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690B1 -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690B1
KR100942690B1 KR1020087000518A KR20087000518A KR100942690B1 KR 100942690 B1 KR100942690 B1 KR 100942690B1 KR 1020087000518 A KR1020087000518 A KR 1020087000518A KR 20087000518 A KR20087000518 A KR 20087000518A KR 100942690 B1 KR100942690 B1 KR 10094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box
slip
side pla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248A (ko
Inventor
유이치로 하야시
테츠야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후 플라스틱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 B65D7/2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with all parts hing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9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semidetachable components, i.e. with some side walls hinged to each other or to a base panel and the other side walls being detachable to allow collaps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35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displaceable mould parts, e.g. retractable partition between adjacent moul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4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arton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양손으로 상자의 육면체의 어느 변 부분을 손으로 파지하여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하게 들 수 있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로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4장의 측판(1)의 인접하는 측단부 들을 측판 연결 힌지부(2)에서 접혀질 수 있게 연결한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과, 복수의 측판(1)의 하변으로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해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4)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구성한 바닥판 구성부(6)과, 복수의 측판(1)의 상변에 덮개 연결 힌지부(10)을 통해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15)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구성한 덮개 구성부(7)를 구비한다. 육면체의 변을 통해서 직각으로 인접하는 면의 한쪽 또는 양쪽 면의 변 근처에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을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FOLDING BOX MADE OF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전후좌우의 각 측면의 인접하는 측단부 들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고, 또한,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 되고 또한 다른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둔각으로 되도록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서 평편하게 접혀지도록 구성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가 일본국 특허 공개 평 8-169436호 공보(특허 문헌1)에 의해 알려져 있다. 상기 형태의 접이식 상자는 접은 상태에서 전후좌우의 각 측면의 내면이 겹치도록 접혀지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좁은 스페이스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접혀짐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 되고, 또한, 다른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둔각으로 되도록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져서 평편하게 접음으로써, 간단하게 접을 수 있다. 상자 형상으로 하기위해서는 상기한 반대 수순으로 대향하는 모서리부가 단지 직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상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접이식 상자는 접힘 또는 조립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골판지의 접이식 상자는 강도가 약하여 찢어지기 쉽다. 또한, 쉽게 더럽혀지고, 더럽혀지면 더러운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통상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는 골판지의 접이식 상자는 1회만 사용하고, 버리는 사용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자원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를 재사용한다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강도가 약하고, 쉽게 더렵혀지고, 일단 더럽혀지면, 더러운 부분을 제거하기 어려우며, 세정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최대 3 ~ 5 회 밖에 재사용할 수 없다. 골판지제 접이식 상자는 통상적으로 하면(下面)의 대향하는 한쌍의 변(edge)을 양손으로 잡아서 전체를 안도록 하여 들지만,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의 외면은 미끄러워서 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파지 법으로 파지한 경우, 예를 들면, 한쪽 손으로 하면의 한 변 부분을 붙잡고, 다른 쪽 손으로 상자의 대각선상에 있는 상면의 한 변 부분을 붙잡고서 들어올리는 잡는 방법을 취한 경우에는 골판지제 상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더욱더 미끄러지기 쉬워서 들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의 상하를 거꾸로 하거나, 전후좌우를 거꾸로 하여 양손으로 붙잡거나 혹은 육면체의 모서리를 양손으로 들거나 하는 여러 가지 자세로 드는 경우가 있으나, 어느 경우에도 손이 미끄러워서 잡기 어렵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한편,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로 끈을 매는 경우에도 끈이 미끄러워서 끈이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단단한 결속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끈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결속하여 끈을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에 박히도록 하면 좋으나, 이렇게 하면,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에 상처를 입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럴지라도,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평편하게 접어서 옆으로 뉘 인 상태로 상하에 여러 장을 쌓은 상태로 보관하거나 반송하거나 한다. 그러나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접혀진 상태에서 외단부에 비해 중앙부가 약간 접힘 높이가 높게 접혀지기 때문에 접혀진 형상이 안정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상하로 쌓여진 상태에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위의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가 한쪽의 측단부 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적재되면, 적재가 안정하지 않다. 한편, 골판지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접혀진 상태로 다수 단 쌓여진 경우에도 넘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하로 다수 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반송하는 경우에도 상단의 접이식 상자가 하단의 접이식 상자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쉬워서 넘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접이식 및 상자 형상으로의 조립이 가능하여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의 호환성이 있는 접이식 상자로서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가 일본국 특허공개 평 제 8-282648호 공보(특허문헌 2)에 의해 제안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전체가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힌지부는 경질 합성수지의 얇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나타낸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종래의 골판지제 접이식 상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면서,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더럽혀져도 쉽게 닦아낼 수 있으며, 세정이 가능하고, 몇 번이고 재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통상 하단의 대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양손으로 붙잡고 전체를 들어올리는데, 이 손으로 붙잡는 부분이 경질 합성수지이기 때문에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보다도 미끄러지기 쉬워서 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이외의 드는 방법으로 드는 경우에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한층 더 미끄러지기 쉽게 된다. 또한, 이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상하를 거꾸로 하거나 전후좌우를 거꾸로 하거나 하여 손으로 붙잡거나, 혹은 육면체의 모서리를 손으로 붙잡아서 들어올리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 자세로 드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어떠한 자세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손이 미끄러지기 쉬워서 들기 어렵다는 점에 대해서는 변화가 없다. 더욱이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에 끈을 묶는 경우에도 합성수지제이기 때문에 끈이 미끄러지기 쉬우며, 끈이 위치를 벗어나거나, 단단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도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평편하도록 접혀지기 때문에 접혀진 형상이 안정되지 않고, 반송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평편하도록 접혀서 옆으로 넘어뜨린 상태에서 상하로 다수 단으로 쌓아서 보관하거나, 반송하거나 하면, 안정한 적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특히, 상하단의 접이식 상자는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한 측판 들 접촉하게 되어서, 상하로 적재되기 때문에, 골판지제의 경우보다도 더욱더 미끄러지기 쉽고, 다수 단 쌓여진 경우, 보다 한층 더 넘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도 상자 형상으로 조립되어서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하로 다수 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하거나, 반송하지만,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상기와 같이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보다도 더욱 미끄러 지기 쉬워서 상단의 접이식 상자가 하단의 접이식 상자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에 넘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나타낸 종래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전체를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한 1 개의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형의 접이식 상자의 경우, 금형이 대형화하여 코스트가 상승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1장의 바닥면을 이루는 패널의 4 변에 힌지 요소를 통하여 각각 측면을 이루는 패널을 연속하여 연장하고, 또한, 측면으로 되는 패널에 힌지 요소를 통하여 덮개면을 이루는 패널을 연속하여 연장된 합성수지제의 조립상자도 일본국 특허 제3547763호 공보(특허 문헌 3)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3의 조립 상자는 제 1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제 1의 사출성형금형에 의해 복수의 힌지 요소를 네트(net)로서 일체로 성형하고, 이 네트를 제 2의 사출성형 금형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제 2의 사출성형 금형 내에 제 2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상자의 각 면을 성형하고, 네트의 각 편(片)의 양 측부를 제 2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상자의 각 면으로 되는 패널의 단부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조립 상자는 네트에 제공될 볼록 형상 돌출부의 돌출 선단이 제 2 플라스틱 재료로 되는 상자의 각 면으로 되는 패널의 단부의 외면에 점 형상으로 약간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된 부분에 의해 부가적인 마찰이 생겨서 상자가 서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 3에 나타낸 것은 상자의 육면체의 면을 구성하는 패널 외면으로 미끄럼 방지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말할 수 있을지라도, 패널의 단부 의 두께로 매립한 네트로부터 돌출된 볼록 형상 돌출부의 선단이 점 형상으로 노출하여 미끄럼 방지부로 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부로 되는 부분의 노출 면적이 극히 미세하다는 것에 불과하고, 미끄럼 방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육면체로 된 상자를 손으로 붙들어서 드는 경우, 집는 위치가 여러 가지로 다를 뿐만 아니라, 드는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의 크기, 길이 손가락을 걸 때의 손이나 손가락의 구부러진 상태 등에 의해 손이나 손가락이 닿는 위치가 각각 다르고, 이로 인해, 점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에 손이나 손가락이 확실하게 걸친다고는 말할 수 없다. 또한, 잘해서 손이나 손가락이 점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에 닿았다고 하여도, 점 형상이므로 손이나 손가락의 극히 일부에만 마찰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자를 손으로 붙잡아 드는 경우의 충분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얻어질 수 없다.
여기서, 특허 문헌 3에 있어서, 볼록 형상의 돌출부의 면적을 크게 하여, 패널의 외면에 노출하는 볼록 돌출부의 선단의 노출부분의 면적을 크게 하여 손이나 손가락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여 마찰에 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의 조립상자는 네트의 각 편(piece)의 양 측부를 제 2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상자의 각 면으로 되는 패널의 단부의 내부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볼록 형상 돌출부의 면적을 크게 하면, 제 2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는 때에는 제 2 플라스틱 재료의 흐름을 저해하고, 볼록 형상 돌출부의 사출 점과 반대 측으로 제 2 플라스틱 재료가 돌아 들어가기가 어려워서 이 부분으로의 제 2 플라스틱 재료의 충진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정확하 게 인서트 성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볼록 형상 돌출부의 면적을 크게 하여 돌출 선단의 미끄럼 방지부로 되는 부분의 면적을 크게 한다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자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의 충분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조립상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자를 분해한 상태에서 네트를 통하여 접속한 복수의 패널이 평면 형상으로 연속하도록 전개되는 것으로서, 상자를 콤팩트하게 접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평면형상으로 분해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반송하는 때의 평면적이 크게 되고,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조립이나 분해에 있어서도 번잡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상기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평면 형상으로 분해하는 것이므로, 패널의 각 내면이 외부에 노출되고, 패널 내면이 더럽혀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재사용에 있어서, 상자의 내면이 더럽혀지기 때문에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있어서는 복수의 힌지 요소를 일체 성형한 네트를 별개의 사출성형금형으로 상자의 면을 형성하는 때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으로 얻어진 조립 상자이므로, 사출성형금형으로서 네트를 성형하기 위해 제 1의 사출성형금형과 인서트 성형하기 위한 제 2의 사출성형금형, 2 종류의 사출성형금형이 필요하고, 네트를 제2의 사출성형 금형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되는 위치 결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고, 성형에도 시간이 걸리며, 또한, 성형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육면체의 모든 변(edge)의 근방에 손이나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부를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고, 양손으로 상자의 육면체의 어느 변 부분을 손으로 파지하여도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파지하여 안정하게 들 수 있고, 끈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끈으로 묶을 수 있고, 또한, 강도가 강하고, 오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세정이 가능하며, 몇 번이라도 재사용 가능하며, 평편하게 접은 상태나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로 상하에 다단을 적재하여도 간단한 구성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의 호환성이 있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전후좌우의 각 측면을 구성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4장의 측판(1)의 인접하는 측단부 들을 측판 연결 힌지부(2)에서 접을 수 있게 연결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고, 또한 접음에 있어서,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 되고, 또한, 다른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둔각으로 되도록 대략 평행 사변형상으로 접혀서 평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와, 복수의 측판(1)의 하변에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4)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자의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 구성부(6)와, 복수의 측판(1)의 상변에 덮개 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해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16)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자의 상면의 덮개로 되는 덮개 구성부(7)를 구비한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상자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로서, 상기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힌지부의 양단부가 각각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외면에 한 면 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중첩 일체화되고, 상기 각 힌지부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한 연질 합성수지를 육면체의 상자로 조립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변을 통하여 직각으로 인접하는 한쪽 또는 양쪽 면의 이 변 근처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서 미끄럼 방지부(13)로 하고, 이 미끄럼 방지부를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도록 접을 수 있는 동시에 같은 상자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고,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호환성이 있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가 제공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호환성이 있으면서 합성수지제이므로 강도가 강하고, 오염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세정이 가능하고, 몇 번이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각 측판(1)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오염되지 않고, 재사용할 때에 내부의 수납물이 오염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육면체의 변을 통하여 직각으로 인접하는 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면의 이 변 근처에 바깥쪽으로 노출된다.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하고, 이 미끄럼 방지부(13)를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접이식 상자(A)의 어느 변을 손으로 파지해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확실하고 안정하게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각 힌지부의 양 단부가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외면에 면과 일치하거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중첩 일체화되고, 이 2 색 성형으로 외면에 중첩 일체화한 연질 합성수지를 미끄럼 방지부(13)로 하기 때문에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있어서 면 접촉에 의한 마찰에 의해 손이나 손가락의 미끄럼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비교적 넓은 면적을 파지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손이나 손가락의 크기나 길이가 다른 사람이 양손으로 상자의 육면체의 어느 변을 손으로 파지해도, 또한, 파지할 때의 손이나 손가락의 구부러짐 정도가 달라도 확실하게 미끄럼 방지부(13)에 손이나 손가락이 면 접촉하여 미끄럼이 방지되고, 확실하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끈을 묶는 경우, 끈이 미끄러지기 쉽지만, 육면체의 모든 변 근처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의 미끄럼 방지부(13)에 끈이 선 접촉하여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고, 끈을 묶어서 결속한 위치가 벗어나지 않는다. 또한, 합성수지제이면서, 반송이나 보관에 있어서,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로 다단으로 쌓아도 평편하게 접혀진 상하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 들의 겹치는 부분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존재함으로써, 미끄럼이 방지되고, 그 결과,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로 상하로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무너지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로 다소 기울어져 적재되거나 혹은 방향이 바뀌어 적재되어도 미끄럼 방지부(13)에 의해 확실하게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어서 안정하게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미끄럼 방지부(13)가 상면이나 하면에 위치되도록 한 경우에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된 때의 미끄럼이 방지되어서 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측판(1) 들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측판(1)과 바닥편(4)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 연결 힌지부(5), 측판(1)과 덮개편(15)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각각 미끄럼 방지부(13)로서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략화할 수 있다. 더욱이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과,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덮개편 연결 힌지부(10)가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기 때문에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과, 미끄럼 방지부(13)를 겸용한다.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덮개편 연결 힌지부(10)가 강하게 일체화하여 미끄럼 방지부(13)가 측판(1)이나 바닥편(4)이나 덮개편(15)으로부터 벗겨져서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경질 합성수지의 얇은 힌지에 비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는 반복하여 사용하여도 잘 파손되지 않고, 수명이 길다.
또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13)가 변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파지할 때에 이 한 쌍의 변의 길이 방향의 어느 부분에 손을 걸쳐서 붙잡아도 띠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13) 부분의 어느 부분에 손을 면 접촉상태로 되도록 누르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어떠한 파지 방법을 하여도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들 수 있다. 또한, 끈을 묶는 경우에도 변의 길이 방향의 어느 위치에 끈을 묶어도 끈이 미끄럼 방지부(13)부분에 걸치게 되어서 끈이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더욱이 띠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13)가 변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기 때문에 평편하게 접혀지거나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 다단으로 쌓여진 경우에도 다소 옆으로 벗어나서 적재되어도 확실하게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변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의 변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폭을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파지하는 때에 무엇보다도 일반적으로 손을 걸쳐서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의 미끄럼 방지부(13)가 보다 넓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손을 미끄럼 방지부(13)에 면 접촉상태에서 누르는 면적이 커져서 확실하게 미끄럼 방지부(13)에 손을 걸쳐서 붙잡을 수 있다. 더욱이, 연질 합성수지는 고가이지만, 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미끄럼 방지부(13)를 폭을 넓게 하는 경우에 비해 고가인 연질 합성수지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이 이루어진다.
또한, 육면체의 코너부분의 외면으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육면체의 코너 부분의 외면으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함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면체의 코너부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손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4장의 측판(1)의 각 외면의 4변의 근처에 각각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4장의 측판(1)의 4변의 어는 부분에 손을 걸쳐도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붙잡을 수 있다.
또한, 측판(1)의 외면의 4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함과 동시에 측판(1)의 외면의 코너부에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하여서 코너부의 미끄럼 방지부(13)를 통하여 인접하는 변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13)를 일체로 연속하여 측판(1)의 외면의 바깥둘레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口 자 형상으로 된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4장의 측판(1)의 4변 및 각 코너 부분의 어느 부분에 손을 걸쳐도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붙잡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4 변을 따라 각 미끄럼 방지부(13)가 코너부분에서 일체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부(13)의 벗겨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상자 반체(12 : box half body)를 연결하여 접이식 상자(A)를 형성하고, 상기 상자 반체(12)가 경질 합성수지과 연질 합성수지의 2 색 성형(2 색 성형법 혹은 2 색 성형기에 의한 이소재(異索材)성형법이라 칭한다)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에 의해 일 측단 들을 일체로 연속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2 개의 측판(1)과, 상기 1 또는 2 개의 측판(1)의 하변으로부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일체로 연속되는 바닥편(4)과, 상기 1 또는 2 개의 측판(1)의 상변으로부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하여 일체로 연속되는 덮개편(15)을 구비하고, 한쪽의 상자 반체(12)의 2 개의 측판(1)의 다른 측단부로 다른쪽의 상자 반체(12)의 2 개의 측판(1)의 다른 측단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4 개의 측판(1)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구성하고, 2 개의 상자 반체(12)로 제공된 바닥편(4)에 의해 바닥판 구성부(6)를 구성하고, 2 개의 상자 반체(12)에 제공된 덮개편(15)에 의해 덮개 구성부(7)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힌지부를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한 상자 반체(12)를 2 개 조합하여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제작비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상태를 상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를 아래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X-X 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Y-Y선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8A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접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아래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슬라이드 결합수단으로 중첩편과 바닥편을 연결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슬라이드 결합수단으로 중첩편과 바닥편을 연결한 부분의 일부를 절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로 다단으로 쌓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자 반체의 성형 상태를 전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자 반체의 성형 상태를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접이식 상자를 손으로 잡는 일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접이식 상자를 손으로 잡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합성수지제의 상자 반체를 2 색 성형하기 위한 사출성형금형 장치의 금형 닫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에 1차 사출성형에 의해 연질 합성수지를 충진하여 주체부 및 록 부재를 성형한 상태의 사출성형금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를 형성한 단계의 사출성형금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에 2차 사출성형에 의해 연질 합성수지를 충진하여 힌지부 및 띠 부재를 성형한 단계의 사출성형금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복수의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 바닥판 구성 부(6). 덮개 구성부(7)에 의해 주체가 구성되어 있다.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좌우의 각 측면을 구성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4장의 측판(1)의 인접하는 측단부 들을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에서 접혀질 수 있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된다(즉, 사각통 형상으로 된다). 또한, 이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 되고 또한 다른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둔각으로 되도록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어서 도 5,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상으로 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정방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전후좌우의 각 측면을 구성하는 4장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의 하변에 도 2,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일체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4)을 접혀질 수 있게 연결하여 있다. 이 4장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4)에 의해 합성수지제의 바닥판구성부(6)가 구성된다. 각 바닥편(4)은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질 때에 측판(1)의 내면 측에 가깝도록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접힘의 최종단계에서 도 8A, 도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1)의 내면으로 중첩되도록 접혀진다.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는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지는 때에 예각으로 되도록 접혀지는 쪽의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의 양측의 2 개의 측판(1)(1a, 1b)중 한쪽의 측판(1a)(길이방향에 따른 측판)의 단부(상기 모서리부 측단부)의 내면에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로 되는 돌출편을 이 측판(1a)에 대하여 직각으로 이 측판(1)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직립하여 제공된다.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 : overlapping margin absorbing projection)는 4 장의 측판(1)이 대략 평행사변형 접혀지고, 또한 각 바닥편(4)이 각 측판(1)의 내면으로 중첩하는 접은 상태에서의 중첩하는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고도 방향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측판(1a)의 상단부와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의상단부와 이루는 코너 부분이 코너 연결부(30)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코너 연결부(30)의 상면은 후술하는 덮개편(15)을 닫은 상태에서 덮개편(15)의 일부를 적재하기 위한 지지부로 되어 있다. 이 코너 연결부(3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의 선단에 이르게 되어 있다.
또한, 다른쪽의 측판(1b)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멈춤구(35 : fastening tool)가 체결되도록 피멈춤구(36 : fastened part)가 제공된다.
상기 한쪽의 측판(1a)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된 바닥편(4)(이하, 바닥편(4a)라 칭한다)의 일 측부에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때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양 측판(1a, 1b)의 하변에 대하여 각각 예각(본 실시형태에서는 45°)로 경사진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사 힌지부(9)를 통하여 중첩편(11 : overlapping piece)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 도 l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첩편(11)은 다른쪽의 측판(1b)의 하변으로부터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연속하여 연장된 바닥편(4)[이하, 바닥편(4b)라 칭한다]에 중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결합 수단(17)에 의해 바닥편(4)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지는 때에는 둔각으로 되도록 접혀지는 쪽의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바닥편(4) 들은 연결되지 않고, 상호 프리(free)한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복수의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1)의 상변에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15)을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상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때에 상자의 상면인 덮개로 되는 덮개 구성부(7)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판(1a)의 상단 모서리에 이 상단 모서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윗 덮개편(15a)을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하여 접혀질 수 있게 연속하여 연장하고, 다른 한 쌍의 측판(1b)의 상단 모서리에 상단 모서리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아래 덮개편(15b)을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하여 접혀질 수 있게 연속하여 연장하여 있다.
한 쌍의 덮개편(15a)의 선단 모서리의 편측 반체는 상면이 아래로 계단형상 으로 되어 있는 재치용 돌출편(33 : placing projected piece)에 제공된다. 한 쌍의 덮개편(15a)은 한쪽의 덮개편(15a)에 제공된 재치용 홈부(32 : placing recess)가 다른쪽의 덮개편(15a)에 제공된 재치용 돌출편(33)에 대향함과 동시에 한쪽의 덮개편(15a)에 제공된 재치용 돌출편(33)이 다른쪽의 덮개편(15a)에 제공된 재치용 홈부(32)에 대향하도록 위치 관계로 이루어져 있고, 한 쌍의 덮개편(15a)을 옆으로 넘어뜨려 상부 개구를 닫으면, 대향하는 각 덮개편(15a)의 재치용 홈부(32)에 각 재치용 돌출편(33)이 중첩 재치된다. 또한, 각 덮개편(15a)의 일 측부로부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띠 부재(34 : belt member)가 일체로 돌출하여 제공되고, 이 띠 부재(34)의 선단부에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멈춤구(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주체가 구성되는 접이식 상자(A)의 육면체의 모든 변(12 개의 변)의 근처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바깥쪽으로 노출하여 제공되고, 더욱이 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측판(1)과 측판(1), 측판(1)과 바닥편(4), 바닥편(4)과 중첩편(11), 측판(1)과 덮개편(15)을 각각 연결하고,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의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 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에 의해 구성한 점에 있다. 즉,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각 힌지부의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의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한 부분이 미끄럼 방지부(13)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손이나 손가락을 걸치는 경우에 손이나 손가락에 면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면적을 갖는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4 측면을 구성하는 4장의 측판(1)의 외면의 상하좌우의4 변 근처에 각 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띠 형상을 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된다. 또한, 각 측판(1)의 코너부의 외면에 바깥쪽으로 노출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하고, 코너부의 미끄럼 방지부(13)를 통하여 인접하는 변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13)를 일체로 연속되어서 측판(1)의 외면의 외주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口 자 형상을 한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각 측판(1)의 하변의 전체 길이 또는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띠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13)는 변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은 광폭 미끄럼 방지부(13a)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바닥편(4)의 외면(하면)의 측판(1)에 인접하는 측의 변 근처에 이 변을 따라 띠 형상의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고, 더욱이 각 덮개편(15)의 외면(상면)의 측판(1)에 인접하는 측의 변 근처로 이 변을 따라 띠 형상의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된다.
여기서,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각 외면으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를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제공되는 경우,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판(1), 덮개편(15)에 있어서는 각각 외면으로부터 미끄럼 방지부(13)는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미끄럼 방지 효과, 완충 효과가 보다 발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편(4)의 외면으로 노출한다. 미끄럼 방지부(13)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4)의 외면으로 형성된 단면으로 노출하는 바닥편(4)의 최 하단보다도 약간 위로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나, 바닥편(4)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가 바닥편(4)의 외면보다도 하방(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어도 좋다. 또한,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모든 또는 일부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부(13)를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외면과 같은 높이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구성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성형한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상자 반체(12)를 조합 결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자 반체(12)는 도 12, 도 13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측판(1a, 1b)의 측단부 들을 측판 연결 힌지부(2)(이하, 측판 연결 힌지부(2a)라 칭한다)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측판(1a)의 측판 연결 힌지부(2a)에서 연결하지 않은쪽의 측단에 내면 측으로 향하여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를 측판(1a)의 측단을 따라 돌출하여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의 상단과 측판(1a)의 상단과 이루는 코너 부분을 코너 연결부(30)에서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더욱이 다른쪽의 측판(1b)의 측판 연결 힌지부(2a)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쪽의 측단에는 별도의 측판 연결 힌지부(2)(이하, 측판 연결 힌지부(2b)라 칭한다)를 제공하고, 이 측판 연결 힌지부(2b)의 선단부에 접속부(18)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인접하는 한 쌍의 측판(1a, 1b)의 각 하변으로 부터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각각 바닥편(4a, 4b)을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한쪽의 바닥편(4a)의 인접하는 다른쪽의 바닥편(4b)과 반대 측의 측단에 바닥편 연결 힌지부(5)에 대하여 예각(본 실시형태에서는 45°)으로 경사진 경사 힌지부(9)를 통하여 중첩편(11)을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더욱이 측판(1)의 상변에 덮개편 연결 힌지부(10)를 통하여 덮개편(15)을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상자 반체(12)는 합성수지의 2 색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 코너 연결부(30), 멈춤부(35)는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피렌), PE(폴리에틸렌), HDP(고밀도 폴리에틸렌), PC(폴리카보네이트), PVC(염화비닐수지), ABS수지 등의 경질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또한, 측판 연결 힌지부(2a, 2b),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 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 또는 띠 형상부재(34)는 예를 들면, TPE(에라스토마), LDPE(저밀도에틸렌), EVA(에틸렌 초산 비닐코폴리머) 등의 연질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상자 반체(12)를 합성수지의 2 색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데 에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성형용 금형장치(40)를 이용하여 도 16 내지 도 19의 순서로 성형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장치(40)는 금형부(41)에 제공된 전진 후퇴 가능한 슬라이드 코어(42)와, 경질 합성수지(43)를 사출하기 위한 제 1의 게이트(44)와, 연질 합성수지(45)를 사출하기 위한 제 2의 게이트(46)를 구비한다.
금형부(41)는 고정 금형부(41a)와 가동 금형부(41b)로 이루어진다. 가동 금 형부(41b)의 고정 금형부(41a)와 대향하는 면에 홈부(49)가 제공되어서 이 홈부(49)에 슬라이드 코어(42)가 전진 후퇴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다(도 16에 있어서 화살표(α)가 전진방향이고, 화살표(β)가 후퇴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동 금형부(41b)는 고정 금형부(41a)에 대하여 횡방향(수평방향) 또는 상하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가동 금형부(41b)를 이동함으로써, 금형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42)는 가동 금형부(41b)에 대하여 가동 금형부(41b)의 가동방향과 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금형부(41a)와 가동 금형부(41b)를 금형 폐쇄와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42)를 전진시키면, 고정 금형부(41a)와 가동 금형부(41b)와 전진시킨 슬라이드 코어(42)로 둘러싸여진 공간이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로서 형성된다. 상기의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로서는 도 20과 같이 각각 독립한 2 개의 측판 성형용 캐비티부(47a, 47b)와, 2 개의 바닥편 성형용 캐비티부(47c, 47d)와, 2 개의 덮개편 성형용 캐비티부(47e, 47f)와, 1 개의 중첩 성형편용 캐비티부(47g)와, 1 개의 접속부 성형용 캐비티부(47h)와, 1 개의 록 부재(lock member) 성형용 캐비티부(47i)가 있고, 이들의 각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는 인접하는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 들가 힌지부로 되는 만큼의 넓이와 같은 거리가 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42)는 상기 거리가 떨어져서 형성된 인접하는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의 단부들 사이로 연장된다. 슬라이드 코어(42)의 전면의 중앙부가 고정 금형부(41a)의 상기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의 단부들 사이의 부위(41a1)에 대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42)의 전면의 양 측부가 각각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의 단부의 편측의 내면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는 고정 금형부(41a) 내지 가동 금형부(41b)의 대향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복수의 캐비티 형성용 홈부(48)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금형부(41a)에 복수의 캐비티 형성용 홈부(48)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금형부(41a)와 가동 금형부(41b)를 금형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42) 만을 후퇴시키면, 각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측판성형용 캐비티부(47a, 47b), 바닥편 성형용 캐비티부(47c, 47d), 덮개편 성형용 캐비티부(47e, 47f), 중첩편 성형용 캐비티부(47g), 접속부 성형용 캐비티부(47h), 록 부재 성형용 캐비티부(47i) 내에 각각 성형된 경질 합성수지 성형부[측판(1a, 1b), 바닥편(4a, 4b), 덮개편(15a, 15b), 접속부(18), 멈춤구(35)]의 외면의 단부가 각각 노출하여, 각 경질 합성수지 성형부의 노출된 면과 금형부(41)와 슬라이드 코어(42)에 의해 둘러싸여진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50)로 이루어지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의 게이트(44), 제 2의 게이트(46)는 각각 고정 금형부(41a)에 제공되고, 제 1의 게이트(44)는 각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 마다에 적어도 1 개 이상 제공되어 있다. 또한, 제 2의 게이트(46)는 고정 금형부(41a)의 상기 인접하는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 사이에 각각 제공되어 있다. 금형부(41)를 금형 폐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42)를 전진시키면, 슬라이드 코어(42)의 전단면이 제 2의 게이트(46)에 당접하여 폐쇄하고, 금형부(41)를 금형 폐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42)를 후퇴시켜서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50)를 형성하면, 제 2의 게이트(46)가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50)로 개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용 금형장치(40)를 이용하여서 상자 반체(12)를 성형하기에는 이하와 같이 행하는 것이다.
먼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금형부(41)를 금형 폐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코어(42)를 전진시켜서 복수의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복수의 1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47)에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게이트(44)로부터 경질 합성수지(43)를 1차 사출성형에 의해 사출하여 측판(1a, 1b), 바닥편(4a, 4b), 덮개편(15a, 15b), 중첩편(11), 접속부(18), 멈춤부(35)를 성형한다(1차 사출공정).
그 다음,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금형부(41)를 금형 폐쇄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어(42)를 후퇴시켜서 측판(1a, 1b), 바닥편(4a, 4b), 덮개편(15a, 15b), 중첩편(11), 접속부(18), 멈춤부(35)의 각 외면의 단부를 노출시키고, 인접하는 노출면과, 후퇴한 슬라이드 코어(42)와, 금형부(41)로 둘러싸여진 복수의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하여 형성한 2차 사출성형용 캐비티부(50)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게이트(46)로부터 연질 합성수지(45)를 2차 사출성형에 의해 사출하여, 측판 연결 힌지부(2a, 2b),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 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 띠 부재(34)를 성형함과 동시에 측판 연결 힌지부(2a)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a, 1b)의 인접하는 단부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하고, 측판 연결 힌지부(2b)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b)의 다른 단부 외면과 접속부(18)의 외면에 중첩 일체화하고, 각 바닥편 연결 힌지부(5)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의 단부 외면과 바닥편(4)의 단부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하고, 경사 힌지부(9)의 양 단부를 각각 바닥편(4)의 단부 외면과 중첩편(11)의 단부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하고, 각 덮개편 연결 힌지부(10)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의 단부 외면과 덮개편(15)의 단부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하고, 띠 부재(34)의 양 단부를 각각 덮개편(15a)의 단부외면과 멈춤구(35)의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한다(2차 사출 공정).
상기와 같이하여 2차 사출성형을 실행한 후, 사출성형용 금형장치(40)를 금형 개방하여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반체(12)를 추출하는 이형 공정을 실행한다.
이러한 사출성형용 금형장치(40)에 있어서 일련 금형 폐쇄로부터 1차 사출 공정, 2차 사출 공정, 이형 공정이라는 일련의 공정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이 경질 합성수지를 1차 사출 성형하여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 멈춤구(35)를 성형하고, 그 후, 동일 금형 내에서 연질 합성수지를 2차 사출 성형하여,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 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 띠 부재(34)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 멈춤구(35)의 외면 측으로 중첩 일체화함으로써, 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 띠 부재(34)의 양 단부를 각각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 멈춤구(35)의 외면 측으로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접이식 상자(A)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 즉, 육면체의 상자를 구성한 상태에서, 육면체의 각 면을 구성하는 각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의 외면의 측판(1)에 있어서는 4 변의 근처, 바닥편(4)에 있어서는 측판(1)에 인접하는 측의 변 근처, 덮개편(15)에 있어서는 측판(1)에 인접하는 측의 변 근처에 각각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덮개편 연결 힌지부(10)의 단부의 중첩 일체화 부분이 노출된다. 따라서 이 부분을 연질 합성수지 부분의 미끄럼 방지부(13)로서 겸용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3)를 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손이나 손가락을 거는 경우에 확실하게 면 접촉할 수 있는 크기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일 금형 내에서 경질 합성수지, 연질 합성수지를 사출하는 2 색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한 상자 반체(12)를 2 개를 사용하여, 한쪽의 상자 반체(12)의 한쪽의 측판(1a)의 측단에 제공된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로 다른쪽의 상자 반체(12)의 다른쪽의 측판(1b)의 측단에 제공된 접속부(18)를 중첩하는 연결수단(16)에 의해 연결하고, 동일하게 하여 다른쪽의 상자 반체(12)의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로 한쪽의 상자 반체(12)의 접속부(18)를 중첩하여 연결한다. 이에 의해, 2 개의 측판 연결 힌지부(2a)가 한 쌍의 대각부에 위치하고, 또한, 다 른 2 개의 측판 연결 힌지부(2b)가 다른 한 쌍의 대각부에 위치하며, 조립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고, 또한, 접을 시에는 측판 연결 힌지부(2b)가 예각으로 측판 연결 힌지부(2a)가 둔각으로 되는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되도록 접혀지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가 구성된다.
또한, 한쪽의 상자 반체(12)의 중첩편(11)과 다른쪽의 상자 반체(12)의 바닥편(4b)을 중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결합수단(17)에 의해 중첩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동일하게 다른쪽의 상자 반체(12)의 중첩편(11)과 한쪽의 상자 반체(12)의 바닥편(4b)을 중첩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결합수단(17)에 의해 중첩 상태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2 개의상자 반체(12)를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접이식 상자(A)를 구성한 경우,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진 때에 예각으로 되도록 접혀지는 쪽의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바닥편(4a, 4b) 들가 경사 힌지부(9), 중첩편(11)을 통하여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상자 반체(12)의 성형 시에 일체로 성형되는 바닥편(4) 들는 연결되지 않게 하고, 서로 프리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2 개의 상자 반체(12)를 상기와 같이 결합하여 접이식 상자(A)를 구성한 경우,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진 때에 둔각으로 되도록 접혀지는 쪽의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양 바닥편(4) 들을 연결하지 않은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4 장의 바닥편(4)이 각 측판(1)의 내면으로 중첩하도록 접혀질 수 있게 바닥판 구성부(6)가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2 개의 상자 반체(12)를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합하는 2 개의 상자 반체(12)는 동일 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공통의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조합하여 형성하기 위한 2 개의 상자 반체(12)가 동일 형상이 아닐지라도 좋고, 다른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한 다른 형상의 2 개의 상자 반체(12)를 조합하여 결합함으로써,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형성하여도 좋다.
접속부(18)는 연질 합성수지의 측판 연결 힌지부(2b)와 동일하게 연질 합성수지제일지라도 좋다. 혹은, 연질 합성수지의 측판 연결 힌지부(2b)의 선단부에 경질 합성수지의 접속부(18)를 제공하여도 좋다[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질 합성수지의 접속부(18)를 제공하고, 연질 합성수지의 측판 연결 힌지부(2b)의 선단의 연질부분 내면 또는 외면에 연질 합성수지제의 접속부(18)를 중첩 일체화하고 있다].
연결수단(16)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접착, 용착(welding), 혹은 계합(engagement)에 의한 연결, 고착 도구에 의한 연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계합에 의한 연결의 경우, 예를 들면,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에 계합부(16a : engaging part)를 제공함과 동시에 측판 연결 힌지부(2b)[접속부(18)]측에 피계합부(16b : engaged part)를 제공하고, 계합부(16a)를 피계합부(16b)에 계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중첩편(11)과 바닥편(4b)을 중첩 상태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한다. 슬라이드 결합수단(17)은 예를 들면,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편(11) 또는 바닥편(4b)의 한쪽으로 슬라이드 돌기(19)를 돌출되도록 제공하고, 다른쪽에 슬라이드 돌기(19)가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 돌기(19)에 의해서도 큰 슬라이드 구멍(20)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구멍(20)에 슬라이드 돌기(19)가 슬라이드 구멍(20)으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20a : slip-off preventing part)를 제공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접이식 상자(A)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도록 조립하면, 4 개의 바닥편(4a, 4b)이 중첩편(11)과 바닥편(4b)이 슬라이드가능하게 중첩 연결한 상태인 채 각 측판(1)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어서 사각통 형상의 바닥을 형성하고, 상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가 조립되어 진다.
이와 같은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접이식 상자(A) 내에 여러 가지의 수납물을 수납한 다음에 덮개편(15)을 넘어뜨려서 접이식 상자(A)의 상부 개구를 도 2와 같이 닫는다. 이 때, 접이식 상자(A)의 코너부분에 있어서는 윗 덮개편(15a)의 단부의 기부(base parts)가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의 상단과 측판(1a)의 상단으로 이루어지는 코너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코너 연결부(30)의 상면의 지지부에 놓인다.
그 후, 멈춤구(35)를 피멈춤구(36)에 체결한다. 띠 부재(34)가 연질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띠 부재(34)는 가요성이 있는 정도의 탄성(신축성)을 갖고 있고, 따라서, 띠 부재(34)를 구부려서 아래 방향으로 당겨 늘린 상태에서 멈춤구(35)를 피멈춤구(36)에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덮개편(15)측에 제공된 멈춤구(35)를 측판(1b)측에 제공된 피멈춤구(36)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이 띠 부재(34)의 탄성을 이용하여 늘려진 상태에서 잠겨 있기 때문에 체결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체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멈춤구(35)를 손으로 쥐고, 더욱 아래 방향으로 당겨서 또한 띠 부재(34)가 늘어나서 멈춤구(35)가 피멈춤구(36)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자 형상으로 조립되어서 내부에 수납물을 수납한 접이식 상자(A)는 윗 개구를 덮개편(15)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 손으로 파지하여 운반한다. 접이식 상자(A)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손으로 드는 경우, 통상은 골판지제의 접이식 상자와 같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붙들어서 전체를 안아 올려 든다. 이 경우, 변의 근처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양손이 변 근처의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 부분을 붙잡게 됨으로써,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고 또한, 안정하게 접이식 상자(A)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단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붙잡는 경우는 통상 변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잡지만, 하단부의 각 변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은 광폭 미끄럼 방지부(13a)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폭 미끄럼 방지부(13a) 부분을 손으로 붙잡음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다. 더욱이 대향하는 2 쌍의 측판(1) 중 어느 쌍의 측판(1)의 하단부를 양손으로 붙잡는다 해도 광폭 미끄럼 방지부(13a)를 손으로 붙잡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드는 방법으로 접이식 상자(A)를 양손으로 드는 경우, 접이식 상자(A)를 드는 작업자의 팔이 단부의 좌우의 변 근처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 부분이 닿아서, 이 부분에도 미끄럼 방지가 되어 있고, 더욱이 작업자의 복부에 대향하는 접이식 상자(A)의 상하의 각 변 근처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가 작업자의 복부에 닿아서 미끄럼 방지가 이루어짐으로서 안정하고 접이식 상자(A)를 들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상자(A)의 육면 중 어느 면이 하면으로 되도록 자세일지라도(즉, 접이식 상자(A)의 전후, 좌우가 거꾸로 되거나 상하가 거꾸로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자세로 될지라도), 상기와 같이하여 하단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붙잡아서 전체를 안도록 하여 드는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연질 합성수지로 되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고, 또한 안정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이식 상자(A)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코너 부분을 구성하는 3면의 코너에 인접하는 부위의 외면에도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코너부분에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함에 있어서, 육면체의 각 변을 따라 측판(1)이나, 바닥편(4)이나 덮개편(15)의 끝단 모서리의 전체 길이에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하고, 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13)를 육면체의 코너부분까지 도달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육면체의 코너부분 구성하는 3면의 코너 전체에 미끄럼 방지부(13)를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제공되지만, 코너 부분을 구성하는 3면 중 1 면 또는 2 면의 코너에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어도 좋다.
이 육면체의 코너부에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판(1)의 코너부의 외면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를 통하여 측판(1)의 인접하는 변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13) 들을 일체로 연속시켜, 측판(1)의 외면의 4개의 모서리 전체 길이에 걸쳐서 口 자 형상을 한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하면, 측판(1)의 각 변을 따라 외면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가 서로 일체로 口 자 형상으로 연속하고, 미끄럼 방지부(13)가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각 측판(1)의 외면의 주위에 口 자 형상으로 연속되는 미끄럼 방지부(13)를 형성하면, 口 자 형상의 각부가 육면체의 코너부에 위치하고, 육면체의 코너부에 확실하게 미끄럼 방지부(13)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코너부를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확실하게 손이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러한 접이식 상자(A)는 하단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을 양손으로 잡고서 전체를 안는 형태로 드는 경우뿐만 아니라, 육면체의 12 변 중 다른 임의의 변을 양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혹은, 육면체의 코너부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도, 어디를 들어도 미끄럼 방지부(13) 부분을 손으로 붙잡기 때문에 미끄러지지 않고, 들기 편하다.
또한, 접이식 상자(A)를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반송이나 보관함에 있어서는 접이식 상자(A)를 상하 다단으로 적재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편(4)이나, 덮개편(15)의 외면의 측판(1) 측의 변 근처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기 때문에 상하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상단의 접 이식 상자(A)가 하단의 접이식 상자(A)에 대하여 미끄러져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이식 상자(A)를 팔레트(pallet)나 컨베어(conveyor)에 직접 올려놓은 경우에도 미끄럼이 방지된다. 더욱이 냉동실에 넣는 경우, 냉동실의 바닥이나 팔레트 등의 표면이 결빙되어도 접이식 상자(A)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냉동실에 넣은 경우, 외면에 제공된 미끄럼 방지부(13)가 연질 합성수지제이므로 저온에서도 단단해지지 않고 연질을 유지하기 때문에 접이식 상자(A)의 모서리부의 파손 완충 효과가 있다.
또한, 상자 형상으로 조립되어서 내부에 수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덮개편(15)로 윗 개구를 닫은 접이식 상자(A)를 상하로 다단으로 쌓여진 경우, 하단의 접이식 상자(A)의 코너부분에 상부 방향으로부터의 짐의 무게가 집중되게 작용하여 코너 부분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부터 짐 무게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의 상단과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를 돌출하여 제공된 측판(1)의 상단으로 되는 코너부를 코너 연결부(30)에서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코너 연결부(30)의 상면을 상자 형상으로 조립하여서 덮개편(15)을 닫은 상태에서 덮개편(15)의 일부가 배치되어 지지되는 지지부로 되어 있으므로, 코너 부분에서 덮개편(15)이 확실하게 지지되어서 아래 방향으로 꺼지는 등과 같이 침하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접이식 상자(A)를 상하로 다단으로 적재하여도 붕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적재될 수 있다.
한편, 수납물을 넣지 않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 도 2, 도 3, 도 4와 같이 4 개의 측판(1)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어 있는 조립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장의 측판(1) 이루어진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가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되도록 접혀짐으로써, 도 7,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측판(1)이 거의 평행하고, 또한, 측판(1)의 내면을 따라 바닥편(4)을 중첩한 상태, 즉, 평편한 상태로 접을 수 있다. 이 경우, 접혀진 상태에서 대향하는 측판(1)과, 각 측판(1)의 내면을 따라 중첩하는 바닥편(4)과 겹쳐지는 중첩하는 마진 흡수 돌출부(8)에 의해 흡수하여 무리 없이 접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상자(A)를 평편하게 접혀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다단으로 쌓여진 경우, 측판(1)의 외면에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가 제공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평편하게 접혀진 상하의 접이식 상자(A)가 중첩되게 되고, 경질합성수지제의 측판(1)이 경질구성 수지제의 측판(1) 위에 직접 중첩되어도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 부분에서 상하로 접촉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단의 접이식 상자(A)가 하단의 접이식 상자(A)에 대하여 정확하게 적재되지 않고 삐뚤게 적재되거나 다른 방향으로 적재되어도 미끄럼 방지부(13)에 접촉하는 한 확실하게 미끄럼이 방지되어서 안정하게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장의 측판(1)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가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되도록 접혀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 측판(1)의 이 내면이 노출되지 않고, 또한, 바닥편(4)이 측판(1)의 내면을 따라 접혀져서 측판(1) 사이에 개재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또한, 덮개편(15)도 덮개편(15)의 내면들가 마주하여 겹쳐지기 때문에 내면의 노출부분이 적다. 따라서 접힘 상태의 접이식 상자(A)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거나 혹은 상하로 다수 적재된 경우에 접이식 상자(A)의 내면에 다른 접이식 상자(A)의 외면이 접촉하여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물을 넣는 내면 부분이 오염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 사용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이므로 강도가 강하고, 내구성이 크며, 오염되지 않고, 세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몇 번이라도 다시 이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으로 또한 자원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쪽의 측판(1a)로부터 연속하여 연장된 바닥편(4)a의 일 측부에 경사 힌지부(9)를 통하여 중첩편(11)을 돌출시키고, 이 중첩편(11)을 인접하는 다른쪽의 측판(1b)의 하변으로부터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연속하여 연장된 바닥편(4b)로 중첩 상태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되도록 하거나,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지는 때에 중첩편(11)이 바닥편(4b)에 대하여 중첩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드 함으로써 바닥편(4a)이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측판(1a)에 대하여 회동하고, 또한 중첩편(11)이 측판(1a)에 대하여 경사힌지부(9)를 통하여 회동하고, 동시에 바닥편(4b)이 중첩편(11)에 대하여 중첩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바닥편 연결 힌지부(5)를 통하여 측판(1b)에 대하여 회동한다. 이에 의해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 는 정방형으로 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4 개의 바닥편(4)을 자동적으로 회동하면서 이 4 개의 바닥편(4)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 구성부(6)에 의해 상자의 바닥을 자동적으로 또한 원활하게 형성하거나,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3)를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접음으로써, 자동적으로 각 바닥편(4)을 각각 측판(1)의 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는 측판 연결 힌지부(2), 바닥편 연결 힌지부(5), 경사 힌지부(9), 덮개편 연결 힌지부(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질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함으로써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적재되거나 대략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적재되거나 컨베어에 놓여 반송하거나 혹은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바닥이나 컨베어나 트럭의 짐칸 혹은 다른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 등의 적재부에 적재된 경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힌지부가 적재부에 접촉하게 되어서 힌지부가 미끄럼 방지 기능을 발휘하여, 접이식 상자(A)가 미끄러지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이 가해진 때에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힌지부가 충격의 완충작용을 한다. 이 경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힌지부의 외면이 측판(1), 바닥편(4), 중첩편(11), 덮개편(15)의 외면으로부터 약간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여 둠으로써 한층 더 미끄럼 방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판(1), 바닥편(4), 덮개편(15)을 성형하기 위해 경질 합성수지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접이식 상자(A) 내의 내용물의 유무나 양을 밖에서 보고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한 쌍의 측판(1) 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모든 측판(1)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여도 좋다. 더욱이 측판(1)에 덧붙여서 바닥편(4), 덮개편(15)도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연질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여도 좋다. 투명, 반투명으로 하는 경우, 착색투명 착색 반투명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13), 힌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연질 합성수지로서 경질 합성수지와 다른 색을 사용하면, 경질 합성수지의부분과 연질 합성수지의 부분이 색으로 구분되어서 외관이 좋게 된다. 이 경우, 연질 합성수지로서 어두운 곳에서도 보기 쉬운 밝은 색을 사용하면, 어두운 곳에서 육면체의 변 위치를 쉽게 알아볼 수 있어서, 육면체의 윤곽이 보면 알 수 있어서 손으로 육면체의 변 부분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어두운 곳을 이동할 때에도, 육면체의 윤곽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물건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측판(1)의 외주부의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13)(힌지부의 측단부)를 중첩 일체화하는 평탄 면부를 남겨서 물결 형상의 수직 리브(21 : corrugated vertical rib)가 제공되어서 상 방향으로의 하중에 의한 측판(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것이 충돌하는 경우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 와 같이 물결 형상의 리브(21)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리브라면 다른 형상일지라도 좋다. 측판(1) 만이 아니라, 바닥편(4)이나 덮개편(15)에도 리브를 제공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평편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각 바닥편(4)이 각 측판(1)의 으로 겹치도록 접혀지도록 하기 때문에 버텀 록 타입(bottom lock type) 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A)를 평편하게 접혀진 경우에 바닥편(4)을 측판(1)에 대하여 대략 동일하게 연속하도록 펼쳐지는 것일 지라도 좋다.

Claims (7)

  1. 전후좌우의 각 측면을 구성하는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4 장의 측판의 인접하는 측단부 들이 측판 연결 힌지부에서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평면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로 되고, 또한 접을 때에는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예각으로 되고, 또한 다른 한 쌍의 대각부의 모서리부가 둔각으로 되도록 평행사변형으로 접혀져서 평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와,
    복수의 측판의 하변에 바닥편 연결 힌지부를 통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이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자의 저면으로 되는 바닥판 구성부와,
    복수의 측판의 상변에 덮개편 연결 힌지부를 통하여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이 접혀질 수 있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상자의 상면의 덮개로 되는 덮개 구성부
    를 구비하는 상자 형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상자로 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로서,
    상기 측판 연결 힌지부, 바닥편 연결 힌지부, 덮개편 연결 힌지부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힌지부의 양 단부는 각각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바닥편, 덮개편의 외면에 동일하거나 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중첩 일체화되며,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바닥편, 덮개편의 외면으로 중첩 일체화한 상기 각 힌지부의 연질 합성수지를 육면체의 상자로 조립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변을 통하여 직각으로 인접하는 한쪽 또는 양쪽의 면의 해당 변 근처에서 바깥쪽으로 노출시켜서 미끄럼 방지부로 되고, 이 미끄럼 방지부가 육면체의 모든 변의 근처에 제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각의 미끄럼 방지부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의 변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 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노출된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가 육면체의 코너부분의 외면에 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4 장의 측판의 각 외면의 근처에 각각 미끄럼 방지부가 제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측판의 외면의 4 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가 제공됨과 동시에 측판의 외면의 코너부에 바깥쪽으로 노출되는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가 제공되어서 코너부의 미끄럼 방지부를 통해서 인접하는 변을 따라 미끄럼 방지부를 일체로 연속하여서 측판의 외면의 바깥 둘레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ㅁ 자 형상으로 된 미끄럼 방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7. 제 6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자 반체를 연결하여 접이식 상자를 형성하고, 상기 상자 반체가 경질 합성수지와 연질 합성수지의 2 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측판 연결 힌지부에 의해 일 측단 들을 일체로 연속된 경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2 개의 측판과, 상기 2 개의 측판의 적어도 하나의 하변으로부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편 연결 힌지부를 통해서 일체로 연속된 바닥편과, 상기 2개의 측판의 적어도 하나의 상변으로부터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덮개편 연결 힌지부를 통해서 일체로 연속된 덮개편을 구비하고,
    한쪽의 상자 반체의 2 개의 측판의 다른 측단부로 다른쪽의 상자 반체의 2 개의 상자 반체의 다른 측단부를 접을 수 있게 연결하여 4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통 형상 측벽 구성부를 구성하고, 2개의 상자 반체에 제공된 덮개편에 의해 덮개 구성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KR1020087000518A 2005-07-01 2005-11-07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KR100942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4153 2005-07-01
JP2005194153 2005-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48A KR20080033248A (ko) 2008-04-16
KR100942690B1 true KR100942690B1 (ko) 2010-02-17

Family

ID=3760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518A KR100942690B1 (ko) 2005-07-01 2005-11-07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71741B2 (ko)
EP (1) EP1900644B1 (ko)
KR (1) KR100942690B1 (ko)
CN (1) CN101213135B (ko)
AT (1) ATE469837T1 (ko)
DE (1) DE602005021706D1 (ko)
WO (1) WO20070043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96B1 (ko) 2019-05-10 2020-10-05 김우혁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102191786B1 (ko) * 2020-06-12 2020-12-16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용 금형 및 사출물 조립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3311B2 (ja) * 2011-08-26 2016-01-13 三甲株式会社 折畳コンテナ
KR200465328Y1 (ko) * 2011-11-22 2013-02-13 (주)민스타 접이식 용기
US20130192801A1 (en) * 2012-01-10 2013-08-01 U.S. Farathane Corporation Reconfigurable front and upper one piece baffles for directing incoming air from a vehicle front fascia to a radiator cooling module
CN103552728A (zh) * 2013-10-28 2014-02-05 昆山市日惠包装用品有限公司 一种防滑纸箱
US9930869B2 (en) * 2013-11-19 2018-04-03 Charles Linder Stackable package and system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honeybees
US11964794B2 (en) * 2018-12-28 2024-04-23 Kyoraku Co., Ltd. Container and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940U (ko) 1974-11-12 1976-05-18
JPS55115521U (ko) 1979-02-01 1980-08-14
JPH07158249A (ja) * 1993-12-10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建築用造作部材
JP2003011952A (ja) 2001-06-29 2003-01-15 Gifu Plast Ind Co Ltd 組立て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760A (en) * 1914-12-26 1915-11-16 American Paper Prod Paper box.
US1833469A (en) * 1924-07-10 1931-11-24 Leschey Myers Cigar Box Compan Cigar box
JPS531767U (ko) 1976-06-25 1978-01-10
GB1540679A (en) 1976-03-29 1979-02-14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pallet or pallet part with antiskid membe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S62105127U (ko) 1985-07-23 1987-07-04
FR2623167B2 (fr) 1987-08-14 1992-08-07 Genus Int Perfectionnement aux articles munis d'articulations elastiques se rigidifiant lors de leur mise en tension
DE4235061A1 (de) * 1992-10-17 1994-04-21 Huels Troisdorf Faltbare Mehrweg-Verpack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5377857A (en) * 1994-01-13 1995-01-03 Anchor Bay Packaging Corporation Stackable bin with collapsible corner construction
JPH08169436A (ja) 1994-12-20 1996-07-02 Honshu Paper Co Ltd ボトムロック式紙箱
JP3109797B2 (ja) 1995-04-17 2000-11-20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合成樹脂製折り畳み自在箱
WO1998047775A1 (en) * 1997-04-24 1998-10-29 Mouldex Plast Ab A stackable plastic box blank and method of form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940U (ko) 1974-11-12 1976-05-18
JPS55115521U (ko) 1979-02-01 1980-08-14
JPH07158249A (ja) * 1993-12-10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建築用造作部材
JP2003011952A (ja) 2001-06-29 2003-01-15 Gifu Plast Ind Co Ltd 組立て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96B1 (ko) 2019-05-10 2020-10-05 김우혁 접이식 다용도 수납상자
KR102191786B1 (ko) * 2020-06-12 2020-12-16 (주)케이엠피 접이식 상자용 금형 및 사출물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248A (ko) 2008-04-16
EP1900644A4 (en) 2009-08-05
ATE469837T1 (de) 2010-06-15
US20100127060A1 (en) 2010-05-27
WO2007004315A1 (ja) 2007-01-11
CN101213135A (zh) 2008-07-02
EP1900644A1 (en) 2008-03-19
CN101213135B (zh) 2010-05-26
DE602005021706D1 (de) 2010-07-15
US7971741B2 (en) 2011-07-05
EP1900644B1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690B1 (ko) 합성수지제의 접이식 상자
US8997989B2 (en) Double hinge display package and method of use
KR101214480B1 (ko) 포장용 상자
JP4634901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4669332B2 (ja) 合成樹脂製の収納容器
JP4758718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2002370727A (ja) 梱包箱
JP2533161Y2 (ja) 収納ケース
JP4996286B2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JPH0356511Y2 (ko)
JP3077943U (ja) 内側被覆部材付き折畳み通い箱
KR200395620Y1 (ko) 포장상자
KR200341631Y1 (ko) 수납상자
JP3105448U (ja) チャック付き袋体
JP3030946U (ja) ヒンジ開閉ケース
JP2002128072A (ja) 把手付き発泡合成樹脂製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非常用収納容器
KR960008241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제품 포장박스
JP3969657B2 (ja) 梱包用シートカバー
KR20230001187U (ko) 포장대상이 되는 제품의 포장용 상자
KR200271279Y1 (ko) 다용도 상자
JPH0891363A (ja) 梱包用ケース
JP3038870U (ja) 収容体及び収容袋
KR200309396Y1 (ko) 수납 용기
JP2007008561A (ja) 合成樹脂製の折り畳み箱
KR20200000001U (ko) 계란 포장 운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