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791B1 -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 - Google Patents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791B1
KR100952791B1 KR1020040006030A KR20040006030A KR100952791B1 KR 100952791 B1 KR100952791 B1 KR 100952791B1 KR 1020040006030 A KR1020040006030 A KR 1020040006030A KR 20040006030 A KR20040006030 A KR 20040006030A KR 100952791 B1 KR100952791 B1 KR 10095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signal indicator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713A (ko
Inventor
구로세다카히로
츠기타마나부
Original Assignee
패틀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패틀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패틀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5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46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 H01R33/465Two-pole devices for bayonet type base secured to structure or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신호 표시등용 유닛(3a, 3b, 3c, 5, 6, 7)은 통 형상의 케이스(11)를 구비한다. 케이스(11)의 대향 단부(18, 19)가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케이스(11)의 단부(19, 18)에 상대 회전에 의해 연결된다. 케이스(11)의 대향 단부(18, 19) 사이에 연장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에 의해,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는 적어도 일부에 판 부재(15, 150, 151, 152)를 포함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의 제 1 및 제 2 단부(28, 29)에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1a; 32, 32a)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1a; 32, 32a)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판 부재(15, 150, 151, 142)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대응하는 단자부(31, 31a; 32, 32a)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선 접촉 또는 면 접촉 가능한 접촉부(42a, 42b)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UNIT FOR INDICATING LIGHTS AND INDICATING LIGHTS}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신호 표시등의 분해 정면도이며, 도 1b는 짜 맞춘 상태의 신호 표시등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표시 유닛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표시 유닛의 일부 단면 분해 정면도,
도 4는 표시 유닛의 서브 어셈블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표시 유닛의 주요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a는 도 5b의 5A-5A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도 5b는 도 5a의 5B-5B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서로 대응하는 유닛의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접속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로서, 도 5b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에 대응하며, 도 6a는 유닛끼리의 연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도 6b는 유닛의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표시 유닛의 서브 어셈블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표시 유닛의 주요부의 연결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표시 유닛의 서브 어셈블리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표시 유닛의 연결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10a는 도 10b의 10A-10A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도 10b는 도 10a의 10B-10B를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1은 도 10b에 나타내는 제 1 단자부와 대응하는 유닛의 제 2 단자부의 접속상태의 일부 단면 평면도로서, 도 10b의 XI-XI 선을 따르는 단면을 도시함,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표시 유닛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표시 유닛의 일부 단면 분해 정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2의 표시 유닛의 연결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4a는 도 14b에 나타내는 14A-14A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동시에,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내는 14B-14B 선을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
도 15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부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며, 도 15b는 도 15a의 15B-15B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표시 유닛의 신호 표시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 표시등 2 : 커버
3a, 3b, 3c, 5, 6, 7 : 유닛
11 : 케이스 13 : 회로 기판
14, 1401, 141, 142 : 전기적 접속 부재
15, 150, 151 : 판 부재 16 : 와이어
26 : 서브 어셈블리 31, 31a, 71 : 제 1 내부 단자부
32, 32a, 72 : 제 2 내부 단자부
33, 35, 35 : 판 스프링 부재
64 : 플러그부 73, 94 : 본체부
90 : 환상 플랜지 98 : 탄성 설형부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기계, 생산라인, 주차장, 위험한 장소 등에 설치되어, 재료의 부족, 워크의 막힘, 만차, 위험 등의 각종의 상태를 신호에 의해 통지하기 위한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호 표시등으로서, 예컨대 복수의 유닛을 포개어 구성하는 신호 표시등이 있다. 상기의 유닛은 통 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단자를 갖는다. 대응하는 단자 끼리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로, 대응하는 유닛 끼리를 적층한 후, 이들의 유닛에 긴 고정나사를 관통시키고, 이 관통시킨 긴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유닛을 서로 고정한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5-282605 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82846 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호 표시등에서는, 예컨대 조립시에 있어서 긴 고정나사를 각 유닛에 관통할 때, 적층 상태로 아직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각 유닛을 손으로 임시로 유지해 놓아야 한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이 어렵고, 조립에 힘이 많이 든다.
또한, 종래의 별도의 신호 표시등으로서, 통 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굴곡하는 선 형상의 단자를 갖는 유닛을 구비하는 신호 표시등이 있다. 이 신호 표시등으로서는, 대응하는 유닛의 케이스 끼리를 겹쳐 쌓은 상태로 케이스 끼리를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스 끼리를 결합하면서, 선 형상의 단자 끼리를 교차형상으로 접촉시킨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 5,952,915 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별도의 신호 표시등에서는, 서로 연결되는 한쌍의 유닛의 대응하는 한쌍의 선상의 단자는 서로 점 접촉하기 때문에, 유닛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불확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닛끼리의 조립에 힘이 많이 들지 않고 완성되어,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첩 가능한 신호 표시등용의 유닛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그것에 대응하는 유닛의 케이스가 대응하는 단부에 상대 회전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 수단과,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단부 사이에 연장되어 대응하는 유닛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전기적 접속 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판 부재를 포함하며, 전기적 접속 부재의 제 1 및 제 2 단부에, 대응하는 유닛의 대응하는 단자부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단자부가 각각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단자부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판 부재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유닛의 대응하는 단자부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선 접촉 또는 면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호 표시등의 조립시에, 본 유닛의 케이스와 대응하는 유닛의 케이스를 적층하여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유닛 끼리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유닛 및 대응하는 유닛의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단자부는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신호 표시등 및 이것을 위한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의 조립 설명도를 참조한다.
신호 표시등(1)은, 상기 신호 표시등(1)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2) 및 복수, 예컨대 6개의 유닛(3a, 3b, 3c, 5, 6, 7)을 유닛 적층방향(S)을 따라 서로 연결하고 적층하여, 서로 결합 고정된다. 각 유닛(3a, 3b, 3c, 5, 6, 7)은 대략 원주형상을 하여, 서로의 축선이 일치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닛(3a, 3b, 3c)은 각각 발광하여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이며,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유닛(5)은 음성 신호를 발생하는 버저(buzzer) 유닛이다. 유닛(6)은 본 신호 표시등(1)이 장착되는 장치 본체(9)(일부만 도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한 신호를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이용 가능하게 출력하기 위한 외부 출력 유닛이다. 유닛(7)은 신호 표시등(1)의 기단부 근처에 배치되는 기부 유닛이다. 유닛(7)의 단부에는 본 신호 표시등(1)을 장치 본체(9)에 부착하기 위한 설치 부재(8)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는, 유닛(3b)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또한 이 유닛(3b)을 대응하는 유닛(3a, 3c)에 각각 연결하는 경우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유닛(3b)은 통상의 케이스(11)를 갖는다. 또한, 유닛(3b)은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복수, 예컨대 8개의 LED로 이루어지는 광원(12)과,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어 광원(12) 등을 지지하는 회로 기판(13)과, 대응하는 유닛(3a, 3c)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접속 부재(14)(도 2 및 도 3에는 2개를 도시함)를 갖는다. 이들의 광원(12), 회로 기판(13) 및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케이스(11)내에 대략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속 부재(14)가 서로 접속 가능한 제 1 부재로서의 판 부재(15) 및 제 2 부재로서의 와이어(16)를 포함한다. 판 부재(15)와 와이어(16)는 복수 조, 예컨대 6조가 마련되어 있다. 판 부재(15)는, 도전체로서의 금속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회로 기판(13)에 부착할 수 있다. 와이어(16)는 도전체로서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1)에 유지되어 있다.
케이스(11)는 투광 가능한 글로브(glove)로 이루어져, 신호의 표시면으로서 기능한다. 글로브에는 투과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으로서의 렌즈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스(11)의 축방향(U)에 대해서,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는 그 외주에 마련되는 제 1 끼워맞춤부(18a)와, 환상 단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면(18b)을 갖는다. 케이스(11)의 제 2 단부(19)는 그 내주에 마련되는 제 2 끼워맞춤부(19a)와, 환상 단부로 이루어지는 연결 면(19b)을 갖는다. 본 유닛(3b)의 제 1 끼워맞춤부(18a)는 대응하는 유닛(3a)의 대응하는 제 2 끼워맞춤부(19a)와 끼워맞춤된다. 본 표시 유닛(3b)의 제 2 끼워맞춤부(19a)는 대응하는 유닛(3c)의 대응하는 제 1 끼워맞춤부(18a)와 끼워맞춤된다. 대응하는 2개의 유닛(3b, 3c)의 대응하는 연결 면(19b, 18b) 끼리를 서로 접촉시켜, 케이스(11) 끼리를 축방향(U)으로 위치 결정하고, 그 상대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케이스(11)의 제 1 및 제 2 단부(18, 19)에는, 대응하는 유닛(3a, 3c)의 케이스(11)의 대응하는 단부(19, 18)에 상대 회전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 수단으로서의 결합 돌기(20) 및 결합 오목부(2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유닛(3b)의 결합 돌기(20)는 제 1 끼워맞춤부(18a)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유닛(3a)의 결합 오목부(21)와 결합한다. 또한, 본 유닛(3b)의 결합 오목부(21)는 제 2 끼워맞춤부(19a)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유닛(3c)의 결합 돌기(20)와 결합한다.
결합 오목부(21)는 일단에 개방하는 입구(21a)를 가져 축방향(U)을 따라 연장되는 안내부로서의 안내 홈(21b)과, 이 안내 홈(21b)의 타단으로부터 원주방향(V)을 따라 연장되어 상대방의 결합 돌기(20)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홈(21c)을 포함한다. 입구(21a)를 통해서 도입된 상대방의 결합 돌기(20)가 안내 홈(21b)에 의해서 축방향(U)으로 안내된 후, 끼워맞춤 홈(21c)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안내되면서 끼워맞춤 홈(21c)의 외주부와 결합하여, 양 유닛(3b, 3c)의 케이스(11)끼리가 서로 결합되고, 그 축방향(U)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의 내주에는, 회로 기판(13)을 받기 위한 환상 플랜지(22)가 마련된다. 환상 플랜지(22)에는 보스(2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면에는 하나만을 도시함). 이 보스(23)에 마련되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회로 기판(13)을 관통한 고정 나사(25)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회로 기판(13)을 환상 플랜지(22)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회로 기판(13)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13)은 빛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수단으로서의 상술한 광원(12)과, 복수의 회로 부품(도시하지 않음)과,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판 부재(15)를 유지한다. 회로 기판(13)과, 광원(12)과, 상술한 회로 부품과, 판 부재(15)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13)의 외주연부에는, 광원(12)으로서의 복수, 예컨대 8개의 LED가 원주방향으로 거의 균등하게 나란히 배치된다. 각 LED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에서 보아 케이스(11)의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어, 각 LED로부터의 직접 광이 케이스(11)의 중심을 통과하고, 각 LED와 케이스(11)의 반대측에서 대향하는 글로브의 대향 부분을 투과하여, 광이 주위로 방사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회로 기판(13), 광원(12),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판 부재(15), 회로 부품 등은 서브 어셈블리(26)를 구성하여, 조립시에 한묶음으로 되어 케이스(11)에 짜 넣어진다. 또한, 서브 어셈블리(26)와 와이어(16)는 함께 케이스(11)에 제 1 단부(18)측으로부터 부착될 수 있다.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스(11)의 내주의 근방에 배치된다. 케이스(11)의 축방향(U)에서 보았을 때,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상호간에 원주방향(V)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각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각 광원(12)으로부터 케이스(11)의 반경방향(R1, R2)을 따라 발생하는 빛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판 부재(15)와 와이어(16)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로 케이스(11)의 축방향(U)에 인접하여 배치하게 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는 케이스(11)의 제 1 및 제 2 단부(18, 19) 사이에 연장된다. 케이스(11)의 제 1 및 제 2 단부(18, 19)에 대응하여,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제 1 및 제 2 단부(28, 29)가 각각 배치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제 1 및 제 2 단부(28, 29)에, 대응하는 유닛(3a, 3c)의 대응하는 단자부(32, 31)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2)가 각각 마련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판 부재(15)는 와이어(16)보다도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제 1 단부(28)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케이스(11)의 축방향(U)에 대해서, 판 부재(15)는 일단(15e)과, 타단(15f)과, 중간부(15g)를 갖고 있다. 판 부재(15)의 일단(15e)은 상술한 제 1 단자부(31)를 갖고, 판 부재(15)의 타단(15f)은 와이어(16)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내부 단자부(71)를 갖는다. 또한, 와이어(16)의 일단(75)은 판 부재(15)의 제 1 내부 단자부(71)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내부 단자부(72)를 갖는다. 와이어(16)의 타단(76)은 상술한 제 2 단자부(32)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여, 판 부재(15)의 중간부(15g)는 회로 기판(13)에 의해 유지되는 피 유지부로서의 U자 형상 판부(33)를 갖는다. U자 형상 판부(33)는 일단끼리를 연결부(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외팔보 지지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로서의 한쌍의 탄성 판부(43, 44)를 갖는다. 또한, 판 부재(15)의 중간부(15g)는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3)로부터 연장되는 위치 결정용의 결합부로서의 한쌍의 돌기(38)와,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3)로부터 연장되어 회로 기판(13)과의 접속부로서의 돌기 형상의 리드(39)를 갖는다.
판 부재(15)의 일단(15e)은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3)의 단부로부터 굴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와, 연장부(34)로부터 더 연장되는 제 1 탄성 설형부(35)를 갖고 있다. 판 부재(15)의 타단(15f)은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4)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탄성 설형부(36)를 갖는다. 이들 판 부재(15)의 각 부분(33, 35, 36, 38, 39, 34)은 단일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 설형부(35)는 연장부(34)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34)와 대향한다. 제 1 탄성 설형부(35)는 연장부(34)의 측면 가장자리에 기단부(35a)를 갖고, 이 기단부(35a)에서 케이스(11)의 대략 원주방향(V)으로 연장된다. 제 1 탄성 설형부(35)는 외팔보 지지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로서 기능하고, 이 판 스프링 부재의 중간부로부터 자유단 쪽에 제 1 단자부(31)를 갖는다. 제 1 단자부(31)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제 1 탄성 설형부(35)의 일부에 의해 구성된다. 제 1 단자부(31)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유닛(3a)의 대응하는 와이어(16)의 제 2 단자부(32)의 접촉부(42b)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선 접촉 가능한 접촉부(42a)를 포함한다.
제 1 탄성 설형부(35)는 판 스프링 부재의 판 면이 케이스(11)의 대략 반경방향(R1, R2)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1)의 대략 반경방향(R1, R2)을 따라 탄성 소성 변형 가능하고, 이 방향(R1, R2)을 따라 제 1 단자부(31)를 탄성 가압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본 유닛(3b)의 케이스와 대응하는 유닛(3a)의 케이스(11)를 그 축방향(U)으로 적층하여 상대 회전시켰을 때, 대응하는 유닛(3a)의 제 2 단자부(32)는 유닛(3b)의 제 1 탄성 설형부(35)의 기단부(35a) 측에서 자유단 측으로 이동하면서(화살표 M2), 제 1 탄성 설형부(35)를 눌러 굽혀지게 한다. 제 1 탄성 설형부(35)의 반경방향(R1)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유닛(3b, 3a)의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2)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대응하는 양 단자부(31, 32)의 접촉부(42a, 42b)는 선 접촉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U자 형상 판부(33)는 한쌍의 탄성 판부(43, 44)의 사이에, 회로 기판(13)의 외주부(63)를 꽂는 것이 가능한 플러그부(64)를 구획한다. 한쌍의 탄성 판부(43, 44)가 꽂아진 회로 기판(13)의 외주부(63)를 협지하는 상태로, 회로 기판(13)에 의해 U자 형상 판부(33)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회로 기판(13)은, U자 형상 판부(33)의 연결부(45)를 수용하여 외주에 개방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리세스(62)와, 판 부재(15)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상술한 외주 가장자리부(63)와, 판 부재(15)를 케이스(11)의 반경방향(R2) 및 원주방향(V)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한쌍의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 홈(65)과, 판 부재(15)의 리드(39)와 땜납 부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66)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 홈(65)은 리세스(62)로부터 반경방향 안쪽(R2)으로 연장된다. 위치 결정 홈(65)에 판 부재(15)의 돌기(38)가 끼워맞춤되고, 판 부재(15)가 회로 기판(13)에 위치 결정되어, 회로 기판(13)에 대해서의 원주방향(V) 및 반경방향 안쪽(R2)에 대해서의 판 부재(15)의 변위가 규제된다. 또한, 판 부재(15)에 작용하는 외력을 돌기(38)를 통해서 회로 기판(13)으로 받기 때문에, 리드(39)와 접속부(66)의 땜납 부착 부분(66a)(도 6 참조)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탄성 설형부(36)는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4)의 단부로부터 반대로 절곡되어 탄성 판부(44)와 대향한다. 제 2 탄성 설형부(36)는 탄성 판부(44)의 단부에 기단부(36a)를 갖고, 이 기단부(36a)에서 케이스의 대략 반경방향(R1)으로 연장된다. 제 2 탄성 설형부(36)는 판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외팔보 형상의 판 스프링 부재로서 기능하여, 이 판 스프링 부재의 중간부로부터 자유단 쪽에 상술한 제 1 내부 단자부(71)를 갖는다. 제 2 탄성 설형부(36)는 판 스프링 부재의 판 면이 케이스(11)의 대략 축방향(U)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1)의 대략 축방향(U)을 따라 제 1 내부 단자부(71)를, 나아가서는 와이어(16)의 일단(75)을 탄성 가압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와이어(16)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본체부(73)를 구비한다. 이 본체부(73)의 일단(77)에 직교형상으로 절곡형상 연장부(78)가 마련되고, 이 절곡형상 연장부(78)에 제 2 내부 단자부(72)가 마련된다. 본체부(73)의 타단인 와이어의 타단(76)에 제 2 단자부(32)가 마련된다.
절곡 형상의 와이어(16)를 사용하여,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일부를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6)의 절곡 형상 연장부로 구성되는 제 2 내부 단자부(72)는 판 부재(15)의 제 2 탄성 설형부(36)의 제 1 단자부(71)와 선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이 확실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와이어(16)는 케이스(11)의 내주에 마련되는 유지부로서의 유지 구멍(80)에 유지된다. 유지 구멍(80)은 케이스의 축방향(U)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며, 본체부(73)의 대부분을 수용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 2 내부 단자부(72)가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측이 되는 유지 구멍(80)의 개구로부터 노출상태로 케이스의 원주방향(V)을 따라 연장되기 시작한다. 제 2 단자부(32)가 케이스(11)의 제 2 단부(19)측이 되는 유지 구멍(80)의 개구로부터 노출상태로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연장되기 시작한다.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측이 되는 유지 구멍(80)의 개구의 외주부에는, 제 2 내부 단자부(72)를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받는 받침대부(81)가 마련된다. 받침대부(81)에 의해 받아진 와이어(16)의 제 2 내부 단자부(72)에, 케이스(11)에 갖추어진 서브 어셈블리(26)의 제 2 탄성 설형부(36)의 제 1 내부 단자부(71)가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부(71, 72)가 서로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표시등(1)의 조립시에, 본 유닛(3b)의 케이스(11)와 대응하는 유닛(3a, 3c)의 케이스(11)를 적층하여 상대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종래 사용되고 있었던 긴 고정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상술한 연결 수단에 의해 유닛(3a, 3b, 3c) 끼리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 표시등(1)의 조립에 힘을 들이지 않고서 완료된다. 또한, 서로 대응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판 부재(15)의 제 1 단자부(31)와 와이어(16)의 제 2 단자부(32)가 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 부재(14)를 서로 접속가능한 복수의 부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재로 분할하여 구성했다. 이것에 의해, 본 유닛(3b)의 조립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본 유닛(3b)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2 피스의 분할이면, 조립 시간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회로 기판(13)과 판 부재(15)를 이용하여 미리 조립되었던 서브 어셈블리(26)가 케이스(11)에 맞붙여질 수 있는 것에 의해, 본 유닛(3b)을 보다 한층 조립하기 쉬울 수 있다. 서브 어셈블리(26)가 신호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전기적 접속 부재(14)의 판 부재(15)가 피 유지부로서의 U자 형상 판부(33)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탄성 설형부(35, 36)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판 부재(15)를 실용적으로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제 2 탄성 설형부(36)에 제 1 내부 단자부(7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본 유닛(3b) 내에서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부(71, 72)를 탄력에 의해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제 2 탄성 설형부(36)가 케이스(11)의 대략 축방향(U)을 따라 제 1 내부 단자부(71)를 탄성 가압 가능하게 되고, 서브 어셈블리(26)가 케이스(11)의 대략 축방향(U)을 따라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11)로의 서브 어셈블리(26)의 부착과,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부(71, 72)의 가압 상태에서의 접속이 동시에 달성된다.
또한, 리드(39)와 접속부(66)는 땜납 부착되어 있지만, 서로 U자 형상 판부(33)의 탄력에 의해 접촉하는 경우에는 땜납 부착을 생략하는 것도 고려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또한, 후술하는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판 부재(15)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도 4 참조) 대신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판 부재(150)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0)가 사용된다.
판 부재(150)는 주로 이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판 부재(15)(도 4 참조)와 상이하다. 즉, 판 부재(150)의 연장부(34)는 U자 형상 판부(33)의 탄성 판부(43)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굴곡 형상으로 연장되고, 제 1 탄성 설형부(35)는 연장부(34)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굴곡형상으로 케이스(11)의 대략 원주방향(V)으로 더 연장된다. 판 부재(150)의 리드(39)는 연장부(34)로부터 케이스(11)의 축방향(U)을 따라 돌출하고 있어, 회로 기판(13)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66)에 끼워맞춤되고, 관통 구멍에 마련되는 도전부재와 납땜 부착된다. 또한, U자 형상 판부(33)의 연결부(45)가 회로 기판(13)의 외주의 리세스(62)에 끼워지고, 판 부재(150)를 회로 기판(13)에 원주방향(V)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판 부재(15)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도 4 참조)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판 부재(151)를 포함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141)가 사용된다.
또한, 회로 기판(13)은 판 부재(151)를 관통시켜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로서의 관통 구멍(68)을 갖는다. 관통 구멍(68)은 직사각형의 본체부로서의 제 1 부분(68a)과, 제 1 부분(68a)으로부터 원주방향(V)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의 제 2 부분(68b)을 갖는다.
판 부재(151)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에 대해서, 일단(15e)과, 타단(15f)과, 그 중간부(15g)를 갖는다. 판 부재(151)는 회로 기판(13)의 관통 구멍(68)의 제 1 부분(68a)에 끼워져 유지되어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연장되는 본체 판부(84)를 갖는다. 이 본체 판부(84)의 중간부가 회로 기판(13)에 유지되는 피 유지부가 된다. 또한, 판 부재(151)의 일단(15e)은 본체 판부(84)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굴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1 탄성 설형부(35)를 갖는다. 또한, 판 부재(151)의 타단(15f)은 본체 판부(84)의 단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탄성 설형부(36)를 갖는다. 또한, 판 부재(151)는 피 유지부로서의 본체 판부(84)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제 2 탄성 설형부(36)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는 쪽에 굴곡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탄성 설형부(36)에 대응하는 연장 편(85)을 포함한다. 이 연장 편(85)의 중간부가 관통 구멍(68)의 제 2 부분(68b)에 끼워져 피 유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판 부재(151)로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리드(39)를 이용할 수 있다.
판 부재(151)로서는, 본체 판부(84) 및 연장 편(85)의 단부(84a, 85b)가 회로 기판(13)의 관통 구멍(68)의 외주부를 따르는 것에 의해, 판 부재(151)와 회로 기판(13)을 축방향(U)의 한쪽에 위치 결정한다. 본체 판부(84) 및 연장 편(85)의 중간부가 관통 구멍(68)의 외주부와 접촉하여, 케이스(11)의 원주방향(V) 및 반경방향(R1, R2)에 대해서, 회로 기판(13)과 판 부재(151)를 위치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 1 탄성 설형부(35)가 제 1 단자부(31)를 포함하고, 제 2 탄성 설형부(36)가 제 1 내부 단자부(71)를 포함한다.
제 1 탄성 설형부(35)에 대해서는, 이것이 본체 판부(84)의 측면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기단부(35a)로부터 굴곡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과, 제 1 단자부(31)에 오목한 돌기(86)가 마련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는 상이하다.
오목한 돌기(86)는 대응하는 제 2 단자부(32)와 복수 위치에서 선 접촉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단자부(31)와 제 2 단자부(32)는 전기적으로 보다 한층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한 돌기(86)는 와이어(16)와 이것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위치에서 선 접촉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여, 제 2 탄성 설형부(36)에 대해서는, 이하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는 상이하다. 즉, 제 2 탄성 설형부(36)는 본체 판부(84)의 단부에 기단부(36a)를 갖고, 이 기단부(36a)로부터 케이스(11)의 대략 축방향(U)을 따라 절곡되는 형상으로 연장되는 점이다. 또한, 제 2 탄성 설형부(36)의 판 면이 케이스(11)의 대략 원주방향(V)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케이스(11)의 대략 원주방향(V)을 따라 제 1 내부 단자부(71)를 탄성 가압 가능한 점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부(71, 72)는 서로 가압 상태로 선 접촉한다. 와이어(16)의 제 2 내부 단자부(72)는 케이스(11)의 반경방향(R2)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내부 단자부(71, 72)의 접촉 길이를 확보하면서, 광원(12)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연장 편(85)은 케이스(11)의 축방향(U)을 따라 연장되는 가장자리부(85b)를 갖는다. 연장 편(85)의 가장자리부(85b)와 제 2 탄성 설형부(36)의 사이에, 당해 유닛(3b)의 와이어(16)의 제 2 내부 단자부(72)를 협지 가능한 협지부(87)가 구획된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16)를 가압 상태로 확실히 안정하게 위치 결정하고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연장 편(85)과 제 2 내부 단자부(72)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판 부재(151)와 와이어(16)를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판 부재(151)가 와이어(16)를 케이스(11)의 원주방향(V)으로 협지함으로써 판 부재(151) 및 회로 기판(13)에 와이어(16)로부터의 케이스(11)의 축방향(U)의 힘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내지 도 1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의 판 부재(15)와 와이어(16)를 조합시킨 전기적 접속 부재(14)(도 2 참조) 대신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적 접속 부재(142)가 사용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케이스(11)에 대해서는,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에 내향의 환상 플랜지(90)가 마련되는 것과, 케이스(11)의 제 2 단부(19)측으로부터 회로 기판(13)을 관통하는 고정 나사(25)에 의해 고정하는 나사 구멍 부착의 내주에 설치되는 보스(23a)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케이스(11)와 상이하다.
전기적 접속 부재(142)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2)(도 2 참조) 대신에, 제 1 및 제 2 단자부(31a, 32a)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단자부(31a, 32a)는 상술한 접촉부(42a, 42b)(도 10a 참조)를 각각 갖는다. 전기적 접속 부재(142)는 양 단자부(31a, 32a)를 일체로 형성하는 도전성의 단일의 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전기적 접속 부재(142)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본체부(94)를 갖는다. 본체부(94)의 일단(95)으로부터 대략 직교 형상으로 연장되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장부(97)에 제 1 단자부(31a)가 마련된다. 유닛(3b)의 제 1 단자부(31a)는 환상 플랜지(90)의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91)을 따른다. 또한, 본체부(94)의 타단(96)에 연장되어 산 형태를 이루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설형부(98)에, 제 2 단자부(32a)가 마련된다. 전기적 접속 부재(142)는 회로 기판(13)의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부(66)와 접속하기 위한 돌기 형상의 리드(39)와, 본체부(94)의 타단(96)에 연장되어 케이스(11)의 유지 구멍(80)에 결합 가능한 결합부로서의 돌기(99)를 포함한다. 본체부(94)의 판 면은 케이스(11)의 반경방향(R1, R2)에 교차하여 배치된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제 1 단자부(31a)는 환상 플랜지(90)의 오목부(92)에 배치된다. 케이스(11)의 원주방향(V)에 대해서 오목부(92)와 인접하는 환상 플랜지(90)의 표면(91)과 제 1 단자부(31a)는 대략 단일 면을 이룬다.
제 2 단자부(32a)를 마련하는 탄성 설형부(98)는 본체부(94)에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되는 판 스프링 부재로서 기능한다. 탄성 설형부(98)는, 유닛(3a)의 제 2 단자부(32a)를 대응하는 유닛(3b)의 대응하는 제 1 단자부(31a)에 케이스(11)의 축방향(U)을 따라 탄성 가압 가능하다.
서로 대응하는 유닛(3a, 3b)이 적층된 상태로, 제 2 단자부(32a)를 갖는 탄성 설형부(98)는 소정량만큼 휜다. 이것에 의해 생기는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환상 플랜지(90)상에 받아진 제 1 단자부(31a)에 제 2 단자부(32a)가 가압되어, 이것의 산 형상의 상부의 접촉부(42b)와 제 1 단자부(31a)의 접촉부(42a)가 선 접촉한다.
이상 설명한 각각의 제 2 내지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1) 끼리를 상대 회전시켜, 유닛 끼리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고, 대응하는 유닛(3a, 3b, 3c)이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1a, 32, 32a)를 선 접촉시켜, 대응하는 유닛(3a, 3b, 3c)을 서로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및 제 3의 실시형태에서는, 전기적 접속 부재(140, 141)를 복수의 부재로 분할하여 조립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와, 서브 어셈블리(26)를 이용하여 조립하기 쉽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제 1 탄성 설형부(35)에, 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단자부(31)의 접촉부의 배면측에 돌출하는 보강용의 돌출 홈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예컨대 3개의 리브(100)를 마련하여, 제 1 탄성 설형부(35)를 보강할 수도 있다. 리브(100)를,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탄성 설형부나, 제 2 내지 제 4 각 실시형태 각각의 탄성 설형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오목한 돌기(86)를,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단자부(31)에, 그리고 제 4 실시형태의 제 1 단자부(31a)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형태 각각에 있어서, 대응하는 접촉부(42a, 42b)가 서로 면 접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발생수단으로서는, 광원(12)에 가하여, 이 광원(12)으로부터의 광을 주위에 반사하기 위한 반사 수단으로서의 반사면(113)과, 이 반사면(113)을 유지하는 유지체(114)가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버저 유닛(5)과 같이, 신호 발생수단으로서, 광원(12) 대신에, 음성에 의해 신호를 발하는 음성 발생수단으로서의 버저(101)와, 이 버저(101)를 구동하는 전기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의 케이스(11)에는 버저(101)로부터의 소리를 외부에 발하기 위한 개구(102)가 마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유닛(6, 7)에도, 상술한 각 실시형태의 케이스(11)와, 전기적 접속 부재(14, 142)를 이용하고 있다. 예컨대, 외부 출력 유닛(6)은 외부 출력용의 인터페이스(117)를 갖고, 이 인터페이스(117)에 의해, 신호 표시등(1)이 장착되는 장치 본체(9)로부터의 신호에 응한 출력 신호를 외부 장치, 예컨대 상기 장치 본체(9)를 포함하는 제조 라인의 통괄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외부 출력 유닛(6)은 출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에 노출 가능하게 케이스(11)에 고정되는 커넥터(118)를 갖는다.
또한, 신호 표시등(1)에 포함되는 각종 유닛의 수, 종류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요건은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유닛(3b)이 있으면 무방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상기의 내용을 이해한 당업자는 그 변경, 수정 및 균등물을 용이하게 고려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레임의 범위와 그 균등의 범위로 해야 한다.
본 출원은 2003년 2월 21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45041 호에 대응하고, 이것들의 출원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인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표시등의 조립시에, 본 유닛의 케이스와 대응하는 유닛의 케이스를 적층하여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종래 사용되고 있었던 긴 고정 나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상술한 연결 수단에 의해 유닛 끼리를 간편히 연결할 수 있어, 그 결과 신호 표시등의 조립에 힘을 들이지 않고서 완료된다. 또한, 서로 대응하는 전기적 접속 부재의 판 부재의 제 1 단자부와 와이어의 제 2 단자부가 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확실히 접속된다. 또한, 전기적 접속 부재를 복수의 부재로 분할하여 조립의 자유도를 높이는 효과와, 서브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조립하기 쉽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중첩 가능한 신호 표시등용의 유닛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부(18, 19)를 갖는 통 형상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제 1 및 제 2 단부(18, 19)에 각각 마련되고, 각각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케이스(11)의 대응하는 단부(18, 19)에 상대 회전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한쌍의 연결 수단(20, 21)과,
    상기 케이스(11)의 제 1 및 제 2 단부(18, 19) 사이에 연장되어,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는 적어도 일부에 판 부재(15, 150, 151, 142)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의 제 1 및 제 2 단부(28, 29)에,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대응하는 단자부(31, 31a; 32, 32a)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1a; 32, 32a)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부(31, 31a; 32, 32a)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판 부재(15, 150, 151, 142)에 마련되고,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대응하는 단자부(31, 31a; 32, 32a)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선 접촉 또는 면 접촉 가능한 접촉부(42a, 42b)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가 서로 접속 가능한 제 1 및 제 2 부재(15, 150, 151; 16)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재(15, 150, 151)가, 일단(15e)에 상기 제 1 단자부(31, 31a)를 갖는 동시에 타단(15f)에 제 1 내부 단자부(71)를 갖고,
    상기 제 2 부재(16)가, 일단(75)에 제 1 부재(15, 150, 151)의 제 1 내부 단자부(31, 31a)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내부 단자부(72)를 갖는 동시에 타단(76)에 상기 제 2 단자부(32, 3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회로 기판(13)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재(15, 150, 151)가 상기 회로 기판(13)에 부착된 판 스프링 부재(33, 35, 36)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재(16)가 상기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와이어(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15, 150, 151)와 회로 기판(13)을 포함하는 서브 어셈블리(26)가 구성되며,
    상기 제 1 부재(15, 150, 151)는, 회로 기판(13)에 의해 유지되는 피 유지부(33)와, 상기 피 유지부(33)로부터 연장되고 제 1 단자부(31, 31a)를 포함하는 제 1 탄성 설형부(35)와, 상기 피 유지부(33)로부터 연장되고 제 1 내부 단자부(71)를 포함하는 제 2 탄성 설형부(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 유지부(33)는, 회로 기판(13)의 외측 가장자리부(63)를 꽂는 것이 가능한 플러그부(64)를 구획하는 U자 형상 판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설형부(35)가 케이스(11)의 반경방향(R1, R2)을 따라 제 1 단자부(31, 31a)를 탄성 가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설형부(36)가 케이스(11)의 축방향(U)을 따라 상기 제 1 내부 단자부(71)를 탄성 가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6)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직선인 본체부(7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73)의 일단(77)에 마련되는 절곡 형상 연장부(78)에 상기 제 2 내부 단자부(72)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73)의 타단(76)에 제 2 단자부(3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제 1 단부(18)에 내향의 환상 플랜지(90)가 마련되고,
    상기 전기적 접속 부재(14, 140, 141, 142)는 도전성의 판 부재(142)로 이루어지는 전기적 접속 부재(142)를 포함하며,
    상기 판 부재(142)는, 케이스(11)의 축방향(U)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1)에 의해 유지되는 본체부(94)와, 상기 본체부(94)의 일단(95)으로부터 직교 형상으로 연장되어 환상 플랜지(90)의 표면(91)을 따르는 연장부(97)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97)에 상기 제 1 단자부(31a)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142)는 상기 본체부(94)의 타단(96)에 연장 설치되어 산 형상을 이루는 탄성 설형부(98)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설형부(98)에 상기 제 2 단자부(32a)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 설형부(98)가 상기 제 2 단자부(32a)를 대응하는 유닛(3a, 3b, 3c, 5, 6, 7)의 대응하는 제 1 단자부(31a)에 케이스(11)의 축방향(U)을 따라 탄성 가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용 유닛.
  14.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11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신호 표시등용 유닛(3a, 3b, 3c, 5, 6, 7)이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표시등.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40006030A 2003-02-21 2004-01-30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 KR100952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5041 2003-02-21
JP2003045041A JP4134748B2 (ja) 2003-02-21 2003-02-21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713A KR20040075713A (ko) 2004-08-30
KR100952791B1 true KR100952791B1 (ko) 2010-04-14

Family

ID=3282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030A KR100952791B1 (ko) 2003-02-21 2004-01-30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14610B2 (ko)
EP (1) EP1460332B1 (ko)
JP (1) JP4134748B2 (ko)
KR (1) KR100952791B1 (ko)
CN (1) CN100491818C (ko)
AT (1) ATE418042T1 (ko)
DE (1) DE60325326D1 (ko)
TW (1) TWI2757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63B1 (ko) 2016-05-27 2016-11-17 (주)큐라이트 다기능 모듈형 타워표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5011B1 (de) * 2004-03-11 2012-05-09 WERMA Holding GmbH + Co. KG Signalgerät
PL1735561T3 (pl) * 2004-04-08 2008-12-31 Schneider Electric Ind Sas Kolumna sygnalizacyjna do regulacji ruchu ulicznego
FR2868826B1 (fr) * 2004-04-08 2006-05-26 Schneider Electric Ind Sas Colonne de signalisation
FR2869975B1 (fr) * 2004-05-04 2006-06-16 Schneider Electric Ind Sas Colonne de signalisation verrouillable
JP4089692B2 (ja) * 2004-09-02 2008-05-28 株式会社パトライト レンズ部品、信号表示灯用表示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US7492276B2 (en) * 2005-12-22 2009-02-17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Micro-processor controlled indicator device
JP4719123B2 (ja) * 2006-10-30 2011-07-06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のピラー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有する信号表示灯
AU2008201153C1 (en) * 2007-03-28 2011-01-0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A Modular Visual Output Component
EP2039990B1 (de) 2007-09-20 2010-10-27 Siteco Beleuchtungstechnik GmbH Trägerelement mit Leuchtdiodeneinheiten
US8525880B2 (en) * 2008-11-21 2013-09-03 Robert Bosch Gmbh Security system including modular ring housing
JP5290780B2 (ja) * 2009-01-19 2013-09-18 株式会社モルテン 表示装置
JP5532231B2 (ja) * 2010-05-11 2014-06-2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CN102496298A (zh) * 2011-12-08 2012-06-13 常州杰天车辆配件厂 一种交通信号灯
DE102011122530A1 (de) * 2011-12-29 2013-07-04 Werma Holding Gmbh + Co. Kg "Warnleuchtsäule mit einem elektrischen Kontakt zwischen zwei Wechselmodulen"
JP5996317B2 (ja) * 2012-02-23 2016-09-21 積水樹脂株式会社 道路用発光標示体
US9307309B2 (en) 2014-01-13 2016-04-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tack light with in-line sound module
US20150198316A1 (en) * 2014-01-13 2015-07-1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tack Light with Modular Function Generator
DE102014106229A1 (de) * 2014-05-05 2015-11-05 Trilux Gmbh & Co. Kg Leuchtenstele
AT516060B1 (de) * 2014-09-02 2016-02-15 Christian Friedrich Beleuchtungs- und Sicherheitsvorrichtung für Schiffe
ES2631809T3 (es) * 2015-01-12 2017-09-05 Auer Signal Gmbh Dispositivo de señalización
US9997031B2 (en) 2015-07-20 2018-06-12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Modular indicator
US10475299B2 (en) 2015-07-20 2019-11-12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Modular indicator
DE102015120280A1 (de) 2015-11-24 2017-05-24 Werma Holding Gmbh + Co. Kg Signalgerät mit Leuchtmodul
JP6889592B2 (ja) * 2017-04-06 2021-06-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灯具
US10422821B2 (en) 2017-04-17 2019-09-24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a module in a stack light
US10309594B1 (en) 2017-05-01 2019-06-04 Mallory Sonalert Products, Inc. Stack light
USD898600S1 (en) 2017-07-20 2020-10-13 Mallory Sonalert Products, Inc. Stack light
USD878637S1 (en) 2018-06-11 2020-03-17 Curtis Alan Roys Stackable modular corn light
CN111594778A (zh) * 2020-05-19 2020-08-28 广东拓龙照明科技有限公司 一种叠加式圆柱形投光灯
US11705679B2 (en) 2020-12-18 2023-07-18 Banner Engineering Corp. In-line modular indicato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7021A1 (fr) * 1981-11-23 1983-05-27 Telemecanique Electrique Colonne lumineuse
DE19513983A1 (de) * 1994-04-15 1995-10-19 Werma Signalgeraete Gmbh & Co Signalsäule
KR200320781Y1 (ko) 2003-03-28 2003-07-22 (주) 큐라이트신양 시그널 타워 램프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223A (en) * 1988-09-08 1990-08-28 Householder George G Speaker mounting system
US5263876A (en) * 1992-09-15 1993-11-23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EMI-EMP connector assembly
JP2746119B2 (ja) 1994-03-31 1998-04-28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の配線構造
DE29719399U1 (de) * 1997-11-03 1998-08-06 Pfannenberg Otto Gmbh Signalleuchte
JP3796978B2 (ja) 1998-09-04 2006-07-12 株式会社パトライト 信号表示灯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DE10111594A1 (de) * 2001-03-10 2002-09-19 Karl Jautz Elektro Tech Spezia Anzeigeleuchtensäule
US6346000B1 (en) * 2001-05-02 2002-02-12 Tom Orr Apparatus for interlocking stacked computer modules
JP3943914B2 (ja) * 2001-11-26 2007-07-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663421B1 (en) * 2002-12-11 2003-12-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Igniter shorting conta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17021A1 (fr) * 1981-11-23 1983-05-27 Telemecanique Electrique Colonne lumineuse
DE19513983A1 (de) * 1994-04-15 1995-10-19 Werma Signalgeraete Gmbh & Co Signalsäule
KR200320781Y1 (ko) 2003-03-28 2003-07-22 (주) 큐라이트신양 시그널 타워 램프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863B1 (ko) 2016-05-27 2016-11-17 (주)큐라이트 다기능 모듈형 타워표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6743A1 (en) 2004-08-26
KR20040075713A (ko) 2004-08-30
EP1460332A3 (en) 2007-01-17
EP1460332A2 (en) 2004-09-22
TWI275733B (en) 2007-03-11
CN100491818C (zh) 2009-05-27
US6814610B2 (en) 2004-11-09
JP2004252374A (ja) 2004-09-09
JP4134748B2 (ja) 2008-08-20
EP1460332B1 (en) 2008-12-17
ATE418042T1 (de) 2009-01-15
CN1523265A (zh) 2004-08-25
DE60325326D1 (de) 2009-01-29
TW200422558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791B1 (ko) 신호 표시등용 유닛 및 신호 표시등
JP4897031B2 (ja) ランプ装置、ランプおよび光学レンズ組立部品、ならびにランプハウジング組立部品
US7414238B2 (en) Optical encoder device for small-sized mo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688779B2 (en) Optical/electric composite connector
US7663276B2 (en) Optical encoder device for small-sized motor
JP2012134055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部品の接続ユニット
JP2007199461A (ja) 光モジュール
JP4423572B2 (ja) 信号表示灯用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JP3903122B2 (ja) ノイズ防止光コネクタ
JPH0410582Y2 (ko)
JP2003114364A (ja) 光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9151128A (ja) 光コネクタ
JP2003059331A (ja) Led照明器具
JP5608497B2 (ja) 閃光発光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閃光発光装置
CN216480602U (zh) 电器耦合装置和灯具
JP2006260894A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8140727A (ja) Led用の配線具、led圧接ユニット、及びled付き配線ユニット
JP5737580B2 (ja) 発光装置
JP2803707B2 (ja) 自発光指針式計器
JP2001074510A (ja) 計器装置
CN113154342A (zh) 连接开关及灯具
JPH081540Y2 (ja) 光電スイッチにおける光電素子の取り付け構造
JP3540173B2 (ja) 計器のムーブメント固定構造
JPH0616436Y2 (ja) 放電灯用ソケツト
JP2001280937A (ja) ステアリング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