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002B1 -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002B1
KR100969002B1 KR1020080028120A KR20080028120A KR100969002B1 KR 100969002 B1 KR100969002 B1 KR 100969002B1 KR 1020080028120 A KR1020080028120 A KR 1020080028120A KR 20080028120 A KR20080028120 A KR 20080028120A KR 100969002 B1 KR100969002 B1 KR 100969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cket
pedal bracket
collision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885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00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G05G1/327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means disconnecting the pedal from its hinge or support, e.g. by breaking or bending th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페달장치는 운전자가 발판을 밟을 때, 힌지축(2)을 매개로 발생하는 힌지작동을 통해 이어진 장치를 작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페달(1)이 페달브래킷(4)을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에서 차체 패널 부위로 체결되어 충격에 의해 페달브래킷(4)이 밀려날 때, 페달브래킷(4)을 변형시켜 충격을 흡수·완충하면서 힌지축(2)의 결합 상태를 분리하도록, 페달브래킷(4)쪽으로 돌출된 충돌저지단(20)이 구비된 차체브래킷(10)을 설치해줌에 따라, 엔진이 밀려들면서 페달(1)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페달브래킷(4)의 변형을 통해 흡수·완충됨과 더불어,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에 설치된 차체브래킷(10)의 충돌저지단(20)을 통해 페달브래킷(4)이 벌어지면서 페달(1)의 결합 상태를 분리해, 충격을 받은 페달(1)이 밀려나지 않고 발판 부위가 밑으로 내려가 운전자의 하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운전자, 보호, 페달

Description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Pedal device for protecting driver's leg in vehicle}
본 발명은 페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부부위로는 운전자의 발로 조작해 제동이나 가속을 하기 위한 페달이 장착되어진다.
이러한 페달은 운전자의 발 조작으로 상단 부위를 힌지 점으로 해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따라 연결 로드를 매개로 부스터 내부의 압력 판을 누르면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이 발생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페달 중 브레이크 페달은 제동을 위해 운전자의 발이 항상 위치함에 따라, 충돌 시 엔진등이 밀려나면서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 쪽으로 돌출되는 현상으로 인해 운전자의 발목에 큰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한 운전자 발목 부상 방지를 위해 즉, 브레이크 페달이 운전자 쪽으로 돌출되어 나오는 것을 막도록 다수의 브래킷과 위치 고정 부재 등을 추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충돌 시 운전자 쪽으로 브레이크 페달이 밀려나지 않도록 차단해주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운전자 발목 부상 방지를 위해 브레이크 페달 부위로 다수의 브래킷과 위치 고정 부재 등을 추가하게 되면, 좁은 공간과 주변으로 설치된 장치들로 인해 추가적인 레이아웃(Lay Out) 확보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부품 추가로 인한 차량 중량의 상승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에 다수의 브래킷등이 부착되었더라도 차량의 충돌 정도가 큰 경우 충격 흡수 강성을 충분히 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는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으로 인한 운전자의 하체 부위 부상을 막는데 한계성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운전자의 하체 부위로 위치된 페달 쪽에 충격이 가해질 때, 밀려나는 페달 부위가 차체 부위를 이용한 충격 흡수 작용과 더불어 페달의 힌지 결합 부위가 분리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페달이 운전자의 하체 부위로 밀려 이동되는 현상을 차단해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에 의해 밀려나는 페달을 저지하고 분리하는 결합 구조가 차체 부위를 이용함과 더불어 페달의 힌지 결합 구조를 그대로 적용함에 따라, 별도의 추가적인 부품의 이용이 거의 없어 중량과 비용 상승이 거의 없음은 물론 레이 아웃의 변경도 거의 없어 장착의 편리성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의 힌지축의 양쪽 끝단을 결합하고 차체패널 부위로 체결된 페달 브래킷과, 상기 페달 브래킷 부위로 위치된 차체 브래킷으로 구성된 페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브래킷은 다수의 체결홀을 형성한 체결판을 갖추고, 상기 체결판의 양 측면에서 상기 힌지축의 양쪽 끝단인 고정단에 결합된 힌지부시를 끼우도록 체결공을 뚫은 좌·우 측면판을 갖추며, 상기 체결판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접혀진 상기 좌·우 측면판을 통해 형성된 상부공간을 가려주도록, 상기 좌·우 측면판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상부가림판을 갖추고, 상기 상부 가림판쪽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용접 고정되는 제1·2 용접단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차체 브래킷은 상기 페달 브라켓의 앞쪽에서 페달 브래킷의 상부가림판쪽에서 밀림을 저지하도록 돌출된 충돌 저지단을 갖추어, 상기 페달 브래킷의 제1·2 용접단쪽으로 상기 충돌 저지단이 진입되어 제1·2 용접단을 분리하면서 상부가림판을 양쪽으로 벌려줌으로써, 상기 상부가림판을 형성한 좌·우 측면판을 상기 힌지축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2 용접단의 겹쳐지지 않은 구간으로 개구된 페달위치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용접단쪽으로는 벌어진 입구부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차체 브래킷의 충돌 저지단을 위치시키는 변형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을 힌지 결합하면서 충격으로 밀릴 때 차체 부위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차체 부위를 통해 변형된 페달의 힌지 결합 부위를 통해 페달이 아래로 내려가도록 작용하는 브래킷을 적용함에 따라, 충격을 받은 페달이 밀려나지 않고 밑으로 내려가므로 운전자의 하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브래킷을 이용해 페달을 힌지 결합하고 충격 시 페달 분리 작용을 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추가적인 중량 증가가 거의 없고 레이 아웃의 변경이 거의 없으면서도 조립 공수의 추가도 거의 없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브라켓을 이용해 페달의 밀림을 방지하므로, 레이아웃이 불리하여 후퇴방지브래킷을 적용하지 못하는 곳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 조립과 A/S시에도 편리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장치는 운전자가 발판을 밟을 때 힌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상단 부위에 힌지점으로 작용하는 힌지축(2)을 구비한 페달(1)과, 상기 페달(1)이 설치된 차체 패널 부위로 조립 체결되어 상기 힌지축(2)의 양쪽 끝단을 결합함과 더불어, 충격에 의해 변형과 파손되면서 힌지축(2)을 분리시켜 페달(1)을 구속하지 않는 페달브래킷(4) 및 상기 페달브래킷(4)이 밀려오는 방향으로 구속해 줌에 따라, 페달브래킷(4)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완충하면서 변형되어 힌지축(2)을 분리시키는 차체브래킷(10)으로 구성되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페달장치를 이루는 힌지축(2)에는 힌지부시(3)가 더 구비되는데, 이는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위로 페달(1)이 고정된 힌지 축(2)의 양 끝단을 이루는 고정단(2a)에 끼워져 페달브래킷(4)으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힌지부시(3)의 플랜지 부위(동심으로 큰 직경을 이루는 테두리 부위)가 페달브래킷(4)의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조립되어진다.
즉, 상기 힌지부시(3)는 상기 힌지축(2)의 끝단인 고정단에 끼워져 상기 페달브래킷(4)을 관통하는 결합바디(3a)와, 상기 결합바디(3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플랜지(3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페달브래킷(4)은 1개의 판재를 이용해 페달(1)이 수용되도록 빈 공간을 형성한 구조를 이루게 되며, 차체 패널 부위로 체결되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양 쪽 부위를 절곡시켜, 페달(1)이 위치되는 부위인 하부 공간이 틔여져 대략 사각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페달브래킷(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나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차체 패널 부위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 홀을 형성한 체결판(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5)의 양 측면으로는 힌지축(2)의 양 끝단이 결합되도록 체결공(8)을 갖춘 좌·우측면판(6,7)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판(5)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접혀져 절곡된 좌·우측면판(6,7)이 형성하는 상부 공간을 가려주도록, 상기 좌·우측면판(6,7)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상부 가림 판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면판(6,7)은 체결판(5)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접혀진 상태일 때, 페달(1)이 위치되는 공간의 가려짐을 줄여 주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림판은 좌·우측면판(6,7)이 체결판(5)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접혀진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용접고정(A,B)되는 제1·2 용접단(6a,7a,6b,7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 용접단(6a,7a,6b,7b)이 서로 겹쳐지지 않은 부위를 형성해 체결된 페달(1)이 힌지 운동할 때, 페달(1)의 상단 부위가 접촉되지 않도록 개구된 페달 위치공간부(6c,7c)를 형성하며, 상기 제2용접단(6b,7b)쪽으로는 서로 겹쳐지지 않으면서 벌어진 형상을 이루는 변형공간부(6d,7d)가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형공간부(6d,7d)는 충돌에 의해 페달브래킷(4)이 밀려날 때, 제2용접단(6b,7b)부위가 분리되면서 체결판(5)을 기준으로 좌·우측면판(6,7)이 양쪽으로 벌어져, 상기 좌·우측면판(6,7)의 체결공(8)에 결합된 힌지축(2)이 분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변형공간부(6d,7d)는 다양한 형상을 이루지만, 바람직하게는 입구 부위가 넓게 형성되어 점진적으로 양쪽이 힘을 받아 벌어지는 삼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차체브래킷(10)은 도 2(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에 의해 페달브래킷(4)이 밀려날 때, 상기 페달브래킷(4)의 이동을 저지해 충격을 흡수·완화하면서 동시에, 페달브래킷(4)을 양쪽으로 벌려 힌지축(2)을 분리시키도록 충돌저지단(20)이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충돌저지단(20)은 삼각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꼭지점을 이루는 정정 부위가 페달브래킷(4)쪽을 향하게 되며, 이는 상기 충돌저지단(20)이 밀려드는 페달브래킷(4)으로 파고들면서 즉, 페달브래킷(4)의 삼각 형상을 이루는 변형공간부(6d,7d)가 충돌저지단(20)쪽으로 밀려감에 따라, 충돌저지단(20)의 삼각 형상을 통해 점진적으로 벌어지면서 제2용접단(6b,7b)의 용접부가 분리되고, 이로 인해 좌·우측면판(6,7)이 체결판(5)에 대해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충돌 저지단(20)의 삼각형상이 갖는 각도는 페달브래킷(4)의 변형공간부(6d,7d)의 삼각형상이 갖는 각도에 비해 더 큰 삼각형상 각도를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충돌저지단(20)이 페달브래킷(4)의 변형공간부(6d,7d)쪽으로 파고들면서 좌·우측면판(6,7)을 보다 쉽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차체브래킷(10)은 차체 패널 부위로 결합되어 페달브래킷(4)의 상부 부위로 위치되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페달장치는 운전자가 발판을 밟을 때, 힌지 축(2)을 매개로 발생하는 힌지작동을 통해 이어진 장치를 작동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페달(1)이 페달브래킷(4)을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에서 차체 패널 부위로 체결되어 충격에 의해 페달브래킷(4)이 밀려 날 때, 페달브래킷(4)을 변형시켜 충격을 흡수·완충하면서 힌지축(2)의 결합 상태를 분리하도록, 페달브래킷(4)쪽으로 돌출된 충돌 저지단(20)이 구비된 차체브래킷(10)을 설치해줌에 따라, 엔진이 밀려들면서 페달(1)쪽에 가해지는 충격이 페달브래킷(4)의 변형을 통해 흡수·완충됨과 더불어,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에 설치된 차체브래킷(10)의 충돌저지단(20)을 통해 페달브래킷(4)이 벌어지면서 페달(1)의 결합 상태를 분리해, 충격을 받은 페달(1)이 밀려나지 않고 발판 부위가 밑으로 내려가 운전자의 하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페달장치는 도 2(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이 힌지작동하도록 페달(1)의 상단 부위를 고정한 힌지 축(2)의 양단이 힌지부시(3)를 매개로 결합된 페달브래킷(4)을 구비하고,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으로는 밀려드는 페달브래킷(4)의 이동을 저지함과 더불어 벌려 주어, 힌지축(2)을 분리해 페달(1)의 발판 부위가 밑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충돌저지단(20)을 구비한 차체브래킷(10)을 구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로 인해 엔진이 밀려들면서 페달(1)쪽으로 충격을 가하게 되면, 페달(1)이 고정된 힌지축(2)이 결합된 페달브래킷(4)이 충격을 받게 되고, 이러한 충격은 도 3(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브래킷(4)의 앞쪽으로 위치된 충돌저지단(20)이 1차적으로 저지하면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완충해 주게 된다.
이어, 페달브래킷(4)의 전진이 더욱 진행되면 충돌저지단(20)쪽으로 페달브래킷(4)의 앞쪽이 밀려들어감에 따라, 상기 페달브래킷(4)의 앞쪽에 형성된 삼각 형상의 변형공간부(6d,7d)는 돌출된 충돌저지단(20)을 통해 벌려지는 즉, 충돌저지단(20)이 변형공간부(6d,7d)의 각도에 비해 보다 큰 각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변형공간부(6d,7d)는 충돌저지단(20)을 통해 양쪽으로 벌려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돌저지단(20)을 통해 힘을 받는 변형공간부(6d,7d)는 제2 용접단(6b,7b)의 고정 상태를 분리해 변형부(Ka)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부(Ka)의 형성으로 인해 페달브래킷(4)은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완충함과 더불어 페달(1)을 분리시켜 주게된다.
즉, 차체브래킷(10)의 충돌저지단(20)이 페달브래킷(4)의 상부가림판쪽으로 진입되면, 상기 충돌저지단(20)이 용접부위를 분리해 상부가림판을 양쪽을 벌려줌으로써, 상기 상부가림판을 형성한 좌·우 측면판(6,7)도 양쪽으로 벌려질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충돌저지단(20)에 의해 변형부(Ka)를 형성한 변형공간부(6d,7d)는 고정된 체결판(5)을 기준으로 좌·우측면판(6,7)이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부(Kb)를 형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페달(1)이 고정된 힌지축(2)의 양쪽부위를 결합한 페달브래킷(4)의 변형부(Kb) 형성은 힌지축(2)과 페달브래킷(4)간 결합을 분리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페달(1)은 페달 브라켓(4)으로부터 아무런 구속력을 받지 않게 됨에 따라, 운전자 하체 부위 쪽으로 발판이 튀어나오도록 설치되었던 페달(1)은 자유로운 상태로 전환됨과 더불어 도 3(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1)자체가 밑으로 내려가 운전자 하체 부위 쪽에 충격을 가하지 못하게 되므로, 충돌 시 밀려드는 페달(1)로 인한 부상 위험을 거의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의 구성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페달장치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페달장치의 충격에 의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달 2 : 힌지축
3 : 힌지부시 4 : 페달브래킷
5 : 체결판 6,7 : 좌·우측면판
6a,7a,6b,7b : 제1·2 용접단
6c,7c : 페달위치공간부
6d,7d : 변형공간부 8 : 체결공
10 : 차체브래킷 20 : 충돌저지단
A,B : 용접부 Ka,Kb : 변형부

Claims (7)

  1. 페달의 힌지축의 양쪽 끝단을 결합하고 차체패널 부위로 체결된 페달브래킷과, 상기 페달브래킷 부위로 위치된 차체브래킷으로 구성된 페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페달브래킷은 다수의 체결홀을 형성한 체결판을 갖추고, 상기 체결판의 양 측면에서 상기 힌지축의 양쪽 끝단인 고정단에 결합된 힌지부시를 끼우도록 체결공을 뚫은 좌·우 측면판을 갖추며, 상기 체결판을 기준으로 양쪽에서 접혀진 상기 좌·우 측면판을 통해 형성된 상부공간을 가려주도록, 상기 좌·우 측면판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상부가림판을 갖추고, 상기 상부 가림판쪽에는 접혀진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용접 고정되는 제1·2 용접단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차체브래킷은 상기 페달 브라켓의 앞쪽에서 페달 브래킷의 상부가림판쪽에서 밀림을 저지하도록 돌출된 충돌 저지단을 갖추어, 상기 페달 브래킷의 제1·2 용접단쪽으로 상기 충돌 저지단이 진입되어 제1·2 용접단을 분리하면서 상부가림판을 양쪽으로 벌려줌으로써, 상기 상부가림판을 형성한 좌·우 측면판을 상기 힌지축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시는 상기 힌지축의 끝단인 고정단에 끼워져 상기 페달 브래킷을 관통하는 결합바디와, 상기 결합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페달 브래킷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용접단이 서로 겹쳐지지 않은 구간으로 개구된 페달위치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용접단쪽으로는 벌어진 입구부위 형상을 이루어 상기 차체브래킷의 충돌저지단을 위치시키는 변형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부와 충돌저지단의 형상은 각각 삼각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충돌저지단은 삼각 형상을 이룬 상태에서 꼭지점을 이루는 정점부위가 변형공간부의 입구부위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충돌저지단의 삼각형상각은 상기 변형공간부쪽으로 위치되는 쪽의 꼭지점이 형성하는 내각에 비해 큰 각을 갖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자 하체 부위 보호용 페달장치.
KR1020080028120A 2008-03-27 2008-03-27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KR100969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20A KR100969002B1 (ko) 2008-03-27 2008-03-27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120A KR100969002B1 (ko) 2008-03-27 2008-03-27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885A KR20090102885A (ko) 2009-10-01
KR100969002B1 true KR100969002B1 (ko) 2010-07-09

Family

ID=4153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120A KR100969002B1 (ko) 2008-03-27 2008-03-27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28B1 (ko) 2012-11-29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58B1 (ko) * 2013-05-15 2014-11-1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KR102394830B1 (ko) * 2017-06-28 2022-05-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 분리 방식 페달
KR102496700B1 (ko) * 2017-12-08 202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격 끌림 방식 페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335A (ja) * 1997-02-25 1998-09-0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離脱部構造
JP2005059722A (ja) 2003-08-12 2005-03-1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操作ペダル後退制御構造
KR20060002422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JP2007131286A (ja) 2005-11-11 2007-05-31 Hyundai Motor Co Ltd ブレーキペダルの緩衝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6335A (ja) * 1997-02-25 1998-09-08 Toyota Motor Corp 車両用離脱部構造
JP2005059722A (ja) 2003-08-12 2005-03-1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操作ペダル後退制御構造
KR20060002422A (ko) * 2004-07-02 2006-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JP2007131286A (ja) 2005-11-11 2007-05-31 Hyundai Motor Co Ltd ブレーキペダルの緩衝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228B1 (ko) 2012-11-29 2014-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885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681B2 (ja) 車体構造
US9233662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of vehicle
JP5395061B2 (ja) 建設機械
KR100969002B1 (ko) 차량 운전자 하체부위보호용 페달장치
US9327675B2 (en) Vehicle-body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1575320B1 (ko) 차체 보강구조
KR101712894B1 (ko) 페달 암 릴리스를 가진 페달 어셈블리
JP2006306237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GB2569582A (en) A powertrain support mount assembly
JP2004532770A (ja) フレキシブルに取り付けられたボンネットを備える自動車ボディ
KR102394830B1 (ko) 충격 분리 방식 페달
JP3518233B2 (ja) 車両用フード装置
JPH04154457A (ja) エネルギー吸収式バンパー
KR101219853B1 (ko) 펜더 마운팅 구조
KR100542107B1 (ko) 차량의 무릎 보호장치 보강구조
KR101326948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353691B1 (ko) 자동차의 보행자 보호를 위한 크로즈 박스형 카울 패널구조
JP3900797B2 (ja) パワープラントの支持構造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JP4477978B2 (ja) 衝突時生存空間確保用の補強部材取り付け構造
JP4180856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取付け構造
KR20060002422A (ko)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JP2009029166A (ja) 自動車用フード
KR10085242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어웨이 시스템
KR102008675B1 (ko) 크래쉬 패드 고정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