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247B1 - 배면 투과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배면 투과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247B1
KR100695247B1 KR1020027011914A KR20027011914A KR100695247B1 KR 100695247 B1 KR100695247 B1 KR 100695247B1 KR 1020027011914 A KR1020027011914 A KR 1020027011914A KR 20027011914 A KR20027011914 A KR 20027011914A KR 100695247 B1 KR100695247 B1 KR 10069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ransparent plate
wide
transmissive scre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868A (ko
Inventor
다나카고지
구로다가즈미
와카바야시요시오
후쿠다다츠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리사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8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Golf Club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진열창의 유리와 같은 투명판(3)의 관찰측(A)이 되는 전면에 전방 투명 시트(2f)를 점착재로 부착하고, 투명판(3)의 영상 투사측(B)이 되는 후면에 전방 투명 시트(2f)에 대향하여 광각 광확산(2r)을 점착재로 부착하여 배면 투과형 스크린이 구성된다. 전방 투명 시트(2f)는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를 갖는 동시에,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상측(또는 하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는 차광막(5)이 형성되고,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다른 쪽의 측면(7)은 광투과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밝은 빛 하에서도, 관찰측에서 스크린의 표면에 반사상의 비침이 없고, 고 검은 레벨의 고정밀 색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대화면의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배면 투과형 스크린{BACK FACE TRANSMISSION SCREEN}
본 발명은 데이터 프로젝터(예를 들면, 액정 프로젝터)나 비디오 프로젝터 등의 영상 투사 장치로부터의 투사 영상을 배면으로부터 받아서, 그 반대측의 전면의 관측측에서 투사 영상을 재현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진열창이나 유리창의 내측면에 프로젝터의 투사 영상을 비추어 내기 위한 투과형 스크린의 방식으로서, 광 확산판, 광 간섭 홀로그램 시트, 액정 셔터 등의 어느 하나를 유리 판면에 직접 부착하고, 그것들의 면을 향해서 내측으로부터 프로젝터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 투명 유리나 투명 아크릴 수지판으로 홀로그램 시트를 끼움으로써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고, 이 스크린을 향해서 프로젝터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 등이 알려져 있고, 이들은 안내, 광고, 영상 정보 등의 재현용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실용화되어 있다. 한편, 반투명 스크린의 영상을 투사하고 있으면서, 투사기가 있는 내측이 비쳐서 보일 수 있는 스크린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어느 투사 스크린도 태양광과 같은 밝은 빛 하에서는 관찰측에서 유리 면에 비치는 반사상이나 외부광의 강도에 대항할 수 없고, 관찰측에서 보는 투사 영상은 콘트라스트가 약한 색조를 가진 선명하지 않은 영상이 되어 버린다.
또, 홀로그램형의 투과 스크린은 프로젝터의 투사 각도에 35°전후의 엄격한 제약이 있고, 사용 프로젝터는 투사 영상의 사다리꼴 왜곡(trapezoidal distortion) 보정이 대폭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한정되고, 또한 관찰측에서는 시야각이 수직 방향 각도로 20°, 수평 방향 각도로 30°를 넘으면 영상에 색조 분산이 생겨서 영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는 결점과 함께, 대화면(大畵面)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 대화면 영상 표시 장치로서는, 종래 LED 램프들을 표시영역에 걸쳐 배치시킨 구성의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대화면 영상 표시 장치는 매우 고가로 설치 공사에 시간이 걸리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밝은 빛 하에서도, 관찰측에서 스크린의 표면에 반사상의 비침이 없고, 고 검은 레벨(black level)의 고정밀 색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대화면의 스크린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신규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을 얻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의 한 실시 형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전방 투명 시트의 사시도,
도 4는 광각 광확산 시트의 사시도,
도 5는 경사 위쪽으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에 관한 전방 투명 시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경사 아래쪽으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에 관한 전방 투명 시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외광에 관한 전방 투명 시트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곡면형상 배면 투과형 스크린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화상 투영기의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화상 투영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1의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를 각각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1의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변형예의 입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 즉, 투명판과, 이 투명판의 관찰자측이 되는 전면(前面)에 부착된 전방 투명 시트와, 상기 투명판의 영상 투사측이 되는 후면(後面)에 전방 투명 시트에 대향하여 부착된 광각(廣角) 광확산(光擴散) 시트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투명 시트는 그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ridges)를 갖는 동시에,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는 차광막이 형성되어 있고,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다른 쪽의 측면은 광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투명판은 건조물의 창문의 투명판이어도 좋고, 공중에 위치시키는 움직일 수 있는 투명판이어도 좋다. 그리고, 이 투명판의 외측이 관찰측이 되고, 내측이 영상 투사측이 된다.
상부 투명 시트 및 광각 광확산 시트는 어느 것이나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이들 시트의 상기 투명판측의 면을 점착면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 즉 관측측이 되는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를 갖는 동시에,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 차광막이 형성되고, 또한 관측측이 되는 후면이 평활을 이루는 전방 투명 시트와, 이 전방 투명 시트의 상기 평활한 후면에 직접 부착된 광각 광확산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에 의해서도 해결할 수 있다.
전방 투명 시트 및 광각 광확산 시트는 어느 것이나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하고, 배면 투과형 스크린을 전체로서 롤형상으로 감을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전방 투명 시트 및 광각 광확산 시트에는 일정한 평면 형상을 부여하고, 임의 위치에 이동, 설치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배면 투과형 스크린(2)은 건조물의 창문, 예를 들면 진열창의 유리와 같은 투명판(3)(그 일부만을 도시한다)과, 이 투명판(3)의 관찰측(A)이 되는 전면에 부착된 전방 투명 시트(2f)와, 상기 투명판(3)의 영상 투사측(B)이 되는 후면에 전방 투명 시트(2f)에 대향하여 부착된 광각 광확산 시트(2r)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 투사측(B)에는 데이터 프로젝터, 비디오 프로젝터 등의 영상 투사 장치(P)가 설치되고,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향해서 영상을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영상은 관찰측(A)에서 관찰된다.
전방 투명 시트(2f)는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특히 도 3에 가장 좋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이 미소 돌기(4)를 갖고 있고,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상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는 차광막(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상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은 수평면이어도 좋고, 또는 도시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약간 하강하는 경사면이어도 좋다. 경사 차광막(5)은 흑색막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다른 쪽의 측면, 즉 하측을 향하는 측면(7)은 경사가 비교적 급한 하향 경사면이 되어 있고, 광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접하는 미소 돌기(4)의 피치는 0.3㎜ 정도이다. 전방 투명 시트(2f)를 우레탄계 수지로 형성한 경우, 실험에 의하면, 태양광에 3년간 노출시켜도 약간 누렇게 변하는 정도로 형상 변화 등이 없고, 내후성(耐候性)이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전방 투명 시트(2f)는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고, 둥글게 롤형상으로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방 투명 시트(2f)의 후면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고, 그것에 점착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투명 시트(2f)를 투명판(3)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점착재를 덮도록 박리 시트(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리 시트(9)를 벗김으로써 노출한 점착재를 투명판(3)의 전면에 부착함으로써, 전방 투명 시트(2f)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판(3)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염화비닐 시트와 같은 가요성 수지의 주체(base) 필름을 갖고, 이 주체 필름의 표면에 화학 처리에 의해 형성된 거친 면(11)을 갖는 표면층이 점착되고, 또 주체 필름의 배면에는 점착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착재를 덮도록 광각 광확산 시트(2r)의 배면에 박리 시트(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리 시트(12)를 벗김으로써 노출하는 점작재로,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투명판(3)의 후면에 부착함으로써,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판(3)의 후면에 장착된다. 후방 시트(2r)도 롤형상으로 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시야각(視野角)이 예를 들면 170°정도이고, 핫 스폿(hot spot) 등의 발생이 없는 것으로 한다.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모두 박리 시트(9, 12)에서 미리 피복한 상태로 준비된다. 점착재의 층까지 포함한 후방 시 트(2r)의 두께는 예를 들면 120㎛ 정도이다. 또한,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미세한 세로(수직) 방향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를 갖는 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는 경사 상부에 설치한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에 관한 전방 투명 시트의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 프로젝터(P)는 예를 들면 천장에 장착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은 수평에 대해서 경사 하향으로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입사한 후, 투명판(3)을 투과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루어 경사 하향으로 전방 투명 시트(2f)에 입사한다.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은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영상을 형성한다. 이 영상광은 도 5에 화살표 r4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투명 시트(2f) 내를 진행하고, 화살표 r4, r5, r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투명 시트(2f)로부터 전방의 관측측(A)에 출사한다.
도 7은 전방 투명 시트(2f)의 후면(14)이 반사면이라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외광에 관한 전방 투명 시트(2f)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관측측(A)으로부터 들어오는 외광 중,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하측면(7)에 입사하는 외광(R1)은 R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면(14)에서 반사하고, 차광막(5)의 내면에 흡수된다. 한편, 차광막(5)의 외면에 입사하는 외광(R3, R4)은 거기에서 흡수된다. 또, 다른 외광(R5)은 하측면(7)에서 반사하고, R6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위의 차광막(5)에 흡수된다. 외광(R5) 중 전방 투명 시트(2f)에 들어간 것은, R7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면(14)에서 전부 반사하고, R8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막(5)의 내면에 흡수된다. 이상 외에, 반사면(14)을 투과하고 그 배후의 면에서 반사하는 외광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광의 표면 반사는 매우 적은 것이 된다. 이와 같이, 삼각형 단면 돌기(4)는 관측측(A)의 상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속을 효과적으로 차폐하는 동시에, 관측측(A)에서 다양한 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속에 의한 표면 반사를 광범위에 걸쳐서 차폐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것에 의해, 하측면(7)을 투과하여 관측측(A)으로 출사하는 영상광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의 검은 레벨이 향상하여, 콘트라스트가 좋은 영상을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 투명 시트(2f)는 영상의 질의 향상에 관여하고, 한편,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시야각이 크기 때문에 시야각이 큰 영상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는 도 5에 도시하는 전방 투명 시트(2f)의 구성을 상하 역으로 한 것으로,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하측을 향하는 측면에 차광막(5)이 형성되어 있고, 영상광이 투과하는 다른 쪽의 측면(7)은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P)는 예를 들면 바닥 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은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입사한다. 이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은 수평에 대해서 경사 상향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입사한 후, 투명판(3)을 투과하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해서 각도(θ)를 이루고 경사 상향으로 전방 투명 시트(2f)에 입사한다.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이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영상을 형성하는 점은 도 5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영상광은 도 6 에 화살표 r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투명 시트(2f) 내를 진행하고, 화살표 r7, r8, r9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투명 시트(2f)로부터 전방의 관측측(A)으로 출사한다. 또한, 광각 광확산 시트(2r)의 구성 및 작용은 도 5의 실시 형태에서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모두 박리 시트(9, 12)로 피복된 점착재층을 각각 배면 및 전면에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의 모든 박리 시트(9, 12)를 벗겨서 건조물의 창문 유리 등의 투명판(3)의 내외면에 점착재층에 의해서 손쉽고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매우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연결하여 면적을 넓히도록 하면, 대화면 투사 스크린의 구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로부터의 박리 시트(9, 12)의 박리 후, 이들 시트의 면에 롤러를 걸어서 공기층(거품)을 제거하고, 창문 유리 등의 투명판(3)의 내외면에 물이나 활성제를 분무하고,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대향하는 위치에 있도록 투명판(3)의 내외면에 부착한다. 점착재가 수분을 포함하고 있을 때에는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미끄러지게 하면서 부착할 수 있고, 이들 시트(2f, 2r)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연결 부분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일시적인 이벤트나 쇼를 할 때에, 기존에 설치한 유리나 창이나 칸막이 유리의 양면에 부착하여 간이 스크 린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이벤트나 쇼의 종료시에는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투명판으로부터 벗김으로써, 앞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원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영상 투사 스크린의 구축 및 철거를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임의의 형상의 투명판(3)에 부착할 수 있다. 도 8은 그 일례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투명판(3)은 평면 형상이 원호형상의 곡면 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 곡면 판에 다수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부착하여 대화면을 형성하고, 이 대화면에 다수의 프로젝터(P)로부터 영상 영사광을 투사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창문의 내외면에 부착함으로써, 만일 유리가 파손되어도 그 비산(飛散)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배면 투과형 스크린(2)으로의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 입사가 휴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스크린에 아무 것도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적막해진다. 이 적막한 상태를 없게 하기 위해서, 프로젝터(P)와는 별도로 화상 투영기를 설치할 수 있다. 그 일례를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 16은 화상 투영기(15)의 LED 램프와 같은 광원이고, 광원(16)으로부터 그 배후의 반사경(17)에서 반사한 광은 화상 필름(18)을 투과하고, 렌즈(19)를 거쳐서 배면 투과형 스크린(2)의 배후에 입사한다. 이것에 의해, 배면 투과형 스크린(2)의 전면에 화상 필름(18)의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하는 화상의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회사명, 제품명 등의 광고가 있다. 이 경우의 화상은 정지 화상이지만, 영상 필름을 아주 빠르게 회전시켜서 화상을 바꿀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화상 투영기(15)가 천장 등에 지지한 프로젝터(P)와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프로젝터(P)로부터의 영상 투사광과 동일 방향으로 영상을 투사한다. 그리고, 프로젝터(P)가 휴지한 경우에, 그것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화상 투영기(15)가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P) 외에 화상 투영기(15)를 설치함으로써, 통상의 영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 배면 투과형 스크린(2)에 광고나 상야등(常夜燈)의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도 2 등에 도시하였을 때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에서는 투명판(3)을 끼워서 그 관찰측(A)이 되는 전면에 전방 투명 시트(2f)가 부착되고, 영상 투사측(B)이 되는 후면에 광각 광확산 시트(2r)가 부착되어 있지만,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에서는 중간의 투명판이 생략되고, 관찰측(A)의 전방 투명 시트(2f)와, 영상 투사측(B)의 광각 광확산 시트(2r)가 상호 직접 부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전방 투명 시트(2f)의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면하는 측이 중간의 투명판을 구성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전방 투명 시트(2f) 및 광각 광확산 시트(2r)의 구성은 앞에 설명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앞에 설명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과 동일하게 가요성 시트이고, 그 기부에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제의 유도( 誘導) 시트(21)가 접속되어 있고, 이 유도 시트(21)를 포함하여 배면 투과형 스크린(2A) 전체가 롤형상으로 감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유도 시트(21)의 기부는 권취 축(23)에 감을 수 있게 장착되어 있고, 권취 축(23)에는 유도 시트(21)를 감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권취 스프링(22)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꺼낸 상태에서는, 그것을 구속하지 않는 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권취 스프링(22)의 힘으로 권취 축(23)에 감겨지게 된다.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자유 단에는 추축 봉(24)이 장착되어 있다. 추축 봉(24)의 중량과 권취 스프링(22)의 힘이 합해지면,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감겨지지 않는다. 또는, 추축 봉(24)을 지정 위치에서 고정해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권취 축(23)을 천장 등에 지지하고 있고, 사용시에 추축 봉(24)을 권취 스프링(22)의 힘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꺼낸다. 그것에 의해,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주체부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이루고 아래쪽으로 늘어진다. 이 때, 추축 봉(24)의 중량에 의해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다. 영상 투사시에는 당연한 것으로서 전방 투명 시트(2f)측이 관찰측(A)이 되고, 영상 투사측(B)에 설치한 프로젝터로부터 광각 광확산 시트(2r)에 영상광이 투사된다.
이 형태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위쪽에 수평 상태로 설치한 권취 축(2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꺼내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수직) 방향의 권취 축(23A)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꺼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꺼낸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평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권취 축(23A)에 계속해서 수평 방향으로 직선형상 스크린 가이드(30)를 설치하고,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스크린 가이드(30)를 따라서 꺼내도록 한다. 한편,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 축(23A)에 계속해서 수평 방향으로 곡선형상 스크린 가이드(31)를 설치하고,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스크린 가이드(31)를 따라서 곡면형상을 이루고 꺼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단면 구성을 갖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권취 축(23, 23A)에 감아 두고 사용시에 꺼내도록 하는 대신에, 도 15에 도시하는 가요성의 사각형 시트형상으로 미리 형성해 두고, 와이어, 체인 등의 매달기 수단(40)으로 매달 수도 있다.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사각형 시트형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상변 및 하변을 따라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가장자리 부재(41, 42)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달기 수단(40)의 하단은 상측의 가장자리 부재(41)에 접속된다. 가장자리 부재(42)는 도 12에 도시하는 추축 봉(24)과 동일하게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가요성이 없는 자기 유지성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을 매다는 다른 수단을 도시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상측의 좌우의 각부에 매달기 수단(40)을 건 걸기고정 부재(44)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이 걸기고정 부재(44)는 예를 들면 삼각형상을 이루는 부재로, 매달기 수단(40)을 건 구멍(45)을 갖고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가요성이 없는 자기 유지성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도 12에 도시한 것과 동일 단면 구성을 갖는 동시에 사각형상을 이루고, 그 4변은 사각형상의 프레임(46)에 의해서 유지되고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해도 좋고, 또 가요성이 없는 자기 유지성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프레임(46)에 의해서 유지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지지체(47)에 거의 수직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47)는 한 쌍의 기부(48)와 그곳으로부터 상승한 한 쌍의 다리(49)로 이루어지고,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프레임(46)은 한 쌍의 다리(49)에 상하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다리(49)는 수평을 이루는 연결재(5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변형예의 어느 것에서도, 그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광학적 작용, 효과는 도 11 및 도 12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광학적 작용, 효과와 완전히 동일하다.
도 18 및 도 19는 도 11 및 도 12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2A)과 완전히 동일한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의 다른 장착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의 형태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도 1, 도 2 등에 도시한 진열창의 유리와 같은 투명판(3)의 영상 투사측(B)의 면에 장착된다.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게 수평 방향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와, 미소 돌기(4)의 한쪽의 측면에 설치한 차광막(5)과, 미소 돌기(4)의 다른 쪽의 측면에 설 치한 광투과 가능한 측면(7)과,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의 측과 반대측의 면에 형성한 광각 광확산 시트(2r)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2A)은 그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4)측을 투명판(3)의 영상 투사측(B)의 면을 향해서, 즉 진열창의 유리와 같은 투명판(3)의 내측의 면을 향해서 장착된다.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의 투명판(3)의 내측면으로의 장착에는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지만, 도시의 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60)가 이용되고 있다. 테이프(60)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의 4개의 변을 따라서 투명판(3)의 내측의 면에 부착된다. 테이프(60)는 간이 접합 수단으로서 적합하고,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을 투명판(3)으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간단히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의 4변으로부터 벗겨내는 것만으로 좋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의 광학적 작용,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A)은 진열창 유리와 같은 투명판(3)의 내측에 있기 때문에, 투명판(3)에 의해서 외부의 악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배면 투과형 스크린에 의하면, 밝은 빛 하에서도 관찰측에서 스크린의 표면에 반사상의 비침이 없고, 고 검은 레벨의 고정밀 색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대화면의 스크린을 저렴한 값으로 단시간에 구축할 수 있다.

Claims (7)

  1. 영상 투사측이 되는 후면과, 관찰측이 되는 전면을 갖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의 전면에 부착된 전방 투명 시트와,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부착된 광각 광확산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투명 시트는 그의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ridges)를 갖는 동시에,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는 차광막이 코팅되어 있고, 다른 쪽의 측면은 광투과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 투명 시트의 전체 면이 상기 투명판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광각 광확산 시트의 전체 면이 상기 투명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 시트 및 상기 광각 광확산 시트가 모두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 시트의 상기 투명판측의 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이 건조물의 창문의 투명판이고, 이 투명판의 외측이 관찰측이며, 내측이 영상 투사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이 매달기 수단으로 공중에 매달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투명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5. 관측측이 되는 전면에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를 갖는 동시에, 각 삼각형 단면의 미소 돌기의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한쪽의 측면에 차광막이 형성되고, 또한 관측측이 되는 후면이 평활을 이루는 전방 투명 시트와, 이 전방 투명 시트의 상기 평활한 후면에 직접 부착된 광각 광확산 시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 시트 및 상기 광각 광확산 시트가, 모두 가요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그 전체를 롤형상으로 감을 수 있게 구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투명 시트 및 상기 광각 광확산 시트가 일정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임의 위치에 이동,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과형 스크린.
KR1020027011914A 2001-01-11 2002-01-11 배면 투과형 스크린 KR100695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7690 2001-01-11
JP2001037690 2001-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868A KR20020082868A (ko) 2002-10-31
KR100695247B1 true KR100695247B1 (ko) 2007-03-14

Family

ID=1890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914A KR100695247B1 (ko) 2001-01-11 2002-01-11 배면 투과형 스크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44558B2 (ko)
EP (1) EP1288708B1 (ko)
JP (1) JPWO2002056112A1 (ko)
KR (1) KR100695247B1 (ko)
CN (1) CN1308770C (ko)
AT (1) ATE301299T1 (ko)
DE (1) DE60205312T2 (ko)
WO (1) WO20020561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16Y1 (ko) 2008-07-16 2010-08-12 최해용 반사각을 조정할 수 있는 롤-업 반사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282B2 (en) * 2001-02-14 2005-01-11 Arisawa Mfg. Co., Ltd. Reflection projection screen
US6870670B2 (en) * 2001-04-06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U2002368252A1 (en) * 2002-10-07 2004-04-23 Dnp Denmark A/S Rear projection screen adapted for a free-space application
KR100753340B1 (ko) * 2002-10-21 2007-08-30 최해용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JP2005010545A (ja) * 2003-06-20 2005-01-13 Hitachi Ltd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背面投写型映像表示装置
BE1015771A3 (nl) 2003-11-06 2005-08-02 Kantoorinrichting Stulens N V Doorzichtscherm.
CN100590509C (zh) * 2003-12-24 2010-02-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二维图像显示装置
JP4238757B2 (ja) 2004-03-19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100693325B1 (ko) * 2004-09-04 2007-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후면 투사 스크린
KR100693330B1 (ko) * 2004-09-04 2007-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후면 투사 스크린
KR100693326B1 (ko) * 2004-09-04 2007-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후면 투사 스크린
JP4676190B2 (ja) * 2004-11-25 2011-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透過型スクリーン
US7583437B2 (en) * 2005-12-08 2009-09-01 Real D Projection screen with virtual compound curvature
ES2323616B1 (es) * 2007-02-05 2010-04-07 Javier Ortiz Jimenez Sistema de representacion de imagenes.
JP5221193B2 (ja) * 2008-04-17 2013-06-2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配光制御パネルおよび移動体搭載用表示装置
EP2270556A1 (en) * 2008-04-17 2011-01-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Light distribution control panel, display device mounted on mobile object, light distribution control sheet, optical component,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DE102010020072A1 (de) * 2010-05-10 2011-11-10 Karina Jos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rstellung einzelner Objekte eines Gesamtbildes auf einer transparenten Projektionsfläche
JP2011253130A (ja) * 2010-06-04 2011-12-15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TW201202837A (en) 2010-07-09 2012-01-16 Coretronic Corp Projection scre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22987A (ko) * 2011-08-26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용 스크린 및 그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CN103309136B (zh) * 2013-07-09 2015-09-02 三亚全息数字技术应用有限公司 展示装置
JP6279880B2 (ja) * 2013-10-31 2018-02-14 池上通信機株式会社 側壁反射低減構造、該構造を有する中空体および該中空体を用いた光伝送環境構築装置
KR20150054572A (ko) * 2013-11-12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터용 스크린
JP2016001211A (ja) * 2014-06-11 2016-0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6469531A (zh) * 2015-08-20 2017-03-01 嘉兴市全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橱窗展示系统
JP6852414B2 (ja) * 2017-01-23 2021-03-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DE102017211507A1 (de) * 2017-07-06 2019-01-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i-Reflexionsanordnung für eine Frontscheiben-Anzeigeeinrichtung sowie Frontscheiben-Anzeigeeinrichtung
CN107340682A (zh) * 2017-08-29 2017-11-10 成都菲斯特科技有限公司 正投影透光投影屏幕及投影系统
CN107329359B (zh) * 2017-08-29 2023-06-23 成都菲斯特科技有限公司 背投影透光投影屏幕及投影系统
CN109884855A (zh) * 2017-12-05 2019-06-14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抗光屏幕及其制造方法
TWI686661B (zh) * 2018-04-20 2020-03-01 億立材料有限公司 可多角度投影成像之投影幕
DE102018213820A1 (de) * 2018-08-16 2020-02-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lickfeld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9634048B (zh) * 2019-02-01 2021-06-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于双面投影的投影屏幕及投影系统
CN113671696B (zh) 2020-05-15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显示系统
JP7070613B2 (ja) * 2020-07-08 2022-05-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9567A (en) * 1986-03-04 1988-04-26 Cardin Robert L Display window aperture advertising medium
JPH087376B2 (ja) 1986-03-31 1996-01-29 日照技研株式会社 投映用スクリーン
JPH03194531A (ja) 1989-12-25 1991-08-26 Mitsubishi Kasei Corp 投射型表示用スクリーン
JPH04287033A (ja) 1991-03-15 1992-10-12 Seiko Epson Corp 背面投射型表示装置
US5337179A (en) * 1992-07-27 1994-08-09 Hodges Marvin P Flexible controllable optical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390790B2 (ja) * 1993-08-31 2003-03-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H0933856A (ja) * 1995-07-24 1997-02-07 Denso Corp 表示装置
JP2889153B2 (ja) 1995-08-08 1999-05-10 日照技研株式会社 投映用スクリーン
JPH11338056A (ja) * 1998-05-22 1999-12-10 Nissho Giken Kk 映像表示装置
JP2000206620A (ja) * 1999-01-11 2000-07-28 Nissho Giken Kk 投映用スクリ―ン
DE60034283T2 (de) * 1999-08-26 2007-08-30 KURARAY CO., LTD, Kurashiki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wölbten Folie für Durchlicht-Projektionsschir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816Y1 (ko) 2008-07-16 2010-08-12 최해용 반사각을 조정할 수 있는 롤-업 반사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868A (ko) 2002-10-31
DE60205312D1 (de) 2005-09-08
EP1288708A1 (en) 2003-03-05
CN1308770C (zh) 2007-04-04
EP1288708A4 (en) 2003-05-21
ATE301299T1 (de) 2005-08-15
DE60205312T2 (de) 2006-05-24
WO2002056112A1 (en) 2002-07-18
JPWO2002056112A1 (ja) 2004-08-12
US6744558B2 (en) 2004-06-01
EP1288708B1 (en) 2005-08-03
US20030107803A1 (en) 2003-06-12
CN1457453A (zh)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247B1 (ko) 배면 투과형 스크린
JP4047172B2 (ja) 反射型投射スクリーン
JP2930219B2 (ja) ステージの背景で動く映像を表示する装置
US6522311B1 (en) Image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and hologram display apparatus
US3622223A (en) Projection screens
US7522339B2 (en) High contrast projection systen
US6574041B1 (en)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method
US20050237610A1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fresnel lens sheet and rear-projection display device
JP3474818B2 (ja) ホ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装置
JP2888297B2 (ja) プロジェクタ
JP2003043588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4004476A (ja) 両面視認型プロジェクタ投映用スクリーン
KR100693330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US5179399A (en) Theatre in the round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693326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WO2006028334A1 (en) Rear projection screen
CN211454223U (zh) 光栅式抗光投影膜
JP3357171B2 (ja) マルチ映像装置用スクリーン
CN211454219U (zh) 抗光背投式硬幕
KR100693325B1 (ko) 후면 투사 스크린
JP2000039672A (ja) ホログラム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4294496A (ja) 投影システム
KR200408439Y1 (ko) 영상표시 스크린장치
JPH04321017A (ja) 反射型スクリーン装置
JP2000056256A (ja) 凹面鏡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