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309B1 -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309B1
KR100944309B1 KR1020080024888A KR20080024888A KR100944309B1 KR 100944309 B1 KR100944309 B1 KR 100944309B1 KR 1020080024888 A KR1020080024888 A KR 1020080024888A KR 20080024888 A KR20080024888 A KR 20080024888A KR 100944309 B1 KR100944309 B1 KR 10094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creen device
image display
light diffusing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676A (ko
Inventor
히로시 하세가와
아키히코 야마모토
토시키 후지모리
노리타카 우치보리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크린 장치에 들어가거나 빠져 나가는 것이 가능하고, 또 스크린 장치에 들어가거나 빠져 나갈 때에 사람이나 물건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터(projector) PJ1, PJ2와, 상기 프로젝터 PJ1, PJ2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장치(100)를 갖고, 상기 스크린 장치(100)는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막(幕; 101, 101,ㆍㆍㆍ))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투사형의 화상 표시 장치인 프로젝터는 투사 화상을 재현하기 위한 스크린이 불가결하다. 프로젝터의 투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의 분류의 방법으로서는 경질(硬質)로 파손되기 어려운 하드 타입의 스크린, 수납이나 이동에 편리한 소프트 타입의 스크린이라고 하는 분류,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에 의한 전방 투사형(front-projection type)의 스크린, 후방 투사형(rear-projection type)의 스크린이라고 하는 분류의 방법이 있다.
어떤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스크린의 존재에 의해 사람 등의 이동이 저해되거나, 보는 방향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조합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회의실, 영화관 등 한정된 장소에서의 사용이 주가 된다.
이것에 대해, 최근에는 「포그 스크린(fog screen)」이나 「흰 연기 스크린(white smoke screen)」 등의 스크린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제1 종래 기술이라 함)은 안개를 균일하게 평면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포그 스크린)을 형성하고, 형성된 포그 스크린에 프로젝터 등의 화상 투사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포그 스크린에 의하면, 사람 등의 이동은 저해되지 않고, 스크린내에 사람이 들어오거나, 물건을 두거나, 또 사람이 스크린을 빠져 나가는 것도 가능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포그 스크린을, 예를 들어 공항, 역, 병원, 쇼핑몰 등의 통로에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길안내의 표시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안내 표시판으로서 기능시키거나, 또 각종의 이벤트나 쇼 등에 사용하는 것에 의해, 지금까지 없는 연출 효과를 얻기 위한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포그 스크린과 프로젝터를 조합한 새로운 화상 표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제2 종래 기술이라 함)은 흰 연기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스크린(흰 연기 스크린)을 형성하고, 형성된 흰 연기 스크린에 프로젝터 등의 화상 투사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흰 연기 스크린도 포그 스크린과 동양(同樣)으로, 스크린내에 사람이 들어오거나, 물건을 두거나 또, 사람이 스크린을 빠져 나가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포그 스크린과 동양인 사용법이 가능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4-28703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7-56235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한 포그 스크린 및 흰 연기 스크린을 예를 들어 통로 등에 마련한 경우, 프로젝터 등의 화상 투사 장치와 스크린 사이에 사람이나 물건이 존재하면, 사람이나 물건이 입사광을 차단하게 되고, 스크린상의 화상에 사람이나 물건의 그림자가 생겨서, 다른 사람이 화상을 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나 물건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상기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은,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장치를 갖고, 상기 스크린 장치는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은 광확산 수단이 복수 존재하고, 각각의 광확산 수단은 광투과성과 광확산성을 갖고 있으므로, 각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 화상은 각각의 광확산 수단에서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크린 장치에 사람이 들어오거나 물건이 놓여진 경우에도, 어느 광확산 수단에서 화상의 표시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스크린 장치의 주변에 있는 사람은 스크린 장치내의 사람이나 물건 등의 존재의 영향을 받지 않고 투사 화상을 볼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도록 복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프로젝터에 의해 다른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어떤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사람 등에 의해 차단되었다고 해도, 다른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어 스크린 장치내에 사람이 들어온 경우에도, 스크린 장치내 사람의 존재 영향을 받지 않고 투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3) 상기 (2)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사이에 두고 한 쪽측과 다른 쪽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른 쪽측에 설치하는 프로젝터는 상기 한 쪽측의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경상(鏡像)을 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른 쪽측에 설치하는 프로젝터는 한 쪽측의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경상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한 쪽측의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스크린 장치내에 들어가 있는 사람의 존재에 의해 차단되었다고 해도, 다른 쪽의 프로젝터가 한 쪽의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경상을 투사하고 있으므로, 스크린 장치에 들어가 있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주위의 사람도 스크린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독취할 수 있다.
(4)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 기 광확산 수단은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요동 가능한 재질을 갖는 포재(布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수단은 부드러운 포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 등이 광확산 수단과 광확산 수단 사이에 들어오거나, 물건을 광확산 수단과 광확산 수단 사이에 두는 것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광을 투과 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고, 또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요동 가능이라고 하는 조건을 갖는 포재로서는 7 데니어(denier) 이하의 초극세사(超極細絲)를 사용한 초극박(超極薄) 섬유가 존재한다.
(5)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광확산 수단이 슬릿을 갖는 것에 의해, 사람은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스크린 장치를 빠져 나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은 예를 들어 건물내의 통로 등에 마련하고, 도로 안내의 표시나 다양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사용법도 가능하게 된다.
(6)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광확산 수단의 광투과 면과 광확산 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확산 수단의 배치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광확산 수단이 예를 들어 평평한 막인 경우, 각 광확산 수단의 각각의 막면(幕面)이 대향하도록 광확산 수단을 직선적으로 늘어놓은 것이다.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이와 같이 배치 하고, 프로젝터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화상은 해당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광확산 수단 각각에 있어서 표시된다.
(7)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루프(loop)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복수의 루프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도 광확산 수단의 배치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광확산 수단을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입체적인 스크린 장치를 구축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스크린 장치에 다양한 각도로부터 프로젝터에 의해 화상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입체감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8) 상기 (7)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확산 수단을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원통 형상의 외관을 갖는 스크린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축된 스크린 장치에 다양한 각도로부터 프로젝터에 의해서 화상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입체감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고, 종래의 평면적인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의 표시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9) 상기 (7)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다각형인 것도 바람직하다.
광확산 수단을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다각 프리즘(polygonal prism) 형상의 외관을 갖는 스크린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축된 스크린 장치에 다양한 각도로부터 프로젝터에 의해 화상을 투사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의 스크린 장치와 동양으로, 입체감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고, 종래의 평면적인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의 표시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10)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격자(格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광확산 수단을 이와 같이 배치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를 예를 들어 스크린 장치를 둘러싸듯이 사방에 설치하고, 스크린 장치의 사방의 면에 대하여 화상을 투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평면적인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원통형의 스크린 장치나 다각 프리즘의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의 표시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11) 본 발명의 화상 표시 방법은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스크린 장치에 상기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화상 표시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2) ~ (10)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인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 하는 스크린 장치로서,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크린 장치와 복수의 프로젝터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1)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2) ~ (10)에 기재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인 특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나 물건의 존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상기 화상 표시 시스템에 사용하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광확산 수단으로서의 막(101, 101,ㆍㆍㆍ)과,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이 도 1에 있어서 x축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갖고 대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장치(110)를 갖는 스크린 장치(100)와, 스크린 장치(10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고, 막 101,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 화상을 표시하는 적어도 1대의(실시 형태 1에서는 2대로 함) 프로젝터 PJ1, PJ2를 갖고 있다.
막(101, 101,ㆍㆍㆍ)은 광을 투과하는 성질(광투과성이라 함)과 광을 확산하는 성질(광확산성이라 함)을 갖고, 또 얇은 부드러운 포재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또, 막(101, 101,ㆍㆍㆍ)은 광확산률에 비해, 보다 큰 광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고, 또 얇고 부드러우며, 또 광확산률에 비해 보다 큰 광투과율을 갖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포재로서는, 예를 들어 7 데니어 이하의 초극세사를 사용한 초극박 섬유가 존재 한다. 또한, 7 데니어 이하의 초극세사를 사용한 초극박 섬유로서는 슈퍼 오간자(super organza)로 불리는 초극박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지지 장치(110)는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2개의 프레임(111,112)과, 이들 프레임(111,112)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막(101, 101,ㆍㆍㆍ)을 매다는 복수의 매달기용(hanging) 부재(113, 113,ㆍㆍㆍ)를 갖고 있다. 또한, 지지 장치(110)는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을 설치하는 장소 등에 의해 다양한 구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막(101, 101,ㆍㆍㆍ)은 매달기용 부재(113, 113,ㆍㆍㆍ)로부터 커튼과 같이 매달려 있는 것일 뿐, 적어도 상하 방향(도시 z축 방향)으로의 텐션(tension)은 걸려져 있지 않다. 또한,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는 횡 방향(도 1에 있어서 y축 방향)에 커다란 「주름(wrinkle)」 등이 생기지 않도록 매달기용 부재(113, 113,ㆍㆍㆍ)로부터 매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크린 장치(100)는 막(101, 101,ㆍㆍㆍ)이 지지 장치(110)의 매달기용 부재(113, 113,ㆍㆍㆍ)로부터 커튼과 같이 매달려 있을 뿐, 또 부드럽고 얇은 포제(布製)이므로, 막과 막 사이에 사람이 들어오거나 물건을 놓을 수 있다.
또, 프로젝터 PJ1, PJ2 중 한 쪽의 프로젝터(프로젝터 PJ1로 함)는 전방 투사 모드로의 투사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프로젝터(프로젝터 PJ2로 함)는 후방 투사 모드에 의한 투사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해당 프로젝터 PJ2로부터는 프로젝터 PJ1이 투사하는 투사 화상의 경상이 투사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2대의 프로젝터 PJ1, PJ2는 동일한 정보를 투사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지만, 다른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모드의 설정이나, 어떠한 정보를 표시시키는가의 설정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관리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프로젝터 PJ1, PJ2의 광학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젝터 PJ1, PJ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11)과 렌즈 어레이(12)와 중첩 렌즈(13)를 갖는 광원 장치(10), 광원 장치(10)로부터의 광을 적색광과 다른 색광(色光)으로 분리하는 제1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21), 제1 다이크로익 미러(21)에서 분리된 다른 색광을 녹색광과 청색광으로 분리하는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 적색광을 변조하는 광변조 소자(액정 패널)(23R), 녹색광을 변조 하는 광변조 소자(액정 패널)(23G), 청색광을 변조하는 광변조 소자(액정 패널)(23b), 제1 다이크로익 미러(21)를 통과한 적색광을 광변조 소자(23R)에 유도하는 반사 미러(24), 제2 다이크로익 미러(22)를 통과한 청색광을 광변조 소자(23b)에 유도하는 릴레이 렌즈(relay lense)(25, 26) 및 반사 미러(27, 28), 광변조 소자(23R, 23G, 23b)로 변조된 광을 합성하는 크로스 다이크로익크 프리즘(29), 크로스 다이크로익크 프리즘(29)으로 합성된 화상광을 투사하는 입사 광학계(30)를 갖고 있다.
또한, 각 광변조 소자(23R, 23G, 23b)는 액정을 사용한 광변조 소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로 미러형의 광변조 소자를 사용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내는 스크린 장치(100)의 막(101, 101,ㆍㆍㆍ)과 프로젝터 PJ1, PJ2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3a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시도, 도 3b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크린 장치(100)는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이 대향하도록, 막(101, 101,ㆍㆍㆍ)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막면(101a)의 간격은 거의 같은 간격(예를 들어, 수십 센티미터 정도의 간격)으로, 또 각 막면(101a)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스크린 장치(100)에 2대의 프로젝터 PJ1, PJ2로 투사를 행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PJ1은 전방 투사 모드에 의한 투사를 행하고, 프로젝터 PJ2는 후방 투사 모드에 의한 투사를 행하고 있다. 도 4에 있어서, 프로젝터 PJ1로부터는 예를 들어 「A, B, Cㆍㆍㆍ」라고 하는 화상이 전방 투사 모드에 의해 투사되어 있고, 프로젝터 PJ2에서는 동일하게 「A, B, C,ㆍㆍㆍ」라고 하는 화상이 후방 투사 모드에 의해 투사되어 있다.
또, 이 때, 프로젝터 PJ1로부터 투사되는 화상과 프로젝터 PJ2로부터 투사되는 화상은 각 막면(101a)상에 있어서 각각의 표시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 PJ1측에서 본 경우,「A, B, Cㆍㆍㆍ」라고 하는 화상은 올바른 문자의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 막(101, 101,ㆍㆍㆍ)은 광투과성과 광확산성을 갖고, 또 광투과성이 광확산성에 비해 높기 때문에, 프로젝터 PJ1, PJ2로부터 투사된 화상은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을 투과하는 동시에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상에서 표시된다.
또한, 프로젝터 PJ1로부터 투사된 화상 및 프로젝터 PJ2로부터 투사된 화상은 각 프로젝터 PJ1, PJ2에 가까운 위치의 막일수록 명확하게 표시되고, 각 프로젝터 PJ1, PJ2로부터 먼 위치의 막일수록 표시의 명확도의 정도가 낮아지나, 막의 수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과 같이 5매 정도이면, 각 프로젝터 PJ1, PJ2로부터 각각 가장 먼 위치의 막에 표시되는 화상이어도 충분히 시인(視認) 가능한 정도의 명확도를 갖는다.
이와 같은 스크린 장치(100)를 사용하여 화상 표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 PJ1, PJ2로 스크린 장치(100)에 투사된 화상은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람이 스크린 장치(100)내(막과 막 사이)에 들어옴으로써, 예를 들어 프로젝터 PJ1로부터의 입사광을 차단하는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프로젝터 PJ2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후방 투사 모드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 있는 사람은 스크린 장치(1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볼 수 있다. 또,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가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스크린 장치(100)의 주위에 있는 사람도 스크린 장치(1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람이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프로젝터 PJ1, PJ2의 광원의 광이 사람 눈에 들어올 가능성도 있으나, 사람이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온 경우 입사광은 막(101, 101,ㆍㆍㆍ)을 통하여 사람에게 조사되므로, 프로젝터 PJ1, PJ2의 광원의 광이 직접 눈에 들어오는 경우에 비해, 눈에 미치는 영향은 큰 폭으로 감소한다.
또, 사람의 눈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 PJ1, PJ2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사람의 시선보다도 충분히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젝터 PJ1, PJ2를 도 5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 PJ1, PJ2의 광원의 광이 사람 눈에 직접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PJ1, PJ2를 도 5와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동양이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장치(100)내에 사람이 들어오거나, 물건을 둘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종의 이벤트 회장, 쇼 회장, 쇼 룸, 레스토랑 등에서 사람이나 물건과 영상을 조합한 다양한 연출을 행할 수 있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화상 표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복수의 막에 깊이를 갖는 상태로 표시되므로, 화염, 물 등의 자연현상의 동화상은 보다 질감이 높은 리얼한 것으로 된다. 또, 문자 정보 등의 표시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그 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젝터(도 6에서는 도시 않음)로부터 물결의 동화상을 스크린 장치(100)에 투사한 예이고, 도 6b는 프로젝터로부터 화염의 동화상을 스크린 장치(100)에 투사한 예이다. 도 6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물결이나 화염의 동화상이 복수의 막(101, 101,ㆍㆍㆍ)에 겹겹이 표시되므로, 깊이 있는 질감이 높은 리얼한 영상으로 된다.
또,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그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d과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레스토랑이나 찻집 등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고객(301)과 점원(302)이 대면하는 장소로서, 예를 들어 카운터(303)의 윗쪽에 복수의 막(101, 101,ㆍㆍㆍ)(도 7의 예에서는 막을 2매로 하고 있음)을 천장으로부터 매단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7은 2매의 막(101, 101)을 메뉴의 표시판으로서 사용한 예이고, 프로젝터(도 7에서는 도시 않음)에서는 메뉴의 품목 등을 나타내는 화상이 투사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한 경우, 막(101, 101)은 얇고 부드러운 포재로, 또 시 쓰루(see-through)의 정도가 높으므로, 고객(301)이나 점원(302)에 압박감을 주는 일 없이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막은 복수 매(도 7에서는 2매) 존재하므로, 막과 막 사이에 사람(도 7의 예에서는 점원(302))이 들어가 있어도, 점포내의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메뉴를 볼 수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고객(301)으로부터 보아 가장 먼 위치에 투사된 화상은 2매째의 막(101)을 투과한 화상이 벽(30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화상 표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각종의 이벤트 회장, 쇼 회장, 쇼 룸,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참신하고 시선을 끄는 화상 표시 시스템으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해당 화상 표시 시스템을 설치할 때에, 대대적인 공사 등은 불필요하고, 저가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동 등도 용이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고, 도 8a는 사시도, 도 8b는 화상 표시 시스템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동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장치(100)를 구성하는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 상하 방향(도 8에 있어서 z축 방향)의 슬릿 S를 적어도 하나 마련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는 상하 방향의 2개의 슬릿 S가 등 간격으로 마련된 예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슬릿 S는 막(101, 101,ㆍㆍㆍ)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마련되어 있는 예가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장치(100)를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으로, 사람은 막과 막 사이에 들어갈 수 있고, 또 그에 더하여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람이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도 8에 있어서 x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사람은 막(101, 101,ㆍㆍㆍ)에 마련된 슬릿 S의 존재에 의해 막(101, 101,ㆍㆍㆍ)을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사람은 스크린 장치(100)를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을 따라 빠져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람은 스크린 장치(100)를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빠져 나갈 수 있으므로,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인 사용 방법에 더하여, 예를 들어 공항, 역, 병원, 쇼핑몰 등의 대규모 건물내의 통로 등에 마련하여, 도로 안내의 표시나 다양한 정보를 표시키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공항의 건물내의 통로에 설치하고, 스크린 장치(100)를 안내 표시판으로서 사용하는 예이다.
스크린 장치(100)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하는 것에 의해, 통행인의 진행 방향 정면에 스크린 장치(100)가 존재하게 되므로, 통행인은 스크린 장치(100)의 막(101, 101,ㆍㆍㆍ)에 투사된 안내 표시를, 시선을 거의 움직이는 일 없이 눈으로 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통행인은 안내 표시를 간과하는 일 없이 자신의 행선지의 장소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 막(101, 101,ㆍㆍㆍ)은 얇고 부드러운 포재이고, 또 각각의 막(101, 101,ㆍㆍㆍ)에는 슬릿 S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통행의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 스크린 장치(100)는 복수 매의 막(101, 101,ㆍㆍㆍ)으로 구성되고, 모든 막(101, 101,ㆍㆍㆍ)에 안내 표시가 투사되어 있으므로, 자신 이외의 통행인이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가 있다고 해도, 안내 표시가 스크린 장치(100)내에 들어가 있는 통행인에 의해 전혀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고, 도 10a는 사시도, 도 10b는 화상 표시 시스템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 구성은 도 1과 동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장치(100)의 막(101, 101,ㆍㆍㆍ)이 실시 형태 1 및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스크린 장치(100)의 막(101, 101,ㆍㆍㆍ)에 비해 횡 방향(도 10에 있어서 y축 방향)의 폭이 좁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폭이 좁은 형상의 막(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이라 함)를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 및 투사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랜덤(random)하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도 10에 있어서 y축 방향)에 있어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의 매수와 간격이 랜덤하게 되어 있고, 또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도 10에 있어서 x축 방향)에 있어서도,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의 매수와 간격이 랜덤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덤하게 배치하는 경우, 프로젝터의 투사화상의 일부가 어떤 막에도 표시되지 않고 스크린 장치(100)를 빠져 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린 장치(100)의 한 쪽측으로부터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도 10에 있어서 x축 방향)을 따라 스크린 장치(100)를 보았을 때에, 스크린 장치(100)의 다른 쪽측을 내다볼 수 있는 커다란 간격이 되지 않도록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에 의해,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과 동양으 로, 사람은 스크린 장치(100)를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을 따라 빠져 나갈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이 랜덤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자유도가 높은 다양한 사용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은 프로젝터 PJ1, PJ2의 투사 방향으로 존재하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의 대향하는 각 막면(101a)이 평행하게 된 배치의 예가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어, 대향하는 어떤 막면(101a)간은 평행이거나, 대향하는 어떤 막면(101a)간은 다소의 각도를 갖고 있는 바와 같이 각 막면(101a)의 방향도 랜덤하게 된 배치이어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 4]
도 11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3b와 동양으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동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스크린 장치(100)에 사용되는 막으로서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막(101, 101,ㆍㆍㆍ)(도 3 참조),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슬릿 S가 마련된 막(101, 101,ㆍㆍㆍ)(도 8 참조), 실 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도 10 참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나, 도 11에서는 슬릿 S를 갖는 막(101, 101,ㆍㆍㆍ)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막(101, 101,ㆍㆍㆍ)이 복수의 루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또 해당 복수의 루프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루프는 원형이고, 각 원형은 중심을 공유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원형의 중심은 다소의 어긋남이 있어도 무방하다. 또, 루프는 완전한 원일 필요는 없고, 다소 비뚤어진 원이어도 되고, 또 원이 아니라 타원이어도 무방하다.
막(101, 101,ㆍㆍㆍ)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되는 것에 의해,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는 중심축을 공유하는 3개의 원통 형상의 스크린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 된다. 또한, 이들 3개의 원통 형상의 스크린을 중심측으로부터 제1 원통 스크린(SCR11), 제2 원통 스크린(SCR12), 제3 원통 스크린(SCR13)으로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제1 원통 스크린(SCR11)은 2매의 막(101, 101,ㆍㆍㆍ)으로 구성되고, 제2 원통 스크린(SCR12)은 3매의 막(101, 101,ㆍㆍㆍ)으로 구성되고, 제3 원통 스크린(SCR13)은 4매의 막(101, 101,ㆍㆍ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 제3 원통 스크린(SCR11 ~ SCR13)을 구성하는 막의 수는 도 11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장치(100) 전체의 규모 등에 의해서 적절히 변 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원통형을 이루는 제1 ~ 제3 원통 스크린(SCR11 ~ SCR13)은 각각 원통형의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은 필수 요건은 아니며, 다소의 어긋남이 있어도 무방하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3대의 프로젝터 PJ1, PJ2, PJ3가 원통 형상의 스크린 장치(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는 슬릿 S를 갖는 막(101, 101,ㆍㆍㆍ)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사람은 원통 형상의 스크린 장치(100)를 각 프로젝터 PJ1, PJ2, PJ3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빠져 나갈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크린 장치(100)에 다양한 각도로부터 프로젝터 PJ1, PJ2, PJ3에 의해서 화상을 투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입체감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고, 실시 형태 1 ~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과는 다른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항 등과 같은 대규모 건물의 센터 홀 등에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설치하고, 프로젝터 PJ1, PJ2, PJ3로부터 다종의 다양한 안내 표시의 화상을 투사하는 사용 방법도 가능하다. 또, 이벤트 회장이나 쇼 룸 등에 있어서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지금까지는 없었던 참신한 연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변형예로서, 루프를 다각형으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즉,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막(101, 101,ㆍㆍㆍ)이 복수의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또 해당 복수의 다각형이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3b와 동양으로 화상 표시 시스템을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지지 장치(110)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동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는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중심을 공유하는 3개의 다각형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는 3개의 다각 프리즘 형상의 스크린에 의해서 구성된 것으로 된다. 또한, 이들 3개의 다각 프리즘 형상의 스크린을 중심측으로부터 제1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1), 제2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2),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3)으로 부르기로 한다.
또, 제1 ~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1 ~ SCR23)을 구성하는 막으로서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막(101, 101,ㆍㆍㆍ)(도 3 참조),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슬릿 S가 마련된 막(101, 101,ㆍㆍㆍ)(도 8 참조),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스크린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한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도 10 참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도 12에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도 10 참조)을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2a는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제1 ~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1 ~ SCR23) 모두에 있어서,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의 폭 방향의 길이(도 10에 있어서 y축 방향의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다각형이 형성된 예이다.
또, 도 12b는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제1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1)에 있어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의 1매분의 폭 방향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다각형이 형성되고, 제2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2)에 있어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의 2매분의 폭 방향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다각형이 형성되고,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3)에 있어서는 작은 책자 형상의 막(101)의 3매분의 폭 방향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다각형이 형성된 예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다각형으로서 6각형을 예시하였으나, 6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 12에 있어서는 각 다각형은 중심을 공유하는 배치로 되어 있으나, 각 다각형의 중심은 다소의 어긋남이 있어도 무방하다. 또, 제1 ~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SCR21 ~ SCR23)을 구성하는 막의 수는 도 12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장치(100) 전체의 규모 등에 의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스크린 장치(100)를 도 1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 3대의 프로젝터 PJ1, PJ2, PJ3가 스크린 장치(1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 장치(100)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도 11에 나타낸 스크린 장치와 동양으로, 입체감 있는 화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는 스크린 장치(100)를 둘러싸도록 3대의 프로젝터 PJ1, PJ2, PJ3를 배치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보다 많은 프로젝터를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 실시 형태 1 ~ 3과 동양으로, 2대의 프로젝터 PJ1, PJ2가 스크린 장치(10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 5]
실시 형태 5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은 막(101, 101,ㆍㆍㆍ)을 격자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5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 3b와 동양으로 스크린 장치(100)를 윗쪽에서 본 평면도이고, 지지 장치(110)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동양으로 생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 장치(10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101, 101,ㆍㆍㆍ)을 격자 형상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 장치(100)에 대하여, 4 방향으로부터 화상의 투사가 가능하게 되도록 4대의 프로젝터 PJ1 ~ PJ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수나 프로젝터의 설치의 방법은 스크린 장치의 규모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실시 형태 5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의하면, 스크린 장치(100)에 대해, 4 방향으로부터 화상의 투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스크린 장치(100)의 4면 각각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평면적인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의 표시 방법이 가능하게 되고, 또 원통형의 스크린 장치나 다각 프리즘의 스크린 장치와는 다른 화상의 표시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 (1) ~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변형 실시 가능으로 되는 것이다.
(1)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 장치(100)의 한 쪽측 및 다른 쪽측의 각각에 2대 이상의 프로젝터를 설치하도록 하고, 스크린 장치(100)의 막(101, 101,ㆍㆍㆍ)의 각 막면(101a)에 2대 이상의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늘어놓아 표시하는 타이 링 투사를 행하거나, 2대 이상의 프로젝터로부터의 화상을 중합하여 1개의 화상을 표시하는 스태킹(stacking) 투사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예에 있어서는 프로젝터 PJ1 측 및 PJ2측 각각에 프로젝터를 2대씩 설치하고, 각각의 측에 있어서 2대씩의 프로젝터에 의해 타일링(tiling) 투사나 스태킹 투사를 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2) 막의 배치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배치예가 고려된다. 도 14a는 일반적인 등의 높이를 갖는 성인의 머리 높이 정도로 복수의 막(101, 101,ㆍㆍㆍ)을 천장으로부터 매단 예, 도 14b는 일반적인 등의 높이를 갖는 성인의 머리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에 복수의(막(101, 101,ㆍㆍㆍ))을 천장으로부터 매단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3)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막(101, 101,ㆍㆍㆍ)은 각 막면(101a)이 평행한 상태로 대향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평행일 필요는 없고, 소정의 각도를 갖는 상태로 대향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각 막면(101a)의 간격도 일정할 필요는 없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스크린 장치(100)를 구성하는 막의 수는 화상 표시 시스템의 설치 장소나 용도에 의해서 적절한 매수의 설정이 가능이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프로젝터 PJ1, PJ2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스크린 장치(100)에 2대의 프로젝터 PJ1, PJ2로 투사를 행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사람의 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경우 프로젝터 PJ1, PJ2의 설치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그 1)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그 2)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변형예로서 스크린 장치를 다각 프리즘 형상으로 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 형태 5에 관한 화상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시스템의 다른 사용예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00ㆍㆍㆍ스크린 장치,
101ㆍㆍㆍ막,
101aㆍㆍㆍ막면,
110ㆍㆍㆍ지지 장치,
Sㆍㆍㆍ슬릿,
PJ1, PJ2, PJ3ㆍㆍㆍ프로젝터,
SCR11 ~ SCR13ㆍㆍㆍ제 1 ~ 제3 원통 스크린,
SCR21 ~ SCR23ㆍㆍㆍ제 1 ~ 제3 다각 프리즘 스크린

Claims (12)

  1. 프로젝터(projector)와,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장치를 갖고,
    상기 스크린 장치는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의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장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화상을 투사하도록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사이에 두고 한 쪽측과 다른 쪽측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다른 쪽측에 설치하는 프로젝터는 상기 한 쪽측의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의 경상(鏡像)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외력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요동 가능한 포재(布材)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프로젝터의 투사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광확산 수단의 광투과 면과 광확산 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루프(loop)를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또 상기 복수의 루프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루프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 수단은 상기 스크린 장치를 윗쪽에서 보았을 때, 격자(格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시스템.
  11.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방법으로서,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스크린 장치에 상기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방법.
  12.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장치로서,
    광을 투과하는 광투과성과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성을 갖는 복수의 광확산 수단을 갖고, 상기 복수의 광확산 수단 중 제1의 광확산 수단에서 투과한 투사 화상을 제2의 광확산 수단으로 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080024888A 2007-03-26 2008-03-18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 KR100944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8438 2007-03-26
JPJP-P-2007-00078438 2007-03-26
JPJP-P-2007-00324326 2007-12-17
JP2007324326A JP5233269B2 (ja) 2007-03-26 2007-12-17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76A KR20080087676A (ko) 2008-10-01
KR100944309B1 true KR100944309B1 (ko) 2010-02-24

Family

ID=3999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888A KR100944309B1 (ko) 2007-03-26 2008-03-18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5151430B2 (ko)
KR (1) KR100944309B1 (ko)
CN (1) CN101276136B (ko)
TW (1) TWI3854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091B2 (ja) 2008-04-23 2011-1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
US8231225B2 (en) * 2008-08-08 2012-07-31 Disney Enterprises, Inc. High dynamic range scenographic image projection
JP2011128604A (ja) * 2009-11-18 2011-06-30 Nippon Hoso Kyokai <Nhk>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JP6717488B2 (ja) * 2015-06-26 2020-07-01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投影システム、投影方法、パターン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34046A1 (ja) * 2016-08-17 2018-02-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49578A (ja) * 2017-09-07 2019-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9946916B (zh) * 2019-04-25 2020-11-10 合肥工业大学 一种基于多层透明散射屏的投影光场显示装置和显示方法
JP7405478B1 (ja) 2023-09-05 2023-12-26 株式会社ラッキースター 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845A1 (en) 1990-08-08 1992-02-20 Trutan Pty Limited Multiple angle projection for 3-d imagery
JPH11218844A (ja)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06098971A (ja) 2004-09-30 2006-04-13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527A (en) * 1969-02-06 1972-08-08 Maria Marinelli Pirelli Composite screen for luminous projections with a three dimensional effect
US5329323A (en) * 1992-03-25 1994-07-12 Kevin Bile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3-dimensional images
JPH09152659A (ja) * 1995-11-30 1997-06-10 Victor Co Of Japan Ltd ビーズを用いたスクリーン
JPH1039418A (ja) * 1996-07-19 1998-02-13 Kimoto & Co Ltd 反射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07944B2 (ja) * 1998-12-21 2005-10-1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プロジェクション型映像投影装置
JP4074731B2 (ja) * 1999-07-28 2008-04-09 株式会社クボタ ウオータスクリーン装置
TWI232993B (en) * 2003-04-24 2005-05-21 Delta Electronics Inc Projection optics apparatus and thereof display devic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US7234817B2 (en) * 2003-07-17 2007-06-26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 crystal projection system
JP4826700B2 (ja) * 2004-02-18 2011-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WO2005091903A2 (en) * 2004-03-10 2005-10-06 Draper, Inc. Lock for frame
TWI243960B (en) * 2004-06-25 2005-11-21 Ind Tech Res Inst The autostereoscopic projection screen
JP3935905B2 (ja) * 2004-09-30 2007-06-27 上島 豊 映像投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02845A1 (en) 1990-08-08 1992-02-20 Trutan Pty Limited Multiple angle projection for 3-d imagery
JPH11218844A (ja) 1998-02-02 1999-08-10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06098971A (ja) 2004-09-30 2006-04-13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3269B2 (ja) 2013-07-10
JP2008268859A (ja) 2008-11-06
CN101276136A (zh) 2008-10-01
TW200842484A (en) 2008-11-01
KR20080087676A (ko) 2008-10-01
JP2008268858A (ja) 2008-11-06
JP5151430B2 (ja) 2013-02-27
CN101276136B (zh) 2010-10-20
TWI385466B (zh) 201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309B1 (ko)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및 스크린 장치
EP1975697B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and screen device
CN101162361B (zh) 屏幕和投影系统
KR100695247B1 (ko) 배면 투과형 스크린
KR101693082B1 (ko) 가상현실 무 안경 입체 관측장치
US7974005B2 (en) Display screen for use in front projectors
CN102325242A (zh) 多图像投影装置
WO2016009588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6135378A (ja) 三次元映像表示装置
CN108475005B (zh) 用于显示真实环境的三维图像和视频的设备
JP2008003172A (ja) 反射型立体表示スクリーン、反射型立体表示システム
JP3327269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9109867A (ja) 映像投写装置
JP201018159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スクリーン装置
JP2000187276A (ja) プロジェクション型映像投影装置
CN103676449A (zh) 基于反射式散射屏幕的非扫描式裸眼三维显示装置
CN211524212U (zh) 一种多维空间技术展示装置
KR100499920B1 (ko) 좌,우 정화면 영상 시스템(左,右 正畵面 映像 system)
RU178441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объё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в трёхмер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с реальными объектами
JP4587191B2 (ja) 頭部搭載型表示装置
KR100443765B1 (ko) 입체영상전시장치
KR200294425Y1 (ko) 입체영상전시장치
KR200164080Y1 (ko) 입체영상전시장치
JP2016118671A (ja) 画像投射スクリーン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164631Y1 (ko) 입체 투시물 투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