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896B1 -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 Google Patents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896B1
KR102472896B1 KR1020210162352A KR20210162352A KR102472896B1 KR 102472896 B1 KR102472896 B1 KR 102472896B1 KR 1020210162352 A KR1020210162352 A KR 1020210162352A KR 20210162352 A KR20210162352 A KR 20210162352A KR 102472896 B1 KR102472896 B1 KR 10247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magnet
present
hallux valgus
lim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오
Original Assignee
정병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오 filed Critical 정병오
Priority to KR102021016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iabetes (AREA)
  • Rheu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분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에 부착되는 강인하고 두꺼운 섬유띠로 이루어진 족저 근막을 아치 형태로 유지하고 체중 부하상태에서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으로 심하게 휘어져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둘출된 상태를 의미하는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바깥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지압강화구(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는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과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과,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족저 근막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 내측과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Insoles limited to use to improve plantar fasciitis and hallux valgus}
본 발명은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분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에 부착되는 강인하고 두꺼운 섬유띠로 이루어진 족저 근막을 아치 형태로 유지하고 체중 부하상태에서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며,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으로 심하게 휘어져서 엄지발가락 관절이 안쪽으로 둘출된 상태를 의미하는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관한 것이다.
동양의학에 따르면 손과 발에는 인체의 각 기관과 상호작용하는 경혈점들이 분포하고 있고, 이러한 손과 발에 연결된 각 경혈점들을 지압하거나 자극을 가함으로써, 상기 경혈점들과 연결된 인체 내부의 기관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손과 발에 분포한 경혈점들을 이용하여 간접적이고 보조적인 인체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예를 들면 최근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수지침, 족침 등이 그 대표적인 예로써, 인체내부의 특정 기관과 연결된 손과 발의 각 경혈점들을 침으로 자극하여 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체치료를 위한 외부자극으로는 침과 더불어 지압, 뜸, 저주파, 자기장 및 전기자극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침 및 지압 등은 직접적으로 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신경운동의 활동성을 강하게 한다.
이러한 외부자극을 통한 치료방법은 동양의학에서 출발하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그 효과가 실질적으로 입증 되어 동,서양 의학을 불문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한 여러 가지 물리적 기구가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을 깔창에도 응용 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는 깔창이나 신발밑창 내측에 덧되는 안창의 표면을 불규칙적으로 만들어 발바닥 지압을 위한 깔창이나 신발밑창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깔창이나 신발밑창들은 단순히 발 지압기능만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발은 몸을 지지해주고 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은 몸무게를 지탱할 뿐 아니라 움직일 때의 추진력 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탄력성과 신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발의 탄력성과 신축성에 크게 관련되는 것은 족궁(足弓)이며 이 족궁중 내측 종족궁을 감싸고 있는 근막이 족저근막이다.
보다 상세히는,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약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7개의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에 우묵하게 들어간 것을 족궁(足弓)(arch)이라 하는데, 우리의 발은 세개의 족궁, 즉 내측 종족궁(縱足弓)(medial longitudinal arch), 외측 종족궁(lat.longitudinal arch), 횡족궁(橫足弓)을 가지고 있다.
이 세개의 족궁 중, 몸의 정중부에 가까운 것을 내측 종족궁, 먼것을 외측 종족궁이라 하며, 발등부위의 5개의 중족골이 이루는 족궁을 횡족궁이라고 한다.
이 족궁들은 보행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족저근막(Plantar Fascia)은 내측 종족궁을 정적으로 보강하는 두꺼운 막으로 종골의 내측돌기부분에서 시작되어 종(慫)으로 발앞부분에 부착되는데, 달리기, 점프등에서의 착지로 퍼졌다가 다시 수축하면서 착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은 달리기에서 착지직후의 발의 내전(뒤꿈치뼈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과 동시에 부담을 받게된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을 지나치게 사용함으로 인한 염증을 말한다. 다시말해, 족저근막염이란 내측 종족궁 부위의 발바 닥 근육을 보호하는 근막인 족저근막에 과도한 충격이나 압박에 의하여 염증이 발생되며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발질환이다. 족저근막염은 선천적인 요족(종족궁이 높은발)이나 평발,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 하이힐을 많이 신는 여성, 오래 달리거나, 점프를 많이 하는 운동선수(마라톤, 농구선수등)에게 많이 발생이 되며 일반인들도 최근 달리기 동호회 등을 중심 으로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족저근막염환자의 생체역학적인 분석에 의하여,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통증 및 피로를 감소시키는 족 저근막염용 안창이 요망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족저근막염 발생부위의 압력해소가 기본이며, 보행시 발을 안정화시키며 적당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족저근막부위를 보호하는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0-2224205호 한국특허등록 제10-1103537호 한국실용공개 제20-2011-0001604호 한국실용등록 제20-0483112호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족저 근막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 내측과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함으로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바깥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지압강화구(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는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과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과,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족저 근막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 내측과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지압강화구가 착탈가능하되 내장된 자석이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쿠션감을 유지토록 하면서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지압강화구가 착탈가능하되 내장된 자석이 다른 극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의 사용상태 배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지압강화구가 착탈가능하되 내장된 자석이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쿠션감을 유지토록 하면서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에 있어서 지압강화구가 착탈가능하되 내장된 자석이 다른 극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기력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전에 족저근막염은 종골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분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에 부착되는 강인하고 두꺼운 섬유띠를 이루는 족저 근막은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체중 부하상태에서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족저 근막에 염증이나 손상시 발생되는 질환으로서 주로 뒤꿈치의 통증을 유발하여 대부분의 깔창이나 밑창이 뒤꿈치를 지압하는 형태지만 이는 실질적으로 발생되는 부위를 잘못 인지한 전혀 도움이 되지 아니한 갈창이나 밑창인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아치 형태를 유지하는 부위를 지압하거나 개선함으로서 족저 근막염을 개선 또는 치유가 가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촛점을 두고 개발한 것으로 한정한 용도발명이며 더 나아가서, 무지외반증의 선천적인 이유인 평발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개발한 용도발명에 해당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와 지압강화구(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은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지압강화구(20)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지압강화구와 달리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바깥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서, 사익 지압강화구(20)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며 또한 그 형태 즉, 안쪽이 급경사이고 바깥쪽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가 착용하여야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를 정확하게 지압하여 족저근막을 자극하여 족저근막염을 개선 치유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서 선천적 유전적으로 평발로 인한 무지외반증 환자의 경우도 사익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하여 평발을 개선함으로서 무지외반증을 개선 치유가 가능하도록 특정 질환에 적합한 용도로 한정된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는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211)이 다른 극으로 구성함으로서 서로 끌려서 긴밀하게 부착되어 지압강화구(20)의 오랜 사용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한 것이며 더 나아가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발바닥 아치 부위의 혈행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함으로서 아치 부위의 개선 및 치유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는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며,
상기 결합돌기(100)가 상기 결합홈(200)으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상기 제1 단턱(101)에 체결되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고 더 나아가서,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되되 상기 제3 자석(102)와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함으로서 비록 제3 자석(102)과 제4 자석(202)가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서로 밀어내지만 상기 제1 단턱(101)과 제2 단턱(201)에 의해 상기 지압강화구(20)이 이탈될 염려는 전혀 없으면서 지압강화구(20)의 오랜 사용 또는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의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함과 동시에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발바닥 아치 부위의 혈행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함으로서 아치 부위의 개선 및 치유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족저 근막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압강화구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 표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지압강화구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삽입홈 내측과 지압강화구의 저면 내측에 자석을 구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의 안쪽 아치 부위를 자극 또는 유지토록 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하여 발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지압강화구
100 : 결합돌기 101 : 제1 단턱
102 : 제3 자석 110 : 삽입홈
111 : 제1 자석 200 : 결합홈
201 : 제2 단턱 202 : 제4 자석

Claims (5)

  1. 사용자 발바닥이 접촉되는 판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안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바깥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구비된 지압강화구(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서 발바닥 안쪽 아치 부위에는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10)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저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홈(20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압강화구(2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100)의 상측부는 제1 단턱(1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200)의 끝단 가까이에는 제2 단턱(20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00) 사이 바닥면에는 제3 자석(10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200) 사이에는 제4 자석(202)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자석(102)과 제4 자석(202)은 서로 같은 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0)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자석(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압강화구(20)의 바닥면 내측에는 상기 제1 자석(111)과 다른 극을 이루는 제2 자석(211)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62352A 2021-11-23 2021-11-23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10247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52A KR102472896B1 (ko) 2021-11-23 2021-11-23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352A KR102472896B1 (ko) 2021-11-23 2021-11-23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896B1 true KR102472896B1 (ko) 2022-12-01

Family

ID=8444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352A KR102472896B1 (ko) 2021-11-23 2021-11-23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89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974B1 (ko) * 2006-10-13 2007-04-09 주식회사 세계산업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100935579B1 (ko) * 2001-08-31 2010-01-06 베어풋 사이언스 테크놀러지 인크.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KR20100132466A (ko) * 2009-06-09 2010-12-17 임성조 이동 가능한 지지체를 갖는 신발용 인솔
KR20110001604U (ko) 2009-08-10 2011-02-17 권영갑 발지압 슬리퍼
KR101103537B1 (ko) 2010-05-18 2012-01-06 주식회사 학산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KR20130096609A (ko) * 2012-02-22 2013-08-30 박인식 거주상골 지지부를 가지는 발 교정기
KR101651922B1 (ko) * 2014-12-17 2016-09-09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200483112Y1 (ko) 2016-06-02 2017-04-18 황효진 슬리퍼
KR102224205B1 (ko) 2020-08-22 2021-03-05 유위상 슬리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579B1 (ko) * 2001-08-31 2010-01-06 베어풋 사이언스 테크놀러지 인크. 신발용의 원상복원 안창 기구
KR100704974B1 (ko) * 2006-10-13 2007-04-09 주식회사 세계산업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20100132466A (ko) * 2009-06-09 2010-12-17 임성조 이동 가능한 지지체를 갖는 신발용 인솔
KR20110001604U (ko) 2009-08-10 2011-02-17 권영갑 발지압 슬리퍼
KR101103537B1 (ko) 2010-05-18 2012-01-06 주식회사 학산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KR20130096609A (ko) * 2012-02-22 2013-08-30 박인식 거주상골 지지부를 가지는 발 교정기
KR101651922B1 (ko) * 2014-12-17 2016-09-09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200483112Y1 (ko) 2016-06-02 2017-04-18 황효진 슬리퍼
KR102224205B1 (ko) 2020-08-22 2021-03-05 유위상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8172B1 (en) Massage insole with multiple support regions
KR200409793Y1 (ko) 발과 발목에 위치하는 반사구 및 성장판의 물리적,화학적인 자극을 통한 신장 성장 촉진용 신발
KR10161552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2383045B1 (ko) 후족부에 지압강화를 위한 신발밑창
KR20130004190A (ko) 탄성지압볼이 내장된 신발창 및 이 신발창이 구성된 기능성 신발
CA3098480C (en) Massage insole with multiple support regions
KR102472896B1 (ko)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10158789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1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307598B1 (ko) 지압볼이 내장된 탄성스프링이 구성된 신발창
KR101705092B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2093A (ko)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인솔을 구비한 신발
KR20180090548A (ko) 발가락 교정구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1781059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588650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620715B1 (ko) 발가락 교정구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RU63216U1 (ru) Вкладная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стелька
KR101171267B1 (ko) 신발
RU2718262C1 (ru) Стель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KR200313793Y1 (ko)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JP2015002962A (ja) 靴等の履物用中敷
KR200389448Y1 (ko) 여성용 기능성 정장구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