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711B1 - 음료수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수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711B1
KR100938711B1 KR1020047016138A KR20047016138A KR100938711B1 KR 100938711 B1 KR100938711 B1 KR 100938711B1 KR 1020047016138 A KR1020047016138 A KR 1020047016138A KR 20047016138 A KR20047016138 A KR 20047016138A KR 100938711 B1 KR100938711 B1 KR 10093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ssage
withdrawal
inert gas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231A (ko
Inventor
고시리까르도
토리구이도
데글이노센티마르코
벤시스타로렌조
Original Assignee
에노마틱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노마틱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에노마틱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05001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115Gas pressure storage over or displacement of liquid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Tea And Coffee (AREA)
  • Confectionery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 Lubricant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이 수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병으로부터 음료수를 자동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병 내부로 기체의 유입과 액체의 인출과 분출관(19)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인출 마개(12)를 포함하며, 빈 병을 용이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한다.
인출 장치, 음료수, 병, 인출 마개, 불활성 기체

Description

음료수 인출 장치{BEVERAGE DISPENSER}
본 발명은, 병을 정상적인 수직 위치에 유지한 채, 병에 들어 있는 음료수를 자동으로 인출(引出)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특히 병에 들어 있는 음료수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부의 인출 장치는 병을 뒤집어서 액체의 중력에 의해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인출되게 한다. 다른 인출 장치로는 병의 코르크 마개를 관통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의해 정상적인 수직 위치를 유지한 병으로부터 인출되게 하는 것이 있는 데, 이 장치에서는, 두 파이프 중 제 1 파이프를 통해 병에 불활성 기체를 주입하여 병 속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고, 액체를 인출하기 위한 해당 인출 마개(drawing tap)가 개방되는 경우에, 압력이 가해진 기체가 액체를 제 2 파이프로 밀어낸다.
상기 두 번째 방법은 포도주와 같이 병을 뒤집는 것이 곤란한 음료수들에 대해 특히 적당하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인출 장치들은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실, 상기 인출 장치들은 통로 또는 인출 마개에 항상 몇 방울의 액체를 남기기 때문에 완전한 인출을 수행하지 못하여, 말랐을 때에 퇴적물이 남게 되어 공기와 작용하여 썩게 되고 다음의 인출을 오염시킨다. 한편 파이프에 남아 있는 액체는 음료수의 맛을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빈 병의 교체가 다소 복잡해지며, 병이 장착되는 표면과 파이프가 접촉하게 되어 음료수의 맛을 바꾸는 세균 또는 다른 오염물이 쌓일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정상적인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병으로부터 액체를 자동으로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밸브가 장착된 인출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인출 마개의 본체 내에는, 불활성의 가압 기체의 유입과 액체의 인출과 상기 인출 후에 인출 마개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통로가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장치의 일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인출 마개의 일 단면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서 인출 마개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병이 승강 수단에 수직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불활성 기체의 유입과 액체의 방출과 인출 마개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인출 마개를 구비한 인출 장치에 의해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인출 장치는 하우징 본체(10)를 구비하며, 하우징 본체(10)의 내부에는 승강 수단(11)이 존재한다.
승강 수단(11) 위쪽의 하우징 본체(10) 상부 부분에는 소정의 스위치(12')와 기체와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인출 마개(12)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마개(12)는 인출 마개 본체(13)와 전기 밸브(14)(및 해당 자석(14'))와 마개 요소(15)를 포함하며, 마개 요소(15)는 그 원추형 입구(15')를 통해 병목 부위에 맞물려질 수 있다.
전기 밸브(14)는 다이아프램 전기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 마개(12)의 인출 마개 본체(13) 내부에는, 불활성 기체가 병으로 유입할 수 있게 하는 제1 통로(16)(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불활성 기체 회로의 파이프에 연결됨)와, 일단은 파이프(18)에 그리고 타단은 분출관(19)에 연결되어 인출된 유체가 흘러가는 제2 통로(17)가 존재한다.
제2 통로(17)는 전기 밸브(14)의 피스톤에 의해 폐쇄되는 챔버(chamber)(20)와 불활성 기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도 연결되는 제3 통로(21)인 분지관으로 들어간다.
마개 요소(15)는 챔버(22)를 통해 인출 마개 본체(13)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챔버(22) 내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챔버(22) 내에는 용수철(23)이 존재하여 마개 요소(15)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마개 요소(15)의 외부 부분에는 가스켓(24)(일반적으로 고무 링)이 존재한다.
이러한 두 번째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면, 제1 통로(16)는 그 단부가 챔버(22)로 들어가고 니들 밸브(25)에 의해 폐쇄된다. 이 경우에,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마개 요소(15)의 상향 이동이 상기 니들 밸브(25)에 작용할 때에, 제1 통로(16)로부터 병으로 기체의 자동 유입이 가능해진다.
마개 요소(15)의 입구(15')를 통해 기체의 압력이 제2 통로(17)에 연결된 파이프(18)(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로 전달되면, 액체는 파이프(18)를 통해 병으로부터 분출관(19)으로 흘러간다.
승강 수단(11)은, 수동으로,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공기압(불활성 기체 회로에 연결될 수 있음)으로 가동될 수 있으며, 병목이 마개 요소(15)의 원추형 입구(15')에 들어가서 가스켓(24)에 밀착될 때까지 병을 들어올릴 것이다.
승강 수단의 상부 표면은 미끄럼 방지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O-링과 같은 소정의 가스켓(26)은 전기 밸브와 마개 요소(15)의 밀봉을 (이동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보장한다.
상기 인출 장치가 동일 목적의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인출 장치들에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 탱크와 필요한 유압 및 전기 회로들을 포함하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유압 회로는, 기체 탱크를 인출 마개에 그리고 가능하면 승강 수단(11)의 승강 기계 장치에 연결하고, 기체 압력을 소정의 설정 값으로 제어하고 안정화하기 위한 밸브 또는 조절기(regulator) 등과 같은 소정의 수단을 포함하며, 한편 전기 회로는 스위치, 전기 밸브 등과 같은 상기 인출 장치의 전기 부품들을 작동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및 전기 기능들(압력, 스위치 온/오프, 인출 시간 등)을 조절하는 수단은,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소프트웨어는 개인적인 자석식 카드 또는 칩 카드를 통해 인출량의 자 동 기록도 가능하게 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병마다 각각의 인출 예정량을 나타내는 액정 또는 발광 디스플레이가 상기 인출 장치의 본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출 장치의 작동 방법은 상당히 단순하다.
파이프(18)가 병 내부로 놓여지고, 병은 승강 수단(11)에 놓여진다.
승강 수단(11)이 작동하면, 병목의 상부가 가스켓(24)에 밀착할 때까지 병이 상승된다.
소정의 스위치가 작동하면, 제1 통로(16)를 통해 병 내부로 기체가 채워져서 액체는 소정 압력 하에 놓이게 된다. 마개 요소(15)에 니들 밸브(도 3에 도시됨)가 설치된다면, 병목이 마개 요소(15)를 밀 때에 기체의 주입이 자동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인출 장치는 액체를 인출할 준비가 된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소정의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자석식 카드 또는 칩 카드(코드 번호에 의해 개인화될 수 있음)를 소정의 입구에 삽입한 후에 소정의 스위치(12')를 작동하여서 인출 장치를 켜게 되면 상응하는 전자 밸브가 개방된다. 병 내부에 들어간 가압된 기체는 파이프(18)와 제2 통로(17)와 챔버(22)를 통해 분출관(19)에 이르도록 액체를 밀어낼 것이고, 이 때 사용자는 분출관(19)에서 액체를 담을 수 있게 된다.
소정 양의 액체가 인출되면 전기 밸브는 닫히고, 제2 통로(17)에 남아 있는 액체가 제3 통로(21) 아래로 흐르도록 하기에 필요한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기체가 제3 통로(21)를 통해 분사되어 제2 통로(17)와 분출관(19)에 남아 있는 액체 방울들을 완전히 세척한다.
이제 인출 장치는 새로운 인출을 위해 준비된다.
병이 비워지게 되면, 승강 수단(11)은 하강하여 파이프(18)로부터 병이 제거되고 새로운 병이 장착된다. 병을 교체하는 동안에는 파이프(18)를 공중에 매달아서 유기 또는 무기의 오염원과 접촉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조작자가 단지 한 손만으로 전체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주지할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 장치는 각각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액체(예를 들어, 동일 종류 포도주에서 양조 연도가 다른 경우)를 담은 하나 이상의 병을 수용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인출된 액체의 양에 따른 가격의 신속한 기록이 더욱 용이해질 것이다.

Claims (13)

  1. 불활성 기체를 액체에 주입하여 액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병으로부터 자동으로 액체를 인출하기 위한 액체 인출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본체(1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 내부의 상승 수단(11)과, 인출 마개(12)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 마개(12)는,
    인출 마개 본체(13)와,
    불활성 기체 회로에 연결되어 불활성 기체를 공급 받아 불활성 기체를 상기 병 내로 향하게 하는 제1 통로(16)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된 액체가 이송되는 제2 통로(17)와,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제1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된 액체를 상기 병으로부터 상기 제2 통로로 향하게 하는 파이프(18)와,
    상기 제2 통로의 상기 제2 단부에 연결된 분출관(19)과,
    상기 제2 통로가 들어가는 챔버(20)와,
    상기 불활성 기체 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통로에 연결된 제3 통로(21)로서, 상기 챔버(20)가 폐쇄되었을 때에 불활성 기체를 공급 받아 적어도 상기 분출관을 세척하는 제3 통로(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마개(12)는 원추형 입구(15')를 가지는 마개 요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요소(15)는 챔버(22)에 의해 인출 마개 본체(1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요소(15)는 챔버(22) 내에서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2) 내에 상기 마개 요소(15)를 하향으로 가압하는 용수철(23)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16)는 제1 통로(16)의 단부가 챔버(22)로 들어가고 니들 밸브(25)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 및 전기 기능 조절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자석식 카드 또는 칩 카드를 소정 입구에 삽입함으로써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0)는 각각의 인출 예정량을 표시하는 액정 또는 발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10)는 하나 이상의 병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로(21)는 불활성 기체를 공급 받아 상기 제2 통로(17)의 일부를 추가로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인출 장치.
KR1020047016138A 2002-04-10 2003-04-09 음료수 인출 장치 KR100938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20007998 EP1352873B1 (en) 2002-04-10 2002-04-10 Beverage dispenser
EP02007998.4 2002-04-10
PCT/EP2003/003671 WO2003084860A1 (en) 2002-04-10 2003-04-09 Beverage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31A KR20050012231A (ko) 2005-01-31
KR100938711B1 true KR100938711B1 (ko) 2010-01-25

Family

ID=2805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138A KR100938711B1 (ko) 2002-04-10 2003-04-09 음료수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478737B2 (ko)
EP (1) EP1352873B1 (ko)
JP (1) JP4417725B2 (ko)
KR (1) KR100938711B1 (ko)
CN (1) CN100590061C (ko)
AT (1) ATE341522T1 (ko)
AU (1) AU2003224053B2 (ko)
CA (1) CA2482256A1 (ko)
CY (1) CY1107318T1 (ko)
DE (1) DE60215116T2 (ko)
DK (1) DK1352873T3 (ko)
ES (1) ES2273938T3 (ko)
HK (1) HK1059769A1 (ko)
NZ (1) NZ535712A (ko)
PT (1) PT1352873E (ko)
WO (1) WO2003084860A1 (ko)
ZA (1) ZA2004090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1602A1 (en) * 2006-02-07 2007-08-09 Napa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dispensing head and system
US10631558B2 (en) 2006-03-06 2020-04-28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id and an acid degradable component and/or composition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components
US8033431B2 (en) 2007-05-07 2011-10-11 Wine Gadgets, Llc Win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US8162176B2 (en) 2007-09-06 2012-04-24 The Coca-Cola Company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selectable beverage
ITFI20080073A1 (it) * 2008-04-10 2009-10-11 Egraf Lineadue S R L Apparecchiatura erogatrice di bevande,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di vini
US20100005811A1 (en) * 2008-07-11 2010-01-14 Danene Jaffe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US20110000250A1 (en) * 2008-12-22 2011-01-06 Sommerfield Matthew A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incorporated within a refrigerator door
ITFI20100137A1 (it) * 2010-06-28 2011-12-29 Enomatic Srl Dispositivo erogatore di bevande da recipienti quali bottiglie e simili, provvisto di sensori di parametri ambientali e metodo di controllo associato.
IT1400676B1 (it) * 2010-06-29 2013-06-28 Enomatic Srl Rubinetto per dispositivi erogatori di bevande da recipienti quali bottiglie e simili.
ITPO20110015A1 (it) * 2011-07-16 2013-01-17 Barnini Francesca Dispositivo per l'erogazione di liquidi, in particolare bevande
JP5877522B2 (ja) * 2011-08-23 2016-03-08 株式会社ヨナタン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US9856128B2 (en) 2012-04-25 2018-01-02 Richard A. Bishel Motorized liquid dispenser
ITFI20130124A1 (it) 2013-05-28 2014-11-29 Enomatic S R L Sistema di centraggio automatico per bottiglie e recipienti all¿interno di apparati per l¿erogazione di bevande.
JP2016527148A (ja) * 2013-06-14 2016-09-08 コラヴィ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良されたガスシリンダアクセスを有する飲料抜き取り方法及び装置
FR3007999B1 (fr) 2013-07-03 2015-07-17 10 Vins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preparation a la degustation de boisson, en particulier de vin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5-01-14 김용 와인 디스펜서
KR101438428B1 (ko) * 2013-09-10 2014-11-03 (주)에스이랩 와인 디스펜서
BE1022304B1 (fr) 2014-06-02 2016-03-14 TACHENY Thierry Boite avec sac interieur pour aliment liquide
JP6868021B2 (ja) * 2015-11-25 2021-05-12 コラヴァ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飲料抽出器
US11795046B2 (en) 2015-11-25 2023-10-24 Coravin, Inc. Beverage dispenser with container engagement features
IT201600107213A1 (it) 2016-10-25 2018-04-25 Enomatic S R L Apparato per l’erogazione di bevande al bicchiere munito di contenitore salvaspazio
FR3064994B1 (fr) 2017-04-07 2019-06-21 Noxoe, Unipessoal Lda Dispositif de service au verre
JP6508847B2 (ja) * 2017-06-19 2019-05-08 株式會社塩山製作所 ワインサーバ
KR20210091283A (ko) 2018-11-21 2021-07-21 코라빈, 인크. 도관 퍼지 특징부를 갖는 음료 분배기
IT201900000659A1 (it) * 2019-01-16 2020-07-16 Gilardi Massimo Dispositivo per la conservazione di liquid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191U (ko) * 1987-04-13 1988-10-25
US20050255819A1 (en) * 2004-05-13 2005-11-17 Ntt Docomo, Inc. Path searcher and path search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0187A (en) * 1980-06-25 1982-09-21 Pneumatic Scale Corporation Filling machine
FR2616767B1 (fr) * 1987-06-22 1990-02-16 Cruover Sa Dispositif permettant la distribution d'une boisson liquide en bouteille, en particulier du vin
US5031799A (en) * 1989-02-17 1991-07-16 Charlie O Company, Inc. Seltzer dispenser for use with a home soda dispensing system
US5505349A (en) * 1990-02-09 1996-04-09 Berg Company, A Division Of Dec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ensing heads
US5163584A (en) * 1990-12-18 1992-11-17 Polyfoam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dispensing foam with injected low pressure gas
DE9300928U1 (ko) * 1993-01-23 1993-03-11 Schulze, Norbert, 4790 Paderborn, De
DE9307040U1 (ko) * 1993-05-08 1993-07-15 Fac Frank Abels Consulting & Technology Gmbh, 3042 Munster, De
US5524683A (en) * 1994-09-23 1996-06-11 Osgood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US5913454A (en) * 1998-04-09 1999-06-22 Mchale; Jay T. Drink dispensing machine
DE19948471C2 (de) * 1999-10-08 2001-11-08 Till Gea Gmbh & Co Zapfanlage und ihre Verwendung
JP4250314B2 (ja) * 2000-07-19 2009-04-08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におけるコック駆動装置の補正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191U (ko) * 1987-04-13 1988-10-25
US20050255819A1 (en) * 2004-05-13 2005-11-17 Ntt Docomo, Inc. Path searcher and path search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Y1107318T1 (el) 2012-11-21
CN1646414A (zh) 2005-07-27
AU2003224053B2 (en) 2009-09-17
HK1059769A1 (en) 2004-07-16
ES2273938T3 (es) 2007-05-16
US7478737B2 (en) 2009-01-20
DK1352873T3 (da) 2007-01-15
EP1352873A1 (en) 2003-10-15
CA2482256A1 (en) 2003-10-16
KR20050012231A (ko) 2005-01-31
DE60215116T2 (de) 2007-05-03
JP4417725B2 (ja) 2010-02-17
AU2003224053A1 (en) 2003-10-20
US20050150549A1 (en) 2005-07-14
DE60215116D1 (de) 2006-11-16
PT1352873E (pt) 2007-01-31
WO2003084860A1 (en) 2003-10-16
EP1352873B1 (en) 2006-10-04
NZ535712A (en) 2009-11-27
CN100590061C (zh) 2010-02-17
ATE341522T1 (de) 2006-10-15
JP2005522381A (ja) 2005-07-28
ZA200409072B (en) 200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711B1 (ko) 음료수 인출 장치
CN101516744B (zh) 用于调制饮料的胶囊
US5870944A (en) Carbonated beverag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JP5184085B2 (ja) 分注システムのための分注ライン
JPS58500803A (ja) 容器内の液体にガスを供給する装置
US9187196B2 (en) Tap for beverage dispensing from receptacles such as bottles and the like
US11180309B2 (en) Beverage dispenser with conduit purge features
JP5877522B2 (ja)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JP2856057B2 (ja) 炭酸飲料の充填方法と装置
US3788343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3720242A (en) Container filling apparatus
JPH0744740U (ja) 炭酸入り液体を圧力下で吐出する吐出コック
DE4024278A1 (de) Zapfvorrichtung fuer getraenke
EP0556492A1 (en) Gravity filling valve device for ungassed liquids, with a self-levelling system operating under slight gas pressure, for bottling machines
GB1300061A (en) Improved liquid filling apparatus
AT405276B (de) Getränkeportioniervorrichtung
GB2336004A (en) Automatic vent chamber for a foaming liquid
US20150121803A1 (en) System for re-pressurization of bottles
US8899283B2 (en) Device for fractioning a volume of liquid
USRE28275E (en) Container filling apparatus
JPS5913397B2 (ja) 液面規制注入装置
GB1590477A (en) Devices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