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77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772A
KR20110138772A KR1020100058853A KR20100058853A KR20110138772A KR 20110138772 A KR20110138772 A KR 20110138772A KR 1020100058853 A KR1020100058853 A KR 1020100058853A KR 20100058853 A KR20100058853 A KR 20100058853A KR 20110138772 A KR20110138772 A KR 2011013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b
main
main doo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홍식
유선일
조경철
여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8772A/ko
Priority to PCT/KR2011/004498 priority patent/WO2011162525A2/en
Priority to MX2012015179A priority patent/MX337697B/es
Priority to AU2011269999A priority patent/AU2011269999B2/en
Priority to EP21182889.2A priority patent/EP3916324A1/en
Priority to US13/501,491 priority patent/US10845114B2/en
Priority to CN201180031251.0A priority patent/CN102947657B/zh
Priority to RU2013102589/13A priority patent/RU2519991C1/ru
Priority to BR112012032693-7A priority patent/BR112012032693B1/pt
Priority to EP11798360.1A priority patent/EP2585775B1/en
Priority to CA2803819A priority patent/CA2803819C/en
Publication of KR2011013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772A/ko
Priority to US15/604,832 priority patent/US10830520B2/en
Priority to US16/898,895 priority patent/US11320187B2/en
Priority to US17/702,576 priority patent/US11747072B2/en
Priority to US18/224,911 priority patent/US202303666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외부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예컨데, 근래에는 냉장고 내부에 냉장 저장되는 물을 도어의 개방 없이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도어 외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외부 조작에 의해서 고내에 저장된 음용수가 취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메인 도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에 디스펜서가 구비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외부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메인 힌지; 상기 메인 도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통해 개구되는 수납유닛;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서브 도어가 회전 되도록 지지하는 서브 힌지;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음용수가 취출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 도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서브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주 인출하는 식품의 수납시 냉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전력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서브 도어에 디스펜서를 장착함으로서 음용수의 취출시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메인 도어의 수납공간의 이용과 함께 상기 디스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의 상단을 형성하는 캡 데코가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단과 일치하고, 캡 데코에 손잡이가 형성됨으로써 손잡이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외관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캡 데코가 서브 힌지를 차폐하게 됨으로써 외부로 상기 서브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회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수납장치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탑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동실(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냉장실(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동실(12)과 냉장실(14)을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24)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20)는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일측에는 도어 핸들(26)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냉장실(14)과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8)에는 상기 냉장고(1)의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이 다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에는 디스펜서(400)가 더 구비되어 외부에서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구성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메인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브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결합 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메인 도어 및 서브 도어의 회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실 도어(24)는 메인 도어(100)와 서브 도어(2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도어(100)는 상기 냉장실(14)의 개구된 전면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메인 힌지(110)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 힌지(11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과 하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메인 도어(100)가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14)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힌지(110)는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동실 도어(22)의 사이에 하나의 힌지로 상기 냉장실 도어(24)의 상단과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도어(100)에는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공간(300)이 제공된다. 상기 수납공간(300)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배면에 장착되는 수납유닛(3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메인 도어(100) 전면의 개구부(320)를 통해서 식품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수납유닛(310)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배면에 제공되며,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312)과, 상기 프레임(3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납부재(314)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12)은 상기 수납공간(300)의 형성을 위해 상기 개구부(320)의 하측에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2)에는 개폐 가능한 다수의 커버(316)가 형성되어 구획된 수납공간(300) 내부를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방한 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유닛(310)의 측방에는 냉기 유입구(3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입구(318)는 상기 메인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4)의 내측 벽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14)의 내측 벽면에는 냉기 덕트(미도시)가 제공되어 상기 메인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기 덕트와 냉기 유입구(318)가 연결되어 상기 수납공간(300)의 내부로 냉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312)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납부재(314)는 바스켓 형상 또는 선반 형상 등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2) 내부의 수납부재(314)는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유닛(310)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300)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개방에 의해 접근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방하여 상기 메인 도어(100)의 후방을 통해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200)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공간(300)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320)를 통해 상기 메인 도어(100)의 전방에서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100)에는 워터탱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120)는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되는 물의 저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메인 도어(10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120)는 상기 수납공간(3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납공간(300) 외측의 상기 메인 도어(100) 배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100)에는 서브 도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수납부재(314)의 개폐를 위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32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메인 도어(100)와 동일한 소재로 전면이 형성된다. 예컨데, 상기 메인 도어(100)와 서브 도어(200)는 전면이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 또는 연속적인 무늬 또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연속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단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메인 도어(100)와 상단을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좌우측단과 하단은 상기 메인 도어(100)의 좌우 측단과 하단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가로 방향 폭은 상기 냉동실 도어(22)의 하단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28)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좌우 양측단까지 거리는 좌우 양측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좌우측 단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의 측방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일측에는 도어 핸들(2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도어(2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메인 힌지(11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은 상기 개구부(320)의 단차진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300)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의 배면 둘레에는 상기 메인 도어(100)와 밀착되는 가스켓(210)이 구비되어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210)에는 필요에 따라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210)이 자력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100)에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에 래치구조와 같은 구속구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가 상기 메인 도어(10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단에는 캡 데코(220)가 구비된다. 상기 캡 데코(22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 도어(200)의 전면과 다른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데코(22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조립시 상기 서브 도어(200)의 본체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 데코(220)에는 서브 도어 핸들(2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은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은 사용자가 손을 넣어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용이하게 회동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은 아래에서 설명할 서브 힌지(240)와 먼쪽의 상기 캡 데코(22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의 회동 조작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은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단에 형성되므로 상기 서브 도어(200)와 메인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인접하는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냉장실 도어(24)의 사이 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어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을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은 상기 메인 도어(100) 및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 데코(220)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본체(230)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부(222)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서브 힌지(240)를 차폐하는 차폐부(22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22)와 차폐부(224)는 결합시 힌지 장착부(226)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 힌지(240) 중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서브 힌지(2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서브 도어(200)의 본체(230) 상단에 상기 고정부(222)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22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 장착부(226)에 상기 상부 서브 힌지(2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224)가 상기 고정부(222)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서브 힌지(250)를 고정 및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측으로 상기 서브 힌지(240)가 노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서브 힌지(24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브 힌지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 서브 힌지(250)와, 하단을 지지하는 하부 서브 힌지(2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서브 힌지(25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32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브 힌지(250)는 상기 메인 도어(100)에 결합되는 결합부(252)와 상기 힌지 장착부(226)와 장착되는 힌지부(254)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25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54)는 상기 결합부(252)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힌지 장착부(2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254)의 단부에는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캡 데코(220)에 삽입되는 힌지축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32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개구부(320) 하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서브 도어(200)의 회전 축이 된다.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상기 메인 도어(1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와 대응하는 상기 서브 도어(200)의 하면에는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의 삽입을 위한 힌지 홀(26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상기 서브 힌지(24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와 대응하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힌지 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내부가 중공된 관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는 상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4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 유로 및/또는 상기 서브 도어(200) 상의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420)이 안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400) 및 상기 서브 도어(200)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의 구동을 위해서는 상기 서브 도어(200) 측으로 물 공급 유로(410) 및 전선(420)이 구비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410)와 전선(420)은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의 중공을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100)에서 상기 서브 도어(2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 공급 유로(410)는 상기 워터탱크(120)에서 상기 디스펜서(400)로 물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도어(100) 및 서브 도어(2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41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내측에서 상기 워터탱크(120)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도어(100)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서브 힌지(260)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200)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 내측의 물 공급 유로(410)는 상기 디스펜서(400)와 연결되어 급수 가능한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유로(410) 상에는 상기 디스펜서(400)로 급수하기 위한 펌프(412)와 밸브(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412)와 밸브(414)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브 도어(2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냉동실(12)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냉동실 도어(22)를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4)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냉장실 도어(24)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14)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도어 핸들(26)을 잡고 상기 메인 도어(100)를 회동시켜 상기 냉장실(14)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메인 도어(100)의 개방에 의해 상기 냉장실(14)의 전면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 도어(100)에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300)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방하거나, 상기 서브 도어(200)를 개방하게 된다.
먼저, 상기 메인 도어(100)를 완전히 회동시켜 개방하게 되면, 상기 냉장실(14)이 개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 도어(100)의 배면 또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간(300)의 후면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300)을 차폐하는 커버(316) 등을 개폐하여 상기 수납부재(314)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방한 후에 상기 메인 도어(100)에 장착된 워터탱크(120)를 분리하여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되는 물을 급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30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서브 도어(200)를 회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서브 도어(200)의 개방을 위해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4)와 냉장고 도어(20) 사이의 상기 서브 도어 핸들(228)에 손을 넣어 상기 서브 도어(200)를 당겨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기 서브 힌지(240)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서브 도어(200)의 회전에 따라서 개구된 상기 수납공간(300)의 전면이 노출된다. 상기 수납공간(300)의 개방으로 사용자는 상기 수납공간(300)의 내부에 식품을 넣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0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는 고외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400)의 조작시 상기 워터탱크(120)에 저장된 물은 상기 물 공급 유로(410)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200)에 구비된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된다. 상기 워터탱크(120)에 저장된 물이 모두 취출 된 후에는 사용자는 상기 메인 도어(100)를 개방하여 상기 워터탱크(120)를 분리하고, 상기 워터탱크(120)에 물을 채워넣은 다음 상기 메인 도어(100)에 상기 워터탱크(120)를 장착하여 상기 디스펜서(400)를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디스펜서가 서브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워터탱크와 디스펜서가 물 공급 유로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에서 물 취출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워터탱크 및 물 공급 유로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되는 냉장실(14) 및 냉동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4) 및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4)는 상기 냉장실(14)을 개폐하는 상기 메인 도어(100)와, 상기 메인 도어(100)에 제공되는 수납공간(300)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에는 외부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40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도어(10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메인 힌지(5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부 서브 힌지(522)와 하부 서브 힌지(524)로 구성되는 서브 힌지(5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냉장실(14)의 내측에 구비되는 워터탱크(53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530)는 상기 냉장실(14)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워터탱크(530)의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400)와 워터탱크(530)는 물 공급 유로(54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물 공급 유로(540) 상에는 펌프(542)와 밸브(544)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조작시 상기 워터탱크(530)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장실(14) 내부의 상기 워터탱크(530)로부터 상기 서브 도어(200)의 디스펜서(4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물 공급 유로(540)는 상기 메인 힌지(510)와 서브 힌지(520)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540)는 상기 냉장실(14) 측에서 상기 워터탱크(5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도어(100) 하부의 메인 힌지(510)를 통해서 상기 메인 힌지(510)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다시 상기 하부 서브 힌지(524)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200)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540)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메인 도어(100) 및 서브 도어(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단열재에 매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00)에 조명이 구비되거나, 다른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펜서(400)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메인 힌지(510)와 서브 힌지(520)를 통해서 상기 디스펜서(400) 측 또는 상기 서브 도어(2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디스펜서가 서브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이 고외의 급수원과 연결되어 디스펜서를 통해서 물 취출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물 공급 유로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 유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되는 냉장실(14) 및 냉동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4) 및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4)는 상기 냉장실(14)을 개폐하는 상기 메인 도어(100)와, 상기 메인 도어(100)에 제공되는 수납공간(300)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에는 외부에서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40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 도어(100)는 상기 메인 도어(100)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메인 힌지(6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200)는 상부 서브 힌지(622)와 하부 서브 힌지(624)로 구성되는 서브 힌지(6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400)를 통해서 취출되는 물은 고외측에서 제공되는 급수원(630)으로부터 공급받게 된다. 상기 급수원(630)은 수도 또는 고외측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물 공급 유로(640)와 고외측에서 연결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640)는 상기 급수원(630)과 상기 디스펜서(400)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 유로(640)의 일부는 고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급수원(63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내측의 물 공급 유로(640)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을 지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 유로(640)는 상기 메인 도어(100) 하부의 메인 힌지(610)를 통해서 상기 메인 도어(100)의 내측으로 안내되며, 상기 하부 서브 힌지(624)를 통해 상기 서브 도어(200)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 공급 유로(640)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642)와 밸브(644)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조작시 상기 워터탱크(646)의 물이 상기 디스펜서(4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 공급 유로(640)와 펌프(642) 및 밸브(644)는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메인 도어(100) 및 서브 도어(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단열재에 매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400)에 조명이 구비되거나, 다른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스펜서(400)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기 메인 힌지(610)와 서브 힌지(620)를 통해서 상기 디스펜서(400) 측 또는 상기 서브 도어(200)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는 냉장실 도어를 구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는 냉장실 도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동식 도어 1개로 구성된 냉장고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100. 메인 도어 110. 메인 힌지
200. 서브 도어 210. 가스켓
220. 캡데코 230. 본체
240. 서브 힌지 300. 수납공간
310. 수납유닛 320. 개구부
400. 디스펜서 410. 물 공급 유로

Claims (20)

  1.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개폐하며,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이 제공되는 메인 도어;
    상기 메인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며, 외부로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메인 도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수납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는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냉동실 도어와 인접하는 냉장실 도어의 단부에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도어와 인접한 상기 서브 도어의 단부에는 상기 서브 도어의 회동을 조작하는 서브 도어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와 동일한 방향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일단은 상기 메인 도어의 일단과 단부를 공유하며, 나머지 단부는 상기 메인 도어의 단부로부터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일단에는 함몰되어 형성되는 서브 도어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 도어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메인 힌지;
    상기 메인 도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도어의 전면을 통해 개구되는 수납유닛;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
    상기 메인 도어와 서브 도어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서브 도어가 회전 되도록 지지하는 서브 힌지;
    상기 서브 도어의 전면에 제공되며, 음용수가 취출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는 상기 다수개의 메인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다른 메인 도어와 인접하는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유로는 상기 서브 힌지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에 구비되는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서브 힌지를 통해서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에는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물 공급 유로에 의해 수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로의 물 공급을 위한 펌프 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로의 물 공급을 위한 펌프 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의 일단에는 서브 도어 핸들이 구비되는 서브 도어 데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도어 데코는 상기 메인 도어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데코는 상기 서브 힌지가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서브 힌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58853A 2010-06-22 2010-06-22 냉장고 KR20110138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53A KR20110138772A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RU2013102589/13A RU2519991C1 (ru) 2010-06-22 2011-06-20 Холодильн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BR112012032693-7A BR112012032693B1 (pt) 2010-06-22 2011-06-20 Porta de refrigerador e refrigerador compreendendo a mesma
AU2011269999A AU2011269999B2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1182889.2A EP3916324A1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US13/501,491 US10845114B2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180031251.0A CN102947657B (zh) 2010-06-22 2011-06-20 冰箱及其制造方法
PCT/KR2011/004498 WO2011162525A2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X2012015179A MX337697B (es) 2010-06-22 2011-06-20 Refrigerador y metodo de fabricacion del mismo.
EP11798360.1A EP2585775B1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A2803819A CA2803819C (en) 2010-06-22 2011-06-20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604,832 US10830520B2 (en) 2010-06-22 2017-05-25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898,895 US11320187B2 (en) 2010-06-22 2020-06-11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702,576 US11747072B2 (en) 2010-06-22 2022-03-23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8/224,911 US20230366606A1 (en) 2010-06-22 2023-07-21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853A KR20110138772A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299A Division KR20170083010A (ko) 2017-07-05 2017-07-0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772A true KR20110138772A (ko) 2011-12-28

Family

ID=4550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853A KR20110138772A (ko) 2010-06-22 2010-06-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877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233A (ko) * 2013-12-23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2990745A1 (en) * 2014-08-27 2016-03-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80005803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32793A (ko) * 2013-12-23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3027233A (zh) * 2021-04-30 2021-06-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组件及储物柜
WO2021256698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233A (ko) * 2013-12-23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132793A (ko) * 2013-12-23 2020-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41872B2 (en) 2014-08-27 2016-09-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60025232A (ko) * 2014-08-27 2016-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86058A1 (en) * 2014-08-27 2016-10-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126041B2 (en) 2014-08-27 2018-11-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524906A1 (en) * 2014-08-27 2019-08-1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0648725B2 (en) 2014-08-27 2020-05-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2990745A1 (en) * 2014-08-27 2016-03-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80005803A (ko) * 2016-07-07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21256698A1 (ko) * 2020-06-19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4151935A4 (en) * 2020-06-19 2023-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IDGE
CN113027233A (zh) * 2021-04-30 2021-06-2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组件及储物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668B2 (en) Refrigerator having controlled ice maker and dispenser
US8656731B2 (en) Refrigerator
US8770682B2 (en) Refrigerator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1584806B1 (ko) 냉장고
US7673471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externally accessible dispenser
EP2407737B1 (en) Refrigerator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US2012027267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10138772A (ko) 냉장고
KR20060129664A (ko) 냉장고
KR20100111481A (ko) 냉장고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20090075911A (ko) 냉장고
KR100776422B1 (ko) 냉장고
KR100651307B1 (ko) 냉장고
KR100688672B1 (ko) 냉장실도어
KR100614316B1 (ko) 냉장고
KR20170083010A (ko) 냉장고
KR100691886B1 (ko) 냉장고 디스펜서
KR101346981B1 (ko) 냉장고, 냉장고 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614317B1 (ko) 냉장고
KR20060096534A (ko) 서브피시비가 구비된 냉장실도어
KR10108565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