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969B1 -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969B1
KR100960969B1 KR1020070134490A KR20070134490A KR100960969B1 KR 100960969 B1 KR100960969 B1 KR 100960969B1 KR 1020070134490 A KR1020070134490 A KR 1020070134490A KR 20070134490 A KR20070134490 A KR 20070134490A KR 100960969 B1 KR100960969 B1 KR 10096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height
paste
patter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792A (ko
Inventor
손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13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969B1/ko
Priority to JP2008178059A priority patent/JP2009148744A/ja
Priority to TW097126075A priority patent/TWI351323B/zh
Priority to CN200810130783XA priority patent/CN101318173B/zh
Publication of KR2009006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05C5/02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 B05C5/021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only at particular parts of the articles by relative movement of article and outl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8Flatte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 압력에 의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기판에 대해 승강하는 도포 높이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노즐이 기판에 대해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는 도포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페이스트를 기판 위에 도포시작 부위와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포 높이를 대기 높이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도포시작 위치에서 제1 도포 높이에 도달하게 낮춘 후, 제1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1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제1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1 도포 높이에서 제2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페이스트, 도포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Method of dispensing paste in paste dispenser}
본 발명은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의해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페이스트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2매의 기판을 접착하거나 실링하기 위해, 한쪽 기판 위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장치이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이 안착되는 스테이지와,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을 구비한 도포 헤드와, 도포 헤드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대를 구비한다. 스테이지 및/또는 헤드 지지대는 액추에이터들에 의해 일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그리고, 도포 헤드는 다른 액추에이터에 의해 스테이지 및/또는 헤드 지지대가 이동하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따라서, 기판에 대해 노즐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들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형성하고자하는 페이스트 패턴에 대한 도포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도포 데이터를 토대로 기판에 대해 노즐의 상대 위치를 변 화시켜가면서, 페이스트를 도포해서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2매의 기판이 접착된 상태에서 실링될 수 있도록, 페이스트 패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페이스트 패턴(1)은 기판(S) 위 가장자리를 따라 기판의 중앙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페이스트 패턴(1)은 페이스트를 연속되게 도포하기 시작해서 도포종료 부위가 도포시작 부위와 연결되도록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전술한 페이스트 패턴(1)은 연결 부위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서 폭과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이다.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연결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보다 작아질수록, 기판(S)들을 접착하는 힘이 약해지고 기판(S)들 사이를 실링하는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보다 커질수록, 페이스트가 화면 유효 영역 쪽으로 침범해서 페이스트 패턴(1)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이 작아지거나, 페이스트가 기판(S) 밖으로 유출될 수 있다. 페이스트 패턴(1)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 액정이 설정된 양으로 채워질 때, 상기 공간이 작아진 만큼 액정이 넘쳐서 공간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 패턴(1)은 상기 연결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가 설정된 치수를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 못지않게,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설정된 치수를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와 도포종료 부위가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서 폭과 높이가 균일해질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은, 노즐로부터의 페이스트 토출을 위한 도포 압력과, 상기 노즐이 기판에 대해 승강하는 도포 높이와,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에 대해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는 도포 속도를 변화시켜가며 상기 기판 위에 페이스트를 도포해서 폐-루프 형상의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포시작 위치로부터 패턴시작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와, 패턴종료 위치로부터 도포종료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포 높이를 대기 높이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도포시작 위치에서 제1 도포 높이에 도달하게 낮춘 후, 제1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1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상기 제1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1 도포 높이에서 제2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은, 도포 높이를 상기 패턴종료 위치나 상기 패턴종료 위치를 지난 위치로부터 제2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도포 높이를 상기 제2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2 도포 높이에서 제3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3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3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상기 제3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3 도포 높이에서 제4 도포 높이까지 높인 후, 도포종료 위치까지 제4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스트를 도포해서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서,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속도 변화, 및 도포 압력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의 형상 및 도포종료 부위의 형상을 원하는 대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와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할 때,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압력 변화, 및 도포 속도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페이스트 패턴의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를 페이스트 패턴의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페이스트 패턴은 도포시작 부위와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서 폭과 높이가 균일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트 도포 방법이 적용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페이스트 디스펜서(10)는 프레임(11)과, 스테이지(12)와, 헤드 지지대(13)와, 헤드 유닛(21), 및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스테이지(12)는 프레임(11)의 상측에 배치된다. 스테이지(12)는 프레임(11)의 일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기판(S)을 안착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스테이지(12)는 프레임(11)에 고정되거나,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12)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헤드 지지대(13)는 스테이지(12)의 상측에 배치된다. 헤드 지지대(13)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양단이 프레임(11)에 지지가 된다. 헤드 지지대(13)는 제3 액추에이터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헤드 유닛(21)은 헤드 지지대(13)에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가 된다. 헤드 유닛(21)은 제4 액추에이터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헤드 유닛(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헤드 유닛(21)은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22)이 장착되는 도포 헤드(23)를 구비한다. 노즐(22)은 페이스트를 담고 있는 시린지(syringe, 24)와 연결된다. 시린지(24)에는 공기압 공급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공기압 공급장치는 시린지(24) 내의 압력이 조정될 수 있게, 시린지(24) 내로 소정 압력을 갖는 공기를 공급한다. 시린지(24) 내의 압력은 노즐(22)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키는 도포 압력으로 작용한다. 도포 압력이 조정됨에 따라, 노즐(22)로부터 토출되는 페이스트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도포 헤드(23)는 노즐(22)의 도포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제5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제5 액추에이터는 모터(25)와, 모터(25)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부는 도포 헤드(23)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부가 모터(25)에 의해 승강하게 되면, 승강부에 고정된 도포 헤드(23)가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도포 헤드(23)가 승강하게 되면, 노즐(22)의 도포 높이가 변화될 수 있다.
노즐(22) 옆에는 거리 센서(26)가 마련된다. 거리 센서(26)는 노즐(22)과 기판(S) 사이의 거리를 측정해서 제어부로 제공한다. 제어부는 측정된 거리를 토대로, 노즐(22)의 도포 높이를 설정된 높이로 변화시키도록 제5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스테이지(12), 헤드 지지대(13), 헤드 유닛(21)의 각 위치 정보를 토대로, 기판(S)에 대해 노즐(22)이 상대 이동하는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기판(S)에 대해 노즐(22)이 상대 이동하는 도포 속도를 설정된 속도로 변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 액추에이터를 제어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노즐(22)로부터 페이스트가 설정된 양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압 공급장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페이스트 디스펜서(1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트 도포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페이스트 패턴에 있어서 도포시작 위치와 패턴시작 위치 사이의 구간에 도포된 도포시작 부위와 패턴종료 위치와 도포종료 위치 사이에 도포된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그리고, 페이스트 패턴의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연결 부위를 제외한 페이스트 패턴의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도록 도포 높이와 도포 압력 및 도포 속도를 변경시켜가며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포시작 부위 쪽에서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압력 변화, 및 도포 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포 높이를 대기 높이(H1)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도포시작 위치(Ld1)에서 제1 도포 높이(H2)에 도달하도록 낮춘다. 그 다음, 도포 높이를 제1 높이상승 위치(Lh1)까지 제1 도포 높이(H2)로 유지한다. 상기 제1 높이상승 위치(Lh1)는 패턴시작 위치(Ld2)를 지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높이상승 위치(Lh1)는 패턴시작 위치(Ld2)나, 패턴시작 위치(Ld2)보다 앞선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포 높이를 제1 높이상승 위치(Lh1)로부터 제1 도포 높이(H2)에서 제2 도포 높이(H3)로 높인 후, 제2 도포 높이(H3)로 유지한다. 상기 제2 도포 높이(H3)는 페이스트 패턴에서 연결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를 형성하도록 설정된 도포 높이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도포 높이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제1 높이상승 위치(Lh1)보다 앞선 위치에서 공기압 공급장치를 ON 동작시켜, 도포 압력을 가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도포 압력을 제2 가속종료 위치(Lv2)에서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한 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한다. 다른 예로, 도포 압력을 제2 가속종료 위치(Lv2)보다 앞선 위치에서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한 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포 속도를 정지 속도에서 높이기 시작해서, 패턴시작 위치(Ld2)보다 앞선 제1 가속종료 위치(Lv1)에서 제1 도포 속도(V1)에 도달하게 높인 후, 패턴시작 위치(Ld2)까지 제1 도포 속도(V1)로 유지한다. 상기 도포 속도를 정지 속도로부터 높이기 시작하는 위치는 도포시작 위치(Ld1)보다 앞선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도포 속도를 패턴시작 위치(Ld2)로부터 높이기 시작해서, 제2 가속 종료 위치(Lv2)에서 제2 도포 속도(V2)에 도달하게 높인 후, 제2 도포 속도(V2)로 유지한다. 상기 제2 도포 속도(V2)는 페이스트 패턴에서 연결 부위를 제외한 다른 부위를 형성하도록 설정된 도포 속도이다. 그리고, 상기 제2 가속종료 위치(Lv2)는 제1 높이상승 위치(Lh1)를 지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가속종료 위치(Lv2)는 제1 높이상승 위치(Lh1)로 설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 시작부위의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압력 변화, 및 도포 속도 변화에 의해, 노즐(22)이 기판(S)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기판(S) 위에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포 속도를 도포시작 위치(Ld1)보다 앞선 위치로부터 높이기 시작하고, 도포 높이를 대기 높이(H1)로부터 제1 도포 높이(H2)로 낮춘다. 이 과정에서, 노즐(22)은 도포 진행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어서, 노즐(22)은 비스듬히 계속 하강하면서, 기판(S) 상방에 제1 도포 높이(H2)로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다. 이에 따라, 노즐(22)의 토출구에 페이스트가 매달려 있더라도, 상기 페이스트가 기판(S) 위에 찍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노즐(22)이 대기 높이(H1)에서 제1 도포 높이(H2)로 바로 하강하면, 노즐(22)의 토출구에 매달린 페이스트가 기판(S) 위에 도포되면서 도포된 부위의 일부가 노즐(22)에 의해 찍혀 옴폭하게 파일 수 있다. 하지만, 노즐(22)이 대기 높이(H1)에서 제1 도포 높이(H2)로 비스듬이 하강하면, 페이스트가 기판(S) 위에 찍히지 않고 자연스레 묻히면서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페이스트 패턴에 있어서 도포시작 위치와 패턴시작 위치 사이의 구간에 도포된 도포시작 부위와 패턴종료 위치와 도포종료 위치 사이에 도포된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될 때, 상기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설정된 값과 다르게 되는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그 다음, 도포 높이를 도포시작 위치(Ld1)와 제1 높이상승 위치(Lh1) 사이의 구간에서 제2 도포 높이(H3)보다 낮게 제1 도포 높이(H2)로 유지한다. 이때, 도포 압력을 제1 높이상승 위치(Lh1)보다 앞선 위치에서 가하기 시작해서, 제2 가속종료 위치(Lv2)에서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한다. 그리고, 도포 속도를 제1 가속종료 위치(Lv1)에서 제1 도포 속도(V1)에 도달하게 높인 후, 제2 가속종료 위치(Lv2)에서 제2 도포 속도(V2)에 도달하게 높인다.
이 과정에서, 도포시작 위치(Ld1)로부터 도포되기 시작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패턴시작 위치(Ld2)에 도달할 때까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시작 위치(Ld1)와 패턴시작 위치(Ld2)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제2 도포 높이(H3)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보다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형상은 도포 높이, 도포 속도, 도포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간에서 도포된 페이스트가 패턴종료 위치(Ld3)와 도포종료 위치(Ld4)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와 중첩되어 연결될 때, 상기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높이상승 위치(Lh1)는 패턴시작 위치(Ld2)보다 너무 앞서 위치하면, 제1 높이상승 위치(Lh1)와 패턴시작 위치(Ld2)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제2 도포 높이(H3)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보다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높이상승 위치(Lh1)는 제2 가속종료 위치(Lv2)보다 너무 앞서 위치하면, 제1 높이상승 위치(Lh1)와 제2 가속종료 위치(Lv2)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제2 도포 높이(H3)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보다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높이상승 위치(Lh1)는 패턴시작 위치(Ld2)와 제2 가속종료 위치(Lv2) 사이의 어느 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포종료 부위 쪽에서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압력 변화, 및 도포 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포 높이를 패턴종료 위치(Ld3)를 지나 제2 높이상승 위치(Lh2)까지 제2 도포 높이(H3)로 유지한다. 상기 제2 높이상승 위치(Lh2)는 패턴종료 위치(Ld3)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포 높이를 제2 높이상승 위치(Lh2)로부터 높이기 시작해서, 제2 도포 높이(H3)에서 제3 도포 높이(H4)까지 높인 후, 제3 높이상승 위치(Lh3)까지 제3 도포 높이(H4)로 유지한다.
그 다음, 도포 높이를 제3 높이상승 위치(Lh3)로부터 높이기 시작해서, 제3 도포 높이(H4)에서 제4 도포 높이(H5)까지 높인 후, 도포종료 위치(Ld4)까지 제4 도포 높이(H5)로 유지한다. 이어서, 도포 높이를 제4 도포 높이(H5)에서 대기 높이(H1)까지 높인다.
상기와 같이, 도포 높이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제1 감속시작 위치(Lv3)에서 공기압 공급장치를 OFF 동작시켜, 도포 압력을 감소시키기 시작한다. 한편, 도포 압력을 감소시키기 시작하는 위치는 제1 감속시작 위치(Lv3)보다 앞선 위치나, 제1 감속시작 위치(Lv3)를 지난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포 속도를 제1 감속시작 위치(Lv3)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제1 도포 속도(V1)에 도달하게 낮춘다. 제1 감속시작 위치(Lv3)는 패턴종료 위치(Ld3)보다 앞선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도포 속도를 제2 감속시작 위치(Lv4)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정지 속도에 도달하게 낮춘다. 제2 감속시작 위치(Lv4)는 패턴종료 위치(Ld3)를 지나고 도포종료 위치(Ld4)보다 앞선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지 속도에 도달하는 위치는 노즐(22)이 대기 높이(H1)로 이동하도록 도포종료 위치(Ld4)를 지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종료 부위의 도포 높이 변화와, 도포 압력 변화, 및 도포 속도 변화에 의해, 노즐(22)이 기판(S)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기판(S) 위에 페이스트가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포 속도를 제1 감속시작 위치(Lv3)로부터 제1 도포 속도(V1)에 도달할 때까지 낮춘 후, 제2 감속시작 위치(Lv4)로부터 정지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낮춘다. 그리고, 도포 압력을 제1 감속시작 위치(Lv3)에서 감소시키기 시작하여, 노즐(22)로부터 토출되는 페이스트의 양이 점차 감소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포 높이를 제2 높이상승 위치(Lh2)로부터 제2 도포 높이(H3)에서 제3 도포 높이(H4)로 높인 후, 제3 높이상승 위치(Lh3)로부터 제3 도포 높이(H4)에서 제4 도포 높이(H5)로 높인다. 그러면, 노즐(22)이 제2 도포 높이(H3)에서 제3 도포 높이(H4)로 상승하면서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 후, 노즐(22)이 제3 도포 높이(H4)에서 제4 도포 높이(H5)로 상승하면서 페이스트의 폭과 높이가 더욱 감소하게 되고, 종국에는 페이스트가 노즐(22)로부터 끊어지게 된다.
노즐(22)이 패턴종료 위치(Ld3)와 도포종료 위치(Ld4) 사이의 구간에서 2 단계로 상승하면, 1 단계로 상승하는 것에 비해, 페이스트가 노즐(22)로부터 더욱 쉽게 끊어질 수 있다. 만일, 노즐(22)이 1 단계로 상승하여, 페이스트가 도포종료 위치(Ld4)를 지난 위치에서 노즐(22)로부터 끊어진다면, 도포종료 위치(Ld4)부터 분리된 위치까지 도포되는 페이스트는 패턴시작 위치(Ld2)로부터 도포되기 시작한 페이스트에 덧붙여질 수 있다.
따라서, 덧붙여진 부위의 폭과 높이가 설정된 값과 다르게 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노즐(22)이 2 단계로 상승하면, 페이스트가 도포종료 위치(Ld4)를 지나기 전에 노즐(22)로부터 끊어질 수 있으므로, 전술한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패턴종료 위치(Ld3)와 도포종료 위치(Ld4)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의 형상, 즉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종료 부위의 형상은 도포 높이, 도포 속도, 도포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간에서 도포되는 페이스트가 도포시작 위치(Ld1)와 패턴시작 위치(Ld2) 사이의 구간에서 도포된 도포시작 부위와 중첩되어 연결될 때, 상기 연결 부위의 폭과 높이가 다른 부위의 폭과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페이스트 패턴은 도포시작 부위와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서 폭과 높이가 균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페이스트 패턴을 도포하는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판 위에 도포된 페이스트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트 도포 방법이 적용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헤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트 도포 방법에 있어서, 도포시작 부위에서의 도포 높이 변화, 도포 속도 변화, 및 도포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페이스트 도포 방법에 있어서, 도포종료 부위에서의 도포 높이 변화, 도포 속도 변화, 도포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Ld1..도포시작 위치 Ld2..패턴시작 위치
Ld3..패턴종료 위치 Ld4..도포종료 위치
Lh1..제1 높이상승 위치 Lh2..제2 높이상승 위치
Lv3..제3 높이상승 위치 Lv1..제1 가속종료 위치
Lv2..제2 가속종료 위치 Lv3..제1 감속시작 위치
Lv4..제2 감속시작 위치

Claims (11)

  1. 노즐로부터의 페이스트 토출을 위한 도포 압력과, 상기 노즐이 기판에 대해 승강하는 도포 높이와,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에 대해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는 도포 속도를 변화시켜가며 상기 기판 위에 페이스트를 도포해서 폐-루프 형상의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포시작 위치로부터 패턴시작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와, 패턴종료 위치로부터 도포종료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포 높이를 대기 높이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상기 도포시작 위치에서 제1 도포 높이에 도달하게 낮춘 후, 상기 패턴시작 위치나 상기 패턴시작 위치를 지난 위치인 제1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1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상기 제1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1 도포 높이에서 제2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도포 속도를 상기 도포시작 위치보다 앞선 위치나 상기 도포시작 위치로부터 정지 속도에서 높이기 시작해서, 상기 패턴시작 위치보다 앞선 제1 가속종료 위치에서 제1 도포 속도에 도달하게 높이는 단계; 및
    도포 속도를 제1 도포 속도에서 높이기 시작해서, 상기 패턴시작 위치를 지난 제2 가속종료 위치에서 제2 도포 속도에 도달하게 높인 후, 제2 도포 속도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높이상승 위치는 상기 패턴시작 위치와 상기 제2 가속종료 위치 사이의 어느 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대기 높이로부터 상기 도포시작 위치까지 도포 진행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하강하도록, 도포 속도를 상기 도포시작 위치보다 앞선 위치로부터 정지 속도에서 높이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도포 압력을 상기 제1 높이상승 위치보다 앞선 위치에서 가하기 시작해서, 상기 제2 가속종료 위치보다 보다 앞선 위치나 상기 제2 가속종료 위치에서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도록 가한 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포 높이를 상기 패턴종료 위치나 상기 패턴종료 위치를 지난 위치로부터 제2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도포 높이를 상기 제2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2 도포 높이에서 제3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3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3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상기 제3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3 도포 높이에서 제4 도포 높이까지 높인 후, 상기 도포종료 위치까지 제4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도포 속도를 상기 패턴종료 위치보다 앞선 제1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제1 도포 속도에 도달하게 낮추는 단계; 및
    도포 속도를 제1 도포 속도에서 상기 패턴종료 위치를 지난 제2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상기 도포종료 위치나 상기 도포종료 위치를 지난 위치에서 정지 속도에 도달하게 낮추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도포 압력을 상기 제1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9. 노즐로부터의 페이스트 토출을 위한 도포 압력과, 상기 노즐이 기판에 대해 승강하는 도포 높이와, 상기 노즐이 상기 기판에 대해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는 도포 속도를 변화시켜가며 상기 기판 위에 페이스트를 도포해서 폐-루프 형상의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도포시작 위치로부터 패턴시작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시작 부위와, 패턴종료 위치로부터 도포종료 위치까지의 구간에 형성되는 상기 페이스트 패턴의 도포종료 부위가 중첩되어 연결되도록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포 높이를 상기 패턴종료 위치나 상기 패턴종료 위치를 지난 위치로부터 제2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2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도포 높이를 상기 제2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2 도포 높이에서 제3 도포 높이로 높인 후, 제3 높이상승 위치까지 제3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및
    도포 높이를 상기 제3 높이상승 위치로부터 제3 도포 높이에서 제4 도포 높이까지 높인 후, 상기 도포종료 위치까지 제4 도포 높이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도포 속도를 상기 패턴종료 위치보다 앞선 제1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제1 도포 속도에 도달하게 낮추는 단계; 및
    도포 속도를 제1 도포 속도에서 상기 패턴종료 위치를 지난 제2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낮추기 시작해서, 상기 도포종료 위치나 상기 도포종료 위치를 지난 위치에서 정지 속도에 도달하게 낮추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도포 압력을 상기 제1 감속시작 위치로부터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KR1020070134490A 2007-12-20 2007-12-20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KR10096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90A KR100960969B1 (ko) 2007-12-20 2007-12-20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JP2008178059A JP2009148744A (ja) 2007-12-20 2008-07-08 ペーストディスペンサのペースト塗布方法
TW097126075A TWI351323B (en) 2007-12-20 2008-07-10 Method of dispensing paste using paste dispenser
CN200810130783XA CN101318173B (zh) 2007-12-20 2008-07-21 用糊状物分配器分配糊状物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490A KR100960969B1 (ko) 2007-12-20 2007-12-20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792A KR20090066792A (ko) 2009-06-24
KR100960969B1 true KR100960969B1 (ko) 2010-06-03

Family

ID=4017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490A KR100960969B1 (ko) 2007-12-20 2007-12-20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48744A (ko)
KR (1) KR100960969B1 (ko)
CN (1) CN101318173B (ko)
TW (1) TWI3513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14B1 (ko) 2011-09-21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페이스트 도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6468B2 (ja) * 2010-03-23 2013-03-21 株式会社東芝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DE102010013909A1 (de) * 2010-04-01 2011-10-06 Lp Vermarktung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prühen einer Oberfläche eines Substrates
CN104252067A (zh) * 2014-09-16 2014-12-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封框胶的涂布装置及涂布方法
JP6472261B2 (ja) * 2015-02-13 2019-02-20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6566516B2 (ja) * 2015-07-28 2019-08-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シーラ塗布方法
CN106564315B (zh) * 2016-10-21 2018-11-09 纳晶科技股份有限公司 涂布方法、涂布设备及发光器件
CN112962912B (zh) * 2021-02-01 2022-02-18 安徽同心林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共挤wpc发泡地板及其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0795A (ja) * 1999-01-05 2000-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樹脂封止方法
JP2001129469A (ja) * 1999-10-29 2001-05-15 Shibaura Mechatronics Corp ペースト塗布方法
JP3815171B2 (ja) * 2000-02-29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ペースト塗布方法
JP3607260B2 (ja) * 2002-05-20 2005-01-05 貞雄 中田 垂下式塗装装置
JP4218376B2 (ja) * 2003-03-12 2009-02-04 東レ株式会社 塗布方法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
JP2005218971A (ja) * 2004-02-06 2005-08-18 Hitachi Industries Co Ltd ペースト塗布機と塗布方法
JP2005329305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Chemicals Corp 枚葉塗布方法、枚葉塗布装置、塗布基板、および枚葉塗布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14B1 (ko) 2011-09-21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페이스트 도포 방법
KR101441012B1 (ko) 2011-09-21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페이스트 도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7305A (en) 2009-07-01
TWI351323B (en) 2011-11-01
KR20090066792A (ko) 2009-06-24
CN101318173A (zh) 2008-12-10
CN101318173B (zh) 2012-10-10
JP2009148744A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96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KR100860880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페이스트 도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공기압 공급장치
JP3260511B2 (ja) シール剤描画方法
TWI617361B (zh) 分配膠的方法及以此方法形成具有膠圖案的基板
US20100080912A1 (en) Paste applicator and paste application method
CN104368506B (zh) 利用狭缝喷嘴的涂布层形成方法及涂布装置
CN102205303A (zh) 接合部件的制造方法以及接合部件制造装置
KR100495366B1 (ko) 페이스트도포기와 페이스트도포방법
KR20070074269A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KR102041439B1 (ko) 부착 장치
CN102039247A (zh) 涂胶机及其控制方法
TWI708346B (zh) 流體吐出裝置及流體吐出方法
JP3524212B2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ペンサ
KR101089748B1 (ko) 도포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061155A (ko) 디스플레이 패널과 합착재 도포장치 및 합착재 도포방법
JPH09173939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ならびに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1631527B1 (ko) 페이스트 패턴의 리페어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리페어된 페이스트 패턴을 가지는 기판
CN102049365B (zh) 液晶喷液器、喷液装置以及液晶喷液方法
JP2017080720A (ja) ノズル機構、当該ノズル機構を用いる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
JP2011125855A (ja) 塗布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H0999268A (ja) 液体塗布方法
JPH10221698A (ja) ペーストパターン形成装置および液晶パネル製造装置
JPH08229482A (ja) 枚葉塗工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211839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
CN218585149U (zh) 一种液晶滴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