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079B1 -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079B1
KR100969079B1 KR1020040081009A KR20040081009A KR100969079B1 KR 100969079 B1 KR100969079 B1 KR 100969079B1 KR 1020040081009 A KR1020040081009 A KR 1020040081009A KR 20040081009 A KR20040081009 A KR 20040081009A KR 100969079 B1 KR100969079 B1 KR 10096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ox
lead
fill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006A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07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주입부에 관한 것으로서,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는 필러박스(110)와, 상기 필러박스(110)의 일측면에 일측단부가 힌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필러박스(110)의 도어캐치(111)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필러리드(1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러리드(120)가 필러박스(110)에 일측단부가 힌지(130)결합되어 있는 제1필러리드(122)와 타측단부에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필러리드(123)로 분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러리드(120)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의 상하부에는 제2필러리드(123)가 일측 및 타측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절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112)을 형성하여,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가 개방되도록 도어캐치(111)로 부터 걸림부(121)를 분리하면 필러리드(120)의 제2필러리드(123)가 필러박스(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따라 안내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접하도록 접혀지면서 필러박스(110)가 개방 됨으로써, 상기 필러박스(110)를 개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유원이 필러박스(110)에 실수로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상기 필러박스(110)로 부터 필러리드(120)가 분리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필러리드(120)에 의해 주유를 수행시에도 주유원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주입부{Part of Injecting a Fuel of an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주입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료주입부 110 : 필러박스
111 : 도어캐치 112 : 가이드홈
120 : 필러리드 121 : 걸림부
122 : 제1필러리드 123 : 제2필러리드
130 : 힌지 140 : 가림판
150 : 경첩 160 : 탄성체
200 : 연료주입구 300 : 캡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주입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주유를 수행시 필러리드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필러박스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외부에는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연료를 보관하고 있는 연료탱크의 내부로 먼지나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시에는 연료주입구를 개방시켜 연료가 보충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주입부(100)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종래 상기 자동차용 연료주입부(100)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는 필러박스(110)와, 상기 필러박스(110)의 일측면에 일측단부가 힌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필러박스(110)의 도어캐치(111)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필러리드(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연료주입부(100)는 필러박스(110)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캐치(111)에 필러리드(120)의 타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21)가 분리되면, 상기 필러리드(120)의 일측단부가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캡(300)으로 밀폐된 연료주입구(200)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가 개방 된다.
한편, 상기 필러박스(110)를 개방시켜 캡(300)을 연료주입구(200)로부터 분리하여 연료를 연료탱크(미도시)에 주입한 후에는, 상기 연료주입구(200)가 밀폐되도록 캡(300)을 연료주입구(20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필러리드(120)의 타측부에 형성되어있는 걸림부(121)가 도어캐치(111)에 결합되도록 힌지(130)를 중심으로 필러리드(120)를 회전시켜 주는 것에 의해 필러박스(110)가 폐쇄되는 것에 의해 차량의 외부에서 필러박스(11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연료주입부(100)는 필러박스(110)가 개방되도록 필러리드(120)를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필러리드(120)가 힌지(130)에 의해서만 지지되면서 필러박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필러리드(12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힌지(130)로부터 필러리드(120)가 분리되어 수리를 수행해야 함은 물론, 상기 필러박스(110)를 개방시켜 연료탱크(미도시)에 연료를 주입시 항상 주유자가 필러리드(120)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주유를 수행해야 함으로써 주유원이 연료탱크에 연료를 보충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캡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가 설치되는 필러박스와, 상기 필러박스의 일측면에 일측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필러박스의 도어캐치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필러리드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러리드가 필러박스에 일측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제1필러리드와 타측단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필러리드로 분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러리드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의 상하부에는 제2필러리드가 일측 및 타측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에 절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캡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가 개방되도록 도어캐치로 부터 걸림부를 분리하면 필러리드의 제2필러리드가 필러박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에 접하도록 접혀지면서 필러박스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필러박스를 개방시켜 놓은상태에서 주유원이 필러박스에 실수로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필러박스로 부터 필러리드가 분리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필러리드에 의해 주유를 수행시에도 주유원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연료주입부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는 필러박스(110)와, 상기 필러박스(110)의 일측면에 일측단부가 힌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필러박스(110)의 도어캐치(111)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필러리드(1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러리드(120)가 필러박스(110)에 일측단부가 힌지(130)결합되어 있는 제1필러리드(122)와 타측단부에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필러리드(123)로 분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러리드(120)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의 상하부에는 제2필러리드(123)가 일측 및 타측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절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타측 및 일측단부는 경첩(150)으로 연결되어, 제1필러리드(122)의 일측단부가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시 제2필러리드(123)가 경첩(15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접하며 접혀지게 됨은 물론, 상기 접혀진 제2필러리드(123)가 경첩(15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펼쳐지게 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배면에는 스프링과 같이 인장력 및 원상복귀력을 갖고 있는 탄성체(160)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2필러리드(12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121)가 도어캐치(111)로부터 분리되면 탄성체(160)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제2필러리드(123)가 당겨지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접하도록 접혀지게 되고, 상기 제2필러리드(123)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인장력에 의해 늘어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필러박스(110)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캐치(111)에 필러리드(120)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121)를 분리시키게되면 제2필러리드(123)가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60)의 원상복귀력에 의해 당겨지게되 고, 상기 탄성체(160)의 당김력에 의해 제1필러리드(122)는 힌지(130)를 중심으로 일측부가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필러리드(122)와 경첩(150)으로 연결된 제2필러리드(123)는 필러박스(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안내되면서 경첩(150)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것에 의해 필러박스(110)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필러박스(110)를 개방시켜 연료탱크(미도시)에 연료를 주입 한 후에는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접혀진 부분에 압력을 가해주면, 상기 제2필러리드(123)가 필러박스(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따라 안내되면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경첩(150)을 중심으로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가 펼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필러리드(123) 형성된 걸림부(121)를 도어캐치(111)에 결합시키면,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배면에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는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제2필러리드(123)의 걸림부(121)를 도어캐치(111)로부터 분리시 자동으로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가 접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가 개방되도록 도어캐치(111)로 부터 걸림부(121)를 분리하면 필러리드(120)의 제2필러리드(123)가 필러박스(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2)을 따 라 안내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접하도록 접혀지면서 필러박스(110)가 개방 됨으로써, 상기 필러박스(110)를 개방시켜 놓은 상태에서 주유원이 필러박스(110)에 실수로 충격을 가하는 경우에도, 상기 필러박스(110)로 부터 필러리드(120)가 분리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필러리드(120)에 의해 주유를 수행시에도 주유원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캡(300)으로 밀폐되는 연료주입구(200)가 설치되는 필러박스(110)와, 상기 필러박스(110)의 일측면에 일측단부가 힌지(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필러박스(110)의 도어캐치(111)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필러리드(1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필러리드(120)가 필러박스(110)에 일측단부가 힌지(130)결합되어 있는 제1필러리드(122)와 타측단부에 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필러리드(123)로 분활되어 형성되고, 상기 필러리드(120)가 설치되어 있는 필러박스(110)의 상하부에는 제2필러리드(123)가 일측 및 타측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면서 제1필러리드(122)에 절첩되도록 하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타측 및 일측단부는 경첩(150)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배면에는 인장력 및 원상복귀력을 갖고 있는 탄성체(160)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각각 제1필러리드(122)와 제2필러리드(123)의 일측 및 타측단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KR1020040081009A 2004-10-11 2004-10-11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KR100969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009A KR100969079B1 (ko) 2004-10-11 2004-10-11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009A KR100969079B1 (ko) 2004-10-11 2004-10-11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006A KR20060032006A (ko) 2006-04-14
KR100969079B1 true KR100969079B1 (ko) 2010-07-09

Family

ID=3714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009A KR100969079B1 (ko) 2004-10-11 2004-10-11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741B1 (ko) * 2018-05-04 2019-07-29 채병일 차량용 연료캡 보호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355B1 (ko) 2018-09-11 2023-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러도어의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139U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 주유구 도어
KR19980047030A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연료필러 도어개폐장치
KR20010039415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을 위한 광검출기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139U (ko) * 1996-10-2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연료 주유구 도어
KR19980047030A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자동차 연료필러 도어개폐장치
KR20010039415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을 위한 광검출기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741B1 (ko) * 2018-05-04 2019-07-29 채병일 차량용 연료캡 보호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006A (ko) 200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05682A (ko) 차량용 전방 저장장치
KR100969079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JP2016069845A (ja) 蓋部材の開閉構造
JPH0563944U (ja) 可動フューエルリッドの取付構造
CN206968363U (zh) 一种反方向把手的车门以及汽车
KR100394961B1 (ko) 자동차의 연료 캡 분실 방지장치
KR100391787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KR100195521B1 (ko) 자동차의 리어콘솔 개폐장치
KR100513874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장치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KR100980663B1 (ko) 차량의 사이드슬라이딩도어 개방제한장치
KR10046280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캡
DE1718440U (de) Abdeckklappe eines brennstoffbehaelter-einfuellstutzen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KR20070055146A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100783436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구조
KR100957089B1 (ko) 자동차의 연료캡 분실방지구조
KR20070032590A (ko) 차량용 연료캡 분실방지장치
KR200371910Y1 (ko) 차량용 연료캡 구조
KR100587939B1 (ko) 자동차의 필러 도어 장착구조
KR200179583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KR0139416Y1 (ko) 자동차 퓨얼리드 오픈용 레버의 잠금장치
KR100598691B1 (ko) 자동차 도어의 개폐구조
KR20050101970A (ko) 자동차 필러 도어의 개폐구조
KR200265081Y1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 도어 릴리이즈 핸들 고정 메커니즘
KR19980037389A (ko) 자동차의 주유기 캡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