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793Y1 -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793Y1
KR200313793Y1 KR20-2003-0005004U KR20030005004U KR200313793Y1 KR 200313793 Y1 KR200313793 Y1 KR 200313793Y1 KR 20030005004 U KR20030005004 U KR 20030005004U KR 200313793 Y1 KR200313793 Y1 KR 200313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hoe
midsole
insole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20-2003-0005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뒷굽보다 앞굽을 높게 형성한 신발에 관한것으로 외피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과 상기 안창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의 사이에 소프트 중창 및 하드 중창을 형성하여, 보행시 상기의 소프트 중창의 탄력으로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유지하고, 뒷 장단지 근육 및 인대가 경직되는 것을 완화해주며, 운동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안쪽의 높이를 바깥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뒷굽보다 앞굽을 높게 형성한 신발에 관한것으로 외피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과 상기 안창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의 사이에 소프트 중창 및 하드 중창을 형성하여, 보행시 상기의 소프트 중창의 탄력으로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유지하고, 뒷 장단지 근육 및 인대가 경직되는 것을 완화해주며, 운동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안쪽의 높이를 바깥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것이다.
발은 26개의 뼈와 100개가 넘는 인대, 근육, 힘줄 및 신경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것들이 하나의 복합체로 작용하고 있어, 이중 하나라도 다치면 연관되는 부분에 다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발은 전체적으로 궁(Arch)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앞뒤로는 종아치, 폭으로는 횡아치가 있어서 반복되는 체중 부하에 잘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만일 선천적인 이유로나, 후천적인 발의 손상 때문에 발의 아치구조가 무너져서 평발이 되면 조금만 걸어도 쉽게 발에 피로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
발에는 큰 근육과 작은 근육이 같이 존재하는데 이들이 같이 일을 하게 되면 큰 근육은 일을 많이 해도 잘 견디지만, 작은 근육은 잘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작은 근육이 모여 있는 아치 밑과 발가락 사이에 쉽게 피로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
조사에 의하면 현재도 맨발로 사는 오지의 원주민들은 발의 기형이 별로 없다고 한다. 신발은 문명이 발달하면서 단순한 발의 보호 기구에서 일종의 장신구의 기능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앞이 뾰쪽한 포인트 스타일(Pointed style), 뒷굽이 높은 하이힐, 통굽, 뽀바이 신발 등 다양한 형태의 신발들이 발에 생기는 기형이나 질병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족부 기형이나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대부분(80% 이상)이 여성인 것만 보아도 신발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었을 때 발생하는 기형이나 질병으로는 엄지 발가락이 발의 바깥쪽으로 치우쳐 지면서 심하면 둘째 발가락 밑으로 들어가는 모지 외반증이 대표적이고 그외 발가락이 구부러지는 망치족, 굳은 살이나 티눈, 후천적인 평발, 그 외 엄지 발가락 발톱이 살로 파고 들거나 발가락 사이가 저리는 지간 신경통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초기에는 편안한 신발을 신거나 기형 부위에 특수한 패드등을 해줌으로서 증상을 완화해 줄 수 있지만 심해지면 결국 수술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티눈이나 피부못의 경우에 연고를 바르거나 티눈 자체를 제거하여도 자꾸 재발하면 족부 방사선 사진을 찍어볼 필요가 있다. 이런 사람들은 대개 발에서 뼈가 길어나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이것을 제거해주지 않으면 티눈이나 피부못은 결코 완치되지 않는다.
하이힐은 뒷굽의 길이가 1인치 이상인 신발을 말하는데 원래 근세 귀부인들이 자기의 가슴선과 엉덩이 선을 멋있게 보이려고 고안한 것으로( 장딴지가 가늘어 보이고, 발목이 멋있어 보인다. 걸을 때 엉덩이가 흔들린다) 키를 커 보이게 하고 미용상의 효과와 섹시한 걸음걸이 등 장점도 있지만 앞서 말한 발의 여러 기형이나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체중이 앞 발바닥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무릅에 부담을 주게 되고 허리에 통증을 유발하며 아킬레스 건이 단축되기 때문에 보행 주기가 방해되어 넓적 다리로 추진력을 얻게 되어 넓적다리 피로의 원인이 된다. 또한 발목이 쉽게 삐는 외상의 원인이 된다. 통굽 신발도 하이힐 보다는 덜하지만 유사한 부작용이 있다. 무게가 무거워 에너지 소모가 증가하고, 정상 보행 주기가 방해되며, 무게중심이 불안해진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 등록 제144073호에서 개선된 신발의 형태에서는 신발의 밑창을 형성함에 있어서, 앞굽과 뒷굽의 수평선상에서 뒷굽보다 앞굽이 평균 10±5°의 기울기를 가지고 형성되고, 앞굽의 자유단에 V자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 고안되었으나, 실제 사용자가 상기의 신발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앞굽이 너무 높게 형성되어 걸음걸기 힘들며, 앞굽의 자유단에 V자 형태의 절개부는 걸음걸이에 걸림돌이 된다.
이러한 상기의 고안을 개선하고자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00-0006858에서는 갑피의 하측에 접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으로서, 앞굽과 뒷굽의 하측면이 이룬 수평선상에서 앞굽이 뒷굽보다 약 5°±0.5°의 기울기 범위로 더 높게 형성되고 앞굽의 전면 하측부가 보행을 자연스럽게 유지하기 위한 곡면을 형성한 겉창과, 신발의 안쪽에 탈착이 가능한 안창으로서, 앞부분과 뒷부분의 하측면이 이룬 수평선상에서 앞부분이 뒷부분보다 약 2°±0.5°의 기울기로 높게 형성된 안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체형 유지용 신발이 제안되었으나, 상기의 제안된 실용신안 역시 앞굽과 뒷굽의 높이에 치중된 고안으로 상기의 신발을 착용한 사용자의 걸음걸이가 불편함은 당연하며,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하는 기능은 배제되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신발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앞굽과 뒷굽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뒷굽보다 앞굽을 높게 형성하여 걸음걸이에 의한 척추변형 및 요통을 방지하고, 허벅다리 및 뒷 장단지 근육, 인대의 피로를 경감하여 경직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피(=갑피)의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과 상기의 안창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의 사이에 소프트 중창 및 하드 중창을 형성하여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안한다.
또한, 신발의 바깥쪽 부분보다 안쪽부분을 낮게 형성하여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신발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앞굽과 뒷굽이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
도 3a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앞굽만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
도 4a는 도 4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뒷굽만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
도 5a는 도 5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신발 10...외피 20...안창
30...소프트 중창 40...하드 중창 50...밑창
60...안쪽 70...바깥쪽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의 뒷굽보다 앞굽이 높게 형성된 신발에 있어서, 발을 감싸는 외피(=갑피)와 상기 외피의 하부에 형성되어 봉착 또는 부착되는 안창 및 밑창사이에 소프트 중창 및 하드 중창을 형성하여 걸음걸이를 자연스럽게 유지하는 것은 물론, 신발의 안쪽굽보다 바깥쪽굽을 높게 형성하여 오(O)자형 다리를 교정 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외주부를 감싸는 외피(=갑피, 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과 상기 안창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5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창(20)과 밑창(50) 사이에 소프트 중창(soft-middle sole, 30)과 하드 중창(hard-middile sole, 40)이 부착 또는 봉착된다. 상기 소프트 중창(30)과 하드 중창(2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앞굽(3)에 편중되게 형성하여 뒷굽(2)보다 앞굽(3)이 높게 형성된다.
즉, 뒷굽(2)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안창(20)과 밑창(30)이 서로 부착 또는 봉착되어 있으며, 신발의 중간 부분에는 하드 중창(40)이 안창(20)과 밑창(50)사이에 부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되고, 신발의 앞굽(3)에는 소프트 중창(30)이 타원형의 형상으로 안창(20)과 밑창(50) 사이에 부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소프트 중창(30)과 하드 중창(40)은 PU(Poly urethane) 재질을 사용하여, 소프트 중창(30)은 부드러운 소재로 고탄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행시 발의 압력에 의해 줄어들어 뒷 장단지 근육 및 인대가 경직되는 것을 완화해 준다. 하드 중창(40)은 탄성이 거의 없는 PU 재질의 소재로 보행시 발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거의 없는 것으로 신발의 형상을 유지시켜 준다.
상기에서 설명한 재질은 본 고안의 설명을 돕고자 기술된 것이며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의 안쪽(60)과 바깥쪽(7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안쪽(60)보다 바깥쪽(70)을 높게 형성하여 발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의 형상으로 오(O)자형 다리의 교정 기능이 있으며, 상기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거나 착용상태에서 서있는 경우에도 상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신발은 안쪽(60)보다 바깥쪽(70)을 높게 형성하는데, 수평선상에서 안쪽(60)과 바같쪽(70)이 이루는 각도는 당 업자에 의해 쉽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안쪽(60)보다 바깥쪽이(70)이 높게 형성된 신발의 형상은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함이 당연하다.
상기에서 안쪽보다 바깥쪽을 높게하는데 있어서, 앞굽과 뒷굽의 안쪽을 바깥쪽보다 모두 낮게 하는 경우와, 앞굽부분만 낮게하는 경우, 뒷굽부분만 낮게하는 경우로 모두 세가지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된 도 3과 도3a는 안쪽과 바깥쪽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앞굽에서 뒷굽까지 모두 낮게 형성된 일실시예이며, 도 4와 도 4a는 안쪽과 바같쪽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앞굽부분의 안쪽높이를 바깥쪽보다 낮게 형성된 일실시예이고, 도 5와 도 5a는 안쪽과 바같쪽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뒷굽부분의 안쪽높이를 바깥쪽보다 낮게 형성된 일실시예이다.
도 3와 도 3a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일실시예로 앞굽과 뒷굽의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와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신발의 외피(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은 신발의 뒷굽(2)과 앞굽(3)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는 외피(10)를 안창(20)에 부착 또는 봉착함에 있어서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앞굽(3)과 뒷굽(2)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뒷굽(2)보다 앞굽(3)을 높게 형성하고, 상기 앞굽부분에는 소프트 중창(30) 및 하드 중창(40)을 형성한다.
도 3a에 따르면, 도 3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안쪽(60)과 바깥쪽(70)을 형성함에 있어서 안쪽보다 바깥쪽을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여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의 앞굽과 뒷굽 전체에서 교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4a는 각각 앞굽만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 및 상기 신발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창(20)의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하는 하드 중창(40)의 앞굽(3)에는 안쪽(60)보다 바같쪽(70)을 높게 형성하고 점진적으로 높이의 차이를 감소시켜 신발의 중간부분에서는 높이의 차이를 형성하지 않는 형상이다.
도 4a는 상기의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후면에서 보는 신발의 안쪽과 바같쪽의 높낮이의 차이는 없다.
도 5 및 도 5a는 각각 뒷굽만 안쪽으로 경사진 신발의 측단면도 및 상기 신발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안창(20)의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하는 하드 중창(40)의 뒷굽(2)에는 안쪽(60)보다 바같쪽(70)을 높게 형성하고 점진적으로 높이의 차이를 감소시켜 신발의 중간부분에서는 높이의 차이를 형성하지 않는 형상이다.
도 5a는 사기의 형태로 이루어진 신발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후면에서 보는 신발의 안쪽(60)높이보다 바깥쪽(7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뒷굽보다 앞굽이 높은 신발에 있어서, 외피(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과 상기 안창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50)의 사이에 소프트 중창(30)과 하드 중창(40)을 형성함과 동시에 안쪽(60)의 높이보다 바깥쪽(70)의 높이를 높게한 신발로, 보행시 뒷 장단지 근육 및 인대가 경직되는 것을 완화해주며, 운동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오(O)자형 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신발의 뒷굽보다 앞굽이 높게 형성된 신발에 있어서,
    발의 외주부를 감싸는 외피(=갑피, 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과 상기 안창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밑창(5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창(20)과 밑창(50) 사이에 소프트 중창(soft-middle sole, 30)과 하드 중창(hard-middile sole, 40)이 부착 또는 봉착되어 이루어진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신발의 외피(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은 신발의 뒷굽(2)과 앞굽(3)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앞굽(3)과 뒷굽(2)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뒷굽(2)보다 앞굽(3)을 높게 형성하고, 상기 앞굽부분에는 소프트 중창(30) 및 하드 중창(40)이 형성되고, 안쪽(60)과 바깥쪽(70)을 형성함에 있어서 안쪽보다 바깥쪽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신발의 외피(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은 신발의 뒷굽(2)과앞굽(3)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앞굽(3)과 뒷굽(2)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뒷굽(2)보다 앞굽(3)을 높게 형성하고, 상기 앞굽부분에는 소프트 중창(30) 및 하드 중창(40)이 형성되고, 안창(20)의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되는 하드 중창(40)의 앞굽(3)에는 안쪽(60)보다 바같쪽(70)을 높게 형성하고 점진적으로 높이의 차이를 감소시켜 신발의 중간부분에서는 높이의 차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신발의 외피(10)의 하부에 부착 또는 봉착되는 안창(20)은 신발의 뒷굽(2)과 앞굽(3)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앞굽(3)과 뒷굽(2)의 높이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뒷굽(2)보다 앞굽(3)을 높게 형성하고, 상기 앞굽부분에는 소프트 중창(30) 및 하드 중창(40)이 형성되고, 안창(20)의 하부에 접착 또는 봉착되어 형성되는 하드 중창(40)의 뒷굽(2)에는 안쪽(60)보다 바같쪽(70)을 높게 형성하고 점진적으로 높이의 차이를 감소시켜 신발의 중간부분에서는 높이의 차이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KR20-2003-0005004U 2003-02-20 2003-02-20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KR200313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04U KR200313793Y1 (ko) 2003-02-20 2003-02-20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004U KR200313793Y1 (ko) 2003-02-20 2003-02-20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793Y1 true KR200313793Y1 (ko) 2003-05-22

Family

ID=4940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004U KR200313793Y1 (ko) 2003-02-20 2003-02-20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7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0489B2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KR980008086A (ko) 건강 증진용 신발
KR200414204Y1 (ko) 신발
KR101622906B1 (ko) 발가락 교정용 신발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Edelstein If the shoe fits: footwear considerations for the elderly
US20230292880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KR101269961B1 (ko) 신발창의 구조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20120051105A (ko) 발가락 교정장치
KR200313793Y1 (ko) 다리 교정 기능이 부가된 신발
KR100890529B1 (ko) 휜다리 교정 기능이 내장된 신발
KR101853426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KR100840224B1 (ko) 발 교정기
US20180338854A1 (en) Reverse insole
KR200333132Y1 (ko) 중족골통환자용 신발
KR101722180B1 (ko) 기능성 신발
KR101755331B1 (ko) 발가락 교정용 샌들
CN212139565U (zh) 矫正拖鞋
KR101799947B1 (ko) 앞 굽이 높은 신발
KR102239837B1 (ko) 인솔
KR20130044683A (ko) 발가락 교정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깔창
US20220395048A1 (en) Shoe slide with podiatric elements
KR200399907Y1 (ko) 신발
KR100928712B1 (ko) 아치 보정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