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822B1 -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 Google Patents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822B1
KR101589822B1 KR1020140107701A KR20140107701A KR101589822B1 KR 101589822 B1 KR101589822 B1 KR 101589822B1 KR 1020140107701 A KR1020140107701 A KR 1020140107701A KR 20140107701 A KR20140107701 A KR 20140107701A KR 101589822 B1 KR101589822 B1 KR 10158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ump
way valve
shoe
detach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란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란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란테
Priority to KR102014010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forced from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하방으로 개구된 착탈홈(12)을 가지는 굽(11)이 형성된 구두창(10)과; 구두창(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20)와; 갑피(20) 내측에서 상기 구두창(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전방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1)을 가지는 깔창(30)과; 구두창(10)에 형성된 것으로서, 착탈홈(12)에서 상기 통기공(31)까지 연장되는 전방유로(41) 및 상기 착탈홈(12)에서 굽(11)의 후방까지 연통되는 후방유로(42)와; 전방유로(41)에 설치되는 제1원웨이밸브(51) 및 후방유로(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원웨이밸브(51)가 열리거나 닫힐 때 반대 동작을 하는 제2원웨이밸브(52)와; 굽(11)의 착탈홈(12)에 결합되어 그 굽(11)의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펌프(60)와; 펌프(60) 내부에 설치되어. 그 펌프(60)가 반복적인 펌핑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Shoes having venti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시 구두 내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쾌적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바닥을 지지하는 구두창과, 구두창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와, 갑피 내부에 설치되는 깔창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두는 사회생활을 하는 남성 또는 여성 대부분이 착용하며, 구두를 착용한 상태로 하루 종일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구두는 가죽재질의 갑피가 발을 감싸는 형태이기 때문에, 착용시 통풍이 잘 되지 않아 발에서 열 및 땀이 나고, 이에 따라 구두를 장시간 착용할 때 발바닥이 축축해져 쾌적함이 사라지고 땀이 부패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되었다. 특히 구두는 1년 이상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취는 더욱 심해지고 무좀균이 서식하는 환경이 조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착용시 통풍이 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구두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7055에 내부 공기가 배출 순환되는 통풍구두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착용하고 걸어다닐 때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발바닥에 땀이 차고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펌핑용량이 큰 펌프나, 탈취제 성분이 소진된 펌프를 새 펌프로 스스로 교체할 수 있어, 활용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는, 하방으로 개구된 착탈홈(12)을 가지는 굽(11)이 형성된 구두창(10)과; 상기 구두창(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20)와; 상기 갑피(20) 내측에서 상기 구두창(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전방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1)을 가지는 깔창(30)과; 상기 구두창(1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착탈홈(12)에서 상기 통기공(31)까지 연장되는 전방유로(41) 및 상기 착탈홈(12)에서 상기 굽(11)의 후방까지 연통되는 후방유로(42)와; 상기 전방유로(41)에 설치되는 제1원웨이밸브(51) 및 상기 후방유로(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원웨이밸브(51)가 열리거나 닫힐 때 반대 동작을 하는 제2원웨이밸브(52)와; 상기 굽(11)의 착탈홈(12)에 결합되어 그 굽(11)의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펌프(60);를 포함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펌프(60)를 구성하는 펌프몸체(61) 내부에 설치되어. 그 펌프몸체(61)가 반복적인 펌핑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 상기 펌프몸체(6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펌핑동작이 수행될 때 탈취성분을 상기 통기공(31)을 통하여 구두 내부로 발발산하는 탈취제(80); 및 상기 굽(11)의 바닥측에서 상기 착탈홈(12)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펌프(60)를 상기 착탈홈(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손가락이 끼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분리홈(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을 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두창(10)은, 상기 착탈홈(12) 내측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유로(41)와 연통되는 전방끼움홈(13) 및 상기 착탈홈(12) 내측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유로(42)와 연통되는 후방끼움홈(14)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60)는, 상기 착탈홈(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스프링(70)이 내장되는 펑핌공간(62)이 형성된 상기 펌프몸체(61)와, 상기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상기 전방끼움홈(13)에 끼어지는 전방노즐(63)과, 상기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상기 후방끼움홈(14)에 끼어지는 후방노즐(6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은 상기 착탈홈(12)의 천정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은 상기 펌프몸체(61)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노즐(63) 및 후방노즐(64)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에 결합될 때 밀폐가 될 수 있도록 제1,2실링(63a)(64a)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두를 착용하고 걸을 때마다 굽의 하부측으로 일부 돌출된 펌프가 반복적으로 눌리어지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구두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바닥에 열이 나거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펌핑하는 공기의 용량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나, 굽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마모방지단이 많이 마모되거나, 또는 탈취제 성분이 소진될 경우, 착용자는 스스로 새 펌프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굽의 착탈홈에 착탈되는 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착탈홈 주위에 형성된 것으로서 손가락이 끼어지는 분리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굽의 착탈홈에 착탈되는 펌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착탈홈 주위에 형성된 것으로서 손가락이 끼어지는 분리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는, 하방으로 개구된 착탈홈(12)을 가지는 굽(11)이 형성된 구두창(10)과; 구두창(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20)와; 갑피(20) 내측에서 구두창(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전방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1)을 가지는 깔창(30)과; 구두창(10)에 형성된 것으로서, 착탈홈(12)에서 통기공(31)까지 연장되는 전방유로(41) 및 그 착탈홈(12)에서 굽(11)의 후방까지 연통되는 후방유로(42)와; 전방유로(41)에 설치되는 제1원웨이밸브(51) 및 상기 후방유로(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원웨이밸브(51)가 열리거나 닫힐 때 반대 동작을 하는 제2원웨이밸브(52)와; 굽(11)의 착탈홈(12)에 결합되어 그 굽(11)의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펌프(60)와; 펌프(60) 내부에 설치되어. 그 펌프(60)가 반복적인 펌핑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과; 펌프(6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탈취성분을 발산하는 탈취제(80)와; 굽(11)의 바닥측에서 상기 착탈홈(12)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펌프(60)를 착탈홈(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손가락이나 분리도구가 끼어지는 분리홈(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는 남성용 또는 여성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여성용 구두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구두창(10)에는, 굽(11)의 착탈홈(12) 내측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유로(41)와 연통되는 전방끼움홈(13)과, 착탈홈(12) 내측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방유로(42)와 연통되는 후방끼움홈(14)이 형성된다.
전방끼움공(13) 및 후방끼움공(14)은 착탈홈(12) 내측의 상부측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후술할 펌프(60)를 굽의 하부측으로부터 착탈홈(12)에 끼어넣을 때,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이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에 자동으로 결합된다.
깔창(30)은 갑피(20) 내측에 형성되어 쿠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발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통기공(31)을 통하여 후술할 펌프(60)에 의하여 공급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된다.
전방유로(41)는 착탈홈(12) 내측으로부터 구두창(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깔창(30)의 통기공(31)으로 분사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후방유로(42)는 착탈홈(12) 내측으로부터 굽(11)의 후방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1원웨이밸브(51) 및 제2원웨이밸브(52)는 공기를 일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밸브로서, 각각 구멍이 형성된 제1,2밸브몸체(51a)(52a)와, 제1,2밸브몸체(51a)(52a)에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구멍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2개폐단(51b)(52b)으로 구성된다.
제1원웨이밸브(51)는 전방유로(41)에 설치되고, 제2원웨이밸브(52)는 후방유로(42b)에 설치되며, 이때 제1원웨이밸브(51)와 제2원웨이밸브(52)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즉 반대 동작이 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원웨이밸브(51)가 열릴때 제2원웨이밸브(52)는 닫히고, 제1원웨이밸브(51)가 닫힐 때 제2원웨이밸브(52)는 열리게 위치되는 것이다. 즉 제1개폐단(51b)이 제1밸브몸체(51a)의 구멍을 개방하면 제2개폐단(52b)은 제2밸브몸체(52a)의 구멍을 폐쇄하고, 반대로 제1개폐단(51b)이 제1밸브몸체(51a)의 구멍을 폐쇄하면 제2개폐단(52b)은 제2밸브몸체(52a)의 구멍을 개방하는 것이다.
펌프(60)는 외부의 공기를 통기공(3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굽(11)의 착탈홈(12)에 착탈된다. 이러한 펌프(60)는, 착탈홈(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펑핌공간(62)이 형성된 펌프몸체(61)와,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전방끼움홈(13)에 끼어지는 전방노즐(63)과,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후방끼움홈(14)에 끼어지는 후방노즐(64)을 포함한다.
펌프몸체(61)는 반복적으로 눌리어진 후 원상회복될 수 있도록 자바라 형태를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된다.
펌프몸체(61)의 하부측은 땅바닥과 반복적인 밀착시 쉽게 마모되지 않게 하기 위한 마모방지단(61a)이 형성된다. 이러한 마모방지단(61a)은 펌프몸체(6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껍게 함으로써 구현된다.
전방노즐(63) 및 후방노즐(64)은 펌프몸체(61)의 상부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펌프(60)를 굽의 하부측에서 착탈홈(12)에 끼어넣을 때,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은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에 자동으로 결합된다.
전방노즐(63)의 외주면에는, 전방노즐(63)이 전방끼움공(13)에 결합될 때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실링(63a)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실링(63a)은 전방노즐(63)과 전방끼움공(13) 사이를 밀폐하며, 본원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기가 있는 장소를 거닐더라도 그 물기가 전방끼움공(13)과 전방노즐(6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전방유로(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기가 구두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노즐(64)의 외주면에는, 후방노즐(64)이 후방끼움공(13)(14)에 결합될 때 밀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링(64a)이 설치된다. 이러한 제2실링(64a)은 후방노즐(64)과 후방끼움공(14) 사이를 밀폐하며, 후방유로(42)로 유입되는 공기 전부가 펌프(6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링(70)은 펌프몸체(61)에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펌프(60)가 반복적인 펌핑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프링(70)은 펌프(60)의 용량이나 눌리어지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며, 펌프몸체(6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환경과 차단되므로, 물기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탈취제(80)는 펌프몸체(61)에 내장되어 서서히 탈취성분을 발산한다. 이러한 탈취성분은 펌프(60)가 외부 공기를 펌핑 하여 구두 내부로 유입시킬 때, 그 외부공기에 실려 구두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구두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탈취제(80)는 펌프몸체(61)에 내장되기 때문에, 탈취성분이 모두 소진되면 새로운 펌프로 교체한다.
분리홈(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11)의 바닥측에서 착탈홈(12)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펌프몸체(61)의 측부를 일부 노출시키는 것이다. 분리홈(90)은 손가락이 몸체부(61)의 측부를 잡을 수 있도록 그 손가락이 끼어지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펌프(60)를 다른 펌프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두를 착용한 착용자가 걸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11)이 땅바닥에 닿게 되면 그 굽(11)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된 펌프몸체(61)가 눌리어진다. 그러면 펌핑공간(62)의 공기가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후방노즐(63)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은 후방유로(42)에 설치된 제2원웨이밸브(52)를 폐쇄하여 공기가 굽의 후방측으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펌핑공간(6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제1원웨이밸브(51) 및 전방유로(41)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경유한 후 깔창의 통기공(31)을 통하여 구두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구두 내부로 유입된 신선한 공기는 쾌적함을 증진시킨다.
이후 구두가 땅바닥으로부터 분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0)은 펌프몸체(61)를 원상태로 팽창시키고, 전방 및 후방 노즐(63)(64)과 연통된 전방 및 후방 유로(41)(42)에 음압을 형성하며, 전방유로(41)에 형성된 음압은 제1원웨이밸브(51)를 폐쇄하고 후방유로(42)에 형성된 음압은 제2원웨이밸브(52)를 개방시킨다. 그러면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제2원웨이밸브(52) 및 후방유로(42)를 통하여 경유한 후 화살표 방향을 따라 펌프몸체(61)의 펌핑공간(62)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펌프(60)에 의하여 구두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두를 착용하고 걸을 때마다 굽(11)의 하부측으로 일부 돌출된 펌프(60)가 반복적으로 눌리어지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구두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바닥에 열이 나거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쾌적함을 증진시킨다.
또한 펌프몸체(61)에서 펌핑하는 공기의 용량을 크게 하고자 할 경우나, 펌프몸체의 마모방지단(61a)이 많이 마모되거나, 또는 탈취제(80) 성분이 소진될 경우, 착용자는 펌프(60)를 다른 펌프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활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구두창 11 ... 굽
12 ... 착탈홈 13 ... 전방끼움홈
14 ... 후방끼움홈 20 ... 갑피
30 ... 깔창 31 ... 통기공
41 ... 전방유로 42 ... 후방유로
51 ... 제1원웨이밸브 52 ... 제2원웨이밸브
60 ... 펌프 61 ... 펌프몸체
62 ... 펌핑공간 63 ... 전방노즐
63a ... 실링 64 ... 후방노즐
64a ... 실링 70 ... 스프링
80 ... 탈취제 90 ... 분리홈

Claims (6)

  1. 하방으로 개구된 착탈홈(12)을 가지는 굽(11)이 형성된 구두창(10)과; 상기 구두창(10)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갑피(20)와; 상기 갑피(20) 내측에서 상기 구두창(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발바닥 전방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31)을 가지는 깔창(30)과; 상기 구두창(1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착탈홈(12)에서 상기 통기공(31)까지 연장되는 전방유로(41) 및 상기 착탈홈(12)에서 상기 굽(11)의 후방까지 연통되는 후방유로(42)와; 상기 전방유로(41)에 설치되는 제1원웨이밸브(51) 및 상기 후방유로(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제1원웨이밸브(51)가 열리거나 닫힐 때 반대 동작을 하는 제2원웨이밸브(52)와; 상기 굽(11)의 착탈홈(12)에 결합되어 그 굽(11)의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펌프(60);를 포함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펌프(60)를 구성하는 펌프몸체(61) 내부에 설치되어. 그 펌프몸체(61)가 반복적인 펌핑작용을 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0);
    상기 펌프몸체(6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펌핑동작이 수행될 때 탈취성분을 상기 통기공(31)을 통하여 구두 내부로 발발산하는 탈취제(80); 및
    상기 굽(11)의 바닥측에서 상기 착탈홈(12)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펌프(60)를 상기 착탈홈(1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손가락이 끼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분리홈(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두창(10)은, 상기 착탈홈(12) 내측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유로(41)와 연통되는 전방끼움홈(13) 및 상기 착탈홈(12) 내측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유로(42)와 연통되는 후방끼움홈(14)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60)는, 상기 착탈홈(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스프링(70)이 내장되는 펌핑공간(62)이 형성된 상기 펌프몸체(61)와, 상기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상기 전방끼움홈(13)에 끼어지는 전방노즐(63)과, 상기 펌핑공간(62)과 연통된 것으로서 상기 후방끼움홈(14)에 끼어지는 후방노즐(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은 상기 착탈홈(12)의 천정측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은 상기 펌프몸체(6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노즐(63) 및 후방노즐(64)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그 전방 및 후방 노즐(63)(64)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끼움공(13)(14)에 결합될 때 밀폐가 될 수 있도록 제1,2실링(63a)(64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KR1020140107701A 2014-08-19 2014-08-19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KR10158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01A KR101589822B1 (ko) 2014-08-19 2014-08-19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01A KR101589822B1 (ko) 2014-08-19 2014-08-19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822B1 true KR101589822B1 (ko) 2016-02-15

Family

ID=5535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01A KR101589822B1 (ko) 2014-08-19 2014-08-19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635A (zh) * 2018-12-13 2019-03-01 盐城市吉成鞋业有限公司 一种除臭效果好的靴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630Y1 (ko) 2001-06-14 2001-10-31 한상천 통풍신발
KR200362021Y1 (ko) 2004-06-22 2004-09-16 주식회사 다우리월드 착탈식 통풍장치를 가진 신발
KR101461331B1 (ko) * 2013-08-01 2014-11-13 주식회사 아키 기능성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630Y1 (ko) 2001-06-14 2001-10-31 한상천 통풍신발
KR200362021Y1 (ko) 2004-06-22 2004-09-16 주식회사 다우리월드 착탈식 통풍장치를 가진 신발
KR101461331B1 (ko) * 2013-08-01 2014-11-13 주식회사 아키 기능성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3635A (zh) * 2018-12-13 2019-03-01 盐城市吉成鞋业有限公司 一种除臭效果好的靴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852U (ja) 通気性インソール
KR101313536B1 (ko) 포켓 스프링식 탄성 안창
KR101589822B1 (ko) 통풍 기능을 가지는 구두
KR101873916B1 (ko)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KR20050117954A (ko)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448371Y1 (ko) 기능성 신발창
KR101461331B1 (ko) 기능성 신발
CN205624729U (zh) 一种具有缓冲气垫的鞋
JP3203613U (ja) 多機能立体通気性ソール
KR20120133250A (ko) 신발 깔창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JP2011160943A (ja) 通気防塵のマッサージ中敷
US20200383423A1 (en) Shoes
KR200450304Y1 (ko) 향기 배출수단이 구비된 신발깔창
KR200252029Y1 (ko) 통풍 및 건강기능이 구비된 신발
CN201499706U (zh) 呼吸鞋垫和呼吸鞋
KR20030006151A (ko) 통풍 및 건강기능이 구비된 신발
CN112956779B (zh) 一种除臭透气功能鞋
CN210672288U (zh) 一种一体成型鞋带孔的鞋面
KR200335961Y1 (ko) 펌핑수단이 구비된 신발 깔창 및 그를 가지는 신발
JP3105862U (ja) 靴の中敷
JP2014200327A (ja) 換気靴及び弁構造体
KR200360877Y1 (ko)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437495Y1 (ko) 신발창 유니트
KR200401233Y1 (ko) 충격흡수겸용 통풍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