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196B1 -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196B1
KR100975196B1 KR1020040067199A KR20040067199A KR100975196B1 KR 100975196 B1 KR100975196 B1 KR 100975196B1 KR 1020040067199 A KR1020040067199 A KR 1020040067199A KR 20040067199 A KR20040067199 A KR 20040067199A KR 100975196 B1 KR100975196 B1 KR 10097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ss damper
mass
housing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701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1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조작기구로 전달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질량을 가중시킴으로서 상기 케이블에 질량댐퍼 역할을 하는 질량부와; 상기 질량부의 질량을 상기 케이블에 가중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따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블의 조립 시 매스댐퍼를 이동시켜 조립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연결 후 매스댐퍼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켜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Mass damper of cable in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의해 도시된 고정수단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속레버기구 12 : 변속레버
20 : 케이블 30 : 매스댐퍼
32 : 하우징 32a : 관통홀
32b : 버튼홀 32c : 연장부
33 : 클립 34 : 질량부
42 : 버튼 42a :플랜지부
44 : 고정링 44a : 절개부
44b : 경사면 44c : 지지부
46 : 로드 48 : 스프링
본 발명은 변속기의 조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쉬프트케이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매스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레버가 설치된 변속기구와 변속기 사이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변속기로 전달하는 케이블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케이블(1)은 변속레버기구(2)의 변속레버(3)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변속기(미도시) 측의 변속조작기구(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변속레버(3)를 조작할 경우 운전자의 조작력은 상기 케이블(1)을 통해 변속조작기구로 전달되어 변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에는 변속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노이즈 등을 여과시키기 위해 매스댐퍼(4)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 매스댐퍼(4)는 상기 케이블(1)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생산라인에서 상기 케이블(1)을 조립할 때 일체형으로 제작된 상기 매스댐퍼(4)로 인해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이 설치된 경우 상기 케이블(1)이 연결된 각 장치들의 생산오차 또는 조립오차 등에 의해 상기 케이블(1)에 전달되는 진동의 가진 주파수가 변경되나, 종래 케이블(1)은 매스댐퍼(4)가 일체로 형성되어 변경된 가진 주파수를 상기 매스댐퍼(4)에 의해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블을 따라 이동되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키는 매스댐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는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조작기구로 전달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질량을 가중시킴으로서 상기 케이블에 질량댐퍼 역할을 하는 질량부와; 상기 질량부의 질량을 상기 케이블에 가중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따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의 내부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에 의해 도시된 고정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30)는 변속레버기구(10)의 변속레버(12)와 변속기(미도시) 측의 변속조작기구(미도시)를 연결시키는 케이블(20)에 구비되고, 상기 매스댐퍼(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케이블(20)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변속레버(12)와 변속조작기구를 연결시켜 운전자의 조작력을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스댐퍼(30)는 케이블(20)이 관통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우징(32) 내부에 구비되는 질량부(34)와, 상기 하우징(32)을 상기 케이블(2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질량부(34)는 상기 하우징(32)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질량부(34)의 하중은 상기 하우징(32)을 통해 상기 케이블(20)에 전달되고, 상기 케이블(20)에 전달된 하중은 상기 케이블(20)의 하중을 증가시켜 질량댐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질량부(34)는 상기 하우징(32) 내부에 구비되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하우징(32) 외측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32)은 전체적인 형상이 소정의 벽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하우징(32)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다.
그래서 상기 하우징(32)의 양측은 상기 케이블(20)이 관통되도록 관통홀(32a)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외주 일측에는 후술하는 고정수단의 버튼(42)이 설치되는 버튼홀(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은 상기 케이블(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c)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2c)에는 탄성을 갖는 클립(33)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2)을 상기 케이블(2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32)을 상기 케이블(2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20)의 외둘레로 감싸져 밀착되는 고정링(44)과, 상기 고정링(44)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상기 케이블(20)과 상기 고정링(44)의 마찰을 감소 또는 제거시키는 로드(46)와, 상기 로드(46)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2)의 버튼홀(32b)을 통해 일부 돌출되는 버튼(42)과, 상기 버튼(42)과 상기 고정링(4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4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44)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 중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절개부(44a)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44a)는 상기 로드(46)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44)을 확장시키도록 경사면(44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44a)는 상기 고정링(44)의 외측이 넓고 내측이 좁게 형성되도록 경사면(44b)을 형성시켜 상기 로드(46)가 상기 절개부(44a)로 진입될 경우 상기 로드(46)에 의해 밀려 상기 고정링(44)이 확장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링(44)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링(44)은 외력 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케이블(20) 보다 작은 직경을 형성시키는 내측 방향으로 수축되며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서로 떨어진 절개부(44a)의 양 측면이 서로 접촉될 경우 상기 고정링(44) 내측의 직경은 상기 케이블(20)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상기 버튼(42)과 대향되어 상기 스프링(48)이 안착되는 고정링(44)의 상측은 상기 스프링(48)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하여 평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부(44c)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42)은 상기 하우징(32)의 외측으로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버튼(42)이 소정 부분 이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42)의 하측에는 상기 하우징(32)의 내측면에 걸림되는 플랜지부(42a)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46)는 상기 플랜지부(42a)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44a)의 경사면(44b)을 도 4에서 좌/우측으로 밀어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로드(46)는 끝단의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42a)의 하측면은 상기 스프링(48)이 지지되는 지지부의 역할을 겸하고, 상기 스프링(48)은 상기 지지부(44c)와 플랜지부(42a) 사이에 위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 3 또는 도 4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조립자는 케이블(20)의 연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매스댐퍼(30)를 케이블(20)의 한쪽에 위치시킨 뒤 상기 변속조작기구와 변속레버(12)를 상기 케 이블(20)을 통해 연결시킨다.
이후 조립자는 진동이 발생되지 않거나 최소가 되는 위치로 상기 매스댐퍼(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매스댐퍼(30)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상기 버튼(42)을 눌러 상기 로드(46)를 상기 고정링(44) 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로드(46)는 상기 고정링(44)의 절개부(44a)로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44a)를 확장시키며, 상기 고정링(44)이 확장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20)과 상기 고정링(44)의 마찰력은 감소 또는 제거된다.
이후 조립자는 상기 버튼(42)을 누른 채로 상기 매스댐퍼(3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버튼(4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여 상기 고정링(44)을 상기 케이블(2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로드(46)는 상기 절개부(44a)의 경사면(44b)이 원위치 되는 힘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상기 버튼(42)과 고정링(44)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8)에 의해서 원활히 원위치된다.
더불어 조립자는 상기 하우징(32)의 일측에 형성된 연장부(32c)에 클립(33)을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하우징(32)을 상기 케이블(20)에 재차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기 매스댐퍼(30)는 상기 고정링(44) 및 연장부(32c)에 의해 상기 케이블(20)의 최적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20)에 질량을 가중시킴으로서 상기 케이블(20)의 진동을 억제시키는 질량댐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매스댐퍼(30)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서 상기 매스댐퍼(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는 조립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케이블의 조립 시 매스댐퍼를 이동시켜 조립에 따른 간섭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연결 후 매스댐퍼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켜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는 버튼의 누름과정을 통해 케이블의 고정상태를 이동가능 상태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매스댐퍼의 이동과정이 간편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는 조립 시 매스댐퍼의 간섭이 최소화되어 작업자의 조립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7)

  1.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변속조작기구로 전달하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에 질량을 가중시킴으로서 상기 케이블에 질량댐퍼 역할을 하는 질량부와;
    상기 질량부의 질량을 상기 케이블에 가중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따라 상기 하우징을 상기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외력에 의해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일부가 절단되고, 상기 케이블 측으로 수축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누름 작용에 의해 상기 고정링의 절개부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을 확장시키는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고정링으로 진입되는 로드에 의해 확장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고정링 측의 단면이 더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따라 이동되도록 중심이 중공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케이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수축되도록 형성된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고정링 사이에는 누름 작용된 상기 버튼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또는 상기 고정링에는 누름 작용된 상기 버튼을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KR1020040067199A 2004-08-25 2004-08-25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KR10097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99A KR100975196B1 (ko) 2004-08-25 2004-08-25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199A KR100975196B1 (ko) 2004-08-25 2004-08-25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701A KR20060018701A (ko) 2006-03-02
KR100975196B1 true KR100975196B1 (ko) 2010-08-10

Family

ID=3712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199A KR100975196B1 (ko) 2004-08-25 2004-08-25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1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231U (ko) * 1988-06-07 1989-12-20
KR200203980Y1 (ko) 2000-05-31 2000-11-15 주식회사대동시스템 자동차의 가속 페달 및 클러치 페달용 케이블 방진장치
JP2001254824A (ja) 2000-03-08 2001-09-21 Hino Motors Ltd 車両用変速機のケーブル式操作装置
KR20020003980A (ko) * 2000-06-28 2002-01-16 홍민철 송급성이 우수한 아크용접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신선방법
KR20050042691A (ko) * 2003-11-04 2005-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케이블 매스 댐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231U (ko) * 1988-06-07 1989-12-20
JP2001254824A (ja) 2000-03-08 2001-09-21 Hino Motors Ltd 車両用変速機のケーブル式操作装置
KR200203980Y1 (ko) 2000-05-31 2000-11-15 주식회사대동시스템 자동차의 가속 페달 및 클러치 페달용 케이블 방진장치
KR20020003980A (ko) * 2000-06-28 2002-01-16 홍민철 송급성이 우수한 아크용접용 와이어 및 와이어의 신선방법
KR20050042691A (ko) * 2003-11-04 2005-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케이블 매스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701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3221B2 (en) Steering wheel structure
JP2011137536A (ja) ばね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KR100721890B1 (ko) 시프트 레버 장치
US10981441B2 (en) Torque rod
EP3128209A1 (en) Shift selector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KR100349770B1 (ko) 토션프리댐퍼
KR100357647B1 (ko) 자동차용감쇠플라이휠
KR100975196B1 (ko) 자동차 케이블의 매스댐퍼
JPH11166584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を有するリンク部材
KR100326787B1 (ko) 차량용감쇠플라이휠
JP2006029423A (ja) ワンウエイ弁
US6874607B2 (en) Friction clutch
JP2002130244A (ja) 遠隔操作ケーブル用マウント
KR100461817B1 (ko) 변속조작기구의 변속 케이블 설치구조
JP2010007717A (ja) 捩り振動低減装置
KR101745240B1 (ko) 러버댐퍼를 내장한 tgs 케이블 소켓 및 그 제조방법
JP2019026156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JP2003166521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結合装置
JP2006077916A (ja) シフトフォー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71630Y1 (ko)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JPH0232927Y2 (ko)
WO2022114203A1 (ja) 固定構造
JP2002067726A (ja) 変速機操作装置
JP2005163842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装置
JP2019026155A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