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534B1 -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534B1
KR100966534B1 KR1020077015501A KR20077015501A KR100966534B1 KR 100966534 B1 KR100966534 B1 KR 100966534B1 KR 1020077015501 A KR1020077015501 A KR 1020077015501A KR 20077015501 A KR20077015501 A KR 20077015501A KR 100966534 B1 KR100966534 B1 KR 10096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earing
counterweight
elevator car
bearing memb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965A (ko
Inventor
리차드 엔. 파고
해롤드 테리
프랭크 엠. 산세베로
보리스 트랙토벤코
존 밀턴-베노이트
데이비드 시랑
아서 흐스
존 페리시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7008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6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 B66B9/08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inclined, e.g. serving blast furnaces associated with stairways, e.g. for transporting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은 승강로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들(22, 32)을 포함한다. 평형추들(24, 34)은 부하 지지 부재(40, 50)에 의해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들(22, 32)과 연관되어 있다. 몇몇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들(40, 50)에 대해 상이한 로핑 비들이 사용된다. 몇몇 예시에서는, 승강로(26) 내에서 평형추들(24, 34)간의 접촉은 허용하고, 엘리베이터 카들(22, 32)간의 접촉은 방지하도록 부하 지지 부재들(40, 50)의 길이들이 선택된다. 카 및 평형추의 개별 거리들의 차이는 카운터 버퍼의 스트로크에 엘리베이터 카들의 예측되는 동적 점프를 더한 것보다 크다. 개시된 예시는 엘리베이터 카(22) 아래에 배치되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카(32)의 부하 지지 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들(22) 중 1 이상의 일 부분을 통과하는 통로들(8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1 이상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은 로프 또는 다른 부하 지지 부재(load bearing member)에 의하여 함께 커플링되는 카 및 평형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소정의 기계가 빌딩 내의 여러 층 사이에서 승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카의 이동을 제어한다. 알다시피, 평형추 및 카는 통상적으로 승강로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일 승강로 내에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증대된 또는 향상된 승객 서비스를 위한 장점들을 제공한다.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특허의 예시들에는 미국특허 공개공보 제 1,837,643 호; 제 1,896,776 호; 제 5,419,414 호; 제 5,584,364 호 및 공개된 출원 U.S. 2003/0075388이 있다. 이들 각각은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구성들을 보여준다.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제공하려 할 때 제시되는 다양한 시도들이 존재한 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들 간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이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승강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특수한 변경들 또는 바람직하지 않게 큰 양의 추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방식으로 평형추들과 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하 지지 부재들 및 평형추들을 구성하기 위한 시도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수용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구성하는 몇가지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하나의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 내에 제 1 엘리베이터 카 및 제 1 평형추를 포함한다. 제 1 부하 지지 부재는 제 1 길이를 가지며 제 1 엘리베이터 카를 제 1 평형추에 커플링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는 승강로 내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있다. 제 2 평형추는 승강로 내에서 제 1 평형추 위에 있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는 제 2 길이를 가지며 제 2 엘리베이터 카를 제 2 평형추에 커플링한다. 부하 지지 부재들의 길이들(즉, 제 1 및 제 2 길이들)은 제 1 평형추와 제 2 평형추 간의 접촉은 허용하지만,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제 2 엘리베이터 카 간의 접촉은 방지한다.
부하 지지 부재들의 길이들을 전략적으로(strategically) 선택하고 평형추 버퍼 스트로크와 엘리베이터 카들의 예측되는 동적 점프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카들 간의 소정의 간격을 항시 유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들 간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몇몇 예시들에서, 평형추들 및 평형추들과 연관된 버퍼들의 크기 또한 엘리베이터 카들 간의 간격을 제어하도록 선택된다.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 1 엘리베이터 카, 제 1 평형추, 제 2 엘리베이터 카 및 제 2 평형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2 엘리베이터 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있다. 제 2 평형추는 제 1 평형추 위에 있다.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들 및 평형추들을 커플링하는 부하 지지 부재들은 상이한 연관된 로핑 비들(associated roping ratios)을 갖는다.
일 예시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카 및 제 1 평형추를 연관시키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는 1 : 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는 2 : 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다른 엘리베이터 카들 위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는 아래의 엘리베이터 카와 연관된 부하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캡 부(cab portion)의 외피(envelope) 내에 1 이상의 통로를 갖는다.
당업자들이라면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부로부터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및 장점들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부에 첨부된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승강로 내에 1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선택된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도;
도 2a 및 2b는 하나의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 한 도;
도 3a 및 3b는 2 개의 로핑 전략 예시들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4a 및 4b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5a 및 5b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6a 및 6b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7a-7c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8a-8c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9a-9c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10a-10c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11a-11c는 하나의 예시적 로핑 전략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캡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
도 12는 도 11a-11c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하나의 예시적 장치의 약간 더 상세한 개략도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20)의 선택된 부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엘리베이터 카(22)는 승강로(26) 내에서의 이동을 위해 제 1 평형추(24)와 커플링된다. 도 1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 1 엘리베이터 카(22)는 알려진 바와 같이 복수의 로프 또는 벨트들에 의하여 제 1 평형추(24)에 커플링된다. 본 설명상의 이유로, "부하 지지 부재"는 1 이상의 로프 또는 벨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도면에 따르면) 제 1 엘리베이터 카(22) 아래에 위치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부하 지지 부재(도시 안됨)에 의하여 제 2 평형추(34)와 연관되어, 둘 모두가 알려진 바와 같이 승강로(26) 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24 및 34)은 공통의 가이드레일들(36)을 따라 이동한다. 다시 말해, 평형추들(24 및 34)은 동일한 가이드레일들을 공유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시스템(20)의 또 다른 특징은 서로 접촉하는 평형추들과 연관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평형추들(24 및 34) 중 1 이상에서 1 이상의 버퍼(38)가 지지된다는 것이다. 일 예시에서의 버퍼(38)는 평형추의 외피 내에서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카들(22, 32) 중 1 이상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범퍼들(39)의 세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다양한 특징들이 후술되는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설명된다. 예를 들어, 로프들 또는 벨트들과 같은 부하 지지 부재들은, 엘리베이터 카들 및 평형추들을 각각 커플링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일 예시적 시스템의 한가지 특징은 승강로 내에서 평형추들 또는 연관된 버퍼들 간 의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엘리베이터 카들 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하 지지 부재들의 길이들을 선택하고 평형추 버퍼(38)의 버퍼 스트로크 및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예측되는 동적 점프를 고려하는 것이다. 이로 인한 카 및 평형추 분리 간격들의 차이는 평형추 버퍼 스트로크에 엘리베이터 카들의 예측되는 동적 점프를 더한 것보다 크다. 주어진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카 속도들, 버퍼 스트로크들, 구성요소의 크기들 등이 그들의 특정한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조합될 것인지를 이해할 것이다. 몇몇 예시들에서, 부하 지지 부재들의 길이들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구성요소들과의 그들의 연관성(association)은 엘리베이터 가들이 정상적인 시스템 작동 조건들 하에서는 결코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확실히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유지 또는 검사 절차들을 위해 또 다른 카 아래에 위치되는 카 위에 적정한 오버헤드 클리어런스에 제공된다.
평형추 점프 또는 과속 조건들이 카들(22 및 32) 간의 접촉을 초래하는 경우에, 버퍼들(39)은 이러한 충격과 연관된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되는 예시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하나의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에 대한 제 1 로핑 비가 다른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에 대한 제 2 로핑 비와 상이하다는 것이다. 로핑 비들의 선택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상이한 특징들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후술될 대응되는 예시들와 연계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몇몇 예시적 시스템들에서, 로핑 배치 전략은 부하 지지 부재들 중 몇몇이 적어도 상부 엘리베이터 카와 연관된 통로를 통과하도록 하 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통로들은 여전히 승강로 상의 공간 제한들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로핑 비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들의 다양한 조합들은 특정 상황의 필요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이러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은 그들의 특정 상황의 필요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시된 특징들을 어떻게 최적으로 조합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 및 2b는 일 예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제 1 엘리베이터 카(22)는 부하 지지 부재(40)에 의하여 제 1 평형추(24)에 커플링된다. 구동 시브(drive sheave) 또는 견인 시브(traction sheave)(42)는 부하 지지 부재(40)의 공지된 방식으로 움직임이 엘리베이터 카(22)의 원하는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디플렉터 시브들(44 및 46)은, 엘리베이터 카들 모두를 수용하고 구동 시브(42) 주위에서 랩(wrap)의 원하는 각도를 얻기 위하여 부하 지지 부재(40)가 승강로 내에서 어떻게 라우팅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예시 내에 포함된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는 부하 지지 부재(50)에 의하여 제 2 평형추(34)에 커플링된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50)를 라우팅하기 위해 별도의 구동 시브(52) 및 디플렉터 시브들(54)이 포함된다.
도 2a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부하 지지 부재 40 및 50 둘 모두는 1:1인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이 예시에서, 제 1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는,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이 서로 접촉되기 이전에 평형추들(24 및 34)이 서로 접촉되도록 제 2 부하 지지 부재(50) 및 제 2 평형추(34)의 조합된 길이에 기초하여 선택 된다. 다시 말해, 제 1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는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 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선택된다. 일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는 제 2 부하 지지 부재(50), 및 평형추(34)의 바닥과 평형추(34)와 연관된 부하 지지 부재(50)의 말단부 간의 거리의 조합된 길이보다 짧다. 버퍼(38)가 평형추들 사이에 포함되는 경우, 부하 지지 부재(40)의 길이를 선택할 때 버퍼의 크기 및 스트로크 길이 또한 고려된다.
도 2a는 측면으로부터의 이 예시의 구성을 나타내는 한편, 도 2b는 정면으로부터의 구성을 나타낸다[단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 에만 집중시킴].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34 및 24)은 카들(22) 뒤에 있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50)는 효과적으로 "분리되고(split)" 몇몇 벨트들 또는 로프들은 카(32)의 일 측 상에 제공되는 한편, 다른 벨트들 또는 로프들은 카(32)의 다른 측 상에 제공된다. 도 2b의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들(50)은 엘리베이터 카(22)의 외측 상에 있다.
도 3a 및 3b는, 부하 지지 부재들 중 일부는 엘리베이터 카의 일 측면에 있고 그 나머지들은 대향되는 측면 상에 있는, 부하 지지 부재들(참고로, 좌우측의 부재들을 각각 제1 및 제2 부재라 함)을 라우팅하기 위한 2 개의 전략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의 예시에서, 단일 구동 기계(60)는 구동 시브들(52)과 연관되어, 부하 지지 부재(50) 및 엘리베이터 카(32)의 원하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b의 예시에서는, 원하는 카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인 구동 기계들(도시 안됨)이 구동 시브들(52)을 작동시킨다.
도 4a 및 4b는 부하 지지 부재들(40 및 50) 각각이 1: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24 및 34)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측을 따라 위치된다. 도 4a의 예시는 정면도이고, 도 4b의 예시는 측면도이다(단지 카들 및 부하 지지 부재들의 일 부분들 만을 나타냄). 이 예시에서, 디플렉터 시브들(54 및 56)은 제 2 부하 지지 부재 벨트들 또는 로프들(50) 중 일부에 대해서만 사용된다(즉, 도면에 따르면 상기 디플렉터 시브들은 카(32)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됨). 이는, 측면에-위치되는(side-positioned) 평형추의 구성을 얻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22) 주위에서 부하 지지 부재들의 라우팅을 허용한다.
도 5a 및 5b는 부하 지지 부재들(40 및 50) 각각은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24 및 34)은 카들(22 및 32) 뒤에 배치된다.
제 1 부하 지지 부재(40)는 2:1 로핑 비를 갖는 구성의 일 특징은 제 2 평형추(34) 상의 대향되는 표면들의 외측에 부하 지지 부재(40)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예시에서, 디플렉터 시브(62)는 승강로를 통해 제 2 평형추(34)와 함께 이동한다. 또 다른 디플렉터 시브(64)는 제 1 평형추(24)와 함께 이동한다. 이 예시에서, 디플렉터 시브(64)의 직경은 부하 지지 부재(40)가 대향되는 표면들(즉, 도 5a의 평형추(34)의 우측 및 좌측면들)의 외측에서 안내될 수 있게 제 2 평형추(34)의 외측 치수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엘리베이터 카(22)를 제 1 평형추(24)에 커플링하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40)가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어느 경우에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제 2 부하 지지 부재(50)가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가능하다.
도 5a 및 5b의 예시의 또 다른 특징은, 부하 지지 부재(50)가 전체적으로 카 가이드레일(68)의 일 측 상에 존재하도록 제 2 엘리베이터 카(32)와 함께 이동하는 디플렉터 시브들(66)이 카에 대해 위치된다는 것이다. 이 예시에서, 카 가이드레일(68)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카 가이드레일(68)을 센터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50)의 로프들 또는 벨트들의 셋트 모두는 레일(68) 뒤에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도 2a의 예시는 카 가이드레일의 일 측 상에 위치되는 부하 지지 부재(50)[즉, 카(32)의 일 측과 연관된 로프 또는 벨트]의 측들 중 하나와, 카 가이드레일의 대향되는 측 상에 위치되는[즉, 카(32)의 대향되는 측과 연관된] 나머지 측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로핑 구성은 엘리베이터 카들의 무게중심에 대해 카 가이드레일이 보다 쉽게 센터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a 및 6b는 부하 지지 부재들(40 및 50) 모두가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 예시에서, 평형추들(34 및 24)은 카들(22 및 32)의 측 상에서 지지된다.
부하 지지 부재들 중 1 이상이 2:1의 로핑 비를 갖는 경우는 언제나, 구동 시브들이나 구동 기계들 또는 둘 모두를 승강로 또는 기계실(machine room) 내에서 같은 수직방향 위치 또는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7c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제 2 평형추(34) 및 제 2 엘리베이터 카(32)와 연관된 부하 지지 부 재(50)는 1: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제 1 부하 지지 부재(40)는 2:1의 로핑 비를 갖는다. 이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들의 로핑 비들을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7a로부터, 평형추(24)와 연관된 충분히 큰 디플렉터 시브(64)의 사용은 제 2 평형추(34)의 대향되는 외측면들의 외측 상에 부하 지지 부재(40)가 자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50)를 위한 로프들 또는 벨트들 중 몇몇은 디플렉터 시브들(54 및 56)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한편, 나머지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제 1 엘리베이터 카(22)의 외측 주위에서의 벨트들 또는 로프들의 라우팅을 가능하게 한다. 평형추들(34 및 24)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4)의 측 상에 있다.
도 8a-8c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40)는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고 제 2 부하 지지 부재(50)는 1: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 또 다른 예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8a-8c의 예시에서, 평형추들(34 및 24)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뒤에 배치된다.
도 9a-9c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제 2 부하 지지 부재(40)는 1: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50)는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이 예시적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제 2 평형추(34)가 본 예시에서 제 2 평형추(34)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통로(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통로(70)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40)가 제 2 평형추(34)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9a-9c의 예시들에서, 평형추들(34 및 24)은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뒤에 배치된다.
도 10a-10c에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40)가 1:1의 로핑 비를 가지고, 제 2 부하 지지 부재(50)가 2:1의 로핑 비를 갖는 또 다른 예시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시에서, 제 2 평형추(34) 및 제 1 평형추(24)는 엘리베이터 카들(22 및 32)의 측 상에 배치된다. 이 예시는 또한 제 2 평형추(34)를 통과하는 통로(70)를 포함한다.
도 10a-10c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승강로 최상부 부근에 최소 개수의 시브들을 필요로 하고 제 1 부하 지지 부재(40)가 제 2 평형추(34)의 통로(7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몇몇 상황들에 대해 최적의 해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는, 예를 들어 공간 절약이 우선적인 고려사항인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1a-11c는 또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제 1 부하 지지 부재(40)는 1: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제 2 부하 지지 부재(50)는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제 2 엘리베이터 카(32)와 승강로(26)의 최상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 2 부하 지지 부재(50) 벨트들 도는 로프들의 부분은 엘리베이터 카(22) 상의 통로(80)를 통과한다. 나타낸 예시에서, 통로들(80)은 통로(80)를 통해 수용될 제 2 부하 지지 부재(50)의 벨트들 또는 로프들에 대해 충분히 큰, 82로 나타낸 크기를 갖는다. 이 예시에서, 부하 지지 부재(50)는 2:1의 연관된 로핑 비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엘리베이터 카(22)가 정지해 있는 경우에는 언제나, 제 2 엘리베이터 카(32)가 이동 중인 경우에도 통로(80) 내의 부하 지지 부재(50)와 제 1 엘리베이터 카(22)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다.
엘리베이터 카(22) 상에 통로들(80)을 갖는 것은, 부하 지지 부재(50)의 로프들 또는 벨트들이 엘리베이터 카(22)의 외측 상에서 라우팅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강로 내의 공간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c로부터 알 수 있듯이, 통로들(80)은 예시적 제 1 엘리베이터 카(22)의 승객 캡 부분의 외피 내에 피팅된다. 예시되지는 않았으나, 엘리베이터 카들은 프레임 및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프레임 상에서 지지되는 캡 부를 포함한다. 캡 부는 외측의 외피를 가지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하여 승객들이 운송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예시에서, 통로들(80)은 엘리베이터 캡 부분의 외피 내에 피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통로들(80)이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작동 패널(90)을 수용하는 캡의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 하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1 이상의 내부 측벽(92)은 측벽(92)의 일 측 상에서 승객에 의해 접근가능한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들을 포함하는 카 작동 패널(90)을 지지한다. 측벽(92)의 대향되는 측(즉, 캡의 내부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측)은 통로(80)의 내부와 마주한다. 카 작동 패널(90)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공간에 인접한 또는 상기 공간과 연관된 공간 내에 부하 지지 부재(50)의 벨트들 또는 로프들을 수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캡 부의 내부에 상당한 양의 추가적인 수용능력을 희생하지 않는 승강로 내의 공간 절약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다양한 예시들은 전략적 크기의 부하 지지 부재들, 로핑 비들의 다양한 조합들 및 최적의 공간 이용이나 요구되는 구성요소들의 개수의 최소화 또는 이 둘 모두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주어진 이러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들은 그들의 특정 상황에 있어 어떠한 특징들의 조합이 최적으로 기능할지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기본적으로 제한이라기 보다 예시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개시된 예시들에 대한 변형 및 수정들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주어진 법적인 보호 범위는 후속 청구항들의 해석을 통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 내의 제 1 엘리베이터 카;
    상기 승강로 내의 제 1 평형추;
    연관된 제 1 로핑 비를 갖고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제 1 평형추에 커플링하는 제 1 부하 지지 부재;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있는, 상기 승강로 내의 제 2 엘리베이터 카;
    상기 제 1 평형추 위에 있는, 상기 승강로 내의 제 2 평형추;
    상기 제 1 및 제 2 평형추들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들; 및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는 독립적인 상기 제 2 평형추에 커플링하는 제 2 부하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하 지지 부재는 상기 제 1 로핑 비와는 상이한 연관된 제 2 로핑 비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부하 지지 부재는 제 1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 2 부하 지지 부재는 제 2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제 1 길이 및 제 2 길이는 상기 제 1 평형추와 상기 제 2 평형추 간의 접촉은 허용하고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 간의 접촉은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길이는, 상기 제 2 평형추의 바닥 부근의 접촉면과 상기 제 1 평형추의 최상부 부근의 접촉면 간의 거리가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의 잠재적인 접촉면들 간의 거리보다 짧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평형추는 상기 가이드 레일들과 마주하는 대향되는 측들 및 상기 측들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마주하는 대향되는 외측면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로핑 비는 2:1이고, 상기 제 1 부하 지지 부재의 일 부분은 상기 외측면들 각각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평형추와 연관된 1 이상의 시브를 포함하고, 이 시브에 대하여 상기 제 1 부하 지지 부재가 이동하며,
    상기 시브는 상기 외측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긴 상기 제 1 부하 지지 부재의 부분들 사이의 간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추들 중 선택된 하나와 함께 이동하도록 지지되는 1 이상의 버퍼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평형추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 1 길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버퍼의 특징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핑 비는 2:1이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들은 전방 측, 후방 측 및 측면 측들을 가지며,
    상기 평형추들은 상기 측면 측들 중 하나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제 1 기계 및 상기 제 2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제 2 기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핑 비들 중 1 이상은 2:1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계들은 상기 승강로에 대해 동일한 통상의 수직방향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엘리베이터 카는 1 이상의 통로를 포함하는 승객 캡 부를 가지며, 이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 2 부하 지지 부재의 일부 또는 전체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3. 삭제
  24. 삭제
KR1020077015501A 2004-12-16 2004-12-16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966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4/042207 WO2006065241A2 (en) 2004-12-16 2004-12-16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hoist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965A KR20070086965A (ko) 2007-08-27
KR100966534B1 true KR100966534B1 (ko) 2010-06-29

Family

ID=3658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01A KR100966534B1 (ko) 2004-12-16 2004-12-16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307952B2 (ko)
EP (2) EP2662323B1 (ko)
JP (1) JP5031577B2 (ko)
KR (1) KR100966534B1 (ko)
CN (1) CN100584724C (ko)
BR (1) BRPI0419155A (ko)
ES (2) ES2590554T3 (ko)
HK (1) HK1117126A1 (ko)
RU (1) RU2474527C2 (ko)
WO (1) WO20060652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6723T3 (es) * 2004-12-29 2012-08-28 Otis Elevator Company Compensación en un sistema de ascensor que tiene múltiples cabinas de ascensor dentro de un único hueco de ascensor
EP1886957A1 (de) 2006-08-11 2008-02-13 Inventio Ag Aufzugriemen für eine Aufzug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Aufzugriemens
NZ562338A (en) * 2006-10-31 2009-07-31 Inventio Ag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lift shaft
EP1918238B1 (de) * 2006-10-31 2011-03-09 Inventio AG Aufzug mit zwei übereinander liegend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DE202008001786U1 (de) 2007-03-12 2008-12-24 Inventio Ag Aufzugsanlage,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ragmittels
US8651241B2 (en) 2007-12-21 2014-02-18 Inventio Ag Elevator system with two elevator cars
BRPI0923522B1 (pt) * 2008-12-23 2019-08-06 Inventio Aktiengesellschaft Instalação de elevador
JP2012525309A (ja) * 2009-04-29 2012-10-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単一の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含む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2035599A1 (ja) * 2010-09-13 2012-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9365392B2 (en) 2011-01-19 2016-06-14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25689B2 (en)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8430210B2 (en)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DE102013110778A1 (de) *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CN105764830B (zh) * 2013-12-05 2018-01-02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
WO2016118443A1 (en) * 2015-01-21 2016-07-28 Otis Elevator Company Buffering device for multiple-car elevator system
JP6137226B2 (ja) * 2015-03-10 2017-05-31 村田機械株式会社 昇降搬送装置
CN106395568B (zh) 2015-07-31 2020-05-0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恢复轿厢
AU2016231585B2 (en) * 2015-09-25 2018-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omponent separation assura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9598265B1 (en) * 2015-09-28 2017-03-21 Smart Lifts, Llc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bile elevator cabins
US10053332B2 (en) * 2016-03-25 2018-08-21 Smart Lifts, Llc Independent traction drive and suspension systems for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in a hoistway
DE102019200375A1 (de) * 2019-01-15 2020-07-16 Thyssenkrupp Ag Aufzugsanlage mit einer ersten Aufhängung und einer zweiten Aufhängung an einem Fahrkorb
FR3097853B1 (fr) * 2019-06-27 2021-05-28 I R E A Installation d’ascenseur à esthétique amélioré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6776A (en) * 1928-02-1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 elevator system
US1973920A (en) * 1931-03-25 1934-09-18 Jacob D Wilson Elev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458A (en) * 1886-11-30 James murtatjgh
US18095A (en) * 1857-09-01 Surf and life boat
USRE18095E (en) * 1931-06-09 Dtjal elevator system and control
US849840A (en) 1906-04-12 1907-04-09 Jarvis Hunt Multiple elevator system.
US974439A (en) 1909-04-27 1910-11-01 Martin C Schwab Elevator.
US1027628A (en) 1909-04-27 1912-05-28 Martin C Schwab Elevator.
US1805227A (en) * 1929-05-27 1931-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car elevator
US1896777A (en) 1930-12-2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evator safety system
US1837643A (en) * 1931-03-28 1931-12-22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JPS59133188A (ja) * 1983-01-20 1984-07-31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ATE64727T1 (de) * 1987-07-13 1991-07-15 Inventio Ag Steuereinrichtung fuer eine aufzugsanlage.
JPH02106570A (ja) * 1988-10-12 1990-04-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
RU1792401C (ru) * 1990-12-27 1993-01-30 Щербинский Лифт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Лифтова установка
JP2736183B2 (ja) 1991-05-23 1998-04-02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ドア駆動装置
JP2835206B2 (ja) 1991-06-06 1998-12-14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732730B2 (ja) 1991-08-27 1998-03-30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32257A (ja) 1991-11-13 1993-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3029168B2 (ja) 1993-04-22 2000-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ーの運行制御装置
JPH07187525A (ja) 1993-11-18 1995-07-25 Masami Sakita 複数ばこ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5419414A (en) 1993-11-18 1995-05-30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JPH07157243A (ja) 1993-12-07 1995-06-2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衝突防止装置
JP3252575B2 (ja) 1993-12-17 2002-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5526901A (en) * 1994-07-15 1996-06-18 Otis Elevator Company Two car elevator system
JPH08133630A (ja) 1994-11-02 1996-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の運転方法及び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装置
JPH08133611A (ja) 1994-11-09 1996-05-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5584364A (en) 1995-08-28 1996-12-17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ATE333431T1 (de) 1995-10-17 2006-08-15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gruppe
US5865274A (en) 1995-10-24 1999-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method
CN1098803C (zh) * 1998-04-09 2003-01-15 奥蒂斯电梯公司 可调式双层电梯
JP4326618B2 (ja) 1999-02-03 2009-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2001048431A (ja) 1999-08-06 2001-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かご割当て制御方法
JP4505901B2 (ja) 1999-11-05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284810B2 (ja) 2000-02-17 2009-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1240318A (ja) 2000-02-28 2001-09-04 Toshiba Corp 昇降機システム
JP2001247265A (ja) 2000-03-08 2001-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1251188A (ja) 2000-03-08 2001-09-14 Kawasaki Steel Corp A/dコンバータ及びチョッパ型コンパレータ
JP2001335244A (ja) 2000-05-29 2001-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255460A (ja) 2000-12-28 2002-09-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運行制御装置
JP4727046B2 (ja) 2001-01-23 2011-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ATE348779T1 (de) 2001-07-04 2007-01-15 Inventio Ag Verfahren zum verhindern einer unzulässig hohen fahrgeschwindigkeit des lastaufnahmemittels eines aufzugs
US6554107B2 (en) 2001-09-27 2003-04-2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ES2249371T3 (es) 2001-10-15 2006-04-01 Thyssenkrupp Elevator Ag Sistema de ascensores de calbe con dos cabinas de ascensor con secciones de pistas de desplazamiento comunes e independientes.
JP4131456B2 (ja) 2001-11-26 2008-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CN1298605C (zh) * 2002-07-11 2007-02-07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电梯装置
DE60333770D1 (de) 2002-10-18 2010-09-23 Mitsubishi Electric Corp Antriebsvorrichtung für aufzug
JP4113760B2 (ja) 2002-11-01 2008-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EP1562848B1 (de) 2002-11-09 2007-01-24 ThyssenKrupp Elevator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aufzugssystem mit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ES2281559T3 (es) 2002-11-26 2007-10-01 Thyssenkrupp Elevator Ag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de una instalacion de ascensor, asi como instalacion de ascensor para realizar el procedimiento.
EP1577250B1 (en) 2002-12-24 2012-12-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ATE350327T1 (de) 2003-04-30 2007-01-15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anlag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JP2004002041A (ja) * 2003-08-04 2004-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FI116617B (fi) * 2003-08-12 2006-01-13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SG111198A1 (en) 2003-10-09 2005-05-30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for zonal operation in a building, method for zonal operation of such a lift installation and method for modernisation of a lift installation
US7353914B2 (en) 2003-10-20 2008-04-08 Inventio Ag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JP4345486B2 (ja) 2004-01-08 2009-10-14 日本精工株式会社 プーリ装置
WO2006088456A1 (en) * 2005-02-17 2006-08-24 Otis Elevator Company Collision prevention in hoistway with two elevator cars
EP1698580B1 (de) 2005-03-05 2007-05-0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US7357226B2 (en) 2005-06-28 2008-04-15 Masami Sakita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hoistway
US7841450B2 (en) 2005-08-19 2010-11-30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Twin elevator systems
US7857103B2 (en) * 2006-12-14 2010-12-28 Inventio Ag Elevator system
JP4361960B1 (ja) 2009-01-30 2009-11-11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
JP5051185B2 (ja) 2009-06-16 2012-10-1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6776A (en) * 1928-02-17 1933-02-07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 elevator system
US1973920A (en) * 1931-03-25 1934-09-18 Jacob D Wilson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26984A (ru) 2009-01-27
CN100584724C (zh) 2010-01-27
US8307952B2 (en) 2012-11-13
BRPI0419155A (pt) 2007-12-11
WO2006065241A2 (en) 2006-06-22
US20090120724A1 (en) 2009-05-14
ES2590554T3 (es) 2016-11-22
EP1831093A2 (en) 2007-09-12
JP2008524091A (ja) 2008-07-10
KR20070086965A (ko) 2007-08-27
RU2474527C2 (ru) 2013-02-10
EP1831093A4 (en) 2010-12-29
EP2662323B1 (en) 2018-03-28
EP1831093B1 (en) 2016-08-31
ES2665497T3 (es) 2018-04-26
CN101119918A (zh) 2008-02-06
EP2662323A1 (en) 2013-11-13
WO2006065241A3 (en) 2007-02-22
HK1117126A1 (en) 2009-01-09
JP5031577B2 (ja)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534B1 (ko) 승강로 내에 다수의 카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EP1471026B1 (en) Elevator device
US7267200B2 (en) Elevator with compact rope suspension
JP2008156116A (ja) 昇降路内で相互に上下に配置された2台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
CN107662865B (zh) 随行电缆晃动的防止
EP1302430B1 (en) Elevator device
JP2008115015A (ja) 昇降路内に2つのエレベータケージを互いに上下に配置して備えるエレベータ
JP2012525309A (ja) 単一の昇降路内に複数のかごを含む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EP1327596B1 (en) Elevator device
CN107531458A (zh) 电梯系统
US20070170005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EP1934126B1 (en) Counterweight with partially imbedded buffer
CN114074880A (zh) 电梯系统及其支承柱组件
CN1741953B (zh) 电梯装置
EP1586525B1 (en) Elevator equipment
JP449875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36431B1 (en) Elevator apparatus
WO2020100306A1 (ja) エレベーター
KR20060036042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