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4974B1 -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 Google Patents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4974B1
KR100704974B1 KR1020060099806A KR20060099806A KR100704974B1 KR 100704974 B1 KR100704974 B1 KR 100704974B1 KR 1020060099806 A KR1020060099806 A KR 1020060099806A KR 20060099806 A KR20060099806 A KR 20060099806A KR 100704974 B1 KR100704974 B1 KR 10070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ole
air chamber
magnet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화
김무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계산업
Priority to KR102006009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의 뒷굽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에어챔버의 상하부에는 한 쌍의 자석을 마주보게 설치하되, 마주보는 면의 상하부자석의 극성이 동일하게 하고, 에어챔버에서 펌핑되는 에어는 밑창의 상부와 깔창의 사이를 통하여 깔창의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동일한 극성의 상하부자석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걸음을 걸을 때마다 신발창의 뒷굽이 신축되면서 쿠션작용을 하게하며, 그와 동시에 걸음을 걷는 동안은 에어챔버에서 계속적인 펌핑작용이 이루어져 외부의 에어를 신발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밑창(1)의 후방에 뒷굽(2)이 형성된 신발창(4)의 뒷굽(2)에는 상부가 개방된 에어챔버(8)가 형성되고, 이 에어챔버(8)의 전방에는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9)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에어챔버(8)의 내측 바닥면에는 하부자석(16)이 설치되고, 상기 밑창(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에어챔버(8)와 통하는 전후에어통로(11)가 형성되며, 이 전후에어통로(11)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다수줄의 좌우에어통로(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3) 내측의 신발창(4) 상면에는 후방 하측에 에어챔버(8)의 개방된 상부공간을 덮는 경질의 지지대(17)가 부착되고 에어챔버(8) 측의 에어가 신발의 내측으로 통하게 하는 다수에 통기공(7)을 형성한 깔창(6)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7)는 전후방 저면에 에어챔버(8)의 전후방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전후방걸림부(18,19)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방걸림부(18)의 중앙부에는 전후에어통로(11)를 개방시키는 요홈(18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7) 저면에는 상부자석(14)을 설치하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14)의 저면과 하부자석(16)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하며, 지지대(17)의 소정위치에는 통기공(7)과 통하는 통공(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발창, 에어챔버, 뒷굽, 전후에어통로, 좌우에어통로, 자석, 에어통로, 쿠션, 극성

Description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A magnet cushion equippmented sole of a sho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신발에 설치되는 밑창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도 3의 B-B선 작용상태 단면도.
도 5의 (가)(나)는 신발에 설치되는 상하부자석의 배치상태와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치되는 밑창의 평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11의 (가)(나)는 도 9의 D-D선에서 본 작용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창 2 : 뒷굽 3 : 갑피
4 : 신발창 5 : 논슬립창 6 : 깔창
7 : 통기공 8 : 에어챔버 9 : 에어유입공
10 : 통공 11 : 전후에어통로 12 : 좌우에어통로
13 : 자석삽입홈 14 : 상부자석 15 : 자석삽입홈
16 : 하부자석 17 : 지지대 18 : 전방걸림부
19 : 후방걸림부 20 : 지지쿠션
본 발명은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창의 뒷굽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에어챔버의 상하부에는 한 쌍의 자석을 마주보게 설치하되, 마주보는 면의 상하부자석의 극성이 동일하게 하고, 에어챔버에서 펌핑되는 에어는 밑창의 상부와 깔창의 사이를 통하여 깔창의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동일한 극성의 상하부자석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걸음을 걸을 때마다 신발창의 뒷굽이 신축되면서 쿠션작용을 하게 되며, 그와 동시에 걸음을 걷는 동안은 에어챔버에서 계속적인 펌핑작용이 이루어져 외부의 에어를 신발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킴에 따라 신발 내부의 악취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화를 포함한 신발의 뒷굽에는 쿠션수단이 구비되어 신발의 뒷굽에서 쿠션작용을 하게 하는 것이 근래 들어 많이 개발되었는데, 그것은 신발창의 뒷굽을 쿠션이 좋은 연질의 재료로 제작하는 것과, 뒷굽에 에어튜브를 설치하는 것들이 주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쿠션이 좋은 연질의 재료와, 에어튜브가 압축되면서 원위치로 복원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쿠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눌려진 부분에 의해 외관까지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질로 된 신발창의 뒷굽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에어챔버의 상하부에는 한 쌍의 자석을 마주보게 설치하되, 마주보는 면의 상하부자석의 극성이 동일하게 하여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쿠션작용을 하게 함으로서, 장시간의 사용에도 뒷굽의 눌리는 부분이 자석의 밀어내는 반발력에 의해 항상 원위치로 복원되어 항상 일정한 쿠션력이 작용할 수 있으면서 외관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챔버에서 펌핑되는 에어는 밑창의 상부와 깔창의 사이를 통하여 깔창의 상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걸음을 걷는 동안은 에어챔버에서 계속적인 펌핑작용이 이루어져 외부의 에어를 신발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밑창의 후방에 뒷굽이 형성된 신발창의 뒷굽에는 상부가 개방된 에어챔버가 형성되고, 이 에어챔버의 전방에는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에어챔버의 내측 바닥면에는 하부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밑창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에어챔버와 통하는 전후에어통로가 형성되며, 이 전후에어통로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다수줄의 좌우에어통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 내측의 신발창 상면에는 후방 하측에 에어챔버의 개방된 상부공간을 덮는 경질의 지지대가 부착되고 에어챔버 측의 에어가 신발의 내측으로 통하게 하는 다수에 통기공을 형성한 깔창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전후방 저면에 에어챔버의 전후방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전후방걸림부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방걸림부의 중앙부에는 전후에어통로를 개방시키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저면에는 상부자석을 설치하되, 상부자석과 하부자석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의 저면과 하부자석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하며, 지지대의 소정위치에는 통기공과 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밑창(1)의 후방하측에 설치되는 연질의 뒷굽(2) 내부에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9)이 관통되게 형성된 에어챔버(8)가 형성되며, 그 에어챔버(8)의 내측 바닥면에는 자석삽입홈(15)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홈(15)에 하부자석(16)을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자석(16)에 대응하는 밑창(1)의 저면에는 자석삽입홈(13)이 형성되고, 이 자석삽입홈(13)에는 상부자석(14)을 삽입 설치하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14)의 저면과 하부자석(16)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자석(14,16)의 극성을 동일하게 설치하는 것은, 도 5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은 "+"극 끼리 마주보게 설치하거나, 또는 "-"극은 "-" 극 끼리 마주보게 설치하여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되어 동일한 극성이 서로 밀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밑창(1)의 상면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전후에어통로(11)가 형성되고, 이 전후에어통로(11)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다수줄의 좌우에어통로(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전후에어통로(11)의 후단부에는 에어챔버(8)와 통하는 통공(10)이 형성되고, 상기 밑창(1)의 상면에는 각각의 전후에어통로(11) 및 좌우에어통로(12)와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에 통기공(7)을 형성한 깔창(6)이 설치된다.
상기 좌우에어통로(12)가 다수줄로 형성하는 것은 땀이 많이 차는 발바닥의 앞부분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2~4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그 줄 수는 가감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상기 에어유입공(9)은 도 4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옆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뒷굽(2)이 밟힐 때 뒷굽(2)이 쿠션이 있는 연질의 재료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이 하측으로 작용하면서 눌릴 때, 타원형으로 형성한 에어유입공(9)이 도 4의 (나)와 같이 눌리면서 밀착되어 에어유입공(9)이 막혀서 에어챔버(8)로 유입된 공기가 에어유입공(9)을 통하여 역류(외부로 배기) 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8) 내측의 에어유입공(9) 말단부에는 에어챔버(8) 내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연질막으로 형성된 역지변 (도시생략)을 부착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전후방 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며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신발창(4)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전후방 저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형성되며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신발창(4)의 후방내측에는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9)이 관통되게 형성된 에어챔버(8)가 형성되고, 에어챔버(8)의 내측 바닥면에는 하부자석(16)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자석(16)에 대응하는 바닥면부(1a)의 저면에는 상부자석(14)을 삽입 설치하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14)의 저면과 하부자석(16)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으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부(1a)의 상면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전후에어통로(11)가 형성되고, 이 전후에어통로(11)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2~4줄의 좌우에어통로(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전후에어통로(11)의 후단부에는 에어챔버(8)와 통하는 통공(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부(1a)의 상면에 각각의 전후에어통로(11) 및 좌우에어통로(12)와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에 통기공(7)을 형성한 깔창(6)이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다른 실시예와 전체적으로는 유사하나, 부분적으로 상이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밑창(1)의 후방에 뒷굽(2)이 일체로 형성된 신발창(4)의 뒷굽(2)에는 상부가 개방된 에어챔버(8)가 형성되며, 이 에어챔버(8)의 전방에는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9)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그 에어챔버(8)의 내측 바닥면에는 자석삽입홈(15)을 형성한 뒤에 그 자석삽입홈(15)에 하부자석(16)이 삽입 설치된다.
위에서 신발창(4)이 밑창(1)과 뒷굽(2)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로서 밑창(1)의 후방에 에어챔버에 대응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밑창저면에 상부가 개방되게 에어챔버를 형성한 밑굽을 별도로 부착시킬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밑창(1)의 상면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에어챔버(8)와 통하는 전후에어통로(11)가 형성되고, 이 전후에어통로(11)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다수줄의 좌우에어통로(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갑피(3) 내측의 신발창(4) 상면에는 후방 하측에 에어챔버(8)의 개방된 상부공간을 덮는 경질의 지지대(17)가 부착되고 에어챔버(8) 측의 에어가 갑피(3) 내측으로 통하게 하는 다수에 통기공(7)을 형성한 깔창(6)이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7)는 전후방 저면에 에어챔버(8)의 전후방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전후방걸림부(18,19)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방걸림부(18)의 중앙부에는 전후에어통로(11)를 개방시키는 요홈(18a)이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걸림 부(18,19) 사이의 지지대(17) 저면에는 자석삽입홈(13a)이 하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석삽입홈(13a)에 상부자석(14)을 삽입 설치하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14)의 저면과 하부자석(16)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하며, 지지대(17)의 소정위치에는 통기공(7)과 통하는 통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8) 내측의 상하부자석(14,16)의 사이에는 연질의 지지쿠션(20)을 부착 설치한다. 이 지지쿠션(20)은 상하부자석(14,16) 사이의 공간에 개재되어 상하부자석(14,16)를 지지하는 것으로 꼭 설치해야 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은 신발창의 상측에 부착 설치되는 갑피이고, "5"는 연질의 신발창이 마모되는 것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되는 논슬립창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부터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신발창(4)이 설치된 신발을 착용하고 걸음을 걸을 때, 뒷굽(2)의 후단부가 제일 먼저 지면에 딛을 때, 연질로 제작되어 쿠션이 양호한 뒷굽(2)이 압축되면서 뒷굽(2) 내측의 에어챔버(8)가 수축되게 된다.
이렇게 에어챔버(8)가 수축될 때, 에어챔버(8)의 내측에 차있던 에어는 에어챔버(8) 상측의 통공(10)을 통하여 전후에어통로(11)로 배출되게 되고, 이러한 전 후에어통로(11)의 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전후에어통로(11)와 연결되게 형성된 좌우에어통로(12)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밑창(1)의 상면을 덮고 있는 깔창(6)에는 각각의 전후에어통로(11) 및 좌우에어통로(12)와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개의 통기공(7)이 형성되어서 발바닥측으로 에어가 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뒷굽(2)이 지면을 디뎌서 뒷굽(2)이 수축할 때, 에어챔버(8)의 내측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의 간격이 좁혀지나, 이들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마주보는 면에는 자석의 극성이 도 5와 같이 서로 동일한 극성으로 배치되어서 뒷굽(2)의 수축으로 가까워졌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동일한 극성의 자력으로 서로 밀어내는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냄에 따라 발꿈치가 딛고 있는 뒷굽(2)에 쿠션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은 각각이 자석삽입홈(13,15)에 삽입된 상태로 자석삽입홈(13,15)에 접착제로서 부착되어 있어서,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내는 경우에도 각각의 자석삽입홈(13,15)에서 이탈하지 않고 계속적인 반발력이 계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음을 걸으면서 지면을 딛을 때마다 체중에 의해 뒷굽(2)이 수축되면서 에어챔버(8) 내의 공기를 발바닥측으로 뿜어내어 발을 편안하고 시원하게 해주게 되고, 뒷굽(2)이 지면에서 떨어져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면 서로 동일한 극 성이 마주보고 있는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의 반발력에 의해 수축되었던 뒷굽(2)이 다시 팽창하면서 신발 외측의 공기를 에어유입공(9)측으로 흡입하게 되며, 상기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계속적으로 밀어내고 있음에 따라 걸음을 걷는 동안은 뒷굽(2)이 수축과 팽창을 계속하여 뒷굽(2)에는 우수한 쿠션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뒷굽(2)이 압축될 때 에어챔버(8)의 공기가 에어유입공(9)로 빠져나가지 않고 통공(10)을 통하여 신발의 내측으로만 배기되는 것은, 도 4의 (나)와 같이 옆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된 에어유입공(9)이 발에 밟히면서 막히게 되기 때문이다.
즉, 뒷굽이 쿠션이 양호한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면서 에어유입공(9)이 도 4의 (가)와 같이 옆으로 긴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시 뒷굽(2)이 지면을 딛을 때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어 쿠션이 양호한 뒷굽(2)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리면서 옆으로 긴 타원형 에어유입공(9)이 막혀서 에어챔버(8) 내의 공기가 에어유입공(9)으로 역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신발창(4)은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동일한 자석의 극성에 의해 계속적으로 밀어내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그럼에 따라 이러한 신발창(4)이 설치된 신발을 장기간 사용하여도 종래와 같이 압축되었던 것이 복원되지 않아 수축된 상태가 되어 외관이 좋지 못하고 쿠션 또한 좋지 못하던 것과는 달리 항상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한 쿠션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외관 또한 해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뒷굽(2)은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연질의 재료로서 제작되기 때문에 마모가 쉽게 될 수 있음에 따라 그 저면에 생고무와 같이 질긴 재질로 된 논슬립창(5)을 부착하여서 뒷굽(2)의 조기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신발창(4)의 저면 형상이 전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면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형성된 신발창(4)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항상 일정한 쿠션을 유지하게 하는 것과, 뒷굽(2)이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에어챔버(8) 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신발 내측으로 공기를 뿜어주는 것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마사이족의 걸음걸이와 같은 구름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도 위에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나, 부분적으로 다른 점이 있어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발창(4)의 밑창(1)과 뒷굽(2)이 연질의 재료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에어챔버(8)가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 신발창(4)의 상면에 연질의 깔창(6)을 착탈식으로 덮어 설치할 때, 뒷굽(2)의 상부가 에어챔버(8)의 개방된 공간에 의해 깔창(6)의 뒷축부분이 에어챔버(8)로 내려앉을 수 있고 상부자석(14)을 설치할 수 없으므로, 깔창(6)의 뒤축부분에 경질의 지지대(17)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17)의 저면에 상부자석(14)을 하향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할 때, 뒷굽(2)이 밟히면서 에어챔버(8) 내의 에어가 일부는 통공(10a)을 통하여 신발의 안쪽 뒤축 측으로 주입되고, 또 다른 일부는 지지대(17)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걸림부(18)의 요홈(18a)을 통하여 전후에어통로(11)와 좌우에어통로(12), 그리고 통기공(7)을 통하여 신발 안쪽의 앞발바닥 측으로 주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뒷굽(2)이 밟힐 때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대하고 있는 상하부자석(14,16)이 반발하면서 쿠션력을 작용하는 것도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부자석(14,16)의 사이에 연질의 지지쿠션(20)을 필요에 따라 설치한 경우에는, 상하부자석(14,16)의 사이에 쿠션이 양호한 연질의 지지쿠션(20)을 부착시켰기 때문에 상하부자석(14,16)의 자력이 매우 강한 경우에 뒷굽(2)이 과다하게 압축 및 팽창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깔창(6)의 후방 하측에 부착 설치되는 지지대(17)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면서 그 전후방 저면에 전후방걸림부(18,19)가 에어챔버(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부착 설치되어서, 이러한 신발창(4)을 착용한 상태로 보행을 할 때에도 경질의 지지대(17)가 상부가 개방된 에어챔버(8)를 막아주어 뒤꿈치측이 에어챔버(8)로 빠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지지대(17)의 저면에 상부자석(14)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방걸림부(18)의 중앙에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는 요홈(18a)이 형성되어 에어챔버(8)의 에어가 전방걸림부(18)에 막히지 않고 요홈(18a)을 통하여 전후에어통로(11)로 원활하게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의 (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신발창이 압축될 때 착용자의 발에 밟히면서 연질의 뒷굽(2)이 압축되면서 에어유입공(9)이 일(一)자형으로 막히는 것과, 요홈(18a)과 전후에어통로(11)가 통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생략된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작용관계와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구두밑창은, 뒷굽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에어챔버의 상하부에는 한 쌍의 자석을 마주보게 설치하되, 마주보는 면의 상하부자석의 극성이 동일하게 하여 동일한 극성의 자석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항상 일정한 쿠션작용을 하게 하는 효과와, 에어챔버에서의 펌핑작용으로 신발의 내측으로 에어를 계속적으로 순환 공급시킬 수 있어서 발바닥을 시원하게 함과 아울러 신발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신발의 착용감을 좋게 해주는 효과와, 상하부자석이 계속적으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신발을 장기간동안 사용하더라도 뒷굽이 항상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여 신발의 외관 또한 해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효과를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밑창(1)의 후방에 뒷굽(2)이 형성된 신발창(4)의 뒷굽(2)에는 상부가 개방된 에어챔버(8)가 형성되고, 이 에어챔버(8)의 전방에는 외부와 통하는 에어유입공(9)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그 에어챔버(8)의 내측 바닥면에는 하부자석(16)이 설치되고,
    상기 밑창(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되며 에어챔버(8)와 통하는 전후에어통로(11)가 형성되며, 이 전후에어통로(11)의 전방에는 전후에어통로(11)와 통하며 상부가 개방된 다수줄의 좌우에어통로(12)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갑피(3) 내측의 신발창(4) 상면에는 후방 하측에 에어챔버(8)의 개방된 상부공간을 덮는 경질의 지지대(17)가 부착되고 에어챔버(8) 측의 에어가 신발의 내측으로 통하게 하는 다수에 통기공(7)을 형성한 깔창(6)이 착탈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7)는 전후방 저면에 에어챔버(8)의 전후방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는 전후방걸림부(18,19)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방걸림부(18)의 중앙부에는 전후에어통로(11)를 개방시키는 요홈(18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7) 저면에는 상부자석(14)을 설치하되, 상부자석(14)과 하부자석(16)이 서로 밀어 내도록 상부자석(14)의 저면과 하부자석(16)의 상면이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게 설치하며, 지지대(17)의 소정위치에는 통기공(7)과 통하는 통공(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5. 삭제
KR1020060099806A 2006-10-13 2006-10-13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10070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806A KR100704974B1 (ko) 2006-10-13 2006-10-13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806A KR100704974B1 (ko) 2006-10-13 2006-10-13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974B1 true KR100704974B1 (ko) 2007-04-09

Family

ID=3816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806A KR100704974B1 (ko) 2006-10-13 2006-10-13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9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70B1 (ko) * 2009-04-27 2010-05-26 김일용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KR101582769B1 (ko) * 2015-03-17 2016-01-05 박정근 위치 가변형 굽이 구비된 신발
KR101642347B1 (ko) * 2015-02-11 2016-07-25 주식회사 지지코리아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20190113448A (ko) * 2018-03-28 2019-10-08 한지안 통풍용 신발밑창
KR102395646B1 (ko) 2021-10-29 2022-05-09 전황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신발 깔창
KR102472896B1 (ko) * 2021-11-23 2022-12-01 정병오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20230153124A (ko) 2022-04-28 2023-11-06 전황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신발 깔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901A (en) 1991-05-07 1996-04-02 Brown; Jeffrey W. Shock reducing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13819Y1 (ko) 2000-09-27 2001-02-15 이재명 신발창
KR200292257Y1 (ko) * 2002-07-18 2002-10-18 윤충원 깔판 교체식 공기 순환용 깔창
KR200396036Y1 (ko) * 2005-04-29 2005-09-20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KR20060113126A (ko) * 2005-04-29 2006-11-02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901A (en) 1991-05-07 1996-04-02 Brown; Jeffrey W. Shock reducing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13819Y1 (ko) 2000-09-27 2001-02-15 이재명 신발창
KR200292257Y1 (ko) * 2002-07-18 2002-10-18 윤충원 깔판 교체식 공기 순환용 깔창
KR200396036Y1 (ko) * 2005-04-29 2005-09-20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KR20060113126A (ko) * 2005-04-29 2006-11-02 민화선 자석의 척력을 이용한 충격 흡수 구조 및 이 구조가 장착된신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70B1 (ko) * 2009-04-27 2010-05-26 김일용 발바닥이 받는 충격도를 저감시켜 완충효과를 높인 기능성 신발
KR101642347B1 (ko) * 2015-02-11 2016-07-25 주식회사 지지코리아 족궁을 지지하는 기능성 신발
KR101582769B1 (ko) * 2015-03-17 2016-01-05 박정근 위치 가변형 굽이 구비된 신발
KR20190113448A (ko) * 2018-03-28 2019-10-08 한지안 통풍용 신발밑창
KR102109193B1 (ko) * 2018-03-28 2020-05-15 한지안 통풍용 신발밑창
KR102395646B1 (ko) 2021-10-29 2022-05-09 전황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신발 깔창
KR102472896B1 (ko) * 2021-11-23 2022-12-01 정병오 족저근막염 및 무지외반증을 개선하는 용도로 한정된 깔창
KR20230153124A (ko) 2022-04-28 2023-11-06 전황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74B1 (ko)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US6581303B1 (en) Ventilating arrangement for a shoe
WO2004098334A3 (en) Footwear construction
KR200397055Y1 (ko) 내부 공기가 배출 순환되는 통풍 구두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US20120285048A1 (en) Breathing shoe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0343789B1 (ko) 공기호스가 설치된 신발 깔창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200351578Y1 (ko) 다기능 신발
CN220734553U (zh) 一种新型排湿防硌脚男鞋
CN219593853U (zh) 一种具备缓冲减震结构的安全鞋
KR20190007597A (ko) 자석쿠션이 구비된 신발창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KR101589822B1 (ko)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KR200404106Y1 (ko) 악취 배출과 쿠션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0731511B1 (ko)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구두밑창
KR200305815Y1 (ko) 통기구조를 갖는 신발 깔창
CN210901591U (zh) 一种新型人字拖
KR200193913Y1 (ko) 환기 및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CN209825356U (zh) 休闲鞋
JP3117967U (ja) 通気機能付靴
KR200183135Y1 (ko) 신발 깔창
KR200330643Y1 (ko) 공기제어밸브가 내장된 악취방지용 신발
KR200319525Y1 (ko) 실내 운동용 쿠션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