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471B1 -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471B1
KR100939471B1 KR1020070134352A KR20070134352A KR100939471B1 KR 100939471 B1 KR100939471 B1 KR 100939471B1 KR 1020070134352 A KR1020070134352 A KR 1020070134352A KR 20070134352 A KR20070134352 A KR 20070134352A KR 100939471 B1 KR100939471 B1 KR 10093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olarizer
meth
polyvinyl alcohol
prot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064A (ko
Inventor
요우이치로우 스기노
나오키 도모구치
츠토무 하니
겐지 나카하라
미에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요철 결점이 없고, 외관성 뿐만 아니라 광학특성도 뛰어난 편광판과, 이러한 편광판을 채용한 고품질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판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배치된 보호층 (A), 및 편광자와 보호층 (A) 사이에 배치되고 50 내지 150 nm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보호층 (A) 은, 연필 경도가 B 이상인 표면 경도를 가지며 1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층이다.
편광판, 편광자, 보호층, 접착제층, 연필 경도

Description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본 원에 참조로서 병합되며 2006년 12월 22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345821 호에 대하여 미국 특허법 제 119 조에 의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상술된 편광판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또는 PDP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상 형성 시스템으로 인해 액정 패널의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배열된 편광판을 구비해야만 한다. 사용될 이러한 편광판의 예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콜계 필름과 요오드와 같은 이색성 재료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6-220732 호 참조).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트 롤 (lamination roll) 을 가지고 서로 접착시킨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6-065309 호 참조). 이때,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사이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라미네이션 롤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된다면, 라미네이 션 롤의 닙 (nip) 압력으로 인해 라미네이션 동안 이물질이 편광자를 손상시켜, 요철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1) 요철 결점이 없고, 외관성 뿐만 아니라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과, (2) 이러한 편광판을 이용한 고품질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하나 이상의 면에 배치된 보호층 (A), 및 편광자와 보호층 (A) 사이에 배치되고 50 nm 내지 150 nm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보호층 (A) 은, 연필 경도가 B 이상인 표면 경도를 가지며 1 ㎛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층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메타) 아크릴 수지층은 70 내지 100 중량%의 (메타) 아크릴 수지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메타) 아크릴 수지의 Tg는 115℃ 내지 17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보호층 (A) 은 편광자의 양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층은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편광자 및 보호층 (A) 은 라미네이션 롤로 서로 접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편광판은 최외각층의 하나 이상으로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철 결점이 없고, 외관성 뿐만 아니라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편광판을 이용한 고품질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편광자와, 특정 표면 경도 및 특정한 두께를 갖는 특정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특정한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통해 배치시켜, 판광판을 구성함으로써 발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지상축 방향의 면내 굴절률과 진상축 방향의 면내 굴절률을 각각 nx 및 ny로 정의하고, 두께 방향 굴절률은 nz라고 정의한다. 지상축 방향은, 면내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면,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동일할 경우뿐만 아니라, ny와 nz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 (retardation) (Re) 는, d(nm) 가 광학 소자 (투명 기판 등) 의 두께라고 했을 때, 식 : Re = (nx-ny)×d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d (nm) 을 광학 소자 (투명 기판 등) 의 두께라고 했을 때, 식 : Rth = (nx-nz)×d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로 형성된다. 편광자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물질 (일반적으로,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로 염색한 후에 1축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 내지 4,000이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은 임의인 적절한 방법 (예를 들면,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플로우 캐스팅 (flow-casting) 하여 필름을 형성하는 플로우 캐스팅 방법, 캐스팅 방법, 및 압출 방법)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편광판이 사용되는 LCD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5 내지 80㎛이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목적, 사용될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제조 단계에 제공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건조 단계를 제외한 각각의 처리 단계에서, 각각의 단계에 사용될 용액을 포함하는 배쓰에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담근다. 팽 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 단계의 순서, 회수, 및 실시의 유무는 목적, 사용될 재료, 및 조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여러 개의 처리가 1개의 공정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연신 처리는 염색 처리 후에 수행될 수도, 염색 처리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 예를 들면, 가교 처리가 연신 처리 전 및/또는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예를 들어, 수세 처리는 각각의 처리의 뒤에 수행될 수도 또는 특정 처리 후에만 수행될 수도 있다.
팽윤 공정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물로 채운 처리 배쓰 (팽윤 배쓰) 에 담금으로써 수행된다. 본 처리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의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세정하고, 블록킹 방지제를 세정하고,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의 팽윤을 허용하여, 불균일 염색과 같은 불균일성을 방지한다. 팽윤 배쓰는 글리세린, 요오드화 칼륨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도 있다. 팽윤 배쓰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60℃이며, 팽윤 배쓰 내에 담그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10분이다.
염색 단계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와 같은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 배쓰 (염색 배쓰) 에 담금으로써 수행된다. 염색 배쓰의 용액에 사용될 용매로서,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 (compatibility) 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될 수도 있다. 이색성 물질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 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할 경우, 염색 배쓰의 용액은 염색 효율을 개선하는 요오드와 같은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20 중량부,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적인 예는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및 요오드화 티타늄을 포함한다. 염색 배쓰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70℃이고, 염색 배쓰 내에 담그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분이다.
가교 공정은 일반적으로, 염색 처리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를 포함하는 처리 배쓰 (가교 배쓰) 내에 담금으로써 수행된다. 가교제는 임의인 적절한 가교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는, 붕산 또는 붕사와 같은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및 글루타르알데히드를 포함한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가교 배쓰의 용액에 사용될 용매로서,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적당량 첨가될 수도 있다. 가교제는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가교제의 농도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없을 경우가 종종 있다. 가교제의 농도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연신하는 동안 필름에 발생될 연신력이 증가하고 얻어질 편광판이 수축할 수도 있다. 가교 배쓰의 용액은 동일 평면 내에 균일한 특성을 얻기 위해 요오드화물과 같은 보조제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제의 농도는 바람직 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이다. 요오드화물의 구체예는 염색 단계의 경우와 동일하다. 가교 배쓰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이다. 가교 배쓰 내에 담그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약 1초 내지 15분,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0분이다.
연신 단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느 단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연신 단계는 염색 처리 후에, 염색 처리 전에, 팽윤 처리, 염색 처리, 및 가교 처리와 동시에, 또는 가교 처리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의 누적 연신 비율은 5배 이상될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5배이다. 누적 연신 비율이 5배 미만일 경우, 고편광도를 갖는 편광판을 얻는 것이 곤란할 수도 있다. 누적 연신 비율이 7배를 초과할 경우,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 (편광자) 이 쉽게 찢어질 수도 있다. 연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임의인 적절한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습식 연신 방법이 사용될 경우,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은 처리 배쓰 (연신 배쓰) 내에서 소정의 비율로 연신된다. 연신 배쓰의 용액으로서, 물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 와 같은 용매에, 각종 금속염 또는 요오드, 붕소, 또는 아연의 화합물이 첨가된 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세 공정은, 일반적으로, 각종 처리가 실시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을 처리 배쓰 (수세 배쓰) 내에 담금으로써 수행된다. 수세 단계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으로부터 불필요 잔존물을 씻어 버릴 수 있다. 수세 배쓰는 순수 또는 요오드화물 (예를 들면, 요오드 칼륨, 요오드 나트륨) 의 수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은, 황산 아연 또는 염화 아연과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세 배쓰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이고, 담그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1초 내지 1분이다. 수세 단계는 한 번만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서 여러 회 수행될 수도 있다. 수세 단계가 여러 회 수행될 경우, 각각의 처리에 사용될 수세 배쓰에 포함된 첨가제의 종류 및 농도는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세 공정은, 폴리머 필름을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 (0.1 내지 10 중량%, 10 내지 60℃) 에 1초 내지 1분 담그는 단계와, 순수로 폴리머 필름을 헹구는 단계를 포함한다.
건조 공정으로서, 임의인 적절한 건조 방법 (예를 들면,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가열 건조) 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가열 건조 시, 건조 온도는 일반적으로 20 내지 80℃이며, 건조 시간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0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편광자가 얻어진다.
(보호층 (A))
본 발명에 사용된 보호층 (A) 은 (메타) 아크릴 수지층이다. (메타) 아크릴 수지층은 주성분으로서 (메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수지 또는 메타아크릴 수지를 가리킨다.
(메타) 아크릴 수지층 내 (메타) 아크릴 수지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중량%이 다.
(메타) 아크릴 수지의 Tg (유리 전이 온도) 는,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 (유리 전이 온도) 가 115℃ 이상인 (메타) 아크릴 수지는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메타) 아크릴의 Tg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formability)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다.
(메타) 아크릴 수지로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임의인 적절한 (메타)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메타) 아크릴 수지의 예는 메틸 폴리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방환족 탄화 수소계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노르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예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C1 - 6알킬 폴리(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예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를 주성분 (5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 중량%)으로서 포함한다.
(메타) 아크릴 수지의 구체예는, Mitsubishi Rayon Co., Ltd.에 의해 제조된 ACRYPET VH 및 ACRYPET VRL20A,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4-70296 호에 기재된 분자 내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 및 분자내 가교 또는 분자내 환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 높은 Tg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메타) 아크릴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가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예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0-230016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151814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2-120326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2-254544 호, 및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5-146084 호에 기재된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를 포함한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일반 식 (1) 로 제시된 락톤 환구조를 갖는다.
Figure 112007091562385-pat00001
(일반식 (1) 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유기 잔여물을 나타낸다. 유기 잔여물은 산소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 일반식 (1) 로 제시된 락톤 환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 일반식 (1) 로 제시된 락톤 환구조의 함유 비율이 5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열성, 내용제성, 표면 경도가 불충분하게될 수도 있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 일반식 (1) 로 제시된 락톤 환구조의 함유 비율이 90 중량% 이상일 때, 성형 가공 특성이 불량해질 수도 있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질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500,000이다. 질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밖일 때,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못할 수도 있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Tg (유리 전이 온도) 는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이상이다. 115℃ 이상의 Tg를 갖는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가 편광판에 포함될 때,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결과로서 생기는 필름은 내구성이 뛰어날 수 있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상기 (메타) 아크릴 수지의 Tg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락톤 환구조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는, ASTM-D-100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측정된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몰딩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85%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이상이다. 투명성의 기준이 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일 때, 투명성이 감소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호층 (A) 의 두께는 1 내지 50 ㎛이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이다.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보호층 (A) 과 편광자를 라미네이트 롤로 서로 접착할 때, 편광자와 보호층 (A) 사이 또는 보호층 (A) 과 라미네이트 롤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더라도, 라미네이트 롤의 닙 압력에 의해 야기된 요철 결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층 (A) 은 연필 경도가 B 이상인 표면 경도를 갖는다. 연필 경도가 B이상인 표면 경도를 갖는 편광자 및 보호층 (A) 을 라미네이트 롤로 서로 접착할 때, 편광자와 보호층 (A) 사이 또는 보호층 (A) 과 라미네이트 롤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더라도, 라미네이트 롤의 닙 압력에 의해 야기된 요철 결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필 경도는 JIS 5600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층 (A) 의 표면 경도를 연필 경도로 B 이상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임의인 적절한 방법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층 (A) 을 구성하는 (메타) 아크릴 수지로서 락톤 환구조를 갖는 상기 언급된 (메타) 아크릴 수지를 채택하고 환구조의 함유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 보호층 (A) 을 구성하는 (메타) 아크릴 수지의 결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보호층 (A) 을 구성 하는 (메타) 아크릴 수지로서 락톤 환구조를 갖는 상기 언급된 (메타) 아크릴 수지를 채택하고 환구조의 함유 비율을 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보호층)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자의 적어도 한 면에 보호층 (A) 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층 (A) 이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편광자의 한 면에 보호층 (A) 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 그 밖의 보호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 밖의 보호층으로서, 편광자에 부착하여 편광판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인 적절한 투명 기판이 채택될 수 있다. 투명 기판은 1 층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2 층 이상의 적층체일 수도 있다. 투명 기판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투명 기판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이다.
투명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의 예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에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적인 예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타) 아크릴 수지, 노르보넨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 알콜 수지, 그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어, (메타) 아크릴,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또는 실리콘계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경화성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셀 룰로오스계 수지 및/또는 노르보넨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2001-343529 호 (WO 01/37007) 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폴리머 필름이 투명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러한 폴리머 필름은 측쇄 (side chain) 상에 치환 이미드기 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 상에 치환 페닐기 또는 비치환 페닐기와 시아노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합물이다. 그 구체예는 이소부텐과 N-메틸렌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교호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수지 조성물의 압출 몰딩이 사용될 수 있다.
투명 기판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이러한 셀룰로오스계 수지의 구체예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트리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TAC)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가 저복굴절성 및 고투과율을 갖기 때문이다. TAC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어, 입수 용이성 및 비용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TAC의 시판 제품의 구체예는, Fujiphoto film Co., Ltd.에서 제조한 "UV-50", "UV-80", "SH-50", "SH-80", "TD-80U", "TD-TAC", 및 "UZ-TAC" (상표명), Konica Minolta Co., Ltd.에서 제조한 "KC 시리즈" (상표명), 및 Lonza Japan Ltd.에서 제조한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80㎛ 시리즈" (상표 명) 을 포함한다.
투명 기판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작은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를 갖는 투명 필름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Rth는, 바람직하게는 1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nm 이하다. Rth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0nm 이상이며, 0nm를 초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작은 Rth를 갖는 투명 필름은 작은 면내 위상차 (Re)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e는, 바람직하게는 2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nm 이하다. Re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0nm 이상이며, 0nm 를 초과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작은 Rth를 갖는 투명 필름으로서, 임의인 적절한 재료가 채택될 수 있다. 그 재료의 예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노르보넨계 수지를 포함한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및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작은 Rth를 갖는 투명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큰 Rth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대해서 Rth를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Rth 감소시키기 위한 처리로서, 임의인 적절한 처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클로펜타논, 메칠 에틸 케톤 등의 용매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 필름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접착시켜, 가열 건조 (예를 들면, 약 8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분 동안) 한 후, 기판 필름을 필링 (peeling) 하는 방법; 노르보넨계 수지, (메타) 아크릴 수지 등을 시클로펜타논, 메칠 에틸 케톤 등의 용매에 용해한 용액 을 일반적인 셀룰로오스계 필름에 도포하고, 가열 건조 (예를 들면, 약 80℃ 내지 150℃에서 3 내지 10분 동안) 한 후, 코팅 필름을 박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작은 Rth를 갖는 투명 필름을 위한 재료로서, 지방산의 치환도를 제어한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에서, 아세트산의 치환도가 약 2.8이지만, 아세트산의 치환도를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7,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피온산의 치환도를 0.1 내지 1로 제어함으로써, Rth를 작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에 디부틸프탈레이트, p-톨루엔술폰아닐리드, 또는 아세틸트리에틸 시트레이트와 같은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Rth가 작게 제어될 수 있다. 가소제의 첨가량은 지방산 치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40 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부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Rth를 작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은 적당히 조합될 수도 있다.
투명 기판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노르보넨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된 수지의 총칭이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1-240517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3-14882 호,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 3-122137 호에 기재되어 있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일반적으로, 랜덤 공중합체),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로 상기 중합체를 변성시킴으로써 얻어진 그래프트 변성체, 및 그 수소화물을 들 수 있다. 환상 올레핀의 구체예로서, 노르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넨계 모노머는, 예를 들면, 노르보넨, 및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예를 들면, 5-메틸-2-노르보넨, 5-디메틸-2-노르보넨, 5-에틸-2-노르보넨, 5-부틸-2-노르보넨, 5-에틸리덴-2-노르보넨, 및 할로겐 등과의 그 극성기 치환체;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2,3-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 및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그 알킬 및/또는 알킬리덴 치환체, 및 할로겐 등과의 그 극성기 치환체, 예를 들면, 6-메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에틸리덴-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클로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시아노-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피리딜-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6-메톡시카르보닐-1,4:5,8-디메타노-1,4,4a,5,6,7,8,8a-옥타히드로나프탈렌; 시클로펜타디엔의 트리머 또는 테트라머, 예를 들면, 4,9:5,8-디메타노-3a,4,4a,5,8,8a,9,9a-옥타히드로-1H-벤조인덴, 4,11:5,10:6,9-트리메타노-3a,4,4a,5,5a,6,9,9a,10,10a,11,11a-도데카히드로-1H-시클로펜타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르보넨계 모노머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합된 개환 가능한 다른 시클로올레핀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클로 올레핀의 구체예는,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및 5,6-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엔과 같은 하나의 반응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톨루엔 용매를 이용한 환상 올레핀계 수지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프 (GPC) 방법에 의해 측정된 수-평균 분자량 (number-average molecular wieght; Mn) 은 바람직하게는 25,000 내지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1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80,000이다.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이면, 결과로서 생기는 투명 기판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용해성, 성형성, 및 플로우 캐스팅 조작성을 갖는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가 노르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를 수소 첨가함으로써 얻어진 경우, 수소 첨가율은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이 범위에서, 환상 올레핀계 수지는 내열 열화성 및 내광 열화성이 뛰어나다.
환상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다양한 제품이 시판되어 있다. 구체예는 ZEON Corporation이 제조한 "ZEONEX", "ZEONOA" (상표명); JSR이 제조한 "Arton" (상표명); TICONA가 제조한 "TOPAS" (상표명); 및 Mitsui Chemicals Inc.가 제조한 "APEL" (상표명) 을 포함한다.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 면 이상에 배치된 상기보호층 (A) 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보호층 (A) 이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 상기 보호층 (A) 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 다른 보호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층 (A) 과의 사이에 두께가 50 내지 150 nm인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30nm이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편광자와 보호층 (A) 가 라미네이트 롤로 서로 접착될 때에는, 편광자와 보호층 (A) 의 사이 또는 보호층 (A) 과 라미네이트 롤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더라도, 라미네이트 롤의 닙 압력에 의해 야기된 요철 결점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접착제층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로 형성된 층이다.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와 가교제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 그 유도체;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성을 갖는 모노머와 비닐 아세테이트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진 공중합체의 비누화 제품; 및 폴리비닐 알콜을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 중합화, 인산화 등으로 변성함으로써 얻어진 변성 폴리비닐 알콜을 들 수 있다. 모노머는, 예를 들어, 무수말레산 또는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에틸렌 및 프로필렌과 같은 α-올레핀; (소디움) (메타)아릴술포네이트; 소디움 술포네이트 (모노알킬 마레이트); 소디움 디술포네이트 알킬말레이트; N-메틸올 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알킬술포네이트의 알칼리 염; 및 N-비닐피로리돈; 및 N-비닐피로리돈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접착성의 관점에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평균 중합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3,000이며, 평균 비누화도가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몰%이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상기 언급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높은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이고, 편광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공지된 방법을 통해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와 디케텐 사이의 반응에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은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아세트산과 같은 용매 중에 분산시키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옥산과 같은 용매에 미리 용해해 두고, 이것에 디케텐을 첨가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공지된 방법의 다른 예는 폴리비닐 알콜에 디케텐 가스 또는 액상 디케텐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아세토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의 아세토아세틸 변성도는 0.1몰% 이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0.1 몰% 미만의 아세토아세틸 변성도는 접 착제층의 내수성이 불충분해서 부적당하다. 아세토아세틸 변성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몰%이다. 40 몰% 초과의 아세토아세틸 변성도는 가교제와의 반응점의 수를 감소시키고, 내수성의 개선 효과가 작다. 아세토아세틸 변성도는 NMR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상기 가교제로서,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에 사용되는 것은 어떤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와 반응성을 각각 갖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가교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은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및 헥사메틸렌디아민과 같은 알킬렌기와 2개의 아미노기를 갖는 알킬렌 디아민류 (그 중, 헥사메틸렌 디아민이 바람직하다);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판 폴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 생성물, 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그 케톡심 블록 화합물 및 그 페놀 블록 화합물과 같은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 디올 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시딜 아닐린, 및 디글리시딜 아민과 같은 에폭시류;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 알데히드, 및 부틸 알데히드와 같은 모노알데히드류;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산디알데히드, 및 프탈디알데히드와 같은 디알데히드류; 메틸올 요소, 메틸올 멜라민, 알킬레이티드메틸올 요소, 알킬화메틸올 멜라민, 아세트구아나민, 또는 벤조구아나민과 아미노-포름 알데히드의 축합물과 같은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소디움, 칼륨,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철, 및 니켈과 같은 2가 금속, 3가 금속의 염 및 그 산화물을 포함한다. 가교제로서 멜라민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틸올멜라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부이다. 한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30 중량부 이상 46 중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특히,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사용할 경우에, 가교제의 사용량을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를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46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배합함으로써 내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에서는, 실란 커플링제 및 티탄늄 커플링제와 같은 커플링제, 각종 감압성 접착 부여제, UV-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안정제 및 내가수분해 안정제와 같은 안정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임의인 적절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상기 접착제를 이용해서 상기 보호층 (A) 을 접착하거나, 상기 편광자의 한 면에 상기 접착제를 이용해서 상기 보호층 (A) 을 접착하고 편광자의 다른 면에 상기 접착제를 이용해서 다른 보호층을 접착한다.
상기 접착을 위해,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미네이트 롤을 이용한다. 접착 후에, 건조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 (31) 의 한 면이 접착제층 (32) 을 통해 보호층 (A) (33) 에 본딩되고, 편광자 (31) 의 다른 면이 접착제층 (34) 을 통해 보호층 (A) (35) 에 본딩된다. 보호층 (A) (35) 대신 다른 보호층이 사용될 수도 있다. 편광자 (31) 의 양면에 보호층 (A) 이 배치될 경우, 2개의 보호층 (A) 은 동종의 보호층 (A) 일 수도 있고, 이종의 보호층 (A)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최외각층의 하나 이상으로서 감압성 접착제층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편광판을 감압성 접착형의 편광판이라고도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감압성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 에테르, 불소계 중합체, 또는 고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서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광학적 투명성이 뛰어난 감압성 접착제가 적절한 젖음성과, 응집 특성 및 접착 특성의 감압성 접착 특성을 보이고, 내후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특히, 탄소수 4 내지 12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로 이루어진 아크릴 감압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에 덧붙여, 흡습에 의한 발포 현상 및 필링 현상의 방지, 열 팽창 차 등에 의해 야기된 광학 특성의 저하 및 액정 셀의 휘어짐 방지, 고품질 및 내구성이 뛰어난 액정 표시 장치의 성형성의 점에서, 낮은 흡습율과 내열성이 우수한 감압성 접착제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감압성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천연 재료 또는 합성 재료의 수지류, 특히, 감압성 접착 부여 수지, 유리 섬유, 유리 비드, 금속 분말, 그 밖의 무기 분말 등과 같은 충전제, 안료, 착색제, 및 산화 방지제와 같은 감압성 접착제에 첨가될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미립자를 함유하고 광 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감압성 접착제층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감압성 접착제층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예로서, 톨루엔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적절한 단일 용매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용매에 베이스 중합체 또는 그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 약 10 내지 40 중량%의 양에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조제하고, 그것을 플로우 캐스팅법 또는 코팅법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전개법으로 편광판 또는 광학 필름 상에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직접 도포하는 방법, 또는 상기에 따라 세퍼레이터 상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여 감압성 접착제층을 편광자 보호막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감압성 접착제층은, 다른 조성, 다른 종류 등의 중첩층으로서 편광판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편광판의 양면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제공할 경우, 편광판의 전면과 후면 상의 감압성 접착제층은 상이한 조성, 종류, 두께 등을 가질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층의 두께는 사용 목적 및 접착력등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이다. 감압성 접착제층의 두께가 1 ㎛보다 작을 때, 층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감압성 접착제층의 두께가 40 ㎛보다 클 때, 발포 등으로 인해 부유 (floats) 및 필링이 발생하기 쉬워, 그 결과 불량한 외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편광판을 형성하는 편광자, 보호층 등과, 감압성 접착제층과 같은 각각의 층은 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 벤조페놀계 화합물, 벤조토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니켈 착염계 화합물과 같은 UV 흡수제로 처리함으로써 UV 흡수 능력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어떤 제한 없이 액정 셀의 시인 측 및 백라이트 측 중 어느 한 측에, 또는 그 양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화상 표시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여기에서, 일례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편광판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이 적용 가능한 화상 표시장치의 구체예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된 예에서,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가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액정 셀 (10), 액정 셀 (10) 이 그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위상차 필름 (20, 20'), 위상차 필름 (20, 20') 의 외측에 배치된 편광판 (30, 30'), 도광판 (40), 광원 (50), 및 리플렉터 (60) 를 포함한다. 편광판 (30, 30') 은, 그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액정 셀 (10) 은, 한 쌍의 유리 기판 (11, 11') 과 기판 사이에 배치된 표시 매체로서 액정층 (12) 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리 기판 (11) 에는,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일반적으로, TFT) 와, 이 스위칭 소자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주사선과, 스위칭 소자에 소스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선이 제공된다 (이들 모두 도시 생략). 다른 유리 기판 (11') 에는 컬러 필터를 구성하는 컬러층과 차광층 (블랙 매트릭스층) 이 제공된다 (이들 둘 다 도시 생략). 기판 (11, 11') 사이의 간격 (셀 갭) 은 스페이서 (13) 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편광판 (30, 30') 중 하나 이상으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편광판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TN 모드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0) 의 경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 액정층 (12) 의 액정 분자는 각각의 편광축이 90°시프트되는 상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편광판을 통해 투과된 한 방향의 광을 포함하는 입사광은 액정 분자에 의해 90°트위스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광판은 각각의 편광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므로, 다른 편광판에 도달한 광 (편광) 은 편광판을 통해 투과한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동안, 액정 표시 장치 (100) 는 백색 표시를 제공한다 (노멀리 화이트 모드). 한편, 액정 표시 장치 (100) 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액정층 (12) 내의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된다. 그 결과, 다른 편광판에 도달한 광 (편광) 은 편광판을 통해 투과할 수 없고, 흑색 표시가 제공된다. 액티브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화소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표시가 스위칭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일 예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는 다음과 행해졌다.
<두께의 측정>
두께가 10 ㎛ 이하인 경우, 두께는 박막용 분광 광도계 (Otsuka Electrical Co., Ltd.에서 제조된 "순간 멀티-채널 광검출 시스템 MCPD-2000" (상표명)) 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 두께는 Anritsu Co., Ltd.에서 제조된 디지털 마이크로미터 "KC-351C형"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은 Showa Denko K.K.에 의해 제조된 Shodex GPC system-21H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변환에 의해 측정되었다.
<Tg (유리 전이 온도, Tg라고도 칭함)>
중합체를 일단 테트라히드로푸란에 용해하고, 이를 과잉 헥산에 투입하여 재침전한 다음에, 여과함으로써 얻어진 침전물을 압력을 감소시켜 건조 (1 mmHg (1.33 hPa), 3 시간 이상) 함으로써 휘발 성분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에, 얻어진 수지는 DSC 장치 (Rigaku Co., Ltd.에 의해 제조된 DSC 8230) 를 이용하여 Tg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투명 수지층 또는 필름은 측정 셀 사이즈에 맞춰서 정 밀하게 커팅되고, 상기 재침전 동작을 행하지 않고 Tg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탈알코올 반응율 (락톤 환화율)>
탈알코올 반응율은, 중합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조성으로부터 모든 수산기가 탈알코올되었을 때 일어나는 중량 감소량을 기초로 하여, 다이내믹 TG 측정 시 중량 감소가 시작되는 150℃부터 중합체의 분해가 시작되는 300℃까지의 탈알코올 반응으로 인한 중량의 감소로부터 얻어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톤 환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이내믹 TG 측정 시 150℃부터 300℃까지 중량의 감소를 측정하고, 얻어진 실제 측정된 중량 감소율을 (X) 라가정한다. 한편, 중합체 조성에 포함된 모든 수산기가 락톤환의 형성에 참여하도록 알코올이 되어 탈알코올 된다고 가정했을 때의 이론적인 중량 감소율 (즉, 조성에 100% 탈알코올화가 일어난다고 가정하여 산출된 중량 감소율) 을 (Y) 라고 가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론적인 중량 감소율 (Y) 은 중합체 중 탈알코올 반응에 참여하는 구조 (수산기) 를 갖는 원료 모노머의 몰비, 즉 중합체 조성에 있어서의 원료 모노머의 함유율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들 값 (X, Y) 을 탈알코올 계산식:
1 - (실측 중량 감소율 (X) / 이론 중량 감소율 (Y))
에 대입하여 그 값을 구하고, 그 값을 %로 표시함으로써, 탈알코올 반응율 (락톤 환화율) 이 얻어진다.
<멜트 플로우율>
멜트 플로우율은, JIS-K6874에 기초하고, 시험 온도 240℃, 하중 10 kg에서 측정되었다.
<연필 경도>
연필 경도는 JIS 5600에 따라 측정되었다.
<외관 평가 : 요철 결점>
편광판 2m2 당 존재하는 30 ㎛ 이상의 요철 결점의 수를 카운트하였다.
(제조예 1 : 편광자의 제조)
두께 80㎛의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5 중량%의 요오드 수용액(중량비 : 요오드/요오드 칼륨 = 1/10) 으로 염색하였다. 그 다음에, 결과로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3 중량%의 붕산 및 2 중량% 요오드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담그었다. 또한, 폴리비닐 알콜 필름은 4 중량%의 붕산 및 3 중량%의 요오드 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6.0 배 연신한 후, 5 중량%의 요오드 칼륨 수용액에 담그었다. 그 후, 결과로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40°의 오븐에서 3분간 건조시킴으로써, 두께 30 ㎛의 편광자가 얻어졌다.
(제조예 2: 락톤 환화율 20%를 갖는 락톤환 함유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제조)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 관을 구비한 30-L 반응 용기에, 8,0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2,000g의 메틸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MHMA), 10,000g의 4-메틸-2-펜타논(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및 5g의 n-도데실메르캅탄을 채우고, 이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을 용기 내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까지 승온시킴으로써, 혼합물을 환류하였다. 이때, 개시제로서 5.0g의 터트-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Kayaku Akzo 사에 의해 제조된 Kayacarbon Bic-75 (상표명)) 를 첨가함과 동시에, 10.0g의 터트-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와 230g의 MIBK로 형성된 용액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환류 (약 105℃ 내지 120℃) 하에서 용액 중합을 수행하고, 또한 4시간에 걸쳐서 숙성을 행하였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30g의 인산 스테아릴/인산 디스테아릴 혼합물 (Sakai Chemical Industri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Phoslex A-19 (상표명)) 을 첨가하고, 환류 (약 90℃ 내지 120℃) 하에서 5시간 동안 환화 축합 반응을 행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환화 축합 반응으로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rpm, 감압율 13.3hPa (10 내지 300 mmHg) 에서, 1개의 리어 벤트 및 4개의 프론트 벤트를 갖는 벤트 타입 스크류 2축 압출기 (φ=29.75mm, L/D=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kg/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시켰다. 그 압출기 내에서 환화 축합 반응과 탈가스가 수행되고, 중합체 용액이 압출됨으로써, 락톤환 함유 아크릴 수지의 투명 펠렛을 얻었다.
락톤환 함유 아크릴 수지의 펠렛의 락톤 환화 율은 20%이고,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6,000이고, 그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3.9g/10분이고, 그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23℃이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락톤환 함유 아크릴 수지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250℃에서 용융-반죽하여, T-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냉각하여 꺼냈다. 그 다음에, 결과로서 얻어진 수지를 순차 2축 압출기로 연신하여 두께 60㎛의 광학 필름 (1) (락톤 환화 율 : 20%) 을 얻었다.
광학 필름 (1) 의 연필 경도는 2B 이었다.
(제조예 3 : 락톤 환화 율 25%의 락톤 환 함유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제조)
각각, 8,0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2,000g의 메틸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MHMA) 대신에, 7,500g의 메틸 메타릴레이트 (MMA) 와 2,500g의 메틸 2-(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MHMA) 가 사용된 것 이외는 제조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 (2) (락톤 환화 율 : 25%) 을 얻었다.
광학 필름 (2) 의 연필 경도는 B이었다.
(제조예 4 : 락톤 환화율 35%의 락톤 환 함유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제조)
각각, 8,0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2,000g의 메틸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MHMA) 대신에, 6,5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와 3,500g의 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MHMA) 가 사용된 것 외에는, 제조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 (3) (락톤 환화 율 : 35%) 을 얻었다.
광학 필름 (3) 의 연필 경도는 H 이었다.
(제조예 5: 락톤 환화율 43%의 락톤 환 함유 아크릴 수지 필름의 제조)
각각, 8,0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와 2,000g의 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MHMA) 대신에, 5,7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와 4,300g의 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MHMA) 가 사용된 것 외에는, 제조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 필름 (4) (락톤 환화 율 : 43%) 를 얻었다.
광학 필름 (4) 의 연필 경도는 2H이었다.
(제조예 6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필름의 제조)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 관을 구비한 30-L 반응 용기에, 10,000g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10,000g의 4-메틸-2-펜타논(메틸이소부틸케톤, MIBK), 및 5g의 n-도데실메르캅탄을 채우고, 이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을 용기 내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105℃까지 온도에서 승온시킴으로써, 혼합물을 환류하였다. 이때, 개시제로서 5.0g의 터트-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Kayaku Akzo 사에 의해 제조된 Kayacarbon Bic-75 (상표명)) 를 첨가함과 동시에, 10.0g의 터트-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와 230g의 MIBK로 형성된 용액을 4시간에 걸쳐 적하하고, 환류 (약 105℃ 내지 120℃) 하에서 용액 중합을 수행하고, 또한 4시간에 걸쳐서 숙성을 행하였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30g의 인산 스테아릴/인산 디스테아릴 혼합물 (Sakai Chemical Industrial Co., Ltd.에 의해 제조된 Phoslex A-19 (상표명)) 을 첨가하고, 환류 (약 90℃ 내지 120℃) 하에서 5시간 동안 반응을 행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환화 축합 반응으로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배럴 온도 260℃, 회전수 100 rpm, 감압율 13.3 hPa (10 내지 300 mmHg) 에서, 1개의 리어 벤트 및 4개의 프론트 벤트를 갖는 벤트 타입 스크류 2축 압출기 (φ=29.75 mm, L/D=30) 에, 수지량 환산으로 2.0kg/시간의 처리 속도로 도입시켰다. 그 압출기 내에서 탈가스가 수행되고, 중합체 용액이 압출됨으로써,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투명 펠렛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를 압출기에 공급하고, 220℃에서 용융-반죽하고, T-다이로부터 압출시키고, 냉각 롤로 냉각한 후에 꺼낸다. 그 다음에, 결과로서 얻어진 수지를 순차 2축 압출기로 연신하여 두께 60㎛의 광학 필름 (5) 을 얻었다.
광학 필름 (5) 의 연필 경도는 4B 이었다.
(제조예 7 :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수용액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 알콜 수지 100 중량부 (아세틸화도 13%) 에 대하여 메틸올 멜라민 20 중량부 함유 수용액을, 농도가 2.8 중량%, 3.2 중량%, 3.5 중량%, 및 4.2 중량%가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농도를 갖는 4 종류의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수용액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2) (연필 경도 B) 을 접착시켜, 편광판 (1)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3.5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학 필름 (2)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2)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1)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실시예 2)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3) (연필 경도 H) 을 부착시켜, 편광판 (2)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4.2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 학 필름 (3)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3)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2)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실시예 3)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5)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4) (연필 경도 2H) 을 부착시켜, 편광판 (3)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4.2 중량%)를 편광자에 관하여 광학 필름 (4)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4)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3)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1)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6)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5) (연필 경도 4B) 를 부착시켜, 편광판 (C1)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3.2 중량%)를 편광자에 관하여 광학 필름 (5) 의 접착면에 도포하여, 광학 필름 (5)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1)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2)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1) (연필 경도 2B) 을 부착시켜, 편광판 (C2)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 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2.8 중량%)를 편광자에 관하여 광학 필름 (1) 의 접착면에 도포하여, 광학 필름 (1)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2)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3)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3) (연필 경도 H) 을 부착시켜, 편광판 (C3)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2.8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학 필름 (3)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3)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3)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4)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3)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2) (연필 경도 B) 를 부착시켜, 편광판 (C4)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3.2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학 필름 (2)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2)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4)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5)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광학 필 름 (1) (연필 경도 2B) 를 부착시켜, 편광판 (C5)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3.5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학 필름 (1)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1)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5)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비교예 6)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제조예 (6) 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 (5) (연필 경도 4B) 를 부착시켜, 편광판 (C6) 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예 (7) 에서 얻어진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 (농도:4.2 중량%)를 편광자에 대하여 광학 필름 (5) 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학 필름 (5) 을 접촉-본딩하여 그 양측으로부터 라미네이션 롤로 편광자를 샌드위치하도록 하였다.
표 1은 접착제층의 두께 및 편광판 (C6) 의 외관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보호층 (광학 필름) 의 연필 경도 접착제층의 두께 (nm) 편광판의 외관 평가 (요철 결함) (개)
실시예 1 B 50 0
실시예 2 H 70 0
실시예 3 2H 70 1
비교예 1 4B 40 61
비교예 2 2B 30 44
비교예 3 H 30 22
비교예 4 B 40 20
비교예 5 2B 50 36
비교예 6 4B 70 54
표 1에서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매우 적은 수의 요철 결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얻어진 편광판은 다양한 종류의 화상 표시장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PDP 등).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다른 많은 변형을 명백히 알 수 있으며 쉽게 실시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상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광판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셀 11, 11' : 유리 기판
20, 20' : 위상차 필름 30, 30' : 편광판
40 : 도광판 50 : 광원
60 : 리플렉터 100 : 액정 표시 장치

Claims (8)

  1.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하나 이상의 면에 배치된 보호층 (A); 및
    상기 편광자와 상기 보호층 (A) 사이에 배치되고 50 nm 내지 150 nm의 두께를 갖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보호층 (A) 은, 연필 경도가 B 이상인 표면 경도를 가지며 1 ㎛ 내지 50 ㎛의 두께를 갖는 (메타) 아크릴 수지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아크릴 수지층은 (메타) 아크릴 수지를 70 중량%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편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아크릴 수지의 Tg (유리 전이 온도) 는 115℃ 내지 170℃인, 편광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A) 은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배치되는, 편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비닐 알콜계 접착제로 형성되는, 편광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한면 또는 양면 상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070134352A 2006-12-22 2007-12-20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0939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5821 2006-12-22
JP2006345821A JP2008158181A (ja) 2006-12-22 2006-12-22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064A KR20080059064A (ko) 2008-06-26
KR100939471B1 true KR100939471B1 (ko) 2010-01-29

Family

ID=3916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352A KR100939471B1 (ko) 2006-12-22 2007-12-20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58676A1 (ko)
EP (1) EP1936409A1 (ko)
JP (1) JP2008158181A (ko)
KR (1) KR100939471B1 (ko)
CN (1) CN101206274B (ko)
TW (1) TW2008445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67B1 (ko) * 2010-02-23 2013-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EP2527887B1 (en) * 2010-02-26 2014-11-26 LG Chem, Lt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JP5485834B2 (ja) * 2010-09-01 2014-05-0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画像表示装置の作製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作製装置
JP5758157B2 (ja) * 2011-03-14 2015-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光学部材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439739B (zh) 2011-11-17 2014-06-01 E Ink Holdings Inc 彩色濾光片及顯示裝置
KR101974478B1 (ko) * 2012-01-09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50107650A1 (en) * 2012-01-24 2015-04-23 AMI Research & Development, LLC Monolithic broadband energy collector with detector position depending on wavelength
US20150107671A1 (en) * 2012-01-24 2015-04-23 AMI Research & Development, LLC Monolithic broadband energy collector with dichroic filters and mirrors embedded in waveguide
WO2014078356A1 (en) 2012-11-13 2014-05-22 AMI Research & Development, LLC Wideband light energy waveguide and detector
KR101498823B1 (ko) 2012-11-16 2015-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US9557480B2 (en) 2013-11-06 2017-01-31 R.A. Miller Industries, Inc. Graphene coupled MIM rectifier especially for use in monolithic broadband infrared energy collector
KR101562874B1 (ko) * 2014-12-03 2015-10-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그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제조 방법
WO2019163461A1 (ja) * 2018-02-26 2019-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反射防止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782776B (zh) * 2019-01-10 2022-02-1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及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4710A (en) 1980-10-09 1982-04-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arizing plate
JP2006018089A (ja) 2004-07-02 2006-01-19 Nippon Zeon Co Ltd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5807A1 (en) * 2000-06-19 2002-02-07 Youichirou Sugino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030014587A (ko) 2001-08-10 2003-02-19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659457A (zh) 2002-06-11 2005-08-24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偏振片用胶粘剂、光学薄膜及图像显示装置
JP2005010760A (ja) * 2003-05-26 2005-01-13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301558B2 (ja) * 2003-12-26 2009-07-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285313B2 (en) * 2004-01-20 2007-10-23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JP2005284246A (ja) 2004-03-04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399376B2 (en) * 2004-05-04 2008-07-15 Eastman Kodak Company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 improved glu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287025B (en) * 2004-08-31 2007-09-21 Nippon Catalytic Chem Ind Optical sheet form thermoplastic resin molded product
JP4825409B2 (ja) * 2004-08-31 2011-11-30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用面状熱可塑性樹脂成形体、これを用いる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486442B2 (en) * 2004-09-30 2009-02-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larizer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visual display
JP2008003541A (ja) * 2006-01-27 2008-01-10 Fujifilm Corp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4710A (en) 1980-10-09 1982-04-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arizing plate
JP2006018089A (ja) 2004-07-02 2006-01-19 Nippon Zeon Co Ltd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6409A1 (en) 2008-06-25
KR20080059064A (ko) 2008-06-26
JP2008158181A (ja) 2008-07-10
CN101206274A (zh) 2008-06-25
TW200844506A (en) 2008-11-16
CN101206274B (zh) 2010-10-13
US20080158676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71B1 (ko)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107533B1 (ko) 표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 표면 보호 필름 부착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293001B1 (ko) 다층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US7639329B2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673037B1 (ko) 점착형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그들의 제조 방법
US9194989B2 (en) Iodine polarizing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5504232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US20100315710A1 (e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4943696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WO2006112207A1 (ja)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13918B1 (ko)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16224182A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92303A (ko) 적층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5068146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233768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89725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04629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158180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128654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333946A (ja) 偏光板のリワーク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67059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7687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065452A (ja) 偏光板
TW202406756A (zh) 複合偏光板之製造方法及複合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