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579B1 -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 Google Patents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5579B1 KR100935579B1 KR1020047003077A KR20047003077A KR100935579B1 KR 100935579 B1 KR100935579 B1 KR 100935579B1 KR 1020047003077 A KR1020047003077 A KR 1020047003077A KR 20047003077 A KR20047003077 A KR 20047003077A KR 100935579 B1 KR100935579 B1 KR 1009355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ole
- insert
- foot
- pole portion
- magnetic p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기 건 기관의 고유수용성 자극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람 발의 프로파일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안창 기구를 제공한다. 안창 기구의 중족 영역은 비대칭 돔형 구조를 가지며, 이것은 발의 장심계의 해부학적 정점으로 발견되는 지점에서 발의 족저면에 제공된다. 비대칭 돔형 구조는 인체의 고유수용성 피드백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근육 그룹을 자극하기 위한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비대칭 돔형 구조는 발의 발바닥 외관에 대하여 기능적인 브레이싱 또는 지지부를 제공하지 않는 물리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최종적인 결과에 따라, 보다 더 에너지 효율적이며 사용하면서 부상을 덜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발은 구조적으로 보다 편안하게 된다. 안창 또는 중창의 발바닥 외관은 바이오피드백 자극부를 수납하고 교체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두드러진 캐비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자극부의 적정 배치 및 영구적인 배치를 보장할 수 있는 설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용 안창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착용자 발에서 고유수용성 응답(proprioceptive response)을 자극함으로써 발을 원상복원시킬 수 있는 안창 기구에 관한 것이다.
걸음걸이와 관련된 병리학을 다루는 교수들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그들 생애 중에서 대부분 여러 가지 형태의 걸음걸이 관련 통증 또는 기능장애로 고통을 받고 있는 것으로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 이러한 병리, 부상 또는 기능장애의 근간을 이루는 메카니즘이 걸음걸이 사이클 중에서 디딤 단계 동안 발과 지면간의 경계면과 생체역학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착용자 발에 고유수용성 또는 내적 피드백 자극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여 근본적인 병리, 부상 또는 기능장애를 직접 목표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기구가 Burk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04,6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제5,404,6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원상복원 자극부가 골기 건 기관(Golgi tendon organ)을 자극하여, 발 구조를 원상복원시키기 위하여 발의 근골격 구조를 자극한다. 자극부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된 돔형 험프(hump)로서, 초기에 골기 건 기관을 자극하기 위해 가벼운 불편함 내지는 강한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제5,404,659호에 개시된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지 않으며, 착용자 대부분은 상기 기구가 사용하기에 상당히 불편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도보 중인 사람이 체중의 2.5배의 범위로 수직 압축력을 받을 때에는, 기구가 최대 높이의 40% 내지 60% 사이에서 편향되도록 그리고, 단지 한 사람의 체중 만큼의 압축력을 받을 때에는, 편향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계된다. 고유수용성 응답을 야기하기 위하여 골기 건 기관을 자극하기는커녕 도리어, 이러한 범위에서의 편향은 재료의 탄력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심각한 고통을 줄 수 있으며, 착용자는 상기 기구의 존재를 항상 의식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미국 특허 제5,404,6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구는 전체 족장의 5.25% 내지 7.6%의 이상적인 정점부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치수에 따라 생성된 기구는 과도하게 높은 아치 높이를 형성하며, 착용자에게 심각한 불편과 잠재적인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의 절대적인 체중 비지탱 상태의 높이가 체중 및 아치 높이와 무관하게 동일하여야 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다. 착용자가 다르면 상이한 안락 한계치와 아치 높이를 갖기 때문에, 이것은 잘못된 것이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미국 특허 제5,404,659호에 개시된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지 않는다. 착용자는 상기 기구가 너무 단단해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며, 상기 기구는 고유수용성 반응을 활발하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걸을 때마다 고통과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착용자 발에서 발생되는 고통으로 인하여, 전술한 목적과 같이 경미한 자극을 발생시켜 발을 움직이게 하기보다는 오히려, 착용자가 발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한하여 불편함을 없애야만 한다.
원상복원 안창 기구는 사람 발의 족저면과 접촉하기 위한 대략 돔형인 자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부는 발의 목표 영역과 정렬되는 정점을 가지고, 상기 목표 영역은 그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발이 자유로이 3차원 선회이동할 수 있도록 발의 외측 설상골, 입방골 및 주상골의 관절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극부는 족장의 1% 내지 5%의 정점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족장은 원상복원 안창 기구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상기 자극부는 발에 의한 자극부 상에서의 하향 압력에 응답하여 발에 있는 골기 건 기관을 자극하도록 상방을 향하는 압력을 인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탄성 부재는, 정지 상태로 서있는 사람에 의해 자극부에 인가되는 수직력에 응답하여 자극부가 최대 높이의 40% 내지 100% 사이에서 편향되게 하는 탄성 변형성을 갖는다.
상기 자극부는 자극부의 탄성 변형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극부와 밑면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써트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다. 상기 자극부와 인써트는 인써트를 안창에 고정하기 위한 협력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인써트가 안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안창 사이에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 수단(detent means)을 구비한다.
상기 멈춤 수단은 인써트와 자극부 중 어느 하나에 확대 단부를 가지며, 이 확대 단부는 인써트와 자극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협소한 개구를 통해 삽입 가능하다.
상기 확대 단부는 인써트와 자극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말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자극부는 안창 상방에 외부 커버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커버로부터 안창을 통해서 연장된다.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인써트 상에 수직 벽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 벽은 리셉터클 상의 대응하는 수직 벽과 일치하여 리셉터클 사이에서의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상기 멈춤 수단은 리셉터클의 내부 측면에 그리고 인써트의 외부 측면에 고정된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자극부로부터 리셉터클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 컬럼이며, 상기 인써트는, 상기 탄성 컬럼의 적어도 일부를 밀접하게 에워싸서 측방향으로 탄성 컬럼이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에 따라 탄성 컬럼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리세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안창과 인써트 사이에 자성 재료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인써트는 안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캐비티 내부의 탄성 컬럼과, 상기 탄성 컬럼이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탄성 컬럼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탄성 컬럼을 수납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링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인써트와 안창의 일치하는 표면에 고정되는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일 수 있다.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인써트와 안창의 일치하는 표면에 각각 고정된 반대 극성의 자성 재료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인써트 상에 수직 벽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 벽은 인써트가 그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상의 수직 벽과 일치한다.
상기 멈춤 수단은 인써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말단이 확대 단부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멈춤 수단은, 인써트가 안창에 고정되면 자극부 상방에서 말단이 확대 단부로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자극부를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와 돌출부는 안창에 인가되는 발의 하향 압력에 응답하여 반사 요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발의 반사 포인트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주변에서 안창과 인써트 사이에 자성 재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안창 또는 중창 상에서의 발 배치에 대하여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안창의 내측 시상봉합도면이다.
도 2는 발 배치에 대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안창의 배면도이다.
도 3은 하부구조 및 위치설정 개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외팔보 스프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A-A'를 따른 도 3의 외팔보 스프링 기구 및 안창 또는 중창의 시상봉합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하부구조로 설계되는 본 발명의 외팔보 스프링 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구조 및 위치설정 개구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돔형 코일 스프링 기구를 이용하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단면 B-B'를 따라 취한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돔형 코일 스프링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의 단면 A-A' 및 B-B'를 따른 안창 또는 중창의 정면 및 시상봉합면 단면도로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영역에서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도 9는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및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내부의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에 삽입될 수 있는 인써트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의 단면 A-A' 및 B-B'를 따른 안창 또는 중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및 시상봉합면 단면도로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에서 직사각형 피라미드 리셉터클 캐비티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12는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및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내부의 직사각형 피라미드 리셉터클 캐비티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직사각형 피라미드 리셉터클 캐비티에 삽입될 수 있는 인써트의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2의 단면 A-A' 및 B-B'를 따른 안창의 정면 및 시상봉합면 단면도로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에서 곡선형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도 15는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및 도 14a와 도 14b에 도시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내부의 곡선형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내부에서 곡선형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에 삽입될 수 있는 인써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배면에 위치설정 및 고정 리브를 갖는 돔형 인써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2의 단면 B-B'를 따른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및 안창 또는 중창의 정면 단면도로서, 도 17의 위치설정 및 고정 리브를 두 개 갖는 돔형 인써트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2의 단면 B-B'를 따른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 및 안창 또는 중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로서, 단일의 위치설정 및 고정 리브를 갖는 돔형 인써트를 도시한다.
도 20은 안창 또는 중창과 후방 뒤꿈치 스키브 상에서의 발 배치에 대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측 시상봉합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퍼진 뒤꿈치 스키브의 위치 및 특징을 도시하는 안창 또는 중창 기구의 뒤꿈치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후방 뒤꿈치 스키브의 기하학적 특징을 도시하는 도 21의 단면 C-C'를 따른 정면 단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의 단면 A-A' 및 B-B'를 따른 안창 또는 중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 및 시상봉합면 단면도로서, 아치형 원상복구 자극부에서 직사각형 리셉터클 캐비티의 위치를 각각 도시하며, 여기서 상기 캐비티는 수직 측벽과 테이퍼진 측벽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도 2의 단면 A-A'를 따른 안창의 또 다른 실시예의 시상봉합면 단면도로서, 발이 위치하는 배측 상부를 도시하며, 상기 안창은 절결 개구를 갖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에 결합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인써트를 구비한다.
도 25a는 인써트가 돌출된 필러 헤드(pillar heads)를 갖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b는 또 다른 경화 부품을 갖는 도 25a의 인써트를 도시한다.
도 26a 및 도 26b는 또 다른 리셉터클/인써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협력 결합 수단으로서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를 이용하는 인써트/리셉터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도 25a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자성 박막이 설치된 경우의 도면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하방으로 돌출된 필러 및 착탈가능한 링 부재를 갖는 안창 캐비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인써트와 결합하기 위한 안창을 통해 연장되는 외부층을 갖는 안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창 또는 중창 기구(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구(1)는 발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배면을 갖는다. 고유수용성 자극부(4)는 발의 장심계(arch system)의 정점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기구(1)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장심계의 정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목표 영역(A)에 도시되어 있으며, 주상골(5), 외측 설상골(6) 및 입방골(7)의 교차부로서 또는 그것의 약간 내측으로 규정된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용자 발은 인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발 뼈를 포함한다. 근육층이 힘줄에 의하여 뼈에 부착되고, 피부층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덮이는 두꺼운 지방 조직층으로 보호된다.
고유수용성 자극부(4)는 전방 아크, 후방 아크, 내측 아크 및 외측 아크에 의하여 형성된 영역 및 주변부(9)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아크는 두 번째 중족골에 대하여 외측이고 또 세 번째 중족골에 대하여 내측인 최대 포인트를 가지며, 전방 방향으로 전체 족장의 70%를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으며 60% 미만으로 연장되지 않고, 후방 아크는 종골의 외측 결절에 대하여 내측으로 그리고 내측 결절에 대하여 외측으로 최대 포인트를 가지며, 어느 한 지점에서 후방 방향으로 전체 족장의 15% 미만으로 연장되지 않고 25%를 초과하여 연장되지 않으며, 내측 및 외측 아크는 발 자체에 의하여 발생된 내측 및 외측 경계를 초과하지 않고, 고유수용성 자극부(4)는 발의 중족골 헤드, 종골 및 외측 및 내측 가장자리에 의하여 설정된 외주 안쪽에 있다.
고유수용성 자극부(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상봉합면에서 볼 때 목표 영역(A)과 정렬된 정점을 갖는 비대칭형 돔이다. 상기 정점에서 자극부(4)의 높이는, 사용자가 정치 상태에 있을 때, 목표 영역(A)이 전체 족장의 5.28% 내지 7.6% 사이의 높이에 있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는, 착용자 족장의 약 3.6%가 이상적인 비율이며, 이것이 족장의 1%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실제 자극부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자극부(4)는 소정의 바람직한 압축 및 반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극부가 정지 상태로 서있는 사람에 의한 수직력을 받을 때, 자극부는 최대 높이의 40% 내지 100% 사이의 편향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구(1)는 단면 A-A'을 따른 시상봉합면으로부터 하부구조(11)와 접촉한다. 하부구조(11)는 뒤꿈치 영역(3)과 중간 영역(10)을 갖는다. 중간 영역(10)은 돔형 외팔보 스프링 기구(12) 형태의 탄성 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자극부(4)를 형성한다. 외팔보 레그(13)가 보이드(14) 안으로 구부러지고 압축되어, 압축되는 동안 레그들(13)이 상호 간섭하지 않으면서 레그(13)가 압축될 수 있다. 외팔보 스프링 기구(12) 형태에 있어서, 자극부의 정점(8)은 기구(1) 내측의 위치설정 핀(18)과 정렬되는 위치설정 개구(17)를 제공한다. 위치설정 개구(15)는 또한 기구(1)의 위치설정 핀(16)과 정렬되어, 자극부(4) 및 그 정점(8)의 적정 변위 및 그 변위의 유지를 확실하게 한다. 위치설정 핀(16)의 수직 측벽(23)과 위치설정 개구(15)는 도 3, 4,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기구의 전방/후방 및 외측/내측 변위를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개구(15) 및 그에 대응하는 위치설정 핀(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적합하게 기구(1) 및 하부구조(11) 상의 소정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체중, 활동도 및 발 유형에서의 차이점은 하부구조(11) 및 외팔보 스프링 기구(12)의 제작를 위한 재료의 선택 또는 하부구조(11) 및 외팔보 스프링 기구(12)의 두께 선택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다. 하부구조(11) 및 외팔보 스프링 기구(12)는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 및 스탬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E.I. DuPont에서 제조된 Delrin, Hytrel 및 Zytel, PVC, Pebax 또는 적층 섬유와 같은 폴리머 및 유리 섬유 또는 그래파이트 같은 수지 화합물은 소정의 물성 및 재료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기구(1)의 장점은 선택된 재료의 높은 굴절 피로 특성에 있다. 이것에 의하면, 기구(1) 특히 자극부(4)가, 사람 발의 구조적 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체의 고유수용성 피드백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다른 신발 안창 또는 중창 유닛에 개시된 것보다 더욱 장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정점(8)에서 외팔보 기구에 대하여 수직으로 힘이 인가될 때, 기구(1)의 지지면에서 자극부(4)의 정점(8)까지의 수직 최대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된다.
도 5는 외팔보 스프링 기구(12)에 대한 변형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외팔보 스프링 기구(12)의 레그(13)가 편향되어 중심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도 5에 도시된 스프링 기구(12) 상의 후방 핑거(20)가 하부구조(11)에 일체형 부재로 성형되거나 하부구조(11)에 영구 고정된다. 외팔보 스프링 기구(12)의 레그(13) 각각은 상호 접촉 관계에 있는 신발의 내측 층과 발(19)의 하면(lower surface) 간의 마찰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평활하게 신장되는 발(19)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설정 핀(18 및 16), 위치설정 개구(15 및 17) 및 그 수직 측벽(23)을 통합하여 자극부(4)와 그 정점(8)이 적절히 변위하여 자극부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탄성 부재 지지 자극부(4)에 대한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이것은, 규정된 바와 같이 발의 장심계의 정점(8)의 목표 영역에 대하여 정렬되고 또 하부구조(11)의 일체형 부재로서 설계되거나 그것에 부착된 코일 스프링 기구(21)를 포함한다. 이것은 코일 스프링 기구(21)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위치설정 핀(16), 위치설정 개구(15)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수직 측벽(23)에 의해서 기구의 내측/외측 및 전방/후방 이동을 방지하고 적절한 배치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외팔보 스프링 기구에 요구되는 특징은 적어도 두가지 다른 방법으로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들 중 첫째는, 레그(13)의 구조, 특히 구조적 특징을 일정하게 사용하고, 상이한 등급의 전술한 폴리머 또는 유사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다. 인가되는 수직력을 계산하고 또 삼각법을 이용하면 레그(13)의 아래를 향하도록 표시되는 힘 벡터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으며, 또 이것은 굴절 계수[F = (KX)]에 기초하여 소정의 폴리머 또는 소정 등급의 폴리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들 계수에서, F는 정점(8)에서 수직으로 인가되는 힘이며, K는 굴절 계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스프링 상수이고, X는 스프링의 길이 변화 차이인데, 이 경우에, 외팔보가 목표 영역에 인가되는 수직력의 인가를 통해 압축될 때 정지상태 높이 "H+X"와 높이 "H"의 차이이다.
소정의 반동 및 압축 특성을 획득하는 두 번째 방법은, 도 3,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폴리머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 레그(13)의 두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재료 두께에 대하여 굴절 계수 정보를 사용하면 이상적인 재료 두께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가변 편향율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즉, 외팔보 기구(12)는 레그(13)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힘이 인가될 때 효과적으로 균등하게 반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예로는, 걷기 운동과 비교한 농구 운동 또는 80kg의 운동선수와 비교한 150kg의 운동선수와 같이(양자 모두 동일한 신발 사이즈), 보다 큰 수직 하중의 활동 또는 환경적인 응력 특성을 제공하는 용례의 경우보다 두꺼운 레그(13)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선된 원상복원 자극부의 장점은 3가지가 있다. 첫째, 위치설정 핀(16), 위치설정 개구(15) 및 그 수직 측벽(23)에 의하여 자극부(4)가 적절히 배치되며 또 그 배치가 유지된다. 둘째,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와 선택된 폴리머 및 재료를 적절히 통합하면, 상기 자극부는 매우 높은 내구성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셋째, 상기 탄성 부재는 특정 용례에 요구되는 소정의 압축 및 스프링 특징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유지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유익하다.
(1) 반동 특성은 자극부(4)가 원래 정점 높이(8)로 복귀하여 발의 장심계의 정점과 확실히 접촉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접촉은 발의 장심계의 근골격 특징의 적절한 재구성에 필요한 고유수용성 메카니즘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를 제공한다.
(2) 압축 특성은 사람 발의 장심계가 자연스런 방식으로 편향되도록 하여, 사람의 장심계가 자연적인 쿠션 기구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또한 브레이싱 효과(bracing effect)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3) 상기 압축 특성은 사람 발의 장심계가 자연스런 방식으로 편향되도록 하여, 발의 발바닥 근육조직의 편심 수축이 발생하게 한다. 이것은 근육의 직렬 및 병렬 스프링 특성이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에너지가 효과적인 추진에 기여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아치 편향 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도 10, 13, 16 및 17에 도시된 몇몇 변형예와 같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26)의 간편한 제거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착용자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필요한 반동, 압축 및 편향 특징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직 측벽(25 및 31)을 제공하여 탄성 부재(26)와 자극부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소정 위치에서의 적절한 유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자극부(4)의 영역에서 기구(1)의 발바닥 외관의 기하학적 속성을 재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능한 상기 탄성 부재(26)는 스프링 기구의 레그(13)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극부의 주문 제작을 가능케한다. 탄성 부재(26)는 체중 요구 조건, 발의 종류별 특징 또는 사용상의 활동도를 다루기 위하여 다양한 높이, 경도 및 압축의 조합을 갖는 여러 가지 폼(foam) 형태의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종래 발명은 충전물이나 인써트(26) 또는 기구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리고 소정 위치의 적절한 유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수직 측벽을 갖지 않는 캐비티 형태의 리셉터클을 구비하는 자극부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탄성 부재를 전술한 외팔보 캐비티에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두 가지 단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 바, 그 중 첫째는, 탄성 부재의 제거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도가 약한 접착 시스템이 사용되면, 탄성 부재는 정상 걸음걸이의 특징인 내측/외측 전단력(shearing force)을 받는 위치로부터 이탈하기 쉽다. 이러한 이동은 탄성 부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정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방해한다.
두 번째 단점은 탄성 부재의 위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적정 강도의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 명백하였다. 사용된 접착제는 주변 기구(1)의 재료 및 탄성 부재의 인장 강도 특성을 상당히 초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발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에 필요한 신규의 탄성 부재를 삽입할 목적으로 탄성 부재를 제거하고자 하는 시도는, 기구(1)를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기구(1)의 재료에 상당한 손상을 입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8 내지 도 19는 탄성 부재(26)의 적절한 배치, 그러한 배치의 유지 및 탄성 부재(26)의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확보하는 시스템의 재구성에 관하여 이용 가능한 옵션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기구(1), 전족 영역(2), 뒤꿈치 영역(3) 및 구별되는 정점(8)을 갖는 자극부(4)를 도시하며, 목표 영역은 주상골(5), 외측 설상골(6) 및 입방골(7)의 교차점을 에워싸는 해부학적 영역에 정렬된다. 자극부(4)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에 있는 기구(1)의 발바닥면은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는 탄성 부재(26)의 내측-외측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벽(25)과, 탄성 부재(26)의 전방-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벽(31)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호한 실시예는 직사각형인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와, 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탄성 부재(26)를 나타내며, 수직 측벽(27)은 캐비티(24)의 수직 측벽(25 및 31)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기구(1), 전족 영역(2), 뒤꿈치 영역(3) 및 정점(8)을 갖는 자극부(4)를 도시하며, 목표 영역은 주상골(5), 외측 설상골(6) 및 입방골(7)의 교차점을 에워싸는 해부학적 영역에 정렬된다. 자극부(4)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에 있는 기구(1)의 발바닥면은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는 충전재인 탄성 부재(26)의 내측-외측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26)로 된 수직 측벽(27)과 맞물리는 수직 벽(25)과, 탄성 부재(26)의 전방-후방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부재(26)로 된 수직 측벽(27)과 맞물리는 수직 벽(31)을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호한 실시예는 피라미드형으로 적층된 직사각형인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와, 이에 대응하여 피라미드형으로 적층된 직사각형 형상의 탄성 부재(26)를 나타낸다. 이러한 형상을 참조하면, 직사각형 층들(30)을 각각 삽입 가능한 충전재 재료 또는 인써트 층으로서 구비함으로써 그 각각에 상이한 재료 및/또는 상이한 재료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가변적인 굴절율의 개념이 달성될 수 있으며, 자극부(4), 정점(8) 및 탄성 부재(26)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유지 및 보장한다. 이러한 가변 편향의 장점은 각각의 층이 개별적으로 편향, 압축 및 반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적층을 적용하여 탄성 부재(26)를 구성함으로써 도 8 내지 도 10에 제공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성취된다.
도 14 내지 도 16는, 탄성 부재(26)의 최전방 및 최후방 단부와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의 전방벽 및 후방벽이 곡선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도 8 내지 도 10과 동일한 기하학적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는 소정의 반동, 편향 및 압축 특성을 제공하는 폼 형태의 재료 이외에 적절하게 결합하는 형상의 탄성 부재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 기구, 바이-밸브(bi-valve) 스프링 기구, 외팔보 스프링 기구, 또는 가스 충전 구조를 포함하는 유체 충전 구조와 같은 압축성 역학 시스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의 수직 측벽(25 및 31)이 탄성 부재와 맞물려 탄성 부재의 적정 배치 및 영구적 배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 부재는 기하학적 캐비티(24)를 충전하도록 설계된다. 탄성 부재의 압축 특성은 실제로 선형적인 편향율 또는 가변적인 편향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곡선인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와 유사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탄성 부재(26)를, 소정 지점으로부터 탄성 부재(26)가 이탈할 위험 없이, 곡선인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에 삽입시키는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 개구(29)는 기구(1)의 자극부(4) 영역에 제공되며, 탄성 부재(26)의 일체형 특징부로 설계된 위치설정 및 고정 리브(28)를 수납하도록 정렬된다. 상기 위치설정 및 고정 리브(28)는, 탄성 부재(26) 위치의 어떠한 내측-외측 이동 또는 전방-후방 이동도 방지하기 위하여, 안창 또는 중창의 수직 측벽(25 및 31)과 맞물리는 수직 측벽(27)을 갖는다.
도 23은, 탄성 부재(26)를 고정하는 데 필요한 기하학적 형상의 공동(24)에 수직 측벽(31 및 25)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과, 고유의 외팔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수직 측벽(31 및 25)은 최대 높이 및 소정 거리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거리가 안창(1)의 발바닥 지지면 및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의 내측 최대 높이로부터의 최대 수직 거리보다 짧게 된다. 기하학적 형상의 캐비티(24)의 하부는 테이퍼진 측벽(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압축 시에 안창 환경 전체에 공기를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펌핑 작동을 가능케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외팔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창 본체의 재료 특성을 추가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기구(1)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진 스키브(skive; 32)로 구성된 뒤꿈치 영역(3)을 구비하며, 여기서 스키브의 최대 두께는 종골의 시상봉합면 중심선과 일치하며 또 기구(1)의 최후방 부분에서 기구(1)의 최소 두께와 동일한 레벨로 시상봉합 각도에 의하여 테이퍼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퍼진 스텝부(32)는 정상적인 뒤꿈치에서 발가락의 보행 시에 뒤꿈치 충격으로 지면에 디딜 때 발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발을 자극부(4) 위로 천천히 내리게 함으로써 예방책으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작용할 때, 인가되는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기구(1)의 초기 안락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의 장심계에 대한 충격 관련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다른 발명에서 제공된 테이퍼진 스키브는 일방향 보행 동안에는 충분히 효과적으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지만, 다중 방향 스포츠와 같이 발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디딜 때 충격 속도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매우 효과적이지 않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발을 자극부(4) 상에 천천히 내리게 하는 목적은 상기 기구(1)의 최전방 가장자리(33)와 최후방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기울기에 의하여 발생된 사상봉합면 테이퍼를 통해 일방향 보행 동안 여전히 유지되며, 내측 스키브(34) 및 외측 스키브(35)의 부가에 의하여 안창 또는 중창 기구(1)가 다중 방향 스포츠에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효과가 또한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발을 자극부(4) 상방에 천천히 내리게 함으로써 예방책으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작용할 때, 인가되는 압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기구(1)의 초기 안락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발의 장심계에 대한 충격 관련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각진 부분이 상이하도록 내측 및 외측 스키브(34 및 35)를 비대칭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은 스포츠에 적합한 안창 또는 중창의 구조 및 제작에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30은, 몇몇 경우에 부가적인 치료 특징을 제공하지만 안창/캐비티 구성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차이가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4에서, 안창(50)은 인써트(54)를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52)를 갖는다. 상기 캐비티(52) 및 인써트(54)에는 협력 결합 수단(56 및 58)이 각각 제공된다. 협력 결합 수단은 안창(50)의 자극부(64) 내측에 협소한 개구(62)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확대 단부(58) 형태의 멈춤(detent)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인써트(54) 및 자극부(64) 중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인써트(54)가 안창(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 사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상의 도면들은 자극부 내부에 리셉터클(56) 및 안창 상부에 확대 단부(58)를 도시하지만, 상반되는 구성이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도 25a는 자극부(76)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74)를 갖는 자극부(72)를 구비하는 안창(70)을 도시한다. 확대 단부(82)를 갖는 인써트로부터 자극부 및 돌출부(80)를 통해 개구(78) 형태로 협력 결합 수단이 제공된다. 돌출부(80)는 개구(78)와 일치하여 그것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확대 단부(82)는 삽입 이후에 돌출부(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확대 단부(82)는 삽입을 위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도 25a의 실시예에 부가된 특징으로서, 돌출부(80)는 반사학(reflexology) 분야로부터의 특정 기관의 기준점과 조화를 이루는 확대 단부(82)[돌출부(80)의 말단부에 위치]를 구비함으로써 반사학적 요소 또는 마사지 요소(massage component)를 설치할 수 있다. 레이아웃을 결정하기 위해 반사학 차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25b는 본원에 도시된 인써트에 적용될 수 있는 인서트(76)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써트(76)는 두 개의 부품, 즉 상부 부품(84)과 하부 부품(8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부품은 전체 원상복원 프로그램의 일부로서 전체 강성을 변경시키도록 교체된 상이한 밀도 및 성분들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부품(94 및 100)으로 이루어진 인써트를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92)를 갖는 안창(90)를 도시한다. 상기 부품(94)은 확대 단부(98)를 가지며, 그 확대 단부로부터 탄성 컬럼(95)이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확대 단부(98)는 안창(90)에서 유사한 형상을 갖는 리셉터클(96) 내부에 수납된다. 컬럼(95)은 부품(100) 내부의 리세스(102)에 수납되며, 상기 부품(100)은 링 또는 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품(100)은 외측 방향으로의 컬럼의 탄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컬럼(95)의 적어도 일부를 밀접하게 에워싸므로 컬럼(95)의 강성을 높이고, 따라서 인써트(94, 100)의 전체 강성을 결정한다.
2부품 인써트(94 및 100)는 전체 조립체를 제거 및 교체하지 않고 그 강성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상이한 크기의 개구(102), 상이한 높이 또는 상이한 탄성을 갖는 상이한 부품(100)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품(100)이 다른 부품(94)의 탄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부품(100)이 컬럼(95) 위에 올라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컵 형상의 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별법으로서,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부품(94)이 컬럼(95)의 상방에서 외측으로 발산하는 경우에, 외측 발산이 부품(100)의 올라탐을 방지하여야 하며, 따라서 링형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는 안창(110)의 캐비티(118) 내부에 인서트(116)를 보유하기 위하여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112 및 114)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7b의 구성은 캐비티(118) 내부에 수직 벽(120 및 122)을 부가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수직 벽은 그 사이에서 인써트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써트(116)상의 대응하는 수직 벽(124 및 126)에 각각 일치한다.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고 또한 동일한 강도로 재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입증된 종래의 접착제와는 달리,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112 및 114)은 제거 시에 부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만족스럽게 고정할 수 있고 또 고정 성능에 상당한 변화를 주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8a는 도 25a를 참조하여 설명 및 도시된 것과 유사한 안창(120)과 인써트(122)를 도시한다. 도 28b는 안창(120) 상방에서 투시한 도면이다.
안창(120)은 그 안창(120)을 통해 연장되는 리셉터클(128) 내부에 수납된 확대 단부(126)를 구비하는 돌출부(12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24) 및 확대 단부(128)의 위치 및 배치는 반사학 차트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안창(120)과 인써트(122) 사이에 자석 스트립(130)이 제공되어 안창(120)의 발 강화 효과에 대하여 부가적인 전신 요법(자성)을 도입할 수 있다.
안창(110)에 자성을 도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안창(110)에 인써트(116)를 고정하기 위하여 도 27b의 실시예에서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112 및 114) 대신에 상반되는 전극의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는 도 26b 및 도 26a와 관련하여 설명 및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배치를 도시한다. 도 29a에 도시된 안창(140)은 자극부(141)로부터 캐비티(146)를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 컬럼(142)을 갖는다. 도 26a 및 도 26b의 실시예와 같이, 착탈 가능한 링 부재(144)가 제공되는데, 이 링 부재는 컬럼(142)의 최하단부(150)를 수납하기 위한 리셉터클(148)을 갖는다. 링 부재(144)는 컬럼(142)이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컬럼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링 부재(144)는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강성을 갖는 상이한 링 부재로 대체되어, 측방향 변형에 대한 저항 정도를 변경시켜 탄성 칼럼(142)의 전체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0은 안창(164)의 캐비티(162) 내부에 인써트(160)를 고정하는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다. 안창(164)은 자극부(166)와, 상기 자극부(166) 상방의 외부 커버(168)를 갖는다. 외부 커버(168)는 외부 커버로부터 안창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70)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확대 단부(172)를 갖는다. 안창(164)에는 말단이 확대 챔버(178)를 이루면서 협소한 개구(176)를 갖는 리셉터클(174)이 제공된다. 확대 단부(172)는 협소한 개구(176)를 통해 삽입 가능하며 확대 챔버(178) 내에서 탈착 가능하게 유지된다.
전술한 바는 예시적인 것으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제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14)
- 원상복원 안창 기구에 있어서,사람 발의 족저면과 접촉하기 위한 대략 돔형인 자극부와, 인서트를 포함하며,상기 자극부는 상기 발의 목표 영역과 정렬되는 정점을 가지고, 상기 목표 영역은 그 목표 영역을 중심으로 발이 자유로이 3차원 선회이동할 수 있도록 발의 외측 설상골, 입방골 및 주상골의 관절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며,상기 자극부는 상기 정점에서 족장의 1% 내지 5%의 최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족장은 원상복원 안창 기구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상기 자극부는 상기 발에 의한 자극부 상에서의 하향 압력에 응답하여 발에 있는 골기 건 기관을 자극하기 위해 상방을 향하는 압력을 인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상기 자극부는 상기 자극부의 탄성 변형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자극부와 밑면 사이에서 작용하는 상기 인써트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하며,상기 인서트는 상기 자극부에 인가되는 정지 상태로 서있는 사람의 수직력에 응답하여 상기 자극부가 상기 최대 높이의 40% 내지 100% 사이에서 편향되게 하는 탄성 변형성을 갖고,상기 자극부와 상기 인써트는 상기 인써트를 상기 안창에 고정하기 위한 협력 결합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상기 인써트가 상기 안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그 사이에서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 수단(detent means)을 포함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인써트와 상기 자극부 중 어느 하나에 확대 단부를 포함하며, 이 확대 단부는 상기 인써트와 상기 자극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협소한 개구를 통해 삽입 가능한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단부는 상기 인써트와 상기 자극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부는 상기 안창의 상방에 외부 커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외부 커버로부터 상기 안창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상기 인써트 상의 수직 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벽은 리셉터클 상의 대응하는 수직 벽과 일치하여 그 사이에서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며,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리셉터클의 내부 측면에 그리고 상기 인써트의 외부 측면에 고정된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극부로부터 리셉터클을 통과하게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 컬럼이며,상기 인써트는 상기 탄성 컬럼이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컬럼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탄성 컬럼의 적어도 일부를 밀접하게 에워싸는 리세스를 갖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과 상기 인써트 사이에 개재된 자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써트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상기 안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성 컬럼을 구비하며,상기 인써트는, 상기 탄성 컬럼이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컬럼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상기 탄성 컬럼을 수납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링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상기 인써트와 상기 안창의 일치하는 표면에 고정되는 짝을 이루는 후크 및 루프식 파스너 스트립인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상기 인써트와 상기 안창의 일치하는 표면에 각각 고정된 반대 극성의 자성 재료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 결합 수단은 상기 인써트 상의 수직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직 벽은 리셉터클 상의 수직 벽과 일치하여 그 사이에서 측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 수단은 인써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말단이 확대 단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상기 멈춤 수단은, 상기 인써트가 안창에 고정되면 말단의 확대 단부가 자극부 상방에 있는 상태로, 상기 돌출부를 수납하기 위하여 자극부를 통과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상기 개구와 돌출부는 상기 안창에 인가되는 발의 하향 압력에 응답하여 반사 요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발의 반사 포인트에 대응하는 패턴으로 배치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주변에서 상기 안창과 상기 인써트 사이에 자성 재료가 마련되는 것인 원상복원 안창 기구.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9/942,972 US6732457B2 (en) | 1997-12-24 | 2001-08-31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US09/942,972 | 2001-08-31 | ||
PCT/CA2002/001301 WO2003017895A1 (en) | 2001-08-31 | 2002-08-26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39318A KR20040039318A (ko) | 2004-05-10 |
KR100935579B1 true KR100935579B1 (ko) | 2010-01-06 |
Family
ID=2547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7003077A KR100935579B1 (ko) | 2001-08-31 | 2002-08-26 |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1) | US6732457B2 (ko) |
EP (1) | EP1423062B1 (ko) |
JP (1) | JP2004538116A (ko) |
KR (1) | KR100935579B1 (ko) |
CN (1) | CN1296020C (ko) |
AT (1) | ATE369823T1 (ko) |
AU (1) | AU2002322927B2 (ko) |
CA (1) | CA2457939C (ko) |
DE (1) | DE60221853T2 (ko) |
DK (1) | DK1423062T3 (ko) |
ES (1) | ES2291489T3 (ko) |
MX (1) | MXPA04001926A (ko) |
PT (1) | PT1423062E (ko) |
WO (1) | WO2003017895A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7819B1 (ko) * | 2013-07-23 | 2015-03-04 | 윤근수 | 발지압용 쿠션부재 |
KR102238244B1 (ko) * | 2020-12-17 | 2021-04-08 | 양성모 | 기능성 신발인솔 |
KR102472901B1 (ko) * | 2021-11-23 | 2022-12-01 | 정병오 |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
KR102472896B1 (ko) * | 2021-11-23 | 2022-12-01 | 정병오 |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
KR20230123797A (ko) * | 2022-02-17 | 2023-08-24 |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35526A1 (en) * | 2004-04-05 | 2005-10-27 | Kiyong Kim | Arch support reinforcement device |
US20060059726A1 (en) * | 2004-09-22 | 2006-03-23 | Ching-Hui Song | Foot orthosis |
JP4733957B2 (ja) * | 2004-10-08 | 2011-07-27 | 高橋 毅 | 靴用インソール |
US6990756B1 (en) * | 2004-10-15 | 2006-01-31 | Sylmark Holdings Limited | Footwear orthotic with insert |
US7461470B2 (en) * | 2004-10-29 | 2008-12-09 | The Timberland Company | Shoe footbed system and method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
US7681333B2 (en) * | 2004-10-29 | 2010-03-23 | The Timberland Company | Shoe footbed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
US7762008B1 (en) * | 2005-09-07 | 2010-07-27 | The Timberland Company | Extreme service footwear |
FR2896150B1 (fr) * | 2006-01-17 | 2008-04-18 | Michel Couderc | Semelles orthopediques propioceptives posturales |
US7610696B2 (en) * | 2006-03-06 | 2009-11-03 | Munro & Company, Inc. | Adjustable fit insole system for shoes |
IL176442A0 (en) * | 2006-06-20 | 2006-10-05 | Meditex Ltd | Adjustable orthopedic insoles |
JP5211275B2 (ja) * | 2007-07-10 | 2013-06-12 | 株式会社オステオ | 履物中敷及び履物 |
US20090165334A1 (en) * | 2007-09-10 | 2009-07-02 | Scott Kantro | Customizable insole |
DE202007013120U1 (de) * | 2007-09-19 | 2007-12-20 | Cetec Ag | Innensohle mit Versteifungselement |
US20090139114A1 (en) * | 2007-12-03 | 2009-06-04 | Genesco, Inc. | Sol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
US20090255147A1 (en) * | 2008-04-11 | 2009-10-15 | Majin Castillo | Foot-stabilizing shoe inserts |
US20170086531A1 (en) * | 2009-08-26 | 2017-03-30 | Christian Thagaard Hansen | Insole For Shoes |
ES2442315T3 (es) | 2009-08-26 | 2014-02-11 | Iseppi, Mario | Suela interior para zapatos |
US20110072685A1 (en) * | 2009-09-25 | 2011-03-31 | Bdg, Incorporated | Integral insole with multiple areas of different resiliency and method of making the insole |
US20110099842A1 (en) * | 2009-10-30 | 2011-05-05 | Park Global Footwear Inc. |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
DE202009015388U1 (de) | 2009-11-13 | 2010-12-23 | Kühnreich, Heinz-Peter | Einlage mit sensomotorischen Stimulationselementen |
CN102379487B (zh) * | 2010-08-31 | 2014-05-07 | 郑贤雄 | 多功能鞋垫 |
JP5835900B2 (ja) * | 2010-01-22 | 2015-12-24 | 賢雄 鄭 | 多機能インソール |
US20110192050A1 (en) * | 2010-02-10 | 2011-08-11 | Jorge Hane | Insole for Shoe |
CN103876391B (zh) * | 2010-08-31 | 2017-04-12 | 郑贤雄 | 多功能鞋垫 |
DE102011009360A1 (de) * | 2011-01-25 | 2012-07-26 | BNS BERGAL, NICO & SOLITAIRE Vertriebs GmbH | Rohling für eine Fußbettung |
US20130312280A1 (en) * | 2011-02-09 | 2013-11-28 | Roy Gardiner | Dynamic arch stabilization and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US20130318818A1 (en) * | 2011-02-10 | 2013-12-05 | Roy Gardiner | Dynamic arch stabilization and rehabilitative shoe midsole/insole device |
TWM420204U (en) * | 2011-08-26 | 2012-01-11 | Haka Co Ltd | Insole with foot-arch supporting and regulating structure |
US20130047461A1 (en) * | 2011-08-31 | 2013-02-28 | Tzann-Yuh TZENG | Foot balance device |
US9913508B2 (en) | 2011-08-31 | 2018-03-13 | Varithotics Co., Ltd. | Foot balancing device |
US20140059887A1 (en) * | 2011-09-08 | 2014-03-06 | Kevin B. Lawlor | Footwear support structures |
US20130160331A1 (en) * | 2011-12-23 | 2013-06-27 | Park Global Footwear Inc. |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
US9155355B2 (en) | 2012-04-27 | 2015-10-13 | Nike, Inc. | Insole with inferiorly extending projections |
US9259343B2 (en) | 2012-07-06 | 2016-02-16 | Newman Technologies LLC | Device for mitigating plantar fasciitis |
JP5859653B2 (ja) * | 2012-07-26 | 2016-02-10 | 有限会社内田販売システム | 履物シート及び履物 |
EP2708211B1 (en) * | 2012-09-13 | 2017-02-22 | Peacocks Orthotics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thotic device, and orthotic device |
US9955749B2 (en) | 2014-01-14 | 2018-05-01 | Nike, Inc. | Footwear having sensory feedback outsole |
US9516918B2 (en) | 2014-01-16 | 2016-12-13 | Nike, Inc. | Sole system having movable protruding members |
US9516917B2 (en) | 2014-01-16 | 2016-12-13 | Nike, Inc. | Sole system having protruding members |
US9974356B2 (en) | 2014-08-06 | 2018-05-2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with arcuate underside cavity insert |
US10779615B2 (en) | 2014-10-01 | 2020-09-2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sensory elements |
US9585434B2 (en) | 2014-11-26 | 2017-03-07 | Nike, Inc. | Upper with sensory feedback |
EP3058903B1 (en) * | 2015-02-19 | 2018-12-19 | Podfo Limited | Support apparatus with adjustable stiffness |
CA2975606A1 (en) * | 2015-02-19 | 2016-08-25 | Peacocks Orthotics Limited | Support apparatus with adjustable stiffness |
US10506843B2 (en) * | 2015-09-23 | 2019-12-17 | Cluffy, LLC | Orthopedic shoe appliance |
US10856610B2 (en) | 2016-01-15 | 2020-12-08 | Hoe-Phuan Ng | Manual and dynamic shoe comfortness adjustment methods |
US10667939B2 (en) * | 2016-03-15 | 2020-06-02 | Choonghwan KIM | Leg protector and shoe sole for same |
US20170318898A1 (en) * | 2016-05-05 | 2017-11-09 | Sole Supports, Inc. | Weight adjustable calibrated orthotics |
EP3541223A4 (en) * | 2016-11-18 | 2020-07-22 | Biopods, LLC | INSOLE WITH AN Arbitrary VARIABLE STIMULUS AND FOOTWEAR TO OPTIMIZE THE HUMAN NEUROMUSCULAR GEAR MECHANICS |
CA3011058A1 (en) * | 2017-07-12 | 2019-01-12 | Medical Specialties, Inc. | Brace for posterior tibial tendon dysfunction |
CN107485117A (zh) * | 2017-10-17 | 2017-12-19 | 重庆嵘安医疗器材有限公司 | 本体感受鞋垫以及鞋 |
TWI675629B (zh) * | 2017-10-27 | 2019-11-01 | 劉懿賢 | 可選擇支撐足弓不同區域的鞋墊 |
CN111565592B (zh) * | 2017-11-13 | 2022-09-30 | 杰夫·路易斯 | 模块化的矫正鞋系统 |
GB201900971D0 (en) * | 2019-01-24 | 2019-03-13 | Tyfo Sports Ltd | Insol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EP3965605A4 (en) * | 2019-05-08 | 2023-01-04 | Scholl's Wellness Company LLC | SOFT ARCH SUPPORT FOR SHOES |
RU2718262C1 (ru) * | 2019-09-20 | 2020-04-01 | Николай Викторович Полукаров | Стель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
USD931589S1 (en) | 2020-02-18 | 2021-09-28 | Christian Thagaard Hansen | Insole for shoes |
DE102020106260A1 (de) * | 2020-03-09 | 2021-09-09 | HealthLetic UG (haftungsbeschränkt) | Einlegesohle |
USD1000080S1 (en) * | 2022-04-08 | 2023-10-03 | Jose Arellano | Adhesive foot cushion |
USD998309S1 (en) * | 2022-04-08 | 2023-09-12 | Jose Arellano | Adhesive foot cush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3417A1 (en) * | 1997-12-24 | 1999-07-08 | Barefoot Science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8469A (en) * | 1904-01-06 | 1905-04-25 | Charles Huether | Combined insole and arch-support. |
US1142849A (en) * | 1912-01-22 | 1915-06-15 | William M Scholl | Instep-arch supporter. |
US1136443A (en) * | 1913-01-03 | 1915-04-20 | William M Scholl | Instep-arch support. |
US1378398A (en) * | 1918-08-22 | 1921-05-17 | Alexander E Block | Arch-support |
CH83595A (de) * | 1919-04-25 | 1919-12-16 | Hausmann A G Schweiz Medizinal | Spreizfußeinlage |
US1346059A (en) * | 1919-12-29 | 1920-07-06 | Robson William Henry | Foot-arch support |
US1804549A (en) * | 1928-11-08 | 1931-05-12 | Temler Friedrich | Arch support for shoes |
GB366814A (en) * | 1931-04-29 | 1932-02-11 | Alfred Horner Kay | Improvements in foot instep supports |
US2157454A (en) * | 1938-02-07 | 1939-05-09 | James J Keys | Supporter |
US2510654A (en) * | 1945-11-26 | 1950-06-06 | Wilfred A Pepin | Foot correction appliance |
US2613455A (en) * | 1948-01-03 | 1952-10-14 | Joseph A Amico | Arch support |
FR2617686B1 (fr) * | 1987-07-06 | 1989-11-24 | Farchy Albert | Chaussures en kit |
US5138774A (en) * | 1990-06-04 | 1992-08-18 | Jeff Sarkozi | Insole with removable, height-adjustable stackable support pads |
DE4200362C2 (de) * | 1992-01-09 | 1994-06-09 | Bauerfeind Gmbh | Einlegesohle |
CA2070274C (en) * | 1992-06-02 | 1997-02-11 | Robert Garfield Burke | Shoe insole for foot rehabilitation |
-
2001
- 2001-08-31 US US09/942,972 patent/US673245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
- 2002-08-26 CA CA2457939A patent/CA245793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8-26 AU AU2002322927A patent/AU2002322927B2/en not_active Ceased
- 2002-08-26 CN CNB028168909A patent/CN129602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8-26 EP EP02754065A patent/EP142306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26 ES ES02754065T patent/ES2291489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26 PT PT02754065T patent/PT1423062E/pt unknown
- 2002-08-26 DE DE60221853T patent/DE60221853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26 MX MXPA04001926A patent/MXPA04001926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2-08-26 JP JP2003522419A patent/JP2004538116A/ja active Pending
- 2002-08-26 DK DK02754065T patent/DK1423062T3/da active
- 2002-08-26 WO PCT/CA2002/001301 patent/WO2003017895A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2-08-26 AT AT02754065T patent/ATE36982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8-26 KR KR1020047003077A patent/KR1009355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9033417A1 (en) * | 1997-12-24 | 1999-07-08 | Barefoot Science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7819B1 (ko) * | 2013-07-23 | 2015-03-04 | 윤근수 | 발지압용 쿠션부재 |
KR102238244B1 (ko) * | 2020-12-17 | 2021-04-08 | 양성모 | 기능성 신발인솔 |
US11297894B1 (en) | 2020-12-17 | 2022-04-12 | Sungmo Yang | Functional shoe insole |
KR102472901B1 (ko) * | 2021-11-23 | 2022-12-01 | 정병오 | 무릎관절염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
KR102472896B1 (ko) * | 2021-11-23 | 2022-12-01 | 정병오 |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
KR20230123797A (ko) * | 2022-02-17 | 2023-08-24 |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
KR102670412B1 (ko) * | 2022-02-17 | 2024-05-29 | 주식회사 에이치비티 |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549696A (zh) | 2004-11-24 |
EP1423062A1 (en) | 2004-06-02 |
ES2291489T3 (es) | 2008-03-01 |
AU2002322927B2 (en) | 2008-10-16 |
EP1423062B1 (en) | 2007-08-15 |
CA2457939C (en) | 2011-11-08 |
PT1423062E (pt) | 2007-11-28 |
CA2457939A1 (en) | 2003-03-06 |
DK1423062T3 (da) | 2007-12-27 |
JP2004538116A (ja) | 2004-12-24 |
ATE369823T1 (de) | 2007-09-15 |
DE60221853T2 (de) | 2008-05-15 |
US6732457B2 (en) | 2004-05-11 |
MXPA04001926A (es) | 2005-03-07 |
US20020014024A1 (en) | 2002-02-07 |
CN1296020C (zh) | 2007-01-24 |
WO2003017895A1 (en) | 2003-03-06 |
KR20040039318A (ko) | 2004-05-10 |
DE60221853D1 (de) | 200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5579B1 (ko) |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 |
KR100463304B1 (ko) | 복귀성 신발 안창 기구 | |
JP3942027B2 (ja) | 履物ソール | |
KR100935578B1 (ko) | 신발 | |
AU2002322927A1 (en)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
US6951066B2 (en) | Cushioning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US11297894B1 (en) | Functional shoe insole | |
KR101998706B1 (ko) | 혈류개선과 지압형 구조가 장착된 진동 기능성 건강신발 | |
KR20120101776A (ko) |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 밑창 | |
AU2023222873A1 (en) | Health-promoting functional shoe having function of stimulating solar plexus point | |
JP4881121B2 (ja) | 足底板の装着方法 | |
KR102425738B1 (ko) | 신발의 밑창 구조 | |
KR100639503B1 (ko) |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 |
JP5450823B1 (ja) | インソール及び履物 | |
JPH10127305A (ja) | 足底支持材及び履物 | |
JP4315435B2 (ja) | シューズ | |
KR200378634Y1 (ko) | 임산부를 위한 신발용의 체중이동성 안창기구 | |
KR100928712B1 (ko) |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 |
JP3120819U (ja) | 健康用履物 | |
CN118806017A (zh) | 一种骨科康复用的支撑垫及支撑鞋 | |
MXPA00006321A (en) | Rehabilitative shoe inso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