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878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878B1
KR100973878B1 KR20080030724A KR20080030724A KR100973878B1 KR 100973878 B1 KR100973878 B1 KR 100973878B1 KR 20080030724 A KR20080030724 A KR 20080030724A KR 20080030724 A KR20080030724 A KR 20080030724A KR 100973878 B1 KR100973878 B1 KR 10097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
buffer layer
wiring
pa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91A (ko
Inventor
신이찌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9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2Titanium [T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9Indium [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46Mixed devices
    • H01L2924/1461M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8Effect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device integration
    • H01L2924/381Pitch distance

Landscapes

  • Wire Bond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기판 위의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구조에서, 접속 시의 가열 또는 하중 부하 시에 발생하는 범프간 쇼트나, 고왜곡에 의한 접속부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기판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종탄성 계수(영율)가 65㎬ 이상 600㎬ 이하인 범프와, 주석, 알루미늄, 인듐, 혹은 납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완충층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또한 범프와 기판 위의 패드 또는 배선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돌기를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면을 초음파에 의해 접속한다.
반도체 소자, 칩측 패드, 레지스트, 범프, 완충층, 기판, 배선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출원은 2007년 4월 6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7-100777호와 2007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07-299110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가전용이나 민생 기기용, 산업용에 이용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 기기를 중심으로 한 고기능화의 요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고속, 대용량의 반도체 디바이스가 필요로 되고 있다. 한편, 기기의 소형화도 큰 니즈로 되고 있고, 이들을 양립시킨 반도체 패키지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이를 실현하는 키 테크놀로지로서, 반도체 소자를 돌기 범프에 의해 접속하는 플립 칩 실장이 주목을 받고 있고, 이미 다양한 패키지에 사용되고 있다. 플립 칩 실장은 패드 위에 범프를 형성한 칩을 기판의 전극 위에 페이스 다운에 의해 접속하는 실장 방식이다.
플립 칩 실장 방식은, 종래의 와이어 본딩 접속 방식에 비해, 접속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신호 전파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어 고속 전송이 가능한 것, 칩 사이 즈가 패키지 사이즈로 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한 것 등의 이점을 들 수 있다. 주된 플립 칩 실장 방식으로서, 칩과 기판 사이를 땜납 범프에 의해 접속하는 땜납 범프 접속 방식, 칩측에 금 스터드 범프를 형성한 후 스터드 범프와 기판측 배선을 땜납으로 접속하는 Au 범프/땜납 접속 방식, 칩측에 금 스터드 범프를 형성한 후 스터드 범프와 기판측 배선을 초음파 접속에 의해 접속하는 초음파 접속 방식(도 7을 참조), 칩측에 스터드 범프를 형성한 후 스터드 범프와 기판측 배선을 은 페이스트나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의 수지재를 주로 한 재료로 접속하는 접촉 접속 방식 등이 주류로 되어 있다.
한편, 범프 피치의 미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칩 적층 패키지의 칩간 접속에서는 20 마이크로미터 피치의 접속이 발표되어 있다. 현재는 칩 적층 패키지에 한정되지만, 금후 칩/기판간의 접속에 관해서도 한층 더한 미세화가 행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칩 적층에 이용하는 전극 범프의 제조 방법 및 접속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범프 선단부를 범프 기부보다 응력 변화를 크게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접속 시에 범프 선단부를 좌굴 변형시켜 접속 시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4371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4541호 공보
선팽창 계수차가 있는 2개 이상의 부재를 상기한 종래의 접속 방식에서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는 각각 이하와 같은 과제를 들 수 있다.
(1) 땜납 범프 접속 방식
접속 시에는 땜납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킬 필요가 있어, 현재 주류로 되어 있는 납 프리 땜납의 경우에는 땜납은 약 240℃ 정도로 가열된다. 그 때문에 접속 후 실온으로 되면, 접속 부재간의 선팽창 계수차에 의해 땜납 접속부에 변형과 왜곡이 발생하여 범프간 쇼트나, 고왜곡에 의한 접속부 파단이 발생한다. 또한,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를 실현하는 경우, 땜납 범프는 30 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현재의 프로세스에서는 미세 범프의 제작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접속 후의 부재간 높이가 20 마이크로미터 정도로 되므로, 언더 필이 부재 사이에 충전되는 것이 곤란해진다.
(2) Au 범프/땜납 접속 방식
땜납 범프 접속 방식과 마찬가지로 땜납을 용융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속 후 실온으로 되면, 접속 부재간의 선팽창 계수차에 의해 땜납 접속부에 변형과 왜곡이 발생하여 범프간 쇼트나, 고왜곡에 의한 접속부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땜납 범프 접속보다도 땜납량이 적기 때문에, 파단 발생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금 범프/칩 패드에의 응력 집중도 염려된다. 또한,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금 스터드 범프를 높이 변동을 억제하여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3) 초음파 접속 방식
초음파 접속 방식의 경우에는 접속 온도가 150℃ 이하로 낮으므로,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쇼트나 접속부 파단은 일어나기 어렵다. 단 접속 시에 하중을 부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 스터드 범프에서는 하중 부하 시에 변형이 생겨, 인접 범프간 쇼트가 염려된다.
(4) 접촉 접속 방식
접촉 접속 방식에서는 접속 온도는 150℃ 정도로 억제되지만, 접속 형태가 접촉이므로 접속 저항이 높아져 고속 전송이 곤란해진다. 또한, 미세 접속용의 은 페이스트나 ACF로 하는 경우에는 수 마이크로미터 직경의 도전 입자품을 선정할 필요가 있어 코스트가 높아진다.
이상으로부터, 미세 접속에 관해서는 종래의 기술을 그대로 적응하는 경우에는 과제가 많아,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범프의 선단을 변형시켜 접속 시 하중을 흡수할 수 있지만, 접촉 접속이기 때문에 선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부재간의 접속에서는 접촉 저항이 높아져, 부적합하다. 또한, 150℃∼400℃에서의 가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선팽창 계수차에 기인하는 접속부 변형이나 왜곡이 커지게 되어, 이재간(異材間)의 접속에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기판 위의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구조에서, 접속 시의 가열 또는 하중 부하 시에 발생하는 범프간 쇼트나, 고왜곡에 의한 접속부 파단을 방지하거나, 혹은 접촉 저항을 저감하여, 고신뢰성이며 고속 전송에 대응 가능한 반 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주된 것은,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기판 위의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구조에 관하여, 기판과 반도체 소자는 종탄성 계수(영율)가 65㎬ 이상 600㎬ 이하인 범프와, 주석, 알루미늄, 인듐, 납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완충층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범프와 기판 위의 패드 혹은 배선의 대향한 면의 적어도 한쪽에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이다.
상기의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범프와 패드 또는 배선 사이의 접속 시에 생기는 횡방향에의 응력을 완화하고, 완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이동을 방지 또는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저온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범프와 배선 사이에 응력 완충층을 확보하기 쉬운 것, 접속부의 간격(접속 높이 h1)이 높은 것, 응력 완충층을 갖고 있는 것, 경질 범프를 갖고 있는 것, 초음파 접속 등의 저온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의해, 선팽창 계수차가 있는 기재를 접속한 경우라도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접속부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온도와 실온의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제조 직후의 접속부에의 초기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 간격이 넓으므로 언더 필을 주입하기 쉽다. 덧붙여, 요철이 있는 경질 범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접속 시 하중에 의한 범프 변형이 적어져 범프간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접속부 단면 모식도이다. 참조 부호 1은 반도체 소자, 2는 칩측 패드, 11은 범프, 12는 완충층, 20은 기판, 21은 배선, 22는 배선상 도금, 24는 언더 필이다.
범프(11)는 종탄성 계수가 65㎬ 이상 600㎬ 이하로서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고, 예를 들면 니켈, 구리, 알루미늄, 금, 티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범프 전체의 종탄성 계수가 65㎬ 이상이면 복합체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구리와 니켈의 적층 구조 등이어도 된다. 여기서, 범프(11) 전체의 종탄성 계수를 65㎬ 이상으로 한 것은, 선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재료를 접속하는 구조에서 접속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속부의 전단 왜곡 ε이며, 전단 왜곡 ε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 L, 접속 높이 d, 양 부재의 선팽창 계수차 Δα, 온도 변화량 ΔT로 하면, ε=ΔαㆍΔTㆍL/d이며, 접속 높이 d가 높은 쪽이 왜곡이 작아지는, 즉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접속 구조에서는, 주석 단체나 땜납(영율 17∼30㎫ 정도)을 이용하면 높이를 확보할 수 없지만, 종탄성 계수가 65㎬ 이상인 금속 범프(예를 들면, 알루미늄 68㎬)를 이용함으로써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범프(11)의 선단에는 요철을 형성한다.
완충층(12)은 주석, 인듐, 납,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선정된 범프(11) 재료보다도 종탄성 계수가 낮은 재료이면 된다.
완충층(12)은 범프(11)나 배선(21) 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독립하여(칩측 범프, 기판측 배선 중 어느 것에도 미리 형성되어 있지 않고, 범프와 배선에 의해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는 구조) 2∼3㎛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완충층(12)은 주석, 인듐, 납,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선정된 범프(11) 재료보다도 종탄성 계수가 낮은 재료이면 된다.
기판(20)은 수지 기판, 세라믹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이면 된다. 배선(21), 배선상 도금(22)은 각 기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며, 예를 들면 수지 기판의 경우이면 배선(21)은 구리, 배선상 도금(22)은 니켈, 금 도금 등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기판(20)을 프린트 기판으로서 설명한다. 범프(11)에는 접속 대상재측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제1 실시예에서는 산형의 요철을 도시하고 있지만, 범프(11)에 형성되는 요철은 배선상 도금(22)과 접속하였을 때에 범프(11)와 배선상 도금(22) 사이에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완충층(12)이 확보되는 높이이면 형상은 상관없다. 또한, 범프(11)에 형성한 요철은 배선상 도금(22)에 형성하여도 되고, 범프(11), 배선상 도금(22)의 쌍방에 형성하여도 된다.
도 2에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1)측의 범프 형성 프로세스 일례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칩측 패드(2)를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범프(11)를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완충층(12)을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배선을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배선상 도금(22)을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위에 금 도금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반도체 소자(1)에는 도 2의 (a)와 같이 칩측 패드(2)와 배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칩측 패드(2) 위에 니켈을 도금하기 위한 전처리로서, 표면을 에칭한 후에 아연 치환의 징케이트 처리를 행한다. 그 후 도 2의 (b)와 같이 레지스트(3)를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함으로써 범프(11)의 형성 예정 개소에 개구부를 형성한다(도 2의 (c)). 레지스트(3)로서는 네가티브형 레지스트,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레지스트(3)의 두께는 원하는 범프 높이 이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한 개구부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니켈 범프를 형성한다(도 2의 (d)). 형성한 니켈 범프의 선단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요철의 형성 방법예를 이하에 기재한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1 방법은 형으로 누름으로써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범프(11)보다도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 혹은 표면 코딩된 지그의 표면에, 범프(11) 위에 형성하고자 하는 원하는 높이의 요철(1∼15㎛)을 형성한다. 요철 형성에는 기계 연마나 에칭, 레이저 가공, 플라즈마 가공, 절삭 등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지그재의 가공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지그에 도 2의 (d)를 대향시켜 상방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범프(11) 위에 요철을 형성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요철을 형성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범프 전사법이나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에서 이용되는 박막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범프 형성법 등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2 방법은 드라이 에칭을 이용한 방법이다. 드라이 에칭의 방법은 반응성 가스 에칭, 반응성 이온 에칭, 반응성 이온빔 에칭, 반응성 레이저빔 에칭 등 과학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이라도, 이온 밀링과 같이 이온의 충돌에 의해 과학적 반응과 물리적 반응을 동시에 일으켜 에칭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도 2의 (d)의 상태로부터 상기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범프(11)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범프(11)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드라이 에칭에 의해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3 방법은 웨트 에칭을 이용한 방법이다. 웨트 에칭 의 방법은 금속 등을 부식ㆍ용해하는 약품을 가공 대상물에 침투, 분무함으로써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로세스로, 한번에 대량의 가공이 저코스트로 실현 가능하다. 도 2의 (d)의 상태로부터 웨트 에칭법으로 범프(11)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범프(11)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드라이 에칭에 의해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도금 프로세스에 의한 범프 형성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범프 전사법이나 MEMS 프로세스를 이용한 범프 형성법 등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4 방법은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방법이다. 레이저의 종류는 YAG 레이저, 루비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탄산 가스 레이저, 아르곤 이온 레이저, 헬륨 네온 레이저 등의 가스 레이저, 액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 등 대상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요철 형성은 미세 가공이 가능하므로, 복잡한 형상으로도 가공할 수 있는 것이 메리트이다. 도 2의 (d)의 상태로부터 레이저로 범프(11)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범프(11)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레이저에 의해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도금 프로세스에 의한 범프 형성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범프 전사법이나 MEMS 프로세스를 이용한 범프 형성법 등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5 방법은 스퍼터링을 이용한 방법이다. 스퍼터링은 진공 중에서 이온화한 아르곤을 가공면에 충돌시킴으로써 표면 가공이나 성막하는 기술이다. (d)의 상태의 샘플을 진공 챔버에 세트하고 이온화한 아르곤으로 범프(11) 상면을 가공함으로써 1∼15㎛의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과, 스퍼터 성막 장치로 임의의 돌기를 범프 위에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범프(11)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레이저로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도금 프로세스에 의한 범프 형성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범프 전사법이나 MEMS 프로세스를 이용한 범프 형성법 등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범프 선단 요철 형성 제6 방법은 연마를 이용한 방법이다. 도 2의 (d)의 상태의 샘플을 연마지로 연마함으로써, 범프(11)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요철이 상기 기재 범위에 들어가는 입도의 연마지를 사용한다. 연마지에 의한 가공은 매우 용이한 것이 특장이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연마 시의 응력에 의한 범프(11)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범프(11) 위에 연마로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금을 증착하거나 스퍼터, 도금 등에 의해 0.01㎛∼5㎛ 형성한다. 금은 필요한 경우만 형성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3)를 제거함으로써 범프(11)를 형성한 반도체 소자(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전해 도금에 의한 형성 프로세스를 설명하였지만, 전해 도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여기서는 도금 프로세스에 의한 범프 형성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범프 전사법이나 MEMS 프로세스를 이용한 범프 형성법 등 형성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요철 형성 방법에서는 반도체 소자(1)측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을 기재하였지만, 기판(20)측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여도 마찬가지인 효과가 얻어진다. 도 3에 제1 실시예의 기판(20)측의 완충층(12) 형성 프로세스 일례를 도시한 다. 도 3의 (a)에서는 프린트 기판(20) 위에 구리 배선(21) 및 니켈 도금이 형성되어 있다. 그 후 레지스트(23) 도포 후에 완충층(12)을 형성하는 개소에 노광 및 현상에 의해 개구부를 형성한다(도 3의 (c)). 레지스트(23)로서는 네가티브형 레지스트,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마지막으로 개구부에 주석 도금을 전기 도금 혹은 무전해 도금법으로 형성함으로써 완충층(12)을 갖는 프린트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하는 주석 도금 두께는 반도체 소자(1)측에 형성하는 칩측 패드(2), 범프(11)와 주석 도금 두께와 배선(21)과 배선상 도금(22) 두께의 총합 h1이 칩측 패드 직경 h2보다도 길어지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h2는 반도체 소자 위에 형성된 패드 외주의 내측에서, 그 패드 위를 덮도록 형성된 막에 뚫려진 개구부의 치수를 나타낸다. 또한, 이 개구부의 형상은 원형의 경우나 직사각형의 경우가 있고, 전자의 경우에는, h2는 그 직경을 가리키고, 후자의 경우에는, 짧은 변의 길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한 주석 도금은 딥에 의해 형성하여도 된다.
도 4에 제1 실시예의 패키지 형성 프로세스 일례를 도시한다. 우선 도 4의 (a)와 같이 기판측의 완충층(12)과 칩측 범프(11)의 위치 정렬을 행한다. 접속 전에 기판측 완충층(12)을 크리닝함으로써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치 정렬 후, 가열, 가압을 행하면서 초음파 접속한다. 가열 온도는 접속부 온도가 실온 이상, 150℃ 이하로 되도록 설정한다. 초음파 인가 시의 접속부 확대를 도 5에 도시한다. 초음파 접속 프로세스에서는, 우선 하중을 가함으로써 피접촉체끼리의 거리 를 가깝게 하고, 그 후 하중을 인가한 상태로 초음파를 발진하여, 피접촉체 표면의 산화막이나 오염막을 제거함으로써 신생면을 노출시켜 양자를 고상 확산시킴으로써 접속을 확보한다. 범프(11)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초기 하중을 부하하여도 범프(11)와 배선상 도금(22) 사이에 완충층(12)을 개재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돌기가 없는 경우보다도 높은 하중을 부하할 수 있어, 피접촉체끼리의 거리를 더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범프(11)와 완충층(12) 및 완충층(12)과 배선상 도금(22)에서도 초음파 인가에 의해 완충층(12) 위의 산화막이 제거되어 신생면이 노출됨으로써 고상 확산 접속이 행해져 전기적 접속이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언더 필(24)을 반도체 소자(1)와 기판(20)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접속부의 보강 및 접속부 오염의 방지가 행해져 패키지가 완성된다.
본 실시예의 특장은 범프와 배선 사이에 응력 완충층을 확보하기 쉬운 것, 접속부의 간격(접속 높이 h1)이 높은 것, 응력 완충층을 갖고 있는 것, 경질 범프를 갖고 있는 것, 초음파 접속 등의 저온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응력 완충층을 확보하기 쉬움으로써 초기 하중을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피접촉체끼리의 거리를 가깝게 하기 쉬움으로써 초음파 인가 시에 산화막이나 오염막을 제거하기 쉽다. 또한, 접속부 간격이 큼으로써, 선팽창 계수차가 있는 기재를 접속한 경우라도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접속부 응력 집중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언더 필을 주입하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응력 완충층을 갖고 있음으로써, 통상의 초음파 접속 방식에 비해 제조 및 사용 환경 하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접속부에서 완화할 수 있다. 경질 범프를 갖고 있음으로써, 접속 시 하중에 의한 범프 변형이 적어져 범 프간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 접속 등의 저온 접속이기 때문에, 접속 온도와 실온의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제조 직후의 접속부에의 초기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효과가 있으며, 신뢰성이 높은 접속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소자(1)측에 니켈 범프와 금 도금을 형성하고, 기판측에 주석 완충층을 형성한 예로 설명하였지만, 니켈 범프를 기판측에 형성하여도 되고, 주석을 반도체 소자(1)측에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완충층(12)으로서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이용하여도 된다.
<실시예 2>
도 6은 제2 실시예의 단면 모식도이다. 참조 부호 1은 반도체 소자, 2는 칩측 패드, 11은 범프, 12는 완충층, 20은 기판, 21은 배선, 22는 배선상 도금, 24는 언더 필이다.
범프(11)는 종탄성 계수가 65㎬ 이상 600㎬ 이하로서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고, 예를 들면 니켈, 구리, 알루미늄, 금, 티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또한, 범프 전체의 종탄성 계수가 65㎬ 이상이면 복합체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구리와 니켈의 적층 구조 등이어도 된다.
완충층(12)은 주석, 인듐, 납,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선정된 범프(11) 재료보다도 종탄성 계수가 낮은 재료이면 된다. 기판(20)은 수지 기판, 세라믹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이면 된다.
배선(21), 배선상 도금(22)은 각 기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며, 예를 들면 수지 기판의 경우이면 배선(21)은 구리, 배선상 도금(22)은 니켈, 금 도금 등을 들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기판(20)을 프린트 기판으로 하고, 기판 배선측에 요철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1 방법은 형으로 누르는 방법이다. 배선상 도금(22)보다도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 혹은 표면 코팅된 지그의 표면에, 배선상 도금(22) 위에 형성하고자 하는 원하는 높이의 요철(1∼15㎛)을 형성한다. 요철 형성에는 기계 연마나 에칭, 레이저 가공, 플라즈마 가공, 절삭 등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여도 되지만, 지그재의 가공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지그에 도 3의 (a)의 기판을 대향시켜 상방으로부터 하중을 가함으로써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다. 레지스트를 형성하면 배선상 도금(22)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은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2 방법은 드라이 에칭을 이용한 방법이다. 드라이 에칭의 방법은 반응성 가스 에칭, 반응성 이온 에칭, 반응성 이온빔에칭, 반응성 레이저빔 에칭 등 과학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방법이라도, 이온 밀링과 같이 이온의 충돌에 의해 과학적 반응과 물리적 반응을 동시에 일으켜 에칭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된다. 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상기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배선상 도금(22)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배선상 도금(22)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배선상 도금(22)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은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3 방법은 웨트 에칭을 이용한 방법이다. 웨트 에칭의 방법은 금속 등을 부식ㆍ용해하는 약품을 가공 대상물에 침투, 분무함으로써 임의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프로세스로서, 한번에 대량의 가공이 저코스트로 실현 가능하다. 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웨트 에칭법으로 배선상 도금(22)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배선상 도금(22)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배선상 도금(22)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은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4 방법은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방법이다. 레이저의 종류는 YAG 레이저, 루비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탄산 가스 레이저, 아르곤 이온 레이저, 헬륨 네온 레이저 등의 가스 레이저, 액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 자유 전자 레이저 등 대상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한 요철 형성은 미세 가공이 가능하므로, 복잡한 형상으로도 가공할 수 있는 것이 메리트이다. 도 3의 (a)의 상태로부터 레이저로 범프(11) 위에 1∼15㎛의 요 철을 형성한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배선상 도금(22)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범프(11)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5 방법은 스퍼터링을 이용한 방법이다. 스퍼터링은 진공 중에서 이온화한 아르곤을 가공면에 충돌시킴으로써 표면 가공이나 성막하는 기술이다. 도 3의 (a)의 상태의 샘플을 진공 챔버에 세트하고 이온화한 아르곤으로 배선상 도금(22) 상면을 가공함으로써 1∼15㎛의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과, 스퍼터 성막 장치로 임의의 돌기를 범프 위에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볼록부의 형상은 원, 사각, 다각, 구, 타원 등 배선상 도금(22) 표면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된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배선상 도금(22) 이외의 배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은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배선상 도금(22)에 요철을 형성하는 제6 방법은 연마를 이용한 방법이다. 도 3의 (a)의 상태의 샘플을 연마지로 연마함으로써, 배선상 도금(22) 위에 1∼15㎛의 요철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요철이 상기 기재 범위에 들어가는 입도의 연마지를 사용한다. 연마지에 의한 가공은 매우 용이한 것이 특장이다. 돌기 형성 시에는 레지스트를 제거하여도 되지만, 레지스트에 의해 배선상 도금(22) 이외의 배 선 등에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연마 시의 응력에 의한 배선상 도금(22) 박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배선상 도금(22) 위에 요철을 형성한 후, 니켈 표면에 주석을 형성한다. 이 주석은 범프(11)측에 형성하여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각각 범프(11)측 및 배선상 도금(22)측에 요철을 형성한 예이지만, 범프(11) 및 배선상 도금(22) 양방에 요철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형성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프로세스이어도 상관없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의 특장 외에, 반도체 소자(1)측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반도체 프로세스를 간략화할 수 있는 것, 미리 배선상 도금(22)측에 요철이 있기 때문에, 완충층(12)을 포착하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완충층(12)의 두께를 5㎛ 이상으로 한 경우, 상술한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의 프로세스로 제조할 수 있지만, 완충층(12)이 두꺼워짐으로써 응력 완충 기능이 향상되는 것, 사용 환경 시에서 접속 계면의 화합물은 성장을 계속하지만, 초기 완충층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장기간 응력 완충층이 유지된다. 이 결과, 보다 신뢰성이 높은 접속 구조로 되어, 보다 고신뢰성의 반도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기술하였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여러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상세들에 제한되는 것을 원치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그러한 변화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미세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 위에의 범프 형성 프로세스 일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판 위에의 완충층 형성 프로세스 일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프로세스 일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초음파 인가 과정에서의 미세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미세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금 스터드 범프를 이용한 종래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소자
2 : 칩측 패드
3 : 레지스트
11 : 범프
12 : 완충층
20 : 기판
21 : 배선
22 : 배선상 도금
24 : 언더 필

Claims (13)

  1. 반도체 소자 위에 형성된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는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접속 구조는, 한쪽이 상기 미세 피치 전극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종탄성 계수(영율)가 65㎬ 이상이며 600㎬ 이하인 범프와, 주석 혹은 알루미늄 혹은 인듐 혹은 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완충층을 개재하여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 혹은 배선과 접속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범프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 혹은 배선이 대향하는 면 중 하나 이상의 면 위에 돌기 형상을 갖고,
    상기 범프와 상기 완충층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상의 완충층에 상기 범프를 돌기로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접합되고,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사이이며, 복수의 상기 돌기 구조 사이에 상기 완충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피치 전극이 형성된 상기 반도체 소자의 표면과 상기 패드 혹은 배선이 형성된 상기 기판의 표면 사이의 접속 높이를 h1로 하고,
    상기 범프의 접속 직경 혹은 짧은 변 길이를 h2로 하였을 때, h1≥h2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가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의 주재료가 니켈, 구리, 알루미늄, 금, 티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이, 상기 범프 위, 또는 상기 패드 혹은 배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이 전기 도금 또는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이, 상기 범프, 또는 상기 패드 혹은 상기 배선 사이에 삽입된 금속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와 상기 범프, 또는 상기 완충층과 상기 패드 중 어느 하나의 접속이,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실온 이상, 150℃ 이하의 온도에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반도체 소자 위에 형성된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과, 상기 반도체 소자를 탑재하는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접속 구조는, 한쪽이 상기 미세 피치 전극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종탄성 계수(영율)가 65㎬ 이상이며 600㎬ 이하인 범프와, 주석 혹은 알루미늄 혹은 인듐 혹은 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완충층을 개재하여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 혹은 배선과 접속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범프와 상기 완충층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상의 완충층에 상기 범프를 돌기로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접합되고,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사이이며, 복수의 상기 돌기 구조 사이에 상기 완충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반도체 소자에 형성된 50 마이크로미터 피치 이하의 미세 피치 전극과, 기판 위의 패드 혹은 배선을 접속하는 접속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로서,
    상기 접속 구조는 범프와, 상기 범프보다 종탄성 계수가 낮은 완충층과, 배선 두께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범프의 높이, 상기 완충층의 높이 및 상기 배선 두께의 합인 상기 반도체 소자와 상기 기판간의 접속 높이 h1과, 상기 범프의 폭(또는 접속 직경) h2의 관계가, h1≥h2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완충층이, 상기 범프 위 혹은 상기 패드 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범프와 상기 완충층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상의 완충층에 상기 범프를 돌기로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접합되고,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범프와 상기 패드 혹은 배선 사이이며, 복수의 상기 돌기 구조 사이에 상기 완충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의 높이가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의 주성분이 주석, 알루미늄, 인듐, 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20080030724A 2007-04-06 2008-04-02 반도체 장치 KR1009738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00777 2007-04-06
JP2007100777 2007-04-06
JPJP-P-2007-00299110 2007-11-19
JP2007299110A JP5117169B2 (ja) 2007-04-06 2007-11-19 半導体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91A KR20080090991A (ko) 2008-10-09
KR100973878B1 true KR100973878B1 (ko) 2010-08-03

Family

ID=4005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0724A KR100973878B1 (ko) 2007-04-06 2008-04-02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5117169B2 (ko)
KR (1) KR100973878B1 (ko)
CN (1) CN10129569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5930B2 (en) 2017-12-12 2020-06-16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0892A (ja) * 2009-11-06 2011-05-19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子機器、複合型電子機器、検出装置、受光素子アレイ、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EP2883245B1 (de) * 2012-08-10 2020-09-30 SMARTRAC TECHNOLOGY GmbH Kontakthöckerverbindung sowie kontakthöck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ntakthöckerverbindung
JP6133140B2 (ja) * 2013-06-07 2017-05-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接合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13585B2 (ja) * 2013-06-26 2017-04-1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子部品モジュール、基板及び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9953198B2 (en) 2015-12-09 2018-04-24 Smartrac Technology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a cloud connected transponder
KR102627991B1 (ko) * 2016-09-02 2024-0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도체 칩,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및 반도체 칩의 연결방법
SG11202002226QA (en) * 2017-09-15 2020-04-29 Hitachi Chemical Co Ltd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structure, and combination of semiconductor element and substrate
CN110534484B (zh) * 2019-07-25 2022-04-12 南通通富微电子有限公司 封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647A (ja) * 2000-12-28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チップ実装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9959A (ja) * 2001-08-10 2003-02-28 Citizen Watch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実装方法
JP2004079710A (ja) * 2002-08-14 2004-03-11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7346A (ja) * 1985-11-18 1987-05-28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H08340000A (ja) * 1995-06-12 1996-12-24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2121A (ja) * 1999-02-10 2000-08-22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バンプ電極形成方法
JP4547523B2 (ja) * 2000-09-25 2010-09-22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部品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
JP2002134541A (ja) * 2000-10-23 2002-05-10 Citizen Watch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の実装構造
JP4480417B2 (ja) * 2004-02-24 2010-06-16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極バンプ及びその製造並びにその接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647A (ja) * 2000-12-28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チップ実装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59959A (ja) * 2001-08-10 2003-02-28 Citizen Watch Co Ltd 半導体装置とその実装方法
JP2004079710A (ja) * 2002-08-14 2004-03-11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回路基板並びに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5930B2 (en) 2017-12-12 2020-06-16 Samsung Display Co., Ltd.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17169B2 (ja) 2013-01-09
JP5378585B2 (ja) 2013-12-25
JP2013008993A (ja) 2013-01-10
JP2008277733A (ja) 2008-11-13
KR20080090991A (ko) 2008-10-09
CN101295692B (zh) 2010-12-01
CN101295692A (zh)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78B1 (ko) 반도체 장치
US678455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45808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7363972B2 (ja) 貫通電極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実装基板
JP4551255B2 (ja) 半導体装置
US8258625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655926B1 (ko) 반도체장치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TWI646875B (zh) 印刷電路板及其製造方法與使用其之半導體封裝件
JP4504434B2 (ja) 集積半導体装置
JP7176048B2 (ja) 半導体ダイと受動熱交換器との間に熱界面接合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TW200807588A (en) Semiconductor device, built-up type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base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4363573A (ja) 半導体チップ実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22659B (zh) 用於低溫接合的結構和方法
KR20140020767A (ko) 칩형 전자 부품 및 접속 구조체
US20140061921A1 (en) Gold bonding in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orous gold
US8334465B2 (en) Wafer of circuit board and joining structure of wafer or circuit board
JPH09232506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831123B (zh) 多層基板表面處理層結構
JP2002176267A (ja) 電子部品、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JP2007281105A (ja) 電子部品
WO2014024250A1 (ja) 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CN116345099A (zh) 一种硅基腔体环行器/隔离器及其加工方法
KR20020042481A (ko) 어셈블리
KR20030094692A (ko) 무전해 솔더범프 형성방법
JP2004266146A (ja) はんだバンプの形成方法、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