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818B1 -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818B1
KR100938818B1 KR1020080042716A KR20080042716A KR100938818B1 KR 100938818 B1 KR100938818 B1 KR 100938818B1 KR 1020080042716 A KR1020080042716 A KR 1020080042716A KR 20080042716 A KR20080042716 A KR 20080042716A KR 100938818 B1 KR100938818 B1 KR 100938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flame retardant
inlet
arm
liqui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910A (ko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아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818B1/ko
Priority to PCT/KR2008/002844 priority patent/WO2009136675A1/en
Publication of KR2009011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18Impregnating foam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내부에 난연액이 함유된 복수의 보드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에 각각 수용한 후, 보드의 표면에 음(-)압을 가하여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액분리기에, 복수의 보드를 인입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보드를 적재하는 인입 암(arm)부와,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하도록 인입 암부를 회동시키는 인입 회동축과,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인입 암부를 이동시키는 인입 서보모터와, 보드가 슬롯에 삽입되도록 보드를 이동시키는 인입모터를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는, 액분리기의 전, 후에 자동 인입장치와 자동 인출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자동으로 보드가 액분리기에 인입,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액분리기 내에서 보드가 처리되는 시간에 맞춰 자동 인입, 입출장치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난연성보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난연성보드, 자동 인입, 자동 인출

Description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flammable board}
본 발명은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패널은 건물이나 구조물의 벽체 등에 사용되는 건축자재로서,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스티로폼(EPS)이나 글래스울 패널 등 판상의 심재를 개재시키고, 금속판과 심재를 접착제로 접착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의 금속판 사이에 개재되는 스티로폼 등의 심재는 내화성(耐火性)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등 샌드위치 패널이 화염에 노출되면 쉽게 전소(全燒)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심재의 표면에 난연제를 도포하는 방법, 스티로폼의 경우 각 발포 알갱이의 표면에 난연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스티로폼을 발포시키는 방법, 심재의 내부에 난연제를 주입하는 방법 등을 적용하여 심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샌드위치 패널의 심재로 사용될 보드의 내부에 난연액을 주입한 후, 가열장치나 건조장치 등과 같은 처리 장치에 복수의 보드를 수용시켜 일정 시간 동안 필요한 공정을 수행하여 전술한 바와 심재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게 되 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처리 장치에 보드를 인입, 인출하는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장치에서 보드가 처리되는 시간과 보드를 수동으로 인입, 인출하는 시간을 정확히 맞추지 못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난연성보드를 처리하는 장치에 복수의 보드를 자동으로 인입, 인출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보드 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난연액이 함유된 복수의 보드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에 각각 수용한 후, 보드의 표면에 음(-)압을 가하여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액분리기에, 복수의 보드를 인입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보드를 적재하는 인입 암(arm)부와,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하도록 인입 암부를 회동시키는 인입 회동축과,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인입 암부를 이동시키는 인입 서보모터와, 보드가 슬롯에 삽입되도록 보드를 이동시키는 인입모터를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난연성보드 제조장치는, 액분리기로부터 인출되는 보드를 적재하는 인출 암부와, 인출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를 적재하도록 인출 암부를 슬롯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 서보모터와, 인출 암부에 결합되며, 보드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인출 암부를 회동시키는 인출 회동축과, 소정 각도로 회동한 보드를, 보드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장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제어부가 인입 서보모터 및/또는 인출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슬롯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인입 서보모터 및/또는 인출 서보모터가 복수의 슬롯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로 인입 암부 및/또는 인출 암부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보드를 가압하여 보드의 표면에 잔존하는 난연액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에 의해 건조장치의 입구에 도달한 보드를, 건조장치에 인입되도록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회동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난연액이 함유된 복수의 보드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에 각각 수용한 후, 보드의 표면에 음(-)압을 가하여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액분리기에, 복수의 보드를 인입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보드를 회동시키는 단계, (b)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c) 보드를 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복수의 보드가 복수의 슬롯 각각에 삽입되도록 단계 (a) 내지 단계 (c)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단계 (d) 이후에, (e) 액분리기로부터 보드를 인출하는 단계, (f) 보드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보드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g) 액분리기에 수용된 복수의 보드가 건조장치로 이동되도록 단계 (e) 내지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f)는, 보드를 가압하여 보드의 표면에 잔존하는 난연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계 (f) 이후에, 건조장치의 입구에 도달한 보드를, 건조장치에 인입되도록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분리기의 전, 후에 자동 인입장치와 자동 인출장치를 각각 설치하여, 자동으로 보드가 액분리기에 인입,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액분리기 내에서 보드가 처리되는 시간에 맞춰 자동 인입, 입출장치의 구동을 조절함으로써 난연성보드 제조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측 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보드(310), 액분리기(362), 슬롯(364), 자동 인입장치(400), 인입 암부(410), 인입 회동축(420), 인입 서보모터(430), 인입모터(4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난연액이 함유된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에 자동으로 인입시킴으로써 난연성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분리기(362)는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364) 내에 보드(310)를 수용한 후, 보드(310)의 표면에 진공 또는 진공에 가까운 음(-)압을 가하여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장치로서, 이처럼 보드(310) 내에 함유된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게 되면 보드(310)의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이하, 난연성보드 제조공정의 일례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난연성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드(310)에 주입공을 천공하고, 주입공 및/또는 보드(310) 자체의 공극을 통해 보드(310) 내에 난연액을 주입한다. 즉, 보드(3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노즐을 밀착시키고 노즐을 통해 난연액을 분사함으로써, 보드(310)에 천공된 주입공 및 보드(310)의 공극에 난연액이 주입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난연액 주입과정에서 보드(310)의 표면에 묻어 있는 난연액을 제거하고,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에 투입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보드(310)의 표 면에 음(-)압을 가하여 보드(310) 내에 함유된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액분리기(362)에서 처리된 보드(310)를 취출하여 그 표면에 잔존하는 난연액을 다시 제거하고, 보드(310)를 건조장치에 투입하여 표면에 마이크로파 및/또는 열풍을 가하여 보드(310)를 건조시킨다. 즉, 보드(310)에 마이크로파 및/또는 열풍을 가함으로써 보드(310) 내부에 함유된 물 분자에 진동을 유도하여 물이 증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보드(310)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난연액이 충전된 보드(310)를 액분리기(362) 및 건조장치에 순차적으로 투입, 처리하여, 보드(310)에 주입된 난연액이 보드(310) 내에서 난연성 무기물로서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난연성보드가 제조된다. 건조과정을 마친 보드(310)는 규격에 따라 적재, 포장하여 제품화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400)는 보드(310)를 적재하는 인입 암(arm)부(410)와, 적재된 보드(310)가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보드(310)의 회전 정도를 조정하는 인입 회동축(420)과, 슬롯(364)의 위치에 맞춰 보드(310)의 위치를 조정하는 인입 서보모터(430), 그리고 회전 전도 및 위치가 조정된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으로 밀어 넣는 인입모터(440)로 구성된다.
인입 암부(410)에는 복수의 암이 구비되어 직방체 형상인 보드(310)가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인입 회동축(420)은 인입 암부(4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입 회동축(420)의 구동에 의해 인입 암부(410)가 회전함으로써 적재된 보드(310)는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보드(31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재되고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인입 암부(4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드(310)를 적재한 후, 회동축을 구동하여 인입 암부(4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드(310)를 수직으로 세우게 된다.
인입 암부(410)에 결합되는 인입 서보모터(430)는 인입 암부(410)를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적재된 보드(310)를 슬롯(364)의 위치에 맞춰 정렬시킨다. 이처럼, 인입 암부(410)에 의해 보드(310)를 적재하고, 인입 구동축 및 인입 서보모터(430)에 의해 보드(310)가 슬롯(364)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 및 위치로 정렬한 후, 인입모터(440)를 구동시켜 정렬된 보드(310)가 액분리기(362)의 슬롯(364)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인입 서보모터(43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연결되어 있어,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로는, 자동 인입장치(400)와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PC(퍼스널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는 액분리기(362)의 각 슬롯(364)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적재된 보드(310)가 원하는 슬롯(364)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인입 서보모터(430)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동 인입장치(4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액분리기(362)에 제1부터 제10까지의 총 10개의 슬롯이 형성되 어 있을 경우, 제어부는 첫 번째 적재된 보드를 제1 슬롯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 적재된 보드는 제2 슬롯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총 10장의 보드가 10개의 슬롯에 각각 수용되도록 인입 서보모터(4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 인입장치(400)를 사용하여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에 수용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에 투입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액분리기(362) 내에서 보드(310)가 처리되는 시간에 맞춰 보드(310)를 투입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슬롯이 형성된 액분리기에서 보드의 액분리 공정에 2분이 소요되고, 초기화에 2분이 소요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400)를 사용하여 1대의 액분리기 내에 10장의 보드를 투입하는데 2분이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4대의 액분리기에 1대의 자동 인입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대한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다.
즉, 제1 액분리기에 보드를 인입하여 보드의 액분리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제2 액분리기에 보드를 인입하고, 제1 액분리기에서 보드가 인출되는 동안 제3 액분리기에 보드를 인입하며, 제1 액분리기가 초기화되는 동안 제4 액분리기에 보드를 인입한 후, 다시 제1 액분리기에 보드를 인입함으로써, 공정 손실(loss) 없이 효율적으로 난연성보드 제조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건조장치(100), 보드(310), 액분리기(362), 슬롯(364), 자동 인출장치(500), 인출 암부(510), 인출 회동축(520), 인출 서보모터(530), 컨베이어(5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액분리기(362)에 수용되어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건조장치(100)에 투입함으로써 난연성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 인출장치(500)에 관한 것으로, 액분리기(362)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장치(100)는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에 마이크로파 및/또는 열풍을 가하여 보드(310) 내부에 함유된 물을 증발시키고, 이와 병행하여 또는 이에 후속하여 보드(310)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보드(310)를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보드(310)를 건조시켜 보드(310) 내부에 함유된 난연성 무기물이 보드(310) 내에 잔존하도록 함으로써 난연성보드가 제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500)는 액분리기(362)로부터 인출되는 보드(310)를 적재하는 인출 암부(510)와, 인출 암부(510)가 보드(3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슬롯(364)의 위치에 맞춰 인출 암부(510)를 이동시키는 인출 서보모터(530), 그리고 슬롯(364)으로부터 취출된 보드(310)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인출 암부(510)를 회전시키는 인출 회동축(520)으로 구성된다.
자동 인입장치(4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출 암부(510)에도 복수의 암이 구비되어 직방체 형상인 보드(310)가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하며, 인출 회동 축(520)은 인출 암부(5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암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출 회동축(520)의 구동에 의해 인출 암부(510)가 회전함으로써 적재된 보드(310)는 후술하는 컨베이어(540) 상에 적재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컨베이어(540)는 인출 암부(510)에 의해 적재, 회동한 보드(310)가 놓여 이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컨베이어(540)의 구동에 의해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는 건조장치(100)로 이동하게 된다. 건조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드(310)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액분리기(362)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서 있는 보드(310)를 인출하여 컨베이어(540) 상에 수평으로 적재하는 경우, 인출 암부(510)가 수직방향으로 서 있는 보드(310)를 적재한 후, 회동축을 구동하여 인출 암부(510)를 회전시킴으로써 보드(310)를 수평으로 눕히게 된다.
인출 암부(510)에 결합되는 인출 서보모터(530)는 인출 암부(510)를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암부(510)가 슬롯(364)의 위치에 맞춰 정렬되도록 한다. 이처럼, 인출 서보모터(530)를 구동하여 인출 암부(510)를 슬롯(364)의 위치에 정렬시키고, 액분리기(362)로부터 보드(310)를 취출하여 인출 암부(510)에 적재한 후, 인출 구동축을 구동시켜 보드(310)를 수평으로 회동시켜 컨베이어(540) 상에 올려놓음으로써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가 건조장치(1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인출 서보모터(530)에도 인입 서보모터(43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미도시) 가 연결되어,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인입 서보모터(4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에는 액분리기(362)의 각 슬롯(364)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보드(310)가 취출되는 슬롯(364)의 위치까지 인출 암부(510)가 이동하도록 인출 서보모터(530)를 구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자동 인출장치(5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액분리기(362)에 제1부터 제10까지의 총 10개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는 제1 슬롯에서 취출되는 보드를 적재하도록 인출 암부(510)를 제1 슬롯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인출 암부(510)를 제2 슬롯의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총 10장의 보드가 10개의 슬롯으로부터 각각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인출 서보모터(53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 인출장치(500)를 사용하여 보드(310)를 액분리기(362)로부터 건조장치(100)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보드(310)를 인출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액분리기(362) 내에서 보드(310)가 처리되는 시간에 맞춰 보드(310)를 인출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보드 제조장치에는 자동 인출장치(500)에 병행하여, 표면처리부(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즉, 액분리기(362)로부터 자동으로 인출된 보드(310)를 건조장치(100)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540)의 상부에 표면처리부를 설치하고, 표면처리부로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를 가압함으로써 보드(310)의 표면에 묻어 있는 난연액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것처럼, 표면처리부의 보드(310)에 접하는 면에는 압착롤러(미도시)를 설치하여 보드(310)가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자동 인출장치(500)와 병행하여 표면처리부가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자동 인입장치(400)와 병행하여서도 표면처리부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노즐 등을 이용하여 내부에 난연액이 주입된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에 투입하기 전에, 표면처리부로 보드(310)를 가압함으로써 보드(310)의 표면에 잔존하는 난연액을 제거할 수 있다. 보드(310)를 가압하기 위해 압착롤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처럼, 액분리기(362)에 보드(310)를 투입하기 전, 및/또는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를 표면처리하여 여분의 난연액을 제거함으로써 액분리 공정 및 건조공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해 제거된 여분의 난연액은 다시 회수하여 난연액 주입공정에 재활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건조장치(100), 보드(310), 액분리기(362), 슬롯(364), 자동 인출장치(500), 인출 암부(510), 인출 회동축(520), 인출 서보모터(530), 컨베이어(540), 회동암(5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는 컨베이어(540)에 의해 보드(310)가 이동되는 방향의 말단에 건조장치(10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본 실시예는 컨베이어(540)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건조장치(100)가 배치된 경우이다. 도 3a 및 도 3b는 건조장치(100)가 컨베이어(540)의 진행방향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즉 컨베이어(540)의 측부에 건조장치(100)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장치의 배치 설계나 공정의 효율성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분리기(362), 건조장치(100)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건조장치(100)가 반드시 액분리기(362)로부터 인출된 보드(310)의 진행방향에 맞도록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건조장치(100)가 컨베이어(540)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동 인출장치(500)에 의해 인출된 보드(310)가 컨베이어(540)에 의해 이동하여 건조장치(100)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해, 컨베이어(540)에 이동한 보드(310)가 건조장치(100)에 투입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그 각도를 변경시키는 회동암(550)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컨베이어(540)를 가로질러 그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건조장치(100)의 입구까지 회전하는 회동함을 설치하고, 컨베이어(540)에 의해 건조장치(100)의 입구까지 이동된 보드(310)를 회동암(550)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드(310)가 컨베이어(540)에 놓인 상태로 건조장치(10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회동암(550)이 반드시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컨베이어(540) 상에서 보드(310)가 놓인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보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액분리기(362)에 보드(310)를 자동으로 인입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보드(310)를 적재한 후, 액분리기(362)의 슬롯(364)에 삽입되는 각도로 적재된 보드(310)를 회동시키고(S10), 슬롯(364)의 위치에 맞춰 보드(310)를 이동시킨다(S20).
이처럼 액분리기(362)에 투입되는 보드(310)를 자동으로 적재, 정렬시킨 후, 보드(310)를 슬롯(364)에 삽입한다(S30). 전술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상의 공정들은 자동 인입장치(40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분리기(362)에 복수의 슬롯(364)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액분리기(362)의 모든 슬롯(364)에 보드(310)를 투입한다. 자동 인입장치(400)를 사용하여 복수의 보드(310)를 액분리기(362)의 각 슬롯(364)에 투입할 경우 액분리기(362) 내에서 보드(310)가 처리되는 시간에 맞춰 보드(310)를 투입함으로써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액분리기(362)에 복수의 보드(310)를 투입하여 액분리 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액분리기(362)로부터 보드(310)를 인출한다(S40). 액분리기(362)로부터 인출된 보드(310)는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컨베이어(540)에 올려지며, 컨베이어(540)에 의해 이동하여 건조장치(100)로 이동하게 된다(S50). 전술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상의 공정 역시 자동 인출장치(50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540)에 적재된 보드(310)를 표면처리부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그 표면에 잔존하는 난연액이 제거된다(S52). 표면처리부의 구성 및 역할을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액분리기(362)에 보드(310)를 투입하기 전, 및/또는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를 표면처리하여 여분의 난연액을 제거함으로써 액분리 공정 및 건조공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처리에 의해 제거된 여분의 난연액은 다시 회수하여 난연액 주입공정에 재활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의 공정을 반복하여 액분리기(362)에 수용되어 액분리 공정을 마친 보드(310)를 모두 건조장치(100)로 이동시킨다. 건조장치(100)에 투입된 보드(310)는 건조 공정을 거쳐 난연성보드로 제조된다.
한편, 건조장치(100)가 컨베이어(540)의 진행방향에 배치되지 않고, 컨베이어(540)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된 경우에는, 전술한 회동암(550) 등을 이용하여 보드(310)를 회전시킴으로써 건조장치(100)에 투입되는 방향으로 보드(310)의 방향을 재정렬할 수 있다(S60).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전체적인 작용 및 효과에는 차이가 없다면 이러한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인출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보드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조장치 310 : 보드
362 : 액분리기 364 : 슬롯
400 : 자동 인입장치 410 : 인입 암부
420 : 인입 회동축 430 : 인입 서보모터
440 : 인입모터 500 : 자동 인출장치
510 : 인출 암부 520 : 인출 회동축
530 : 인출 서보모터 540 : 컨베이어
550 : 회동암

Claims (10)

  1. 내부에 난연액이 함유된 복수의 보드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에 각각 수용한 후, 상기 보드의 표면에 음(-)압을 가하여 상기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액분리기에, 상기 복수의 보드를 인입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상기 보드를 적재하는 인입 암(arm)부와;
    상기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하도록 상기 인입 암부를 회동시키는 인입 회동축과;
    상기 인입 암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인입 암부를 이동시키는 인입 서보모터와;
    상기 보드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드를 이동시키는 인입모터를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인입 서보모터가 상기 복수의 슬롯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인입 암부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보드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분리기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보드를 적재하는 인출 암부와;
    상기 인출 암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드를 적재하도록 상기 인출 암부를 상기 슬롯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인출 서보모터와;
    상기 인출 암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드가 소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상기 인출 암부를 회동시키는 인출 회동축과;
    소정 각도로 회동한 상기 보드를, 상기 보드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장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 서보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슬롯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인출 서보모터가 상기 복수의 슬롯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인출 암부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드를 가압하여 상기 보드의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난연액을 제거하는 표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건조장치의 입구에 도달한 상기 보드를, 상기 건조장치에 인입되도록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회동암을 더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7. 내부에 난연액이 함유된 복수의 보드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슬롯에 각각 수용한 후, 상기 보드의 표면에 음(-)압을 가하여 상기 난연액을 물과 난연성 무기물로 분리시키는 액분리기에, 상기 복수의 보드를 인입하여 난연성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보드를 회동시키는 단계;
    (b) 상기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보드를 상기 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및
    (d) 복수의 상기 보드가 복수의 상기 슬롯 각각에 삽입되도록 상기 단계 (a) 내지 상기 단계 (c)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 이후에,
    (e) 상기 액분리기로부터 상기 보드를 인출하는 단계;
    (f) 상기 보드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상기 보드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건조장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액분리기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보드가 상기 건조장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단계 (e) 내지 상기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보드를 가압하여 상기 보드의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난연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보드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 이후에,
    상기 건조장치의 입구에 도달한 상기 보드를, 상기 건조장치에 인입되도록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연성보드 제조방법.
KR1020080042716A 2008-05-08 2008-05-08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716A KR100938818B1 (ko) 2008-05-08 2008-05-08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CT/KR2008/002844 WO2009136675A1 (en) 2008-05-08 2008-05-2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flammabl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716A KR100938818B1 (ko) 2008-05-08 2008-05-08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910A KR20090116910A (ko) 2009-11-12
KR100938818B1 true KR100938818B1 (ko) 2010-01-26

Family

ID=41264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716A KR100938818B1 (ko) 2008-05-08 2008-05-08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8818B1 (ko)
WO (1) WO20091366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6532A1 (en) * 2010-03-19 2011-09-21 Ignucell A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insulating and draining boards
KR101355457B1 (ko) * 2013-11-13 2014-01-23 김선완 엠보보드 제조장치
CN110962276B (zh) * 2019-12-12 2021-09-24 闫宁 一种使用电磁波加热的泡沫塑料成型机及加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42A (ko) * 1992-09-28 1994-04-29 베르너 발데그 보드형 피스재료의 양면 코팅 방법 및 장치
KR200176770Y1 (ko) 1997-12-24 2000-04-15 김태구 이송패널직립장치
KR20070047525A (ko) * 2005-11-02 2007-05-07 최정학 편광필름 이송장치
KR20070111699A (ko) * 2006-05-18 2007-11-22 (주)선만 난연성 섬유 판재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0024A1 (en) * 2006-08-10 2008-03-20 Curran William F Layered fire retardant barrier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42A (ko) * 1992-09-28 1994-04-29 베르너 발데그 보드형 피스재료의 양면 코팅 방법 및 장치
KR200176770Y1 (ko) 1997-12-24 2000-04-15 김태구 이송패널직립장치
KR20070047525A (ko) * 2005-11-02 2007-05-07 최정학 편광필름 이송장치
KR20070111699A (ko) * 2006-05-18 2007-11-22 (주)선만 난연성 섬유 판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6675A1 (en) 2009-11-12
KR20090116910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818B1 (ko) 난연성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2009080B (zh) 一种电路板生产用高精密的自动印刷机
US20110154635A1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assembling triple-pane insulating glass units
KR102007698B1 (ko) 이차 전지의 전극 기재용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600384A (zh) 一种木材拼板机及其拼板的方法
CN110485680A (zh) 瓷砖浸泡设备及瓷砖浸泡方法
CN211650995U (zh) 一种烘干机
SE500223C2 (sv) Sätt och anordning för torkning av i en byggnad befintliga vattenskadade golv eller golvunderlag av betong
CN108317376A (zh) 一种数字程控调度机
WO2021017534A1 (zh) 一种变压器免维护吸湿器硅胶干燥装置
CN104511734B (zh) 刷簧安装机
KR102186266B1 (ko)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방염장치 및 그 방염장치를 이용한 흡음보드 방염방법
CN206817928U (zh) 一种高效率用于地板加工的干燥机
CN214620472U (zh) 一种绿色环保硅酸钙板生产用烘干机
CN212610716U (zh) 一种真空干燥机
CN207147094U (zh) 一种蜂窝式脱硝催化剂的干燥设备
CN208365970U (zh) 一种pcb板自动烘干装置
CN210242226U (zh) 一种木材加工用的表面喷涂设备
CN220785713U (zh) 一种无水洗车设备
CN218627599U (zh) 一种纤维板用烘干设备
JP2016515913A (ja) 真空ディップコーティング装置
CN213500215U (zh) 一种塑料颗粒烘干机
JP2008072020A (ja) 部品取外し装置
CN219129775U (zh) 一种玻璃贴片涂胶机
CN215612929U (zh) 一种竹胶板用竹板干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