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761A - 음료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음료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761A
KR20210112761A KR1020200028204A KR20200028204A KR20210112761A KR 20210112761 A KR20210112761 A KR 20210112761A KR 1020200028204 A KR1020200028204 A KR 1020200028204A KR 20200028204 A KR20200028204 A KR 20200028204A KR 20210112761 A KR20210112761 A KR 20210112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container
cabinet
cover assembl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양희수
오민규
이수영
김자연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761A/ko
Priority to US17/193,663 priority patent/US11584629B2/en
Publication of KR2021011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69Cooling arrangements using solid state elements, e.g. Peltie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1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001/0092Containers for gas, for, e.g. CO2, N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7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2001/08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32)이 내부에 마련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출수노즐(70)이 포함된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B)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펌프연결라인(101)과,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의 산화를 방지하는 탱크연결라인(102)이 설치된다. 따라서, 음료취출과 산화방지라는 두 가지 기능을 이원화시킴으로써 비활성기체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drinks}
본 발명은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에 담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와, 김치와 같은 숙성식품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와인 등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와인냉장고는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6606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80906에는 이러한 와인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와인냉장고 중에는 와인병을 높이 방향으로 세워서 보관하고, 보관된 와인병에서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형태의 기술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2732에는 와인병을 세워서 보관하고 토출관으로 와인을 토출시켜 음용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때, 와인의 토출을 위해서 와인병의 내부 압력을 높이게 되는데, 가스탱크의 불활성 가스를 와인병에 주입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가스탱크에 내장된 불활성 가스는 소모되는 것이므로 주기적으로 가스탱크를 교체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와인의 추출회수가 많아질수록 가스탱크의 교체주기가 빨라지게 되고, 디스펜서의 유지보수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유지보수비용을 낮추기 위해서 가스탱크를 에어펌프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에어펌프에 의해 공기가 음료용기에 주입되면 음료가 산화되어 맛이 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디스펜서에서는 가스탱크가 전면하부에 눕혀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가스탱크의 교체를 위해서는 먼저 전면커버를 분해해야 하고, 가스탱크를 눕혀서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가스탱크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펜서에는 음료용기(와인병 등)로부터 음료을 추출하기 위한 튜브가 디스펜서 내부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의 내부로 음료가 이동하기 때문에 튜브의 세척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튜브가 고정설치되어 있어서 세척이 용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튜브의 세척을 위해서는 세척수를 담은 음료용기를 디스펜서의 내부에 수납한 후에, 세척수를 취출하여 그 과정에서 튜브가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 등 내부관의 세척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660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09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73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로부터 음료를 취출하기 위해서 공기를 주입하는 수단(에어펌프)과, 음료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비활성기체를 주입하는 수단(가스탱크)을 이원화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에 비활성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탱크를 음료용 냉장고의 상면쪽에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의 내부에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투입파이프와,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파이프를 냉장고에서 분리가능한 커버조립체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장실이 내부에 마련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출수노즐이 포함된다.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음료용기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펌프연결라인과,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의 산화를 방지하는 탱크연결라인이 설치된다. 따라서, 음료취출과 산화방지라는 두 가지 기능을 이원화시킴으로써 비활성기체의 소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연결라인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펌프연결라인에 제공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탱크연결라인에 연결되어 비활성기체를 상기 탱크연결라인에 제공하는 가스탱크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펌프와 가스탱크가 내장되면, 음료취출과 산화방지라는 두 가지 기능을 하나의 음료용 냉장고 안에 모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탱크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탱크장착홀을 통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수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스탱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저장실에 삽입되고, 상기 캐비넷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개방홀 및 상기 가스탱크가 수납되는 탱크장착홀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료용기와 가스탱크를 모두 차폐하여, 냉각효율을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공급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가스탱크를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준다. 이처럼 이원화된 에어펌프와 가스탱크는 하나의 공급파이프에 연결되므로,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배관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파이프는 상기 에어펌프에 결합되는 펌프연결라인과, 상기 가스탱크에 결합되는 탱크연결라인 및 상기 펌프연결라인과 상기 탱크연결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제1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밸브에는 메인공급라인이 결합되어 상기 제1밸브에 의해 상기 펌프연결라인 또는 상기 탱크연결라인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에는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공기 또는 비활성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투입파이프가 연결된다. 따라서 음료용기에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가스를 주입하기 위해 별도의 배관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에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이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출수노즐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저장실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에는 제2밸브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기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라인이 연결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음료용기가 내장되더라도, 각각의 음료용기에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저장실의 입구를 가로막아 상기 저장실을 차폐한다. 즉, 상기 커버조립체는 손잡이겸 내부도어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는 투입파이프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투입파이프는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공기 또는 비활성기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는 투입파이프와,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출수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로 토출시키는 취출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손잡이겸 커버역할을 하는 커버조립체를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투입파이프와 취출파이프도 함께 분리되고, 사용자는 투입파이프와 취출파이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파이프와 상기 취출파이프는 상기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취출파이프는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 또는 바닥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투입파이프는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까지 연장된다. 이를 통해 고압의 공기 또는 비활성기체는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에만 공급되고, 음료의 취출은 음료용기의 바닥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에는 연결조립체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조립체는 상기 음료용기를 고정한 커버조립체가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면서 상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투입파이프 사이와, 상기 커버조립체의 취출파이프 및 상기 출수노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조립체에 음료용기의 입구를 끼운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수납하면, 커버조립체가 연결조립체를 눌러 관연결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조립체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 눌려 이동되는 작동돌부를 갖는다. 그리고 연결관이 상기 작동돌부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관은 각각 상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투입파이프 사이와, 상기 커버조립체의 취출파이프 및 상기 출수노즐 사이를 연결시킨다. 즉, 연결조립체가 눌려 동작되면, 투입파이프-공급파이프 사이와, 취출파이프-취출노즐 사이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하우징에는 작동플레이트가 대칭되는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한쪽에는 상기 작동돌부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돌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눌리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반대편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하나의 연결조립체가 양쪽에서 각각 한 쌍의 관들 사이를 연결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조립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돌부를 탄성지지해주므로, 상기 작동돌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의해 눌릴 수 있는 대기상태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조립체의 작동돌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하는 커버조립체가 안착되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의 안착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조립체 의해 눌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조립체를 별도로 동작시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냉각장치가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빈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는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가스탱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투입파이프와, 상기 출수노즐에 연결되는 취출파이프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의 개방홀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고, 상기 투입파이프 및 취출파이프가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상기 개방홀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차폐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손잡이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조립체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돌부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를 주변을 압박하여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음료용기의 압력을 높여 음료를 취출하기 위한 에어펌프가 마련되고, 이와 별도로 음료의 산화방지를 위해 비활성기체를 공급하는 가스탱크가 설치된다. 그리고, 공급파이프는 에어펌프와 가스탱크를 선택적으로 음료용기에 연결시킨다. 따라서, 음료취출과 산화방지라는 두 가지 기능을 이원화시킴으로써 비활성기체의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음료용 냉장고의 유지보수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원화된 에어펌프와 가스탱크는 하나의 공급파이프에 연결되고, 제어밸브에 의해 음료용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므로,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배관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스탱크는 음료용 냉장고의 상면에 설치되고, 도어를 열면 곧바로 외부로 드러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스탱크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냉장고의 사용편의성이 높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에어펌프는 소모품이 아니므로 교체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에어펌프를 캐비넷의 후방 바닥쪽에 설치함으로써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료용기를 커버조립체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에 저장할 수 있는데, 커버조립체에는 (i) 에어펌프 또는 가스탱크와 음료용기를 연결하는 투입파이프와, (ii) 취출노즐과 음료용기를 연결하는 취출파이프가 각각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겸 커버역할을 하는 커버조립체를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투입파이프와 취출파이프도 함께 분리되고, 사용자는 투입파이프와 취출파이프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취출파이프는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끌어올려 취출노즐 근처까지 연결하는 것으로 음료 취출 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커버조립체의 취출파이프를 세척함으로써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커버조립체에 음료용기의 입구를 끼운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수납하면, 커버조립체가 연결조립체를 눌러 관연결동작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연결조립체가 눌려 동작되면, 투입파이프-공급파이프 사이와, 취출파이프-취출노즐 사이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투입파이프와 취출파이프가 캐비넷에 고정설치되지 않고 탈착되는 커버조립체 쪽에 설치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파이프들을 일일이 연결하지 않더라도 커버조립체를 냉장고에 조립하는 작업만으로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 냉장고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저장실이 마련되고, 각각의 저장실에는 음료용기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저장실에 수납된 음료용기들에는 공급파이프에서 분리된 분기라인이 각각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공급해주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음료용기를 동시에 수납하더라도 음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각의 음료용기로부터 개별적으로 음료를 취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음료용기를 커버조립체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에서 꺼내거나 저장실에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조립체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출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커버조립체를 구성하는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에 연동한 가압부가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여 커버조립체에 음료용기가 강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무거운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수납하거나, 반대로 저장실에서 꺼낼 때, 안정적으로 음료용기를 옮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냉각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공급파이프와, 에어펌프 및 가스탱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연결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손잡이부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는 커버조립체의 내부구조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연결조립체가 동작되는 과정을 각각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연결조립체가 동작하면서 파이프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에어펌프를 통해 음료용기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흐름을 보인 구조도.
도 1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가스탱크를 통해 음료용기에 비활성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흐름을 보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함)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와인병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음료용기(B)를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와인병 이외에도 병에 담긴 다양한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은 비교적 전후 폭이 짧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는 바닥면적이 좁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없고, 따라서 바닥에 두거나, 또는 식탁 위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도면부호 미부여)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30)와 냉각장치(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케이스(30)의 안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져 음료용기(B)가 수납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만들고,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이 설치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를 보면,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냉장고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흡입그릴(15)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배출그릴(16)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입그릴(15) 및 상기 배출그릴(16)이 생략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직접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스페이서(1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서 바깥쪽, 즉 냉장고의 설치공간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냉장고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거리를 두기 위한 것으로, 도 4에서 보듯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유동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페이서(14)를 파지하고 냉장고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치공간의 상부를 차폐한다.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의 도어(24)는 냉장고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도어(24)가 설치되는 일종의 프레임역할도 한다.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는 개방홀(22)이 관통된다. 상기 개방홀(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실(32)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어(24)가 개방되면 저장실(3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일종의 출입구 역할을 한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 개방홀(22)의 주변에는 입구가스켓(22a)이 설치되는데, 상기 입구가스켓(22a)은 커버조립체(9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개방홀(22) 주변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커버(20)에는 도어(24)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4)는 상기 개방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4)는 힌지(2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된다. 도 1에서 도어(24)는 열린 상태고, 도 4에서는 닫힌 상태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24)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24)가 생략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조립체(90)만으로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커버(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쪽에는 하부커버(26)가 있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캐비넷(10)의 하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6)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커버(26)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26)에는 받침판(27)이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상기 하부커버(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받침판(27)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아래에서 설명될 출수노즐(7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7)에 컵을 올려둔 상태에서 출수노즐(70)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면, 컵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지고,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가 수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과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중심에 있는 저장실(32)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결합되는 냉각가이드(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골격은 한 쌍의 측면부(31a, 도 2참조)와 상기 측면부(31a)를 연결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31b, 도 4참조)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와 상기 바닥부(31b)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안쪽에는 수납바디(35)가 있다. 상기 수납바디(35)는 음료용기(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수납바디(35)의 내부에 저장실(32)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바닥부(31b)에는 받침대(33)가 있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33)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33)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바디(35)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수납바디(35)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에서 냉각가이드(40)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수납바디(35)의 사이에는 구획벽(34)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벽(3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저장실(32)을 구획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구획벽(34)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의 한쪽 끝 부분과 만나 냉각가이드(4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수납바디(35)에는 경사부(36)가 있는데, 상기 경사부(36)는 상부, 즉 상부커버(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저장실(32)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면이다. 상기 경사부(36)는 상기 저장실(32)의 폭을 좁게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36)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음료용기(B)의 입구부(Ba) 쪽에 가깝게 된다. 이처럼 상기 경사부(36)가 상기 저장실(32) 상부의 폭을 좁힘에 따라 상기 저장실(32)의 체적도 함께 줄어들게 되고, 보다 효과적인 저장실(32) 냉각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6)의 바깥쪽, 즉 상기 저장실(32)의 반대편 쪽은 단열재(도시되지 않음)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수납바디(35)에는 냉각가이드(40)가 결합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바디(35)에 결합되어 안쪽에 저장실(32)을 만든다. 도 2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케이스(30)에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3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수납바디(35) 아래쪽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바디(35)에 결합되면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수납바디(35)는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수납바디(35)와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바디(35)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 즉 상부를 감싼다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음료용기(B)의 본체부분을 감싼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장치(C)에 직접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안쪽공간인 저장실(32)의 온도도 함께 내려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단열패널(42)이 차폐한다.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저장실(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지는 평판구조이다. 상기 단열패널(42)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냉각가이드(40), 상기 바닥부(31b) 및 상기 단열패널(42)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다수개의 저장실(32)이 상기 바닥부(31b)와 상기 단열패널(42)은 서로 공유하되 상기 냉각가이드(4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저장실(32)을 구획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단열패널(42)이 차폐한다.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저장실(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지는 평판구조이다.
이러한 단열공간의 한쪽을 구성하는 단열패널(42)을 보면,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함께 상기 저장실(32)을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단열패널(42) 및 상기 바닥부(31b)가 함께 저장실(32)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32)의 상부는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도어(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도 4에는 상기 단열패널(42)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단열패널(4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패널(42)은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로 구성되고,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는 패널프레임(41)에 고정된다. 참고로 상기 제1패널(43)은 상기 패널프레임(41)의 안쪽에 고정되고, 제2패널(44)은 상기 패널프레임(41)의 바깥쪽에 고정된다.
상기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은 각각 단열유리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을 통해서 저장실(32)을 볼 수 있고,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를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열패널(42)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냉각장치(C)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실(32)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의 온도가 함께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과 단열패널(42)의 사이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단열패널(4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C)가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냉각장치(C)의 한쪽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흡입그릴(15) 및 배출그릴(16)과 마주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가장 넓은 설치공간(S)이 확보되어 있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장치(C)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면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실(32)은 2개이므로, 상기 냉각장치(C)도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냉각장치(C)는 각각 별개의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저장실(32)은 내부온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 독립냉각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장치(C)에서 발생한 냉기는 냉각가이드(40)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표면을 따라 냉각가이드(40)의 전체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C)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열전소자(55)를 포함하는데, 열전소자(55)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실(3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냉각장치(C)에는 소자하우징(51)이 포함되는데, 상기 소자하우징(51)은 냉각장치(C)의 골격을 만든다. 상기 소자하우징(51)은 일종의 사각틀 형상이고, 그 중심에는 수용공간(53)이 관통된다.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53)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중심에서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부(51a)의 안쪽에 만들어진다. 도면부호 52는 소자하우징(51)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보스로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그 중 일부는 다른 부품이 소자하우징(51)에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온부와 고온부는 상기 열전소자(55)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가 고온부보다 상기 냉각가이드(4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온부는 후술할 쿨링블록(57)과 접할 수 있고, 상기 고온부는 상기 히트싱크(58)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는 방열이 일어날 수 있다. 도면부호 56은 상기 열전소자(5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열전소자(55)에는 쿨링블록(57)이 접촉된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와 상기 냉각가이드(40) 사이에 위치하여, 한쪽은 상기 쿨링블록(57)에 접촉되고 반대쪽은 냉각가이드(4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의 냉기를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쿨링블록(57)에는 가압부(57a)가 돌출된다. 상기 가압부(57a)는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이다. 상기 가압부(57a)의 표면은 상기 열전소자(55)와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가압부(57a)는 상기 열전소자(55)를 히트싱크(58)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가압부(57a)와 히트싱크(58)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쿨링블록(57)의 반대쪽에는 히트싱크(58)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싱크(58)는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를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트싱크(5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팬(65)이 결합되어 방열팬(65)이 히트싱크(58)를 식혀줄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58)의 구조를 보면, 상기 히트싱크(58)는 방열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와, 복수의 방열핀(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59)은 이웃한 방열핀(59)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방열핀(59)과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하기 위한 소자접촉판(5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의 면적은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대략적으로 상기 열전소자(55)의 표면과 동일한 크기의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을 통해서 상기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5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단열프레임(6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소자장착홀(61)이 마련되고, 상기 소자장착홀(61) 안에 상기 열전소자(55)가 위치된다.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가스켓(6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열프레임(60)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63)은 실링 부재 역할을 하여,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의 사이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64는 상기 가스켓(63)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단열프레임(6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62)가 위치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프레임(6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62)도 상기 단열프레임(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열전소자(55)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각 효율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58)의 후방에는 방열팬(65)이 결합된다. 상기 방열팬(65)은 상기 히트싱크(58)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58)로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팬(67)과, 팬(67)의 외측을 둘러싸는 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67)은 일 예로 축류형 팬일 수 있다. 상기 팬(67)은 상기 히트싱크(5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방열팬(65)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고정핀(66)에 의해서 상기 히트싱크(58)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냉각가이드(40)를 직접 냉각시키지 않고, 저장실(32)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일 필요가 없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캐비넷(10)에는 출수노즐(70)이 있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로부터 음료가 추출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2개로 구성된다. 각각의 출수노즐(70)은 서로 다른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달리, 상기 출수노즐(7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넷(10)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출수노즐(70)에는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되는 노즐연결관(72)과, 상기 노즐연결관(72)에 연결되고, 냉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수헤드(71)가 포함된다. 상기 출수헤드(71)의 내부에는 음료배출구(75)가 형성되어, 상기 음료배출구(75)를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가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음료용기(B)의 내부압력을 높이면,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가 상기 노즐연결관(72) 및 상기 음료배출구(75)를 통과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캐비넷(10)의 상면이 아니라 전면의 단열패널(42)이 설치된 부분에 설치된다. 이것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가 없고, 전면이 단열패널(42)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24)를 설치하면, 상기 도어(24)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70)과 간섭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24)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이 아니라 상부커버(20) 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24)를 여닫을 때 출수노즐(70)과 간섭될 염려가 없다.
상기 출수노즐(7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면패널(80)이 조립되고,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단열패널(42) 중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제2패널(44)의 안쪽에 위치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가 더 낮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패널(80)이 메울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냉장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명령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3)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 보관된 음료의 보관기간, 음료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실(32)의 온도, 내부 조명의 밝기, 냉장고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개방된 상태로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 있는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음료용기(B)도 저장실(32) 바깥쪽으로 함께 딸려나오고, 반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음료용기(B)를 끼운 후에 상기 저장실(32) 안으로 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여 차폐한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지면,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커버조립체(90)에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보관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커버조립체(90) 자체게 구비되어 있다.
도 6과 도 7에는 커버조립체(90)의 모습이 각각 사시도 및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8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그 안쪽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지는 결합부(9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회전가능하게 손잡이부(95)가 조립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들어올려지면(도 13참조), 사용자가 이를 파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개방홀(22)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한쪽은 직사각형상이고, 다른쪽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비대칭구조이다. 그리고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다른쪽에는 손잡이부(95)가 둘러싸게 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개방홀(22)과 그 주변을 덮기 때문에,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일종의 내부도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면 조립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도 자연스럽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개방홀(22) 주변의 안착부분(22')과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앞서 설명한 대로 전후가 비대칭구조이므로, 오조립될 가능성도 없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아래쪽에는 결합부(93)가 있는데, 상기 결합부(9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홀(22) 안쪽, 보다 정확하게는 저장실(32)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3)에는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져 차폐된다.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음료용기(B)를 끼워 이동시킬 때는 도 13과 같이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를 수납한 후에는 회전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연속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도 13과 같이 들어올려지면, 상기 손잡이부(95)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93)를 변형시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상기 결합부(93) 안쪽에 강하게 눌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부(95)에는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결합부(9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95b')가 있다. 그리고 캠돌부(95b')는 상기 결합부(93)가 상기 캠돌부(95b')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압박하게 된다.
도 8에는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구성하는 커버플레이트(91)는 크게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91a)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91b)가 서로 조립되고, 그 사이에는 단열블록(91c)이 삽입된다. 상기 단열블록(91c)은 폴리우레탄 수지나 에어로겔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짐으로써, 상기 커버조립체(90) 자체가 내부도어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단열블록(91c)은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 사이에는 손잡이부(95)가 삽입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는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 제1회전ㅊ축(91a')과 제2회전축홈(91b')이 있다. 상기 제1회전축홈(91a')과 제2회전축홈(91b')은 서로 맞물려 대략 원형의 긴 채널을 만들고, 여기에는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이 삽입된다. 물론, 상기 단열블록(91c)에도 상기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이 끼워지는 회전홈(91c')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중심에는 작동홀(91b'')이 관통된다. 상기 작동홀(91b'')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에 있는 캠돌부(95b')가 위치한다. 상기 캠돌부(95b')는 상기 작동홀(91b'')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가압블록(94a)을 눌러줄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결합부(93) 및 가압부(94)가 조립된다. 상기 결합부(93)와 가압부(94)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감싸는 것으로, 단순히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감싸는데 그치지 않고, 음료용기(B)의 입구(Ba) 표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음료용기(B)가 상기 커버조립체(9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결합부(93)는 일종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기에 상기 가압부(94)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부(93)의 중심에 있는 결합공간(93a)과 상기 커버플레이트(91) 사이에 가압부(94)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93a)에는 가압부(94)가 설치되고,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가압부(94)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94)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결합부(93)의 사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로부터 상기 결합부(93)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압부(94)는 상기 회전축(95b)의 캠돌부(95b')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가압부(94)는 가압블록(94a), 고정플레이트(94b) 및 압박블록(94c)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커버플레이트(91) 및 상기 결합부(93)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손잡이부(95)의 상기 캠돌부(95b')에 의해 상기 결합부(93)의 저면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블록(94a)은 이에 연동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손잡이부(95)에 연동하여 아래쪽, 즉 상기 압박블록(94c)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박블록(94c)을 탄성변형시키는데, 상기 가압블록(94a)의 하강 거리는 상기 압박블록(94c)을 눌러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정도면 되므로, 상기 가압블록(94a)이 실제 승강하는 거리는 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94a)은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을 수 있고, 강도가 높아 탄성변형량이 적은 재질인 것이 좋다. 상기 가압블록(94a)에는 걸림홈(94a')이 함몰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홈(94a')에는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가압블록(94a)에 눌려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감싸야 하므로 중심에 압박홀(94c')이 관통된 원통형상이고, 상기 가압블록(94a)의 저면에 눌려야 하므로 그 직경은 상기 가압블록(94a)의 직경과 비슷하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결합부(93)의 결합공간(93a) 안에 위치한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결합공간(93a) 안에서 상기 가압블록(94a)에 의해 눌려 탄성변형되므로,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는 탄성변형될 수 없고, 상기 압박홀(94c')의 직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압박블록(94c)이 탄성변형되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압박홀(94c') 내부에 강하게 끼어, 상기 커버조립체(90)와 상기 음료용기(B) 사이의 결합력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결합부(93)의 상면에는 체결홈(93b)이 있다. 상기 체결홈(93b)은 상기 결합부(93)의 상면에서 함몰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체결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94b)가 상기 결합부(93)의 체결홈(93b)에 조립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94b)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블록(94a)의 승강높이가 제한된다. 상기 가압블록(94a)의 걸림홈(94a')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끼워진 상태인데, 상기 가압블록(94a)이 하강하다가 상기 걸림홈(94a')의 안쪽 끝에 상기 체결암(94b')이 닿으면 상기 가압블록(94a)은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93)는 상기 가압부(9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가압부(94)가 분해되지 않고 상기 결합공간(93a)과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상기 작동홀(91b'') 사이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95)를 보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파지몸체(95a)와, 상기 파지몸체(95a)의 끝에서 연결되는 회전축(95b)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95b)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면 상기 가압부(94)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눕혀지면 상기 가압부(94)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한 상태가 해제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축(95b)에는 캠돌부(95b')가 있는데, 상기 캠돌부(95b')는 상기 손잡이부(95)의 회전에 따라 아래쪽, 즉 상기 가압부(94)를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달라진다. 정확하게는,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는 방향(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캠돌부(95b')는 가압부(94)의 가압블록(94a)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블록(94a)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상기 캠돌부(95b')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원형의 단면인 회전축(95b)에서 더 돌출되어 대략 직교한 모서리를 갖는 형상이다.
상기 커버조립체(90)에는 투입파이프(99b)와 취출파이프(99a)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파이프(99b)는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커버(20)에 안착되면 아래에서 설명될 공급파이프(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취출파이프(99a)는 상기 출수노즐(70)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B) 내부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70)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을 보면,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취출파이프(99a)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파이프(99b) 보다 상기 취출파이프(99a)가 아래쪽으로 더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취출파이프(99a)는 음료를 취출해야 하므로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에 닿거나 바닥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는 유연한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와 달리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일 수도 있다.
도 6 및 도 8을 보면, 상기 투입파이프(99b)의 단부(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의 단부(99a')는 각각 음료용기(B)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부분은 다시 음료용기(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아래쪽으로 노출된다. 도 6에는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의 끝부분이 노출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된 상기 투입파이프(99b)의 단부(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의 단부(99a')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조립체(200)의 연결관(212,213)에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는 상기 커버조립체(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조립체(10)를 상기 캐비넷(10)에서 분리하면 함께 분리된다. 따라서, 손잡이겸 커버역할을 하는 커버조립체(90)를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취출파이프(99a)도 함께 분리되고, 사용자는 투입파이프(99b)와 취출파이프(99a)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취출파이프(99a)는 음료용기(B)에서 음료를 끌어올려 취출노즐(70) 근처까지 연결하는 것으로 음료 취출 경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커버조립체(90)의 취출파이프(99a)를 세척함으로써 취출 경로의 대부분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공급파이프(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공급파이프(100)는 상기 투입파이프(99b)에 고압의 공기나 비활성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도 9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상기 캐비넷(10)과 이너케이스(30) 등을 생략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급파이프(100)는 캐비넷(10)의 설치공간을 가로지르면서 설치되는데, 다수개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공급파이프(100)는 에어펌프(110)에 결합되는 펌프연결라인(101)과, 가스탱크(120)에 결합되는 탱크연결라인(102)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연결라인(10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102)은 캐비넷(10)의 설치공간 중에서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펌프연결라인(101)과 상기 탱크연결라인(102)은 삼방밸브인 제1밸브(103)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밸브(103)에는 메인공급라인(104)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103)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펌프연결라인(101) 또는 상기 탱크연결라인(10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밸브(103)가 작동하여 (i) 상기 펌프연결라인(101)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이 서로 연결되면 에어펌프(110)에서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메인공급라인(104)으로 전달되고, (ii) 상기 탱크연결라인(102)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이 서로 연결되면 가스탱크(120)에서 비활성기체가 메인공급라인(104)으로 전달된다.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은 분기라인(106A,106B)을 통해서 다시 나뉠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106A,106B)은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을 여러 갈래로 나누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기라인(106A,106B)의 개수는 상기 저장실(32)의 개수, 즉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되는 음료용기(B)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기라인(106A,106B)은 2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공급라인(104)과 상기 2개의 분기라인(106A,106B) 사이에는 제2밸브(105)가 설치된다. 상기 제2밸브(105)는 3상밸브로 구성되어서,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을 2개의 분기라인(106A,106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라인(106A,106B)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조립체(200)에 연결되고, 연결조립체(200)는 앞서 설명한 투입파이프(99b) 및 취출파이프(99a)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조립체(200)를 통해서 투입파이프(99b)-분기라인(106A,106B)이 연결되고, 또한 취출파이프(99a)-취출노즐(70)이 연결된다. 물론, 상기 저장실(32)이 한 개이고, 음료용기(B)도 한 개만 저장된다면, 상기 분기라인(106A,106B)은 생략되고,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이 연결조립체(2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에는 제어밸브(10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104')는 상기 제1밸브(103)가 에어펌프(110) 쪽을 개방했을 때, 상기 에어펌프(110)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에어펌프(110)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1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투입파이프(99b)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의 중간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에어펌프(110)와 가스탱크(12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펌프(110)는 고압의 공기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110)가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을 통해 상기 음료용기(B)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 음료용기(B)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음료가 취출파이프(99a)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음료가 취출노즐(7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110)는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펌프(110)가 후방 쪽에 위치하면, 에어펌프(110)의 동작중에 발생하는 소음이 전방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에어펌프(110)에는 공기공급관(112)이 연결되는데, 상기 공기공급관(112)은 한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펌프(110)는 전원으로 동작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에어펌프(110)는 고압의 기체가 압축된 상태로 준비된 탱크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가스탱크(120)는 내부에 비활성기체(unreactive gas)가 내장된 것으로, 비활성기체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을 통해 상기 음료용기(B)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비활성기체가 상기 투입파이프(99b)를 통해 상기 음료용기(B)에 투입되면, 상기 음료용기(B) 내부에 존재하는 산소로 인해 음료가 산화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기체는 질소, 헬륨가스, 아르곤가스, 이산화탄소 등의 비활성 기체 또는 상기 기체들 중 1 이상의 혼합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120)는 음료의 산화방지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음료의 취출은 앞서 설명한 에어펌프(110)가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탱크(120)의 비활성기체는 간헐적으로만 음료용기(B)에 주입해주면 되므로, 상기 가스탱크(120)의 소모율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가스탱크(120)는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커버(20)에 형성된 탱크장착홀(23)을 통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홀(23)은 상기 개방홀(22)과 마찬가지로 상부커버(20)에 관통되어 만들어지는데, 상기 개방홀(22) 보다는 후면플레이트(13)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 탱크장착홀(23)에 가스탱크(120)가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24)에 의해 상기 탱크장착홀(23)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즉, 도 1에는 가스탱크(120)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지만, 도어(24)를 닫으면 상기 가스탱크(120)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도어(24)만 개방하면, 사용자는 가스탱크(120)를 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스탱크(120)가 캐비넷(10)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이러한 교체는 용이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스탱크(120)와 에어펌프(110)는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상기 가스탱크(120)와 상기 에어펌프(110)가 캐비넷(10)의 외부에 별개물로 준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공급파이프(100)가 캐비넷(10)의 외부로 더 연장되어 상기 가스탱크(120)와 에어펌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는 연결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조립체(200)는 상기 캐비넷(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조립체(200)는 상기 음료용기(B)를 고정한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커버(20)에 안착되면 커버조립체(90)가 안착되는 동작에 연동한다. 상기 연결조립체(200)가 연동하면, 상기 연결조립체(200)는 (i) 상기 공급파이프(100) 및 상기 음료용기(B)의 투입파이프(99b) 사이와, (ii) 상기 음료용기(B)의 취출파이프(99a) 및 상기 출수노즐(7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시켜준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투입파이프(99b) 및 취출파이프(99a)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90)와 함께 캐비넷(10)에서 탈착되는데, 상기 연결조립체(200)가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상기 취출파이프(99a)를 각각 상기 분기라인(106A,106B) 및 취출노즐(70)에 연결시켜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투입파이프(99b)와 취출파이프(99a)를 일일이 다시 다른 관(tube)들에 연결할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조립체(2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연결조립체(200)의 골격은 연결하우징(201)이 형성하고, 상기 연결하우징(201)의 내부공간(202)에는 작동돌부(218), 작동플레이트(210), 탄성부재(215) 및 연결관(212,213) 등이 설치된다. 상기 작동돌부(218)는 상기 연결하우징(201)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눌려 이동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하우징(20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3(a)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돌부(218)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착단(22')에 돌출되어 있다가,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안착단(22')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눌려 상기 연결하우징(201)의 안쪽으로 후퇴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201)의 내부공간(202)에는 회전홈(203)이 있고, 상기 회전홈(203)에는 작동플레이트(210)의 회전돌기(211)가 끼워져,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는 회전돌기(21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는 상기 작동돌부(218)가 이동할 때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는 한쪽에는 작동돌부(218)가 연결되고, 다른 쪽에는 연결관(212,213)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돌부(218)에 의해 상기 작동플레이트(210)의 한쪽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상기 작동플레이트(210)의 반대쪽은 상승하면서 상기 연결관(212,213)을 위로 끌어올린다. 상기 연결관(212,213)이 끌어올려지면, 상기 연결관(212,213)은 위쪽에 마련된 투입파이프(99b) 및 취출파이프(99a)를 감싸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212,213)을 보면, 상기 연결관(212,213)의 위쪽에는 연결몸체(212)가 있어서 상기 투입파이프(99b) 및 상기 취출파이프(99a)의 끝부분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212,213)의 아래쪽에는 연장관(213)이 연결되어 아래쪽에 고정되어 있는 분기라인(106A,106B) 및 취출라인(108)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213)은 어느 정도 길게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관(212,213)이 상승하더라도, 상기 분기라인(106A,106B) 및 취출라인(108)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출라인(108)은 상기 취출노즐(70)에서 연장되는 관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는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한 쌍의 연결관(212,213)을 이동시켜 상기 분기라인(106A,106B)과 투입파이프(99b)를 연결하고, 취출라인(108)과 취출파이프(99a)를 연결한다. 상기 작동돌부(218)는 상기 한 쌍의 작동플레이트(210)의 중간에 위치하여, 한 쌍의 작동플레이트(210)를 동시에 회전시켜줄 수 있다.
상기 연결하우징(201)의 하우징커버(205)에는 구멍들(206,207)이 있는데, 구멍들 중 일부(206)를 통해서 상기 연결관(212,213)의 연결몸체(212)가 승강되고, 나머지 일부(207)를 통해서는 상기 작동돌부(218)가 승강된다.
상기 연결하우징(201)에는 탄성부재(21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상기 작동돌부(218)가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의해 눌릴 수 있는 대기상태 방향으로 상기 작동돌부(218)를 탄성지지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15)는 상기 작동돌부(218)를 대기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인데, 도 15(a)에는 작동돌부(218)의 대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안착단(22')에서 분리되면, 상기 작동돌부(218)는 상기 탄성부재(215)에 의해 밀려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탄성부재(215)는 스프링인데, 스프링 이외에 실리콘 등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탄성부재(215)가 생략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210)가 비대칭구조로 만들어져 중력에 의해 작동돌부(218)가 돌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음료용기(B)를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을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가 눕힌 상태로 있는데, 이때는 회전축(95b)의 상기 캠돌부(95b')가 아직 상기 가압부(94)의 가압블록(94a)을 누르기 전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블록(94a) 역시 압박블록(94c)을 탄성변형시키기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압박블록(94c)의 안쪽에 있는 압박홀(94c')에 비교적 쉽게 끼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95)를 화살표 ①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돌부(95b')는 같은 방향인 화살표 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캠돌부(95b')가 상기 가압부(94)를 구성하는 가압블록(94a)을 아래쪽, 즉 도 12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상기 가압블록(94a)이 하강하면, 상기 가압블록(94a)의 아래쪽에 적층된 형태로 밀착되어 있는 상기 압박블록(94c)이 눌려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압박블록(94c)은 바깥쪽이 상기 결합부(9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안쪽(화살표 ④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압박블록(94c)의 중심에 있는 압압홀(94c')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강하게 눌러 고정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음료용기(B)도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를 파지하고, 상기 음료용기(B)를 냉장고의 상기 개방홀(22)을 통해 저장실(32)로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수납되면, 상기 음료용기(B)가 상기 에어펌프(110) 및 가스탱크(120)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상기 음료용기(B)에 상기 공급파이프(100)를 연결하기 연결조립체(200)의 동작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와 도 14(a)는 각각 상기 연결조립체(200)가 아직 동작되기 전의 상태, 즉 대기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돌부(218)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의해 눌려 후퇴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작동돌부(218)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착단(22')에 돌출되어 있다가,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안착단(22')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눌려 상기 연결하우징(201)의 안쪽으로 후퇴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돌부(218)가 아래쪽으로 후퇴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210)의 한쪽을 눌러 상기 작동플레이트(21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플레이트(210)의 반대쪽은 상승하면서 상기 연결관(212,213)을 위로 끌어올린다. 상기 연결관(212,213)이 끌어올려지면, 상기 연결관(212,213)은 위쪽에 마련된 투입파이프(99b) 및 취출파이프(99a)를 감싸면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4(b)에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캐비넷(10)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음료용기(B)의 투입파이프(99b) 및 취출파이프(99a)가 상기 연결조립체(200)를 매개로 하여 각각 분기라인(106A,106B) 및 취출라인(108)에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주입되거나, 비활성기체가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5에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주입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비활성기체가 공급되는 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5를 보면, 상기 제1밸브(103)가 동작하여, 상기 펌프연결라인(101)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연결라인(102)은 상기 제1밸브(103)에 의해 막혀 메인공급라인(104)에 연결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펌프(110)가 동작하면, 공기공급관(11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강한 압력으로 상기 펌프연결라인(101)을 통과하고(화살표 ①방향), 상기 제1밸브(103)를 지나 메인공급라인(104)을 통과한다.(화살표 ②방향) 이때, 상기 제어밸브(104')는 열려 있으므로, 상기 고압의 공기는 메인공급라인(104)을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밸브(105)는 상기 메인공급라인(104)과, 2개의 분기라인(106A,106B) 중에서 제1분기라인(106A)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고압의 공기는 제1분기라인(106A)을 통해서 연결조립체(200) 방향(화살표 ③방향)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조립체(200)를 거친 고압의 공기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구비된 투입파이프(99b)를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주입된다.(화살표 ④방향)
고압의 공기가 주입된 음료용기(B)의 내부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저장된 음료는 취출파이프(99a)를 통해서 배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는 상기 취출파이프(99a)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화살표 ⑤방향), 상기 연결조립체(200)를 거쳐 상기 취출노즐(70)로 전달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취출노즐(70)의 음료배출구(75)를 통해서 음료가 아래쪽(화살표 ⑥방향)으로 공급되고, 사용자는 컵 등을 이용해서 음료를 담을 수 있다.
한편, 이렇게 고압의 공기를 음료용기(B)에 주입하면, 음료용기(B)의 내부에는 공기에 섞인 산소가 존재하게 되고, 산소는 음료를 산화시켜 맛을 변하게 하거나 음료를 상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에 비활성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여 비활성기체를 상기 음료용기(B)에 주입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상기 제1밸브(103)가 동작하여, 상기 탱크연결라인(102)과 상기 메인공급라인(104)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연결라인(101)은 상기 제1밸브(103)에 의해 막혀 메인공급라인(104)에 연결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탱크(120)로부터 비활성기체가 토출될 수 있고, 토출된 비활성기체는 탱크연결라인(102)을 통과하고(화살표 ①방향), 상기 제1밸브(103)를 지나 메인공급라인(104)을 통과한다.(화살표 ②방향) 이때, 상기 제어밸브(104')는 열려 있으므로, 상기 비활성기체는 메인공급라인(104)을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밸브(105)는 상기 메인공급라인(104)과, 2개의 분기라인(106A,106B) 중에서 제2분기라인(106B)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고압의 공기는 제2분기라인(106B)을 통해서 연결조립체(200) 방향(화살표 ③방향)으로 안내된다. 이것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상기 제2밸브(105)는 제1분기라인(106A)을 통해서 비활성기체를 다른 음료용기(B, 도 16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음료용기) 쪽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조립체(200)를 거친 비활성기체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구비된 투입파이프(99b)를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주입된다.(화살표 ④방향) 비활성기체가 주입된 음료용기(B)의 내부는 비활성기체의 성질을 통해서 산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 작업은 자동제어에 의해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서(미도시)를 상기 저장실(32)의 내부에 설치하여 산소농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제1밸브(103) 및 제2밸브(105)를 조절하여 비활성기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음료용기(B)를 동시에 수납하더라도 밸브들을 적절히 조절하면 음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각각의 음료용기(B)로부터 개별적으로 음료를 취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캐비넷 20: 상부커버
22: 개방홀 24: 도어
26: 하부커버 30: 이너케이스
33: 받침대 35: 수납바디
40: 냉각가이드 51: 소자하우징
55: 열전소자 57: 쿨링블록
58: 히트싱크 60: 단열프레임
65: 방열팬 70: 출수노즐
80: 상부패널 90: 커버조립체
100: 공급파이프 110: 에어펌프
120: 가스탱크 200: 연결조립체
C: 냉각장치

Claims (21)

  1. 세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된 음료용기가 저장되는 저장실이 내부에 마련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출수노즐;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펌프연결라인; 및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전달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의 산화를 방지하는 탱크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연결라인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상기 펌프연결라인에 제공하는 에어펌프와, 상기 탱크연결라인에 연결되어 비활성기체를 상기 탱크연결라인에 제공하는 가스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내장되는 음료용 냉장고.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탱크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형성된 탱크장착홀을 통해 세워지는 방향으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수납되는 음료용 냉장고.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개방홀을 통해 상기 저장실에 삽입되고, 상기 캐비넷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에 의해 상기 개방홀 및 상기 가스탱크가 수납되는 탱크장착홀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음료용 냉장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공급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펌프연결라인 및 상기 탱크연결라인을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음료용 냉장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급파이프는
    상기 에어펌프에 일단이 연결되는 펌프연결라인;
    상기 가스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는 탱크연결라인;
    상기 펌프연결라인의 타단과 상기 탱크연결라인의 타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1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밸브에 의해 상기 펌프연결라인 또는 상기 탱크연결라인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메인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공급라인에는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공기 또는 비활성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투입파이프가 연결되는 음료용 냉장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이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출수노즐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공급라인에는 제2밸브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기들에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기라인이 연결되는 음료용 냉장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저장실의 입구를 가로막아 상기 저장실을 차폐하는 음료용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는 투입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투입파이프는 상기 캐비넷 내부의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 또는 비활성기체를 상기 음료용기로 전달할 수 있는 음료용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는 투입파이프;와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출수노즐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로 토출시키는 취출파이프;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투입파이프와 상기 취출파이프는 상기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취출파이프는 상기 음료용기의 바닥 또는 바닥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투입파이프는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까지 연장되는 음료용 냉장고.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에는 연결조립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조립체는 상기 음료용기를 고정한 커버조립체가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면서 공급파이프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투입파이프 사이와, 상기 커버조립체의 취출파이프 및 상기 출수노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연결시키는 음료용 냉장고.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립체는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 눌려 이동되는 작동돌부; 및
    상기 연결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작동돌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한 쌍의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이 상기 작동돌부에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면, 상기 한 쌍의 연결관은 각각 상기 공급파이프 및 상기 커버조립체의 투입파이프 사이와, 상기 커버조립체의 취출파이프 및 상기 출수노즐 사이를 연결시키는 음료용 냉장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우징에는 작동플레이트가 대칭되는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한쪽에는 상기 작동돌부가 연결되어 상기 작동돌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눌리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반대편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을 이동시키는 음료용 냉장고.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립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작동돌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의해 눌릴 수 있는 대기상태 방향으로 상기 작동돌부를 탄성지지하는 음료용 냉장고.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립체의 작동돌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하는 커버조립체가 안착되는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의 안착단에서 적어도 일부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안착단에 안착되면 상기 커버조립체 의해 눌리는 음료용 냉장고.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냉각장치가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펌프는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서 상기 캐비넷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음료용 냉장고.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는 커버조립체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조립체에는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가스탱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투입파이프와, 상기 출수노즐에 연결되는 취출파이프가 내장되는 음료용 냉장고.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의 개방홀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고, 상기 투입파이프 및 취출파이프가 구비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상기 개방홀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차폐하는 결합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조립체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돌부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를 주변을 압박하는 음료용 냉장고.
  21. 음료용기가 저장되는 저장실이 내부에 마련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출수노즐;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음료용기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에어펌프;
    상기 캐비넷에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로 비활성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의 산화를 방지하는 가스탱크;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펌프 및 상기 가스탱크와 연결되는 공급파이프; 및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저장실의 입구를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펌프 또는 상기 가스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음료용기의 내부를 연결시키는 커버조립체;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KR1020200028204A 2020-03-06 2020-03-06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04A KR20210112761A (ko) 2020-03-06 2020-03-06 음료용 냉장고
US17/193,663 US11584629B2 (en) 2020-03-06 2021-03-05 Refrigerator for drin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04A KR20210112761A (ko) 2020-03-06 2020-03-06 음료용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761A true KR20210112761A (ko) 2021-09-15

Family

ID=775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204A KR20210112761A (ko) 2020-03-06 2020-03-06 음료용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84629B2 (ko)
KR (1) KR20210112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4745A (zh) * 2021-03-11 2021-07-23 盈加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酒类保鲜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906Y1 (ko) 2005-01-04 2005-04-07 김현석 온도 및 습도 조절형 와인냉장고
KR100526606B1 (ko) 2003-07-0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인냉장고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5-01-14 김용 와인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7100B2 (en) * 2001-11-26 2003-08-19 Vin Valet, Inc. Wine or champagn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apparatus
US20070181602A1 (en) * 2006-02-07 2007-08-09 Napa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dispensing head and system
ITFI20080073A1 (it) * 2008-04-10 2009-10-11 Egraf Lineadue S R L Apparecchiatura erogatrice di bevande, in particolare ma non esclusivamente di vini
US20100005811A1 (en) * 2008-07-11 2010-01-14 Danene Jaffe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US8857666B2 (en) * 2010-04-15 2014-10-14 Edward L. O'Keefe, JR. Wine dispensing system
US10947099B2 (en) * 2014-12-17 2021-03-16 Wine Plum,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10899593B2 (en) * 2014-12-17 2021-01-26 Wine Plum, Inc. Liquid dispensing device
US20180330565A1 (en) * 2015-10-06 2018-11-15 Wine Plum, Inc. Automated wine dispensing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CN113154745A (zh) * 2021-03-11 2021-07-23 盈加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酒类保鲜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606B1 (ko) 2003-07-0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인냉장고
KR200380906Y1 (ko) 2005-01-04 2005-04-07 김현석 온도 및 습도 조절형 와인냉장고
KR101482732B1 (ko) 2013-08-21 2015-01-14 김용 와인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76852A1 (en) 2021-09-09
US11584629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884B2 (en) Refrigerator
AU2009344951B2 (en) Refrigerator
US5791517A (en) Beverage dispenser device
KR102156123B1 (ko) 냉장고
KR101264931B1 (ko) 냉장고의 제빙수단
WO2018121569A1 (zh) 一种冰箱饮水装置的自动供水系统及具有其的冰箱
KR20210112761A (ko) 음료용 냉장고
KR20110138772A (ko) 냉장고
CN109695993B (zh) 便携式冷冻装置
KR20080016032A (ko) 냉장고
US20120167612A1 (en) Mobile cooler with ice maker
KR20210112760A (ko)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990A (ko) 음료용 냉장고
US11339043B1 (en) Wine fresh-keeping device
WO2021023224A1 (zh) 用于制冷电器的模块化饮料分配组件
EP4116656A1 (en) Beverage refrigerator
KR20210112993A (ko) 음료용 냉장고
KR20150075849A (ko) 아이스 테이블
KR20040059041A (ko) 냉장고의 도어 설치구조
US11192769B1 (en) Hollow needle insertion structure used in wine fresh-keeping device
CN207132591U (zh) 一种桶装啤酒冷藏箱
US11339044B1 (en) Wine taking device used in wine fresh-keeping device
US20230348828A1 (en) Refrigerator
CN110353494B (zh) 一种自动蒸菜售卖机
CN115151770A (zh) 饮料用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