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993A - 음료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음료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993A
KR20210112993A KR1020200107237A KR20200107237A KR20210112993A KR 20210112993 A KR20210112993 A KR 20210112993A KR 1020200107237 A KR1020200107237 A KR 1020200107237A KR 20200107237 A KR20200107237 A KR 20200107237A KR 20210112993 A KR20210112993 A KR 2021011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beverage
panel
cool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양희수
오민규
이수영
김자연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80014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103989A/zh
Priority to PCT/KR2021/001919 priority patent/WO2021177627A1/ko
Priority to EP21764401.2A priority patent/EP4116656A1/en
Priority to US17/193,735 priority patent/US20210278111A1/en
Publication of KR2021011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S)을 갖는 캐비넷(10)과, 음료용기(B)가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는 저장실(32)이 상기 캐비넷(10)의 위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이너케이스(30,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0)에는 상기 저장실(10)의 상부 입구를 차폐하도록 커버조립체(90)가 상부커버(20)에 조립되며, 냉각장치(C)가 저장실(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32)을 냉각시킨다.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70)에는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수납가이드(35)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연결관(72)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drinks}
본 발명은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에 담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와, 김치와 같은 숙성식품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와인냉장고는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열고 내부에 와인을 수납한 후에, 사용자가 필요할 때 와인을 꺼내 마실 수 있는데, 이렇게 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외부의 따뜻한 공기가 냉장고의 저장실로 유입되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와인냉장고의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의 와인냉장고 중에는 와인병을 꺼내지 않고도 와인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형태의 와인냉장고도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4393(선행기술1)과, 미국공개특허 US21050225222A1(선행기술2)에는 내부에 냉각장치가 있고,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있는 와인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형태의 와인냉장고는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가 전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도어와 취출노즐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취출노즐이 도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되면, 적어도 노즐의 높이만큼 냉장고의 전체 높이가 높아져 부피가 커지거나, 사용자가 와인병을 기울인 상태로 저장실에 수납해야 하므로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취출노즐이 설치된 전면패널과 도어는 도어의 개폐를 위해서 서로 분리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이 통일된 미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가 열리는 순간 따뜻한 외기가 넓은 전면을 통해서 저장실로 유입되고, 따라서 와인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투명한 도어를 통해서 냉장고의 내부에 보관된 와인 등 음료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어의 여닫음 동작을 위한 힌지와 손잡이 등의 구조를 도어에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힌지 등의 구조로 인해 도어의 중심에 투명한 유리 부분의 크기를 넓히는데 한계가 있고, 미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4393 미국공개특허 US21050225222A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용기를 꺼내지 않고도 전면이나 측면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음료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되, 음료용기가 상부에 구비된 도어를 통해서 세워진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된 외면을 갖는 단열패널이 음료용 냉장고의 전면을 구성하고, 단열패널에 노즐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료용기의 수납/배출을 위한 입구가 캐비넷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외기의 유입 및 냉기(내기)의 유출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조립체를 이용해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보관하거나 저장실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조립체 자체가 저장실을 차폐하는 내부도어 역할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음료용 냉장고에는 개방홀이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음료용기가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캐비넷의 내부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에는 출수노즐이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음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고, 도어는 상기 개방홀을 포함한 상기 캐비넷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노즐에는 상기 수납가이드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은 도어의 개폐동작에 간섭받지 않게 되고,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가장 바깥면은 하나의 투명한 평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단열패널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이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단열패널은 도어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출수노즐도 상기 단열패널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의 상면에는 상기 개방홀이 있어서, 음료용기의 수납/배출을 위한 입구가 된다. 이와 같이 음료용기의 수납/배출을 위한 입구가 냉장고의 상부에 만들어지므로, 외기의 유입이 방지될 뿐 아니라, 고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도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개방홀이 유일한 저장실의 입구가 되는데, 상기 개방홀(출입구)의 폭이 좁기 때문에 냉기누설로 인한 열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에는 커버조립체가 조립되는데, 상기 커버조립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아 상기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저장실의 입구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그 자체가 일종의 내부도어 역할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료용기를 고정하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상기 캐비넷의 장착공간과 중첩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을 설치하기 위한 높이구간을 냉장고에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의 상단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캐비넷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으므로,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의 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가이드의 상단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쿨링블록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수노즐은 음료를 공급받아 취출하기 용이하도록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장치는 음료용기의 입구에서 이격된 하부에 설치되면 단열에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기 개방홀과 연결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는 냉각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가이드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패널은 패널프레임과 제1패널 및 제2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패널은 상기 패널프레임의 한쪽에 고정되고 한쪽면이 상기 저장실을 마주하여 상기 저장실의 앞부분을 차폐하며, 제2패널은 상기 패널프레임의 반대쪽에 고정되어 상기 제1패널과 이격되고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여러겹으로 구성된 단열패널은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적층된다. 상기 제2패널에서 상기 제1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전면은 전체가 제2패널이 차지하므로 전면전체를 유리재질로 만들 수 있고, 냉장고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제2패널에는 힌지와 손잡이 등의 구조가 모두 생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저장실을 관찰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면 부분의 전체 높이구간 안에 위치한다. 따라서 출수노즐이 차지하는 높이 만큼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적층되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제2패널에서 상기 제1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넷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넷의 상면을 구성하는 도어가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넷의 상부를 덮으면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조립체를 차폐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커버조립체와 함께 저장실을 이중으로 덮어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이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출수노즐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실에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는 각각의 상기 저장실 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저장실을 독립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된 이너케이스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는 바닥부와, 상기 개방홀과 연결되는 수납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납가이드 사이에는 냉각가이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가이드의 전면과 상기 캐비넷의 내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음료용 냉장고에는 출수노즐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출수노즐을 통해 저장실에 있는 음료용기의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용기를 꺼내지 않고도 출수노즐을 통해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음료용기를 꺼내기 위해서 도어를 여느 순간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를 입출하기 위한 출입구가 냉장고의 상면에 있으므로, 출수노즐을 냉장고의 전면이나 측면에 설치하더라도 출수노즐이 출입구 및 도어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출수노즐을 전방으로 열리는 도어를 피해 냉장고의 상면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적어도 출수노즐의 높이만큼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어 냉장고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생략되므로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을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단열패널에 출수노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에게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이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의 출입구가 냉장고의 상면에 있고, 음료용기는 세워진 방향으로 출입구를 통과하므로 출입구는 음료용기의 폭(직경) 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가 개방되면 저장실의 냉기가 출입구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출입구의 폭이 좁기 때문에 냉기누설이나 외기유입으로 인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차가운 공기는 저장실의 아래쪽으로 모이는데, 본 발명에서는 저장실의 위쪽이 개방되므로 저장실의 냉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용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가스켓 및 힌지 등의 부품을 생략하고 전면 전체에 단열패널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단열패널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면 저장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쪽으로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냉장고의 전면부를 여러겹의 유리패널로 만들면, 냉장고 전체의 단열효과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출수노즐에는 이너케이스의 수납가이드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캐비넷의 내부와 연결된다. 수납가이드는 음료용기의 수납을 안내하는 것이어서 냉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부품이다. 따라서 출수노즐과 캐비넷의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수납가이드와 중첩되는 높이를 가지면, 연결관을 통한 냉기의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는 커버조립체에 끼워진 상태로 보관되는데, 커버조립체는 저장실의 출입구를 차폐하여 그 자체가 일종의 내부도어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어와 함께 커버조립체가 저장실을 차폐해주므로, 출입구를 이중으로 단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음료용기를 커버조립체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에서 꺼내거나 저장실에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조립체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출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음료용 냉장고에는 저장실이 여러개 구비되는데 각 저장실마다 냉각장치들이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냉각장치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저장실의 설정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음료의 성질이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각 저장실에 저장된 음료용기에는 각각 출수노즐이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모든 음료용기들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음료용기로부터 자유롭게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후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음료용기가 추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개방되고 커버조립체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 주변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구성을 도 8과 다른 각도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냉각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단열패널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패널과, 단열패널 안쪽에 마련된 저장실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냉각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5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는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냉각장치의 일실시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를 구성하는 냉각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이용해서 음료용기를 저장실 내부에 수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함)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와인병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음료용기(B)를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와인병 이외에도 병에 담긴 다양한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은 비교적 전후 폭이 짧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는 바닥면적이 좁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없고, 따라서 바닥에 두거나, 또는 식탁 위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S, 도 16참조)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30,40)와 냉각장치(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케이스(30,40)의 안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져 음료용기(B)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서 꺼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S)은 상기 캐비넷(10)의 내부공간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고, 저장실(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안쪽에 마련된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S)의 안쪽에 상기 저장실(32)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저장실(32)은 음료용기(B)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를 비롯한 다수개의 부품들이 결합하여 만들어내는 공간이다.
도 4를 보면,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S)을 만들고,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이 설치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를 보면,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냉장고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흡입그릴(15)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배출그릴(16)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입그릴(15) 및 상기 배출그릴(16)이 생략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직접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스페이서(1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서 바깥쪽, 즉 냉장고의 설치공간(S)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냉장고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거리를 두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유동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페이서(14)를 파지하고 냉장고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치공간(S)의 상면을 구성한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저장실(32)의 입구를 제외한 상기 설치공간(S)의 상부의 나머지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의 도어(24)는 냉장고의 상부에 구비되어 저장실(32)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데,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도어(24)가 설치되는 일종의 프레임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는 개방홀(22)이 관통된다. 상기 개방홀(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실(32)의 입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어(24)가 개방되면 저장실(3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상기 음료용기(B)는 상기 개방홀(22)을 통해서 바깥쪽으로 꺼내어진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방홀(22)의 주변에는 시일부재(21)가 설치되는데, 상기 시일부재(21)는 도어(24)가 닫혔을 때 상부커버(20)의 상면과 도어(24)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의 표면에는 상기 시일부재(21)가 돌출되고, 상기 시일부재(21)와 인접한 위치에는 제1경사면(23)이 있다. 상기 제1경사면(23)은 상기 시일부재(21)의 바깥쪽을 둘러, 상기 시일부재(21)를 향해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경사면(23)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24)의 제2경사면(24c'')와 밀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시일부재(21) 주변에서 상기 상부커버(20)와 상기 도어(24)가 서로 맞물리는 면적을 넓게 해준다.
상기 상부커버(20)에는 도어(24)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4)는 상기 개방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4)는 힌지(2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어(24)는 닫힌 상태고, 도 3에서는 개방된 상태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24)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24)가 생략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조립체(90)만으로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상기 도어(24)의 구조가 단면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24)는 다수개의 평판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4)는 베이스플레이트(24a), 단열플레이트(24c) 및 아우터플레이트(24b)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를 기준으로 양쪽에 각각 단열플레이트(24c)와 아우터플레이트(24b)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기 도어(24)의 기본골격을 유지해준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면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에는 힌지(25)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24)가 상기 캐비넷(1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아우터플레이트(24b)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의 바깥쪽 표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와 마찬가지로 평판구조를 갖는다. 상기 아우터플레이트(24b)는 상기 도어(24)를 닫았을 때 위쪽으로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플레이트(24b)는 미감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상기 아우터플레이트(24b)는 나무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아우터플레이트(24b)는 생략되거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에는 단열플레이트(24c)가 결합된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4c)는 상기 도어(24)를 닫았을 때 상기 상부커버(20)와 마주보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4a)와 마찬가지로 평판구조를 갖는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4c)는 상기 상부커버(20)를 덮어 단열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단열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플레이트(24c)에는 폴리우레탄 수지나 에어로겔 등 다양한 단열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4c)에는 실링홈(24c')이 함몰되어, 상기 도어(24)가 닫히면 상기 상부커버(20)의 표면에 구비된 상기 시일부재(21)가 상기 실링홈(24c')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홈(24c')에 인접하여, 상기 단열플레이트(24c)에는 제2경사면(24c'')이 있는데, 상기 제2경사면(24c'')은 상기 상부커버(20)의 제1경사면(23)과 밀착된다. 이처럼, 상기 제1경사면(23)과 제2경사면(24c'')이 상기 시일부재(21) 및 실링홈(25c')의 주변에서 밀착되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6을 보면, 상기 상부커버(20)에는 개방홀(22) 주변을 둘러 커버안착단(22')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커버안착단(22')을 메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20)의 표면과 상기 커버조립체(90)의 표면이 서로 같은 높이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면부호 22a는 상기 개방홀(22)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출입부가스켓으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쪽에는 하부커버(26)가 있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캐비넷(10)의 하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6)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커버(26)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커버(26)에는 받침판(27)이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상기 하부커버(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받침판(27)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아래에서 설명될 출수노즐(7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7)에 컵을 올려둔 상태에서 출수노즐(70)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면, 컵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4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내부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지고,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가 수납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저장실(32)은 다수개인데,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도 8 및 도 9에는 이너케이스(30,40)의 구조가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중심에 있는 저장실(32)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결합되는 냉각가이드(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이너프레임(30)과 냉각가이드(40)를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프레임(30)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이너프레임(30)에 금속재질인 냉각가이드(40)가 결합하여 이너케이스(30,4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프레임(30)은 사출성형을 통해서 상기 냉각가이드(40)에 비해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보면 상기 이너프레임(30)의 골격은 한 쌍의 측면부(31a)와 상기 측면부(31a)를 연결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31b)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의 사이에는 구획벽(34, 도 4 및 도 15 참조)이 구비되고, 상기 구획벽(34)은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 사이를 두 부분으로 구획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에는 이격부(31a')가 연결된다. 상기 이격부(31a')는 상기 측면부(31a)에서 캐비넷(10)의 전면 방향으로 더 연장된 부분으로, 상기 이격부(31a')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이 밀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이격부(31a')는 단열패널(42)이 냉각가이드(4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냉각가이드(40)와 상기 단열패널(42)의 사이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측면부(31a)의 전방은 개방되어 개구부(31c)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31c)는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전방으로 뚫려 있는 일종의 창문 구조이고, 상기 개구부(31c)는 단열패널(4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1c)의 안쪽에는 저장실(32)이 구비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냉각공간(40c)이 상기 저장실(32)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냉각가이드(40)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일부 구성만 보인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와 상기 바닥부(31b)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안쪽에는 수납가이드(35)가 있다.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측면부(31a)나 상기 바닥부(31b)에서 연결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측면부(31a)에서 연결된다.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음료용기(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수납가이드(35)의 내부에 저장실(32)의 일부가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아래에서 설명될 출수노즐(70)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부(Ba) 주변을 감쌀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바닥부(31b)에는 받침대(33)가 있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대(33)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33)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음료용기(B)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에서 냉각가이드(40)와 연결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가이드(35)와 연속된 표면을 갖도록 연결되고, 상기 바닥부(31b)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납가이드(35)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 사이에 2개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수납가이드(35)의 사이에는 구획벽(34)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벽(3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저장실(32)을 구획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34)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의 한쪽 끝 부분과 만나 냉각가이드(4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가이드(35)는 냉각가이드(40)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상기 이너프레임(3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전면부(36)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방을 향한 부분으로,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전면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전면부(36)와 상기 캐비넷(10)의 내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장착공간(36a)이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공간(36a)은 디스플레이(83, 도 4참조) 등이 설치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전면부(36)에 의해 상기 수납가이드(35)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렇게 함몰된 부분에 상기 장착공간(36a)이 마련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전면부(36)의 일부는 상부, 즉 상부커버(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저장실(32)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부(36)의 하부는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부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전면부(36)의 반대편에는 상기 저장실(32)의 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확장부(36')가 연장된다. 상기 확장부(36')는 상기 저장실(32)의 입구가 상단으로 갈수록 좌우측 및 후방으로 넓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확장부(36')는 상기 저장실(32)의 입구가 좌우측인 이너프레임(30)의 측면부(31a)와, 후방인 단열패널(42)의 반대편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확장부(36')는 상기 음료용기(B)가 상기 저장실(32)의 내부로 수납될 때, 저장실(32)의 중심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음료용기(B)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장부(36')로 인해서, 사용자가 음료용기(B)를 저장실(32)의 중심에 정확하게 맞게 삽입하지 못하더라도 음료용기(B)가 상기 확장부(36')를 타고 저장실(32)의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확장부(36')는 상기 저장실(32)의 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전면부(36)는 상기 캐비넷(10)의 후방으로 후퇴한 구조이므로, 상기 전면부(36)가 상기 저장실(32) 상부의 폭을 어느 정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실(32)의 체적도 함께 줄어들게 되고, 보다 효과적인 저장실(32) 냉각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36')의 바깥쪽, 즉 상기 저장실(32)의 반대편 쪽은 단열부(G)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1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납가이드(35)에는 상기 확장부(36')가 생략되고,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가이드(35)에는 안착홈(37)이 있다. 상기 안착홈(37)은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입구 쪽에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7)은 대략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조립체(90)의 일부가 끼워진다. 상기 안착홈(37)의 형상은 커버조립체(90)의 형상에 맞게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이너프레임(30)에는 냉각가이드(40)가 결합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가이드(35)의 아래쪽에 결합되어 이너케이스(30,40)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수납가이드(35)에 결합되면 안쪽에 저장실(32)을 만든다. 도 4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프레임(30)에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8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프레임(30)의 수납가이드(35) 아래쪽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가이드(35)에 결합되면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수납가이드(35)는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수납가이드(35)와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 즉 상기 음료용기(B)의 상부를 감싼다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음료용기(B)의 본체부분을 감싼다고 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납가이드(35) 및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의 일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32)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바닥부(31b)와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 및 커버조립체(90)에 의해 차폐된다. 결국,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포함한 이너케이스(30,40)와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형성되는 밀폐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장치(C)에 직접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안쪽공간인 저장실(32)의 온도도 함께 내려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알루미늄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알루미늄합금, 구리 또는 구리합금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대략 원호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전방쪽으로는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저장실(32)의 일부도 전방으로 개방되지만, 상기 저장실(32)의 전방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이 조립되어 상기 저장실(32)을 차폐한다. 이와 달리,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원호형상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32)을 완전히 감싸도록 원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다각형상의 횡단면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제1가이드(40a) 및 제2가이드(4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40a)에는 냉각장치(50)가 연결되고, 상기 제1가이드(40a)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만드는 냉각공간(40c)의 후방을 형성한다. 상기 냉각공간(40c)은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실(32)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냉각공간(40c)은 그 자체가 밀폐된 공간은 아니지만, 상기 저장공간(32)의 일부이므로 상기 저장공간(32)이 밀폐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밀폐된 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40b)는 상기 제1가이드(40a)에서 연결되고,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방향, 즉 단열패널(42)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2가이드(40b)는 상기 냉각공간(40c)의 양측면을 감싸는 부분이 된다. 물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가이드(40a)와 제2가이드(40b)는 서로 일체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형상과 위치를 기준으로 이렇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제1가이드(40a) 부분은 그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상이 아니라 원호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40a)는 높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냉각공간(40c)을 감싸는 상기 냉각가이드(40)는 높이 방향을 따라서 동일한 횡단면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전체 부위에 온도가 고르게 분포할 수 있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부위마다 온도차이가 크게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40b)는 그 표면이 곡면이 아니라, 평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가이드(40b)는 한 쌍의 평판구조이고, 한 쌍의 제2가이드(40b)는 상기 제1가이드(40a)의 양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냉각공간(40c)을 만든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음료용기(B)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음료용기(B)의 적어도 1/2 이상을 감쌀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을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높이(H1a)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본체의 높이 보다 더 높아서, 상기 음료용기(B)에서 음료가 담기는 부분을 대부분 감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높이(H1a)와, 상기 수납가이드(35)의 높이(H1b)의 합은 상기 음료용기(B)의 전체 높이 보다 높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제2가이드(40b)의 끝부분은 단열패널(42)과 이격된다. 도 15를 보면, 단열패널(42)을 구성하는 제2패널(43)의 표면을 향한 상기 제2가이드(40b)의 끝부분은 제2패널(43)과 이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패널(43)과 상기 제2가이드(40b)의 끝부분 사이는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된 이너프레임(3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측면부(31a)의 이격부(31a')가 메우게 된다.
이렇게 되면, 외기 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서 단열패널(42)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판열패널(42)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냉기에 의해 단열패널(42)의 온도가 내려가면서 단열패널(42)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상기 이너프레임(30)과 상기 냉각가이드(40)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이너케이스(30,40)는 상기 냉각가이드(40)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너프레임(30)이 생략되고, 상기 냉각가이드(40)만이 상기 이너케이스(30,40)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단열패널(42)이 차폐한다.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저장실(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지는 평판구조이다. 상기 단열패널(42)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이너프레임(30)에 결합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바깥쪽을 감싸는 단열부(G)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40), 상기 단열패널(42) 및 커버조립체(90)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서로 독립된 다수개의 저장실(32)들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5를 보면, 2개의 서로 다른 저장실(32)이 구획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저장실(32)은 각각 별도의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의해 감싸지고, 그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도면부호 Ka와 Kb는 서로 독립된 두 저장실(32)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인접한 두 냉각가이드(40)들 사이에는 구획단열부(Ga)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G)는 설치공간(S)의 다른 부분에도 존재할 수 있지만, 상기 두 개의 저장실(32)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구획단열부(G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이웃한 다른 냉각가이드(40) 쪽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저장실(32)의 독립적인 냉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G)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발포단열부(G)를 충진하여 만들어지거나, 별개물인 단열부(G)를 빈 공간인 설치공간(S)에 삽입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빈 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G)는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바깥쪽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면 사이에 채워진다. 즉, 상기 단열부(G)가 충진될 때, 상기 냉가가이드(40)는 상기 수납가이드(35)와 함께 충진액이 상기 저장실(32)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공간의 한쪽을 구성하는 상기 단열패널(42)을 보면,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함께 상기 저장실(32)을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단열패널(42) 및 상기 바닥부(31b)가 함께 저장실(32)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32)의 상부는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도어(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상기 단열패널(42)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단열패널(4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패널(42)은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단열유리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을 통해서 저장실(32)을 볼 수 있고,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를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열패널(42)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패널(42)를 구성하는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은 단열프레임(4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41)은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패널(43)은 상기 단열프레임(4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널(44)은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전면에 직접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프레임(41)의 한쪽에는 제1패널(43)이 고정되는데, 상기 제1패널(43)의 한쪽면이 상기 저장실(32)을 마주하여 상기 저장실(32)의 앞부분을 차폐한다. 상기 제1패널(43)은 상기 단열프레임(41)의 한쪽에 단차진 형태로 형성된 설치단(41')에 걸려 고정된다.
한편, 상기 단열프레임(41)의 전면(41a)에는 제2패널(4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패널(44)은 상기 패널프레임(41)의 바깥쪽 전면(41a)에 고정되어 상기 제1패널(43)과 이격되고,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 공간은 단열을 위해 진공상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단열패널(42)은 한개만으로 구성되거나, 3겹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적층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패널(44)이 상기 제1패널(43) 보다 더 크게 만들어져, 상기 제2패널(44)이 제1패널(43)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부분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을 보면, 상기 제2패널(44)에서 상기 제1패널(43)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패널(80) 및 디스플레이(83)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패널(44)과 상기 제1패널(43)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부분의 후방에는 장착공간(36a)이 마련되고, 여기에 전면패널(80)이나 디스플레이(83)기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면패널(80)은 터치 등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조작패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패널(80)의 앞부분까지 유리재질의 상기 제2패널(44)이 덮으면, 냉장고의 전면 전체가 유리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면패널(80)이 상기 제2패널(44)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가스켓 및 힌지 등의 부품이 생략될 수 있고, 전면 전체에 유리패널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32)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사용자 쪽으로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 디자인이 미려해진다.
다음으로 냉각장치(C)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실(32)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의 온도가 함께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과 단열패널(42)의 사이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단열패널(4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C)가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냉각장치(C)의 한쪽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흡입그릴(15) 및 배출그릴(16)과 마주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가장 넓은 설치공간(S)이 확보되어 있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장치(C)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면도 있다.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실(32)은 2개이므로, 상기 냉각장치(C)도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냉각장치(C)는 각각 별개의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저장실(32)은 내부온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 독립냉각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이너프레임(30) 및 상기 저장실(32)이 한개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장치(C)도 한개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를 보면, 상기 냉각장치(C)에서 발생한 냉기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방향(화살표 ①)으로 이동하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표면을 따라(화살표 ②) 전달되어 상기 냉각가이드(40) 전체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 방향(화살표 ③)으로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장치(C)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열전소자(55)를 포함하는데, 열전소자(55)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실(3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도 14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냉각장치(C)에는 소자하우징(51)이 포함되는데, 상기 소자하우징(51)은 냉각장치(C)의 골격을 만든다. 상기 소자하우징(51)은 일종의 사각틀 형상이고, 그 중심에는 수용공간(53)이 관통된다.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53)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중심에서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부(51a)의 안쪽에 만들어진다.
상기 소자하우징(51)은 열전도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하우징(51)은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소자하우징(51)은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프레임(60)과 함께 히트싱크(58)의 열이 쿨링블록(57)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도면부호 52는 소자하우징(51)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보스로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그 중 일부는 다른 부품이 소자하우징(51)에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온부와 상기 고온부는 상기 열전소자(55)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가 고온부보다 상기 냉각가이드(4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온부는 후술할 쿨링블록(57)과 접할 수 있고, 상기 고온부는 상기 히트싱크(58)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는 방열이 일어날 수 있다. 도면부호 56은 상기 열전소자(5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열전소자(55)에는 쿨링블록(57)이 접촉된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와 상기 냉각가이드(40) 사이에 위치하여, 한쪽은 상기 쿨링블록(57)에 접촉되고 반대쪽은 냉각가이드(4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의 냉기를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쿨링블록(57)은 대략 육면체의 입체형상인데, 상기 쿨링블록(57)의 양쪽면 중에서, 상기 열전소자(55)를 향한 표면인 제1면(57aa, 도 17참조)과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향한 표면인 제2면(57ba)은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면(57ba)이 상기 제1면(57b) 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데, 이렇게 되면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기를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넓은 면적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되는 제1면(57aa)은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져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2면(57ba)이 상기 제1면(57b) 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제1면(57b)에 더 큰 열전소자(55)를 연결하거나, 다수개의 열전소자(55)를 접촉시킬 수 있고,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쿨링블록(57)의 제1면(57aa)은 상기 열전소자(55)에 직접 접촉하고, 상기 쿨링블록(57)의 반대쪽면인 제2면(57ba)은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직접 접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면(57aa)과 상기 열전소자(55)의 사이 또는 상기 제2면(57ba)와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사이 중 어느 하나에는 별도의 매개물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개물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되는 상기 쿨링블록(57)의 표면인 제1면(57aa)과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향한 상기 쿨링블록(57)의 표면인 제2면(57ba)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향한 상기 쿨링블록(57)의 제2면(57ba)은 곡면형상인데 반해,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열전소자(55)를 향한 제1면(57aa)은 평면형상이다. 이처럼 상기 제1면(57aa)과 상기 제2면(57ba)은 각각 접촉하는 대상물(열전소자(55) 및 냉각가이드(57))의 표면 형상에 맞게 만들어짐으로써, 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표면이 평면구조라면 상기 쿨링블록(57)의 표면도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면(57aa)도 평면형상이 아니라 곡면형상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하는 제1블록(57a)과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접촉하는 제2블록(57b)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57a)과 상기 제2블록(57b)은 단차면(57k)을 기준으로 서로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블록(57a)과 상기 제2블록(57b)은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별개물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블록(57a)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제2블록(57b)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상기 제2블록(57b)도 역시 대략 육면체이지만,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향한 제2면(57ba)이 곡면형상이다.
상기 제1블록(57a)은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블록(57a)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이다. 상기 제1블록(57a)의 표면인 제1면(57aa)은 상기 열전소자(55)와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1블록(57a)은 상기 열전소자(55)를 히트싱크(58)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제1블록(57a)와 히트싱크(58)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쿨링블록(57)의 전체 두께(T2)는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두께(T1) 보다 두껍다. 참고로 여기서 두께란, 상기 캐비넷(10)의 전후방향의 폭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쿨링블록(57)의 주변에 충분한 두께와 높이의 단열부(G)를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링블록(57)의 두께(T2)가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두께(T1) 보다 두꺼우면, 상기 쿨링블록(57)이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상기 열전소자(55)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두 영역의 온도차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T3는 상기 열전소자(55)의 두께로, 상기 열전소자(55)의 두께(T3)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블록(57b)의 두께(T2b)가 상기 제1블록(57a)의 두께(T2a) 보다 두껍다. 상기 제2블록(57b)은 단면적이 상기 제1블록(57a)의 단면적 보다 넓은데, 상기 제2블록(57b)이 두께도 더 두꺼운 것이다. 이처럼 제2블록(57b)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우면, 상기 쿨링블록(57)이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상기 열전소자(55)의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2블록(57b)의 넓은 단면적을 통해서 두 영역의 온도차이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16을 보면, 상기 쿨링블록의 높이(H2)는 상기 냉각가이드의 높이(H1a) 보다 낮게 형성된다. 상기 쿨링블록(57)의 높이(H2)가 높아질수록 단열부(G)가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단열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냉각가이드의 높이(H1a)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쿨링블록(57)의 주변을 감싸는 단열부(G)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6에는 설치공간(S)이 빈 공간으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설치공간(S)이 단열부(G)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8에는 쿨링블록(57)의 다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보듯이, 상기 쿨링블록(57)을 구성하는 제1블럭(57a)과 제2블럭(57b)은 서로 단차 없이 동일한 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쿨링블록(57)은 대략 직육면체 또는 다각기둥이나 원기둥 형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제1블럭(57a)의 제1면(57aa)과, 상기 제2블럭(57b)의 제2면(57ba)의 형상과 면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면(57ba)은 곡면형상인 상기 냉각가이드(40)와 밀착되므로 역시 곡면형상이 되고, 상기 제1면(57aa)은 상기 열전소자(55)의 표면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평면형상인 것이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쿨링블록(57)의 반대쪽에는 히트싱크(58)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싱크(58)는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를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트싱크(5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팬(65)이 결합되어 방열팬(65)이 히트싱크(58)를 식혀줄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58)의 구조를 보면, 상기 히트싱크(58)는 방열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와, 복수의 방열핀(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59)은 이웃한 방열핀(59)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방열핀(59)과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하기 위한 소자접촉판(5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의 면적은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대략적으로 상기 열전소자(55)의 표면과 동일한 크기의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을 통해서 상기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노출된다.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5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단열프레임(6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소자장착홀(61)이 마련되고, 상기 소자장착홀(61) 안에 상기 열전소자(55)가 위치된다.
상기 단열프레임(60)의 전후 방향 두께는 상기 열전소자(55)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은 상기 열전소자(55)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각 효율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는 상기 단열프레임(60)에 의해서 둘러싸이므로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히트싱크(58)로 전달되는 열이 주변으로 발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62)가 위치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프레임(6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62)도 상기 단열프레임(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열전소자(55)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각 효율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가스켓(6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열프레임(60)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63)은 실링 부재 역할을 하여,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의 사이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64는 상기 가스켓(63)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히트싱크(58)의 후방에는 방열팬(65)이 결합된다. 상기 방열팬(65)은 상기 히트싱크(58)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58)로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팬(67)과, 팬(67)의 외측을 둘러싸는 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67)은 일 예로 축류형 팬일 수 있다. 상기 팬(67)은 상기 히트싱크(5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방열팬(65)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고정핀(66)에 의해서 상기 히트싱크(58)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15를 보면, 상기 냉각장치(C) 및 상기 이너케이스(30,40)의 냉각가이드(40) 사이의 연결부위 주변은 단열부(G)로 채워진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G)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각 효율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열프레임(60)이 상기 열전소자(55)의 주변을 감싸 1차적으로 단열기능을 수행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단열부(G)가 상기 냉각장치(C)의 주변을 감싸 2차적으로 단열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열전소자(55)에는 퓨즈가 연결되어 상기 열전소자(55)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퓨즈는 상기 열전소자(55)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냉각가이드(40)를 직접 냉각시키지 않고, 저장실(32)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일 필요가 없고, 상기 이너케이스(30,40)에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4와 도 16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넷(10)에는 출수노즐(70)이 있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로부터 음료가 추출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2개로 구성된다. 각각의 출수노즐(70)은 서로 다른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달리, 상기 출수노즐(7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넷(10)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출수노즐(70)에는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되는 연결관(72)과, 상기 연결관(72)에 연결되고, 냉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수헤드(71)가 포함된다. 상기 출수헤드(71)의 내부에는 배출구(75)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75)를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가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음료용기(B)의 내부압력을 높이면,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가 상기 연결관(72) 및 상기 배출구(75)를 통과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음료용기(B)의 내부압력을 높이면,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가 상기 연결관(72) 및 상기 배출구(75)를 통과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설치공간(S)에는 에어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펌프는 기체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상면이 아니라 전면의 단열패널(42)이 설치된 전면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가 없고, 전면이 단열패널(42)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24)를 설치하면, 상기 도어(24)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70)과 간섭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24)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이 아니라 상부커버(20) 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24)를 여닫을 때 출수노즐(70)과 간섭될 염려가 없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출수노즐(70)의 연결관(72)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또는 측면을 통해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상면과 연결되지 않고, 전면이나 측면에서 돌출되므로,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은 상기 단열패널(40)이 되고, 상기 캐비넷(10)의 측면은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1)가 된다.
이때,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관(72)은 상기 수납가이드(35)의 높이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다. 여기서 중첩이란, 상기 연결관(72)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수납가이드(35)의 높이구간과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72)이 음료용기(B)의 수납을 안내하는 상기 수납가이드(35)의 높이와 중첩되는데, 상기 수납가이드(35)는 음료용기(B)의 수납을 안내하는 것이어서 냉각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낮은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72)을 통해 고내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관(72)이 냉각기능을 하는 냉각가이드(40)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다면, 상기 연결관(72)을 통해서 고내의 냉각가이드(40)의 냉기가 누설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관(72)은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지 않는다.
또한, 도 16를 보면,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단열패널(42)이 설치된 캐비넷(10)의 전면 부분의 높이 내에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노즐(70)이 캐비넷(10)의 상면에 설치되거나 단열패널(42)을 회피하여 설치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해당하는 상기 단열패널(42)의 높이구간 내에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제2패널(44)에서 제1패널(43)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 상기 출수노즐(7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70)이 차지하는 높이 구간 전체는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 구간 안에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출수노즐(70)로 인해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부분의 높이가 더 높아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70)을 캐비넷(10)의 전면(단열패널(42))을 회피하여 전면 보다 더 높게 설치하는 것에 비하여, 상기 출수헤드(71)의 높이만큼 냉장고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출수노즐(7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83)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상기 캐비넷(10)의 상기 장착공간(36a)과 중첩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을 보면, 상기 출수노즐(70)의 연결관(72)이 상기 장착공간(36a)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70)을 설치하기 위한 높이구간을 냉장고에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수노즐(70)의 상단은 상기 캐비넷(10)의 상면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갖고, 상기 출수노즐(70)의 하단은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장치(C)에 의해 냉각되는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상단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출수노즐(70)이 캐비넷(10) 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냉장고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출수노즐(70)이 상기 냉각가이드(40)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의 높이는 음료용기(B)의 본체 부분과 대응하므로, 상기 출수노즐(70)의 하단 높이를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상단 보다 높게 하면,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의 시인성이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냉각장치(C)를 구성하는 상기 쿨링블록(50)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16을 보면, 상기 출수노즐(70)이 상기 쿨링블록(50)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치되어, 상기 캐비넷(10)의 상부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출수노즐(70)은 음료를 공급받아 취출하기 용이한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쿨링블록(50)은 외기와의 접촉이 많은 개방홀(22)에서 이격된 하부에 설치되어 단열에 유리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노즐(7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면패널(80)이 조립되고,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단열패널(42) 중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제2패널(44)의 안쪽에 위치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가 더 낮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패널(80)이 메울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냉장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명령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3)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 보관된 음료의 보관기간, 음료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실(32)의 온도, 내부 조명의 밝기, 냉장고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83)는 앞서 설명한 장착공간(36a)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전면패널(80)의 후방에 빈 공간인 장착공간(36a)이 있고, 여기에 디스플레이(83)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83) 뿐 아니라,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과 와이어하네스도 상기 장착공간(36a)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출수노즐(70)과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전면패널(80)에는 상기 출수노즐(70)의 연결관(72)이 통과하는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연결관(72)이 상기 저장실(32)의 안쪽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개방된 상태로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 있는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음료용기(B)도 저장실(32) 바깥쪽으로 함께 딸려나오고, 반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음료용기(B)를 끼운 후에 상기 저장실(32) 안으로 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그 안쪽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지는 압입부(9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회전가능하게 손잡이부(95)가 조립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가 도 3과 같이 회전하여 들어올려지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개방홀(22)의 형상에 맞게 만들어질 수 있고, 평판구조이다. 그리고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 구비된 압입부(9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홀(22) 안쪽, 보다 정확하게는 저장실(32)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93)에는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져 차폐된다.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음료용기(B)를 끼워 이동시킬 때는 도 3과 같이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를 수납한 후에는 회전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연속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들어올려지면, 상기 손잡이부(95)의 일부가 상기 압입부(93)를 변형시켜 상기 병입구가 상기 압입부(93) 안쪽에 강하게 눌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내부에는 음료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료공급관은 한쪽은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삽입되고, 반대쪽은 상기 출수노즐(70)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츨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음료공급관 이외에 에어펌프와 연결되는 기체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내부에 형성되면, 상기 기체공급관을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공간(빈공간)으로 기체를 주입시켜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압력을 높일 수 있고, 또는 비활성기체를 주입하여 음료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5을 참조하여, 상기 저장실(32)이 냉각되는 과정을 보면, 먼저 상기 열전소자(55)에 전원이 인가되면 저온부(도면을 기준으로 열전소자(55)의 좌측)에서 발생한 냉기가 상기 쿨링블록(57)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실제로는 상기 쿨링블록(57)과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가 서로 열교환하는 것이지만, 냉기의 전달방향을 도시하였다.
상기 쿨링블록(57)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쿨링블록(57)에 접촉되어 있는 냉각가이드(40)의 전체 온도가 낮아진다.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냉각가이드(40)를 향한 제2면(57ba)은 이처럼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40)와의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상기 쿨링블록(57) 사이의 열교환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표면방향(화살표 ②)을 따라서 온도가 떨어지는데, 상기 냉각가이드(40)는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이러한 상기 냉각가이드(40) 전체가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의 내부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상기 저장실(32)을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 싸고 있고, 상기 음료용기(B)의 표면을 감싸는 곡면형상이므로, 상기 음료용기(B)의 표면 방향(화살표 ③)으로 냉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장치(C)가 냉장고 내부의 전체공간을 냉각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음료용기(B)의 주변을 감싸는 상기 냉각가이드(40) 자체를 냉각시켜주기 때문에,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냉각장치(C)를 방열하는 과정을 보면, 상기 흡입그릴(15)에 있는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방열팬(65)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58) 방향(화살표 A)으로 토출된다. 상기 외기가 히트싱크(58) 방향으로 전달되면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기 히트싱크(58)의 온도가 낮아지는데, 이때 상기 히트싱크(58)에는 방열핀(59)들이 복수개 존재하므로 외기와의 접촉면적이 매우 넓게 확보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를 방열시키고 가열된 공기는 다시 냉장과의 바깥쪽(화살표 B)으로 배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그릴(16)에 있는 공기배출구를 통해서 냉장고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공기는 위쪽으로 배출되는데, 이와 달리 공기배출구가 후면플레이트(13)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스페이서(14)는 벽면과 후면플레이트(13) 사이의 거리를 확보해주므로, 공기의 입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장고에는 저장실(32)이 2개 존재하고, 각 저장실(32)마다 상기 냉각장치(C)들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저장실(32)의 설정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음료가 와인인 경우에는 와인의 품종 등 종류에 따라 적절한 온도값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음료의 성질이나 자신의 취향에 따라 음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에는 음료용기(B)를 냉장고의 저장실(32)에 수납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는 먼저 냉장고의 커버(24)를 열고, 개방홀(22)을 막고 있는 커버조립체(90)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막고 있는 상태인데, 손잡이부(95)가 상부커버(20) 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먼저 손잡이부(95)를 상부커버(2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손잡이부(95)를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면, 사용자는 손잡이부(95)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커버조립체(90) 전체를 상기 개방홀(2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9(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분리하면 상기 저장실(32)의 위쪽이 외부로 드러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저장실(32)이 외부로 드러나지만, 노출되는 면적은 개방홀(22)의 면적에 한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홀(22)은 음료용기(B)의 출입구이므로 음료용기(B)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 즉 상기 음료용기(B)의 폭(직경) 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구인 상기 개방홀(22)이 오픈되더라도 상기 저장실(32)의 냉기가 누설되는 면적이 개방홀(22)에 한정되어 좁기 때문에 냉기누설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음료용기(B)에 결합한다. 상기 음료용기(B)는 뚜껑이 제거된 상태고,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부(Ba)에 끼우면,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압입부(93)가 상기 입구부(Ba)의 주변을 감싸면서 강하게 고정해준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음료용기(B)도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를 파지하고, 상기 음료용기(B)를 냉장고의 상기 개방홀(22)을 통해 저장실로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9(c)에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음료용기(B)를 커버조립체(90)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32)에서 꺼내거나 저장실(32)에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조립체(90)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가 담겨 무거운 음료용기(32)의 입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9(d)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용기(B)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여 그 자체가 내부도어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4)와 함께 커버조립체(90)가 저장실을 차폐해주므로, 출입구인 개방홀(22)을 이중으로 단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들어올려져 있던 상기 손잡이부(95)를 눕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상기 개방홀(22) 주변에 함몰된 상기 커버안착단(22')을 메우게 된다. 도 19(d)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된 상태가 도 19(e)에 잘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24)를 회전시켜 닫으면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비롯한 상부커버(20)의 위쪽이 차폐된다. 이때, 상기 도어(24)에는 단열플레이트(24c)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어(24)도 외부도어로서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수납되면, 상기 음료용기(B)와 상기 출수노즐(70) 사이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노즐(70)을 통해 저장실(32)에 있는 음료용기(B)의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용기(B)를 꺼내지 않고도 출수노즐(70)을 통해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료용기(B)를 꺼내기 위해서 도어(24)를 여느 순간 매번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캐비넷 20: 상부커버
22: 개방홀 24: 도어
26: 하부커버 30: 이너프레임
30, 40: 이너케이스 33: 받침대
35: 수납바디 36: 전면부
36a: 장착공간 36': 확장부
40: 냉각가이드 51: 소자하우징
55: 열전소자 57: 쿨링블록
58: 히트싱크 60: 단열프레임
65: 방열팬 70: 출수노즐
80: 상부패널 90: 커버조립체
C: 냉각장치

Claims (21)

  1. 위쪽으로 개방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삽입된 음료용기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홀을 포함한 상기 캐비넷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덮어 차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홀과 연결되는 수납가이드가 구비된 이너케이스;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수납가이드와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넷의 내부와 연결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상기 캐비넷의 장착공간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음료용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상단은 상기 캐비넷의 상면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 음료용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가이드의 상단 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갖는 음료용 냉장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쿨링블록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음료용 냉장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은 커버조립체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에 조립되어 상기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음료용 냉장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이너케이스는 상기 개방홀과 연결되는 이너프레임과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는 냉각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냉각가이드의 후방에 설치되는 음료용 냉장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음료용기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장치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음료용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패널의 가장 바깥면은 하나의 투명한 평판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단열패널에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음료용 냉장고.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은
    패널프레임;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되고, 한쪽면이 상기 캐비넷의 앞부분을 차폐하는 제1패널;과
    상기 제1패널과 이격되게 상기 패널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2패널;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패널과 상기 제2패널은 적어도 일부분에서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제2패널에서 상기 제1패널과 중첩되지 않는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연결되는 음료용 냉장고.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연패널의 후방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마련되는 음료용 냉장고.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된 이너케이스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방홀과 연결되며,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부분을 감싸는 수납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납가이드 사이에는 냉각가이드가 결합되는 음료용 냉장고.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납가이드의 전면과 상기 캐비넷의 내면 사이는 서로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장착공간이 만들어지는 음료용 냉장고.
  15.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가이드에는 확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음료용기가 삽입되는 상기 수납가이드의 입구를 넓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료용 냉장고.
  16. 청구항 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출수노즐과 중첩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음료용 냉장고.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체 높이구간 안에 위치하는 음료용 냉장고.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의 안쪽에는 상기 음료용기가 수납되는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가 만들어지고, 다수개의 상기 출수노즐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는 음료용 냉장고.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들이 마련되되, 상기 저장실들은 상기 냉각가이드를 감싸는 상기 단열부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20. 위쪽으로 개방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삽입된 음료용기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홀을 포함한 상기 캐비넷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덮어 차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캐비넷의 전면 또는 측면을 통해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연결되며, 상기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쿨링블록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21. 위쪽으로 개방홀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삽입된 음료용기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홀을 포함한 상기 캐비넷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덮어 차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구성하고, 다수겹의 패널들이 적층되는 단열패널;과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고, 상기 다수겹의 패널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와 연결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KR1020200107237A 2020-03-06 2020-08-25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14853.9A CN115103989A (zh) 2020-03-06 2021-02-15 饮料用冰箱
PCT/KR2021/001919 WO2021177627A1 (ko) 2020-03-06 2021-02-15 음료용 냉장고
EP21764401.2A EP4116656A1 (en) 2020-03-06 2021-02-15 Beverage refrigerator
US17/193,735 US20210278111A1 (en) 2020-03-06 2021-03-05 Refrigerator for drin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8202 2020-03-06
KR1020200028202 2020-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993A true KR20210112993A (ko) 2021-09-15

Family

ID=77793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237A KR20210112993A (ko) 2020-03-06 2020-08-25 음료용 냉장고
KR1020200140489A KR20210113007A (ko) 2020-03-06 2020-10-27 음료용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489A KR20210113007A (ko) 2020-03-06 2020-10-27 음료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29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4393B1 (ko)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US20150225222A1 (en) 2008-07-11 2015-08-13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5222A1 (en) 2008-07-11 2015-08-13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Preservation, Chill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174393B1 (ko) 2010-07-01 2012-08-16 코리아콜드시스템(주) 와인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07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073B2 (en) Refrigerator having a thermoelectric module
US1011974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having a storage chamber
CN108351153B (zh) 冰箱
US9513049B2 (en) Refrigerator with bottom mount freezer with multiple sliding drawers
EP2345859B1 (en) A door for an electric appliance and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KR20210112990A (ko) 음료용 냉장고
KR20210112993A (ko) 음료용 냉장고
EP4116656A1 (en) Beverage refrigerator
EP4116655A1 (en) Beverage refrigerator
US11584629B2 (en) Refrigerator for drinks
CN110234947A (zh) 冰箱
JP6689408B2 (ja) 冷蔵庫
JP6767615B2 (ja) 冷蔵庫
KR20210112760A (ko) 음료용 냉장고
KR20220005231A (ko) 냉장고
CN106595169B (zh) 立式发泡柜体、制冷设备及柜体组装方法
CN106642888B (zh) 立式保温箱体、制冷设备及箱体组装方法
CN106679306B (zh) 可更换侧板的立式柜体、制冷设备及柜体组装方法
CN106642890B (zh) 顶部透明立式保温箱体的组装方法
CN106766603B (zh) 顶部透明立式发泡柜体、制冷设备及柜体组装方法
JP2007040577A (ja) 冷蔵庫
JP2000074547A (ja) 冷蔵庫
KR20240020990A (ko) 휴대용 음료저장고
US20210063075A1 (en) Home appliance door having an air-guiding channel and home appliance
CN220355857U (zh) 用于制冷设备的门体及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