지고, 코팅층의 일부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적당한 매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코팅액을 제조하여, 이 코팅액을 관상 부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코팅액 중에 관상 부재를 침지하는 방법, 코팅액을 관상 부재 상에 분무하는 방법, 회전식 교반 용기 등에 관상 부재와 코팅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관상 부재 표면에 코팅한 후, 실온 건조, 가열 건조 또는 진공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관상 부재의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면, 그 밖의 형성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관상 부재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코팅액의 매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톨루엔, 크실렌,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코팅층의 원료 물질이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고, 관상 부재에 대한 습윤성이 우수한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액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 중량%, 상한은 10 중량%이다.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서, 물에 난용성, 불용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균일한 코팅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러한 재료가 가용인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탁액으로 만드는 방법, 물 속에서의 강제 교반이나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분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대표적인 유화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슈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사포닌,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가능한 한 혈액 검사의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선택하고, 용도 범위가 한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과 같이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가지고, 운점(cloud point)이 존재하는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물에 불용인 경우에도 운점 이하로 냉각시킴으로써 물에 균일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은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팅층,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혈병 등의 부착이 없고, 검사값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또한, 혈액의 거품이 장시간에 걸쳐 소포되거나 하는 경우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을 밀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마개로서는, 천연 고무,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스티렌계, 염화비닐계, 올레핀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혈액 검사용 유저관이 채혈관인 경우에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내를 감압하여 진공 채혈관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 내에는 목적에 맞게 각종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혈청을 채취하기 위한 혈액 응고 촉진제,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기 위한 항응고제 등을 들 수 있고, 혈청 분리제, 혈장 분리제 등이 수용될 수도 있다.
제3 본 발명은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이다.
제4 본 발명은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이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는, 마개상 부재와,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마개상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밖에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천연 고무,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진공 채혈관 등의 기밀성을 요구하는 용도에는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계, 염화비닐계, 올레핀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마개를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플러깅할 때의 윤활제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마개에 부착된 혈액을 원심 분리 등의 조작에 의해서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코팅층은, 제3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에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고, 제4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에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으로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코팅층의 역할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종래 마개의 문제였던 혈액 검사에의 영향이나 혈액 검사용 유저관 끈적임의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제3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이란 알킬렌옥시드의 중합체이다. 상기 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나 블럭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상기 알킬렌옥시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필렌옥시드의 중합체, 또는 에틸렌옥시드와 프로필렌옥시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의 알킬에테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탄올이나 프로판올 등의 1가의 알코올을 에테르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폴리옥 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의 글리콜에테르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을 에테르화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글리콜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의 점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25 ℃에서 30 mPs, 상한은 50000 mPs이다. 30 mPs 미만이면 코팅층으로서의 안정성이나 윤활성, 혈액 박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50000 mPs를 초과하면 윤활성이 뒤떨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로서는 40 내지 1000 mPs 정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로서는 30 내지 2000 mPs 정도,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200 내지 700 mPs 정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로서는 300 내지 40000 mPs 정도의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300, 바람직한 상한은 4000이고,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500이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 한은 400, 바람직한 상한은 6000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축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소수기로서 에틸렌옥시드를 부가하여 친수성을 부여한 블럭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은, 에틸렌옥시드를 70 중량% 미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옥시드의 함유량이 70 중량% 이상이면, 고체상이 되어 코팅층이 취약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70 중량% 미만의 함유량이면 코팅층의 강도, 안정성,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마개를 플러깅할 때의 윤활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한 하한은 5 중량%,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10 중량%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의 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하한은 1000, 상한은 20000이고,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00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으로서, 물에 용해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한 경우, 상기 코팅층에 포함되는 재료가 혈액에 용출되어, 혈액 검사의 검사값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코팅층의 재료로서는, 물에 난용성, 불용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혈액에 용출하기 어려워지므로, 폭넓은 검사 영역에의 적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코팅층이 물에 전혀 불용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품이 생긴 혈액을 소포하는 작용이 적고, 혈액의 거품이 장시간에 걸쳐 해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혈액에 전혀 용출되지 않는 가교형의 코팅 재료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혈액의 거품이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난용성이면서, 약간 혈액 중에 용해되어 소포 작용을 발휘하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성능의 균형을 한층 높이기 위해서는, 난용성과 불용성의 재료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유효하다.
상기 코팅층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바람직한 하한은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의 표면적 1 cm2당 1 ㎍이고, 바람직한 상한은 1000 ㎍이다. 1 ㎍ 미만이면 코팅층으로서의 안정성이나 혈액 박리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1000 ㎍을 초과하면 코팅층이 두꺼워지고, 코팅층의 일부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적당한 매체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코팅액을 제조하여, 이 코팅액을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 코팅액 중에 마개상 부재를 침지하는 방법, 코팅액을 마개상 부재 상에 분무하는 방법, 회전식 교반 용기 등에 마개상 부재와 코팅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해, 마개상 부재 표면에 코팅한 후, 실온 건조, 가열 건조 또는 진공 건조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마개의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액의 매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톨루엔, 크실렌,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코팅층의 원료 물질이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고, 마개상 부재에 대한 습윤성이 우수한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액의 농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하한은 0.01 중량%, 상한은 10 중량%이다.
상기 코팅층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서, 물에 난용성, 불용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균일한 코팅액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러한 재료가 가용인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유화제를 이용하여 유탁액으로 만드는 방법, 물 속에서의 강제 교반이나 초음파를 이용함으로써 분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적어도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수용된 혈액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설치되고, 마개의 플러깅시에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내면에 접촉하는 부분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대표적인 유화제로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슈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사포닌,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가능한 한 혈액 검사의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선택하고, 용도 범위가 한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과 같이 폴리옥시알킬렌 구조를 가지고, 운점이 존재하 는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물에 불용인 경우에도 운점 이하로 냉각시킴으로써 물에 균일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은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및(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포함하는 코팅층,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플러깅할 수 있고,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음과 동시에 혈액의 거품도 없으며, 혈액의 거품이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며, 혈액 중에 용출되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또한,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 이행하여 혈액 검사용 유저관이 끈적거리거나, 혈액 검사용 유저관 라벨류를 접착하는 것이 곤란해지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는 유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경질 염화비닐, 아크릴 수지 등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조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1 또는 제2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3 또는 제4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유저관 의 마개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혈액 검사에서 더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용기가 채혈관인 경우에는, 혈액 검사용 용기 내를 감압하여 진공 채혈관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검사용 용기 내에는 목적에 맞게 각종 약제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혈청을 채취하기 위한 혈액 응고 촉진제, 관으로부터 혈액을 박리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혈병 박리제,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기 위한 항응고제 등을 들 수 있고, 혈청 분리제, 혈장 분리제 등이 수용될 수도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49 mPs/25 ℃)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코팅액 20 mg을 외경 16 mm, 길이 100 m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유저관에 분무한 후, 35 ℃에서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마개와의 감합부(engaged part) 내경이 14 mmφ인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를 3 중량% 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1400 mPs/25 ℃)를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1 중량%,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0.5 중량%,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2 중량%,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199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릴에테르(점도: 250 mPs/25 ℃)를 각각 1 중량%,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285 mPs/25 ℃)를 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374 mPs/25 ℃)를 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에틸렌옥시드 함량 10 중량%, 평균 분자량 1100)를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에틸렌옥시드 함량 50 중량%, 평균 분자량 4600)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에탄올 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 400)을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에탄올 중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평균 분자량 1500)을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탄올 중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동점도: 1200 cSt/25 ℃)을 3 중 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탄올 중에 폴리디메틸실록산(소수성 실리콘 오일, 동점도: 5000 cSt/25 ℃)을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코팅을 행하지 않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유저관을 채혈관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채혈관에, 혈액 응고 촉진제로서 실리카 0.5 mg을 수용한 후, 도 1에 나타낸 감합부 외경이 15 mmφ인 브롬화 부틸 고무제의 마개 (12)를 감압 플러깅하여, 채혈량 5 mL의 진공 채혈관을 제조하고, 얻어진 진공 채혈관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혈병 박리성)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하였다. 응고, 원심 후에 육안 관찰에 의해 관 내 벽면을 조사하여, 혈병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경우를 ◎, 혈병이 남아 있지만 문제가 없는 범위인 경우를 ○, 혈병이 분명히 남아 있는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검사값)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하였다. 응 고, 원심 후에 분리된 혈청을 이용하여 검사를 행하고, 대조군의 검사값과 비교하여 검사값에 전혀 영향이 없는 경우를 ◎, 검사값에 영향이 있지만 문제가 없는 범위인 경우를 ○, 검사값에 크게 영향을 준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혈액의 거품 해소)
상기 진공 채혈관의 제조에 있어서, 혈액 응고 촉진제 대신에 항응고제를 수용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진공 채혈관을 제조하고, 얻어진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한 후, 5회 전도(轉倒) 혼화를 행하였을 때, 혈액의 거품이 1 분 이내에 소실된 경우를 ◎, 2 분 이내에 소실된 경우를 ○, 2 분 지나도 소실되지 않는 경우를 ×라 하였다.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5
표 1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5에서 제조한 채혈관에 대해서는 혈병 박리성, 검사값에 영향이 없음으로 우수함을 알았다. 또한, 혈액의 거품도 생기지 않고, 또한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었다.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변성 실리콘 오일을 코팅한 채혈관에서는, 혈병 박리성은 우수하지만, 검사값에 영향을 주었다.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소수성 실리콘 오일)을 코팅한 채혈관에서는 검사값, 혈액의 거품 해소에 결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 처리를 행하지 않은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채혈관에서는, 검사값에의 영향에 줄 뿐 아니라 혈 병 박리성도 뒤떨어지므로, 비교예 1 내지 3의 채혈관은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실시예 16)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49 mPs/25 ℃)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코팅액 중에 브롬화 부틸 고무를 포함하는 마개상 부재를 침지한 후, 35 ℃에서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관체와의 감합부 외경 15 mmφ인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를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1400 mPs/25 ℃)를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1 중량%,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0.5 중량%, 0.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527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652 mPs/25 ℃)를 각각 2 중량%,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199 mPs/25 ℃)와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250 mPs/25 ℃)를 각각 1 중량%,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점도: 285 mPs/25 ℃)를 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점도: 374 mPs/25 ℃)를 2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에틸렌옥시드 함량 10 중량%, 평균 분자량 1100)를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에탄올 중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에틸렌옥시드 함량 50 중량%, 평균 분자량 4600)를 5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에탄올 중에 폴리에틸렌글리콜(평균 분자량 400)을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에탄올 중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평균 분자량 1500)을 1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에탄올 중에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동점도: 1200 cSt/25 ℃)을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에탄올 중에 폴리디메틸실록산(소수성 실리콘 오일, 동점도: 5000 cSt/25 ℃)을 3 중량%가 되도록 용해시켜 코팅액을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하여 채혈관용의 마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코팅을 행하지 않는 실시예 16에서 사용한 마개상 부재를 채혈관용의 마개로 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30 및 비교예 4 내지 6에서 제조한 채혈관용의 마개에 대하 여, 도 1에 나타낸 내경 14 mm, 외경 16 mm, 길이 100 m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유저관 (11)을 채혈관으로서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윤활성)
마개를 채혈관에 손으로 플러깅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고, 매우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있는 경우를 ◎,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있는 경우를 ○,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없는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혈병 박리성)
마개를 혈액 응고 촉진제, 혈병 박리제에 의해 처리된 채혈관에 감압 플러깅한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하였다. 응고, 원심 후에 육안 관찰에 의해 마개를 조사하여, 혈병이 전혀 남아 있지 않는 경우를 ◎, 혈병이 남아 있지만 문제가 없는 범위인 경우를 ○, 혈병이 분명히 남아 있는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검사값)
마개를 혈액 응고 촉진제, 혈병 박리제에 의해 처리된 채혈관에 감압 플러깅한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하였다. 응고, 원심 후에 분리된 혈청을 이용하여 검사를 행하고, 대조군의 검사값과 비교하여 검사값에 전혀 영향이 없는 경우를 ◎, 검사값에 영향이 있지만 문제가 없는 범위인 경우를 ○, 검사값에 크게 영향을 준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라벨 접착성)
마개 20개와 채혈관 5개를 비닐 주머니(plastic bag) 속에서 충분히 진탕한 후, 채혈관을 꺼내어 외주 곡면에 검체 라벨을 접착하였다. 24 시간 방치 후에 육안 관찰에 의해 라벨의 상태를 조사하고, 전혀 박리가 없는 경우를 ◎, 일부가 박리된 경우를 ○, 대부분 박리된 경우를 ×라 평가하였다.
(혈액의 거품 해소)
마개를 항응고제를 넣은 채혈관에 감압 플러깅하고, 얻어진 진공 채혈관을 이용하여 채혈량이 5 mL가 되도록 진공 채혈을 행한 후, 5회 전도 혼화를 행하였을 때, 혈액의 거품이 1 분 이내에 소실된 경우를 ◎, 2 분 이내에 소실된 경우를 ○, 2 분 지나도 소실되지 않은 경우를 ×라 하였다.
Figure 112004055546317-pct00006
표 2로부터, 실시예 16 내지 30에서 제조한 마개에 대해서는 윤활성, 혈병 박리성, 검사값에의 영향이 없고, 라벨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알았다. 또한, 혈액의 거품도 생기지 않고,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었다.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변성 실리콘 오일을 코팅한 마개에서는, 윤활성, 혈병 박리성은 우수하지만 검사값에 영향을 주고, 라벨 접착성이 뒤떨어졌다. 비교예 5에서 제조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폴리디메틸실록산(소수성 실리콘 오일)을 코팅한 마개에서는, 검사값, 라벨 박리, 혈액의 거품 해소에서 결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 처리를 행하지 않는 비교예 6에서 제조한 마개에 서는, 검사값에의 영향에 줄 뿐 아니라 윤활성, 혈병 박리성 및 혈액의 거품 해소도 뒤떨어져, 비교예 4 내지 6의 마개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음과 동시에 혈액의 거품도 없고, 혈액의 거품이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에 용이하게 플러깅할 수 있고, 혈액 검사에서 혈병 등의 부착이 없음과 동시에 혈액의 거품도 없으며, 혈액의 거품이 생긴 경우에도 빠르게 소포되어, 검사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또한 혈액 검사용 유저관 끈적임이나 라벨 박리도 일으키지 않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상기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상기 코팅층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가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또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 또는 이들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가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또는 이들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4. 한쪽 말단이 개구되고, 다른 말단이 폐색된 관상 부재와, 상기 관상 부재 상의 적어도 혈액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으로서,
    상기 코팅층이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
  5.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 또는 이들 둘 다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가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또는 25 ℃에서의 점도가 30 내지 50000 mPs인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에테르, 또는 이들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7. 제5항에 있어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가 폴리옥시프로필렌 부틸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세릴에테르, 또는 이들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8. 마개상 부재와, 상기 마개상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개상 부재가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10. 제9항에 있어서, 고무가 부틸 고무, 염소화 부틸 고무 또는 브롬화 부틸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8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13. 제4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14. 제4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과, 제8항에 기재된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검사용 용기.
KR1020047019187A 2002-05-29 2003-05-29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검사용 용기 KR100981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55856 2002-05-29
JPJP-P-2002-00155856 2002-05-29
PCT/JP2003/006722 WO2003100414A1 (en) 2002-05-29 2003-05-29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stopper of bottomed tube for blood examination and blood examination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719A KR20050009719A (ko) 2005-01-25
KR100981496B1 true KR100981496B1 (ko) 2010-09-10

Family

ID=2956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187A KR100981496B1 (ko) 2002-05-29 2003-05-29 혈액 검사용 유저관, 혈액 검사용 유저관의 마개 및 혈액검사용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595028B2 (ko)
EP (1) EP1508804B1 (ko)
KR (1) KR100981496B1 (ko)
CN (1) CN1325913C (ko)
AU (1) AU2003241874A1 (ko)
TR (1) TR201907217T4 (ko)
WO (1) WO20031004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21A (ko) 2018-05-23 2019-12-03 서정원 진단용 생리컵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5913C (zh) * 2002-05-29 2007-07-1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血液检查用有底管、血液检查用有底管的栓体和血液检查用容器
US20100248329A1 (en) * 2003-04-25 2010-09-30 Ryusuke Okamoto Blood coagulation promoter and blood collection tube
CN101137902B (zh) * 2005-03-17 2012-04-1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血液凝固促进剂及血液检查用容器
DE102008006614A1 (de) * 2008-01-29 2009-07-30 Riepe, Angelika Trennmittel
CN102132140B (zh) * 2008-08-28 2013-06-12 积水医疗株式会社 血液采集容器
US10016757B2 (en) 2011-04-28 2018-07-10 Labcyte Inc. Sample containers adapted for acoustic ejections and sample preservation and methods thereof
WO2023096739A1 (en) * 2021-11-23 2023-06-01 Corning Incorporated Materials for handling and long-term storage of extracellular ves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34B1 (ko) * 1988-08-03 1992-01-21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채 혈 관
KR100741719B1 (ko) 2007-04-30 2007-08-02 (주)에스피엠 진공사용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진공채혈관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2723A (ko) * 1951-05-31
SE355614B (ko) * 1970-05-13 1973-04-30 Mo Och Domsjoe Ab
US4153739A (en) * 1977-06-30 1979-05-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for collecting blood
DE3165646D1 (en) * 1980-05-08 1984-09-27 Terumo Corp Apparatus for separating blood
US4373009A (en) * 1981-05-18 1983-02-08 International Silicon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hydrophilic coating on a substrate
JPS6015335B2 (ja) * 1981-09-02 1985-04-18 東洋紡績株式会社 血液取扱い用具
JPS58105063A (ja) 1981-12-17 1983-06-22 Sekisui Chem Co Ltd 血液検査用容器
JPS58195151A (ja) 1982-05-10 1983-11-14 Sekisui Chem Co Ltd 血液検査用容器
EP0103307B1 (en) * 1982-09-14 1990-07-25 Nec Corporation Coil wire
JPS61128944A (ja) 1984-11-27 1986-06-17 テルモ株式会社 減圧採血管
DE3683657D1 (de) * 1985-01-29 1992-03-12 Sekisui Chemical Co Ltd Evakuiertes blutentnahmeroehrchen.
US4731242A (en) * 1986-03-21 1988-03-15 Victor Palinczar Waterproof sunscreen compositions
JPS6368138A (ja) 1986-09-11 1988-03-28 株式会社ニツシヨ− 真空採血管
US4948525A (en) * 1988-04-06 1990-08-14 Nippon Oil Co., Ltd. Lubricating oil compositions for refrigerators
US4852584A (en) * 1988-10-11 1989-08-01 Selby Charles R Fluid collection tube with a safety funnel at its open end
US6395227B1 (en) * 1989-08-28 2002-05-28 Lifescan, Inc. Test strip for measuring analyte concentration over a broad range of sample volume
CA2042594A1 (en) * 1989-10-02 1991-04-03 Shuichiro Hino Kit and method for the immunological assay of a human tissue plasminogen activator-human plasminogen activator complex
CA2007620A1 (en) * 1990-02-11 1991-07-11 Charles Terrence Macartney Biological sample collection tube
AU649828B2 (en) * 1992-04-20 1994-06-02 Sekisui Chemical Co., Ltd. Serum and plasma separating compositions and blood testing containers
KR100274481B1 (ko) * 1992-04-24 2001-11-22 웬디 딕슨 조직유착을방지하기위한장치
US6506340B1 (en) * 1993-06-01 2003-01-14 Cobe Cardiovascular, Inc. Antifoaming device and method for extracorporeal blood processing
US5344611A (en) * 1993-06-14 1994-09-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Vacuum actuated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tube of clot-accelerating plastic
JPH07197083A (ja) * 1993-12-28 1995-08-01 Kao Corp 洗浄剤組成物
US5533518A (en) * 1994-04-22 1996-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mechanical phase separating insert
US5650234A (en) * 1994-09-09 1997-07-22 Surface Engineering Technologies, Division Of Innerdyne, Inc. Electrophilic polyethylene oxides for the modification of polysaccharides, polypeptides (proteins) and surfaces
AU698090B2 (en) * 1994-09-19 1998-10-22 Sekisu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A blood component deposition-preventing agent, a blood coagulation accelerator, methods using them, and blood test ware and matrixes
US5509899A (en) * 1994-09-22 1996-04-23 Boston Scientific Corp. Medical device with lubricious coating
US5786227A (en) * 1995-06-07 1998-07-28 Biex, Inc. Fluid collection kit and method
US6673852B1 (en) * 1995-07-11 2004-01-06 Nihon Kohden Corporation Conductive composition for biological electrode
US5683771A (en) * 1996-01-30 1997-11-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tube assembly
DE19630879A1 (de) 1996-07-31 1998-02-05 Hanno Lutz Prof Dr Baumann Verfahren zur Herstellung blutverträglicher Werkstoffe durch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synthetischen Polymeren mit wasserlöslichen Substanzen aus natürlichen oder modifizierten Oligo- und Polysacchariden über kovalente Bindungen
WO1998008884A1 (en) * 1996-08-26 1998-03-05 Tyndale Plains-Hunter, Ltd.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lyether polyurethanes and uses therefor
JPH1090255A (ja) * 1996-09-12 1998-04-10 Sasagawa Kazuyasu 血沈管
JPH10248828A (ja) * 1997-03-10 1998-09-22 Nissho Corp 溶血管
US6534016B1 (en) * 1997-04-30 2003-03-18 Richmond Cohen Additive prepar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221467B1 (en) * 1997-06-03 2001-04-24 Scimed Life Systems, Inc. Coating gradient for lubricious coatings on balloon catheters
EP1018648A4 (en) * 1997-09-16 2006-08-02 Sekisui Chemical Co Ltd CONTAINER AND METHOD FOR BLOOD TESTING
US6077235A (en) * 1999-02-23 2000-06-2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US6176849B1 (en) 1999-05-21 2001-01-23 Scimed Life Systems, Inc. Hydrophilic lubricity coating for medical devices comprising a hydrophobic top coat
US6155991A (en) * 1999-07-01 2000-12-05 Via Christi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US6447835B1 (en) * 2000-02-15 2002-09-10 Scimed Life Systems, Inc. Method of coating polymeric tubes used in medical devices
US6903243B1 (en) * 2000-09-08 2005-06-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bsorbent wound dressing
US6551267B1 (en) 2000-10-18 2003-04-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l article having blood-contacting surface
US7927650B2 (en) * 2001-08-20 2011-04-19 Innovational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beneficial agent into a medical device
US20030105199A1 (en) * 2001-11-16 2003-06-05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US7015262B2 (en) * 2002-05-01 2006-03-21 Lifescan, Inc. Hydrophilic coatings for medical implements
CN1325913C (zh) * 2002-05-29 2007-07-1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血液检查用有底管、血液检查用有底管的栓体和血液检查用容器
US6672852B1 (en) * 2003-04-18 2004-01-06 Rechi Precision Co., Ltd. Lubricant filling device for scroll compres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34B1 (ko) * 1988-08-03 1992-01-21 데루모 가부시끼가이샤 채 혈 관
KR100741719B1 (ko) 2007-04-30 2007-08-02 (주)에스피엠 진공사용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진공채혈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321A (ko) 2018-05-23 2019-12-03 서정원 진단용 생리컵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07217T4 (tr) 2019-06-21
US8685713B2 (en) 2014-04-01
CN1656377A (zh) 2005-08-17
EP1508804B1 (en) 2019-03-06
EP1508804A4 (en) 2011-03-09
US20080274540A1 (en) 2008-11-06
CN1325913C (zh) 2007-07-11
US20050106071A1 (en) 2005-05-19
KR20050009719A (ko) 2005-01-25
AU2003241874A1 (en) 2003-12-12
WO2003100414A1 (en) 2003-12-04
EP1508804A1 (en) 2005-02-23
US7595028B2 (en)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356B2 (ja) 血液接触面を有する医療用品
US8685713B2 (en) Blood testing bottomed tube, stopper for blood testing bottomed tube and blood testing container
EP2260942A2 (en) Protease Inhibitor Sample Collection System
US5736033A (en) Separator float for blood collection tubes with water swellable material
JP3364609B2 (ja) 血液収集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EP0832690B1 (en) Collection assembly with a reservoir
CA2504603A1 (en) Plasma or serum separation membrane and filter apparatus including the plasma or serum separation membrane
WO2010024325A1 (ja) 血液採取容器
JP3063799B2 (ja) 血液分離剤
JP7169608B1 (ja) 血液採取容器、血漿の分離方法、細胞外遊離核酸の分離方法及び細胞外小胞の分離方法
WO1996024058A1 (fr) Element de separation de composants et separateur de composants equipe dudit element
JP3836446B2 (ja) 血液検査用有底管、血液検査用有底管の栓体及び血液検査用容器
JPH09222427A (ja) 血液検査容器
JP7244162B2 (ja) 採血容器
JP2000292421A (ja) 血液処理方法及び採血管
KR930011959A (ko) 향상된 처리를 위한 발포체를 포함하는 모세관 수집장치
JPH08201380A (ja) 血液分離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血液分離用採血管
JP4852479B2 (ja) 血液凝固促進剤含有組成物及び血液検査用容器
US12007382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sample
JP2002267660A (ja) 血液検査用容器
JP3298096B2 (ja) 減圧採血管
JP5433564B2 (ja) 採血管
JP6747744B1 (ja) 血餅付着防止剤及び血液採取容器
JP2008302077A (ja) 真空検体採取容器
JPH02305554A (ja) 液体試料微量採取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