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414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414B1
KR100941414B1 KR1020077020920A KR20077020920A KR100941414B1 KR 100941414 B1 KR100941414 B1 KR 100941414B1 KR 1020077020920 A KR1020077020920 A KR 1020077020920A KR 20077020920 A KR20077020920 A KR 20077020920A KR 100941414 B1 KR100941414 B1 KR 100941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wheelchair
wheel
upper fram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955A (ko
Inventor
에이코 후루소
Original Assignee
에이코 후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코 후루소 filed Critical 에이코 후루소
Publication of KR20070115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78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5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radiography

Abstract

다른 의자 등으로 바꿔 앉지 않고, 그대로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에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휠체어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본체를 구비한 등받이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된 파지부, 차륜을 가지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상기 본체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는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평소에는 일반 휠체어와 마찬가지로 이동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엑스선 촬영시에는 다른 의자 등으로 바꿔 앉지 않고 그대로 리더 촬영대(Lieder's radiographic stand)나 부키 촬영대(Bucky's radiographic table) 등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 반앉은 자세 및 누운 자세로 전후(정면)방향, 측면방향 및 경사방향에 있어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이 휠체어를 촬영대로 사용하여 하지(下肢)의 엑스선 촬영, 특히 구부러진 채로 신전(伸展)되지 않는 무릎의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에 적합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고령으로 인해 휠체어 이용이 불가결한 사람, 또는 신체에 장애가 있어 휠체어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 엑스선 촬영에 의한 진단이나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휠체어를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일단 휠체어에서 하차하여 사람을 세운 채로 촬영하는 리더 촬영대 앞에 준비된 의자로 옮겨 앉거나, 부키 촬영대 등으로 옮기거나 하여 촬영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골절된 사람 등의 몸을 움직이는 것에 제한이 있는 사람을 움직여서 다른 의자에 앉히거나, 다른 촬영대로 이동시키는 것은 곤란을 동반하며, 또한, 피촬영자를 휠체어에서 내리는 시간과, 피촬영자를 간호할 시중드는 사람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 많은 수고를 요하고 있다.
이에, 휠체어를 이용하고 있는 피촬영자를 휠체어에서 내리지 않고 엑스선 촬영을 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도 17에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의 전체 개략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는, 손으로 미는 핸들 프레임(101)의 배후에 장비된 승강 조정 가능한 레일로, 엑스선 촬영용 필름이 든 카세트(102)의 홀더(103)를 꽂아 넣는 한편, 원격조작 레버(104)의 조작에 의해 그 손으로 미는 핸들 프레임(101)을 차체 프레임(106)에 대한 지점핀(105)의 주위에 기립상태로부터, 차체 프레임(106)과 발판(107)의 전체적인 침대가 되는 드러눕는 상태로 기복(起伏)변환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32946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로는 엑스선 촬영용 필름이 들어 있는 카세트가 휠체어의 등받이부에 취부되어 흉부의 엑스선 촬영은 행할 수 있지만, 촬영을 최적으로 행하기 위해 피촬영자의 촬영위치를 맞추고자 하면, 휠체어 내에서 피촬영자를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엑스선 촬영의 위치 맞추기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고, 특히 경사방향과 측면방향에서의 엑스선 촬영이 곤란했다.
또한, 하지의 엑스선 촬영, 특히 구부러진 채로 신전되지 않는 무릎을 전후(정면)방향으로부터 엑스선 촬영하는 경우에는, 카세트를 무릎에 근접시켜 촬영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는 엑스선 촬영용 카세트홀더 등이 휠체어에 부착되어 있을 뿐 아니라 등받이의 일부를 수납할 수 없기 때문에, 무겁고 커서 통상의 휠체어처럼 병원 내나 병실 내 등에 놓아두거나, 평소 이동할 때 사용하기 어려우며, 또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자에게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경우에는 일부러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에 앉히기 위해서 움직이거나, 다른 촬영대로 옮겨야만하기 때문에, 특히 골절된 사람 등의 몸을 움직이는 것에 제한이 있는 사람을 엑스선 촬영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경량·소형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쾌적한 휠체어로서 창안된 것으로, 평소에는 일반 휠체어와 마찬가지로 이동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엑스선 촬영 시에는 다른 의자 등으로 바꿔 앉지 않고 그대로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 예를 들면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휠체어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본체를 구비한 등받이부,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連設)된 파지부, 차륜,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상기 차륜에 접속된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상기 차륜에 접속된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를 가지는 휠체어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상기 본체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는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에 일직선으로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는 탈착 및 회동(回動) 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상부 프레임 바디는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에 일직선으로 연설되어 있고, 파지부는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리더 촬영대와 피촬영자의 신체를 거의 평행하게 하면서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선명한 엑스선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부의 본체가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엑스선이 촬영대에 통과하기 쉬워져, 선명한 엑스선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부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프레임부재를 구비한 좌우의 팔걸이부를 가지고, 상부 프레임 바디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으며, 프레임부재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고, 차륜은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 및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취부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리더 촬영대와 피촬영자의 신체 특히 측면을 거의 평행하게 하면서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선명한 엑스선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부의 본체가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엑스선이 촬영대에 통과하기 쉬워져, 선명한 엑스선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 바디에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가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 바디와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파지부는 만곡되어 있고,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파지부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파지부 조정기구가, 파지부의 만곡된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을 향해 파지부에 취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본체는 커버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덮여있고, 본체와 커버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프레임부재를 구비한 좌우의 팔걸이부와,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다리 프레임 바디와, 다리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발판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도록 시트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횡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1 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도록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2 횡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한 경우,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에 의해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의 무릎 뒷부근에 엑스선 촬영에 사용되는 카세트(수상부(image receiving portion))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 및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의 각각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 휠체어 차륜이 구조물 등에 올라앉아 시트부가 접지면에 대해 기울어져도, 올라앉은 차륜이 부착된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 또는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를 짧게 하거나, 올라앉아 있지 않은 차륜이 부착된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 또는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를 늘리거나 하여, 시트부를 접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좌우의 팔걸이부와 상부 프레임 바디가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 바디는 그 일단(一端)에 있어서 시트부에 대해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경우, 후방으로 등받이부를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휠체어에 앉은 자에게 있어서 이동시에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앉은 자세의 자세 유지가 곤란한 자에게는 이동시뿐만 아니라 엑스선 촬영시에도 반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로 휠체어에 탄 채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발판이 회동 가능하게 다리 프레임 바디에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발판이 발을 올리는 면과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며,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은 카세트(수상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발판을 회동시켜서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한 경우,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은 제2 지지부재와 거의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의 측면을 따라 하지의 측방에 카세트(수상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발판이 다리 프레임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경우, 장신의 피촬영자가 앉아도 발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발을 뻗어도 발판에 발을 올릴 수 있으므로, 그만큼 무릎의 위치가 낮아져 하지의 엑스선 촬영을 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시트부가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카세트(수상부)를 시트부의 바로 밑에 배치하여 대퇴부를 엑스선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에 있어서 제1 지지부재에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동시에 대향하는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같은 경우, 예를 들면 한쪽의 구멍부에 제1 횡부재가 되는 봉재를 통과시킨 후,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구멍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휠체어는 경량·소형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쾌적하며, 평소에는 일반 휠체어와 마찬가지로 이동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엑스선 촬영시에는 다른 의자 등으로 바꿔 앉지 않고, 그대로 일반 엑스선 촬영장치, 예를 들면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서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3은 등받이부의 본체를 떼어낸,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의 다른 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아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아 전후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에 카세트(수상부)를 취부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신전되지 않고 구부러진 채인 무릎 부근을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일실시태양(a)과,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대퇴부를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일실시태양(b)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하지의 측면방향 엑스선 촬영을 행하기 위한 카세트(수상부) 취부의 일례(a)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하지의 측면방향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일실시태양(b)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기울여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일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서로 분리된 팔걸이부와 등받이부가 하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조인트부와 멈춤나사(setscrew)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4는 전륜에 취부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모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발판의 일례(a)와, 발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b)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등받이부의 본체를,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 커버로 덮을 때의 일태양(a)과, 등받이부의 본체가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 커버로 덮여 있을 때의 일태양(b)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의 전체 개략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휠체어
2 시트부
3 등받이부
4 상부 프레임 바디(upper frame body)
4A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
4B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
5 본체
5A 커버
6 파지부(holding portion)
7 전륜
8 후륜
9 발판
10 다리받침
11 팔걸이부
11A 프레임부재
12 브레이크
13 파지부 조정기구
14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
15 안전벨트
16 보강용 파이프
17 고정나사(fixing screw)
18 하부 프레임 바디
18A 하부 분기 프레임 바디
18B 다리 프레임 바디
19 수용 파이프
20 리더 촬영대(Lieder's radiographic stand)
21 카세트(수상부)(Cassette(image receiving portion))
22 엑스선 조사방향
22A 촬영대 지지장치
22B 촬영대
23 제1 지지부재
23A 제1 구멍부
24 제1 봉재(제1 횡부재)
25 제2 지지부재
25A 제2 구멍부
26 제2 봉재(제2 횡부재)
27 지지판
27A 구멍부
28 발판 지지봉
28A 높이 조절기구
29 카세트홀더
30 유지부재(holding member)
31 무릎 하부
32 무릎부
33 베개부
34 머리받침(headrest)
35 베개부 프레임 바디
36 손잡이
37 조인트부
38 멈춤나사(setscrew)
39 고정나사
40 나사산(thread)
41 잠금나사(locking screw)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1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1)는 시트부(2)와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여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본체(5)를 구비한 등받이부(3),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된 파지부(6), 전륜(7), 직경 12인치(30.5 ㎝)의 후륜(8), 발을 지지하는 발판(9), 하지가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리받침(10), 팔걸이부(11), 브레이크(12),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파지부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파지부 조정기구(13), 시트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켜서 차륜의 접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시트부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프레임 바디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본체(5)인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천은, 추가로 두꺼운 직물의 천 등 내구성이 우수난 커버(5A)로 탈착 가능하게 덮여 있어, 어느 쪽도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소정의 각도」란, 시트부가 전후좌우방향에 있어서 경사짐에 따라 형성되는 각도를 말한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내구성이 우수한 천으로 탈착 가능하게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천을 덮지 않아도 되며, 또한, 천이 아니어도 되고, 더욱이 가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되며, 또한, 파지부 조정기구,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 및 안전벨트를 휠체어에 취부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후륜의 직경은 30.5 ㎝가 아니어도 되며, 브레이크는 전륜에 취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휠체어로의 이동시에 휠체어에 앉은 사람을 보다 안정하게 앉힐 수 있다는 관점에서,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와는 별도로, 두꺼운 직물의 천 등으로 구성된 안전벨트를 휠체어에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2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1)는 시트부(2)와,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여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본체(5)를 구비한 등받이부(3),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된 파지부(6), 상부 프레임 바디와 거의 평행한 프레임부재(11A)를 구비한 팔걸이부(11), 전륜(7), 브레이크(12)가 취부된 후륜(8),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 하부 프레임 바디(18), 발을 지지하는 발판(9), 하지가 후방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리받침(10),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파지부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파지부 조정기구(13), 시트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15), 상부 프레임 바디(4)와 팔걸이부(11)의 프레임부재(11A)를 접속하는 보강용 파이프(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등받이부의 본체(5)인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천은, 추가로 두꺼운 직물의 천 등 내구성이 우수한 커버(5A)로 탈착 가능하게 덮여 있어, 어느 쪽도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트부(2)를 지지하는 네 귀퉁이의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고정나사(17)로 등받이부(3) 및 팔걸이부(11)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한, 후륜(8)은 전륜(7)과 마찬가지로 직경 6인치(15.3 ㎝)를 가짐과 동시에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어, 전륜 및 하륜은 하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륜(7)의 상부에 더해져 후륜(8)의 상부에도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후륜(8)은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지지파이프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고정나사(17)는 휠체어 안쪽으로 향하고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후륜에 브레이크를 취부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후륜의 직경은 6인치가 아니어도 되어 예를 들면 6~12인치(15.3~30.5 ㎝)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또한, 후륜은 전륜과 마찬가지로 지지파이프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회전하는 것이어도 되고, 시트부의 중앙을 들어올려 접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휠체어여도 된다.
도 3은 등받이부의 본체가 떼어내어진,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파지부는 파지부 조정기구를 느슨하게 하여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로부터 떼어내고, 예를 들면 2개의 파지부분을 각각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전방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재차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되고,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는 탄력성이 있는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4B)가 취부되어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를 취부하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의 다른 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팔걸이부(11)와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4)는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바디(4)로부터는 보강을 위해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가 분기하여 상부 프레임 바디(4)와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어,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는 각각 하부 프레임 바디(18) 및 하부 프레임 바디(18)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수용 파이프(19)에, 고정나사(17)로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다. 팔걸이부(11)의 2개의 프레임부재(11A)는 각각, 하부 프레임 바디(18) 및 하부 프레임 바디(18)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수용 파이프(19)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다. 또한, 팔걸이부(11)의 프레임부재(11A) 사이에는, 이들을 접속하는 보강용 파이프(1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와는 분리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또한, 반드시 수용 파이프에 고정나사를 취부하지 않아도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아서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경우, 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좌우의 팔걸이부 및 등받이부를 떼어내고,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의 몸 측면을 리더 촬영대(20)의 카세트(수상부(受像部))(21)와 거의 평행하게 하는 동시에 밀착시킨다. 피촬영자의 측방에 배치된 엑스선 관구(X-ray tube)(도시하지 않음)는 엑스선 조사방향(22)이 카세트(21)에 거의 수직이 되도록 향해지고, 엑스선 관구(도시하지 않음)에서 방사된 엑스선이 피촬영자의 몸을 통과하여, 카세트(수상부)(21)에 화상이 인화되어 엑스선 사진이 얻어진다. 카세트(수상부)는 흉부, 두부, 경부, 어깨, 요부 등 촬영하는 부위에 따라 촬영대 지지장치(22A)를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또한, 엑스선 사진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필름이 들어 있는 카세트 대신 이미징 플레이트(IP)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나사를 느슨하게 하여 좌우의 팔걸이부 및 등받이부를 떼어낸 상태에서, 피촬영자가 등을 리더 촬영대의 수상부와 거의 평행하게 하는 동시에 밀착시켜서 전후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아서 전후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경우,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1)로부터 파지부를 떼어내는 동시에, 등받이부의 본체를 덮고 있던 두꺼운 직물의 천을 떼어내어 본체만으로 하고,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는 등을 리더 촬영대(20)의 카세트(수상부)(21)와 거의 평행하게 하는 동시에 밀착시킨다. 피촬영자의 전방에 배치된 엑스선 관(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엑스선 조사방향(22)으로 방사된 엑스선이 피촬영자의 몸과 등받이부의 본체를 통과하여, 카세트(수상부)(21)에 화상이 인화되어 엑스선 사진이 얻어진다. 카세트(수상부)는 흉부, 두부, 경부, 어깨, 요부 등 촬영하는 부위에 따라 촬영대 지지장치(22A)를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여기에서, 파지부를 떼어내고 있지만 피촬영자의 등을 수상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파지부를 떼어내지 않아도 되고, 파지부를 회동시켜서 등받이부와 동일 평면 내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등받이부의 전방으로 향하게 해도 된다.
또한, 피촬영자의 등이 카세트(수상부)(21)에 밀착되기 때문에, 등이 앞으로 굽어진 전굴(前屈)자세의 피촬영자도, 상체가 자연스럽게 일어나 자세의 보정을 편하고, 정확하게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반신이 일어나는 것으로 인해 넓은 시야상과 일그러짐이 없는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형의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정확한 엑스선 입사 각도가 얻어져, 재현성 있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에 카세트(수상부)를 취부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1)는 시트부(2)와 시트부에 거의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여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본체(5)를 구비한 등받이부(3), 상부 프레임 바디와 동일 평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튀어나오듯이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된 파지부(6), 전륜(7), 브레이크(12)가 취부된 후륜(8), 발을 지지하는 발판(9), 상부 프레임 바디와 거의 평행한 프레임부재(11A)를 구비한 팔걸이부(11), 파지부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파지부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파지부 조정기구(13),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15), 상부 프레임 바디(4)와 팔걸이부(11)의 프레임부재(11A)를 접속하는 보강용 파이프(16),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 하부 프레임 바디(18),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와 발판을 연결하는 다리 프레임 바디(18B), 서로 대향하도록 시트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된 제1 봉재(24)(제1 횡부재의 일례)가 복수의 제1 구멍부(23A)의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제1 지지부재(23), 서로 대향하도록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된 제2 봉재(26)(제2 횡부재의 일례)가 복수의 열쇠구멍 형상의 제2 구멍부(25A)의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제2 지지부재(25), 발판(9)의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취부된 카세트(수상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장치되도록 복수의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27A)가 형성된 지지판(27), 발판에 취부되어서 발판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기구(28A)를 구비한 발판 지지봉(2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카세트(수상부)(21)가 카세트홀더(29)에 유지되고, 카세트홀더 단부(端部)의 후크가 제1 봉재(24)에 걸려 있는 동시에 제2 봉재(26) 위에 카세트홀더(29)가 올려 놓여 있다.
여기서, 카세트홀더란 카세트를 누르는 부분과 카세트를 받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어, 카세트(수상부)의 크기에 맞추어 카세트를 누르는 부분과 카세트를 받는 부분을 올리고 내리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양측의 원통형상 봉에 부착된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카세트(수상부)를 올리고 내려 카세트(수상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말한다.
또한,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삽입되는 프레임부재(11A)의 일부는, 뒤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 바디(4)의 일부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제1 구멍부(23A)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동시에, 대향하는 제1 구멍부(23A)의 형상은 서로 같다. 또한, 등받이부의 본체나 시트부가 투명하다면, 본체를 통과하여 촬영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대에 대한 등받이부의 위치 맞추기가 용이해지거나, 시트부를 통해서 시트부의 바로 밑에 배치한 카세트(수상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카세트(수상부)의 위치 맞추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는 금속재료뿐 아니라, 목재, 아크릴 재료, 엑스선 투과성 재료, 예를 들면 카본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는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등받이부의 본체(5)인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천은, 추가로 두꺼운 직물의 천 등 내구성이 우수한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탈착 가능하게 덮여있어, 어느 쪽도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트부(2)를 지지하는 네 귀퉁이의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등받이부(3) 및 팔걸이부(11)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한, 후륜(8)은 전륜(7)과 마찬가지로 직경 6인치(15.3 ㎝)를 가지는 동시에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어, 전륜 및 후륜은 하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전륜(7)의 상부에 더해져 후륜(8)의 상부에도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후륜(8)은 전후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하부 프레임 바디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내구성이 우수한 천으로 탈착 가능하게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천을 덮지 않아도 되고, 또한, 천이 아니어도 되며, 추가로 파지부 조정기구,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 안전벨트, 지지판 및 발판 지지봉을 휠체어에 취부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후륜에 브레이크를 취부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후륜의 직경은 6인치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6~12인치(15.3~30.5 ㎝)의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해도 되며, 또한, 후륜은 전륜과 마찬가지로 하부 프레임 바디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회전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파지부를 반드시 후방으로 밀어내고 있지 않아도 되어,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거나 상부 프레임 바디의 전방으로 튀어나와 있지 않아도 되며, 더욱이 차륜은 반드시 하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차륜이 시트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안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시트부의 중앙을 들어올려 접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의 휠체어여도 되고, 또한,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는 하부 프레임 바디 표면의 나사산과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의 안쪽 나사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고 있으나, 높이가 다른 부재를 교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켜도 된다.
또한, 제1 횡부재 및 제2 횡부재가 각각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것이라면, 반드시 제1 구멍부 및 제2 구멍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자기로 제1 횡부재 및 제2 횡부재를 취부해도 되며, 또는 제1 지지부재의 상변(上邊)에 복수의 홈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어 있다면, 제1 횡부재는 한쪽의 제1 지지부재로부터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제1 지지부재까지 연속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휠체어로의 이동시에 휠체어에 앉은 사람을 보다 안정하게 앉힐 수 있는 것에서,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와는 별도로, 두꺼운 직물의 천 등으로 구성된 안전벨트를 휠체어에 취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좌우의 다리 프레임 바디(18B)를 연결하도록 다리받침을 취부해도 된다.
도 8(a)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신전되지 않고 구부러진 채의 무릎 부근을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일실시태양의 개략도이다.
도 8(b)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대퇴부를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일실시태양의 개략도이다. 도 8에 있어서 보이는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 등은 생략하고 있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릎 부근을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경우, 시트부(2)의 아래쪽으로서 전후의 하부 프레임 바디(18) 사이에 배치된 제1 지지부재(23)에 형성된 제1 구멍부(23A)에는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가 취부되고,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18)와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로부터 전방으로 분기한 하부 분기 프레임 바디(18A) 사이에 배치된 제2 지지부재(25)에 형성된 제2 구멍부(25A)에는 제2 봉재(도시하지 않음)가 취부되며, 카세트(수상부)(21)를 유지한 카세트홀더(29)는 그 상단(上端)에 있는 후크를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에 걸어서,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와 제2 봉재(도시하지 않음) 위에 놓인다. 그리고, 촬영자는 피촬영자의 무릎 뒷부근에 카세트(수상부)(21)가 위치하도록,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결정하고, 카세트(수상부)(21)의 전후 위치를 나사로 조절하며, 또한 제2 봉재(도시하지 않음)의 위치를 바꾸어 카세트(수상부)(21)의 높이를 조절한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퇴부를 전후방향에서 엑스선 촬영하는 경우, 시트부(2)는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복수 있는 제1 구멍부(23A) 중에 적어도 2개에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를 취부하며, 이들 제1 봉재(도시하지 않음) 위에 카세트(수상부)(21)를 유지한 카세트홀더(29)가 놓인다. 이것으로써 시트부(2)의 바로 밑에 카세트(수상부)(21)가 시트부(2)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피촬영자는 시트부(2)에 앉은 채로, 촬영자는 카세트(수상부)(21)에 대해 엑스선 조사방향(22)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엑스선 관구(도시하지 않음)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팔걸이부나 상부 프레임 바디를 떼어내고 있으나, 이들을 취부한 채 엑스선 촬영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피촬영자 위쪽에 배치된 엑스선 관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방사되는 엑스선이 피촬영자의 몸을 통과하여 카세트(수상부)(21)에서 엑스선 화상이 인화되어 엑스선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엑스선 화상이 얻어지는 것이라면, 카세트(수상부)는 엑스선용 필름이 들어간 카세트이어도 되고, 이미징 플레이트(IP)여도 되며, 카세트(수상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화상 판독 장치(image reading device)여도 된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시트부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9(a)는 하지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기 위한 카세트(수상부) 취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3 예를 이용하여 하지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일실시태양의 개략도이다.
하지 측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경우, 발판을 회동시켜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하고,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은 제2 지지부재와 거의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하며, 카세트(수상부)(21)를 유지하는 U자상의 유지부재(30)를 제2 지지부재(25)와 발판(9)에 취부된 지지판(27)에, 유지부재(30)의 바닥면이 서로 거의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즉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각각 취부하고, 취부된 2개의 유지부재(30)에 카세트(수상부)를 끼워넣어 카세트(수상부)를 유지한다. 또한, 유지부재(30)는 유지부재에 취부된 후크(도시하지 않음)를 제2 지지부재(25)에 형성된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25A) 및 지지판(27)에 형성된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27A)에 삽입함으로써 취부된다. 또한, 유지부재(30)는 하지의 촬영부위와 카세트(수상부)의 크기에 맞추어 제2 지지부재(25) 및 지지판(27)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로부터 선택된 것에 취부된다.
또한, 발판(9)의 측면을 따라 취부된 발판 지지봉(28)을 180°이동시켜 발판을 지지함으로써, 카세트(수상부)를 더욱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 지지봉(28)에는 나사산을 이용하여 회전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28A)가 취부되어 있으므로, 발판(9)의 지지판(27)에 취부된 유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25)에 취부된 유지부재의 높이가 상이하여, 카세트(수상부)(21)가 기울어져 있어도, 높이 조절기구(28A)로 높이를 조절하여 기욺을 바로잡을 수 있다.
여기서, 유지부재가 제2 지지부재(25)와 지지판(27)에 취부되면, 반드시 제2 지지부재나 지지판에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를 형성하여, 유지부재의 후크(도시하지 않음)를 이 구멍부에 삽입함으로써 유지부재를 취부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자기로 유지부재를 취부해도 된다.
카세트(수상부)가 하지의 촬영부위에 맞추어 유지되면, 촬영자는 피촬영자의 하지(무릎 하부(31)와 무릎부(32))를 카세트(수상부)(21)에 근접시켜, 하지(무릎 하부(31)와 무릎부(32))가 카세트(수상부)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밀착시킨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카세트(수상부)에 대해 엑스선 조사방향(22)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엑스선 관구(도시하지 않음)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하여 촬영한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하지란, 무릎부와 무릎 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발끝부를 촬영할 때는 카세트(수상부)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발을 발판에 올리고, 발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엑스선 촬영을 행한다. 발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방법은 하지의 전후(정면)방향의 촬영시에도 적용된다.
다음으로, 리더 촬영대와 부키 촬영대에 대해 설명한다.
리더 촬영대는 바닥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 주로 서있는 자세나 앉은 자세로 엑스선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촬영대이고, 부키 촬영대는 바닥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어, 주로 누운 자세로 엑스선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촬영대이다. 모두 엑스선 관구로부터의 엑스선이 촬영대의 수상면에 대해 정확한 방향으로 입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키 촬영대 중에는 촬영대의 수상면을 수평면에 대해 기울일 수 있는 것도 있다. 따라서, 이들 촬영대 등의 엑스선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함으로써, 일그러짐 없고 재현성 있는 화상사진이 얻어진다. 또한,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 내장된 엑스선량 자동 노출 제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과부족 없는 적정한 엑스선량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제4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에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는, 팔걸이부(11)와 등받이부(3)의 상부 프레임 바디(4)가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 바디(4)는 그 일단에 있어서 조인트부(37)로 시트부(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과, 등받이부(3)의 기울기 각도를 결정하는 멈춤나사(38)가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취부되어 있는 점과, 상부 프레임 바디(4)에는 보강을 위해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서 상부 프레임 바디(4)와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는 각각, 하부 프레임 바디(18) 및 하부 프레임 바디(18)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수용 파이프(19)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점과, 탈착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U자상의 베개부 프레임 바디(35)와 베개부 프레임 바디를 횡단하여 베개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면이나 카본 등의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머리받침(34)을 구비한 베개부(33)를 갖추고 있는 점과, 베개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손잡이(36)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와 상이하다. 또한, 베개부(33)는 파지부를 떼어내고 취부된다.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의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기울여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일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등받이부(3)는 사전에 기울여둔 촬영대(22B) 위에 거의 평행하게 놓여지고, 카세트(수상부)는 촬영대 지지장치(22A)에 취부된 촬영대(22B)의 내부에 촬영대와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위치 맞추기의 경우에는, 피촬영자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피촬영자가 앉은 휠체어와 수상부를 움직이므로, 피촬영자는 등받이부(3)에 등을 맡긴 채여도 된다. 촬영자는 카세트(수상부)(21)에 대해 엑스선 조사방향(22)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엑스선 관구(도시하지 않음)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한다. 또한, 카세트(수상부)(21)에 대해 엑스선 조사방향(22)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촬영대의 경사에 연동(連動)하여 움직이도록 설치한 엑스선 관구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팔걸이부를 취부하고 있으나, 팔걸이부를 떼어내고 엑스선 촬영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2는 서로 분리된 팔걸이부와 등받이부가 하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태양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파지부(6)는 파지부 조정기구(13)를 느슨하게 하여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4)로부터 떼어내어, 예를 들면 2개의 파지부를 각각 휠체어의 좌우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전방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재차 상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되고,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4)에는 탄력성이 있는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4B)가 취부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바디(4)의 일부는 하부 프레임 바디(18) 내에 삽입되어 고정나사(39)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의 일부 및 팔걸이(11)의 프레임부재(11A)의 일부가 각각 수용파이프(19)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수용 파이프(19)에 삽입된 프레임부재(11A)의 일부보다도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삽입된 프레임부재(11A)의 일부가 길게 되어 있다. 또한, 팔걸이부(11)의 프레임부재(11A) 사이에는 이들을 접속하는 보강용 파이프(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바디(4)와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와의 사이에 아크릴판이나 목판 등 비교적 단단한 판을 끼워넣음으로써, 흉부나 그 외의 측방향 촬영시에 피촬영자의 등을 확실하게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파지부를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로부터 떼어내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파지부를 떼어내지 않고 회동시켜도 된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의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를 취부하지 않아도 된다.
도 13은 조인트부와 멈춤나사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바디(18) 내에 삽입되어 있던 상부 프레임 바디(4)의 일부와 조인트부(37)는 도 10과 같이 등받이부(3)를 후방으로 기울이는 경우, 위쪽으로 끌어 올려져서 하부 프레임 바디(18)로부터 내밀어져, 조인트부(37)를 축으로 상부 프레임 바디(4)는 후방으로 기울여져서, 상부 프레임 바디(4)가 멈춤나사(38)에 맞닿아 각도가 결정된다.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일부 표면 상에는 나사산(40)이 형성되어 있어, 멈춤나사(38)의 안쪽의 나사산(도시하지 않음)과 맞물려 멈춤나사(38)를 회동시켜 올리고 내림으로써 각도를 조절한다. 즉 멈춤나사(38)를 내림으로써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축선에 대한 상부 프레임 바디(4)의 각도가 커지고, 반대로 멈춤나사(38)를 올림으로써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축선에 대한 상부 프레임 바디(4)의 각도가 작아진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바디(4)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30°, 45°및 60°로 기울어지도록 사전에 소정의 각도마다 다른 멈춤나사를 하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해두면, 멈춤나사(38)를 올리고 내려서 각도를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도 14는 전륜에 취부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일부 표면 상에는 나사산(4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의 안쪽의 나사산(도시하지 않음)과 맞물려,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14)와 함께 전륜(7)을 회전시김으로써 하부 프레임 바디(18)를 신축시킨다. 후륜에 취부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수동이어도 전동이어도 되며, 또한 반드시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 바디의 선단(先端)에 형성된 잠금나사가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의 내벽에 걸리도록 하여, 하부 프레임 바디 신축기구를 약 1/4 좌우로 돌림으로써 잠금의 온(ON)과 오프(OFF)를 전환하여 하부 프레임 바디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5(a)는 발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5(b)는 발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다리 프레임 바디(18B)의 선단에는 잠금나사(4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발판(9)의 한변은 통체(筒體)로 되어 있으며, 이 통체 내에 잠금나사(41)를 포함하는 다리 프레임 바디(18B)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완전하게 발판(9)이 다리 프레임 바디(18B)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금나사(41)가 발판(9)의 통체 내벽에 걸리도록 통체는 구성되어 있다. 발판의 일부 통체를 약 1/4 좌우로 돌림으로써 잠금을 잠금의 온(ON)과 오프(OFF)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해 발판(9)은 다리 프레임 바디(18B)를 따라 슬라이드하여 발판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a)은 등받이부의 본체를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 커버로 덮을 때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16(b)은 등받이부의 본체가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구성된 커버로 덮여 있을 때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등받이부의 본체(5)와 커버(5A)는 모두 휘어져 있다. 여기서, 등받이부의 본체가 커버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덮여져 있다면, 어떤 형태의 커버여도 되고, 예를 들면 띠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는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는 리더 촬영대와 피촬영자의 신체를 거의 평행하게 하면서도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엑스선 촬영전용 휠체어나 리더 촬영대 앞에 배치된 의자와 같은 다른 의자로 옮겨 앉지 않고, 흉부, 두부, 경부, 어깨, 요부, 골반, 상지, 하지 등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에서는 엑스선 촬영대와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촬영자는 휠체어 내의 비좁은 공간 내에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를 움직여 위치 맞추기를 행해야만 하고, 특히 경사방향이나 측면방향에서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기 위해 피촬영자가 비스듬하게나 옆으로 향하는 것은 곤란한 것에 비해,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는 피촬영자가 앉은 휠체어를 움직여 위치를 맞추므로, 피촬영자의 부담이 가벼워지고,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며, 등받이부의 본체가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파지부가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다고 하듯이,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 밀착시켜 엑스선 촬영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종래의 엑스선 촬영용 휠체어에 비해 경량·소형으로, 취급이 용이하고, 쾌적하며, 더욱이 하부 프레임 바디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등받이부와 좌우의 팔걸이부가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탈착 가능하게 하부 프레임 바디에 연설되어 있고, 차륜이 하부 프레임 바디의 연장선상에 취부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의 측면이 리더 촬영대에 밀착 가능하고, 등받이부와 팔걸이부가 방해가 되지 않게 휠체어 자체를 비스듬하게나 옆을 향하거나 이동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정확한 엑스선 촬영의 위치 맞추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피촬영자는 휠체어에 앉은 채로 전후방향뿐 아니라 측면방향이나 경사방향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서의 엑스선 촬영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 등에서 촬영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한 촬영조건이 얻어지게 되었다. 또한, 카세트 지지기가 취부된 리더 촬영대나 투시대에서의 엑스선 촬영이나 투시도 가능하여, 보다 광범위의 촬영이나 진단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닥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부키 촬영대나 촬영대의 각도를 바꿀 수 있는 촬영대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는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횡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제1 지지부재와 서로 대향하도록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2 횡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2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휠체어에 앉은 피촬영자의 무릎 뒷부근에 엑스선 촬영에 사용되는 카세트(수상부)를 지지할 수 있어, 엑스선 촬영전용 휠체어나 리더 촬영대 앞에 배치된 의자와 같은 다른 의자로 바꿔 앉지 않고, 하지의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2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2 횡부재에 의해 카세트(수상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래 무릎은 곧게 신전시켜 카세트(수상부)에 밀착시켜 촬영해야 하고, 신전되지 않고 구부러진 채의 무릎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무릎 뒤를 되도록 카세트(수상부)에 접근시키기 위해, 보조용구를 사용해야만 하지만, 본 발명의 휠체어에서는 보조용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무릎 뒤를 카세트(수상부)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양호한 무릎의 전후(정면)방향의 엑스선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는 제1 지지부재에 형성된 서로 이웃하는 제1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므로 제1 봉재의 전후 위치를 판단하기 쉽고, 더욱이 대향하는 제1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같으므로, 한쪽의 제1 구멍부에 제1 봉재를 통과시킨 후,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제1 구멍부를 찾기 쉬워진다.
또한, 전후좌우의 하부 프레임 바디의 각각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의 차륜이 리더 촬영대 등에 올라앉아 시트부가 접지면에 대해 기울어져도, 올라앉은 차륜이 부착된 하부 프레임 바디를 짧게 하거나, 올라앉아 있지 않은 차륜이 부착된 하부 프레임 바디를 늘리거나 하여, 시트부를 접지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휠체어에서 내릴 경우에는,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를 줄이거나 뒤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를 늘리는 것으로, 시트부의 전단부(前端部)가 시트부의 후단부(後端部)보다도 아래쪽이 되도록 기울여서 내리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휠체어에 앉아 있을 때는, 앞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를 늘리거나 뒤쪽의 하부 프레임 바디를 줄이는 것에 의해, 시트부의 전단부가 시트부의 후단부보다도 위쪽이 되도록 기울여서 둔부가 전방으로 미끄러지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부의 전후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기울이는 요령으로, 접지면으로부터 시트부까지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넓은 범위에서 선명한 X선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팔걸이부와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가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상부 프레임 바디는 그 일단에 있어서 조인트부에 의해 시트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시트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방으로 등받이부를 기울이는 것이 가능해서, 휠체어에 앉은 자에게 있어 이동시 편안한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앉은 자세의 자세 유지가 곤란한 자에게는 이동시뿐 아니라 엑스선 촬영시에도, 반앉은 자세나 누운 자세로 휠체어에 탄 채 기존의 촬영대를 이용하여 엑스선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부 프레임 바디에 취부된 멈춤나사에 상부 프레임 바디를 맞닿게 하여, 멈춤나사를 올리고 내림으로써 상부 프레임 바디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을 회동시켜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하고,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을 제2 지지부재와 거의 동일 평면 내에 위치시켜, 발판의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된 지지판이 취부되어 있으므로, 구멍부에 카세트(수상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찬가지로 열쇠구멍 형상의 구멍부가 형성된 제2 지지부재의 구멍부에 취부된 유지부재도 이용하여, 휠체어의 측면을 따라 하지의 측방에 카세트(수상부)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측면방향의 하지 엑스선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발판이 이동 가능하게 다리 프레임 바디에 취부되어 있으므로, 장신의 피촬영자가 앉아도 발판을 이동시킴으로써 발을 뻗어도 발판에 발을 올리는 것이 가능해서, 그만큼 무릎의 위치가 낮아져 하지의 엑스선 촬영을 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을 눕혔을 때의 발 위치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부가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부재로 카세트(수상부)를 시트부의 바로 밑에 배치하여 대퇴부를 엑스선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 바디와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와의 사이에, 위로부터 아크릴판이나 목판 등 비교적 단단한 판을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여, 피촬영자의 등을 단단히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부와 좌우의 팔걸이부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휠체어 이용자의 침대로부터 휠체어로의 이동 및 휠체어로부터 침대 또는 부키 촬영대 등으로의 이동이 편해진다.
더욱이, 등받이부의 본체 및 이것을 덮는 커버가 탈착 가능하며 가요성 있는 천이므로, 더러워져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휠체어에 앉은 자의 등의 휘어진 정도에 맞는 형상이 되므로, 쾌적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요성이 있는 천이므로 탈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받이부의 상부 프레임 바디에 탄력성이 있는 상부 프레임 바디 커버가 취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을 적용한 휠체어를 리더 촬영대에 밀착시킬 때 피촬영자로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리더 촬영대를 상부 프레임 바디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에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안전벨트를 취부하고 있으므로, 엑스선 촬영시에 촬영에 적합한 피촬영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쉬워지고, 더욱이 두꺼운 직물의 천 등으로 구성된 별도의 안전벨트도 취부되기 때문에, 휠체어로의 이동시에 휠체어에 앉은 사람을 보다 안정하게 앉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륜 및 후륜이 각각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거의 수직인 하부 프레임 바디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휠체어 측면의 돌출이 없어 휠체어를 수상부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리더 촬영대에서의 촬영의 경우에, 수상부가 피촬영자의 측면과 휠체어의 측면을 자유자재로 상하로 슬라이드가 가능하여 넓은 범위에서 선명한 엑스선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더 촬영대나 부키 촬영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촬영조건 하에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전륜 및 후륜이 하부 프레임 바디의 축선을 중심으로 360°회전하므로, 엑스선 촬영의 위치를 맞출 때에 휠체어의 세밀한 이동이 가능해진다.

Claims (14)

  1. 시트부(2)와, 상기 시트부(2)에 수직으로 취부된 상부 프레임 바디(4) 및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를 횡단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에 탈착 가능하게 취부된 본체(5)를 구비한 등받이부(3)와,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에 연설된 파지부(6), 차륜,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차륜에 접속된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차륜에 접속된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를 가지는 휠체어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이고,
    상기 본체(5)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는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일직선으로 연설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6)는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에 연설되어 있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평행한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에 수직으로 취부된 프레임부재(11A)를 구비한 좌우의 팔걸이부(11)를 가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연설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부재(11A)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 차륜은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연장선상 및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연장선상에 취부되어 있는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에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가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와 상기 상부 분기 프레임 바디(4A)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휠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6)는 만곡되어 있고,
    상기 파지부(6)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파지부(6)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파지부 조정기구(13)가, 상기 파지부(6)의 만곡된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해 상기 파지부(6)에 취부된 휠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는 커버(5A)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덮여 있고,
    상기 본체(5)와 상기 커버(5A)는 가요성을 가지는 휠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에 수직으로 취부된 프레임부재(11A)를 구비한 좌우의 팔걸이부(11)와,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로부터 전방으로 뻗은 다리 프레임 바디(18B)와,
    상기 다리 프레임 바디(18B)에 취부된 발판(9)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시트부(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1 횡부재(24)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1 지지부재(23)와,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대향하는 공간영역에 배치되는 제2 횡부재(26)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는 제2 지지부재(25)를 구비한 휠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는 커버(5A)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덮여 있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재(11A)는 상기 차륜의 접지면에 대해서 수직으로, 또한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에 연설되어 있고,
    상기 차륜은 상기 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연장선상 및 상기 후방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연장선상에 취부되어 있는 휠체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하부 프레임 바디(18)의 각각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휠체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팔걸이부(11)와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가 분리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상부 프레임 바디(4)는 그 일단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에 대해 탈착 및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휠체어.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9)이 회동 가능하게 상기 다리 프레임 바디(18B)에 취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발판(9)이 발을 올리는 면과 상기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을 가지고,
    상기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은 카세트(수상부)(21)를 유지하는 유지부재(30)가 탈착 가능하게 취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9)을 회동시켜서 접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한 경우, 상기 발을 올리는 면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제2 지지부재(25)와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는 휠체어.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9)이 상기 다리 프레임 바디(18B)에 이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휠체어.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는 엑스선 투과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휠체어.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23)에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동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다른 동시에 대향하는 동 구멍부의 형상이 서로 동일한 휠체어.
KR1020077020920A 2005-02-15 2006-02-08 휠체어 KR10094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38126 2005-02-15
JPJP-P-2005-00038126 2005-02-15
JP2005108875 2005-04-05
JPJP-P-2005-00108875 2005-04-05
JP2005299364 2005-10-13
JPJP-P-2005-00299364 2005-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955A KR20070115955A (ko) 2007-12-06
KR100941414B1 true KR100941414B1 (ko) 2010-02-10

Family

ID=3691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920A KR100941414B1 (ko) 2005-02-15 2006-02-08 휠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97339B2 (ko)
EP (1) EP1894528B1 (ko)
JP (1) JP4050785B2 (ko)
KR (1) KR100941414B1 (ko)
CN (1) CN101119681B (ko)
HK (1) HK1113990A1 (ko)
WO (1) WO200608794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7B1 (ko) * 2014-11-24 2016-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 보조 기구 및 방사선 촬영 장치
KR20190053316A (ko) 2017-11-09 2019-05-20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2400521B1 (ko) 2021-12-06 2022-05-20 신민주 차양막이 설치된 휠체어
KR20240003691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라온다온 전복 방지용 수상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927B1 (ko) * 2010-03-25 2010-09-13 황교식 휠체어 겸용 검진장치
DE102010017349B4 (de) * 2010-06-14 2012-05-16 Sunrise Medical Gmbh & Co. Kg Höhenverstellbare Radaufhängungs-Vorrichtung und Rollstuhl mit solch einer Vorrichtung
US8882129B2 (en) * 2011-12-27 2014-11-11 R We Having Fun Yet, Llc Leg support assembly for use with a wheelchair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CN103908284A (zh) * 2013-01-05 2014-07-09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医院 移动式多位x线摄影检查椅
TWI675655B (zh) * 2015-04-29 2019-11-01 魏儀杰 轉位輪椅
JP2017086480A (ja) * 2015-11-10 2017-05-2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脊椎撮影用椅子
CN105326614B (zh) * 2015-11-18 2016-08-24 谢凤香 一种老弱病残孕多功能轮椅
CN106667676A (zh) * 2016-07-12 2017-05-17 天津市鑫成新科贸有限公司 一种手铐可移动监狱用轮椅
CN106038096A (zh) * 2016-07-12 2016-10-26 天津市鑫成新科贸有限公司 一种监狱用轮椅
US11376173B2 (en) * 2016-12-15 2022-07-05 The World's Only Carry-On Wheel Chair, Llc Wheeled chair
JP6958851B2 (ja) * 2017-02-01 2021-11-02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JP6190555B1 (ja) * 2017-03-29 2017-08-30 株式会社オートシステム 座位撮影台
CN108542611B (zh) * 2018-05-11 2024-01-30 南京理工大学 一种担架与急救床结合的多功能救援设备
JP7292985B2 (ja) * 2019-06-13 2023-06-19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椅子用x線検出装置及びx線診断装置
US11364163B1 (en) 2021-09-28 2022-06-21 Jay Foonberg Transport chair arranged for storage in passenger aircraft carry-on lugg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70A (ja) * 1991-07-19 1993-02-02 Paramount Bed Co Ltd 車椅子
JP2002000668A (ja) * 2000-06-20 2002-01-08 Fumie Horikawa 回動肘掛け付き用便介護用便器装置
JP2002177337A (ja) * 2000-12-18 2002-06-25 Meiji Natl Ind Co Ltd 車いす用介助ハンドルの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1239A (en) * 1965-10-22 1967-05-23 Dale L Cosper Convertible wheel chair
US3795815A (en) * 1972-10-19 1974-03-05 M Weinstock Patient retention device
US4375295A (en) * 1979-04-20 1983-03-01 Frank Volin Detachable wheelchair backrest
CN87209119U (zh) * 1987-06-11 1988-03-02 中国人民解放军第208医院 多功能医用x线摄影车
US4831644A (en) * 1988-05-20 1989-05-16 Lopez Marie A Wheelchair x-ray radiograph apparatus and method
FR2638635B1 (fr) * 1988-11-07 1991-02-08 Benoit Robert Fauteuil roulant pliable
US5176393A (en) * 1990-04-27 1993-01-05 Medical Composite Technology Modular wheelchair
JPH0511923A (ja) 1991-07-05 1993-01-22 Sony Corp 入力装置
JP2580211Y2 (ja) * 1991-07-31 1998-09-03 川村技研株式会社 車いす
JPH1085262A (ja) * 1996-09-12 1998-04-07 Honda Motor Co Ltd 車椅子
US5690387A (en) * 1996-10-28 1997-11-25 Sarti; Ronnie A. Removable headrest for chairs
US6073958A (en) * 1998-06-11 2000-06-13 Gagnon; Brian All terrain wheelchair
WO2000071412A1 (en) * 1999-05-24 2000-11-30 Brady William J Fixed and adjustable ergonomically efficient handles especially for wheelchairs
CN2379096Y (zh) * 1999-06-28 2000-05-24 孙铁 检诊用轮椅
US6270105B1 (en) * 1999-11-16 2001-08-07 Da International, Ltd. Method of wheelchair construction
US6322250B1 (en) * 2000-06-27 2001-11-27 Miriam M. Pratt X-ray chair
JP2003235907A (ja) * 2002-02-15 2003-08-26 Fukuju Sangyo Kk 電動車椅子用の電源装置
JP2004329467A (ja) * 2003-05-06 2004-11-25 Nakada Takao X線撮影用車椅子
US20050077760A1 (en) * 2003-10-08 2005-04-14 Smith Mark E. Modular wheelchair frame
US7185910B2 (en) * 2003-12-03 2007-03-06 Positech Innovation Inc. Multi adjustable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70A (ja) * 1991-07-19 1993-02-02 Paramount Bed Co Ltd 車椅子
JP2002000668A (ja) * 2000-06-20 2002-01-08 Fumie Horikawa 回動肘掛け付き用便介護用便器装置
JP2002177337A (ja) * 2000-12-18 2002-06-25 Meiji Natl Ind Co Ltd 車いす用介助ハンドルの取付け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057B1 (ko) * 2014-11-24 2016-05-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 촬영 보조 기구 및 방사선 촬영 장치
KR20190053316A (ko) 2017-11-09 2019-05-20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
KR102400521B1 (ko) 2021-12-06 2022-05-20 신민주 차양막이 설치된 휠체어
KR20240003691A (ko)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라온다온 전복 방지용 수상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50785B2 (ja) 2008-02-20
CN101119681A (zh) 2008-02-06
US20080111340A1 (en) 2008-05-15
US7597339B2 (en) 2009-10-06
EP1894528B1 (en) 2015-10-14
EP1894528A4 (en) 2009-10-28
CN101119681B (zh) 2010-05-19
HK1113990A1 (en) 2008-10-24
KR20070115955A (ko) 2007-12-06
JPWO2006087947A1 (ja) 2008-07-03
EP1894528A1 (en) 2008-03-05
WO2006087947A1 (ja)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414B1 (ko) 휠체어
US4067249A (en) Raising chair
US4893827A (en) Chair construction for incapacitated persons
US4679849A (en) Method and an invalid chair for conveying a person having limited ability to move without heavy lifting from a sitting to a lying position
US20030123616A1 (en) X-ray chair
US6547330B1 (en) Body support system
JP2010279491A (ja) 人体把持具とそれを用いた移乗支援器具
JP6441149B2 (ja) 移乗支援のための体幹支持装置
CA2174439A1 (en) Chair lift
KR100981927B1 (ko) 휠체어 겸용 검진장치
JP2628568B2 (ja) 介護用バス
JP2005176955A (ja) 透視撮影台および体位保持具
JP2004329467A (ja) X線撮影用車椅子
JP2002000668A (ja) 回動肘掛け付き用便介護用便器装置
JP3227598B2 (ja) 車椅子装置
JP2006102403A (ja) 移乗補助装置
JP3601708B2 (ja) 座幅変更機能を有する椅子装置
JP6051196B2 (ja) 要介護者のためのレントゲン撮影用補助イス
JP4771462B2 (ja) 車椅子
JP2015131092A (ja) 移乗移動装置
JP3601707B2 (ja) 折畳み機能を有する椅子装置
JPH09586A (ja) 車椅子利用患者用の医療介助器具
JP2001129032A (ja) 介護補助装置
CN217744433U (zh) 一种立位全脊柱及全下肢x线检查用的多功能辅助摄影架
KR102571573B1 (ko) 누워서 목욕 가능한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