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2732B1 - 와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와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2732B1
KR101482732B1 KR20130098917A KR20130098917A KR101482732B1 KR 101482732 B1 KR101482732 B1 KR 101482732B1 KR 20130098917 A KR20130098917 A KR 20130098917A KR 20130098917 A KR20130098917 A KR 20130098917A KR 101482732 B1 KR101482732 B1 KR 10148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e bottle
wine
unit
cas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 filed Critical 김용
Priority to KR2013009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는 와인병의 높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와인병 입구를 일정한 압력을 밀폐시킬 수 있고, 와인병이 밀폐된 상태에서 최적의 상태로 저장된 와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고, 상기 밀폐유닛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승강유닛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항상 상기 밀폐유닛 및 입구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인 디스펜서{WINE DISPENSER}
본 발명은 와인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인병의 높이에 대응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와인병의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와인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와인병에 담겨지고 와인병의 입구가 코르크 마개로 밀봉되어 포장되며, 이러한 와인을 즐기기 위해 마개를 개방하면 와인이 산소와 접촉되면서 산화가 발생되어 와인 본연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174393에는 스프링을 통해 와인병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여 입구가 밀착되게 하는 기술이 개재되어 있으나, 종래의 스프링을 통해 와인병(90) 입구를 밀착시키는 구조는 병의 길이가 스프링의 탄성범위 보다 짧은 경우, 와인병(90)을 장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입구에서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서, 와인병(90) 입구의 밀폐가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1174393
본 발명은 와인병의 높이에 대응되어 일정한 압력으로 와인병(90)의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와인병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와인을 토출시키는 와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어(32)가 설치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와인병(9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와인병(9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와인병(90)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유닛(5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에 비례하여 상기 와인병(90)의 와인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닛(60)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승강베이스(41); 상기 와인병(90)이 올려지고, 상기 올려진 와인병(9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42);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4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42)의 이동방향은 안내하는 승강가이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병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될 때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블록(52) 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이동블록(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와인병(90) 입구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5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60)은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65);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밀폐유닛(50)을 거쳐 상기 와인병(90)으로 안내하는 가스공급유로;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병(90)에 담긴 와인을 토출시키는 튜브(62); 상기 밀폐유닛(5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되는 와인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와인병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와인을 토출시키는 와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어(32)가 설치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와인병(9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와인병(9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와인병(90)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유닛(5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에 비례하여 상기 와인병(90)의 와인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승강베이스(41); 상기 와인병(90)이 올려지고, 상기 올려진 와인병(9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42);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4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될 때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블록(52) 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이동블록(54); 상기 이동블록(54)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병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6)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60)은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65);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밀폐유닛(50)을 거쳐 상기 와인병(90)으로 안내하는 가스공급유로;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병(90)에 담긴 와인을 토출시키는 튜브(62); 상기 밀폐유닛(5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되는 와인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는 와인병의 높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와인병 입구를 일정한 압력을 밀폐시킬 수 있고, 와인병이 밀폐된 상태에서 최적의 상태로 저장된 와인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는 밀폐유닛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승강유닛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항상 상기 밀폐유닛 및 입구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
도 10은 도 8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저면도
도 12는 도 8의 사시도
도 13은 도 8의 저면측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밀폐유닛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저면도
도 21은 와인병의 장착상태가 도시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모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8의 저면측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승강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밀폐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저면도이고, 도 21은 와인병의 장착상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는 와인병(90)이 밀폐되어 장착되고, 사용자의 요구량에 따라 와인이 토출되는 와인모듈(10)과, 상기 와인모듈(10)과 연결되어 상기 와인모듈(10)을 제어하는 컨트롤모듈(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인모듈(10)은 2개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모듈(20)이 2개의 와인모듈(20)을 제어하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와인모듈(1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컨트롤모듈(20)은 상기 와인모듈(10)에 전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ID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입력받은 후 이를 인증하여 상기 와인모듈(10)의 작동을 제어하며,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와인모듈(10)은 도어(32)가 설치된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와인병(9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0)과,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와인병(9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40)을 온/오프 시키는 밀폐유닛(50)과,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불활성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의 양에 따라 상기 와인병(90)의 와인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닛(60)과,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3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열전모듈(70)과, 상기 와인모듈(1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0)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32)가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은 상기 도어(32)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열전모듈(70)에 의해 내부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케이스(30)의 전면에는 상기 제어유닛(80)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와인모듈(10)의 온도 등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도어(32)의 전방 측에는 와인이 토출되는 토출구(61)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토출구(61)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와인병(90)의 와인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승강베이스(41)와, 와인병(90)이 올려지고, 상기 올려진 와인병(9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42)와,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4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42)의 이동방향은 안내하는 승강가이드(44)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42)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42) 내측에 상기 구동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트(42) 사이에 상기 승강가이드(42)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본 실시예에서 모터가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유압실린더 등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승강가이드(42)는 상기 승강베이스(41)에 고정되고, 상기 리프트(42)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리프트(42)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리프트(42)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가이드(42)는 상기 리프트(42) 내부에 2개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중심축에 배치된 스크루(45)를 회전시키고, 상기 스크루(45)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크루(45)의 상측단에 배치된 고정된 무빙베이스(46)가 상기 리프트(42)를 들어 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빙베이스(46)는 상기 승강가이드(42)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밀폐유닛(50)은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승강유닛(40)에 의해 상승되어 가압되는 와인병(90)의 압력값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40)을 온/오프 제어한다.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과,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될 때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블록(52) 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이동블록(54)과, 상기 이동블록(54) 및 상기 고정블록(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록(54)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블록(52)은 상기 케이스(30)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54)은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블록(52)의 하측에 형성된 블록홈(51)에 상기 이동블록(54)이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소정거리 상대 이동된다.
상기 고정블록(52) 및 이동블록(54) 사이에는 탄성부재(55)가 배치되어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이동블록(54)을 밀어 원위치시킨다.
즉, 상기 와인병(90) 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유닛(40)에 의해 상기 와인병(90)이 상승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54)이 고정블록(52) 측으로 가압된다. 여기서 상기 와인병(90)을 통한 상기 이동블록(54)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승강유닛(40)의 작동을 오프시켜 상기 와인병(90)의 상승을 제한한다.
상기 이동블록(54)은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입구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입구홈(53)이 형성되고, 상기 입구홈(53)에는 상기 입구를 탄성 지지하는 완충부재(57)가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와인병(90)의 입구는 상기 완충부재(57)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압력센서(56)는 상기 이동블록(54)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승강유닛(40)의 작동을 온/오프 시키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57)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52) 및 이동블록(54)에는 상기 와인을 토출유닛(60)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공(52a)(54a)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52a)(54a)에는 튜브(62)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고정블록(52) 및 이동블록(54)이 하나의 부품인 블록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 상대 이동 없이 상기 완충부재(57)를 통해 상기 와인병(90)의 압력을 완충시킨다.
상기 토출유닛(60)은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65)와,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밀폐유닛(50)을 거쳐 상기 와인병(90)으로 안내하는 가스공급유로(미도시)와,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병(90)에 담긴 와인을 토출시키는 튜브(62)와, 상기 밀폐유닛(5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되는 와인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을 포함한다.
상기 가스탱크(65)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3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가스공급유로는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튜브(미도시) 등을 이용해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유닛(50)의 고정블록(52) 및 이동블록(54)에 형성된 안내공(52a)(54a)을 통해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주입한다.
상기 튜브(62)는 일단이 상기 토출구(6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와인의 토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밀폐유닛(50)에 의해 상기 와인병의 입구가 밀폐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유닛(80)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가스공급유로 상의 밸브(미도시)를 개방시켜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주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주입된 가스는 상기 와인병(9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압력만큼 상기 와인병(90)에 저장된 와인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구(61)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와인의 유동경로 및 가스의 유동경로에는 유체를 단속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인 디스펜서에서 와인병의 장착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와인병(90)을 승강유닛(40)의 리프트(42) 위에 올리고, 상기 제어유닛(80)을 조작하여 상기 와인병(90)을 장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와인병(90)은 상기 승강유닛(4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입구가 상기 밀폐유닛(50)의 이동블록(54)과 접촉된 후 상기 이동블록(54)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이동블록(54)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면, 상기 압력센서(56)에서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46)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제습하우징 12 : 제습공간
14 : 연결홀 15 : 냉각핀
20 : 열전소자 30 : 유입관
40 : 배출관 50 : 드레인

Claims (8)

  1. 와인병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와인을 토출시키는 와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어(32)가 설치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와인병(9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와인병(9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와인병(90)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유닛(5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에 비례하여 상기 와인병(90)의 와인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와인병(90) 입구와 접촉되는 부분에 완충부재(57)가 배치된 와인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승강베이스(41);
    상기 와인병(90)이 올려지고, 상기 올려진 와인병(9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42);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4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42)의 이동방향은 안내하는 승강가이드(44)를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병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6)를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될 때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블록(52) 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이동블록(54)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60)은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65);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밀폐유닛(50)을 거쳐 상기 와인병(90)으로 안내하는 가스공급유로;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병(90)에 담긴 와인을 토출시키는 튜브(62);
    상기 밀폐유닛(5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되는 와인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8. 와인병 내부로 가스를 주입하여 와인을 토출시키는 와인 디스펜서에 있어서,
    도어(32)가 설치된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어 와인병(9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의 상단과 접촉되어 상기 와인병(9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와인병(90)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밀폐유닛(50);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고 상기 와인병(9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고 공급된 가스에 비례하여 상기 와인병(90)의 와인을 토출시키는 토출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4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승강베이스(41); 상기 와인병(90)이 올려지고, 상기 올려진 와인병(9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리프트(42); 상기 승강베이스(41)에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42)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밀폐유닛(50)은
    상기 케이스(3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 상기 고정블록(52)에 연결되고,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될 때 상기 와인병(90)의 입구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블록(52) 측으로 상대 이동되는 이동블록(54); 상기 이동블록(54)에 설치되어 상기 와인병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6)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유닛(60)은 가스가 저장되는 가스탱크(65); 상기 가스탱크(65)의 가스를 상기 밀폐유닛(50)을 거쳐 상기 와인병(90)으로 안내하는 가스공급유로; 상기 와인병(9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밀폐유닛(5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병(90)에 담긴 와인을 토출시키는 튜브(62); 상기 밀폐유닛(50)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62)를 통해 토출되는 와인을 사용자에게 토출시키는 토출관(61)을 포함하는 와인 디스펜서.
KR20130098917A 2013-08-21 2013-08-21 와인 디스펜서 KR10148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917A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3-08-21 와인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917A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3-08-21 와인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732B1 true KR101482732B1 (ko) 2015-01-14

Family

ID=5258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917A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3-08-21 와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761A (ko)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760A (ko)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3814A1 (en) * 2001-11-26 2003-11-20 Johne Phelps Wine or champagn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040025415A (ko) * 2002-09-19 2004-03-24 오명수 액체주입장치
JP2005522381A (ja) 2002-04-10 2005-07-28 エノマティック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13043665A (ja) * 2011-08-23 2013-03-04 Zainasu Holdings Kk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3814A1 (en) * 2001-11-26 2003-11-20 Johne Phelps Wine or champagn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JP2005522381A (ja) 2002-04-10 2005-07-28 エノマティック ソシエタ ア レスポンサビリタ リミタータ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040025415A (ko) * 2002-09-19 2004-03-24 오명수 액체주입장치
JP2013043665A (ja) * 2011-08-23 2013-03-04 Zainasu Holdings Kk ボトル内の液体を自動的に抽出する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761A (ko)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760A (ko) 2020-03-06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용 냉장고
US11584629B2 (en) 2020-03-06 2023-02-2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or drin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280B1 (ko) 게이트 밸브
KR101664853B1 (ko) 래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유량 조절 장치
JP4254568B2 (ja) 充填バルブ
KR101376045B1 (ko) 게이트 밸브
KR101482732B1 (ko) 와인 디스펜서
KR101438428B1 (ko) 와인 디스펜서
JP5455635B2 (ja) 飲料分配のための容器
ATE442340T1 (de) Füllelement sowie füllmaschine mit derartigen füllelementen
US8561966B2 (en) Cam valve
US20160152458A1 (en) Fill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ontainers with a process gas
US9086079B2 (en) Two-stage air control valve
JP2011503480A (ja) 油圧弁装置
EP1580502A1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carbonated water fabricating unit
JP2009502665A (ja) 液体室、気体室、及び中間室を備えた充填バルブ、及び充填バルブを備えた充填機
KR101510871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디스펜서
KR20190125351A (ko) 압력 조절기 밸브
CN103588157B (zh) 一种手动控气临时正压分酒装置
US20060076528A1 (en) Controller
KR100924265B1 (ko) 전자제어밸브
KR20090002639A (ko) 밸브,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97326B1 (ko) 차량용 도어 글래스 실링장치
CN103225706A (zh) 压电阀
KR101207844B1 (ko) 진공 밸브
KR20150078207A (ko) 상향 주입식 음료컵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정량 인출 장치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