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승객(예정자도 포함함)이 없을 때에(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없을 때에) 엘리베이터 카가 대기하는 파킹층을, 시간대마다의 각 층의 승차 비율 및 하차 비율과, 시간대마다의 연속 승차율에 근거하여, 시간대마다 설정하는 것이다.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는 마지막으로 승객을 하차한 층에서 정지하고 있다. 승차 비율, 하차 비율, 연속 승차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각 시간대에 있어서, 파킹층에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카(경우에 따라서는, 파킹층에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파킹층 이외의 층에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을 한 승차 예정자의 평균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도록, 파킹층을 결정하거나, 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결정을 한다.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미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킹층이라고 불리는 것이 몇 가지 등장한다. 가결정 파킹층, 평균 파킹층, (평균)주 파킹층, (평균)애매(vague) 파킹층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파킹층을 결정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계산 상의 파킹층이다.
또한, 시간대란, 임의의 개시 시각에서부터 별도의 임의의 종료 시각까지의 정해진 시간 간격을 말하며, 예컨대, 시각 0시 0분 0초부터 시각 0시 1분 0초라고 표현된다. 시간대를 구성하는 개시 시각, 종료 시각, 시간 간격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호출 등록이란, 엘리베이터 카에 이동 목적지를 지시하는 지령으로서, 승강장 호출 등록은, 어떤 층에서 기다리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하여 해당 층으로 오도록 지시한 지령이며, 행선지 호출 등록은, 이용자가 승차한 엘리베이터 카가 소망하는 층으로 가도록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지시하는 지령이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싱글 샤프트·싱글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하나의 승강로 내에 1대의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한 엘리베이터 장치)이나 싱글 샤프트·멀티 카 시스템(하나의 승강로에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되며,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시공되어 있는 건물 전체에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한다.
이들을 근거로 하여, 이하, 복수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N대의 엘리베이터 카(12(1)∼12(N))와, M층의 승강장 각각에 마련 된 승강장 호출 장치(14(1)∼14(M))와, 엘리베이터 카(12(1)∼12(N)) 각각의 내부의 행선지 호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승강장 호출 장치(14(1)∼14(M))로부터 호출 등록 정보를 취득하여 엘리베이터 카(12(1)∼12(N))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N대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를 갖는다. 부호 M은, 2 이상의 정수이며, 부호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정보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에 이용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산출해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하는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18)를 갖는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18)는,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도록 파킹층을 설정하는 구성 요소로서,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 파킹 동작 결정부(26),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8),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30)를 갖는다. 이하, 이들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는 동시에,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18)가 수행하는 파킹층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2(1)∼12(N))의 운행 상태, 행선지 호출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승강장 호출 장치(14(1)∼14(M))로부터 호출 등록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되는 정보에는, 승하차 개시 시각, 승차층, 하차층,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 방향, 승하차 인원수가 포함되며, 이들 정보로부터 승하차 데이터를, 예컨대, 도 2나 도 3의 형식으로 작성한다. 도 2나 도 3의 형식으로 표시되는 승하차 데이터는, 승강장 호출 장치(14(1)∼14(M)) 각각이 상하의 행선지 방향을 호출 등록하기 위한 UP/DOWN 버튼을 갖고, 또한, 엘리베이터 카(12(1)∼12(N)) 내의 행선지 호출 장치가 행선지층을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도 2는, 승차 예정자가 승강장 호출 장치(14(1)∼14(M))에 행선지 방향을 승강장 호출 등록한 시각(승차 개시 시각), 승차 예정자가 존재하는 층(승차층), 등록된 행선지 방향, 승차 예정자의 인원수(승차 인원수)로 구성되는 승차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행선지 호출 장치에 행선지층이 호출 등록된 시각(하차 개시 시각), 등록된 행선지층(하차층), 하차층에 도착하기까지의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 방향, 해당 하차층에서 하차한 인원수로 구성되는 하차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승하차하는 인원수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에 마련된 중량 센서에 의해 검출된 엘리베이터 카 중량의 변화로부터 산출된다.
승차 개시 시각이나 하차 개시 시각은, 호출 등록된 시각이 아니라, 이용자가 실제로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한 시각이나 하차한 시각, 즉, 중량 센서가 검출한 중량 변화가 발생한 시각이어도 좋다. 이 경우, 승강장에 행선지 호출 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가 검출한 승하차 데이터는, 후술하는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가 적어도 승차 개시 시각이나 하차 개시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대의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의 작성을 완료할 때까지 보존된다.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는,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가 검출한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승하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대마다의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산출한다. 승차 인원수 데이터에 있어서, 임의의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M층 중의 임의의 f층에서 행선지 방향으로서 상행 방향(UP) 또는 하행 방향(DOWN)을 호출 등록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한 인원수는, PN(Tp, f, UP) 또는 PN(Tp, 1, DOWN)이라고 표시된다. PN(Tp, f, UP)와 PN(Tp, 1, DOWN)을, 생략하여 PN(Tp, f, U/D)이라고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한편, 하차 인원수 데이터에 있어서, 임의의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상행 방향(UP) 또는 하행 방향(DOWN)으로 이동하여 도착한 M층 중의 임의의 f층에서 하차한 인원수는, PF(Tp, f, UP) 또는 PF(Tp, f, DOWN)이라고 표시된다. PF(Tp, f, UP)와 PF(Tp, f, DOWN)을, 생략하여 PF(Tp, f, U/D)라고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는,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가 검출한 도 2나 도 3에 나타내는 승하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속 승차 인원수 데이터를 산출한다. 연속 승차란, 어떤 엘리베이터 카의 승객이 하차하는 층에 다음 승객이 대기하고 있어, 해당 다음 승객이 해당 엘리베이터 카에 계속해서 승차하는 것을 말한다.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연속 승차한 인원수는, PC(Tp)로 표시된다.
승차 인원수 PN(Tp, f, U/D), 하차 인원수 PF(Tp, f, U/D)는, 모든 시간대 Tp, 모든 f층(M층 모두), 모든 진행(행선지) 방향 U/D에 대하여 산출된다. 연속 승차 인원수 PC(Tp)는 모든 시간대에 대하여 산출된다.
또,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는, 엘리베이터의 교통 상황을 관측하 여 기록하는 교통 실측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얻어지는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작성하여도 좋다. 교통량 데이터는, 임의의 시각(이동 시각)에 승차층과 하차층 사이를 이동한 인원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예컨대, 도 4에 나타낸다. 교통량 데이터에 있어서, 이동 시각은, 승강장 호출 등록 시각, 행선지 호출 등록 시각, 승차 시각, 하차 시각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시각이다. 교통량 데이터의 작성 방법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겠지만,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가 출발하여 반전하기까지의 동작에 있어서 얻어진 승차층, 하차층, 승차 인원수, 하차 인원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교통량을 나타내기 위한 승차층과 하차층 사이를 이동한 인원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교통량 데이터에 있어서, 하차층이 승차층보다 상층인 경우, 이동 방향을 상행 방향(UP)으로 하고, 한편, 하차층이 승차층보다 하층인 경우를 하행 방향(DOWN)으로 함으로써, 교통량 데이터로부터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가 작성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나 연속 승차 인원수 데이터는, 후술하는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가 적어도 승차 개시 시각이나 하차 개시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대의 파킹층이 결정될 때까지 보존된다.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는, 시간대 Tp마다,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가 산출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승하차 비율을 연산한다. 승차 인원수 PN(Tp, f, U/D)로부터, 시간대 Tp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에 승차한 총인원수 CN(Tp)를 산출한다. 승차 총인원수 CN(Tp)는 수학식 1로 표시된 다.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식에 있어서, FL은 M층 중의 최하층이며, FU는 최상층이다.
[수학식 1]
계속해서,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는, 승차 총인원수 CN(Tp)에 대한,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f층에 있어서의 승차 비율 PRN(Tp, f)를 산출한다. 승차 비율 PRN(Tp, f)는 수학식 2로 표시된다.
[수학식 2]
하차 비율을 구하는 경우, 우선, 하차 인원수 PF(Tp, f, U/D)로부터 시간대 Tp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하차한 총인원수 CF(Tp)가 산출된다. 하차 총인원수 CF(Tp)는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3으로 표시되는 식에 있어서, FL은 최하층이며, FU는 최상층이다.
[수학식 3]
계속해서, 하차 총인원수 CF(Tp)에 대한,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f층에서의 하차 비율 PRF(Tp, f)를 산출한다. 하차 비율 PRF(Tp, f)는 수학식 4로 표시된다.
[수학식 4]
수학식 1의 승차 총인원수 CN(Tp)와 수학식 2의 하차 총인원수 CF(Tp)는, 시간대 Tp마다 산출된다. 수학식 3의 승차 비율 PRN(Tp, f)와 수학식 4의 하차 비율 PRF(Tp, f)는, 시간대 Tp마다 f층 전체에 대하여 산출된다.
또한,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는, 시간대 Tp마다,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가 산출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속 승차율을 연산한다.
여기서, 연속 승차율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속 승차율은, 수학식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객이 하차한 층에서 계속해서 승차한 연속 승차 인원수 PC(Tp)를 승차 총인원수 CN(Tp)로 제산한 것이다. 이 연속 승차율이 높은 경우, 다음 이용자의 대기 시간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파킹 동작을 하지 않고서 전회의 승객 하차층에서 엘리베이터가 빈 상태 그대로 정지하고 있는 편이 좋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수학식 5]
수학식 5의 연속 승차율 PRC(Tp)는, 시간대 Tp마다 산출된다.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가 산출한 승차 비율 PRN(Tp, f)와 하차 비율 PRF(Tp, f), 연속 승차율 PRC(Tp)로부터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파킹층 H(Tp)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파킹층을 설정했을 때(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것도 포함함)의 빌딩 전체의 승객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도록, 임의의 층에 파킹층을 설정하거나 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다.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X(Tp)층이라고 가정했을 때, 해당 시간대 Tp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Tp))는, 수학식 6의 식으로 표시된다. 이하, 생략을 위해, 수학식 중, X(Tp)는 X라고 나타낸다.
[수학식 6]
수학식 6에 있어서, 시간 Tr(f, d)는 d층에서 정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객 예정자가 기다리는 f층까지의 이동 시간, 시간 Tr(1, X)는 파킹층 X에서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승객 예정자가 기다리는 f층까지의 이동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min(Tr(f, d), Tr(f, X))는, 시간 Tr(f, d)와 시간 Tr(f, X) 중 어느 하나 최소인 쪽을 나타내고 있으며, 즉 f층에 엘리베이터 카가 도착하는 최소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d층에서 정차하고 있을 확률은, d층이 승객이 하차한 층이기 때문에 하차 비율 PRF(Tp, d)로 주어진다. 또한, 많은 승객 예정자가 기다릴 비율이 높은 f층은, 승차 비율 PRN(Tp, d)로 주어진다.
또,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X(Tp)층이라고 가정했을 때, 해당 시간대 Tp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Tp))는, 수학식 7의 식으로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학식 7]
시간대 Tp에서 파킹층 H(Tp)일 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H(Tp))는, 수학식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학식 6 또는 수학식 7에 나타내는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Tp))의 최소값으로 주어지며, 파킹층 H(Tp)는,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Tp))가 최소일 때의 가정 파킹층 X(Tp)로 결정된다.
[수학식 8]
한편,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은 E(Tp, Fno)는, 수학식 9로 표시된다.
[수학식 9]
여기서, 수학식 9에 나타내는 EFno(Tp)의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Fno(Tp)는, 연속 승차한 승차 예정자의 대기 시간이 0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연속 승차하지 않은 승차 예정자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산출되게 된다. 따 라서, 수학식 6이나 수학식 7에 나타내는 대기 시간 E(Tp, X)와 같이 승차 비율 PRN(Tp, f)나 하차 비율 PRF(Tp, f)를 그대로 이용하여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Fno(Tp)를 구할 수가 없고, 구할 경우에는 연속 승차하는 승차 예정자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바꿔 말하면, 연속 승차하지 않는 승차 예정자를 고려하여 구한다.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승차 총인원수에 대한 연속 승차하지 않는 인원수의 비율은 1-PRC(Tp)로 표시되고, 이것을 승차 비율 PRN(Tp, f)와 하차 비율 PRF(Tp, f)로 나타내면 수학식 10에 나타내는 식으로 된다.
[수학식 10]
수학식 10에 있어서, η는,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Fno(Tp)를 구할 때에 사용하는 승차 비율 PRN(Tp)나 하차 비율 PRF(Tp)에 대한 보정률이다. 보정률은, 연속 승차율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 연속 승차 확정률이라고 부른다.
연속 승차 확정률 η를 구하기 위해 수학식 10의 식을 바꿔 쓰면, 수학식 11에 나타내는 식으로 된다.
[수학식 11]
수학식 11로부터 구해지는 연속 승차 확정률 η는, 수학식 12로 표시된다.
[수학식 12]
연속 승차하는 승객을 생략한 승차 비율과 하차 비율, 즉,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Fno(Tp)를 구하기 위한 보정 승차 비율 PRN'(Tp)와 보정 하차 비율 PRF'(Tp)는, 수학식 13과 수학식 14로 표시된다.
[수학식 13]
[수학식 14]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Fno(Tp)는, 수학식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정 승차 비율 PRN'(Tp)와 보정 하차 비율 PRF'(Tp)로부터 산출된다.
[수학식 15]
이상으로부터,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은 것을 근거로 하여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최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대기 시간 E(Tp)는, 수학식 16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16]
E(Tp)=E(Tp, H(Tp))의 경우,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H(Tp)로 설정한다. 한편, E(Tp)=E(Tp, Fno)인 경우,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다.
여기까지는, 엘리베이터 카가 2대이고 1개의 파킹층을 설정하는(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카가 N(N은 2 이상의 정수)대 있고, 또한 복수의 파킹층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가 복수 대 있고,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가정 파킹층을 X1(Tp)∼X(Tp)로 했을 때, 해당 시간대 Tp의 승차 예정자의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Tp), …, Xi(Tp))는, 수학식 17로 표시된다.
[수학식 17]
층 d1∼dj는, 시간대 Tp에 있어서, 가정 파킹층 X1∼Xi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 이외의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하는 층이다. N대의 엘리베이터 카 중, i대의 엘리베이터 카는 가정 파킹층 X1∼Xi에 대기하고, j대의 엘리베이터 카는 층 d1∼dj에 존재한다. 부호 i, j, N은, j=N-i를 만족한다.
시간 Tr(f, X1)∼Tr(f, Xi)는, 가정 파킹층 X1∼Xi에 대기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가정 파킹층 X1∼Xi 각각으로부터 승차 예정자가 승강장 호출 등록한 f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시간이다. 시간 Tr(f, d1)∼Tr(f, dj)는, 가정 파킹층 이외의 층 d1∼dj에 존재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층 d1∼dj 각각으로부터 승차 예정자가 승강장 호출 등록한 f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시간이다. 시간 Tr(f, X1)∼Tr(f, Xi)와 시간 Tr(f, d1)∼Tr(f, dj) 중, 최소의 시간이 승차 예정자의 대기 시간으로 되고, min(Tr(f, d1), …, Tr(1, dj), Tr(f, X1), …, Tr(f, Xi))로 주어진다. 층 d1∼dj에 엘리베이터 카가 존재할 확률은, 수학식 4의 PRF(Tp, d1)∼PRF(Tp, dj)에 의해 주어진다.
또,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가정 파킹층을 X1(Tp)∼Xi(Tp)로 했을 때, 해당 시간대 Tp의 승차 예정자의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Tp), …, Xi(Tp))는, 수학식 18의 식으로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학식 18]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 H(Tp)일 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H(Tp))는, 수학식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학식 17 또는 수학식 18에 나타내는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 …, Xi)의 최 소값으로 주어지고, 따라서, 파킹층 H(Tp)의 집합은,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 …, Xi)가 최소일 때의 i개의 가정 파킹층의 집합 {X1, …, Xi}으로 결정된다.
[수학식 19]
이상으로부터, 복수의 파킹층이 설정되는, 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것을 근거로 한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최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대기 시간 E(Tp)는, 수학식 20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20]
E(Tp)=E'(Tp, H(Tp))의 경우,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시간대 Tp에 있어서, 복수의 파킹층을 H(Tp)의 집합으로 설정한다. 한편, E(Tp)=E(Tp, Fno)의 경우,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시간대 Tp에 있어서,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다.
또한, 승차 예정자의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파킹층 H(Tp)의 집합의 구성 요소수 n(H(Tp)), 이른바 파킹층의 수를 설정하여도 좋다. 시간대 Tp에서 파킹층 H(Tp)의 n(H(Tp))수일 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E(Tp, n(H(Tp)))는, 수학식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학식 17 또는 수학식 18에 나타내는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 …, Xi)의 최소값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파킹층의 수 n(H(Tp))는, 가정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 X1, …, Xi)가 최소일 때의 집합 {X1, …, Xi}의 개수 n(X(Tp))으로 결정된다. X(Tp)={X1, …Xi}이다.
[수학식 21]
파킹층의 수 n(H(Tp))는, 0∼N의 범위이다. 파킹층의 수 n(H(Tp))가 0인 경우, 승차 예정자의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파킹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간대 Tp에서 파킹층의 수 n(H(Tp))가 0일 때의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E(Tp, 0)은, 수학식 22로 표시된다. 여기서는, j=N(i=0)이다. 이 EE(Tp, 0)은, E(Tp, Fno)와 동일한 값으로 된다.
[수학식 22]
이들에 의해, 파킹 동작 결정부(26)는, 시간대 Tp마다, 1개의 파킹층 또는 파킹층 H의 집합, 혹은,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을 것을 결정한다. 이하, 생략하기 위해, 파킹층(하기의 가결정 파킹층, 평균 파킹층, 주 파킹층, 애매 파킹층도 포함함)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 그것에는 파킹층의 집합도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파킹 동작 결정부(26)가 결정한 시간대 Tp마다의 파킹층 H(Tp)는,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8)에 도 5에 나타내는 테이블 형태로 기억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30)는, 시간대 Tp마다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8)을 참조하여 시간대 Tp에 대응한 파킹층 H(Tp)를 검색하여, 해당 파킹층 H(Tp)를 엘리베 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하거나, 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는, 설정된 파킹층 H(Tp)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12(1)∼12(N))를 제어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0)가, 엘리베이터 카(12(1)∼12(N))의 군(群) 관리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어 군 관리 장치(32)를 갖는 경우, 군 관리 장치(32)에 파킹층 H(Tp)의 설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전의 시뮬레이션 없이, 각각 시간대에 있어서, 승차 인원수, 하차 인원수, 연속 승차율의 3개의 값을 이용하여, 파킹층을 어떤 층으로 설정한 경우와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의 대기 시간의 예측 연산을 하여, 시간대마다, 빌딩 설비와 엘리베이터의 이용 상황에 따라서, 파킹층의 설정 또는 파킹층의 비설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파킹층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파킹층을 최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승차 예정자의 대기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어진 설정 조건이 아니라 실제의 엘리베이터 이용 상황에 대응하여 파킹층을 어떤 층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설치되는 복수의 빌딩 내의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각각에 대응하여 설계 변경되거나 또는 재설정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의 빌딩에 있어서도, 예컨대 빌딩에 용도나 빌딩 내의 테넌트(tenant)의 변경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용 상황이 변화된 경우에도, 엘 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재설정될 필요가 없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어떠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더라도,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이용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승차 예정자의 대기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실시예 1의 것과 기본 부분에서 동일하지만, 과거에 산출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통계 처리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를 이용해 시간대마다의 파킹층을 결정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시계열을 따라 전후의 서로 다른 시간대 간의 엘리베이터의 교통 상황을 감안하여 파킹층을 결정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0)를 도 7에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엘리베이터 카, 승강장 호출 장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는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0)의 제어 파라미터 장치(118)는,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도록 파킹층을 설정하는 구성 요소로서,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120),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122),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학습부(134),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136),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124),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128),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130)를 갖는다. 이하, 이들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는 동시에,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118)가 수행하는 파킹층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120)나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122)는, 실시예 1의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0)나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학습부(134)는,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122)가 작성한 승차 인원수 PN(Tp, f, U/D), 하차 인원수 PF(Tp, f, U/D), 연속 승차 인원수 PC(Tp)에 근거하여,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136)에 보존되어 있는 통계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의 갱신을 한다. 통계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는, 통계 승차 인원수 PNS(Tp, f, U/D), 통계 하차 인원수 PFS(Tp, f, U/D), 통계 연속 승차 인원수 PCS(Tp)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학습부(134)는, 수학식 23, 수학식 24, 수학식 25에 표시되는 식에 따라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136) 내의 통계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의 갱신을 한다. 식 중의 α, β는 정수이며, α+β=1이다. 통계 승차 인원수 PNS(Tp, f, U/D)와 통계 하차 인원수 PFS(Tp, f, U/D)는, 시간대 Tp마다 모든 f층(M층 모두), 모든 진행(행선지) 방향 U/D에 대하여 갱신된다. 통계 연속 승차 인원수 PCS(Tp)는, 전(全) 시간대 Tp에 대하여 갱신된다.
[수학식 23]
[수학식 24]
[수학식 25]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124)는, 통계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136) 내의 통계 승차 인원수 PNS(Tp, f, U/D), 통계 하차 인원수 PFS(Tp, f, U/D), 통계 연속 승차 인원수 PCS(Tp)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와 마찬가지로, 통계 승하차 총인원수, 통계 승하차 비율, 연속 승차율을 구한다.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 통계 하차 총인원수 CFS(Tp), 통계 승차 비율 PRNS(Tp, f, U/D), 통계 하차 비율 PRFS(Tp, f, U/D), 통계 연속 승차율 PRCS(Tp)는, 수학식 26∼30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26의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와 수학식 27의 통계 하차 총인원수 CFS(Tp)는, 전 시간대 Tp에 대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28의 통계 승차 비율 PRNS(Tp, f)와 수학식 29의 통계 하차 비율 PRFS(Tp, f)는, 시간대 Tp마다 f층 모두에 대하여 산출된다. 통계 연속 승차율 PRCS(Tp)는, 전 시간대 Tp에 대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26]
[수학식 27]
[수학식 28]
[수학식 29]
[수학식 30]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는, 실시예 1의 파킹 동작 결정부(26)가 승차 비율 PRN(Tp, f), 하차 비율 PRF(Tp, f), 연속 승차율 PRC(Tp)를 이용하여 파킹층 H(Tp)를 결정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통계 승차 비율 PRNS(Tp, f), 통계 하차 비율 PRFS(Tp, f), 통계 연속 승차율 PRCS(Tp)를 이용하여 가결정 파킹층 G(Tp)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가 수행하는, 시간대 Tp마다의 가결정 파킹층 G(Tp)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의 흐름을 도 8에 나타낸다. 이하, 필요에 따라서, 복수로 구성되는 시간대 Tp를 개별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P개의 시간대 Tp(1)∼Tp(P)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Tp(1)은 0시 0분 0초부터 0시 1분 0초, Tp(2)는 0시 1분 0초부터 0시 2분 0초, 생력(省力)하여, Tp(P)는 23시 59분 0초부터 0시 0분 0초이다. 임의의 시간대는 Tp(p)로 표시된다. 이하, 시간대 Tp(p)마다 가결정 파킹층 G(Tp(p))를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1002에 있어서, 시간대 Tp(p)가 최초의 시간대 Tp(1)로 초기화된다.
다음에, 단계 1004에 있어서, 시간대 Tp(p)에 있어서의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와 규정값 THC를 비교 판정한다.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가 매 우 작은 경우,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결정된 파킹층의 타당성이 낮기 때문이다. 규정값 THC보다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가 작은 경우, 단계 1008로 진행하여 G(Tp(p))를 미설정으로 하고, 단계 1010으로 진행한다. 규정값 THC보다 큰 경우, 단계 1006으로 진행한다.
단계 1006에 있어서, 가결정 파킹층 G(Tp(p))가 결정된다. 실시예 1의 파킹 동작 결정부(26)가 승차 비율 PRN(Tp, f), 하차 비율 PRF(Tp, f), 연속 승차율 PRC(Tp)를 이용하여 파킹층 H(Tp)를 결정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통계 승차 비율 PRNS(Tp, f), 통계 하차 비율 PRFS(Tp, f), 통계 연속 승차율 PRCS(Tp)를 이용하여 가결정 파킹층 G(Tp)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단계 1010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와의 동일 판정이 행해진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1012로 진행하여, 다음 시간대 Tp(p+1)로 변경되어 단계 1004로 되돌아가서, 시간대 Tp(p+1)일 때의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1))이 규정값 THC와 비교 판정된다.
단계 1010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가 동일하다고 판정되어, 모든 시간대 Tp(1)∼Tp(P)의 가결정 파킹층 G(Tp(1))∼G(Tp(P))의 결정(미설정도 포함함)이 종료한다.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는,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가 결정한 가결정 파킹층 G(Tp(p))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되는 파킹층 H(Tp(p))를 결정한다. 가결정 파킹층 G(Tp(p))로부터 파킹층 H(Tp(p))를 결정하는 처리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1100의 제 1 스캔 처리와, 단계 1200의 제 2 스캔 처리로 구성된다. 제 1 스캔 처리는, 가결정 파킹층 G(Tp(p))의 값이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 이 값을 파킹층 H(Tp(p))의 값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 2 스캔 처리는, 제 1 스캔 처리에서 결정할 수 없었던 시간대 Tp(p)에 대하여, 그 전후의 평균 상황으로부터 그 전후의 파킹층 H(Tp(p))를 결정한다. 이하, 제 1 및 제 2 스캔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스캔 처리가 수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10에 나타낸다. 우선, 단계 1102에 있어서, 시간대 Tp(p)가 최초의 시간대 Tp(1)로 초기화된다.
다음에 단계 1104에 있어서, 가결정 파킹층 G(Tp(p))와 파킹층 H(Tp(p-1))의 동일 판정이 행해진다. 동일한 경우, 단계 1106으로 진행하여, 가결정 파킹층 G(Tp(p))가 파킹층 H(Tp(p))로 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1108로 진행한다.
단계 1108에 있어서, 시간대 Tp(p-1)부터 이전의 시간대 Tp(p-C1)까지의 파킹층 H(Tp(p-1))∼H(Tp(p-C1))이 모두 미설정인 것을 확인한다. C1은 정수이며, 어느 정도 과거의 시간대에 걸쳐 파킹층의 설정 변경을 허용할 것인가에 따라 주어지는 값이다. 모두 미설정인 경우, 단계 1110으로 진행하고, 모두 미설정이 아닌 경우, 단계 1114로 진행한다.
단계 1110에 있어서, 시간대 Tp(p-C1)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가결정 파킹층 G(Tp(p-C1))∼G(Tp(p))가 모두 동일한 것을 확인한다. 모두 동일한 경우, 단계 1112로 진행하고, 모두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1114로 진행한다.
단계 1112에 있어서, 가결정 파킹층 G(Tp(p))가, 시간대 Tp(p-C1)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파킹층 H(Tp(p-C1))∼H(Tp(p))로 된다. 다음에 단계 1116으로 진 행한다.
단계 1114에서는, 단계 1108에 있어서 파킹층 H(Tp(p-1))∼H(Tp(p-C1))이 모두 미설정이 아니라고 확인된 경우, 또는, 단계 1110에 있어서 가결정 파킹층 G(Tp(p-C1))∼G(Tp(p))가 모두 동일하지 않다고 확인된 경우에 파킹층 H(Tp(p))를 미설정으로 한다.
단계 1116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와의 동일 판정이 행해진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1118로 진행하여, 다음 시간대 Tp(p+1)로 변경되어서 단계 1104로 되돌아간다.
단계 1116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가 동일하다고 판정되고, 제 1 스캔 처리가 종료한다.
다음에, 제 2 스캔 처리가 수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11에 나타낸다. 단계 1202에 있어서, 시간대 Tp(p)가 최초의 시간대 Tp(1)로 초기화된다. 계속해서, 단계 1204에 있어서, 변수 TMP가 0으로 초기화된다. TMP는, 파킹층 H(Tp(p))의 미설정의 상태가 어느 정도의 수의 시간대에 걸쳐 연속하고 있는 것을 판정하기 위한 변수이다.
다음에, 단계 1206에 있어서, 파킹층 H(Tp(p))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 단계 1208로 진행하여 변수 TMP가 0으로 되돌려지고, 계속해서 단계 1226으로 진행한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단계 1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1210에 있어서,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가 0인 것이 확인된다. 0인 경우에는 단계 1212로 진행하고, 0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1216으로 진행한다.
단계 1212에 있어서, 파킹층 H(Tp(p+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 단계 1214로 진행하여 파킹층 H(Tp(p))가 H(Tp(p+1))로 되고, 다음에 단계 1208(처리 내용은 상기 참조), 계속해서 단계 1226으로 진행한다.
단계 1212에 있어서, 파킹층 H(Tp(p+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 단계 1218로 진행한다.
단계 1216에서는, 단계 1210에 있어서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Tp(p))가 0이 아닌 것이 확인된 경우, 변수 TMP가 C2와 비교 판정된다. C2는, 파킹층의 미설정 상태가 C2수의 시간대에 걸쳐 연속하고 있는 경우에 동일한 파킹층에 설정하기 위한 정수이며, C1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과거의 시간대에 걸쳐 파킹층의 설정 변경을 허용할 것인지에 따라 주어지는 값이다. 변수 TMP가 C2보다 작은(동일한 것은 포함하지 않음) 경우, 단계 1218로 진행하고, C2보다 큰(동일한 것을 포함함) 경우, 단계 1222로 진행한다.
단계 1218에서는, 단계 1212에 있어서 파킹층 H(Tp(p))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던 경우, 또는, 단계 1216에 있어서 변수 TMP가 C2보다 작은(동일한 것은 포함하지 않음) 경우에 파킹층 H(Tp(p))를 미설정으로 한다. 그 후, 단계 1220으로 진행하여 변수 TMP에 1이 가산되고, 다음에 단계 1226으로 진행한다.
단계 1222에서는, 변수 TMP가 C2보다 큰(동일한 것을 포함함) 경우에, 시간대 Tp(p-C2)부터 Tp(p)까지의 파킹층 H(p-C2)∼H(p)를 평균의 파킹층으로 설정하 는 처리를 한다. 이하, 이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의 흐름을 도 12에 나타내고 상세히 설명한다.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는, 우선, 단계 1222A에 있어서,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136)에 보존된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통계 승차 인원수 PNS(Tp, f, U/D)와 통계 하차 인원수 PFS(Tp, f, U/D)를 이용하여, 수학식 31, 수학식 32에 표시되는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통계 승차 인원수 PNSA(Tp(p-C2), Tp(p), f, U/D)와 평균 통계 하차 인원수 PFSA(Tp(p-C2), Tp(p), f, U/D)를 산출한다.
[수학식 31]
[수학식 32]
수학식 31, 수학식 32로 나타내는 평균 통계 승차 인원수 PNSA(Tp(p-C2), Tp(p), f, U/D)와 평균 통계 하차 인원수 PFSA(Tp(p-C2), Tp(p), f, U/D)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4)와 마찬가지로,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통계 승하차 총인원수와 평균 통계 승하차 비율을 산출한다.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A(Tp(p-C2), Tp(p)), 평균 통계 하차 총인원수 CFSA(Tp(p-C2), Tp(p)), 평균 통계 승차 비율 PRNSA(Tp(p-C2), Tp(p), f), 평균 통계 하차 비율 PRFSA(Tp(p-C2), Tp(p), f)는, 수학식 33∼36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33]
[수학식 34]
[수학식 35]
[수학식 36]
또한, 수학식 37,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통계 연속 승차 인원수 PCSA(Tp(p-C2), Tp(p))와, 평균 통계 연속 승차율 PRCSA(Tp(p-C2), Tp(p))를 산출한다.
[수학식 37]
[수학식 38]
다음에, 단계 1222B에 있어서, 평균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A(Tp(p-C2), Tp(p))가,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가 수행한 가결정 파킹층 결정 처리 흐름의 단계 1004와 마찬가지로, 규정값 THC와 비교 판정된다. 규정값 THC보다 큰(동일한 것을 포함하지 않음) 경우, 단계 1222C로 진행한다.
단계 1222C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파킹 동작 결정부(26)가 승차 비율 PRN(Tp, f), 하차 비율 PRF(Tp, f), 연속 승차율 PRC(Tp)를 이용하여 파킹층 H(Tp)를 결정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계 1222A에 있어서 산출된 평균 통계 승차 비율 PRNSA(Tp(p-C2), Tp(p), f), 평균 통계 하차 비율 PRFSA(Tp(p-C2), Tp(p), f), 평균 통계 연속 승차율 PRCSA(Tp(p-C2), Tp(p))를 이용하여,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파킹층 HA(Tp(p-C2), Tp(p))를 결정한다. 평균 파킹층 HA(Tp(p-C2), Tp(p))일 때의 승객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은 EA(HA(Tp(p-C2), Tp(p))) 또는 EEA(HA(Tp(p-C2), Tp(p)))로 표현된다.
다음에, 단계 1222E에서는, 단계 1222B에 있어서 평균 통계 승차 총인원수 CNSA(Tp(p-C2), Tp(p))가 규정값 THC보다 작다(동일한 것을 포함함)고 판정된 경우에, 평균 파킹층 HA(Tp(p-C2), Tp(p))를 미설정으로 한다. 다음에 단계 1222D로 진행한다.
단계 1222D에 있어서,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1)까지의 파킹층 H(Tp(p-C2))∼H(Tp(p-1))이 평균 파킹층 HA(Tp(p-C2), Tp(p))로 설정되고,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가 종료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제 2 스캔 처리의 흐름으로 되돌아가서, 단계 1222에서 시간대 Tp(p-C2)부터 Tp(p)까지의 파킹층 H(p-C2)∼H(p)가 평균의 파킹층 HA(Tp(p-C2), Tp(p))로 설정된 후, 단계 1224로 진행하여 변수 TMP가 0으로 되돌려진다. 계속해서, 단계 1226으로 진행한다.
단계 1226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와의 동일 판정이 행해진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1228로 진행하여, 다음 시간대 Tp(p+1)로 변경되어 단계 1206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1226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가 동일하다고 판정되어, 제 2 스캔 처리가 종료한다.
도 9로 되돌아가서, 단계 1100의 제 1 스캔 처리와 단계 1200의 제 2 스캔 처리가 종료하여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의 파킹층 H(Tp)의 결정이 종료한다.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가 결정한 시간대 Tp마다의 파킹층 H(Tp)는,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128)에 실시예 1의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8)과 마찬가지로 기억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130)는, 실시예 1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30)와 마찬가지로, 파킹층 H(Tp)를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한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는, 설정된 파킹층 H(Tp)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12(1)∼12(N))를 제어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0)가, 엘리베이터 카(12(1)∼12(N))의 군 관리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어 군 관리 장치(132)를 갖는 경우, 군 관리 장치(132)에 파킹층 H(Tp)의 설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는, 교통 상황에 대하여 파킹층의 설정을 하였다. 그 때문에, 이 파킹층의 설정의 변화에 맞춰 다른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교통 상황에 맞춘 제어 파라미터의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3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에서는, 파킹층과 도어 오프닝 시간과의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이 도어 오프닝 시간은, 이용자가 많은 경우나 이용자의 속성(연령, 기타)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맨션(아파트) 등 이용자가 한정된 건물에 있어서는, 교통 상황의 변화와 이용자의 변화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하여, 이하, 도어 오프닝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 파라미터 설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4에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10)의 개략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 승강장 호출 장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는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 파라미터 장치(218)에 있어서,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220),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222),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학습부(234),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236),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224),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238)는, 실시예 2의 것과 동일한 처리를 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인덱스 첨부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242)는, 실시예 2의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와 마찬가지로 파킹층 H(Tp)를 결정하는 동시에,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인덱스 I(Tp)를 결정한다. 실시예 2의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가 수행하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제 1 스캔 처리와 이에 계속되는 제 2 스캔 처리로 구성되는데, 처리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인덱스 첨부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242)가 수행하는 제 1 스캔 처리의 흐름을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있어서, 단계 1102∼1118까지의 처리는 실시예 2의 제 1 스캔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처리만 설명한다.
단계 1120에 있어서, 발행 완료 최신 인덱스 번호 i의 초기화를 한다. 발행 완료 최신 인덱스 번호 i는 파킹층의 설정이 상이한 단계, 즉 교통 상황이 변할 때마다 갱신된다. 임의의 시간대 Tp의 인덱스 번호는 I(Tp)로 표시된다.
단계 1122에 있어서, 단계 1104∼1106에서 시간대 Tp(p-1)과 시간대 Tp(p)와의 파킹층 H(Tp(p))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덱스 I(Tp(p))가 I(Tp(p-1))과 동일한 i로 설정된다.
단계 1124에 있어서, 인덱스 번호 i에 1이 가산된다.
단계 1126에 있어서, 인덱스 I(Tp(p-C1))∼I(Tp(p))가 i로 설정된다.
다음에, 인덱스 첨부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242)가 수행하는 제 2 스캔 처리의 흐름을 도 16에 나타낸다. 단계 1202∼1230까지의 처리는 실시예 2의 제 2 스캔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이한 처리만 설명한다.
단계 1230에 있어서, 인덱스 I(Tp(p))가 I(Tp(p-1))과 동일한 i로 설정된다.
단계 1232에 있어서, 인덱스 번호 i에 1이 가산된다.
단계 1234에 있어서, 인덱스 I(Tp(p-C1))∼I(Tp(p))가 i로 설정된다.
인덱스 첨부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44)은, 도 17의 형식으로, 인덱스 첨부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242)가 결정한 파킹층을 기억한다.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 검출부(246)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로부터 도어 개폐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도어 오프닝 데이터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형식으로 작성한다. 도어 오프닝 데이터는, 임의의 f층(도어 오프닝층)에서 시각 t(도어 오프닝 시각)에 도어 오프닝이 개시되어, 도어 오프닝 상태가 To(도어 오프닝 계속 시간)동안 계속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도어 오프닝 데이터는, 도 19에 나타내는 처리에 따라서 도 20에 나타내는 형식의 시간대마다의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로서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 보존부(248)에 보존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시간대 Tp(p)마다의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를 보존하는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단계 2002에 있어서, 시각 t를 시간대 Tp(p)의 개시 시각으로 초기화한다.
단계 2004에 있어서, 시간대 Tp(p)의 모든 f층, 모든 행선지 방향(진행 방향) U/D에 있어서의 도어 오프닝 시간 DT(Tp(p), f, U/D)를 0으로 초기화한다.
단계 2006에 있어서, 시간대 Tp(p)의 도어 오프닝 시간 DT(Tp(p), f, U/D)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n 전체를 0으로 초기화한다.
단계 2008에 있어서, 시각 t에 있어서 도어 오프닝이 행해진 경우, 해당 도어 오프닝의 도어 오프닝층 f와 해당 도어 오프닝 전의 진행 방향 U/D에 대한 도어 오프닝 시간 DT(Tp(p), f, U/D)에, 해당 도어 오프닝의 도어 오프닝 계속 시간 To를 가산한다. 또한, 대응하는 n에 1을 가산한다. 단계 2010으로 진행한다.
단계 2010에 있어서, 시각 t가 시간대 Tp(p)의 종료 시각인 것을 확인한다. 확인된 경우 단계 2012로 진행한다. 확인되지 않은 경우 단계 2018로 진행한다.
단계 2018에서는, 시각 t에 1초가 가산되고, 그 후, 단계 2008로 되돌아가, 시각 t+0:00:01에서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2012에서는,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 보존부(248)에 보존되어 있는 시간대 Tp(p)에 있어서의 통계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가 검색된다. 다음에 단계 2014로 진행한다.
단계 2014에 있어서, 새로운 도어 오프닝 시간 DTSN(Tp(p), f, U/D)가, 수학식 39에 나타내는 식에 의해 산출된다. γ+δ=1이다. 단계 2016으로 진행한다.
[수학식 39]
단계 2016에 있어서,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 보존부(248)에 보존되어 있는 DTS(Tp(p), f, U/D)가, 단계 2014에서 산출된 도어 오프닝 시간 DTSN(Tp(p), f, U/D)로 변경된다.
단계 2016의 처리가 종료하여, 시간대 Tp(p)의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의 보존이 완료된다. 이 도어 오프닝 시간 데이터 보존 처리는, 시간대 Tp(p)마다 행해진다.
도어 오프닝 시간 동작 결정부(250)는, 인덱스 첨부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44)에 기억된 인덱스 번호 i가 동일한 시간대 Tp동안에 대하여, 통계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의 평균치를 도 21에 나타내는 처리 흐름에 따라서 산출한다. 산출된 평균치와 인덱스 번호 i가 동일하지 않은 시간대 Tp의 통계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를, 최종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되는 도어 오프닝 시간 설정치 DS(Tp(p), f, U/D)로서 인덱스 첨부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44)에 도 18에 나타내는 형식으로 저장한다.
도 21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처리 흐름에 있어서, 단계 2102에서 f가 최하층으로, 단계 2104에서 U/D가 상행 방향으로, 단계 2106에서 시간대 Tp(p)가 Tp(1)로, 단계 2108에서 TMP가 0으로, 단계 2110에서 DTMP가 0으로 초기화된다. TMP는 동일한 인덱스 번호 i가 연속한 수, DTMP는 동일한 인덱스 번호 i가 연속한 시간대의 통계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의 합이다.
단계 2112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Tp(p-1)과의 인덱스 번호 I(Tp(p))와 I(Tp(p-1))이 동일 판정된다. 동일한 경우, 단계 2114로 진행한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2120으로 진행한다.
단계 2114에 있어서, DTMP가, 통계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가 가산되는 것에 의해 갱신된다. 단계 2116으로 진행한다.
단계 2116에서 TMP에 1이 가산되고, 단계 2118로 진행한다.
단계 2118에 있어서, 시간대 Tp(p)와 최후의 시간대 Tp(P)와의 동일 판정이 행해진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2126으로 진행하여, 다음 시간대 Tp(p+1)로 변경되어 단계 2112로 되돌아간다. 동일한 경우, 단계 2128로 진행한다.
단계 2128에 있어서, U/D가 하행 방향인 것이 확인된다. 하행 방향이 아닌 경우, 단계 2130으로 진행하여 U/D가 하행 방향으로 되고, 단계 210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하행 방향인 경우, 단계 2132로 진행한다.
단계 2132에 있어서, f가 최상층인 것이 확인된다. 최상층이 아닌 경우, 단계 2134로 진행하여 f에 1이 더해지고, 단계 2104로 되돌아간다. 한편, 최상층인 경우, 도어 오프닝 시간 DTS(Tp(p), f, U/D)의 평균치 산출 처리가 종료한다.
단계 2120에서는, 인덱스 번호 I(Tp(p))와 I(Tp(p-1))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도어 오프닝 시간 설정치 DS(Tp(p-TMP-1), f, U/D)∼DS(Tp(p), f, U/D)를, DTMP/TMP로 설정한다. 다음에, 단계 2122로 진행한다.
단계 2122에 있어서 TMP가 0으로, 계속해서 단계 2124에 있어서 DTMP가 0으로 초기화되고, 단계 2118로 진행한다.
제어 파라미터 설정부(252)는, 시간대 Tp마다, 인덱스 첨부 제어 파라미터 테이블(244)에 보존되어 있는 해당 시간대 Tp에 있어서의 파킹층 H(Tp)와 도어 오프닝 시간 설정치 DS(Tp, f, U/D)를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한다.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는 설정된 파킹층 H(Tp)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12(1)∼12(N))를 제어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10)가, 엘리베이터 카(12(1)∼12(N))의 군 관리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제어 군 관리 장치(232)를 갖는 경우, 군 관리 장치(232)에 파킹층 H(Tp)와 도어 오프닝 시간 설정치 DS(Tp, f, U/D)의 설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오프닝 시간을 파킹층 이외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로서 설정하였지만, 도어 개폐 속도 등으로도 인덱스를 이용하여 교통 상황에 맞춰 설정 가능하다.
(실시예 4)
실시예 1∼3에는,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는 층을 파킹층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파킹층의 설정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이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파킹층의 평가값(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적당성을 나타내는 평가값)과의 차가 임계값 내의 층에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가, 파킹층으로의 이동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하는 애매 파킹 동작을 한다.
도 23에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10)의 개략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 승강장 호출 장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어 파라미터 장치(318)에 있어서, 승하차 데이터 검출부(320),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작성부(322), 승하차 인원수 데 이터 학습부(334), 승하차 인원수 데이터 보존부(336), 승하차 비율 및 연속 승차율 연산부(324)는 실시예 2나 실시예 3의 것과 동일한 처리를 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354)는, 시간대 Tp마다의 가결정 파킹층 G(Tp)를 결정한다. 그 결정 처리 흐름을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있어서, 단계 3014, 3016, 3018 이외에는, 실시예 2의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가 가결정 파킹층을 결정하는 처리(도 8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014에 있어서, 실시예 2의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138)가 가결정 파킹층을 결정한 단계 1006의 처리(도 8 참조)와 마찬가지로, 시간대 Tp마다의 주 파킹층 XM(Tp(p))를 결정한다.
다음에, 단계 3016에 있어서, 파킹층 X1(Tp(p))∼Xi(Tp(p))의 집합을 주 파킹층 XM(Tp(p))라고 가정했을 때의 평가값, 바꿔 말하면, 수학식 17, 18로 표시되는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Tp(p), XM(Tp(p)))와 규정 시간 THE와의 합보다 작은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으로 되는 파킹층의 집합인 애매 파킹층 JA(Tp(p))를 산출한다. 이들의 관계는 수학식 40에 표시된다. 임계값 THE는, 어느 정도의 대기 시간의 증가를 허용할 것인지에 따라 주어진다.
[수학식 40]
또한, 수학식 20을 이용하여 애매 파킹층을 결정하여도 좋다. 그 경우, 주 파킹층 XM(Tp(p))의 수가 n(XM(Tp(p)))일 때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E(Tp(p), n(XM(Tp(p))))와 임계값 THE와의 합보다 작은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으로 되는 층인 애매 파킹층 JA(Tp(p))를 산출한다. 이들의 관계는, 수학식 41에 표시된다.
[수학식 41]
단계 3018에 있어서, 주 파킹층 XM(Tp(p))와 단계 3016이 산출한 애매 파킹층 JA(Tp(p))를 수학식 42에 나타내는 가결정 파킹층 G(Tp(p))로 결정한다.
[수학식 42]
또, 주 파킹층 XM(Tp(p))의 집합이 Fno(p)인 경우, 즉 주 파킹층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애매 파킹층도 설정하지 않는다.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356)는,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354)가 결정한 가결정 파킹층 G(Tp(p))로부터 파킹층 H(Tp(p))를 결정한다. 결정 처리는, 실시예 2의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140)의 처리(도 9∼12에 나타내는 처리)와, 도 12에 나타내는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를 제외하고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356)가 수행하는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를 도 25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도 25에 있어서, 단계 3222F, 3222G, 3222H 이외에는, 실시예 2의 평균 파킹층 설정 처리(도 8에 나타내는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3222F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파킹 동작 결정부(26)가 승차 비율 PRN(Tp, f), 하차 비율 PRF(Tp, f), 연속 승차율 PRC(Tp)를 이용하여 파킹층 H(Tp)를 결정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계 1222A에 있어서 산출된 평균 통계 승차 비율 PRNSA(Tp(p-C2), Tp(p), f), 평균 통계 하차 비율 PRFSA(Tp(p-C2), Tp(p), f), 평균 통계 연속 승차율 PRCSA(Tp(p-C2), Tp(p))를 이용하여, 시간대 Tp(p-C2)부터 시간대 Tp(p)까지의 평균 주 파킹층 HMA(Tp(p-C2), Tp(p))를 결정한다. 결정 후, 단계 3222G로 진행한다.
단계 3222G에 있어서, 파킹층이 평균 주 파킹층 HMA(Tp(p-C2), Tp(p))일 때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A(HMA(Tp(p-C2), Tp(p)))와 규정 시간 THE와의 합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대기 시간으로 되는 파킹층, 또는, 평균 주 파킹층 XMA(Tp(p-C2), Tp(p))의 수가 n(XMA(Tp(p-C2), Tp(p)))일 때의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 EEA(n(XM(Tp(p-C2), Tp(p))))와 임계값 THE와의 합보다 작은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으로 되는 층인 평균 애매 파킹층 JAA(Tp(p-C2), Tp(p))를 산출한다. 이들의 관계는 수학식 43과 수학식 44의 식으로 표시된다.
[수학식 43]
[수학식 44]
계속해서, 단계 3222H에 있어서, 평균 주 파킹층 XMA(Tp(p-C2), Tp(p))와 단계 3222G에서 산출된 평균 애매 파킹층 JAA(Tp(p-C2), Tp(p))를, 시간대 Tp(p- C2)부터 시간대 Tp(p-1)까지의 파킹층 H(Tp(p-C2))∼H(Tp(p-1))로 설정한다.
정적 파킹 동작 결정부(354)나 동적 파킹 동작 결정부(356)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승차 예정자의 평균 엘리베이터 카 대기 시간이 최소로 되는 파킹층도 결정하고 있다. 이들은, 주 파킹층 XM(Tp(p))에 해당한다. 이들도 파킹층 H(Tp(p))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 파라미터 설정 테이블(358)에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대마다 주 파킹층과 애매 파킹층이 설정된다.
애매 파킹 동작 장치(360(1)∼360(N))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16(1)∼16(N))에 설정된 파킹층(주 파킹층과 애매 파킹층)과 엘리베이터 카(12(1)∼12(N))의 정차 위치로부터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대기 위치를 결정한다. 대기 위치 결정 처리를 도 27에 나타낸다. 단계 3302에 있어서, 결정 대상의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가 주 파킹층 또는 애매 파킹층인 것이 확인된다. 확인된 경우, 엘리베이터 카는 주 파킹층 또는 애매 파킹층에서 새로운 호출이 등록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확인되지 않았을 경우, 단계 3304로 진행하여,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는 주 파킹층에서 대기하기 위하여 이동된다.
애매 파킹 동작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제어 장치 각각에 실장되어도 좋고,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10)에 설치되어 애매 파킹 동작을 실시하여도 좋다. 실시예 1∼3과 같이 군 관리 장치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군 관리 장치에 대하여 파킹층을 설정하여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