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92B1 -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 Google Patents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92B1
KR100941892B1 KR1020070095644A KR20070095644A KR100941892B1 KR 100941892 B1 KR100941892 B1 KR 100941892B1 KR 1020070095644 A KR1020070095644 A KR 1020070095644A KR 20070095644 A KR20070095644 A KR 20070095644A KR 100941892 B1 KR100941892 B1 KR 10094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monella
bacteriophage
sgp
gallinarum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386A (ko
Inventor
윤성준
전수연
경서봉
백형록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9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00021Viruses as such, e.g. new isolates, mutants or their genomic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00031Uses of virus other than therapeutic or vaccine, e.g. disinfec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95/00Bacteriophages
    • C12N2795/00011Details
    • C12N2795/00032Use of virus as therapeutic agent, other than vaccine, e.g. as cytolytic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감염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로부터 선별된, 살모넬라균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성 질환의 주된 원인균인 살모넬라(Salmonella)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부분 유전자 서열로 표시되는 유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과 치료용의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살모넬라, 박테리오파지, 예방, 치료, 약학적 조성물, 사료첨가제

Description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 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Novel Bacteriophage Having Killing Activity Specific to Salmonella selected from Infectious Bacteriophages of Salmonella gallinarum}
본 발명은 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 감염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목적의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보통 파지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박테리오파지는 핵산으로 이루어진 유전물질 중심부를 단백질 외피가 싸고 있는 단순한 구조의 유기체이며 핵산은 단일 사슬이거나 이중 사슬인 DNA 또는 RNA로 되어있다. 박테리오파지는 생존에 숙주가 반드시 필요하며 모든 세균에는 특정 박테리오파지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박테리오파지는 숙주에 침투하여 복제 과정을 끝낸 다음, 숙주인 세균의 세포벽을 분해하기 위해 필요한 일군의 효소를 발현시킨다. 이들 효소는 세포벽의 경직성(rigidity) 및 기계적 강도(mechanical strength)를 담당하는 세포벽의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층을 공격하여 세포벽을 파괴한다.
박테리오파지는 1915년 영국의 세균학자 Twort가 포도상구균(Micrococcus) 집락이 어떤 것에 의해 투명하게 녹는 현상에 대한 연구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1917년에는 프랑스
Figure 112009056849555-pat00001
의 세균학자 d'Herelle이 이질환자 변의 여과액 중에 적리균(Shigella disentriae)
Figure 112009056849555-pat00002
을 녹이는 작용을 가진 것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독립적으로 박테리오파지를 발견하였으며, 세균을 잡아먹는다는 뜻에서 박테리오파지라고 명명하였다. 이후 이질균, 장티푸스균, 콜레라균 등 여러 병원균에 대한 박테리오파지가 계속적으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1950년 Flemming에 의해 페니실린이 발견된 이후, 항생제 사용의 보급화로 인해 일부 동유럽 국가에 한정되어서만 박테리오파지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으며 그 밖의 지역에서는 다소 시들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다재 내성(Multidrug-resistant)을 지닌 병원성 세균의 출현빈도가 높아지고 기존 항생제의 많은 문제점들이 부각되면서 기존 항생제의 대체 물질로의 개발 가능성 때문에 박테리오파지에 대한 연구가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다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비록 항생제(또는 항균제)가 세균 감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 여전히 주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1980년대 이후 과도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더욱 많은 항생제 내성 균주가 발생하고 있으며, 1986년 최후의 항 생제로 불리는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내성을 지닌 황색포도상구균 및 다재 내성을 가진 균주가 다수 발견됨으로써 의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은 1986년 프랑스에서 처음 보고 되었고 1988년 미국에서 분리된 이래, 치료가 곤란한 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s)의 원인균으로서 그 분리 빈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 미국 이외에도 싱가포르,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한국 등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1992년에 VRE가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기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세균에 의한 질환까지도 치료할 수 있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고 의약 기술을 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항생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다시 말해, 내성세균의 출현에 대한 심각성뿐만 아니라 최근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오남용에 의한 문제 및 항생제 잔류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기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 등 대안 마련이 매우 절실한 형편이다. 물론 이러한 대안 마련의 해결책은 기존 항생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법에 의한 새로운 개념의 항생 물질의 개발을 통해서 일 것이다.
살모넬라는 형태학적이나 생리학적으로 대장균과 유사하지만 의학상의 편의를 위해 K. Kauffmann 등의 제창에 의해 독립된 속(genus)으로 되었다. 살모넬라는 1885년 Salmon과 Smith가 돈콜레라로 죽은 돼지에서 살모넬라 코레라에수이스(Salmonella choleraesuis)를 최초로 분리 보고한 이래, 장염과 위장염 환자 및 각종 질병을 가진 동물로부터 분리되었다. 또한 닭을 비롯한 소, 돼지, 염소, 개, 고양이 등의 건강한 동물과 환경물에서도 분리되었다. 살모넬라속 균은 2,000여종 이상의 혈청형이 현재까지 보고된 실정이며 동물에 따른 숙주 특이성이 있는 균종과 숙주 특이성이 없는 균종으로 크게 구분 지을 수 있다. 살모넬라는 그람음성 간균으로 포자는 형성하지 않는다. 모든 살모넬라는 다양한 동물에서 기생균으로 발견되고 있으며 살모넬라 감염증은 몇 가지 형태로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장염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살모넬라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다. 살모넬라 식중독은 국내에서도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단체 급식의 증가로 그 심각성이 계속 커지고 있다. 2000년도 식중독 환자의 원인균을 조사한 보고에 의하면, 2,500여 건 이상이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포도상구균(약 1,000여건), 비브리오(약 200여건) 등 다른 식중독 원인균에 비교하여서도 월등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살모넬라에 감염되면 거친 피부, 식욕결핍, 결막염, 침울, 엷은 변, 비장 증대, 사망 등의 증상을 보인다. 또 살모넬라는 사람이 음식으로 섭취하는 닭 등의 가금류 및 가축의 장내에 존재함으로 쉽게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식중독에 의해 발생하는 경제 피해 규모가 20-40억 불로 집계되고 있어 식중독 발생 예방은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항균제의 대부분은 원료 형태 또는 완제품 형태로 외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동물 항생제 분야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값싼 항균제들에 대한 내성문제와 인체에 중요한 신규 항균제의 동물사용 제한으로 인하여 이에 대한 대안 마련이 매우 시급한 상황 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모넬라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자연에서 분리하고, 이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타 박테리오파지와 구별하여 특정 지을 수 있는 유전체(genome)의 부분 유전자 서열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살모넬라에 대한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살모넬라 증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감염성 질환의 주된 원인균인 살모넬라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신규 박테리오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부분서열로 특정되어지는 염기 서열로 표시되는 유전체를 가진다.
급,만성 전염병인 가금티푸스(Fowl typhoid, FT)는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의해 유발되는 소화기 전염병으로 닭과 칠면조의 패혈증을 주증으로 한다. 가금티푸스는 난계대 전염까지 일어나는 특징 때문에 국내 가금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살모넬라 갈리나룸은 약 1.0∼2.0 ㎛ 길이와 1.5 ㎛의 직경을 가진 짧은 그 람음성 간균으로 가금에만 보균 및 감염되는 대표적인 숙주 특이성 균이다. 닭 및 칠면조에서의 살모넬라 감염증은 일반적으로 살모넬라 풀오룸(Salmonella pullorum)에 의한 추백리,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의한 가금티푸스, 그리고 이들 균종을 제외한 나머지 기타 여러 살모넬라균종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금파라티푸스로 구분되고 있는데, 이 중 국내 가금류에서의 살모넬라 감염증의 발생 상황은 가금티푸스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이런 이유로 이에 대한 예방 및 대비책의 확보는 매우 절실하다. 가금티프스는 1900년대 초기에 전세계적으로 발생하여 가금산업에 막대한 손실을 준 바 있으며 국내에서의 발생은 1992년에 처음 보고되었고 1994년 이후로는 전국적으로 발병하여 최근까지 양계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주며 고질적인 질병으로 계속 반복 감염이 되어오고 있다. 특히 대규모 밀집 사육을 하는 닭의 특성상 한 번 발생하면 감염이 쉽게 확산되어 그 피해가 상당할 뿐 아니라, 특히 백색계보다 갈색계에서 발병률이 더 높아 갈색계가 주종을 이루는 우리나라에서는 그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를 선별하였고 이를 SGP-1로 명명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박테리오파지를 2007년 8월 2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 (기탁번호 KCTC 11174BP)에 기탁하였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살모넬라 갈리나룸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SGP-1 박테리오파지가 다른 살모넬라도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 갈리나룸 이외에도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풀오룸(Salmonella pullorum) 및 살모넬라 티피무륨(Salmonella typhimuriun)에 대해서도 사멸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별된 SGP-1 박테리오파지를 타 박테리오파지와 구별 지을 수 있도록 유전체의 부분 유전자 서열을 제공한다(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유전자"라는 용어는 DNA(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며, 유전자에서 기본 구성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 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Chemical Reviews 90:543-584, 1990).
또한, 본 발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서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박테리오파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므로,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 질환인 가금티프스에 대한 치료 및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살모넬라증(salmonellosis)에 대한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살모넬라증에는 장염, 식중독, 급성 균혈증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료'라는 용어는 (ⅰ)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 질환의 예방; (ⅱ)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 질환의 억제; 및 (ⅲ)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된 감염성 질환의 경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 부위에의 도포 또는 분무하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통해 투여할 수도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국부 투여를 이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도포, 분무 및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대상이 되는 동물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성, 질병 증상의 정도,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나 수의사는 소망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 × 103 내지 1 × 1012 pfu/㎖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 × 106 내지 1 × 1010 pfu/㎖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항생제’라는 용어는 방부제, 살균제 및 항균제를 총칭한다.
본 발명의 항생제는 일차적으로 가금티프스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가금티프스로 인한 피해는 양계농가 뿐 아니라, 가공업체, 사료업체, 외식업체 등 총 양계 관련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그 피해액은 한 해 수천 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가금티프스는 가금인플루엔자와 뉴캣슬병 다음으로 심각한 2종 법정전염병 중의 하나로 관리되고 있으며, 병아리에서부터 산란 중인 성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령의 닭에서 패혈증을 유발하고 높은 폐사율을 특징으로 한다. 감염된 가금은 영구감염과 전파에 가장 중요한 수단이며, 같은 무리뿐 아니라 난계대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전파하여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여러 농장을 다니는 사료 판매자나 닭 판매자에 의해 옮겨질 수도 있으며 페사 조류의 사체 등에 의한 섭취로도 전염될 수 있다.
가금티프스 관련 예방백신도 있지만 아직까지 효과적인 백신이 없는 실정이며 주로 철저한 차단 방역위주로 실시되고 있다. 감염 후 치료를 위해서는 술파머라진(sulfamerazine), 술파치아진(sulfachiazine), 술파머따진(sulfamethazine)과 같은 다양한 술폰아미드(sulfonamide)가 항균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항생제들이 살균보다는 정균작용을 하는 약제이어서 혈중에 적정한 농도 로 유지될 때만 감염증 발현 억제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존 항생제로는 살모넬라균이 완전히 사멸될 수 없으므로 추후 혈중 항생제 농도가 떨어지면 세포 내에 숨어 있던 살모넬라로 인하여 다시 병증이 발현되고 결국 가금의 폐사로 이어진다. 이러한 기존 항생제의 단점은 항생제의 반복적 투여를 부추기고 거기에 무분별한 오,남용까지 더해져 현재 내성균 출현은 매우 심각하다. 기존의 항생제 요법에서의 사용 가능한 항생제는 다약제 내성 살모넬라의 출현으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 되었으며 관리가 결여된 광범위한 항생제 처방은 살모넬라 이외의 정상균에도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금티프스에 대한 무분별한 항균약제의 남용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내성 획득 균에 대한 대안으로 신규 항생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생제는 살모넬라에 의해 유발되는 살모넬라증(salmonellosis)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살모넬라증이란 살모넬라 감염에 의해 발열, 두통, 설사, 구토 등을 수반하는 증상을 총칭한다. 즉, 살모넬라균 속의 세균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병을 총칭하며 살모넬라증은 장티푸스와 같은 증세를 나타내는 패혈증형과 식중독인 급성위장염형으로 대별된다.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는 기존 항생제에 비하여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에 대한 특이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는 유용한 균은 죽이지 않고 병원균인 살모넬라만을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없는 항생제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를 항생 물질로 이용하게 되면 기존의 항생제를 이용하는 것과는 달리 병원균의 내성 내지 저항성(resistance)을 유도하지 않는다는 중요한 장점을 갖기 때문에 기존의 항생물질에 비하여 제품수명주기(life cycling)가 긴 신규 항생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부분의 항생 물질들은 내성 증가에 직면함에 따라 갈수록 사용범위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는 내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에 그 만큼 항생제로서의 제품수명주기가 길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는 항균 효과, 살균 효과 및 방부 효과가 뛰어난 항생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항생제’라는 용어는 방부제, 살균제 및 항균제를 총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를 제공한다.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는 식중독 예방 등 식품위생에 그 활용가치가 높다. 즉, 식품산업에서 살모넬라 오염 방지용 소독제 및 식품첨가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축산업 분야에서 살모넬라 청정 축산물 생산에 활용될 수 있다. 또 생활하수처리장에서 방류수 내 살모넬라 제거를 위한 살포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조리 장소 및 조리 설비의 소독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축산물은 대부분 구입과 동시에 별도의 세척이나 소독과정 없이 식탁에 오른 다. 그만큼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안전성과 위생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는 다양한 용도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GP-1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 청정 축산물 생산을 위한 사료첨가제 및 음용수를 제공한다.
우리나라의 가축들은 ‘과잉진료’에 시달린다. 사람보다 가축에 들어가는 항생제가 더 많다. 축산,수산업에서 사용되는 사료 첨가용 항생제 사용량은 전체 항생제 판매량의 54%를 차지한다. OECD 국가 중 단연 최고다. 또한 전체 56%에 달하는 항생제가 ‘예방 목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이 더 심각하다. 예방 목적 항생제 투여는 내성균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가축에 잔류하는 항생제는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문제다. 항생제가 육류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면 항생제 내성을 유발해 질병의 확산을 부를 수도 있다. 사료에 섞여 먹이는 항생제의 종류가 많은 것 또한 문제다. 많은 종류의 항생제를 사용하면 다제 내성균 발생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질병이 나돌기 쉬운 계절에 항생제를 사료에 섞어 공급하는 이른바 ‘클리닝 서비스’는 심각한 내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에 따라 좀더 자연친화적이면서도 기존의 항생제의 사용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사료첨가제용 항생물질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건조 또는 액체 상태의 제제 형태일 수 있으며, 하 나 또는 그 이상의 효소제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되는 효소제제는 건조 또는 액체 상태 모두 가능하며 효소제제로는 리파제(lipase)와 같은 지방 분해효소, 파이틱애시드(phytic acid)를 분해하여 인산염과 이노시톨인산염을 만드는 파이타제(phytase), 녹말과 글리코겐(glycogen) 등에 포함되어 있는 알파-1,4-글리코시드 결합(α-1,4-glycoside bond)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 유기인산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포스파타제(phosphatase), 셀룰로스(cellulose)를 분해하는 카르복시메틸셀룰라제(carboxymethylcellulase), 자일로스(xylose)를 분해하는 자일라나제(xylanase), 말토오스(maltose)를 두 분자의 글루코스(glucose)로 가수분해하는 말타제(maltase), 및 사카로스(saccharose)를 가수분해하여 글루코스-프룩토스(glucose-fructose) 혼합물을 만드는 전환효소(invertase) 등과 같은 당 생성 효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SGP-1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에는 비병원성의 다른 미생물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미생물로는 단백질 분해 효소, 지질 분해효소 및 당 전환 효소를 생산할 수 있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와 같은 고초균, 소의 위와 같은 혐기적 조건에서 생리적 활성 및 유기물 분해능이 있는 락토바실러스 균주(Lactobacillus sp.), 가축의 체중을 증가시키며 우유의 산유량을 늘리고 사료의 소화 흡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보여주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와 같은 사상균(J Animal Sci 43: 910-926, 1976) 및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와 같은 효모(J Anim Sci 56: 735-739, 1983)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각종 곡물 및 대두 단백을 비롯한 땅콩, 완두콩, 사탕무우, 펄프, 곡물 부산물, 동물 내장 가루 및 어분 가루 등과 같은 사료원료는 가공되지 않거나 또는 가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양계산업의 육계농장에서 음용수에 혼합하여 도계 전 집중 공급함으로써 장내 살모넬라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평소 음용수로 공급하여 살모넬라 청정 축산물 생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병원성 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포함한 살모넬라를 특이적으로 사멸시키는 능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테리오파지는 살모넬라가 주원인이 되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살모넬라 청정 축산물 생산용 사료첨가제 및 음용수, 항생제, 항균제, 방부제, 및 다양한 소독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관점에서는 가금티푸스 예방 및 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타 살모넬라 관점에서는 식중독 예방에 그 활용가치가 높다. 즉, 식품산업에서 살모넬라 오염 방지용 첨가제 및 조리시설 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생활하수처리장에서 방류수 내 살모넬라 제거를 위한 살포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의 분리
본 발명의 대상 세균인 살모넬라 갈리나룸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미리 분리 동정(identification)된 것을 이용하였다.
박테리오파지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데, 특히 세균이 존재하는 곳에 공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자들은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특이적으로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살모넬라 갈리나룸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을 기반으로 시료를 채집하였다. 이 시료를 살모넬라 갈리나룸과 함께 배양한 후 이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상등액을 여과한 다음, 배양된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박테리오파지 분리를 위한 미끼로 함께 다시 배양하여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사멸 여부를 확인하였다. 사멸 여부 확인은 최종적으로 용균반 분석(plaque assay)을 통해 판별하였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박테리오파지가 존재할 것이라 예상되는 서울 및 기타 지역의 생활하천으로부터 시료를 수집하여 살모넬라 갈리나룸과 함께 37℃에서 3-4시간동안 진탕배양 후, 8,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이 회수된 상등액을 0.45 ㎛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해준 후, 이렇게 얻어진 여과액을 이용한 용균반 분석을 통해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특이적인 박테리오 파지를 검출하였다. 이 때 사용한 방법의 모식도가 도 1에 개시되어 있고 박테리오파지 검출에 이용한 용균반 분석 결과가 도 2에 제시되어 있다. 이 분리된 박테리오파지를 SGP-1로 명명한 뒤, 2007년 8월 2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기탁번호 KCTC 11174BP)에 기탁하였다.
실시예 2: 분리된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지 유전체의 유전자 서열 분석
얻어진 SGP-1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SGP-1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를 통상의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이를 유전자 서열 분석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1 ℓ 플라스크에 TSB(Tryptic Soy Broth) 배지(카제인 다이제스트, 17 g/ℓ; 소이빈 다이제스트, 3 g/ℓ; 덱스트로스, 2.5 g/ℓ; NaCl, 5 g/ℓ;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2.5 g/ℓ) 200 ㎖에 600 nm에서 흡광도가 1인 살모넬라 갈리나룸 부유액 50 ㎖ 및 1× 108 pfu/㎖ 수준으로 여과한 박테리오파지 용액 1 ㎖을 첨가하여 37℃에서 3-4시간 진탕배양 하였다. 배양 후, 살모넬라 갈리나룸이 용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다음, 용균이 일어났을 때 이 배양액을 0.45 ㎛의 필터로 여과해 주었다. 그 다음으로 이 여과한 배양액에 남아 있을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DNA와 RNA를 제거하기 위해, 이 여과한 배양액 10 ㎖에 DNase I과 RNase A를 각각 200 U씩 첨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30분 방치 후 DNase I과 RNase A의 활성을 제거하기 위해, 0.5 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 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500 ㎕를 첨가한 후 다시 10분간 정치시켰다. 그 다음 단계로 박테리오파지 외벽을 와해시키기 위해 proteinase K (20 ㎎/㎖) 100 ㎕와 10% 도데실 황산 나트륨염(sodium dodecyl sulfate; SDS) 500 ㎕를 첨가한 다음 65℃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 시간 반응 후, 이 반응액에 25:24:1의 구성비를 갖는 페놀(phenol) : 클로로포름(chloroform) : 이소아밀알코올(isoamylalcohol)의 혼합액 10 ㎖를 첨가해 준 후 잘 섞어 주었다. 그리고는 이것을 18,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층이 분리되게 한 다음 분리된 층 중에서 위층을 취하고 여기에 2부피비의 차가운 100% 알코올을 가하여 순수한 유전체만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가 DNA인지, RNA 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DNaseⅠ (10 U/㎕) 및 RNase A (10 ㎍/㎕)를 각각 첨가해 준 다음 37℃에서 1시간동안 처리하였고, 이와 더불어 DNA일 경우에 단일가닥 DNA인지, 이중가닥 DNA인지 구분하기 위해 녹두(Mung Bean) 뉴클레아제(45 U/㎕)를 첨가해 준 다음 상온에서 15분간 처리 하였다. 이렇게 처리한 시료들을 0.8% 아가로즈(agarose) 젤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각 효소에 의한 절단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유전체는 DNaseⅠ에만 민감하였고 DNase I에 민감한 것은 유전체가 DNA임을 의미하고, 녹두 뉴클레아제에 민감하지 않은 것은 유전체가 DNA 이중가닥 형태임을 의미한다. 이 결과로부터 얻어진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가 DNA형이면서 이중가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분리된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는 게놈 DNA(genomic DNA; gDNA)이다. 이 gDNA의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다양한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로 처리하여 제한효소 처리에 따른 절단 양상을 일차적으로 파악하였고, 제한효소 Hpa II로 처리하는 경우가 gDNA의 라이브러리(library) 구축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Hpa II로 처리하여 준비된 유전자 단편(fragment)을 이용한 gDNA 라이브러리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구축하였다. gDNA 라이브러리 구축에 사용된 방법이 도 3에 모식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통상의 방법대로 SGP-1 박테리오파지의 gDNA를 Hpa II로 처리하여 유전자 단편을 얻었고, 또한 추후 유전자 단편을 삽입할 때 사용할 벡터 부분의 준비를 위하여 pBluescript II SK(+) 파지미드 벡터(phagemid vector)(Stratagene사)를 Cla I로 처리하여 선형(linear)의 벡터 단편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유전자 단편들과 벡터 단편을 T4 리가아제(ligase)를 이용해 통상의 방법대로 서로 결합시켰다. 이렇게 하여 준비된 SGP-1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 단편이 도입된 재조합 벡터를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이라는 전기적 형질전환 방법(electro-transformation)을 통해 대장균의 한 종인 Top10F' 종 (Invitrogen사)에 도입시켰다. 이렇게 하여 형질전환된 형질전환체를 엑스-갈(X-Gal; 5-bromo-4-chloro-3-indolyl-beta-D-galactopyranoside) 및 이소프로필 베타-디-1-티오갈락토피라노시드(isopropyl β-D-1-thiogalactopyranoside; IPTG)가 첨가된 암피실린(ampicillin) 함유 아가 평판배지 상에서 통상의 청백 콜로니 선별법(Blue-White colony selection)을 통해 선별하였다. 선별된 단일 콜로니(colony)를 암피실린이 포함된 배양배지에 접종한 후 하룻밤동안 진탕배양 하였고, 이 배양 세포로부터 플라스미드(plasmid) 정제 키트(iNtRON사)를 이용하여 플 라스미드를 추출하였다. 이 추출된 플라스미드는 0.8% 아가로즈 젤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통하여 그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플라스미드를 포함한 클론들을 다시 배양하여 배양 세포로부터 플라스미드를 상기 방법과 같이 다시 추출하였고, 이 추출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염기 서열 분석은 통상의 염기 서열 분석에서 널리 이용되는 프라이머(primer)인 M13 정방향(forward) 프라이머와 M13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를 이용해 수행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Primer Sequence
M13 정방향 프라이머 GTCGTGACTGGGAAAACCCTGGCG
M13 역방향 프라이머 TCCTGTGTGAAATTGTTATCCGCT
이렇게 확보된 SGP-1 박테리오파지 유전체의 부분 유전자 서열이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로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 확보된 SGP -1 박테리오파지 유전자 서열과 기존에 알려진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 서열과의 비교
확보된 박테리오파지의 염기 서열을 기반으로 Web상의 BLAST (http://www.ncbi.nlm.nih.gov/BLAST/)를 이용하여 기존에 알려진 박테리오파지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조사해 보았다. BLAST 조사 결과, 분석된 박테리오파지의 염기 서열은 박테리오파지 파이YeO3-12(bacteriophage phiYeO3-12) 및 박테리오파지 T3(bacteriophage T3)과 부분적으로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보된 SGP-1 박테리오파지 유전체의 부분 서열을 박테리오파지 파이YeO3-12 유전체의 서열(GenBank Accession No. AJ251805) 및 박테리오파지 T3 유전체의 서열(GenBank Accession No. AJ318471)과 비교하여 이들 간의 상동성을 자세히 조사해 보았다.
부분 서열 박테리오파지 파이 YeO3 -12와 비교 박테리오파지 T3 과 비교
Query coverage (%) Identity (%) Query coverage (%) Identity (%)
서열번호 1 38 84 79 91
서열번호 2 100 95 - -
서열번호 3 78 92 - -
서열번호 4 86 98 86 91
서열번호 5 82 96 - -
서열번호 6 45 97 45 95
서열번호 7 97 97 - -
서열번호 8 75 91 - -
서열번호 9 77 91 - -
서열번호 10 79 96 - -
서열번호 11 81 96 81 95
서열번호 12 86 99 86 95
서열번호 13 - - - -
서열번호 14 81 84 - -
서열번호 15 99 99 36 88
서열번호 16 98 97 - -
서열번호 17 - - - -
서열번호 18 - - - -
서열번호 19 - - - -
서열번호 20 100 93 - -
서열번호 21 99 96 - -
이 결과로부터 SGP-1 박테리오파지의 부분서열 중 많은 것이 박테리오파지 파이Ye03-12 및 박테리오파지 T3과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SGP-1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가 박테리오파지 파이Ye03-12 및 박테리오파지 T3과 특징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GP-1 박테리오파지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라 할 수 있다. 추가 분석으로 확보된 SGP-1 박테리오파지 유전체의 부분 유전자 서열이 실제 유전체상에서 어떤 배열을 갖는지를 개략적으로 알기 위해 상동성을 가지는 박테리오파지 파이Ye03-12 유전체의 유전자 서열을 바탕으로 NCBI Blast와 Vector NTI ContigExpr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기 서열의 콘티그 지도(Contig map)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실시예 4: 얻어진 SGP -1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감염 예방에 대한 적용예
9 ㎖의 영양배지(Nutrient broth: 소고기 추출물 3 g/ℓ, 펩톤 5 g/ℓ) 하나에는 약 1× 108 pfu/㎖ 수준의 SGP-1 박테리오파지액 100 ㎕를 넣어주고 대조실험의 같은 조성의 배지에는 박테리오파지액을 넣어주지 않은 시료를 각각 준비하였다. 여기에 최종적으로 600 nm에서 흡광도가 0.5 정도가 되도록 살모넬라 갈리나룸 배양액을 넣어준 다음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배양 상태를 관찰해 보았다.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테리오파지액을 첨가해 주지 않은 배지에서는 60분 후 600 nm에서의 흡광도가 1.1 정도가 될 정도로 살모넬라 갈리나룸이 매우 잘 성장하는 반면에 박테리오파지액을 첨가해 준 영양배지에서는 10분경과 후 600 nm에서의 흡광도가 0.1 정도 수준으로, 60분 후에는 0.05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살모넬라 갈리나룸 사멸 능력(OD600 흡광도 값)
구분 배양 0시간 배양후 10분 배양후 60분
대조군(무처리) 0.5 0.7 1.1
실험군 (박테리오파지액 첨가) 0.5 0.1 0.05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가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성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멸까지 시키는 능력이 있어 살모넬라 갈리나룸의 감염을 막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특이적인 SGP -1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치료한 적용예
SGP-1 박테리오파지가 급성 균혈증(bacteremia)에 의한 병아리의 폐사를 얼마나 막아 줄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먼저 살모넬라 갈리나룸 1× 108 cfu를 3일령의 병아리에 피하 주사 하였다. 살모넬라 갈리나룸 주사 10시간 후, SGP-1 박테리오파지 또한 피하에 1× 109 pfu의 농도로 주사하였다. 대조 실험으로 실시한 항생제 주사군의 경우에는 5 mg/kg의 투여량으로 겐타마이신(gentamycin)을 살모넬라 갈리나룸 주사 10시간 후에 근육 주사하였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GP-1 박테리오파지를 접종한 계군이 상당시간 수명이 연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은 야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정도를 훨씬 초과하는 세균량을 인위적으로 직접 주사하여 인공적으로 균혈증을 일으킨 상태여서 비록 완전한 방어나 치료효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SGP-1 박테리오파지에 의해 상당시간 생존을 유지 해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가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원인으로 하는 감염질환의 치료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타 살모넬라에 대한 SGP -1 박테리오파지의 사멸 효과 조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기탁번호 KCTC 11174BP)의 용균 활성을 타 살모넬라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해 보았다. 대상 살모넬라는 본 발명자들의 살모넬라 갈리나룸 분리 시 함께 분리되어 동정되어 보관되어 있던 것으로 하였고, 조사에는 살모넬라 갈리나룸 9종 외에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7종, 살모넬라 풀오룸 9종, 및 살모넬라 티피무륨(Salmonella typhimuriun) 7종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살모넬라 대상 살모넬라 수 조사결과
용균 활성이 확인된 살모넬라 수 용균 활성이 확인되지 않은 살모네라 수
살모넬라 갈리나룸 9 9 0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7 7 0
살모넬라 풀오룸 9 9 0
살모넬라 티피무륨 7 6 1
이 결과에서 SGP-1 박테리오파지가 살모넬라 갈리나룸 뿐 아니라 타 살모넬라에도 사멸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가 살모넬라 갈리나룸 외의 다른 살모넬라에 의한 살모넬라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살모넬라 갈리나룸을 특이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의 분리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용균반 분석에 의해 살모넬라 갈리나룸에 특이적인 박테리오파지를 검출한 평판접시 사진이다.
도 3은 SGP-1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 라이브러리의 구축을 위하여 사용한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확보된 SGP-1 박테리오파지 유전체의 부분 유전자 서열의 콘티그 지도이다.
도 5는 인위적 균혈증을 유발한 병아리 실험의 결과이다. Y축의 “마리”는 그때까지 죽은 마리수의 누적치를 나타낸다. “Control”은 살모넬라 갈리나룸만 투여하고 어떠한 처리도 안 해준 경우이고, “SGP-1”은 본 발명의 SGP-1 박테리오파지를 투여한 경우이고, “Gentamycin”은 겐타마이신을 투여한 경우이다.
<110> iNtRON Biotechnology, Inc. <120> Novel Bacteriophage Having Killing Activity Specific to Salmonella selected from Infectious Bacteriophages of Salmonella gallinarum <160> 21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311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 tttgaatagg gtacccgggc cccccctcga ggtcgacggt atcgataagc ttgatatttt 60 tttttcgttt gggtaggcaa taagtcacac attcgtttcc taaagaccat aggcgcggta 120 ttccataatg agtttaccgc tgatggtcaa ttccaattat tcactatcag taggaggtaa 180 ctatgtgctg gatggaagcg attcctattg ccatgatggg tgcccaagct ctaagtagcc 240 agaacaagtg ctgacaagcg ccgagtggga caagacccga actgggacgc aaacagggca 300 atggagatgg g 311 <210> 2 <211> 227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2 cagccagggc atatgtacgc aggcattcac agacaacgtg caccatcagg gagagcaccg 60 ccatgtcact gtcgaacatg ttacgggctt ccaagaagtt ggtgttctcg atacccacca 120 gaccctcaat gttatcctca atgacagagg aggcagagaa ctggtcagtg tgcgaaatac 180 catacgcctt atccatcgcg tgcttctgca ccatctcagg cgtaact 227 <210> 3 <211> 449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3 cctttgaacg ccctaaccct attaaaggga acaaaagctg gagctccacc gcggtggcgg 60 ccgctctaga actagttttt cccccgggct gcaggaattc ccatcattgt taacgccaat 120 agtatcagcg gtaaggtcac gtgcttcctc agcaacgtga agggtttgga cctgagagat 180 gttcaggtcg tatgcccgaa ggattgaacc atcggtgaag tcaaccagcc tatcggtagc 240 ggaggtaaat cgacggattt caatcatgtt ataaccgtca tctggcccca atgctctcgt 300 tgtggagatt gtggtcttag tcgcaaaacg gtagtcctga ttcaagatga gttcctttcg 360 gtcaacaccg ataagggtca ctctgacgaa cttacgcgct agatactcga acggaatatt 420 aaagtccgta gtggagccat ccagcgggt 449 <210> 4 <211> 440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4 ttgaataggg taccgggccc cccctcgagg tcgacggtat cgataagctt gatatttttt 60 ttctttgagt aaggagcgca cactatgagc aagtcaatca cccacgcaaa caccatccgt 120 ctgccagaca ccgctgacca gttctcccgc cgagtacaca tcaatgtgcg tggtgagaag 180 gtcacgatgg tctaccgctg gaaagaccac aagtctccga aagcacacac tcaacgaatg 240 accttggatg acaagcaggt cggtcgcttg atgggtgccc tgactatggc tgctgacaag 300 gtggtcggtg ataaccgtga gcgtctggta gagttcggcg ctggtatgca agagattatc 360 gagaagtgat aaactcaagg ggcgccaagg gtggccttta tgattatcat ttacacgaaa 420 ccaaaggagg gcattatgct 440 <210> 5 <211> 478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5 agctctttaa acgacccact aagtttgaaa aagggaccgg gccccccctc gaggtcgacg 60 gtatcgataa gctcgatatt tttttctgcc tgcatacgac cgacgagtag atggtgatgt 120 tgcaatcatg ggcggttccg ttaagactac caaagacctg aaagatgaaa tcatggcgct 180 ggataagcag tcagagggta acggcacact gaaaggtgaa gtggaagctc tcaaggacac 240 cgtgaagatt ctgactggtc gtgctcgtag gaacccggaa ggcgcttggg gtacagccct 300 gcgctccgta aatgacctca cgttctttgc taagaacgcc tatatgggcg cacagaacgt 360 tactgaaatc gctggtatgc tggcgaaggg taaccgtctc tgcgataact catggcatcc 420 ctatgattaa cgattgggtc aaccggggta aacccgcttc gtgcctctga gataaagg 478 <210> 6 <211> 430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6 aacccttttt aaaaggaaca ccaagctgga gctccaccgc ggaggttggc cgctctagaa 60 ctagtttttc ccccgggctg caggaattca ttaacgcttt atgtaagctg gtagttaaac 120 tgtacttcat cgaagccaag aagctggaca agaaggccaa agctgattca cagcgagcca 180 ttgagttggc gaaacagtcc cgtgagaaat ccgatgcggc tgttagtggc atccacaagt 240 cggcagcgat tgcagccaaa gcacaatcca tgagcaaatt cccatcattg ttaacgccaa 300 tagtatcagc ggtaaggtca cgtgcttcct cagcaacgtg aagggtttgg acctgagaga 360 tgttcaggtc gtatgcccga aggattgaac catcggtgaa gtcaaccagc ctatcggtag 420 cggaggtaaa 430 <210> 7 <211> 403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7 gatatttttt tctgcctgca tacgaccgac gagtagatgg ggatgttgca atcatgggcg 60 gttccggtaa gactaccaaa gacctgaaag atgaaatcat ggcgctggat aagcagtcag 120 agggtaaccg gcacactgaa aggtgaagtg gaagctctca aggacaccgt gaagattctg 180 actggtcgtg ctcgtaggaa cccggaaggc gcttggggta cagccctgcg ctccgtaaat 240 gacctcacgt tctttgctaa gaacgcctat atgggcgcac agaacgttac tgaaatcgct 300 ggtatgctgg cgaagggtaa cgtctctgcg ataactcatg gcatccctat gattaacgat 360 tgggtcaacc gtggtaaacc gcttcgtgcc tctgagatta agg 403 <210> 8 <211> 452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8 aaccagcaac tcttttgaca cgcccaaccc ttttaaaagg aacacaagct ggagctccac 60 cgcggtggtt ggccgctcta gaactagttt ttcccccggg ctgcaggaat tcccatcatt 120 gctaacgcca atagtatcag cggtaaggtc acgtgcttcc tcagcaacgt gaagggtttg 180 gacctgagag atgttcaggt cgtatgcccg aaggattgaa ccatcggtga agtcaaccag 240 cctatcggta gcggaggtaa atcgacggat ttcaatcatg ttataaccgt catctggccc 300 caatgctctc gttggggaga ttgtggtctt agtcgcaaaa cggtagtcct gattcaagat 360 gagttccttt cggtcaacac cgataagggt cactctgacg aacttacgcg ctagatactc 420 gaacggaata ttaaagtccg tagtggagcc at 452 <210> 9 <211> 442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9 cttttgaaac gcccccaacc ctttttaaaa ggaacacaag ctggagctcc accgcggtgg 60 tggccgctct agaactagtt tttcccccgg gctgcaggaa ttcccatcat tgttaacgcc 120 aatagtatca gcggtaaggt cacgtgcttc ctcagcaacg tgaagggttt ggacctgaga 180 gatgttcagg tcgtatgccc gaaggattga accatcggtg aagtcaacca gcctatcggt 240 agcggaggta aatcgacgga tttcaatcat gttataaccg tcatctggcc ccaatgctct 300 cgttgtggag attgtggtct tagtcgcaaa acggtagtcc tgattcaaga tgagttcctt 360 tcggtcaaca ccgataaggg tcactctgac gaacttacgc gctagatact cgaacggaat 420 attaaagtcc gtagtggagc ca 442 <210> 10 <211> 488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0 cccccccccc taatcaaccc tttgaaacga cccaccaaag ttttgaaaag ggtaccgggc 60 cccccctcga ggtcgacggt atcgataagc acgaaatttt tttctgcctg catacgaccg 120 acgagtagag ggtgatgttg caatcatggg cggctccggt aagactacca aagacctgaa 180 agatgaaatc atggcgctgg ataagcagac agagggtaac ggcacactga aaggtgaagt 240 ggaagctctc aaggacaccg gaagattctg actggtcgtg ctcgtaggaa cccggaaggc 300 gcttggggta cagccctgcg ctccgtaaat gacctcacgt tctttgctaa gaacgcctat 360 atgggcgcac agaacgttac tgaaatcgct ggtatgctgg cgaagggtaa cgtctctgcg 420 ataactcatg gcatccctat gattaacgat tgggtcaacc cgcggtaaac cgcttcgtgc 480 ctctgaga 488 <210> 11 <211> 472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1 tacacccctt tgaacgaccc accacagttt gaaaagggta ccgggccccc cctcgaggtc 60 gacggtatcg ataagctcga tatttttttt cgtttgggta ggcaataagt cacacattcg 120 tttcctaaag accataggcg cggtattcca taatgagttt accgctgatg gtcaattcca 180 attattcact atcagtagga ggtaactatg tgctggatgg aagcgattcc tattgccatg 240 atgggtgccc aagctctaag tagccagaac agtgctgaca aggcgcgagt ggcacagacc 300 gaagctggac gcagacaggc aatggagatg gtcaaagaga tgaatatcca aaatgccaac 360 gcctcgctgg aacaacggga cgcccttgaa gctgcatcct ctgagttgac tacaccgtaa 420 catgcagaag gtacaggcta tgggaaccat ccgtgcagct attggcgagg ga 472 <210> 12 <211> 417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2 cgaattgggt accgggcccc ccctcgaggt cgacggtatc gataagcttg atattttttt 60 tgctgcgctt ctgaaaccgc tgccgacttc tcgcgttatc taccttggta cacctcaaac 120 cgaaatgacc ttgtacaagg aactcgaaga taaccgtggg tacaccacaa tcatctggcc 180 tgcgctctat ccgcgtagcc gtgaggaaga cttgtactat ggcgaccgtc tggccccgat 240 gctccgcgaa gagttcaacg atgggttcga gatgctccaa ggtcaaccga ctgaccccgt 300 gcgcttcgat atggaagacc tgcgtgagcg tgagttggaa tacggtaagg ctggcttcac 360 tttgcagttc atgctcaacc cgaacctgag tgatgccgag aagtacccct tacgcct 417 <210> 13 <211> 407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3 tttggaaaac gacccccggg agaactgcag aaaatcttca agtccggggg gggtttttgg 60 ttcaccaacc tctggaaacc ggcggccggg ggaaccgtac tgtggacact gccagactga 120 ctgcgggccc aaccgctggc gcaccgctga gtgggttcgg catggggaga agggagcaac 180 ttacttaata gctccggcgg acttaaaggg gatccgcaac ggcttggggg tggctttacc 240 ggtggaggaa tcgaaagcct ctgacccaaa cgcccaaggg cgggaataat aaaggcccaa 300 agggataaat gggccagaaa tcggggggaa tgaacaaacc gggcacccaa acttcttggg 360 ggggaaaaaa accttccccc gctggccacc ctaaaaacct tttggcg 407 <210> 14 <211> 321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4 gcggtattct gatctcctaa tagacgctga gcttttacgt agcatcagca gcttgggtag 60 ggcgatatta cgctaagcat ctgactcgcg tagccgctcg accattaaac tcgcatctac 120 cgttatcttc tggaagtccc ggtaaggggt ctttgatgcg gacttgacag cccgcttatt 180 aataactacc gcaagggtca attaaggcat ccctatcaga ggctgccttt caatggcggc 240 aaatcttctt ctttgggaac ctcacgggga aaaccccgga ctggaccttc tggccctgga 300 aatttggctg gccggctggc t 321 <210> 15 <211> 803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5 cggactagga tgttatttgg tgcatctatg taaaatctga aaattgatgg gaggtgttat 60 gctaaaactt ttacgcagcg cactcccttg ggtactcgcc gggacactct ttatgggtgg 120 ctggcactta gggtcaaccc atgagagagc aaactggaag gaggtaatcc aaaatgaata 180 cattgcgaaa acaaaagcaa ccgcagcaac tcaggcagag gtcagtcggg tatcccgtga 240 gtaccaagaa gagattgcag ccattgaagg cagcactgat aggatgctta atgacctgcg 300 tagtaataat aagcggctgt cagtccgcat caagaccctt accggactac cagaagataa 360 cggtagatgc gagtttaatg gtcgagccga actacacgag tcagatgcta agcgtattat 420 cggaataacc caagctgctg atgctcacgt aagggcgctc cagcgtacta ttaaggagat 480 gcagaatgag cgacacccaa gcaaaccgta atgcgctaat catcgcgcag cttaagggcg 540 actttgtggc cttcctgttc gtattgtgga aggctttggc tctcccgcca ccgactaagt 600 gtcagattga tatggcccgg tgtctggcta acggagacaa caagaagttt atcctacagg 660 ctttccgtgg tatcggtaag tcattcatca cctgtgcgtt cgttgtgtgg acgttatggc 720 gtgaccctca gttgaagata ctgattgtct ctgcatccaa agaacgtgcg gacgctaact 780 ccatcttcat caagaacatc agt 803 <210> 16 <211> 281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6 ttcttctgta ctccgggata cccgactgac ctctgcctga gttgctgcgg ttgcttttgt 60 tttcgcaatg tattcatttt ggattacctc cttccagttt gctctctcat gggttgaccc 120 taagtgccag ccacccataa agagtgtccc ggcgagtacc caagggagtg cgctgcgtaa 180 aagttttagc ataacacctc ccatcaattt tcagatttta catagatgca ccaaataaca 240 tccataaagg ctccccgcgt ggagaacctt gagtatgtaa a 281 <210> 17 <211> 232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7 agtggcgctc tggagaactg gcagaaaaac ttcaagtccg ttgttgagaa cggttcacca 60 acctctggaa acggcgggcc ttgggaacgt actgtgtaca ctgcccagac tgacttcggt 120 ctcaaccgct ggcgcacgct gagtggttcg tcatggggag aagtagtcaa cttacttaat 180 agctccggcg tacttaaagg gtatccgcaa cgtcttgttg ttgacttcac gg 232 <210> 18 <211> 281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8 gtccaatgat tatggccaga atcgtgtatc acaacggcac caactctggt gatatacttc 60 ccgctgccac ctcaagctct gcgcacgcga caaacgggtg gaacattaag atggctacac 120 gattgttgta tggtactgat ggcggtcaac cagtagttga gattggtgcc ttcaaggatg 180 gttctgacca gcagacggca aacgtgccag ttaaagtagg cttgcgcctc gttcacgtgt 240 tctaaggagg acataatgtt atcacttgat ttcaacaacg a 281 <210> 19 <211> 186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19 tttcaccaac ctctggaaac ggcgggcctt gggaacgtac tgtgtacact gcccagactg 60 acttcggtct caaccgctgg cgcacgctga gtggttcgtc atggggagaa gtagtcaact 120 tacttaatag ctccggcgta cttaaagggt atccgcaacg tcttgttgtt gacttcacgg 180 ttgagg 186 <210> 20 <211> 222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20 gggcgtcgct cattctgcat ctccttaata gtacgctgga gcgccctttg gtgagcatca 60 gcagctcggg ttattccgat aatacgctta gcatctgact cgtgaagttc gcgtcgacca 120 ttaaactcgc atctaccgta atcttctgga agccggaaag ggtcttgatg cggactgaca 180 gccgcttata attactacgc aggacattaa gcatcctatc ag 222 <210> 21 <211> 358 <212> DNA <213> SGP-1 Bacteriophage partial gene <400> 21 cttattacta cgcacgtcat taagcatcct atcagtgctg ccttcaatgg ctgcaatctc 60 ttcttggtac tcacgggata cccgactgac ctctgcctga gttgctgcgg ttgcttttgt 120 tttcgcaatg tattcatttt ggattacctc cttccagttt gctctctcat gggttgaccc 180 taagtgccag ccacccataa agagtgtccc ggcgagtacc caagggagtg cgctgcgtaa 240 aagttttacc ataacacctc ccatcaattt tcacatttta catacatgca ccaaataaca 300 tccataaagg ctccccgcgt ggagaacctt gagtatgtca cttactgtac cgtgattg 358

Claims (10)

  1. 살모넬라 갈리나룸(Salmonella gallinarum)을 포함한 살모넬라속균에 대한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기탁번호 KCTC 11174BP로 특정되는,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모넬라속균은 살모넬라 갈리나룸,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 살모넬라 풀오룸(Salmonella pullorum) 또는 살모넬라 티피무륨(Salmonella typhimuriu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파지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을 포함하는 유전자 서열로 표시되는 유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파지.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모넬라속균 유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모넬라속균 유발성 질환은 가금티푸스, 살모넬라증, 장염, 식중독 또는 급성 균혈증(Bacterem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2항 중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8. 제1항 내지 제2항 중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독제.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10. 제1항 내지 제2항 중 한 항의 박테리오파지를 포함하는 음용수.
KR1020070095644A 2007-09-20 2007-09-20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KR10094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44A KR100941892B1 (ko) 2007-09-20 2007-09-20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44A KR100941892B1 (ko) 2007-09-20 2007-09-20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86A KR20090030386A (ko) 2009-03-25
KR100941892B1 true KR100941892B1 (ko) 2010-02-16

Family

ID=4069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44A KR100941892B1 (ko) 2007-09-20 2007-09-20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52B1 (ko) 2011-09-09 2013-08-01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살모넬라 티피무륨 감염을 방지 및 처치하는 방법
WO2019045356A1 (ko) 2017-08-28 2019-03-0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반응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박테리오파아지의 생산량 증가 조성물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55B1 (ko) * 2010-06-09 2013-05-10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또는 살모넬라 두블린 감염을 방지 및 처치하는 방법
US8597928B2 (en) * 2010-12-21 2013-12-03 Cj Cheiljedang Corporation Bacteriophage of the siphoviridae family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KR101284719B1 (ko) * 2011-02-22 2013-07-17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에 대한 특이적 사멸능을 가지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에이취와이9001비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432872B1 (ko) 2011-09-20 2014-08-2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91789B1 (ko) 2014-04-15 2016-02-04 씨제이제일제당(주)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63593B1 (ko) * 2016-12-22 2018-06-01 주식회사 옵티팜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p1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41117B1 (ko) * 2018-04-11 2019-11-06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신규한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박테리오파지 stp-2 및 이의 살모넬라 티피뮤리움 균 증식 억제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and Diagnostic Laboratory Immunology, vol.5(3), pp.294-298.(1998.0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052B1 (ko) 2011-09-09 2013-08-01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살모넬라 티피무륨 감염을 방지 및 처치하는 방법
US9402873B2 (en) 2011-09-09 2016-08-02 Intron Biotechnology, Inc. Meth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almonella Typhimurium infection
WO2019045356A1 (ko) 2017-08-28 2019-03-07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반응성 산소종을 포함하는 박테리오파아지의 생산량 증가 조성물 및 방법
US11898171B2 (en) 2017-08-28 2024-02-13 Lysentech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production of bacteriophage using reactive oxygen spec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86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891B1 (ko)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KR100941892B1 (ko) 살모넬라 갈리나룸 감염 박테리오파지로부터 선별된살모넬라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US9433653B2 (en) Meth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scherichia coli infections using a bacteriophage with broad antibacterial spectrum against Escherichia coli
KR101260645B1 (ko) 대장균 특이적 사멸능을 나타내는 신규 분리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81795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591793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US11785948B2 (en) Bacteriophage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381796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381798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67616B1 (ko) 신규 분리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99179B1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20070533A (ko) 신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193499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세레우스 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bc1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60655B1 (ko) 살모넬라 콜레라수이스 또는 살모넬라 두블린 감염을 방지 및 처치하는 방법
KR100958139B1 (ko) 엔테로코쿠스 패칼리스 특이적 사멸능을 갖는 신규한박테리오파지
KR101871342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t1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30900B1 (ko) 신규한 조류 병원성 대장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ec1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86836B1 (ko)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에 대한 특이적인 사멸능을 가지는 신규한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37658B1 (ko) 신규한 아에로모나스 히드로필라 특이 박테리오파지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73489A (ko) 신규한 녹농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pa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71338B1 (ko) 신규한 병원성 대장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ec14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037383B1 (ko) 신규한 비브리오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vp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50024116A (ko) 바실러스 속, 락토바실러스 속, 이스트 속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축산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KR101842667B1 (ko) 신규한 살모넬라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st3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90069901A (ko) 신규한 비브리오균 특이 박테리오파지 vp2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